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539U -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539U
KR19980017539U KR2019960030926U KR19960030926U KR19980017539U KR 19980017539 U KR19980017539 U KR 19980017539U KR 2019960030926 U KR2019960030926 U KR 2019960030926U KR 19960030926 U KR19960030926 U KR 19960030926U KR 19980017539 U KR19980017539 U KR 199800175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lower clamp
guide plate
strips
t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7171Y1 (ko
Inventor
송태석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30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71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7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7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후방 스트립의 용접시 후행 스트립의 선단 모서리의 처짐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여 스트립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한 스트립(Strip)의 자동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측 하부클램프의 상단면에 반대측에 위치된 출측 하부클램프까지 슬라이딩 되는 유도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입측 하부클램프의 저면에 설치한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게 함에 따라, 선행 스트립과 후행스트립의 용접시에는 유도플레이트를 입측 하부클램프의 상부면에 대기시켜 반대측의 출측 하부클램프와 간격을 유지되게 하고, 용접후 스크립의 진행시에는 상기 유도플레이트를 출측 하부클램프로 이동되게하여 일측 하부클램프와의 간격을 막아주게 되어 스트립의 폭변화에 따른 모서리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립의 자동 유동장치
본 고안은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선·후행 스트립의 용접시 후행 스트립의 선단 모서리의 처짐으로 인한 간섭을 방지하여 스트립을 원활하고 안전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한 스트립(Strip)의 자동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립을 연속하여 권취하는 리 코일링(Re-Coiling)라인에서는 스트립이 폭이 약 720㎜에서 1,860㎜범위의 제품에 대해 작업이 가능하며, 스트립에 연속성을 부여하기 선·후행스트립을 용접하였다.
상기 스트립의 용접 과정에 있어서, 선행스트립(S1)이 소폭인 반면 후행 스트립을 광폭으로 이어지게 용접을 할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스트립의 폭변화에 따라 후행스트립(S2)의 선단부 모서리(E)가 용접되지 않게 되므로 선행스트립(S1)과 후행스트립비(S2)이 일체로 되어 진행할 경우 상기 모서리(E)가 입측 하부클램프(1)로 부터 격리 설치된 출측 하부클램프(2)나 공간부에 설치된 용접기의 하부나이프(도시하지 않음)와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즉, 후행스트립(S2)의 모서리(E)가 외부물체와 부딪힐 경우 이 모서리(E) 부위가 꺽이거나 접히게 되면서 스트립의 진행을 방해 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라인이 정지되어 사고유발 및 생산성이 저하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모서리의 변형에 의해 구동률이 손상될 경우 스트립에 롤 마크를 초래하게 되어 품질 저하의 요인이 되었고, 변형된 모서리 부위가 설비물에 의해 심하게 간섭받게 될 경우 용접부에 파단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스트립 진행 과정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접기가 위치된 입출구측 하부 클램프의 사이에 스트립의 동작에 대처하는 유도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스트립을 안내되게 한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측 하부클램프의 상단면에 반대측에 위치된 출측 하부클램프까지 슬라이딩 되는 유도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입측 하부클램프의 저면에 설치한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게 함에 따라, 선행 스트립과 후행스트립의 용접시에는 유도플레이트를 입측 하부클램프의 상부면에 대기시켜 반대측의 출측 하부클램프와 간격을 유지되게 하고, 용접후 스트립의 진행시에는 상기 유도플레이트를 출측 하부클램프로 이동되게하여 일측 하부클램프와의 간격을 막아 주게 되어 스트립의 폭변화에 따른 모서리의 손상을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트립의 진행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스트립 자동 유도장치를 예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상기 자동 유도장치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자동 유도장치에 의한 스트립의 진행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자동 유도장치의 동작에 따른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입측 하부클램프11; 지지판
12; 가이드홈20; 유도플레이트
21; 고정편30; 실린더
31; 작동로드32.32'; 감지센서
40; 출측 하부클램프S1 ...... 선행스트립
S2 ...... 후행스트립
이하, 본 고안의 스트립의 자동 유동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자동 유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스트립이 진행되는 입측 하부클램프(20)의 상단면 일측에 지지판(11)이 형성되어 이에 유도 플레이트(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편(2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에 형성된 가이드홈(12)을 통해 하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지지판(11)에 설치된 유도플레이트(20)의 상부면은 입측 하부클램프(10)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입측 하부클램프(10)의 저면에는 지지판(11)의 가이드홈(12)을 관통한 유도플레이트(20)의 고정편(2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작동로드(31)을 갖춘 실린더(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 유도장치의 작동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입측 하부클램프(10)에 설치된 유도플레이트(20)는 선·후행 스트립(S1)(S2)을 용접하는 상·하부나이프(50)(50')를 사이로하여 소정 간격(ℓ)을 유지한 출측 하부클램프(40)의 단부면에 도달되게 동작되며, 유도플레이트(20)의 상부면과 출측 하부클램프(40)의 상부면은 상기 입측 하부클램프(10)의 상부면과 더불어 동일 수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유도플레이트(20)의 고정편(21)이 동작되는 궤도에는 그 전진동작과 후진동작을 감지하여 실린더(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감지센서(32)(3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입·출측 하부클램프(10)(40)의 상측에는 스트립의 용접시 밀착시켜 주는 입·출측 상부클램프(10')(4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유도장치에 의한 스트립의 진행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선행스트립(S1)의 폭에 비해 후행스트립(S2)의 폭이 광폭으로 용접된 상태에서 진행될 때 용접시 입측 하부클램프(10)에 위치되던 유도플레이트(20)가 용접의 완료와 동시에 스트립이 진행되는 순간 출측 하부클램프(40)측으로 슬라이딩되어 각측 클램프(10)(40)사이의 간격(ℓ)을 메워 주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자동 유동장치의 동작에 따른 플로우 챠트로서, 선행스트립(S1)과 후행스트립(S2)을 용접 할 때에 입측 하부클램프(10)에 설치된 유도플레이트(20)는 정지상태로서 출측 하부클램프(40)와 소정 간격(ℓ)을 유지한다.
이어서 용접 완료를 감지하면 실린더(30)가 동작되면서 유도플레이트(20)를 전진되게 슬라이딩시켜 도 4에서와 같이 반대측이 출측 하부클램프(40)에 도달시키게 되며, 그 도달여부는 고정편(21)의 동작범위내에 설치된 일측 감지센서(32')에서 확인한다.
유도플레이트(20)가 출측 하부클램프(40)에 정상적으로 도달되어 간격(ℓ)을 복개 시켰음을 확인한 상태에서 스트립의 진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트립의 진행이 시작되어 수초(약 2∼3초)동안의 시간이 경과되면 실린더(30)의 복귀동작에 의해 유도플레이트(20)가 입측 하부클램프(10)로 복귀된다.
복귀동작은 고정편(21)의 동작 범위내에 설치된 타측의 감지센서(32)에서 확인하게 되고, 정위치로 복귀되었음을 확인한 상태에서 유도플레이트(20)는 대기를 하게 된다.
이후에는 통상적인 바와 같이 스트립이 연속하여 통과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폭이 다른 선·후행 스트립을 용접하여 연속적으로 진행시킬 때 격리된 입측 하부클램프와 출측 하부클램프를 슬라이딩 동작되는 유도플레이트에 의해 복개 및 개방시킴에 따라 후행 스트립의 양측 모서리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서리부의 파손을 방지하여 압연 작업시 롤 마크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있게 되어 품질과 작업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스트립이 진입되는 입측 하부클램프(10)의 상단 일측에 가이드홈(12)이 구비된 지지판(11)을 형성하여 이에 유도플레이트(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유도플레이트(20)의 저면에 상기 가이드홈(12)을 관통하는 고정편(21)을 형성하여 입측 하부클램프(10)의 저면에 정착한 실린더(30)의 작동로드(31)를 연결하였고, 상기 실린더(30)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되는 고정편(21)의 작동범위내에 이의 전후진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32)(32')를 각각 설치하여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KR2019960030926U 1996-09-24 1996-09-24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KR200227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26U KR200227171Y1 (ko) 1996-09-24 1996-09-24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926U KR200227171Y1 (ko) 1996-09-24 1996-09-24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539U true KR19980017539U (ko) 1998-07-06
KR200227171Y1 KR200227171Y1 (ko) 2001-10-25

Family

ID=5397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926U KR200227171Y1 (ko) 1996-09-24 1996-09-24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71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28B1 (ko) * 2001-07-11 2007-07-18 주식회사 포스코 전, 후 스트립 용접 레벨 조절장치
KR100829807B1 (ko) * 2001-12-21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28B1 (ko) * 2001-07-11 2007-07-18 주식회사 포스코 전, 후 스트립 용접 레벨 조절장치
KR100829807B1 (ko) * 2001-12-21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7171Y1 (ko)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762A (en) Method of cutting label tapes
KR200227171Y1 (ko) 스트립의 자동 유도장치
US4591083A (en) Threading arrangement for strip-shaped material
KR200203407Y1 (ko) 스트립의 폭에지 절단장치
KR101011064B1 (ko) 루퍼카의 스트립 센터링 유도장치
JPS6222897B2 (ko)
JP2021062936A (ja) テープ貼付装置
JP3999349B2 (ja) スパイラル鋼管の成形装置
KR0128536Y1 (ko)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KR100530332B1 (ko) 스트립선단부 진행유도장치
JP2989277B2 (ja) コイルから巻戻される鋼板の後端の押え装置
KR100829807B1 (ko)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US20210229154A1 (en) Bending device for bending a workpiece as well as method for operating such a bending device
JP2504817Y2 (ja) 非接触浮上通板装置
KR200168806Y1 (ko) 자동테이핑장치
KR100805723B1 (ko)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KR100737680B1 (ko) 실링비드 및 본 용접의 동시수행이 가능한 자동용접장치및 이를 이용한 자동용접방법
KR200215188Y1 (ko) 주행 스트립 센터 교정장치
JP2010514630A (ja) 独立した切断バー及び溶着バーを備えた包装機械
KR100868425B1 (ko) 강판 용접시의 트랜스퍼에 의한 강판루프 조절장치
KR200334817Y1 (ko) 스트립 에지부의 결함폭 측정장치
KR100879353B1 (ko) 코일 결속기
KR20020001401A (ko) 냉간압연라인의 스트립 유도장치
JPS6230824A (ja) 帯鋼等の連続処理工程における溶接個所検出方法
GB22946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nd fixing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