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076A -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076A
KR19980016076A KR1019960035591A KR19960035591A KR19980016076A KR 19980016076 A KR19980016076 A KR 19980016076A KR 1019960035591 A KR1019960035591 A KR 1019960035591A KR 19960035591 A KR19960035591 A KR 19960035591A KR 19980016076 A KR19980016076 A KR 19980016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data
time
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1942B1 (ko
Inventor
김덕우
Original Assignee
김덕우
주식회사 우리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우, 주식회사 우리기술 filed Critical 김덕우
Priority to KR101996003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942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2Arrangements for calling a subscriber at a specific time, e.g. morning call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72Schedules, e.g. personal calen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통신 단말장치를 가진 이용자가 기억하여야 할 내용이 발생할 때, 그 내용 및 일정을 음성으로 녹음하거나 또는 데이타로 기록함과 동시에 통지받아야 할 시각과 방법을 기록해 두면, 각 개인별로 일정의 내용을 통보하여야 할 시각이 경과하는 지를 검색하고 통지하여야 할 시각이 되면 기록된 통지방법에 따라 개인단말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통신망과 개인단말장치(또는 개인의 식별코드)를 특정하여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이 되면 이용자가 음성 또는 메일로 메모해 둔 일정에 관한 데이타를 전송하여 자신의 일정을 재확인하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개인통신 단말장치를 이용해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장치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일정 관리장치는 중앙처리장치 ; 전화망접속부 ; 데이타망접속부 ; 디지탈·아날로그 신호변환부 ; 음성변환부 ; DTMF톤 처리부 ; 음성인식부 ;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 현재 날짜와 시각을 유지하는 타이머 ; 및 상기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용자가 현재 시각 및 위치에 상관없이 개인일정을 손쉽게 입력하고 원하는 날짜 및 시각에 통지받게 함으로써 개인의 일정을 놓치지 않고 수행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 및 관리 방법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통신 단말장치를 가진 이용자가 기억하여야 할 내용이 발생할 때, 그 내용 및 일정을 음성으로 녹음하거나 데이타로 기록함과 동시에 통지받아야 할 시각과 방법을 기록해 두면, 각 개인별로 일정을 통보하여야 할 시각이 경과하는 지를 검색하고 통지하여야 할 시각이 되면 기록된 통지방법에 따라 개인단말장치에 접근할 수 있는 통신망과 개인단말장치(또는 개인의 식별코드)를 특정하여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이 되면 이용자가 음성 또는 문자데이타로 기록해 둔 일정에 관한 데이타를 전송하여 자신의 일정을 재확인하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개인통신 단말장치를 이용해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장치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이용자가 전화등을 이용해 필요한 사항을 직접 음성으로 메모하거나 또는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할 내용이 있는 타인이 전달할 사항등을 음성으로 녹음해 두면, 상기 이용자가 전화 등을 통해 서비스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녹음된 메세지들을 일련의 동작과정을 거쳐 그 내용을 통신망을 통해 음성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사서함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음성 사서함 서비스에서는 서비스 이용자가 단순히 필요한 사항을 음성으로 메모해 두는 데 지나지 않아, 이용자가 의도적으로 기억하여 메모해 둔 내용을 단말기를 통해 접속·확인하는 경우에만 자신의 일정을 확인할 수 있을 뿐, 기억을 하지 못하는 경우이거나 바쁜 일로 다른 일에 집중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일정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서함 서비스를 이용하여 일정관리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통신망을 통하지 않는 개인의 일정관리장치로서는 전자수첩과 같은 장치가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음성입력이 되지 않아 일일이 자판을 통해 입력하거나 전자필기도구를 이용해 입력시킬 수밖에 없어 자신의 일정을 기억시키는 것이 힘들뿐만 아니라 설령 음성입력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전자수첩 등이 갖는 기억용량의 한계로 인해 극히 짧은 내용의 음성메모만이 가능하여 전자수첩 등을 이용해 음성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일정관리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서 창작된 것으로서, 복잡하고 다양한 개인의 일정을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해 손쉽게 기록하도록 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시각에 그 내용을 통지함으로써 편리하고 완벽하게 일정관리를 할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통신단말장치의 키(Key)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대신 보다 많은 부분을 음성으로 입력하게 함으로써 내용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개인일정 등을 기록한 비음성 데이타인 문서 등을 송신하여 저장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시각에 문서 또는 음성으로 통지받을 수 있도록 한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하고 다양한 개인의 일정을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해 손쉽게 기록하도록 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시각에 그 내용을 통지함으로써 편리하고 완벽하게 일정관리를 할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통신단말장치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대신 보다 많은 부분을 음성으로 입력하게 함으로써 내용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개인일정 등을 기록한 비음성 데이타인 데이타파일, 문서 등을 이용해 손쉽게 개인일정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데이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데이타통신망과 전화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능한 경우에는 개인일정을 수신받는 이용자를 확인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보다 더 확실하고 분명하게, 다양한 방식에 따라 일정내용을 통지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사서함 이용자가 다양한 통신망을 통해 본 장치에 접속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일정 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괄적인 구성블럭도이고,
도3은 개인 일정관리 서비스중 이용자가 자신의 일정데이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정관리방법(등록, 삭제, 확인)의 개괄적인 제어흐름도이고,
도4는 개인 일정관리 서비스중 이용자의 일정을 검색하고 통지하기 위한 일정관리방법의 개괄적인 제어흐름도이고,
도5는 개인일정의 2회 이상의 통지를 위한 다양한 지정통지 방식을 수용하는 내부 관리데이타의 유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해단 부호의 설명*
M : 모뎀PC1, PC2… : 개인용 컴퓨터
10 : 휴대폰201-20N: 무선 교환국
2011, 2012, …, -20N1, 20N2… : 기지국40 : 개인일정 관리장치
100 : 이동통신망
200 : 전화통신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300 : 데이타통신망(PSDN : Public Switched Data Network)
310 : 데이타망 접속장치(PAD : Packet Assemble-Disassembler)
320 : 망간 접속장치(G/A : Gateway)
330 : 근거리 지역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400 : 전화망 접속부410 : 중앙처리장치
420 : 음성변환부430 : DTMF톤 처리부
440 : 보조기억장치450 : 주기억장치
460 : 디지탈·아날로그 신호 변환부461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461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70 : 타이머
480 : 음석인식부490 : 데이타망 접속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는, 전화통신망과의 신호접속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화망접속 수단 ; 상기 전호망접속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과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으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 ; 이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DTMF 톤을 인식하고 발생시키기 위한 DTMF톤 처리수단 ;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이용자의 디지탈 음성데이타의 상기 DTMF톤 처리수단에 의해 인식된 이용자의 입력숫자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수단 ; 상기 보조기억수단보다 데이타 접근속도가 빠르며 검색을 위해 필요한 이용자의 입력 내용들을 상기 보조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주기억수단 ; 현재의 날짜 및 시각을 알려주는 날짜·시각 알림수단 ; 상기 주기억수단 및 보조기억수단에 저장된 비음성데이타를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 전송하는 음성변환수단 ; 및 상기 전화망접속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보조기억수단과 상기 DTMF톤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보조기억수단의 데이타를 주기억수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기억수단내의 데이타중 날짜와 시각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상기 날짜·시각 알림수단의 날짜 및 시각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일치하거나 또는 일정기간전인 경우에 주기억수단 또는 보조기억수단내의 이용자 일정데이타가 이용자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음성변환이 필요한 비음성데이타는 상기 음성변환수단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는, 이용자로부터 수신된 디지탈 변환된 음성데이타를 처리하여 필요한 날짜 및 시각정보를 추출하는 음성인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다른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는, 데이타통신망과의 신호접속과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타망 접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용자가 상기 데이타망 접속수단을 통해 기록해 둔 비음성데이타를 이용자가 지정해 둔 통지날짜·시각에 문서의 형태로 상기 데이타통신망을 통해 또는 상기 음성변환수단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망접속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데 또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이용자가 통지받을 내용, 날짜·시각 및 방법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내용, 날짜·시각 및 방법에 관한 데이타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단계; 이용자가 통지받을 날짜·시각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이용자가 통지받을 날짜·시각인 경우에는 통지받을 내용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특징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중 상기 내용등을 입력하는 단계는, 통지받을 내용 및 날짜·시각은 음성으로 입력하고 통지받을 방법은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타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음성데이타를 처리하여 날짜·시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 상기 추출된 날짜·시각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정보를 음성으로 알리는 단계; 이용자가 수신된 날짜·시각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날짜·시각정보를 통신받을 내용 및 방법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다른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중 상기 내용등을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내용등의 데이타가 모두 포함된 파일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 또 다른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중 상기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는, 전송할 방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방법에 따라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의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및 내용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용통지 단계는, 문자단말인 경우에는 메일의 형태로, 무선호출기인 경우에는 음성사서함에 음성으로, 그리고 휴대폰인 경우에는 지정된 이용자인지를 확인하고 지정수신인으로 확인되는 이용자인 경우에만 직접 음성으로 전송하는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은, 이용자가 다양한 재통지(2회이상의 통지)방식중 자신에게 통지될 방식을 선택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데이타를 입력하는 단계;와 개인 일정의 통지후에도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지횟수 관리 데이타를 갱신하여 재통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한 개인일정 관리장치에서는, 먼저 이용자가 통신단말장치(휴대폰, 모뎀을 장착한 개인용 컴퓨터 등)를 이용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장치의 전화망 접속수단에 접속한다. 주제어수단은 이용자의 접속신호를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으로부터 인식하면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안내메세지를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하여 이용자가 이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안내메세지가 음성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을 경유하여 저장된 디지탈 음성 안내메세지가 아날로그의 음성으로 출력되게 한다.
이용자가 안내되는 내용에 따라 자신의 일정내용과 통보시간 그리고 통보방법 등을 입력하게 되는 데, 통보방법은 메뉴선택에 의해 그리고 자신의 일정내용은 음성으로, 통보시간은 음성 또는 단말장치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게 된다. 이용자가 입력하는 음성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되어 상기 보조기억수단에 저장된다. 이 때, 이용자가 자신에게 통보될 날짜·시각을 음성으로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지탈 변환된 음성에 대해 상기 음성인식수단이 신호처리하여 필요한 날짜·시각정보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정보는 다시 상기 음성변환수단에 의해 음성데이타로 변환된 후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되어 이용자에게 추출된 날짜·시각정보의 정확성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만약, 추출된 날짜·시각데이타가 정확한 것으로 확인되면 주제어 수단은 입력된 통지내용, 통지 날짜·시각 및 통지방법을 일련의 형태로 상기 보조기억수단에 저장하고 날짜·시각정보가 정확한 것이 아니면 상기의 입력, 추축 그리고 확인과정을 반복하여 정확한 날짜·시각정보를 추출하여 그 내용들을 상기 보조기억수단에 저장한다.
상기의 입력·저장과정외에도 문자단말장치를 가진 이용자는 상기 데이타망접속수단을 통해 통지내용, 통지 날짜·시각 및 통지방법을 모두 기록한 문서의 형태로 한번에 필요한 데이타들을 입력·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제어수단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입력되어 저장된 보조기억수단내의 데이타들을 주기억수단으로 이동시키거나 아니면 직접 보조기억수단에 접근하여 데이타들을 검색하는 과정을 항상 수행하게 된다. 상기 검색과정에서 상기 날짜·시각 알림수단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통지할 날짜·시각의 경과여부 또는 일정시간전의 여부를 확인하여 통지하여야 할 경우에는 이용자가 기 압력시켜 놓은 통지방법에 따라 통신망과 단말기를 특정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통지를 다양한 방식에 따라 수행함으로서 이용자는 자신의 개인일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 및 그 관리방법을 구현한 개인일정 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이용자가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본 장치에 접속하는 경로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특정기지국(2011)내에서 휴대폰(10)을 이용하여 교환국(201)에 접속하고 상기 교환국(201)은 이용자가 입력하는 호요구 번호를 해석하여 착신국(20N)으로 호개설 신호를 전송하고 착신국(20N)은 본 장치(40)와의 호확인작업을 거친 후 이용자가 요구한 호 개설이 이루어지게 된다.
개인용 컴퓨터(PC1, PC2,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화통신망(PSTN : 200)을 통해 데이타망 접속장치(PAD : 310)에 접속한 다음 데이타통신망(PSDN : 300)을 경유해 본 장치에 접속하거나 직접 전화통신망(200)을 통해 접속할 수도 있으며, 근거리 지역통신망(LAN : 330)을 통해 망간 접속장치(G/A : 320)와 데이타통신망(300)을 통해 본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본 장치와의 호 개설이 이루어지면 이용자는 본 장치를 이용해 자신의 일정을 기록하고 통보받을 수 있는 개인일정 관리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일정 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개괄적인 구성 블럭도로서, 이동통신망(100) 및 전화통신망(200)과의 신호접속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화망접속부(400) ; 상기 전화망접속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61)와 상기 전화망접속부(400)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62)로 구성되는 신호변환부(460) ; 수신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톤을 인식하고 발생시키기 위한 DTMP톤 처리부(430); 이용자의 일정데이타 및 안내메세지 등을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440); 빠른 검색을 위해 필요한 데이타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주기억장치(450); 현재의 날짜 및 시각을 유지하고 알려주는 타이머(470); 비음성데이타를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변환부(420); 디지탈 음성데이타를 처리하여 필요한 날짜·시각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음성인식부(480); 데이타통신망(300)과의 신호접속과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타망 접속부(490); 및 장치내의 상기의 신호흐름 및 데이타흐름을 전체적으로 제어하여 일정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게 하는 중앙처리장치(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중앙처리장치(410)가 일정관리 서비스중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해 상기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괄적인 제어흐름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도3의 제어흐름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동작과 개인일정 관리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는 통신단말장치(휴대폰, 전화기, 데이타단말기 등)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휴대폰인 경우에는 이동통신망(100), 전화기인 경우에는 전화통신망(200), 데이타단말기인 경우에는 데이타통신망(300)) 상기 개인일정 관리장치(40)에 접속을 요구한다. 음성단말장치(휴대폰 또는 전화기)로부터의 접속요구이면 전화망접속부(400)가 접속처리하고, 데이타단말장치(PC 등)인 경우에는 데이타망 접속부(490)가 접속처리하게 된다. 상기의 전화망접속부(400)와 데이타망접속부(499)는 모두 교환기의 T1/E1 접속 규격을 만족하는 접속장치이거나 전용회선 또는 교환회선의 단말장치(모뎀 또는 DSU : Digital Service Unit)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용자로부터 접속요구가 있으면(S11) 중앙처리장치(410)는 접속대기상태(S10)에서 단말장치를 확인하게 되고(S12) 그에 따라 전체서비스를 안내한 후(S13) 이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구를 대기하는 서비스 대기상태(S14)로 진행한다. 상기의 단말장치 확인단계(S12)는 접속된 이용자를 확인(이용자의 ID와 패스워드 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안내과정(S13)은 확인된(S12) 단말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른 데, 음성단말장치의 경우에는 음성으로, 데이타 단말장치인 경우에는 문자로 안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안내과정은 음성안내를해야할 경우에는 보조기억장치(440)에 저장된 디지탈 음성안내 데이타를 중엉처리장치(410)가 판독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02)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한 후 전화망 접속구(400)를 통해 이용자에게 송신하고, 문자안내를 해야할 경우에는 보조기억장치(440)에서 문자안내 데이타를 판독하여 데이타망 접속부(490)를 통해 또는 아날로그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전화망 접속부(400)를 통해 이용자에게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방법은 이 후에 설명되는 안내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의 서비스 대기상태(S14)에서 이용자가 일정추가를 요구하면(S40) 중앙처리장치(410)는 다시 일정을 입력하는 과정을 안내하고(S41) 이용자는 이에 따라 자신의 일정내용, 그 날짜와 시각(또는 통지받을 날짜와 시각) 그리고 통지받을 방법(통신망(전화망 또는 데이타망)과 단말장치의 식별코드 또는 이용자의 ID 등)을 입력한다(S42). 이때의 입력내용중 통지받을 날짜와 시각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설정할 수가 있으며, 통지횟수 또는 자유로이 이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5는 단일지정 단일통지방식과는 다른 다양한 이용자 통지방식을 위한 데이타의 형식으로서, 도 5의 (a)는 이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날짜·시각에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타의 형식이고, (b)는 일정간격으로 반복해서 이용자가 지정한 횟수만큼 통지하기 위한 데이타의 형식이며, (c)는 일정 요일(또는 매일)의 특정시각이 되면 계속적으로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타의 형식이다.
상기의 입력과정이 종료하면 중앙처리장치(400)는 입력된 내용과 접속시 확인된 이용자의 ID 등을 함께 보조기억장치(440)에 저장하게 된다(이용자 ID 등을 함께 기록하는 것은 일정의 확인 또는 삭제 등을 위해 필요하다).
상기의 입력과정은 접속된 단말장치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의 접속단말장치가 음성단말인 경우에는, 일정의 내용을 직접 음성으로 입력하게 하고 이 입력된 음성은 중앙처리장치(410)의 제어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61)에 의해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된 다음 보조기억장치(440)에 저장되고 일정의 날짜 및 시각은 음성단말장치의 키(Key)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고 직접 음성입력에 의해서 입력될 수도 있다. 키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61)에 의해 디지탈 키 데이타로 변환된 후 중앙처리장치(410)에 의해 DTMF톤 처리부(430)로 전송되고, 상기 DTMF톤 처리부(430)는 전송된 키데이타로부터 이용자가 입력한 숫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숫자데이타는 중앙처리장치(410)에 다시 전송됨으로써 중앙처리장치(410)는 이용자가 선택한 숫자 또는 기호에 따라 일정의 날짜 및 시각 그리고 입력의 종료 또는 취소 등을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추출된 날짜 및 시각도 상기의 일정내용과 함께 보조기억장치(440)에 저장된다(S43). 만약 음성에 의해 일정의 날짜 및 시각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461)에 의해 변환된 디지탈 음성데이타가 음성인식부(480)에 전달되고 상기 음성인식부(480)는 상기 음성데이타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음성에 해당하는 숫자를 추출하게 된다. 이 추출된 숫자데이타는 중앙처리장치(410)의 제어에 의해 음성변환부(420)에 전송되고 상기 음성변환부(420)는 수신된 숫자데이타를 다시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62)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시켜 이용자에게 입력처리된 날짜 및 시각 데이타의 정확성을 확인하게 한다. 만약, 입력·처리된 데이타가 올바른 것이 아니면 상기의 입력과정을 반복해서 입력하게 하고 상기 데이타가 정확한 것이라는 이용자의 확인이 있으면 이를 저장하게 된다(S43).
이용자가 자신에게 통지할 방법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단말장치의 키패드(Keypad)상이 키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이 역시 이용자의 음성으로 선택·입력할 수도 있다.
이용자의 접속단말장치가 데이타 단말기의 경우에는, 중앙처리장치(410)가 차례로 제시하는 단계적 메뉴상태에서 이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타를 해석하여 이용자가 입력하는 내용을 차례로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일정내용, 일정날짜 및 시각 그리고 통지방법을 특정 서식에 따라 모두 기록한 문서를 한번에 전송하도록 하고 중앙처리장치(410)는 이 문서를 수신하여 이용자의 일정내용, 일정의 날짜 및 시각 그리고 통지방법을 분리·해석하여 보조기억장치(4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대기상태(S14)에서 이용자가 기록된 일정의 확인을 요구하면(S50) 중앙처리장치(410)는 보조기억장치(440)를 판독하여 접속된 이용자의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을 검색하여(S51) 등록된 일정이 있는 가를 판단한 후(S52) 만약 등록된 일정이 있으면 그 일정에 대한 것을 차레로 안내하고(S53) 등록된 일정이 없으면 등록된 일정이 없다는 안내를 하고(S54) 다시 전체 서비스 내용을 안내한 후 이용자의 서비스 요구를 대기하는 서비스 대기상태가 된다(S14).
또한, 상기 서비스 대기상태(S14)에서 이용자가 기록된 일정의 삭제를 요구하면(S30) 일정확인의 단계(S50, S51, …)에서와 같이 접속된 이용자의 일정을 검색하여(S31) 등록된 일정이 있는 가를 판단한 후(S32) 등록된 일정이 없으면 등록된 일정이 없다는 안내를 한후에 다시 서비스 대기상태(S34)로 복귀한다. 만약, 등록된 일정이 있으면, 이용자에게 등록된 일정들과 이를 선택하는 방법을 안내하고(S33) 이용자의 선택을 대기하는 선택 대기상태가 된다(S34). 상기 선택 대기상태(S34)에서 이용자가 삭제할 일정을 선택하면(S36) 중앙처리장치(410)는 보조기억장치(440)에서 선택된 일정을 삭제하고(S37) 다시 선택대기상태(S34)로 복귀한다. 서비스 대기상태(S14)로 복귀하지 않고 선택 대기상태(S34)로 복귀하는 것은 이용자가 다수의 일정을 삭제할 경우를대비하여 사용상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중앙처리장치(410)는 삭제 후 남아있는 일정이 없는 경우에는 전체서비스를 안내하고(S13) 서비스 대기상태(S14)로 복귀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 대기상태(S34)에서 이용자가 필요한 일정을 삭제완료하였다고 입력하면(S35) 중앙처리장치(410)는 전체 서비스를 안내하고(S13) 서비스 대기상태(S14)로 진행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과정에서 이용자의 서비스 요구 대기상태(S14)와 일정삭제선택대기상태(S34)에서 이용자가 접속을 해제하면(S20, S38) 중앙처리장치(410)는 접속된 호(call)와 관련된 상태 등을 초기화 한 후에 접속대기상태(S10)로 복귀하여 해당호에 대한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이용자의 접속 및 서비스 요구에 따라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보조기억장치(440) 또는 보조기억장치(440)로부터 일정부분 판독하여 저장한 주기억장치(450)에 있는 이용자들의 일정데이타를 반복적으로 검색하여 필요한 경우 일정의 내용을 이용자에게 통지하는데 그 과정은 도 4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중앙처리장치(410)는 기억장치(440, 450)로부터 하나의 일정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S100) 검색 및 통지동작을 시작하여 상기 일정데이타내의 일정의 날짜·시각에 관한 데이타(통지시점을 지정한 데이타 포함)를구분판독한 후(S101) 상기 타이머(470)로부터 판독되는 현재의 날짜 및 시각과 비교하여 일정의 통지필요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때, 통지의 시점을 이용자가 입력한 시점 또는 일정시간 경과한 시점(이 경우는 본 장치와 방법에 따라 최초 통지를 위해서 이용자와의 접속을 시도하였으나 접속이 되지 않은 경우에 재접속 및 통지를 위한 것이다.)으로 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입력한 시점의 일정시간전, 다수의 통지지정 또는 이용자가 삭제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통지 하는 방법도 가능하며 이용자가 일정입력시에 이러한 다양한 지정통지방식을 미리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지정통지방식에 따른 상기의 통지필요 여부 판단단계(S102)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지정한 통지 날짜·시각에 관한 데이타를 판독하여 그것이 도5의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 지를 먼저 판단하고 그 유형에 따라 현재 날짜(S34)시각과 적절한 비교를 하게 된다. 먼저, 도 5의 (a)의 다 수의 통지시점을 직접 이용자가 지정하는 방식으로 이와 같은 통지지정방식의 경우에는 현재 날짜·시각과 기록된 일통지단위(a)내의 통지 날짜·시각(a1)들을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현재 날짜·시각이 더 경과된 경우에는 통지를 하게 되고, (b)의 경우에는 지정된 통지시점(b3)을 현재의 날짜·시각과 비교하여 현재 시점과 동일하거나 현재 시점이 통지시점(b3)를 경과한 경우에 통지를 하게 된다. (b)의 경우는 이용자가 일정간격으로 통지시점을 지정하는 유형으로서 입력시(S42)에 일정간격을 지정하면 그 간격을 지정간격(b2)으로 저장함과 동시에 입력시점으로부터 지정간격이 경과한 시점을 계산하여 통지시점(b3)에 다음에 통지할 날짜·시각을 저정해 두게 되므로 상기 판단단계(S102)에서는 통지시점(b3)과 현재 날짜·시각을 상호 비교하면 되는 것는 것이다. 날짜·시각외에도 통지횟수(b1)와도 비교하는 데 통지된 횟수가 이용자가 설정한 횟수보다 같거나 많으면 통지해야할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b)의 경우는 이용자가 설정한 횟수를 통지횟수(b1)에 기록해 두고 이 후에 설명하는 통지단계에서 통지가 되면 그 횟수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별도의 이용자 지정횟수란을 두고 있지 않다.). (c)의 경우는 매주 지정요일(c2)마다, 주중의 경우에만 또는 주말의 경우에만 등과 같이 반복적인 통지를 위한 방식으로써 이 때는 지정된 요일(c1, c2) 및 통지시각(c3)을 현재의 요일 및 시각과 비교하여 통지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이용자가 서비스를 접속하여 이 반복적인 통지기능을 해제하지 않는 한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판단단계(S102)에서 통지할 필요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의 개별일정을 기억장치(440, 450)로부터 판독됨으로서(S103) 계속적인 통지시점의 확인작업을 진행한다(S101, S102, S103). 만약, 상기 판단단계(S102)에서 일정을 이용자에게 통지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410)는 상기 판독된 일정데이타로부터 통지할 이용자와 통지방법을 확인하게 된다(S105).
상기의 통지방법으로부터 통지할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가 휴대폰인 것으로 확인되면 중앙처리장치(410)는 전화망접속부(400)를 통해 이동통신망(400)을 경유하여 이용자의 휴대폰을 호출한다(S110). 발생전화망접속부(400)로부터의 접속결과를 확인하여(S111)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용자의 개인일정의 보안을 위해 패스워드 등을 이용자로부터 확인하고(S112) 패스워드 확인이 되면 이용자가 기록해 둔 일정의 내용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62)를 통해 음성으로 변환한 뒤 이용자에게 송신하고, 송신된 일정에는 별도의 표시를 행하여(S114) 개별일정 판독단계(S103, S103-1)에서 다시 판독이 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이용자와의 접속이 실패한 경우나, 이용자의 패스워드 확인 등이 실패한 경우에는 별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개별일정 판독단계(S103-1)로 진행하는 데, 상기의 통지되지 않았거나 삭제되지 않은 일정내용은 반복적인 일정검색 및 통지루틴(routine)이 통지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통지필요성 판단단계(S102)에서 다시 확인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일정을 자동적으로 재통지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상기의 패스워드 확인등의 단계도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의 입력 키외에도 음성으로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 때도 역시 음성인식부(480)에 의한 입력 코드(숫자 또는 특수문자 등) 추출에 의해 기 입력된 패스워드와 비교함으로써 확인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통지방법 확인단계(S105)에서 이용자의 단말기가 무선호출기로 확인되면 일반전화망(200)을 경유하여 무선호출기 사서함장치(도면 미도시)와의 접속을 시도한다(S120, S121). 이때, 중앙처리장치(410)는 DTMF톤 처리부(430)를 제어하여 DTMF 톤을 발생시켜 이용자 사서함장치를 호출하게 된다. 접속이 성공하면 이용자의 일정내용을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62)를 거쳐 음성으로 송신하고, 이용자의 통지방법 선택시에 다 수회에 걸쳐 송신하도록 지정된 일정 데이타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송신된 일정데이타에 재송신되지 않도록 별도의 표시를 행한다(S123). 접속이 실패하면 별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개별일정 판독과정(S103-1)으로 진행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이용자에게 음성으로 일정을 통보하는 경우에, 중앙처리장치(410)가 일정검색을 위해 일정의 내용까지 주기억장치(450)로 이동·저장해 둔 경우에는 직접 주기억장치(450)로부터 일정내용을 판독하여 이용자에게 음성으로 송신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보조기억장치(440)로부터 판독하여 송신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보조기억장치(440)에서 주기억장치(450)로 일정의 날짜·시각과 통지방법을 이동·저장하여 검색하는 경우에는 보조기억장치(440)에 있는 일정내용을 색인할 수 있는 색인데이타를 별도로 생성시켜 주기억장치(450)에 함께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통지방법 확인방법(S105)에서 이용자의 단말기가 데이타단말기인 것으로 확인되면 데이타망 접속부(490) 또는 전화망 접속부(400)를 통해 데이타통신망(300) 또는 전화통신망(200)(이용자의 단말기기 전화통신망 접속장치(모뎀등)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을 경유하여 단말기 접속을 시도하고(S130) 그 결과에 따라(S131) 접속이 이루어지면, 이용자의 일정내용을 데이타망 접속부(490)를 통해 데이타로 전송하거나 또는 일정내용을 음성변환부(420)에서 음성으로 변환시켜 상기 전화망 접속부(400)를 통해 음성으로 전송하게 되고(S132)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면, 별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개별일정 판독단계(S103-1)로 진행한다. 상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용자가 지정한 통지방법에 따라 전송된 일정데이타에는 전송완료를 표시한다(S133).
이용자와의 접속이 이루어져 성공적으로 통지된 일정데이타의 경우에는 전송완료후 상기와는 달리 전송완료표시를 한 후 일정기간 저장하지 않고 즉시 삭제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지완료된 일정데이타의 처리방법을 이용자의 선택사항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단일지정 단일통지방식과는 달리 도 5와 같은 다양한 통지방식의 경우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정전송 완료표시단계(S114, S123, S133)는 통지방식에 유형에 따른 다음과 같은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도 5의 (a)의 경우에는 전송완료된 일통지단위(a)에 대해서 전송완료(a2)표시를 수행하거나, 삭제를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송완료(a2)표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b)의 경우에는 통지시점(b3)으로부터 지정간격(b2)의 시간만큼 더하여 다음의 통지시점을 계산하여 통지시점(b3)에 기입하며 또한 전송횟수(b1)의 값을 감소시키게 된다. (c)의 경우는 일정에 관한 내용이 전송된 경유라 하더라도 반복적이고 계속적인 내용의 송신을 위한 것이므로 상기의 전송완료 표시단계(S114, S124, S133)에서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지는 않는다. 각 경우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전송후 통지방식에 따른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그 수행결과는 상기의 판단단계(S102)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전송을 위한 적절한 판단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단일지정 단일통지방식이외의 다양한 통지방식, 예를 들어 임의의 지정시점에 의한 수 회의 통지, 반복적인 재통지 등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중앙처리장치(410)는 지금까지 설명한 일정검색 및 통지루틴에 따른 단계를 계속적으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이용자가 등록해 둔 일정의 내용을, 이용자가 필요한 시점에, 이용자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통지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 및 그 관리방법은, 이용자가 기억용량이 제한되고 일정내용의 입력이 불편한 별도의 일정관리기기등을 휴대하지 않고서도, 일정의 용량이나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 구애를 받지 않고 자신의 일정을 손쉽게 기록하고 기록한 일정의 내용을 적절한 시점에 통신단말장치를 이용해 통지받음으로해서 중요한 일정 등을 결코 망각하는 일없이 자신의 업무를 수행할 수가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전화통신망과의 신호접속과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전화망접속 수단;
    상기 전화망접속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과 상기 전화망 접속수단으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
    이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DTMF톤을 인식하고 발생시키기 위한 DTMF톤 처리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에 의해서 변환된 이용자의 디지탈 음성데이타와 상기 DTMF톤 처리수단에 의해 인식된 이용자의 입력숫자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수단;
    상기 보조기억수단보다 데이타 접근속도가 빠르며 검색을 위해 필요한 이용자의 입력내용들을 상기 보조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주기억수단;
    현재의 날짜 및 시각을 알려주는 날짜·시각 알림수단;
    상기 주기억수단 및 보조기억수단에 저장된 비음성데이타를 디지탈 음성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 전송하는 음성변환수단; 및
    상기 전화망접속수단으로 부터의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에서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보조기억수단과 상기 DTMF톤 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며, 상기 보조기억수단의 데이타를 주기억수단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주기억수단내의 데이타중 날짜와 시각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상기 날짜·시각 알림수단의 날짜 및 시각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일치하거나 또는 일정기간전인 경우에 주기억수단 또는 보조기억수단내의 이용자 일정데이타가 이용자에게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음성변환이 필요한 비음성데이타는 상기 음성변환수단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수신된 디지탈 변환된 음성데이타를 처리하여 필요한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음성인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제어수단은 상기 음성인식수단에 의해 추출된 날짜·시각정보를 상기 음성변환수단에 전송하여 음성 변환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기억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데이타통신망과의 신호접속과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타망 접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타망 접속수단을 통해 이용자의 날짜·시각정보와 메일내용을 수신받아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날짜·시각 알림수단에 의해 이용자에게 통지하여야 할 시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저장된 메일이나 비음성데이타를 상기 데이타망 접속수단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데이타통신망과의 신호접속과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타망 접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타망 접속수단을 통해 이용자의 날짜·시각정보와 메일내용을 수신받아 상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날짜·시각 알림수단에 의해 이용자에게 통지하여야 할 시각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저장된 메일이나 비음성데이타를 상기 음성변환수단으로 전송하여 음성데이타로 변환한 뒤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수단과 전화망 접속수단을 통해 음성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장치.
  5.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단계;
    이용자가 통지받을 내용, 날짜·시각 및 방법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내용, 날짜·시각 및 방법에 관한 데이타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단계;
    이용자가 통지받을 날짜·시각의 경과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이용자가 통지받을 날짜·시각인 경우에는 통지받을 내용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등을 입력하는 단계는,
    통지받을 내용 및 날짜·시각은 음성으로 입력하고 통지받을 방법은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타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음성데이타를 처리하여 날짜·시각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날짜·시각정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정보를 음성으로 알리는 단계;
    이용자가 수신된 날자·시각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날짜·시각정보를 통신받을 내용 및 방법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등을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내용등의 데이타가 모두 포함된 파일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
  8.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는,
    전송할 방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방법에 따라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의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및
    내용을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용통지 단계는, 문자단말인 경우에는 메일의 형태로, 무선호출기인 경우에는 음성사서함에 음성으로, 그리고 휴대폰인 경우에는 지정된 이용자인지를 확인하고 지정수신인으로 확인되는 이용자인 경우에만 직접 음성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방법.
  9. 제5항,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내용등을 입력하는 단계는,
    (9-1) 다양한 재통지(2회이상의 통지)방식중 통지될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 및
    (9-2) 재통지를 위해 필요한 데이타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날짜·시각의 확인단계는
    (9-3) 검색할 이용자의 일정데이타들을 판독하는 단계;
    (9-4) 하나의 일정데이타를 판독하여 일정통지 날짜·시각과 재통지 방식의 일정데이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9-5) 상기 날짜·시각 및 재통지 방식에 의해 일정데이타의 통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는,
    (9-6) 일정내용을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
    (9-7) 송신된 일정내용의 재통지 방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9-8) 재통지 방식이 설정되지 않은 일정이면 상기 하나의 일정 판독·확인단계(9-4)로 복귀하는 단계;
    (9-9) 재통지 방식이 설정된 일정이면 통지된 사실을 반영하여 재통지 방식을 위 한 데이타를 갱신하는 단계; 및
    (9-10) 상기 하나의 일정 판독·확인 단계(9-4)롤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내용을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단계(9-6)는,
    송신할 방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방법에 따라 지정된 통신망을 통해 이용자의 단말기와 접속하는 단계; 및
    일정내용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일정내용 송신단계는, 문자단말인 경우에는 메일의 형태로, 무선호출기인 경우에는 음성사서함에 음성으로, 그리고 휴대폰인 경우에는 지정된 이용자인지를 확인하고 지정수신인으로 확인되는 이용자인 경우에만 직접 음성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관리 방법.
KR1019960035591A 1996-08-22 1996-08-22 통신망을통한개인일정관리장치및관리방법 KR10033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91A KR100331942B1 (ko) 1996-08-22 1996-08-22 통신망을통한개인일정관리장치및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91A KR100331942B1 (ko) 1996-08-22 1996-08-22 통신망을통한개인일정관리장치및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76A true KR19980016076A (ko) 1998-05-25
KR100331942B1 KR100331942B1 (ko) 2002-09-27

Family

ID=3747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591A KR100331942B1 (ko) 1996-08-22 1996-08-22 통신망을통한개인일정관리장치및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194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446A (ko) * 2000-03-14 2000-07-05 김남채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관리 및 광고영업방법
KR20000049897A (ko) * 2000-05-04 2000-08-05 안병익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000072052A (ko) * 2000-07-14 2000-12-05 왕해주 인터넷 무선 일정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08970A (ko) * 2000-07-21 2002-02-01 남용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20030047096A (ko) * 2001-12-07 200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KR100434011B1 (ko) * 1997-03-24 2004-07-16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스케쥴 알람방법
KR100673258B1 (ko) * 2004-12-15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25406B1 (ko) * 2006-09-07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음성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292A (ko) * 2001-01-29 2001-06-05 김용기 인터넷과 핸드폰의 문자써비스를 이용한 개인 일정관리씨스템.
KR20030020093A (ko) * 2001-09-01 2003-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전화를 이용한 개인일정 관리방법
KR101073908B1 (ko) * 2005-01-18 2011-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스케줄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218B1 (ko) * 1993-12-31 2000-11-15 구자홍 디지탈 셀룰라폰의 시간예약 관리방법
KR960027571A (ko) * 1994-12-30 1996-07-22 김주용 일정관리 기능을 부가한 휴대폰 구현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11B1 (ko) * 1997-03-24 2004-07-16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스케쥴 알람방법
KR20000036446A (ko) * 2000-03-14 2000-07-05 김남채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관리 및 광고영업방법
KR20000049897A (ko) * 2000-05-04 2000-08-05 안병익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000072052A (ko) * 2000-07-14 2000-12-05 왕해주 인터넷 무선 일정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08970A (ko) * 2000-07-21 2002-02-01 남용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시스템
KR20030047096A (ko) * 2001-12-07 200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일정 관리 방법
KR100673258B1 (ko) * 2004-12-15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25406B1 (ko) * 2006-09-07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음성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US7831242B2 (en) 2006-09-07 2010-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ice notifying service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1942B1 (ko) 200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4655B1 (en) Multi-format communications client-server and method therefore
US48993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telephone subscriber features at remote locations
US5793859A (en) Adaptive telephone number selection method and system
US5255183A (en) Telephone-based personnel tracking system
US5764738A (en) Document distribution system
US55090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d dialing via one-touch and two-touch operation
US55286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and maintaining a caller-ID based telephone directory
US7603108B2 (en) Automatic connection and access controls for communications devices
EP1811760A1 (en) Mobile telephone and file sharing method thereof
KR19980016076A (ko) 통신망을 통한 개인일정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JP2000004299A (ja) 順番待ち呼出し装置
US4837807A (en) Station to station message arrangement
EP0608654A1 (en) Telephone directing method and apparatus
US5905944A (en) Secure communication of access information
KR20040035642A (ko) 착신자의 착신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23587B1 (ko) 전화를 이용한 전자 전화번호 서비스 방법
JP3792022B2 (ja) 発信元表示システム並びにそのための交換機,電話回線管理センタ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GB2387737A (en) Voice message system incorporating text messaging and caller line identification
JP2003152870A (ja) 母国語(公用語)識別方法および外国語音声案内サービス装置
KR100370599B1 (ko) 통신망을 통한 개인정보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200100440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운용방법
EP1162785B1 (en) Process command transfer from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device toward a nearby terminal
JPH06125357A (ja) 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00054617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JPS63184865A (ja) ワ−クステ−シヨ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129

Effective date: 200003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504

Effective date: 20010511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712

Effective date: 2001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529

Effective date: 20040331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30530

Effective date: 200409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