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404Y1 - 광픽업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404Y1
KR200176404Y1 KR2019960053130U KR19960053130U KR200176404Y1 KR 200176404 Y1 KR200176404 Y1 KR 200176404Y1 KR 2019960053130 U KR2019960053130 U KR 2019960053130U KR 19960053130 U KR19960053130 U KR 19960053130U KR 200176404 Y1 KR200176404 Y1 KR 2001764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pickup
rack
pickup unit
coupli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0055U (ko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53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4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40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4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4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Landscapes

  • Moving Of Heads (AREA)

Abstract

광픽업 유니트를 이송하기 위한 광픽업 이송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광픽업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기어와 결합되어 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랙과 결합되며 광기록매체의 정보를 검출하는 광픽업 유니트와; 광픽업 유니트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여 된 광픽업 이송장치에 있어서, 광픽업 유니트에는 적어도 2개의 결합공이 마련되고, 랙의 일측에는, 그 랙을 상기 광픽업 유니트와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공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결합공들 중 나머지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되고, 랙의 타측에는, 가이드레일이 끼워지는 슬라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광픽업 이송장치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안정된 광픽업 유니트의 이송이 확보된다.

Description

광픽업 이송장치
본 고안은 광픽업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D-P(compact disk player) 또는 CD-ROM 드라이브용 광픽업 유니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광픽업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LDP(Laser Disc Player), CDP(Compact Disc Player), MODD(Magnetic Optical Disc Driver)등에서 사용되는 광픽업장치는 광 기록매체에 광빔을 주사하고, 그 매체로부터 반사되는 광빔을 검출하여 그 광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 광픽업장치는 광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의 올바른 판독을 위하여 광 기록매체에 대해 정확한 포커싱 및 트랙킹을 해야하므로, 광픽업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은 정밀하게 동작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광픽업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랙의 발췌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픽업 이송장치는 구동원인 구동모터(1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기어(12)와, 그 제1기어(12)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제2,3,4기어(13)(14)(15)를 포함한다. 상기 제2,3,4기어(13)(14)(15)의 상부에는 데크(미도시)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8)(19)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광픽업 유니트(1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광픽업 유니트(10)의 일측에는 제4기어(15)와 결합된 랙(20)이 고정된다.
상기 랙(20)은 광픽업 유니트(10)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23)와 제4기어(15)와 맞물리는 톱니부(26)를 포함한다. 상기 랙(20)의 결합부(23)에는 광픽업 유니트(10)에 고정된 핀(30)이 끼워지는 관통공(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3a)에 핀(30)이 끼워짐으로써 랙(20)은 광픽업 유니트(10)에 고정된다. 상기 핀(30)에는 이 핀(30)이 이탈되지 않도록 와셔(31)가 결합된다. 그리고, 랙(20)의 양단에는 가이드레일(18)과 점접촉하는 접촉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광픽업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11)의 고속 회전 운동은 제1,2,3,4기어(12)(13)(14)(15)에 의해 저속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저속 회전 운동은 랙(20)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랙(20)과 결합된 광픽업 유니트(10)는 미도시된 광 기록매체상에서 트래킹한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광픽업 이송장치에 있어서, 구동모터(1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20)은 하나의 핀(30)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10)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랙(20)이 구동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이송될 때, 그 랙(20)은 핀(30)을 중심으로 좌우 유동이 생기고 이에 따라 광픽업 유니트(10)의 흔들림이 발생된다. 이러한 광픽업 유니트(10)의 흔들림은 광픽업 유니트(10)를 광 기록매체상의 정해진 트랙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정확한 정보의 픽업을 방해하여 픽업 에러를 유발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안정된 광픽업 유니트의 이송을 보장하는 광픽업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광픽업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랙의 발췌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Ⅳ-Ⅳ'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픽업 유니트의 발췌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랙의 발췌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Ⅷ-Ⅷ' 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Ⅸ-Ⅸ' 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광픽업 유니트 110a ... 대결합공
110b,110c ... 소결합공 111 ... 구동모터
112,113,124,115 ... 제1,2,3,4기어
118,119 ... 가이드레일 120 ... 랙
123 ... 결합부 126 ... 톱니부
129 ... 슬라이드부 129a,129b ... 돌기부
230b,230c ... 결합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와 결합되어 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상기 랙과 결합되며 광기록매체의 정보를 검출하는 광픽업 유니트와; 상기 광픽업 유니트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여 된 광픽업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 유니트에는 적어도 2개의 결합공이 마련되고; 상기 랙의 일측에는, 그 랙을 상기 광픽업 유니트와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공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결합공들 중 나머지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랙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끼워지는 슬라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핀부재 또는 볼트부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을 작게 하기 위하여 그 가이드레일의 외주면과 점접촉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픽업 유니트의 발췌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랙의 발췌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Ⅷ-Ⅷ'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Ⅸ-Ⅸ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픽업 이송장치는 구동원인 구동모터(11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1기어(112)와, 그 제1기어(112)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제2,3,4기어(113)(114)(115)를 포함한다. 상기 제2,3,4기어(113)(114)(115)의 상부에는 데크(미도시)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18)(119)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광픽업 유니트(110)가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광픽업 유니트(110)의 일측에는 제4기어(115)와 결합된 랙(120)이 고정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광픽업 유니트(110)에는 대결합공(110a)과 그 대결합공(110a)의 양측에 2개의 소결합공(110b)(110c)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랙(120)의 일측에는 상기 광픽업 유니트(110)에 결합되는 결합부(123)가, 랙(120)의 타측에는 가이드레일(118)이 끼워지는 슬라이드부(129)가, 랙(120)의 하부에는 상기 제4기어(115)와 맞물리는 톱니부(12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23)에는 상기 대결합공(115)에 삽입되는 돌출부(123a)가 그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3a)의 양측에는 상기 소결합공(110b)(110c)에 대응하는 한 쌍의 관통공(123b)(12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23b)(123c)과 소결합공(110b)(110c)은 결합부재(230b)(230c)에 의해서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소결합공(110b)(110c)에 끼워지는 핀부재나 볼트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부(12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이곳으로 가이드레일(180)이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드부(129)의 내주면에는, 가이드레일(180) 상에서 랙(120)이 최소 마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180)의 외주면에 점접촉되는 돌기부(129a)(129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광픽업 이송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111)의 고속 회전 운동은 제1,2,3,4기어(112)(113)(114)(115)에 의해 저속 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저속 회전 운동은 랙(120)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랙(120)과 결합된 광픽업 유니트(110)는 미도시된 광 기록매체상에서 트래킹한다. 이때, 상기 랙(120)이 가이드레일(180)상에서 운동할 때, 랙(120)의 결합부(123)가 광픽업 유니트(110)에 돌출부(123a) 및 결합부재(230b)(230c)에 의해 고정되므로, 랙(120)은 광픽업 유니트(110)에 대해 좌우 흔들림이 없다. 또한, 상기 결합부(123)가 광픽업 유니트(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129)가 가이드레일(180)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므로 랙(120)의 흔들림은 더욱 줄어든다. 따라서, 랙(120)과 결합된 광픽업 유니트(110)가 안정적으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129)의 내주면에는 돌기부(129a)(129b)가 형성되어 그 돌기부(129a)(129b)가 가이드레일(180)의 외주면에 점접촉되므로, 랙(120)이 가이드레일(180) 상부에서 이송시, 이송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을 가지고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픽업 이송장치는, 1개의 돌출부및 2개의 관통공과, 가이드레일에 직접 지지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랙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광픽업 유니트에 대한 랙의 고정을 확고히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부의 내주면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그 돌기부가 가이드레일의 외주면에 점접촉되므로, 랙이 가이드레일 상부에서 이송시 이송 마찰력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상기 기어와 결합되어 그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상기 랙과 결합되며 광기록매체의 정보를 검출하는 광픽업 유니트와; 상기 광픽업 유니트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구비하여 된 광픽업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 유니트에는 적어도 2개의 결합공이 마련되고;
    상기 랙의 일측에는, 그 랙을 상기 광픽업 유니트와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결합공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돌출부 및 상기 결합공들 중 나머지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랙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이 끼워지는 슬라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핀부재 또는 볼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마찰을 작게 하기 위하여 그 가이드레일의 외주면과 점접촉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이송장치.
KR2019960053130U 1996-12-19 1996-12-19 광픽업 이송장치 KR2001764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130U KR200176404Y1 (ko) 1996-12-19 1996-12-19 광픽업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130U KR200176404Y1 (ko) 1996-12-19 1996-12-19 광픽업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055U KR19980040055U (ko) 1998-09-15
KR200176404Y1 true KR200176404Y1 (ko) 2000-05-01

Family

ID=1948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130U KR200176404Y1 (ko) 1996-12-19 1996-12-19 광픽업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4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055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191B1 (ko) 광 기록 재생 장치
US7124419B2 (en) Feed screw driver and information recorder/reproducer
JP2003208765A (ja) 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装置
KR910018999A (ko) 광학식 디스크상의 구동장치
KR200176404Y1 (ko) 광픽업 이송장치
KR960002199A (ko) 광학 픽업
KR20040095006A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광 픽업 이송장치
KR100252123B1 (ko) 광픽업 이송장치용 이중기어
KR100463977B1 (ko) 축습동 광 픽업 액츄에이터
KR930006571Y1 (ko) 픽업 구동장치
JP4420985B2 (ja) 光ピックアップ移送装置
KR200249214Y1 (ko) 광디스크장치의대물렌즈구동장치
JP3014740B2 (ja)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KR930006574Y1 (ko) 픽업 구동장치
KR100289720B1 (ko) 광픽업이송장치
KR100529125B1 (ko) 광픽업 이송 장치
KR19990029498U (ko) 광 픽업부의 이송 장치
KR100213074B1 (ko) 픽업조립체 및 그 안내장치가 개선된 디스크 드라이브
US6744723B2 (en) Guide shaft support mechanis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619422B2 (ja) 光ヘッド装置
KR19990008732A (ko) 광픽업 유니트 이송장치
JPH04143932A (ja) 光学ヘッド駆動装置
KR0176584B1 (ko) 광픽업 구동장치
KR890000124Y1 (ko) 비디오 디스크플레이어의 픽업 안내장치
KR850002943Y1 (ko) 신호 픽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