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019U -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019U
KR19980016019U KR2019960029302U KR19960029302U KR19980016019U KR 19980016019 U KR19980016019 U KR 19980016019U KR 2019960029302 U KR2019960029302 U KR 2019960029302U KR 19960029302 U KR19960029302 U KR 19960029302U KR 19980016019 U KR19980016019 U KR 199800160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window
mounting structure
office automation
automation equipm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형휴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9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019U/ko
Publication of KR19980016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01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투명창의 제조시에 일측에 필연적으로 돌출하는 게이트부(G)를 커버와의 조립시에 외관적으로 도피시키기 위하여 상기 투명창이 설치되는 커버의 장착부에 하측으로 도피공간을 형성함으로서, 게이트부를 사상하기 않아도 되어 공수절감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고, 외관불량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저하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본 고안은 팩스, 복합화상형성기기(팩스와 프린터의 복합기) 등의 디스플레이부의 엘씨디부에 출력되는 메시지 등을 보게끔하고, 동시에 보호하게 장착되는 투명창의 장착구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사출시에 발생하는 투명창의 게이트부를 케이스에 접착시킬시에 발생하는 외관불량을 고려한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팩스 등의 사무자동화기기의 사출물(몰드물)로는 크게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로 조립되며,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에 엘씨디가 설치된 디스플레이부가 내장되고, 이의 출력을 확인가능하도록 투명창이 설치되며, 하부에는 다수개의 숫자버튼과 기능버튼이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사무자동화기기의 상부커버에는 엘씨디부의 출력을 확인가능하도록 투명창(20)이 설치된다. 이때, 투명창의 일측으로 게이트부가 항시 돌출되는 바, 도 2,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투명창(20)을 커버의 장착부에 설치할 경우에 초음파융착이나 양면테입을 사용하여 장착부에 접착하였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출성형한 투명창(20)을 장착부에 장착할 시에 상기 커버(10)와 접촉하는 면(30)에 양면테입을 부착하여 커버의 장착부에 접착함으로서 고정하였다. 즉, 상기 투명창(20)의 하측면의 테두리부분과 상기 장착부의 테두리부에 접촉면(14)이 발생함으로서 조립고정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상기 투명창을 사출성형할 경우에는 게이트부가 필연적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상기 투명창의 일측에 돌기같은 부분이 사출성형되어 상기 투명창을 상부커버에 접착할 시에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도 2a,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립성을 고려하여 후공정으로서 게이트부를 제거하는 공정(커터나 니퍼로 제거함)을 추가해야 함으로서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특히, 제거공정에서 상기 돌출된 게이트부를 오사상(도 2a)을 하거나 과사상(도 2b)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상기 게이트부를 제거한다 할지라도 정확히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관에 있어서 디자인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심하게는 불량품발생의 주요원인이 된다.
더욱이, 상기 투명창에 형성된 게이트부를 제거하지 않은채 케이스에 부착하면, 외관불량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조립시에 상대물과의 간섭이 발생한다.
또한, 게이트부를 제거하는 공정에서 조립업자는 사상공정이 매우 위험하여 다칠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투명창의 게이트부의 도피공간을 커버의 일측에 마련함으로서, 조립업자의 관점에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투명창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투명창의 게이트부의 도피공간을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함으로서, 외관불량을 방지한 투명창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투명창의 케이트부의 도피공간을 커버의 장착부의 일측에 마련함으로서, 디자인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투명창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는 투명창의 제조시에 일측에 필연적으로 돌출하는 게이트부를 조립시에 외관적으로 도피시키기 위하여 상기 투명창이 설치되는 케이스의 장착부에 하측으로 도피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무자동화기기에 장착되는 투명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투명창이 오사상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투명창이 과사상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창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도 4의 라인 A-A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도피홈. 10:커버. 20:투명창. G:게이트부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창 장착구조는 사무자동화기기(OA기기)의 상부커버(10)에 엘씨디부의 출력메시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보호하는 투명재질로 된 투명창(20)을 조립하는 과정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조립과정에서 설치되는 상기 투명창(20)의 일측방향으로 게이트부가 돌출되어 짐으로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피공간(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투명창(20)을 상부케이스(10)의 장착부(14)에 조립할 시에 상기 게이트부(G)의 도피공간인 도피홈(2)을 커버(10)의 장착부의 일측방으로 형성한다. 상기 도피공간(1)은 상기 투명창(20)의 게이트부(G)가 결합시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응하게 형성한다.
상기 구조에 따라서, 상기 투명창(20)을 상부커버(10)에 조립하여 고정하는 과정은 기존에는 수직방향으로 삽입하여 접착시킴으로서 고정하였으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창(20)은 약간 경사지게 위치시킨 다음에 투명창에 형성된 게이트부(G)를 상기 도피홈(2)에 삽입하여 접착시킴 다음에 고정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게이트부(G)는 조립후에 상기 도피공간(1)에 정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투명창(20)의 하면테두리와 장착부(14)의 테두리면이 접촉하여 접촉면(14)을 형성함으로서 조립고정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사무자동화기기에 있어서, 게이트부를 사상하기 않아도 되므로서 공수절감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되고, 외관불량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저하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1)

  1.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에 있어서,
    투명창(20)의 제조시에 일측에 필연적으로 돌출하는 게이트부(G)를 커버(10)와의 조립시에 외관적으로 도피시키기 위하여 상기 투명창(20)이 설치되는 커버의(10)의 장착부에 하측으로 도피공간(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KR2019960029302U 1996-09-13 1996-09-13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KR199800160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02U KR19980016019U (ko) 1996-09-13 1996-09-13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302U KR19980016019U (ko) 1996-09-13 1996-09-13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019U true KR19980016019U (ko) 1998-06-25

Family

ID=5397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302U KR19980016019U (ko) 1996-09-13 1996-09-13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01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9622A1 (en) * 2000-10-17 2002-05-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ndom access channel access apparatus for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0461235B1 (ko) * 2002-08-13 2004-1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크래쉬 패드에 구비되는 표시창의 고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9622A1 (en) * 2000-10-17 2002-05-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ndom access channel access apparatus for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0461235B1 (ko) * 2002-08-13 2004-1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크래쉬 패드에 구비되는 표시창의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8555B1 (en) Display frame with integrated ESD shield, and a user interface construction
US6297967B1 (en) Self-securing RF screened housing
KR19980016019U (ko) 사무자동화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JPH11119680A (ja) 液晶表示装置
KR100485746B1 (ko) 화상면이 보호되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
KR200142566Y1 (ko) 무선통신기기의 투명창 장착구조
JP3240349B2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H09127881A (ja) 電子機器のlcd搭載構造
JPH0670292U (ja) 防水ケース構造
JPH05275868A (ja) 電気装置用筐体
JPH0832257A (ja) 液晶表示器の保持構造
JP3560415B2 (ja) 表面実装型電磁発音体
JPH10123444A (ja) 偏向走査装置
JPH07231188A (ja) シールドケース
JPH039661A (ja) 読取装置
JPH0284617A (ja) 液晶表示器保持装置
JPH0955588A (ja) 表示機能付個別呼出用受信機の防塵構造
KR200189956Y1 (ko) 스피커장치의 배음케이스와 바디의 진동방지구조
JP3558781B2 (ja) 光センサ実装基板の取付構造
JPH0989115A (ja) カバーの防滴合わせ構造
KR20010108908A (ko) 엘시디모니터의 회로기판 고정장치
JPH0810164A (ja) 電気湯沸かし器
KR101116604B1 (ko) 유에스비 포트 보호막을 구비한 전자장치의 외장
JPH10149115A (ja) 空間閉鎖機構
KR200154806Y1 (ko) Smd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