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492B1 - 코일 인입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인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492B1
KR101632492B1 KR1020140117464A KR20140117464A KR101632492B1 KR 101632492 B1 KR101632492 B1 KR 101632492B1 KR 1020140117464 A KR1020140117464 A KR 1020140117464A KR 20140117464 A KR20140117464 A KR 20140117464A KR 101632492 B1 KR101632492 B1 KR 10163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roll
moving
width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9171A (ko
Inventor
남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1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4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4Roll han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측 롤의 중심과 코일 내경의 중심을 일치하도록 정렬시키고, 입측 롤의 폭 센터와 코일의 폭 센터가 일치되도록 인입시킬 수 있는 코일 인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는 압연설비의 입측 롤에 코일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코일이 안착되어 이동되는 코일 카; 코일의 정렬 상태 및 코일의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및 사전에 상기 입측 롤의 직경과 폭 방향 길이 및 코일의 폭 방향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받은 코일의 정렬 상태 및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코일 카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코일의 안착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일 인입장치 {APPARATUS FOR INSERTING COIL}
본 발명은 코일 인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측 롤의 중심과 코일 내경의 중심을 일치하도록 정렬시키고, 입측 롤의 폭 센터와 코일의 폭 센터가 일치되도록 인입시킬 수 있는 코일 인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고 변형저항재를 냉간 압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젠지미어 압연기(Sendzimir mill)와 같은 가역식의 소(小)직경 압연기를 사용하여 리버스 압연이 실행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역식 압연설비를 보여주는 구성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가역식 압연설비는 입측 롤(10a), 제1 형상 롤(20a), 압연기(50), 제2 형상 롤(20b) 및 출측 릴(10b)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스트립(S)이 상기 입측 롤(10a) 및 출측 릴(10b)에서 교대로 권취 및 권출되면서 압연기(50)를 수회 통과하면서 반복 안연하여 스트립(S)을 소정의 두께로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역식 압연설비는 코일을 텐션 릴인 입측 릴에 인입하는 과정에서, 코일의 정확한 폭을 측정하여 입측 릴에 안착시켜야만 정상적인 압연 형상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스트립(S)의 꼬임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입측 롤(10a)에 코일(C)을 인입하는 과정은 작업자가 입측 롤(10a)에 새겨진 눈금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서 코일(C)의 폭 센터를 맞추면서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작업자에 따라 그 편차가 크고, 코일(C)의 정확한 센터를 확보하기 어렵고, 작업 중 코일(C)이 입측 롤(10a) 하부로 추락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정확히 센터가 맞춰지지 않은 상태로 코일(C)이 입측 롤(10a)에 인입된 경우, 스트립(S)이 쏠리거나, 소재의 단면부가 사이드 가이드 롤러 등에 접촉되어 찢어져 불량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코일 인입시 멘드릴의 기준 센터에 코일의 폭 센터를 맞추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는 "코일의 폭 센터 조정장치 (공개특허 10-2013-0040329)"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코일의 내경과 입측 릴의 중심을 일치시키지 못하여 코일이 입측 릴 하부로 추락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코일의 폭 센터를 일치시키기 위해, 측정바를 코일 단부에 접촉시키는 과정에서, 입측 릴에 인입된 코일에 비틀림을 유발하여 스트립(S)의 꼬임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코일의 온도에 의해 측정바가 변형되거나 길이의 변화가 발생된 경우, 정확한 코일의 폭방향 센터를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공개특허 10-2013-0040329 (2013. 04. 24.)
본 발명은 입측 롤에 코일 인입시, 코일의 내경과 입측 롤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코일을 정렬시켜 안전한 안착을 유도할 수 있는 코일 인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코일 인입시 코일의 폭 센터와 입측 롤의 폭 센터가 일치되도록, 코일을 인입시킬 수 있는 코일 인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는 압연설비의 입측 롤에 코일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코일이 안착되어 이동되는 코일 카; 코일의 정렬 상태 및 코일의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및 사전에 상기 입측 롤의 직경과 폭 방향 길이 및 코일의 폭 방향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받은 코일의 정렬 상태 및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코일 카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코일의 안착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입측 롤에 인입되는 코일의 내경 상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입측 롤의 전방에 배치된 제1 감지센서; 상기 입측 롤에 인입되는 코일의 내경 하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감지센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된 제2 감지센서; 및 코일의 이동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입측 롤에 인입되는 코일 전방에 배치된 거리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코일의 내경 상부 및 하부 위치가 사전에 입력된 상기 입측 롤의 상부 및 하부에 일치되도록, 상기 코일 카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코일의 폭 정보로부터 코일의 폭 센터를 설정하고, 상기 입측 롤에 인입되는 코일의 폭 센터와 상기 입측 롤의 폭 센터 및 상기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코일의 이동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코일의 폭 센터와 입측 롤의 폭 센터가 일치되도록, 상기 코일 카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인측 롤 전방에 배치된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감지센서는 상기 연장편에 상기 입측 롤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이격되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평면에는 코일의 두께 방향으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거리 감지센서를 코일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거리 감지 센서가 안착되고, 상기 레일과 휠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평면을 이동하는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대차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양 단부에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의 측면에는 위치 감지바가 부착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위치 감지바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감지바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측면에 배치된 제1, 2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위치센서는 상기 위치 감지바의 위치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이동대차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측 롤의 외경과 코일의 내경이 일치되도록 코일을 정렬하여 입측 롤에 인입시킴으로써, 코일의 추락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의 폭 센터와 입측 롤의 폭 센터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코일 인입작업이 가능하여, 코일의 비틀림 또는 스트립의 꼬임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생산되는 제품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역식 압연설비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코일 감지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전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후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입측 롤의 폭 센터와 코일의 폭 센터가 일치되어, 코일이 입측 롤에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거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는, 코일 카(100)와 코일(C)의 정렬 상태 및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400) 및 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코일(C)의 정렬 상태 및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코일(C)의 안착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코일 카(100)는 입측 롤(10a)의 전방으로 전, 후진 및 좌,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입측 롤(10a)에 인입되는 코일(C)이 안착된다.
이때, 감지부(400)는 코일(C)의 정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를 감지하거나, 코일(C)의 이동거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코일(C)의 전면 일지점(C3)과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부(400)가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를 감지하는 동시에, 코일(C)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제어부(500)에는 사전에 입측 롤(10a)의 직경과 폭 방향 길이 및 코일(C)의 폭 방향 길이와 두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입력되고, 감지부(400)로부터 전송받은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 위치와 코일(C)의 이동거리 정보에 따라 코일(C)의 안착 위치를 제어한다.
감지부(400)는 상기 입측 롤(10a)의 전방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각각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410)와 제2 감지센서(420) 및 코일(C)의 전면 일지점(C3)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거리 감지센서(460)를 포함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의 코일 감지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지센서(410)와 제2 감지센서(420)는 입측 롤(10a)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입측 롤(10a)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가 각각 입측 롤(10a)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제어부(500)는 제1, 2 감지센서(410, 420)로부터 수신받은 각각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가 사전에 입력된 입측 롤(10a) 및 코일(C)의 정보에 따라 산출된 설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코일 카(1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거리 감지센서(460)는 코일(C)의 전면 일지점(C3)과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하며, 제어부(500)는 사전에 설정된 코일(C) 및 입측 롤(10a)의 폭 길이 정보로부터, 코일(C) 및 입측 롤(10a)의 폭 센터를 설정하고, 코일(C)의 폭 센터가 입측 롤(10a)의 폭 센터에 일치되도록 코일 카(1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코일 카(10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킨다.
이때, 제1, 2 감지센서(410, 420) 및 거리 감지센서(460)는 입측 롤(10a) 전방에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제1, 2 감지센서(410, 420)는 각각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의 위치뿐만 아니라, 그 간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제1, 2 감지센서(410, 420) 및 거리 감지센서(460)로부터 수신된 간격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사전에 설정된 기준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코일(C)이 입측 롤(10a)에 비틀어져 인입되었다고 판단하고 코일 카(1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코일(C)의 비틀림을 보정할 수 있다.
이에, 압연시 코일(C) 측면에 찢김 등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전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후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편(240)으로 구성되어, 입측 롤(10a)의 전방에 코일(C)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된 베이스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센서(410) 및 제2 감지센서(420)는 각각 입측 롤(10a)의 상부 및 하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연장편(240)에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는 거리 감지센서(460)를 코일(C)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거리 감지센서(460)가 고정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평면상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스트립(S)의 두께 및 권취 정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갖는 코일(C)이 입측 롤(10a)에 인입될 수 있어, 인입되는 각각의 코일(C) 두께에 대응하도록 거리 감지센서(46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동부(300)는 거리 감지센서(460)가 안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10) 상부에 설치된 레일(23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휠(321)을 매개로 레일(230)에 설치된 이동대차(320) 및 레일(230)을 따라 이동대차(320)를 입측 롤(10a)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310)를 포함한다.
이때, 이동대차(3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동대차(320)의 일 측면에는 위치 감지바(430)가 설치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00)는 상기 위치 감지바(430)의 이동 경로 즉, 레일(230)의 길이방향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측면에 배치된 제1, 2 위치센서(440, 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2 위치센서(440, 450)는 실시간으로 이동대차(3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2 위치센서(440, 450)를 구비하여 이동대차(320)의 전진 후진만을 감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동대차(320)의 위치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위치센서를 설치하여 다양한 코일(C)의 두께에 따라 거리 감지센서(460)의 위치를 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00)는 레일(23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대차(320)가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평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10) 양 단부에 결합되는 스토퍼(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입측 롤의 폭 센터와 코일의 폭 센터가 일치되어, 코일이 입측 롤에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을 입측 롤에 인입시 입측 롤의 폭 센터와 코일의 폭 센터가 일치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인입장치는 코일(C)이 안착된 코일 카(100)가 입측 롤(10a) 전방에 위치되면, 제1 감지센서(410)는 코일(C)의 내경 상부(C1)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하고, 제2 감지센서(420)는 코일(C)의 내경 하부(C2)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제어부(500)는 제1 감지센서(410) 및 제2 감지센서(4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받은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 위치가 각각 사전에 설정된 입측 롤(10a)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코일 카(1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한다.
코일 카(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가 각각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제어부(500)는 사전에 입력된 코일(C)의 두께 정보에 따라 거리 감지센서(460)가 코일(C)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실린더(310)에 작동신호를 전송한다.
실린더(310)가 신장되어 거리 감지센서(460)가 코일(C) 전방에 위치되면, 거리 감지센서(460)는 코일(C)의 전면 일지점(C3)과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하며 이와 동시에, 제1, 2 감지센서(410, 420)는 각각 코일(C)의 내경 상부(C1) 및 내경 하부(C2)와의 간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제어부(500)는 제1, 2 감지센서(410, 420) 및 거리 감지센서(460)로부터 수신된 간격이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코일(C)이 입측 롤(10a)에 인입될 수 있도록 코일 카(1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코일 카(100)를 전진시킨다.
이때, 제어부(500)는 사전에 입력된 코일(C)의 폭 정보로부터 코일(C)의 폭 센터를 설정하고, 입측 롤(10a)의 폭 센터와 코일(C)의 폭 센터 및 거리 감지센서(460)로부터 수신된 코일(C)의 이동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코일(C)의 폭 센터와 입측 롤(10a)의 폭 센터가 일치되도록 코일 카(100)를 전진시킨다.
코일 카(100)가 전진하여, 코일(C)의 폭 센터와 입측 롤(10a)의 폭 센터가 일치되도록 코일(C)이 입측 롤(10a)에 인입되면 제어부(500)는 코일 카(1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코일 카(100)를 정지시키고 작업이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 코일 S: 스트립
100: 코일 카 200: 베이스부
210: 베이스 플레이트 220: 스토퍼
230: 레일 240: 연장편
300: 이동부 310: 실린더
320: 이동대차 321: 휠
400: 감지부 410: 제1 감지센서
420: 제2 감지센서 430: 위치 감지바
440: 제1 위치센서 450: 제2 위치센서
460: 거리 감지센서 500: 제어부

Claims (8)

  1. 압연설비의 입측 롤에 코일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코일이 안착되어 이동되는 코일 카;
    상기 입측 롤에 인입되는 코일의 내경 상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입측 롤의 전방에 배치된 제1 감지센서와 상기 입측 롤에 인입되는 코일의 내경 하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감지센서 하방으로 이격 배치된 제2 감지센서 및 코일의 이동거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입측 롤에 인입되는 코일 전방에 배치된 거리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코일의 정렬 상태 및 코일의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감지부;
    사전에 상기 입측 롤의 직경과 폭 방향 길이 및 코일의 폭 방향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받은 코일의 정렬 상태 및 이동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상기 코일 카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코일의 안착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평면에 코일의 두께 방향으로 레일이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측 롤 전방에 배치된 베이스부; 및
    상기 거리 감지센서를 코일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거리 감지센서가 안착되고, 상기 레일과 휠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평면을 이동하는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대차를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코일 인입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2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코일의 내경 상부 및 하부 위치가 사전에 입력된 상기 입측 롤의 상부 및 하부에 일치되도록, 상기 코일 카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코일의 폭 정보로부터 코일의 폭 센터를 설정하고, 상기 입측 롤에 인입되는 코일의 폭 센터와 상기 입측 롤의 폭 센터 및 상기 거리 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코일의 이동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코일의 폭 센터와 입측 롤의 폭 센터가 일치되도록, 상기 코일 카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입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이동대차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양 단부에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코일 인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의 측면에는 위치 감지바가 부착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위치 감지바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 감지바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측면에 배치된 제1, 2 위치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2 위치센서는 상기 위치 감지바의 위치를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이동대차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인입장치.
KR1020140117464A 2014-09-04 2014-09-04 코일 인입장치 KR10163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464A KR101632492B1 (ko) 2014-09-04 2014-09-04 코일 인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464A KR101632492B1 (ko) 2014-09-04 2014-09-04 코일 인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171A KR20160029171A (ko) 2016-03-15
KR101632492B1 true KR101632492B1 (ko) 2016-06-22

Family

ID=5554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464A KR101632492B1 (ko) 2014-09-04 2014-09-04 코일 인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49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045B1 (ko) * 2001-08-01 2005-10-1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외경 측정장치 및 코일외경 측정값에 의한 코일장입방법
KR101287883B1 (ko) 2011-10-14 2013-07-1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의 폭 센터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171A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86501U (zh) 一种预防翻卷及确保钢卷上卷对中效果的装置
JP5991071B2 (ja) コイルの幅方向調芯方法および装置
KR101632492B1 (ko) 코일 인입장치
KR101869440B1 (ko) 코일 슬리브 위치 조절장치
US8391586B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inspecting a coiled strip
KR101287883B1 (ko) 코일의 폭 센터 조정장치
KR101942931B1 (ko) 스트립 교정 시스템 및 그 방법
EP3233317B1 (en) A roller guide and a method for guiding stock
KR20130027065A (ko) 권취코일의 밸런스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990993B1 (ko) 미압연 강판 재활용 장치
KR102095400B1 (ko) 스트리퍼 카 및 이를 이용하는 코일 전도 방지 시스템
CN109848805B (zh) 金属带的连续磨削方法以及金属带的连续磨削生产线
KR101786255B1 (ko) 열연다운코일러 및 그 제어 방법
KR0128536Y1 (ko) 코일강판의 용접부 점검 장치
US5205702A (en) Device for introducing rolled-steel sections into a cold shear
KR101145532B1 (ko) 통판 스트립의 반곡 교정장치
KR100711409B1 (ko) 열연 스트립의 권취속도 제어장치
KR101277579B1 (ko) 압연제품용 권취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107208A (ko) 권취기에서의 단차 회피 제어방법
KR20040019203A (ko) 냉연코일 외권부 결속상태 검사장치
KR100904127B1 (ko) 코일걸림으로 인한 열연공정 중단 시 코일제거 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코일절단장치
KR100520045B1 (ko) 코일외경 측정장치 및 코일외경 측정값에 의한 코일장입방법
KR20140080373A (ko) 스테인리스 코일에 삽입되는 간지 수직 이동 시스템
KR101481601B1 (ko) 스트립 사행 제어방법
CN218016202U (zh) 一种锚索自动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