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723B1 -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723B1
KR100805723B1 KR1020060084622A KR20060084622A KR100805723B1 KR 100805723 B1 KR100805723 B1 KR 100805723B1 KR 1020060084622 A KR1020060084622 A KR 1020060084622A KR 20060084622 A KR20060084622 A KR 20060084622A KR 100805723 B1 KR100805723 B1 KR 10080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width
sensing
strip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준
박원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84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flatness or profile of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강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선행코일 후단부와 후행코일 선단부의 용접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강판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S)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저면에는 지지부재(11)가 형성된 하부 지지바(10)와, 상기 지지부재(11)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바(41)와, 상기 스크류바(41)를 회전시키는 모터(40)와, 상기 하부 지지바(10)의 양단부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된 한 쌍의 측면 지지바(30)와, 상기 강판(S)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게 측면 지지바(3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가이드 브래킷(21)이 형성된 상부 지지바(20)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21)에 끼워진 가이드봉(50)과, 상기 하부 지지바(10)와 상부 지지바(20)의 마주보는 내 측면 중앙에 설치된 용접부 감지수단(60)과, 상기 용접부 감지수단(60)의 양 측면에 위치되게 하부 지지바(10)와 상부 지지바(20)의 마주보는 내 측면에 설치된 폭 감지수단(7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부 감지수단(60)은 상부 지지바(20) 또는 하부 지지바(10)중 어느 한 곳에 용접부 감지용 발광센서(61)가 설치되고 다른 한 곳에는 용접부 감지용 수광센서(62)가 설치되며; 상기 폭 감지수단(70)은 상부 지지바(20) 또는 하부 지지바(10)중 어느 한 곳에 폭 감지용 발광센서(71)가 설치되고 다른 한 곳에는 폭 감지용 수광센서(7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강판, 용접부, 감지, 폭, 모터

Description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Sensing device of strip welding par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 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 감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강판 10 : 하부 지지바
11 : 지지부재 20 : 상부 지지바
21 : 가이드 브래킷 30 : 측면 지지바
40 : 모터 41 : 스크류바
50 : 가이드봉 60 : 용접부 감지수단
61 : 용접부 감지용 발광센서 62 : 용접부 감지용 수광센서
70 : 폭 감지수단 71 : 폭 감지용 발광센서
72 : 폭 감지용 수광센서
본 발명은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강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선행코일 후단부와 후행코일 선단부의 용접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강판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접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두께 및 폭으로 압연된 강판은 이동 및 보관이 용이 하도록 코일 형태로 권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권취된 강판은 후 공정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선행코일의 후단부와 후행코일의 선단부의 중앙을 용접하고 있다.
한편, 강판의 공급량 및 강판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의 용접부를 감지하고 있다.
종래에는 강판의 용접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상기 강판이 진행하는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감지수단의 상부를 강판의 용접부가 진행하면, 상기 감지수단에서는 강판의 용접부가 통과됨을 인식하여 관리자에게 별도의 수단(도면 미도시)을 이용하여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감지수단은 강판이 진행하는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강판이 어느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진행하는 쏠림현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강판의 용접부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폭이 좁은 강판이 진행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강판이 진행하여도 용접부로 감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판의 용접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 는 한편, 상기 강판의 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강판이 편심된 상태로 이동되어도 상기 감지수단을 강판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는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는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저면에는 지지부재가 형성된 하부 지지바와, 상기 지지부재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바와, 상기 스크류바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하부 지지바의 양단부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된 한 쌍의 측면 지지바와, 상기 강판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게 측면 지지바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가이드 브래킷이 형성된 상부 지지바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끼워진 가이드봉과, 상기 하부 지지바와 상부 지지바의 마주보는 내 측면 중앙에 설치된 용접부 감지수단과, 상기 용접부 감지수단의 양 측면에 위치되게 하부 지지바와 상부 지지바의 마주보는 내 측면에 설치된 폭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부 감지수단은 상부 지지바 또는 하부 지지바 중 어느 한 곳에 용접부 감지용 발광센서가 설치되고 다른 한 곳에는 용접부 감지용 수광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폭 감지수단은 상부 지지바 또는 하부 지지바 중 어느 한 곳에 폭 감지용 발광센서가 설치되고 다른 한 곳에는 폭 감지용 수광센서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 감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 감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부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S)의 하 부에 폭방향으로 하부 지지바(10)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 지지바(10)의 저면에는 지지부재(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1)에는 스크류바(41)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바(41)의 일단에는 그 스크류바(4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40)는 이후에 설명할 폭 감지수단(70)에 감지되는 신호에 의해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바(41)의 타단에는 그 스크류바(41)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베어링(4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바(10)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측면 지지바(30)가 상향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바(30)의 상단에는 상부 지지바(2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상부 지지바(20)는 상기 강판(S)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지지바(20)의 상면에는 가이드 브래킷(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21)에는 가이드봉(50)이 끼워져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지지바(10)와 상부 지지바(20)의 마주보는 내 측면 중앙에는 용접부 감지수단(60)이 설치되어 있되, 그 용접부 감지수단(60)은 상부 지지바(20) 또는 하부 지지바(10)중 어느 한 곳에 용접부 감지용 발광센서(61)가 설치되고 다른 한 곳에는 용접부 감지용 수광센서(6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접부 감지수단(60)의 양 측면에 위치되게 하부 지지바(10)와 상부 지지바(20)의 마주보는 내 측면에는 폭 감지수단(70)이 설치되어 있되, 그 폭 감지수단(70)은 상부 지지바(20) 또는 하부 지지바(10)중 어느 한 곳에 폭 감지용 발광센서(71)가 설치되고 다른 한 곳에는 폭 감지용 수광센서(7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S)은 안내롤(80)에 의해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된 상태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강판(S)이 연속적으로 진행할 때 하부 지지바(10)와 상부 지지바(20)에 설치된 폭 감지수단(70)가 작동되어 강판(S)의 폭을 감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폭 감지수단(70)에 설치된 폭 감지용 발광센서(71)에서 발생된 빛은 폭 감지용 수광센서(72)에서 수광하는 것이다.
이때 빛이 수광되는 폭 감지용 수광센서(72)의 위치에 따라서, 현재 진행하는 강판(S)의 폭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빛이 수광되는 폭 감지용 수광센서(72)가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이 동일하게 수광되면, 강판(S)이 정상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므로 모터(4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강판(S)이 도3 또는 도4와 같이 어느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로 진행하는 쏠림현상이 발생되면, 폭 감지수단(70)에 설치된 폭 감지용 수광센서(72)에 수광되는 빛이 중앙을 기점으로 좌/우측이 서로 상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강판(S)이 우측으로 편심된 경우에는 좌측에 설치된 폭 감지용 수광센서(72)에 수광되는 빛이 증가하고, 강판(S)이 좌측으로 편심된 경우에는 우측에 설 치된 폭 감지용 수광센서(72)에 수광되는 빛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폭 감지용 수광센서(72)에 감지되는 빛이 상이할 때는 모터(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4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그 모터(40)에 설치된 스크류축(41)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스크류축(41)이 회전되면 그 스크류축(41)에 나사 결합된 지지부재(11)가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1)가 설치된 하부 지지바(10) 및 측면 지지바(30)를 매개로 연결 설치된 상부 지지바(20)가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 지지바(20) 및 하부 지지바(10)가 이동되면 폭 감지수단(70)이 함께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폭 감지수단(70)의 양 측에 설치된 폭 감지용 수광센서(72)에 수광되는 빛이 동일할 때 모터(40)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폭 감지용 수광센서(72)에 수광되는 빛이 동일할 때에는 강판(S)의 중앙에 용접부 감지수단(60)이 위치되는 것이므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S)의 용접부가 용접부 감지수단(60)을 통과하면 상기 용접부 감지수단(60)에 설치된 용접부 감지용 발광센서(61) 및 용접부 감지용 수광센서(62)에 의해서 용접부가 감지되고, 관리자에게 별도의 수단(도면 미도시)을 이용하여 통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의 폭을 감지하여 상기 강판의 용접부를 감지하는 용접부 감지수단이 강판의 중앙에 위치되므로 상기 강판의 폭 변화 또는 강판의 쏠림현상 발생시에도 용접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S)의 하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저면에는 지지부재(11)가 형성된 하부 지지바(10)와, 상기 지지부재(11)에 나사 결합된 스크류바(41)와, 상기 스크류바(41)를 회전시키는 모터(40)와, 상기 하부 지지바(10)의 양단부에 상향 돌출되게 설치된 한 쌍의 측면 지지바(30)와, 상기 강판(S)의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게 측면 지지바(30)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면에는 가이드 브래킷(21)이 형성된 상부 지지바(20)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21)에 끼워진 가이드봉(50)과, 상기 하부 지지바(10)와 상부 지지바(20)의 마주보는 내 측면 중앙에 설치된 용접부 감지수단(60)과, 상기 용접부 감지수단(60)의 양 측면에 위치되게 하부 지지바(10)와 상부 지지바(20)의 마주보는 내 측면에 설치된 폭 감지수단(7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접부 감지수단(60)은 상부 지지바(20) 또는 하부 지지바(10)중 어느 한 곳에 용접부 감지용 발광센서(61)가 설치되고 다른 한 곳에는 용접부 감지용 수광센서(62)가 설치되며;
    상기 폭 감지수단(70)은 상부 지지바(20) 또는 하부 지지바(10)중 어느 한 곳에 폭 감지용 발광센서(71)가 설치되고 다른 한 곳에는 폭 감지용 수광센서(7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60084622A 2006-09-04 2006-09-04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KR10080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622A KR100805723B1 (ko) 2006-09-04 2006-09-04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622A KR100805723B1 (ko) 2006-09-04 2006-09-04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723B1 true KR100805723B1 (ko) 2008-02-21

Family

ID=3938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622A KR100805723B1 (ko) 2006-09-04 2006-09-04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22A (ko) *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해동엔지니어링 연결부 식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732A (ja) * 1993-10-20 1995-05-09 Nkk Corp 金属帯の溶接部位置検出装置
KR20010009839A (ko) * 1999-07-14 2001-02-05 이구택 선행코일강판과 후행코일강판의 중심 정렬방법
KR20020054409A (ko) * 2000-12-28 2002-07-08 이구택 스트립 정보데이터 확인용 램프의 교체장치
KR20030053398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센터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732A (ja) * 1993-10-20 1995-05-09 Nkk Corp 金属帯の溶接部位置検出装置
KR20010009839A (ko) * 1999-07-14 2001-02-05 이구택 선행코일강판과 후행코일강판의 중심 정렬방법
KR20020054409A (ko) * 2000-12-28 2002-07-08 이구택 스트립 정보데이터 확인용 램프의 교체장치
KR20030053398A (ko) * 2001-12-22 2003-06-28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센터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522A (ko) * 2020-08-27 2022-03-08 주식회사 해동엔지니어링 연결부 식별 장치
KR102430052B1 (ko) * 2020-08-27 2022-08-12 주식회사 해동엔지니어링 연결부 식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723B1 (ko) 강판 용접부 감지장치
KR20150011186A (ko) 솔더링 와이어 공급 장치
JP5814648B2 (ja) 媒体搬送装置
JP6339970B2 (ja) 移動手摺り劣化診断装置
JP2009139635A5 (ko)
JP4981081B2 (ja) ベンディングロール装置
KR102200171B1 (ko) 산세 탱크 내 강판의 위치 감시 장치
JP5830272B2 (ja) 動力伝達用チェーンの弛み検知具及び該検知具を用いた動力伝達用チェーンのテンション調整方法
KR20000004779U (ko) 수직 소둔로 리턴덕트의 스트립변형 방지장치
KR101193665B1 (ko) 강판 속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연 속도 제어 장치
JP5375316B2 (ja) ワイヤ鋸装置およびワイヤ鋸装置でワークを切削する方法
JP2836510B2 (ja) ステープル打ち機の作動検出装置
KR20040027080A (ko) 수평식 루퍼의 스트립 센터링 장치
KR100768307B1 (ko) 도금강판의 구멍 표시용 스탬프 장치
KR100940690B1 (ko) 연주공정에서 센서를 이용한 티씨엠(tcm)의 슬라브절단 제어방법
KR100916289B1 (ko) 폴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용지 폴딩 장치 및 이의제어방법
KR20130053710A (ko) 코일로 권취하기 위한 스트립 권취장치 및 스트립 권취방법
KR100609319B1 (ko) 강판 선단부의 휨 교정장치
JP2013141712A (ja) マーキング作業用自走装置
KR102326248B1 (ko) 압연소재 가이드장치
JP2001004362A (ja) 金属板の形状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639610B2 (ja) ループ検出装置
KR20060021190A (ko) 권취기의 스트립 선단부 굽힘 유도장치
JP2011036900A (ja) スリットコイル巻取り機のストリップ検知センサー保持装置
JP2006198897A (ja) オーバコ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