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536Y1 -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536Y1
KR0128536Y1 KR2019950012532U KR19950012532U KR0128536Y1 KR 0128536 Y1 KR0128536 Y1 KR 0128536Y1 KR 2019950012532 U KR2019950012532 U KR 2019950012532U KR 19950012532 U KR19950012532 U KR 19950012532U KR 0128536 Y1 KR0128536 Y1 KR 01285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late
movable support
steel sheet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573U (ko
Inventor
지교환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2019950012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536Y1/ko
Publication of KR9700005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5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5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6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철소의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등에서 연속적인 코일강판의 이송을 위하여 선행코일강판과 후행코일강판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 그 용접부위의 용접결함유무를 자동으로 점검함으로서 점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이송강판(S)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는 테이블(12)상에 복수개의 ㄷ형단면 가이드레일(2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사각판재형상의 이동지지판(30)이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이동지지판(30)의 후방측 단부는 수평실린더(40)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지지판(30)의 상부면에는 적정길이를 가지는 환봉(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부에 적정무게를 가지는 해머(62)를 고정하고 타단부가 수평실린더(64)에 연결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그 길이방향에 적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센서(71)(72)(73)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71)(72)(7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감지판을 상기 이동지지판(30)의 적정위치에 설치하며, 상기 센서(71)(72)(73), 감지판, 및 전자밸브(44)(45)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코일강판의 생산라인을 도시한 개략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부 점검장치가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등에 장착된 상태를 보이는 작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가이드레일 30 : 이동지지판
32 : 바퀴 40 : 수평실린더
44,45 : 전자밸브 50 : 몸체
54 : 브라켓 56,60 : 환봉
64 : 수직실린더 71,72,73 : 센서
본 고안은 선행코일과 후행코일을 용접으로 서로 연결하고 그 용접부의 용접상태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의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등에서 연속적인 코일강판의 이송을 위하여 선행코일강판과 후행코일강판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 그 용접부위의 용접결함유무를 자동으로 점검함으로서 점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의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 등에 있어서는, 소재강판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행코일과 후행코일을 용접하여 연결하는바, 그러한 생산라인의 일부 구성이 제1도에 보인다.
코일상태로 감겨져 있는 강판(S)은 입측설비인 페이오프릴(Pay-off Reel)(110)에 의해서 설비내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그 후류측으로 설치되는 용접기(120)에서 선행코일의 후단부와 후행코일의 선단부가 용접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선행코일과 후행코일의 용접부는 그 상태가 양호해야 용접기(120)보다 후류측으로 위치하는 설비들을 거치면서 표면처리등이 용이하게 행하여지는 것이고, 그 상태가 불량하면 상기 용접부에서 파단이 발생하여 선행코일과 후행코일이 분리되며 따라서 이때에는 생산설비의 가동을 중지하여 재용접을 실시하는 등 강판(S)의 연속적인 이송이 중단되는 것이어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용접부점검은, 우선 상기 용접부위가 용접기(120)후류측의 적정장소(P)에 도달하면 강판(S)의 이송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그 위치에서 작업자가 육안(肉眼)으로 용접상태를 점검하여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 강판(S)의 이송을 재개하는 것으로서, 이는 육안에 의해 용접부의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정확성을 기하기가 곤란하여 용접부에서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파단이 자주 발생하였던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용접부에 작업자가 직접 접근하여 점검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내재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철소의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등에서 연속적인 코일강판의 이송을 위하여 선행코일강판과 후행코일강판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 그 용접부위의 용접결함유무를 자동으로 점검함으로서 점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고안은, 이송강판의 일측에 갖추어진 테이블상에 길이방향이 강판의 진행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ㄷ형단면 가이드레일은 개방부가 마주하여 일정간격 떨어져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개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바퀴는 사각판재형상의 이동지지판에 장착되어 그 이동지지판이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하며, 상기 이동지지판의 후방측 단부는 전자밸브를 갖춘 수평실린더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지지판의 상부면에는 강판에 근접한 측벽의 상하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한 중공의 몸체가 고정되며, 그 장공으로 끼워지는 환봉은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 외측 단부에 해머를 고정하고 몸체 내측단부는 전자밸브를 갖춘 수직실린더에 연결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그 길이방향의 3개소에 센서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감지판을 상기 이동지지판에 설치하며, 상기 센서, 감지판, 및 전자밸브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장치를 도시한 개략구성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부 점검장치가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 등에 장착된 상태를 보이는 작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용접부 접겁장치(1)는 용접기의 후류측에 설치된다.
이송강판(S)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게 그 상부면이 형성되는 테이블(12)이 준비되고, 상기 테이블(12)상으로는 ㄷ형단면의 가이드레일(20)이 복수개 고정되는데 이 가이드레일(20)은 개방측이 마주하도록, 그리고 그 길이방향이 강판(S)의 진행방향과는 대략 수직하도록 서로 일정간격 떨어져 평행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각각의 강판(S)측 단부의 내측으로는 ㄴ자형의 스토퍼(22)가 용접등으로 고정된다.
일정간격 떨어진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사이에는 대략의 사각판재형상의 이동지지판(30)이 위치하고, 상기 이동지지판(30)은 가이드레일(20)측 가장자리의 각각에 회전가능토록 된 복수개의 바퀴(32)를 장착하며, 상기 바퀴(32)는 가이드레일(20)의 내측에서 미끄러질수 있도록 그 크기등이 적절하게 마련된다.
상기 이동지지판(30)의 (강판(S)의 위치에 대한)후방측 단부는 수평실린더(40)의 로드(42)단부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실린더(40)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전자밸브(44)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설치되며, 여기에서 상기 실린더(40)의 로드(42)가 전후진하는 방향은 강판(S)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지지판(30)의 중앙 상부면에는 단면이 대략의 중공사각형으로 형성된 몸체(50)가 그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있도록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몸체(50)는 강판(S)에 근접한 측벽의 상하방향으로 장공(Slot Hole)(52)을 형성하고, 그 장공(52)으로 끼워지는 적정길이를 가지는 환봉(60)은 직경이 상기 장공(52)의 폭방향 길이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환봉(60)의 몸체(50)외측 단부에는 적정무게를 가지는 해머(Hammer)(62)가 고정된다.
상기 환봉(60)은, 몸체(50)내부에 적정간격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복수개의 지지브라켓(54)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환봉(56)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부재(58)의 외부면에 용접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환봉(60)의 몸체(50)내측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수직실린더(64)의 로드(66)단부에 힌지연결된다.
즉, 상기 수직실린더(64)의 로드(66)가 상승 또는 하강하며 몸체(50)내부에 설치된 환봉(56)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된 환봉(60)의 몸체(50)내측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따라서 상기 환봉(60)의 몸체(50)외측단부는 하강 또는 상승할 것이다.
상기 수직실린더(64)도 수평실린더와 마찬가지로 전자밸브(45)에 의해 그 상하작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그 길이방향에 적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센서(71)(72)(73)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71)(72)(7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감지판(미도시)을 상기 이동지지판(30)의 적정위치에 설치한다.
물론, 상기 센서(71)(72)(73), 감지판, 및 전자밸브(44)(45)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제어부의 통제를 받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용접부 점검장치(1)는 선행코일강판(S1)과 후행코일강판(S2)의 용접부 검사를 자동으로 행하게 되는데, 이는 제어부에 미리 입력되어진 공정순서를 따라 제어되어진다.
본 장치(1)는 이동지지판(30)의 감지판(미도시) 및 센서(71)(72)(73) 등을 적정하게 배치함으로서, 해머(62)가 수직실린더(64)에 의해 환봉(56)을 중심으로 회전하였을 때 그 해머(62)가 선행강판(S1)과 후행강판(S2)의 용접부에 대한 폭방향의 적정부위(예컨데, 양측단부(71')(73')와 중앙부(72'))에 타격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선행코일강판(S1)의 후단부와 후행코일강판(S2)의 전단부가 용접된후 이송이 계속되어 그 용접부위가 본 장치(1)의 전방측에 도달하면 상기 코일강판(S1)(S2)의 이송이 정지된다. 물론, 이러한 제어는 충분히 가능하며, 예컨데 강판에 용접을 행하는 용접기의 위치와 본 장치(1)의 위치 및 강판의 이송속도 등에 의해 상기 용접부가 본 장치(1)의 전방측에 도달하는 때를 산출할 수 있고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상기 강판의 이송을 적절한 순간에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강판(S1)(S2)의 용접부위가 본 장치(1)의 전방측에 도달하며, 전자밸브(44)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평실린더(40)가 전진함으로서 센서(73)의 위치에 있던 이동지지판(30)이 센서(71)의 위치로 전진하고, 계속하여 전자밸브(45)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직실린더(64)가 상승함으로서 해머(62)가 환봉(56)을 중심으로 회전하강하여 용접부위의 먼 단부위치(71')를 적절한 힘으로 타격하며, 따라서 그 위치(71')에서의 용접불량여부를 점검가능하다.
상기 위치(71')의 용접성을 점검한 후, 전자밸브(45)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직실린더(64)가 하강함으로서 해머(62)가 환봉(56)을 중심으로 회전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고, 계속하여 전자밸브(44)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평실린더(40)가 후진함으로서 센서(71)의 위치에 있던 이동지지판(30)이 (작동전 본래의 위치인)센서(73)의 위치로 후진함으로서 먼 단부위치의 용접성 점검이 완료된다.
계속하여, 전자밸브(44)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평실린더(40)가 전진함으로서 센서(73)의 위치에 있던 이동지지판(30)이 센서(72)의 위치로 전진하고, 그후 전자밸브(45)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직실린더(64)가 상승함으로서 해머(62)가 환봉(56)을 중심으로 회전하강하여 용접부위의 중앙위치(72')를 적절한 힘으로 타격하며, 따라서 그 위치(72')에서의 용접불량여부를 점검가능하다.
상기 위치(72')의 용접성을 점검한 후, 전자밸브(45)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직실린더(64)가 하강함으로서 해머(62)가 환봉(56)을 중심으로 회전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고, 계속하여 전자밸브(44)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평실린더(40)가 후진함으로서 센서(72)의 위치에 있던 이동지지판(30)이 (작동전 본래의 위치인)센서(73)의 위치로 후진함으로서 중앙위치의 용접성 점검이 완료된다.
계속하여, 전자밸브(45)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직실린더(64)가 상승함으로서 해머(62)가 환봉(56)을 중심으로 회전하강하여 용접부위의 가까운 단부위치(73')를 적절한 힘으로 타격하며, 따라서 그 위치(73)에서의 용접불량여부를 점검가능하다.
상기한 용접부위인 먼 단부위치(71'), 중앙위치(72') 및 가까운 단부위치(73') 각각의 용접성을 점검하여 그 이상이 발생하면 재용접 등의 조치를 취하고 정상으로 판정되면 코일강판(S1)(S2)의 이송을 재개하여 설비를 정상가동시킨다.
물론, 본 장치(1)는 수평실린더(40)가 후진하여 이동지지판(30)이 센서(73)의 위치에 있게하고, 수직실린더(64)가 하강하여 해머(62)가 상승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차기 용접성 점검을 대비한다.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의 코일강판의 용접성 점검장치에 따르면, 강판(S1)(S2)의 용접부위가 본 장치(1)의 전방측에 도달하면, 전자밸브(44)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평실린더(40)가 전진함으로서 센서(73)의 위치에 있던 이동지지판(30)이 센서(71)(72)(73)의 위치로 전진하고, 계속하여 전자밸브(45)에 전기적인 신호가 가해져 수직실린더(64)가 상승함으로서 해머(62)가 환봉(56)을 중심으로 회전하강하여 용접부위의 일정위치(71')(72')(73')를 적절한 힘으로 타격하며, 따라서 그 위치(71')에서의 용접불량여부를 점검가능하다. 즉, 제철소의 연속용융아연도금설비등에서 연속적인 코일강판의 이송을 위하여 선행코일강판과 후행코일강판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경우 그 용접부위의 용접결함유무를 자동으로 점검함으로서 점검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이송강판(S)의 일측에 갖추어진 테이블(12)상에 길이방향이 강판(S)의 진행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복수개의 ㄷ형단면 가이드레일(20)은 개방부가 마주하여 일정간격 떨어져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개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바퀴(32)는 사각판재형상의 이동지지판(30)에 장착되어 그 이동지지판(30)이 가이드레일(2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하며, 상기 이동지지판(30)의 후방측 단부는 전자밸브(44)를 갖춘 수평실린더(40)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지지판(30)의 상부면에는 강판(S)에 근접한 측벽의 상하방향으로 장공(Slot Hole)(52)을 형성한 중공의 몸체(50)가 고정되며, 그 장공(52)으로 끼워지는 환봉(60)은 몸체(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몸체(50)외측단부에 해머(62)를 고정하고 몸체(50)내측단부는 전자밸브(45)를 갖춘 수직실린더(64)에 연결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그 길이방향의 3개소에 센서(71)(72)(73)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센서(71)(72)(7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감지판을 상기 이동지지판(30)에 설치하며, 상기 센서(71)(72)(73), 감지판, 및 전자밸브(44)(45)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장치.
KR2019950012532U 1995-06-02 1995-06-02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KR01285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532U KR0128536Y1 (ko) 1995-06-02 1995-06-02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532U KR0128536Y1 (ko) 1995-06-02 1995-06-02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573U KR970000573U (ko) 1997-01-21
KR0128536Y1 true KR0128536Y1 (ko) 1998-11-02

Family

ID=1941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532U KR0128536Y1 (ko) 1995-06-02 1995-06-02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5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578A (ko) * 2000-06-09 2001-12-20 이구택 스트립의 접합부 자동 점검장치
KR100433762B1 (ko) * 1999-05-28 2004-06-04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구조체 제작방법 및 구조체 제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23A (ko) 2021-12-24 2023-07-03 박민수 장갑 내부습기 제거를 위한 실리카겔 고무장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62B1 (ko) * 1999-05-28 2004-06-04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구조체 제작방법 및 구조체 제작장치
KR20010112578A (ko) * 2000-06-09 2001-12-20 이구택 스트립의 접합부 자동 점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573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0752B (zh) 一种高速线材堆钢的检测系统及判断方法
KR0128536Y1 (ko)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CN211191412U (zh) 一种带钢离线检查站
JP5037202B2 (ja) 鋼板表裏面検定設備
JP3811102B2 (ja) 自走式電車線検査装置
CN107052103A (zh) 自动上料的卧式卷绕设备
KR101287883B1 (ko) 코일의 폭 센터 조정장치
JP7004605B2 (ja) 鋼帯の表裏面検査装置、鋼帯の圧延設備および鋼帯の表裏面検査方法
KR200203407Y1 (ko) 스트립의 폭에지 절단장치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JPH08141639A (ja) 帯鋼をストックするループカー設備のスイングロールの 異常検出装置及び方法
KR100794749B1 (ko) 스크랩 분류 에러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07672B1 (ko) 강판 초기부의 언코일 링 장치
KR100797814B1 (ko) 압연기의 화재 예방 기능을 가지는 흄제거장치
KR200179918Y1 (ko) 코일의 정위치 제어장치
CN109458918B (zh) 一种钢轨头尾翘曲量超标的自动检测装置
KR20040020664A (ko) 열연코일 내경 처짐 방지장치
KR101115822B1 (ko) 입측 루퍼 설비에서의 사고 방지 장치
CN108296308B (zh) 对中检测设备
KR19990023481U (ko) 스트립 처짐 방지기구
KR920000530Y1 (ko) 페이오프릴(Pay Off Reel)위치 감지장치
JP2000005917A (ja) コイルのエンドマーク低減装置及びエンドマーク低減方法
KR100270106B1 (ko) 용접기 휠 간격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778747B1 (ko) 연속소둔로의 진입 스트립 유도장치
KR20150072753A (ko) 코일 리프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