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048A -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048A
KR19980016048A KR1019960035560A KR19960035560A KR19980016048A KR 19980016048 A KR19980016048 A KR 19980016048A KR 1019960035560 A KR1019960035560 A KR 1019960035560A KR 19960035560 A KR19960035560 A KR 19960035560A KR 19980016048 A KR19980016048 A KR 19980016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sm
rasp
emergency
alarm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희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3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048A/ko
Publication of KR1998001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48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트에 접속된 RASM에 긴급장애가 발생되면 페이저망을 이용하여 특정 페이저를 무선호출하여 그 특정 페이저를 휴대하고 있는 상기 RASM의 운용자에게 상기 RASM에 긴급장애가 발생된 상태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RI(21)나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경보가 발생되면 RASP(23)에서 해당 경보를 취합하는 제 1 단계, 상기 RASP(23)에서 해당 경보가 긴급경보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해당 경보가 긴급경보로 판단되면 해당 긴급경보를 호스트(10)에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RASP(23)가 기저장된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그 호출번호에 대한 디지트신호를 TP(22),페이저정합단(26)을 통해 타교환기(3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타교환기(30)가 해당 디지트음에 따른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페이정망(40)을 통해 상기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상기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저(P1-Pn)로 무선호출신호를 송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페이저망(40)을 통해 송출된 무선호출신호를 페이저(P1-Pn)에서 수신하여 호출상태에 따른 호출음이나 진동음을 출력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져 페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운용자가 운용국을 이탈한 상태에서도 신속하게 상기 RASM의 긴급장애 발생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상기 RASM에 발생된 장애에 대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함으로써 상기 RAPM의 수리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DX-100교환기에 접속된 RASM에 긴급장애시 페이저망을 이용하여 상기 RASM을 운용하는 운용자를 무선호출하여 운용자에게 상기 RASM의 긴급장애 발생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된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교환기는 1965년 5월 세게 최초로 미국 ATT에 의해 개발 실용화되어, 그 후 새로운 기술의 도입으로 계속적인 발전을 하여 왔다.
이러한 전자교환기는 트랜지스터와 집적회로 등 고속으로 동작되는 전자소자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통화로를 신속정확하게 접속하고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복잡한 정보사회를 선도할 수 있도록 융통성과 신뢰도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요즘에는 소위 전전자교환기로 불리우는 TDX계열의 전전자교환기가 주로 실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한 전전자교환기는 다양한 통신망의 특성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국전기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소정의 교환기 생산업체가 공동개발한 대용량 교환기로서, 농어촌의 소용량 규모에서부터 대도시의 대용량 규모까지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모듈화 구조에 입각한 새로운 기능의 추가가 용이하고, 32비트 사용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제어기능의 분산 및 고속 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프로세서간 통신)에 의한 메시지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광섬유링크에 의한 서브시스템간의 고속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전자교환기 예컨대, TDX-10교환기는 통상적으로 국부된 호처리의 전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처리의 전반적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집중화된 운용 및 유지보수기능을 수행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등 3개의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교환기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가입자군을 효율적, 경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원격교환모듈(RASM)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TDX-10계열의 교환기에서의 RASM은 호스트(HOST)로부터 전송되는 IPC메시지에 기초하여 그 RASM에 접속된 가입자에 대한 전반적인 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RASM에서 긴급경보(예컨대, 링크케이블 장애, 링크인터페이스 보드 장애, 전송장비 장애, IPC통신 장애, 전원 장애, 망동기 장애에 따른 경보)가 발생되면 시스템의 보드나 원거리에 있는 호스트의 운용터미널, 알람패널(RAPU)을 통한 가시적인 경보와 상기 알람패널의 부저 발생을 통한 가청경보로 본체 운용국의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형식을 취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운용자가 급한 용무로 잠깐 자리를 이탈한 상태이면 그 운용자가 상기 RASM에 긴급장애가 발생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상기 RASM에 발생된 장애가 해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그로 인하여 해당 소정시간동안 상기 RASM이 비정상상태로 방치되어 짐으로서 그 RASM에 접속된 가입자들이 정상적인 통화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출되어진 것으로, 호스트에 접속된 RASM에 긴급장애가 발생되면 페이저망을 이용하여 특정 페이저를 무선호출하여 그 특정 페이저를 휴대하고 있는 상기 RASM의 운용자에게 상기 RASM에 긴급장애가 발생된 상태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된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RASM으로 IPC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RASM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와 전송매체를 매개로 접속되어 긴급장애발생시 기저장된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그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트신호를 타교환기로 전송하는 RASM, 상기 RASM으로부터의 디지트신호를 근거로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그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저로 무선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타교환기 및, 상기 페이저망을 통해 송출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RASM의 긴급장애발생 상황을 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호출음이나 진동음을 출력하는 페이저로 구성된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RASM은 상기 호스트와 상기 RASM의 정합을 수행하는 RI와, 상기 RI나 임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장애를 취합하여 그 장애가 긴급장애이면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그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트신호를 TP로 전송하는 RASP, 상기 RASP와 임의의 디바이스의 정합을 수행하는 TP, 상기 RASM과 타교환기와의 정합을 수행하여 상기 TP를 통해 전송된 디지트신호를 상기 타교환기로 전송하는 페이저정합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RASP는 다수의 운용자에 대응하는 호출번호가 기저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RASP는 동일 호출번호에 대한 디지트신호를 기설정시간 간격으로 기설정횟수만큼 상기 TP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RI나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경보가 발생되면 RASP에서 해당 경보를 취합하는 제 1 단계, 상기 RASP에서 해당 경보가 긴급경보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해당 경보가 긴급경보로 판단되면 해당 긴급경보를 호스트에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RASP가 기저장된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그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트신호를 TP,페이저정합단을 통해 타교환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타교환기가 해당 디지트신호에 따른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페이저망을 통해 상기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저로 무선호출신호를 송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페이저망을 통해 송출된 무선호출신호를 페이저(P1-Pn)에서 수신하여 호출상태에 따른 호출음이나 진동음을 출력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RASP는 호출번호를 번역한 다음 해당 호출번호가 상기 TP,페이저정합단을 통해 타교환기로 전송된 다음 경보가 해제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해당 경보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설정시간이 경과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경보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설정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디지트신호가 상기 TP로 전송된 횟수가 기설정횟수에 도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디지트신호가 상기 TP로 전송된 횟수가 기설정횟수에 도달되면 상기 RASM에 기저장된 호출번호중 차순의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호출번호가 상기 TP,페이저정합단을 통해 타교환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과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RASM에서 긴급장애가 발생되면 호스트로 장애발생상태가 보고됨과 더불어 페이저망을 통해 특정 페이저를 무선호출하여 그 페이저를 착용하고 있는 상기 RASM의 운용자가 운용국을 이탈한 경우에도 상기 페이저로부터 출력되는 호출음이나 진동음을 통해서 상기 RASM의 긴급장애발생상황을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용자는 상기 RASM에 발생된 장애를 해제시키기 위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해 상기 RAPM이 단시간내에 정상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RAPM에 접속된 가입자에게 양질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호스트,
20:RASM(Remote Access Switching Modual),
21:RI(RASM Interface) 22:TP(Telephony Processor),
23:RASP(Remote Access Switching Processor),
24:TSW(Time Switch), 25:ASI(Analog Subscriber Interface),
26:페이저정합단, 30:타교환기,
40:페이저망(Pager Network), P1-Pn:제 1-n 페이저.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S와 INS 및 CCS로 구성되어 ASI에 접속된 가입자에 대한 전반적인 호처리동작을 수행함과 더불어 RASM(20)에 소정의 IPC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RASM(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10)와, 상기 호스트(10)로부터 전송된 IPC메시지를 근거로 ASI(25)에 접속된 가입자에 대한 전반적인 호처리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페이저저합단(26)을 매개하여 타교환기(30)와 접속된 RASM(20), 상기 페이저저합단(26)을 매개로 상기 RASM(20)과 접속되어 상기 RASM(20)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트신호(Digit Signal)에 기초하여 착신번호를 번역한 다음 그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저가 페이저망(40)을 통해 무선호출되도록 하는 타교환기(30), 타교환기(30)로부터 전송된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저에 무선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페이저망(40) 및, 상기 페이저망(40)을 통해 전송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호출음이나 진동음을 출력하는 페이저(P1-Pn)로 구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ASM(20)은 상기 호스트(10)와 E1 PCM케이블 또는 광링크케이블로 접속되어 그 E1 PCM케이블 또는 광링크케이블을 통해 상기 호스트(10)와 상기 RASM(20)간의 데이터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인터페이싱(Interfacing) 하는 R1(21)과, 상기 RI(21), TSW(24) 페이저정합단(26) 등의 디바이스와 메인 프로세서인 RASP(23)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프로세서와 상기 디바이스간의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TP(22), 상기 TP(22)에 접속되어 상기 RASM(20)내의 전반적인 호처리기능과 운용 및 유지보수기능 등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RASM(20)의 주변디바이스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메인프로세서로서의 RASP(23),상기 TP(22)의 제어하에 타임슬롯(Time Slot)의 인터체인저(Interchinger)기능을 수행하는 TSW(24), 상기 TP(22)의 제어하에 다수의 아날로그 가입자에 대한 인터페이스기능을 수행하는 ASI(25) 및, 상기 TP(22)의 제어하에 무선호출용 타교환기(30)에 대한 접속기능을 수행하는 페이저정합단(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RI(21)는 링크 케이블 장애, 링크 인터페이스 보드 장애, 전송장비 장애, IPC통신장애 등에 따른 장애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장애정보를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RASP(23)에 보고하고, 상기 RASP(23)에는 호출번호가 기저장되어 있어 상기 RI(21)로부터 전송된 장애정보가 긴급정보인 경우 기저장된 호출번호를 순차적으로 번역하여 그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트신호가 페이저정합단(26)을 매개하여 상기 타교환기(30)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타교환기(30)는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부터 전송된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저가 페이저망(40)을 통해 호출될 수 있도록 호처리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 2 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예컨대 링크 케이블이나 링크 인터페이스, 전송장비, IPC통신 등에 대한 장애가 상기 RI(21)를 통해 감지되거나 임의의 디바이스를 통해 전원 장애나 망동기 장애상태가 감지되어 그에 따른 경보가 발생되면(단계 50), 상기 장애정보는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RASP(23)로 전송되어 상기 RASP(23)에서 그 장애정보에 따른 경보가 취합된다(단계 52).
이어, 상기 RASP(23)는 해당 경보가 긴급경보인가를 판단하는데(단계 54), 그 판단결과 해당 경보가 긴급경보가 아니면(단계 54에서 NO) 즉 해당 경보가 주요경보나 일반경보이면 상기 RASP(23)는 상기 TP(22),RI(21)를 통해 해당 경보를 상기 호스트(10)에 전송한다. 이에, 상기 호스트(10)는 해당 경보에 기초하여 상기 RASM(20)에서 발생된 장애상태를 판단하여 알람패널을 통해 주요경보 또는 일반경보에 따른 가시경보와 가청경보를 출력하여 운용국내에 있는 운용자가 상기 RASP(23)내에 발생된 장애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56).
그러나, 상기 단계 54에서 상기 RASP(23)에서 상기 단계 52에서 취합되어진 경보가 긴급경보로 판단되면(단계 54에서 YES) 상기 RASP(23)는 상기 TP(22),RI(21)를 통해 해당 경보를 상기 호스트(10)에 전송한다. 이에, 상기 호스트(10)는 해당 경보에 기초하여 상기 RASM(20)에서 발생된 장애상태를 판단하여 알람패널을 통해 긴급경보에 따른 가시경보와 가청경보를 출력하여 운용국내에 있는 운용자가 상기 RASP(23)내에 긴급장애가 발생된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58).
이어, 상기 RASP(23)는 기저장되어 있는 호출번호중 첫번째 호출번호를 번역한 다음 (단계 60), 해당 번역된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트신호를 상기 TP(22)를 통해 페이저정합단(26)으로 전송한다.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 전송된 해당 디지트신호는 그 페이저정합단(26)을 매개로 타교환기(30)로 전송되어 진다(단계 62).
타교환기(30)는 해당 디지트신호를 근거로 착신번호를 번역한 다음(단계 64) 그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무선호출가입자 즉, 제 1 페이저(P1)를 페이저망(40)을 통해 무선호출한다(단계 66).
한편, 상기 RASP(23)는 번역되어진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트신호가 상기 페이저정합단(26)을 통해 타교환기로 전송되도록 한 다음 상기 단계 50에서 발생되어진 경보가 해제되는가를 감시하는데(단계 68), 이때 상기 단계 50에서 발생되어진 경보에 대한 무선호출신호를 받은 제 1 페이저(P1)를 휴대한 제 1 운용자에 의해 해당 장애요소가 해제되면(단계 68에서 YES) 상기 RASP(23)는 상기한 일련의 동작과정을 종료하고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단계 68에서 상기 단계 50에서 발생되어진 경보가 해제되지 않으면(상기 단계 68에서 NO) 상기 RASP(23)는 내장된 타이머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시간데이터를 근거로 소정시간 예컨대, 5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70). 그 판단결과 해당 경보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5분이 경과되어지면(단계 70에서 YES), 상기 RASP(23)는 상기 단계 60에서 번역된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트신호를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 전송한 횟수가 기설정횟수 예컨대, 3회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한다(단계 72).
여기서, 상기 RASP(23)가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 디지트신호를 전송한 횟수는 상기 타교환기(30)가 해당 디지트신호를 전송받아 페이저망(40)를 통해 그 디지트음에 대한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무선호출가입자 즉, 페이저를 호출한 횟수와 동일하다.
한편, 상기 단계 72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RASP(23)가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 호출번호를 전송한 횟수가 3회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72에서 NO) 즉, 상기 RASP(23)가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 호출번호를 전송한 횟수가 3회 미만이면 상기 RASP(23)는 상기 단계 62로 진행하여 상기 단계 60에서 번역되어진 첫번째 호출번호에 대한 무선호출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그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제 1 페이저(P1)가 무선호출되도록 하여 그 제 1 페이저(P1)로부터 상기 RASM(20)에 긴급장애가 발생된 상태를 알리기 위한 호출음이나 진동음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단계 72에서 상기 RASP(23)가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 호출번호를 전송한 횟수가 3회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단계 72에서 YES) 상기 RASP(22)는 상기 단계 60으로 진행하여 기저장되어 있는 호출번호중에서 두번째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번역된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신호를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 전송하여 상술되어진 단계 62에서 단계 72까지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후, 두번째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제 2 페이저(P2)가 소정 횟수 호출되어 제 2 운용자에게 상기 RASM(20)에 긴급장애가 발생된 상태가 통보도어진 다음에도 상기 단계 50에서 발생된 경보가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RASP(23)는 기저장된 호출번호를 순차적으로 n번째 호출번호까지 번역하여 해당 n번째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제 n페이저(Pn)가 소정 횟수 호출되어 제 n운용자에게 상기 RASM(20)에 긴급장애가 발생된 상태가 통보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n번째 호출번호에 해당하는 제 n페이저(Pn)가 소정 횟수 호출되어 제 n운용자에서 상기 RASM(20)에 긴급장애가 발생된 상태가 경보되어진 다음에도 상기 단계 50에서 발생된 경보가 해제되지 않으면, 상기 RASP(23)는 기저장된 호출번호중 첫번째 호출번호를 다시 번역하여 그 호출번호에 따른 디지트신호를 상기 TP(22)를 통해 상기 페이저정합단(26)으로 전송함으로써 상술되어진 일련의 동작이 재수행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상기 RASM에서 긴급장애가 발생되면 호스트로 장애발생상태가 전송되어 호스트의 알람패널을 통해 경보표시됨과 더불어 페이저망을 통해 특정 페이저가 무선호출되어 그 페이저를 착용하고 있는 상기 RASM의 운용자에게 상기 RASM의 긴급장애 발생상황이 통보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운용자가 운용국을 이탈한 상태에서도 신속하게 상기 RASM의 긴급장애 발생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상기 RASM에 발생된 장애에 대한 신속한 후속조치로 인하여 상기 RASM의 수리소요시간이 단축되어 단시간내에 정상상태로 복귀되어 짐으로써 상기 RASM에 접속된 가입자에게 양질의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RASM(20)으로 IPC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RASM(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호스트(10)와,
    상기 호스트(10)와 전송매체를 매개로 접속되어 긴급장애발생시 기저장된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그에 따른 디지트신호를 타교환기(30)로 전송하는 RASM(20),
    상기 RASM(20)으로부터의 디지트신호를 근거로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페이저망(40)을 통해 그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저(P1-Pn)로 무선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타교환기(30) 및,
    상기 페이저망(40)을 통해 송출된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RASM(20)의 긴급장애발생 상황을 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호출음이나 진동음을 출력하는 페이저(P1-Pn)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ASM(20)은 상기 호스트(10)와 상기 RASM(20)의 정합을 수행하는 RI(21)와, 상기 RI(21)나 임의의 디바이스에서 발생된 장애를 취합하여 그 장애가 긴급장애이면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그 호출번호에 대한 디지트신호를 TP(22)로 전송하는 RASP(23), 상기 RASP(23)와 임의의 디바이스의 정합을 수행하는 TP(22), 상기 RASM(20)과 타교환기(30)와의 정합을 수행하여 상기 TP(22)를 통해 전송된 디지트신호를 상기 타교환기(30)로 전송하는 페이저정합단(2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ASP(23)는 다수의 운용자에 대응하는 호출번호가 기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ASP(23)는 동일 호출번호에 대한 디지트신호를 기설정시간 간격으로 기설정횟수만큼 상기 TP(22)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5. RI(21)나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경보가 발생되면 RASP(23)에서 해당 경보를 취합하는 제 1 단계,
    상기 RASP(23)에서 해당 경보가 긴급경보인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해당 경보가 긴급경보로 판단되면 해당 긴급경보를 호스트(10)에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RASP(23)가 기저장된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그 호출번호에 대한 디지트신호를 TP(22),페이저정합단(26)을 통해 타교환기(30)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타교환기(30)가 해당 디지트신호에 따른 착신번호를 번역하여 페이저망(40)을 통해 상기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저(P1-Pn)로 무선호출신호를 송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페이저망(40)을 통해 송출된 무선호출신호를 페이저(P1-Pn)에서 수신하여 호출상태에 따른 호출음이나 진동음을 출력하는 제 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RASP(23)는 호출번호를 번역한 다음 해당 호출번호가 상기 TP(22),페이저정합단(26)을 통해 타교환기(30)로 전송된 다음 경보가 해제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해당 경보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설정시간이 경과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경보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설정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디지트신호가 상기 TP(22)로 전송된 횟수가 기설정횟수에 도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디지트신호가 상기 TP(22)로 전송된 횟수가 기설정횟수에 도달되면 상기 RASM(23)에 기저장된 호출번호중 차순의 호출번호를 번역하여 해당 호출번호가 상기 TP(22),페이저정합단(26)을 통해 타교환기(30)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방법.
KR1019960035560A 1996-08-26 1996-08-26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KR199800160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60A KR19980016048A (ko) 1996-08-26 1996-08-26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560A KR19980016048A (ko) 1996-08-26 1996-08-26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48A true KR19980016048A (ko) 1998-05-25

Family

ID=6625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560A KR19980016048A (ko) 1996-08-26 1996-08-26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0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461B1 (ko) * 2000-09-21 2003-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교환 시스템의 장애 통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461B1 (ko) * 2000-09-21 2003-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교환 시스템의 장애 통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7193A (en) Wireless telephone network centralized maintenance method
CN100575231C (zh) 电梯的远程报警系统
US57374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nversation interruptions in a telephonic switch
KR940020754A (ko) 최종 사용자 사이에서의 데이타 및 감독 신호 전송/수신 장치 및 방법(Emorgency local switching)
CN1138935A (zh) 一个用户单元的运行的监测
KR19980016048A (ko)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KR19980016047A (ko) Tdx-100교환기에서 rasm의 긴급장애발생시 운용자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CN1240086A (zh) 电话网出现故障时传送紧急呼叫的方法和系统
JPH1188329A (ja) アクセスノードの保守運用システム
KR100211889B1 (ko)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KR100279827B1 (ko) 원격접속 스위치 모듈의 독립운용 제어 방법
KR19980014079A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 페이저를 이용한 긴급경보 알림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ritical alarm of full-electronic switching system by using pager)
JP2962062B2 (ja) プロセッサ監視方式
JP200830676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100294049B1 (ko) 교환시스템의 통화로계장비 점유율 감시 방법
KR980007331A (ko)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자에게 경보를 전달하는 방법(Method df alarming operators in the digital switching system)
KR100367461B1 (ko)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교환 시스템의 장애 통보 방법
KR19990039823A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보드 이상상태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1820B1 (ko) 통신 장비 상태 감시 방법
KR19980014078A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 페이저를 이용한 긴급경보 알림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critical alarm of full-electronic switching system by using pager)
KR0156844B1 (ko) 전자식 간이 교환장치 및 사설교환 시스템에서의 비상중계 방법
JPH04111562A (ja) 障害通知システム
KR19990061166A (ko) 원격교환모듈접속 데이터링크의 자기진단방법
KR20010055138A (ko) 유선교환기의 시험장치 테스트 방법
JPH07170321A (ja) 障害通知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