KR19980017764U - 자동차용 보조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764U
KR19980017764U KR2019960031152U KR19960031152U KR19980017764U KR 19980017764 U KR19980017764 U KR 19980017764U KR 2019960031152 U KR2019960031152 U KR 2019960031152U KR 19960031152 U KR19960031152 U KR 19960031152U KR 19980017764 U KR19980017764 U KR 199800177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tube
container
ai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혁
Original Assignee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춘,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경춘
Priority to KR2019960031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764U/ko
Publication of KR19980017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76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4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시트에 앉은 탑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프론트 시트의 후방으로부터 보조 에어 매트가 돌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매트의 구조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트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 사이의 공간에 에어 매트를 자동적으로 형성하는 시트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자동차 시트는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백 내의 하부에 위치된 콘테이너(container)와, 상기 콘테이너내에 수납되며, 외부로부터의 공기 투입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 돌출되어 특정한 형태의 모양을 갖추는 튜브 매트와, 상기 튜브 콘테이너내의 매트 튜브와 에어탱크, 진공펌프의 사이에 관으로 연결되어 제1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탱크의 공기를 상기 튜브 매트에 공급하고,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튜브매트내의 공기를 펌핑하여 상기 튜브 매트를 상기 콘테이너내에 수납하는 공기압조절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매트
본 고안은 자동차 보조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의 조작에 의해 보조 매트를 자동적으로 설치하는 자동차 시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승용차 혹은 승합차 및 대다수의 자동차들은, 프론트 시트와 상기 리어 시트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전후 시트간의 간격은 답승자의 움직임 공간의 확보 및 안락한 승차감을 위하여 최소한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후 시트간의 간격은 보다 안락한 탑승 공간의 확보를 위해서는 간혹 불필요할 때가 있다. 예를 들면, 뒷자석에 유아, 혹은 어린이등이 탑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급하게 제동을 시도하면 뒷자석에 탑승한 유아 혹은 어린이등이 전후 시트에서 확보된 공간의 바닦으로 떨어짐으로써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장시간의 승용차 여행등으로 인하여 발에 피로가 몰려올 때 다리를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리를 길게 펴고 있어야 하는데, 전후 시트사이에 확보된 공간 아래로 발이 위치됨으로써 피로감을 가중 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는 전후 시트간의 공간을 메우는 에어 매트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 메트는 자동차용 시트와는 분리되어 있어 이용하기에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전후 시트간의 공간을 에어 매트로서 메우기 위해서는 일일이 수동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에어 매트내에 공기의 주입을 별개의 펌프를 이용하여 불어 넣음으로써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보관을 별도로하여야 함으로써 이용 및 보관에 많는 제약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전후 시트 사이에 있는 공간에 보조 매트를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하는 자동차용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원터치의 조작에 의해 전후 시트 사이의 공간에 유아용 보조 매트를 자동적으로 설치하는 자동차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프론트 시트백 내의 하부에 위치된 콘테이너(container)와, 상기 콘테이너내에 수납되며, 외부로부터의 공기 투입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 돌출되어 특정한 형태의 모양을 갖추는 튜브 매트와, 상기 튜브 콘테이너내의 매트 튜브와 에어탱크, 진공펌프의 사이에 관으로 연결되어 제1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탱크의 공기를 상기 튜브 매트에 공급하고,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튜브매트내의 공기를 펌핑하여 상기 튜브 매트를 상기 콘테이너내에 수납하는 공기압조절기를 가지는 프론트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매트를 갖는 자동차 시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매트를 갖는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백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보조 매트를 갖는 자동차 시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매트를 갖는 자동차 시트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시트 10의 시트백 12와, 리어시트 14의 시트 쿠션 16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이격 위치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론트 시트 10의 시트백 12의 뒷면의 하부에는 끝부분이 ¬의 형상으로 고무로 성형된 튜브매트 18를 내장하는 콘테이너 2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콘테이너 20에는 스프링의 텐션에 의해 개폐되는 콘테이너 도어 2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콘테이너 도어 22는 콘테이너 20에 내장된 튜브매트 18의 공기 팽창에 의해 시트백 12의 외부로 돌출되는 튜브매트 18의 팽창력에 따라 열려지고, 진공펌핑에 의해 상기 튜브매트 18의 줄여들 때 도어 스프링의 텐션에 의해 닫혀진다.
상기 도 1과 같은 이용 상태의 동작은 하기 도 2에 도시된 시트백 12의 단면도와 도 3의 설명에 의해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매트를 갖는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백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시트백 12의 하부에는 소정의 크기를 횡으로 갖는 콘테이너 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콘테이너 20내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신장력이 양호한 고무재질의 튜브매트 20가 접혀 보관되어 있다. 이때, 상기 튜브매트 20의 일측은 콘테이너 20의 일측면, 예를 들면, 전면 27에 고정부착되며, 상기 고정부착된 부위에는 외부에서 튜브매트 18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하 혹은 이와는 반대로 튜브매트 18내의 공기를 펌핑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기관 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 12의 콘테이너 20의 도어 22는 도어의 열림/닫힘시 도어의 회동을 위한 힌지 축 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축 25에는 상기 도어 22를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혹은 토션)스프링 24이 끼워져 있다. 사이 리턴 스프링 24의 일측은 도어 22에 고정부착되며, 또다른 측은 시트백 12에 고정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보조 매트를 갖는 자동차 시트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참조번호 28은 에어탱크이고, 30은 진공펌프이다. 상기 에어탱크 28의 공기배출관과 진공펌프 30의 공기 흡입관들은 다이어프램 솔레노이드 밸브 32를 통해 튜브매트 18의 공기관 2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 솔레노이드밸브 32는 전기적 제어신호 34, 예를들면, 논리 하이의 제1제어신호와 논리 로우의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에어탱크 28의 공기를 상기 튜브매트 18로 공급하거나, 상기 진공펌프 30를 상기 튜브매트 18의 공기관 26에 접속하여 튜브매트 18내의 공기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위한 것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매트의 사용에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2와 같이 시트백 12의 하부에 위치된 콘테이너 20내에 튜브매트 20에 접혀져 보관되어 콘테이너 도어 20가 닫혀진 상태라 가정한다.
지금, 사용자가 프론트 시트 10와 리어 시트 14간의 공간에 보조 매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특정키, 예를 들면, 보조 매트를 설치/해체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기능키를 선택하면, 도 3에 도시된 다이어프램 솔레노이드 32에는 논리 하이의 제1제어신호가 공급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솔레노이드 32는 상기 제1제어신호의 입력에 의해 에어탱크 28의 관을 튜브매트 18의 공기관 26으로 접속하여 상기 튜브매트 18에 공기를 주입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도 3와 같이 콘테이너 20에 내장된 튜브매트 18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하기 시작한다. 상기 튜브매트 18가 팽창이 어느정도 지속되면, 상기 튜브매트 18가 콘테이너 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콘테이너 도어 22는 상기 튜브매트 18의 팽창에 의해 외측의 아래로 향해 열려져 외부로 돌출되는 튜브매트 18의 하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튜브매트 18의 돌출부위는 ¬의 형태로 성형되어 제작된 것이어서 리어 시트 14의 시트 쿠션16과 밀착되어 진다. 상기 돌출부위의 ¬의 형태의 신장 부위 19는 상기 튜브매트 18를 자동차의 바닦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프론트 시트 12와 리어 시트 14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에어 보조 매트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솔레노이드 32는 튜브매트 18내의 공기압력이 미리설정된 이상으로 상승되면, 에어탱크 28의 공기를 차단하여 튜브 매트 18의 지대한 팽창을 방지하여 튜브를 보호한다.
사용자가 도 1과 같이 설치된 보조 에어 매트를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특정기를 재선택하면, 도 3에 도시된 다이어프램 솔레노이드 32로 공급되는 제어신호 34는 논리 로우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 솔레노이드 32는 튜브매트 18의 공기관 26과 진공펌프 30의 진공관를 연결한다. 물론, 에어탱크의 공기관은 상기 튜브매트 18의 공기관 26과 분리되어 차단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진공펌프 30가 상기 튜브매트 18의 공기관 26에 연결되면, 진공펌프 30의 펌핑동작에 의해 튜브매트 18내에 주입되었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공기의 팽창에 의해 도 1 혹은 도 3과 같이 보조매트로 형성된 튜브매트 18는 줄여들어 프론트 시트 10의 시트백 12에 위치된 콘테이너 20내로 보관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진공펌핑의 동작에 의해 튜브매트 18가 콘테이너 20내로 완전하게 접혀지면 콘테이너 20의 도어 22의 힌지축 25에 끼워진 리턴 스프링 24의 텐션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진다. 따라서, 도 2 및 도 3과 같은 구조에 의해 원터치의 동작만으로도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 사이에 보조 매트를 자동적으로 설치하고 해제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론트 시트백에 튜브매트를 보관할 수 있는 콘테이너를 만들고, 상기 콘테이너에 수납된 튜브매트를 에어탱크와 진공펌프에 연결하여 자동적으로 튜브매트를 팽창시켜 보조매트를 형성하고, 진공펌핑하여 보조매프를 해체함으로써 유야용 보조매트의 이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를 가지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시트백 내의 하부에 위치된 콘테이너와,
    상기 콘테이너내에 수납되며, 외부로부터의 공기 투입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콘테이너의 외부로 돌출되어 특정한 형태의 모양을 갖추는 튜브 매트와,
    상기 튜브 콘테이너내의 매트 튜브와 에어탱크, 진공펌프의 사이에 관으로 연결되어 제1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에어탱크의 공기를 상기 튜브 매트에 공급하고,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튜브매트내의 공기를 펌핑하여 상기 튜브 매트를 상기 콘테이너내에 수납하는 공기압조절기를 포함하여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테이너는 상기 튜브매트의 팽창에 의해 열리고, 상기 튜브매트가 상기 콘테이너내로 접혀져 들어갈 때 자동적으로 닫히는 구조를 갖는 콘테이너 도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매트는 초기 돌출되는 부위가 리어 시트의 시트 쿠션으로부터 자동차의 바닦면으로 향하도록 굴곡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매트.
KR2019960031152U 1996-09-24 1996-09-24 자동차용 보조매트 KR199800177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152U KR19980017764U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용 보조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152U KR19980017764U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용 보조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764U true KR19980017764U (ko) 1998-07-06

Family

ID=5397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152U KR19980017764U (ko) 1996-09-24 1996-09-24 자동차용 보조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76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58A (ko) * 2001-08-17 2003-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쿠션 전개 장치
KR20230030131A (ko) * 2021-08-24 2023-03-06 주식회사 경신 에어매트가 구비된 차량용 리어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658A (ko) * 2001-08-17 2003-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쿠션 전개 장치
KR20230030131A (ko) * 2021-08-24 2023-03-06 주식회사 경신 에어매트가 구비된 차량용 리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636A (en) Assembly for filling void between cushions of reclining seats
KR19980017764U (ko) 자동차용 보조매트
JP2004513019A (ja) 乗物、特にステーションワゴン
KR19980017767U (ko) 자동차용 보조매트
US5730493A (en) Built-in baby seat for transport in vehicles
KR1009171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리클라이닝 조절장치
US20230016423A1 (en) Side Impact Protection Device
KR0124999Y1 (ko) 자동차용 시트의 등받이 구조
JP4350478B2 (ja) 前滑り防止手段付き車両用シート
CN219056056U (zh) 座椅侧翼支撑结构及车辆
KR0136405Y1 (ko) 베개가 구비된 승용차의 리어시트
KR19980018814U (ko) 에어를 이용한 등받이 쿠션 조절장치
KR19980030641A (ko) 승합차량용 시트
KR0139555Y1 (ko) 자동차 리어 시트
KR100802718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에어 쿠션 장치
KR19990034552A (ko) 크기조절형 헤드레스트
JP2579953Y2 (ja) シート・パッド
KR200196788Y1 (ko) 확장시트의 위치고정장치
KR20000039239A (ko) 자동차의 시트
KR0124931Y1 (ko) 자동차의 뒷좌석 측면충돌에 대비한 에어쿠션장치
KR200291461Y1 (ko) 차량 시트의 폴딩 장치
KR19990021288U (ko) 차량의 어린이용 보조시트
KR19980029400U (ko) 자동차의 뒷자석용 안전시트
KR970036509A (ko) 승용차용 좌석 등받이의 허리 받침 조절장치
WO2015173968A1 (ja) ヘッド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