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7422U -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7422U
KR19980017422U KR2019960030795U KR19960030795U KR19980017422U KR 19980017422 U KR19980017422 U KR 19980017422U KR 2019960030795 U KR2019960030795 U KR 2019960030795U KR 19960030795 U KR19960030795 U KR 19960030795U KR 19980017422 U KR19980017422 U KR 199800174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upport
welded
tow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태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0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7422U/ko
Publication of KR19980017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42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ounted directly to the chassis of the t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견인고리 결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의 양편에는 제 1,2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2굴곡부의 내면과 외면에는 중앙부위를 소정각도로 굴곡시킨 지지대가 부착.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의 저면에는 견인고리의 제 1,2고정부가 수평상태로 용접.고정된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저면에는 견인고리의 제 1고정부가 수평상태로 용접.고정되어 있고, 이 제 1고정부와 대응하는 제 2고정부는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용접.고정된 구조로서, 상기 견인고리의 굴곡.변형 또는 용접부위의 균열을 입설.고정된 제 2고정부재가 전체적인 하중의 지지로 인하여 변형을 방지하게 됨으로서, 견인고리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따라 차량을 견고하게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견인에 따른 견인고리의 결착구조를 변경.개선하여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서, 차량의 하중에 따른 견인고리의 용접부위 또는 취약부위에서의 균열 혹은 변형을 방지하고 아울러, 차량을 견고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0)의 전면에는 크로스멤버(12)가 장착되어 있고, 이 크로스멤버(12)의 하부에는 브라켓(14)과 지지대(16)를 매개로하여 견인고리(18)가 장착.고정되어 있는 바, 먼저 이 크로스멤버(12)의 하부 중앙에는 양편에 제 1,2굴곡부(20,22)를 구비한 브라켓(14)이 부착.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2굴곡부(20,22)의 내면과 외면에는 일정부위를 굴곡.형성시킨 지지대(16)가 양편의 대응면에 밀착된 상태에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 지지대(16)의 저면에는 견인고리(18)의 제 1,2고정부(24,26)가 수평인 상태에서 용접.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견인고리의 결착구조는 먼저, 자동차(10)의 고장 발생으로 견인시, 먼저 견인차(도시되지 않았음)의 걸림체인을 상기 견인고리(18)에 결착 시킨 다음, 상향으로 들어올린 후, 견인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견인고리 결착구조는 먼저, 견인차의 걸림체인을 상기 견인고리(18)에 결착 후에 상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상기 지지대(16) 저면에 용접된 견인고리(18)의 제 1,2고정부(24,26)는 수평인 상태로 용접되어 있어으므로 해서 견인고리(18)의 제 1,2고정부(24,26)가 차량의 하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굴곡.변형 혹은 비틀림이 발생하게 됨으로서, 결국 자동차의 품위를 격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견인에 따른 견인고리의 결착구조를 변경.개선하여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서, 차량의 하중에 따른 견인고리의 균열 혹은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브라켓의 양편에는 제 1,2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2굴곡부의 내면과 외면에는 중앙부위를 소정각도로 굴곡시킨 지지대가 부착.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의 저면에는 견인고리의 제 1,2고정부가 수평상태로 용접.고정된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저면에는 견인고리의 제 1고정부가 수평상태로 용접.고정되어 있고, 이 제 1고정부와 대응하는 제 2고정부는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용접.고정된 구조로서, 상기 견인고리의 굴곡.변형 또는 용접부위의 균열을 입설.고정된 제 2고정부재가 전체적인 하중의 지지로 인하여 변형을 방지하게 됨으로서, 견인고리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이에따라 차량을 견고하게 견인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견인고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견인고리 결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견인고리 결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자동차12 : 크로스멤버
14 : 브라켓16 : 지지대
18,30 : 견인고리20 : 제 1굴곡부
22 : 제 2굴곡부32 : 제 1고정부
34 : 제 2고정부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를 나타낸 도면인 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자동차(10) 크로스멤버(12)의 하부 중앙에는 양편에 제 1,2굴곡부(24,26)를 구비한 브라켓(14)이 부착.연결되어 있는데, 이 제 1,2굴곡부(24,26)의 내면과 외면에는 일정부위를 굴곡.형성시킨 지지대(16)가 양편의 대응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대(16)의 저면에는 견인고리(30)의 제 1고정부(32)가 수평인 상태에서 용접.고정되어 있으며, 이 제 1고정부((32)와 대응하는 제 2고정부(34)는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에서 지지대(16)의 일면에 용접.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자동차(10)의 고장 발생으로 견인시, 먼저 견인차의 걸림체인을 상기 견인고리(40)에 결착시킨 다음, 상향으로 들어올린 후, 견인을 하게 되는데, 이때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고리(30)의 제 1고정부(32)는 수평상태로 용접.고정되어 있고, 제 2고정부(34)는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로 용접.고정되어 있으므로 해서 자동차(10)의 하중이 작용시, 상기 견인고리의 제 1고정부(32)의 하향굴곡.변형 또는 용접부위의 균열을 제 2고정부(34)가 전체적인 하중의 지지로 인하여 변형을 방지하게 됨으로서, 결국 견인고리(30)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차량을 견인시, 하중에 의한 견인고리(30)의 비틀림 혹은 변형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차량을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견인고리의 하향굴곡.변형 또는 용접부위의 균열을 제 2고정부재가 전체적인 하중의 지지로 인하여 변형을 방지함으로 해서 견인고리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차량을 견인시, 견고하게 견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라켓의 양편에는 제 1,2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2굴곡부의 내면과 외면에는 중앙부위를 소정각도로 굴곡시킨 지지대가 부착.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의 저면에는 견인고리의 제 1,2고정부가 수평상태로 용접.고정된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저면에는 견인고리의 제 1고정부가 수평상태로 용접.고정되어 있고, 이 제 1고정부와 대응하는 제 2고정부는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용접.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KR2019960030795U 1996-09-23 1996-09-23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KR199800174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795U KR19980017422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795U KR19980017422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422U true KR19980017422U (ko) 1998-07-06

Family

ID=5397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795U KR19980017422U (ko) 1996-09-23 1996-09-23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74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68B1 (ko) 2023-08-14 2024-01-25 권익형 차량 사이드멤버 하향 견인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968B1 (ko) 2023-08-14 2024-01-25 권익형 차량 사이드멤버 하향 견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7422U (ko)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KR19980017390U (ko)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JP3865730B2 (ja) 車両用前方シッピング・フック・アセンブリー
KR19980017423U (ko)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KR19980017391U (ko) 자동차용 견인고리의 결착구조
JP4905102B2 (ja) 車両のスペアタイヤハンガー
JP7219421B2 (ja) キャブサスペンション支持構造
JPS6320573Y2 (ko)
KR200146381Y1 (ko) 트럭의 시트 벨트 연결부 구조
KR200236356Y1 (ko) 베어 섀시형 차량의 변형 방지 구조
KR100203513B1 (ko) 자동차의 리어 서스펜션장치
JPH0237666Y2 (ko)
KR0110955Y1 (ko) 한쌍의 판상으로된 자동차용 견인구
KR19980055052U (ko) 자동차 리어 토윙 후크(rear towing hook)의 지지구조
KR19980012917U (ko) 자동차의 견인용 걸이 설치구조
KR0131644Y1 (ko) 자동차의 토잉 훅
JP2022043807A (ja) 車両
JPH1016823A (ja) サイドスカートの取付構造
KR0137761Y1 (ko) 자동차 섀시 보강용 브라켓의 체결구조
KR20010005056A (ko) 자동차의 언더 바디 보강장치
KR200245208Y1 (ko) 자동차용리어패키지트레이컴플리트패널구조
KR100333882B1 (ko) 자동차용 프레임용 프레임의 보강을 위한 보강구조
JP2001146108A (ja) 自動車用牽引フック
KR19990026985U (ko) 선적시 차량 고정용 견인고리의 마운팅 구조
KR19980025681U (ko) 자동차의 토잉 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