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587U -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유니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유니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587U
KR19980015587U KR2019960028823U KR19960028823U KR19980015587U KR 19980015587 U KR19980015587 U KR 19980015587U KR 2019960028823 U KR2019960028823 U KR 2019960028823U KR 19960028823 U KR19960028823 U KR 19960028823U KR 19980015587 U KR19980015587 U KR 199800155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ickup
rack
pickup unit
pin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8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해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288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587U/ko
Publication of KR199800155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587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11B7/08582Sled-type positio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크플레이어의 데크상에서 광픽업유니트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는, 피니언과 결합되는 랙이 광픽업유니트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피니언측으로 유동 가능하며 그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부를 구비하며, 랙부는 탄성수단에 의해 피니언 측으로 탄력적으로 압압되어 그 피니언과 확실하게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광픽업유니트의 이송 및 위치제어가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
본 고안은 디스크플레이어의 데크상에서 광픽업유니트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플레이어의 내의 데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가 놓여지는 턴테이블(10)과, 그 턴테이블(10) 상의 디스크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들이기 위한 광픽업유니트(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10)은 턴테이블 구동모터(11)에 의해 회전되면서 그 상부에 놓여진 디스크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광픽업유니트(2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광원(미도시)과, 그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상기 턴테이블(10)상의 디스크로 집속시키는 대물렌즈(21)를 구비하고 있다.
데크(1)에는 또한, 상기 광픽업유니트(20)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로서, 상기 광픽업유니트(20)를 상기 왕복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30)과, 상기 광픽업유니트(20)에 결합되는 랙(42)과, 상기 데크(1)에 설치된 모터(40)와, 기어(41)들을 통해 상기 모터(40)에 연결된 피니언(43)을 구비하고 있다. 랙(42)은 가이드레일(30)에 그 가이드레일(3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기타 다른 방향으로의 유동은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피니언(43)은 상기 랙(42)과 맞물려 있다.
이러한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모터(40)의 동력이 기어(41)들을 통해 피니언(43)으로 전달되어 그 피니언(43)이 회전되고, 피니언(43)과 맞물린 랙(42)을 통해 광픽업유니트(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왕복이송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구성의 종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광픽업유니트의 이송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데크에 설치함에 있어서 조립공차 등에 의해 랙과 피니언 사이의 간격이 설계치보다 커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랙과 피니언과의 물림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광픽업유니트의 정확한 위치제어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랙과 피니언에 형성된 백래쉬에 의해 랙과 피니언의 맞물림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광픽업유니트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픽업유니트에 결합된 랙과 모터에 연결된 피니언과의 맞물림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광픽업유니트의 위치제어가 정확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된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를 갖춘 데크의 개략적 저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를 갖춘 데크의 개략적 저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송장치의 랙 부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재들의 Ⅳ-Ⅳ선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재들의 Ⅴ-Ⅴ선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데크 10...턴테이블
20...광픽업유니트 30...가이드레일
40...모터 43...피니언
50...랙 51...본체부
52...랙부 53...탄성편형부
70...판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는, 데크상에서 광픽업유니트를 왕복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광픽업유니트를 상기 왕복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광픽업유니트에 결합되는 랙과, 상기 데크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광픽업유니트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상기 피니언측으로 유동 가능하며 그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부를 구비하며; 상기 랙부를 상기 피니언 측으로 탄력적으로 압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를 채용한 데크의 개략적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랙 부위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랙 부위의 Ⅳ-Ⅳ선 결합단면도 및 Ⅴ-Ⅴ선 결합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부재나 부위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부재나 부위와 동일한 기능을 행하는 것이며 도 2에 있어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와 마찬가지로, 데크(1)에 설치되어 광픽업유니트(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30)과, 데크(1)에 설치된 모터(40) 및 기어(41)들과, 기어(41)들을 통해 모터(40)에 연결되는 피니언(43)과 광픽업유니트(20)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43)과 맞물리는 랙(50)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랙(50)은 광픽업유니트에 고정되는 본체부(51)와, 피니언(43)에 맞물리는 랙부(5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부(51)와 랙부(52)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랙부(52)는, 상기 탄성변형부(53)의 변형시에 피니언(43) 측으로 유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본체부(51)와 랙부(52)와 탄성변형부(53)는 서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51)에는 랙부(52)를 피니언(43)측으로 압압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서의 판스프링(60)의 일단부(61)가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판스프링(60)에는 한 쌍의 구멍(63)이 형성되어 있으며, 랙(50)의 본체부(51)에는 상기 판스프링(60)의 구멍에 끼워져서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열가압에 의해 판스프링(60)의 상면에 눌려 붙여지는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판스프링(60)의 타단부(62)는 탄력적으로 위치변형되면서 본체부(51)와 랙부(52) 사이로 끼워져서 랙부(52)의 배면에 접촉되게 됨으로써, 랙부(52)를 피니언(43) 측으로 압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모터(40)가 작동하게 되면 그 모터(40)의 회전력이 기어(41)들을 통해 피니언(43)으로 전달되어 피니언(43)이 회전하게 되고, 그 피니언(43)과 맞물린 랙(50)을 통해 광픽업유니트(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점은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그런데,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데크(1) 상에 그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들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랙(50)과 피니언(43) 사이의 간격이 조립공차 등에 의해 설계값보다 약간 커지게 되더라도,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랙부(52)가 판스프링(60)의 탄력에 의해 탄성변형부(53)를 변형시키면서 피니언(43) 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랙(50)에 있어서 광픽업유니트(20)에 고정되는 본체부(51)는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랙부(52)만 피니언(43) 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랙부(52)의 이빨들은 피니언(43)의 이빨들 사이로 깊숙히 진입되게 되어 랙부(52)와 피니언(43)와의 맞물림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광픽업유니트(20)의 이송 및 위치제어가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랙부(52)과 피니언(43)에 형성하여 둔 백래쉬에 의한 랙부(43) 피니언(43)과의 맞물림의 저하도 상기 판스프링(60)의 탄력에 의해 보상되어 광픽업유니트(20)의 보다 확실한 이송 및 위치제어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판스프링(60)을 랙(50)에 고정하기 위하여, 판스프링(60)에 구멍(63)을 형성하고 랙(50)의 본체부(51)에는 상기 구멍(63)들에 끼워진 후 열가압되어 판스프링(60)에 눌려 붙여질 돌기(54)를 형성하였으나, 판스프링(60)을 랙(50)의 본체부(51)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예를 들어 판스프링(60)을 나사에 의해 또는 본딩에 의해 랙(50)에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는, 피니언과 결합되는 랙이 광픽업유니트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피니언측으로 유동 가능하며 그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부를 구비하며, 랙부는 탄성수단에 의해 피니언 측으로 탄력적으로 압압되어 그 피니언과 확실하게 맞물리도록 되어 있으므로, 광픽업유니트의 이송 및 위치제어가 확실하게 행해질 수 있다.

Claims (3)

  1. 데크상에서 광픽업유니트를 왕복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크에 설치되어 상기 광픽업유니트를 상기 왕복이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광픽업유니트에 결합되는 랙과, 상기 데크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랙과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한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광픽업유니트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상기 피니언측으로 유동 가능하며 그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부를 구비하며;
    상기 랙부를 상기 피니언 측으로 탄력적으로 압압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랙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랙부의 배면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
KR2019960028823U 1996-09-10 1996-09-10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유니트 이송장치 KR199800155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823U KR19980015587U (ko) 1996-09-10 1996-09-10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유니트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823U KR19980015587U (ko) 1996-09-10 1996-09-10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유니트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587U true KR19980015587U (ko) 1998-06-25

Family

ID=5397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823U KR19980015587U (ko) 1996-09-10 1996-09-10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유니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5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531B1 (ko) * 1999-02-25 2001-09-26 윤종용 하드디스크드라이브용 서보트랙라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531B1 (ko) * 1999-02-25 2001-09-26 윤종용 하드디스크드라이브용 서보트랙라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10152A (ja) 光ピックアップの移送機構
KR20040107820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이송장치
KR19980015587U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픽업 유니트 이송장치
JP3695617B2 (ja) レンズ位置調整固定装置
EP1923879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261093B1 (ko) 광픽업 이송장치
US6744723B2 (en) Guide shaft support mechanis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017657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트레이 이송장치
KR100195143B1 (ko) 광픽업 이송장치
KR19980015439A (ko) 디스크플레이어의 광픽업유니트 이송장치
KR100289720B1 (ko) 광픽업이송장치
KR200194917Y1 (ko) 광디스크 드라이버용 픽업 가이드 샤프트의 설치구조
KR19980037150A (ko) 광픽업 이송장치
KR900001488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초기정보인식 스위치 조정장치
KR920001375Y1 (ko) 디스크형 기록매체 재생장치의 픽업 보냄기구
KR0177332B1 (ko) 대물렌즈 접착용 대물렌즈 누름장치
US7065775B2 (en) Optical disc apparatus
KR0126106Y1 (ko) 디스크 장전장치
KR100455889B1 (ko) 광 기록재생장치
KR200176404Y1 (ko) 광픽업 이송장치
KR20030018256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픽업가이드장치
KR19990025431U (ko) 광픽업의 구동장치
EP1521249A2 (en) Scanning device for an apparatus for reading from or writing to optical recording media
JPH04302825A (ja) フォトディテクタ装置
KR20020027715A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픽업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Withdrawal of utility model application requested before decision to regi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