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036U - 자동필러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필러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036U
KR19980015036U KR2019960028240U KR19960028240U KR19980015036U KR 19980015036 U KR19980015036 U KR 19980015036U KR 2019960028240 U KR2019960028240 U KR 2019960028240U KR 19960028240 U KR19960028240 U KR 19960028240U KR 19980015036 U KR19980015036 U KR 199800150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chute
ladle
rotary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2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옥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282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5036U/ko
Publication of KR199800150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03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필러(filler)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래들(ladle) 바닥면에 설치된 노즐(nozzle)부로 필러를 인력으로 투입하는 것을 지상에 설치된 저장실내의 필러를 이송수단 및 슈트부재로서 자동투입하여 주조작업성을 크게 개선한 자동필러 투입장치게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래들에 인접한 장소에 저장실을 갖추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는 이송수단을 내장한 케이싱을 갖추어 필러를 이송하는 수송부;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입구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회전슈트를 갖추며, 상기 회전슈트 출구측의 안내슈트에 상하작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상하슈트를 갖추어 필러투입이 이루어지는 공급부; 상기 회전슈트의 터닝기어부재에 맞물리는 회전용 모터를 갖추고, 상기 상하슈트에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되는 상하용 모터를 갖추어 작업조건에 맞추어 슈트부재를 움직이는 작동부; 상기 모터부재 및 이송수단의 작동을 단속하는 다수개의 버튼부재를 장착한 운전판넬을 갖춘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필러 투입장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필러 투입장치
본 고안은 자동필러(filler)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래들(ladle) 바닥면에 설치된 노즐(nozzle)부로 필러를 인력으로 투입하는 것을 지상에 설치된 저장실내의 필러를 이송수단 및 슈트부재로서 자동투입하여 주조작업성을 크게 개선한 자동필러 투입장치게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제강공정에서 생산되는 용강을 수강할 수 있는 래들(1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하저부에 용강 주입작업이 가능하도록 노즐부(100)를 갖추어 구성하며, 용강을 수강하기 전에 먼저, 필러(2)라는 충진재를 상기 래드(110)의 노즐부(100)에 투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필러(2)를 투입시킨후, 용강을 수강하여 연주공정을 위해서 상기 노즐부(100)을 개방했을 때, 투입된 필러(2)가 상기 노즐부(100)로 부터 빠져나오면서 래드(110)내에 수강되어 있던 용강이 연속적으로 나오게 되는 자연개공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러(2)에 의한 자연개공현상이 발생되는 노즐부(100)는 래들철피(101)에 용강이 빠져나올 수 있는 톱노즐(top nozzle)(102)을 하저부에 갖추며, 상기 톱노즐(102)의 하단부에는 상,하부 플레이트(103),(104)를 갖추고, 상기 래들(110)내의 톱노즐(102) 둘레에는 받침연와(105)를 구축하여 갖추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라 필러(2)의 투입에 의한 자연개공현상을 상기 노즐부에서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상으로 부터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래들(110)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된 작업대(120)의 데크(deck)로 필러박스(140)를 올려놓는다. 그리고, 필러(2)투입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래들(110)과 데크(130)를 연결하는 보조데크(130a)를 내리고, 다수개의 필러가 담겨진 필러박스(140)를 해체한 다음, 작업자가 상기 필러(2)를 손으로 상기 래들(110)내로 하나씩 투입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노즐부(100)내로 투입되는 상기 필러(2)의 소요량은 일반적으로 35 내지 60Kg 정도이고, 비닐봉지로서 포장된 필러(2)의 중량은 5 내지 6Kg 정도인바, 작업자가 다수회의 투입동작으로 낱개 포장된 상기 필러(2)를 노즐부(100)내로 던져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부하가 크다. 그리고, 상기 래들(110)내부에서 발생하는 온도가 1000℃의 고온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투입 동작시 화상재해 및 고소(高所)의 작업대로 부터 작업자의 추락위험성이 항상 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러(2)의 부정확한 노즐부(100)로의 투입작업으로 필러(2)의 손실과 비닐포장에 따른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한편, 상기 필러(2)를 포장한 비닐봉지가 상기 노즐부내부에서 녹아 막으면서, 필러(2)의 흐름을 방해하게 됨으로써, 용강이 배출되는 자연개공현상이 불량해져 연주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주공정을 위한 래들작업 준비완료후, 간단한 조작으로 노즐부의 자연개공현상을 위한 필러의 투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산업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별도의 필러 포장비용 및 필러손실을 방지하여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한편, 용강수강전에 노즐부의 원활한 자연개공현상을 보강하여 연속주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필러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필러투입 작업상태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도 2는 일반적인 래들의 노즐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필러 투입장치10 : 수송부
11 : 저장실12 : 케이싱
13 : 수송수단13a : 버켓
20 : 공급부21 : 회전슈트
22 : 상하슈트30 : 작동부
31 : 터닝기어부재32 : 회전용 모터
34 : 베어링부재36 : 상하용 모터
40 : 제어부33 : 버튼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속주조라인에서 용강을 수강하는 래들의 노즐부내로 필러를 투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들에 인접한 장소에 저장실을 갖추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는 이송수단을 내장한 케이싱을 갖추어 필러를 이송하는 수송부; 상기 케이싱의 상측에 입구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회전슈트를 갖추며, 상기 회전슈트 출구측의 안내슈트에 상하작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상하슈트를 갖추어 필러 투입이 이루어지는 공급부; 상기 회전슈트의 터닝기어부재에 맞물리는 회전용 모터를 갖추고, 상기 상하슈트에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되는 상하용 모터를 갖추어 작업조건에 맞추어 슈트 부재를 움직이는 작동부; 상기 모터부재 및 이송수단의 작동을 단속하는 다수개의 버튼부재를 설치한 운전판넬을 갖춘 제어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필러 투입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를 구성하는 슈트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업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1)는 연속주조라인에서 용해된 용강을 수강할 수 있는 래들(110)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래들(110)의 노즐부(100)내로 필러(2)를 자동투입시켜, 원할한 연주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연개공현상을 안정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는 수송부(10), 공급부(20), 작동부(30) 및 제어부(40)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래들(110)내로 투입하고자 하는 필러(2)를 이송하는 상기 수송부(10)는 상기 래들(110)에 인접한 장소에 일정량의 필러(2)를 저장할 수 있는 필러저장호퍼(hopper)와 같은 저장실(11)을 갖추고, 상기 저장실(11)의 일측으로 부터 상측으로 연속 연장되고, 내부에 콘베어(conveyor)와 같은 이송수단(13)을 장착한 케이싱(casing)(12)을 갖추며, 다수개의 버켓(13a)을 장착한 상기 이송수단(13)은 그 양단부에 풀리(13b)를 갖추어 외부동력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들(110)내로의 필러투입을 수행하는 공급부(20)는 상기 케이싱(12)의 상측에 형성된 연결관(12a)에 회전가능하도록 입구측이 연결된 회전슈트(21)를 갖추며, 상기 회전슈트(21)의 출구측에는 일체로 형성된 수직형의 안내슈트(21a)를 갖추고, 그 내부에는 상하작동이 가능하고, 노즐부(100)내로 필러(2)투입작업시, 상기 필러(2)의 흩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일정크기의 상하슈트(22)를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필러(2)의 투입 작업 상황에 따라 상기 회전슈트(21)와 상하슈트(22)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작동부(30)는 상기 회전슈트(21) 입구측의 그 외부면 둘레에 터닝기어(turning gear) 부재(31)를 갖추며, 상기 터닝기어부재(31)와 맞물리는 기어부재(32a)를 선단부에 장착한 회전용 모터(32)를 갖추는 한편, 상기 회전용 모터(32)의 구동으로 인해서 수직축에 대하여 양방향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슈트(21)의 하부면 일측에는 지지바(33)에 의해 고정되는 베어링 부재(34)를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슈트(21)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안내슈트(21a)의 내부에 장착된 상하슈트(22)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35)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하용 모터(36)를 갖추고, 상기 와이어(35)는 상기 회전슈트(21)에 수직 설치된 브라켓(38)의 시브(sheave)(37)에 걸쳐 연결됨으로써, 상기 상하슈트(22)의 상하작동을 원할히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장치의 운전을 단속하는 제어부(40)는 복수개의 상기 모터 부재(32), (36) 및 이송수단(13)의 구동을 단속하여 원할한 필러 투입작업을 수행하도록 다수개의 버튼부재(42)를 갖는 운전판넬(41)을 갖추어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조를 갖는 자동필러 투입장치(1)를 이용하여 일정 필러(2)소요량, 35 내지 60Kg 을 래들(110)내의 노즐부(100)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상에 설치된 저장실(11)내에 일정량의 필러(2)를 저장한 다음, 상기 필러(2)를 투입하고자하는 상기 래들(110)의 상부측으로 부터 벗어나 있던 회전슈트(21)를 상기 회전용 모터(32)의 구동으로 상기 노즐부(100)위치 직상부측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이때, 이러한 회전슈트(21)의 회전이동은 터닝기어부재(31)와 베어링부재(34)에 의해 원할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회전슈트(21)의 안내슈트(21a)에 장착된 상하슈트(22)를 상하용 모터(36)의 구동으로 하측으로 일정길이 하강시키면, 노즐부(100)로의 필러 투입 작업시 상기 필러(2)의 흩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2)내부에 설치된 이송수단(13)를 구동시키면, 상기 저장실(11)내에 저장된 필러(2)가 버켓(13a)에 담겨져서 상기 케이싱(12)의 상측에 연결된 회전슈트(21)내로 낙하공급되고, 연속하여 상기 상하슈트(22)를 통하여 직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노즐부(110)로 정확히 적정량 투입되어 바람직한 자연개공현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이, 자연개공현상을 위한 필러투입을 종료하면, 운전판넬(41)의 버튼조작으로 상기 이송수단(13) 정지시켜 필러(2)의 수송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회전슈트(21) 및 상하슈트(22)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서, 주조공정을 마친 래들(110)의 인출작업에 따른 장치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필러 투입장치(1)에 의하면, 적정한 필러(2)소요량에 맞추어 저장실(11)에 담겨진 필러(2)를 이송수단(13)으로써 자동공급하여 불필요한 비닐포장 및 박스포장을 배제할 수 있고, 모터부재(32),(36)의 구동으로 회전슈트(21) 및 상하슈트(22)를 작동시키고, 이를 통하여 필러(2)를 노즐부(100)내로 투입으로써, 자연개공현상을 현저히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작업자의 과부하를 방지하며, 산업재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연주공정의 작업성을 개선하는 실질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연속주조라인에서 용강을 수강하는 래들(110)의 노즐부(100)내로 필러(2)를 투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들(110)에 인접한 장소에 저장실(11)을 갖추고, 상기 저장실(11)의 일측에는 이송수단(13)을 내장한 케이싱(12)을 갖추어 필러(2)를 이송하는 수송부(10);
    상기 케이싱(12)의 상측에 입구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회전슈트(21)를 갖추며, 상기 회전슈트(21) 출구측의 안내슈트(22)에 상하작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상하슈트(22)를 갖추어 필러(2) 투입이 이루어지는 공급부(20);
    상기 회전슈트(21)의 터닝기어부재(31)에 맞물리는 회전용 모터(32)를 갖추고, 상기 상하슈트(22)에 연결된 와이어(35)와 연결되는 상하용 모터(36)를 갖추어 작업조건에 맞추어 슈트 부재(21), (22)를 움직이는 작동부(30);
    상기 모터부재(32), (36) 및 이송수단(13)의 작동을 단속하는 다수개의 버튼부재(42)를 설치한 운전판넬(41)을 갖춘 제어부(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필러 투입장치.
KR2019960028240U 1996-09-05 1996-09-05 자동필러 투입장치 KR199800150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40U KR19980015036U (ko) 1996-09-05 1996-09-05 자동필러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240U KR19980015036U (ko) 1996-09-05 1996-09-05 자동필러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036U true KR19980015036U (ko) 1998-06-25

Family

ID=5397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240U KR19980015036U (ko) 1996-09-05 1996-09-05 자동필러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503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234B1 (ko) * 2000-11-17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필러 자동투입장치
KR100803979B1 (ko) * 2002-05-29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의 휠러 유실방지캡 공급장치
KR102488340B1 (ko) * 2022-09-01 2023-01-13 주식회사 엠텍 제철용 래들의 모래투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234B1 (ko) * 2000-11-17 2005-05-17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필러 자동투입장치
KR100803979B1 (ko) * 2002-05-29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들의 휠러 유실방지캡 공급장치
KR102488340B1 (ko) * 2022-09-01 2023-01-13 주식회사 엠텍 제철용 래들의 모래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530B1 (ko) 턴디쉬 플럭스 투입장치
KR19980015036U (ko) 자동필러 투입장치
KR102227507B1 (ko) 용탕 주입장치
KR200223042Y1 (ko) 래들필러 자동투입장치
KR100742846B1 (ko) 전로 노상호퍼의 상측 부원료 불출장치
KR20110034467A (ko) 연속 주조설비용 침지 노즐의 교반장치
KR200188960Y1 (ko) 전로 합금철 다기능 투입장치(Ferro alloy Supplier)
KR101442586B1 (ko) 레이들의 용강출수구 반자동 개공기
KR100708063B1 (ko) 티엘씨 와구용 보온재 투입장치
EP1512333B1 (en) Apparatus for manual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basket of a centrifugal machine for drying various products, particularly loose vegetables
KR20080057110A (ko) 전기로의 개공 장치
EP0375631B1 (en) A system for supplying tobacco to cigarette-making machines
KR101237081B1 (ko) 쉽로더의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2488340B1 (ko) 제철용 래들의 모래투입장치
KR100896615B1 (ko) 필러의 래들 투입장치
JPH0825023A (ja) 取鍋底部への流し込み材充填装置
KR200209379Y1 (ko) 버블링 기능이 겸비된 합금철 투입장치
KR200263751Y1 (ko) 필라재 자동 투입장치
CN220317166U (zh) 一种粉料吊装系统
JP2022006232A (ja) セメント投入機
KR200272288Y1 (ko) 래이들 유출구 필러 자동투입장치
JP2632662B2 (ja) バケット搬送供給装置
KR20120012350A (ko) 레이들용 필러캡 및 그 투입장치
KR100374212B1 (ko) 하역기 호퍼게이트의 개폐상태 확인장치
JP2941735B2 (ja) 転炉用地金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