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211U - 틸트힌지 - Google Patents

틸트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211U
KR19980014211U KR2019960054167U KR19960054167U KR19980014211U KR 19980014211 U KR19980014211 U KR 19980014211U KR 2019960054167 U KR2019960054167 U KR 2019960054167U KR 19960054167 U KR19960054167 U KR 19960054167U KR 19980014211 U KR19980014211 U KR 199800142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l
rotating shaft
bracket
portions
til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4752Y1 (ko
Inventor
히데야 다지마
Original Assignee
가토 지아키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지아키, 가토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지아키
Publication of KR19980014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2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087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with substantially axial friction, e.g. friction dis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너무 높은 토오크는 바라지는 않지만, 소형으로 설치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는 염가의 틸트힌지를 제공한다.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설치한 컬부에 회전 자유로이 삽입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서로 감기방향을 바꾼 복수의 컬부로 구성하고, 이 복수의 컬부에 회전축을 압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컬부의 축방향의 폭을 대략 동일하게 한다. 혹은 상기 복수의 컬부중의 어느 하나의 말려두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부착한 스토퍼핀과 맞닿는 스토퍼핀을 부착한다.

Description

틸트힌지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틸트힌지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틸트힌지의 일부 단면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브래킷의 전개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틸트힌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래킷1a : 부착부2 : 세로홈
3 : 제1컬부3a : 틈새3b : 스토퍼 돌기
4 : 제2컬부4a : 틈새5 : 회전축
5a,5b : 둘레홈7 : 스토퍼핀8a,8b : 크로스홈
9 : 그리스굄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노트형 퍼스컴 등의 소형의 OA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체를 키보드 등을 구비한 장치 본체에 대하여 임의의 개성각도로 정지유지 시킬 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틸트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 종류의 틸트힌지로서, 브래킷에 설치한 축받이부에 회전축을 회전 자유로이 축받이시켜 상기 축받이부에 그 중심부에 회전축을 끼워 통하게 한 프릭션 플레이트를 탄성수단을 통하여 압접시켜 회전축과 브래킷과의 사이에 프릭션 토오크를 창출시키도록 한 것이 공지이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이 종래의 공지의 틸트힌지는 회전축의 외경이 10ø이상이라든가, 어느 정도의 외경이 있는 경우에는 프릭션 토오크를 발생시키는데 유효한 것이지만, 이 틸트힌지를 사용하는 OA기기가 예를 들면 노트형 퍼스컴이라는 것처럼 소형화한 경우에는 회전축의 외경도 4ø든가 5ø인 것과 같이 소경의 것이 요구되는 것으로 되어, 프릭션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토오크의 창출수단에서는 프릭션 면적의 감소로부터 필요하다고 충분한 프릭션 토오크를 창출할 수 없다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탄성수단에 복수매의 접시스프링을 포개어 사용하여 이들을 회전축에 나사 붙임시키거나 회전고정너트로 체결하고, 프릭션 플레이트를 축받이부에 압접시키도록 구성한 틸트힌지를 고안하였지만, 이것은 부품개수가 많아지고 동시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것으로, 제작코스트가 높아지고, 소형으로 고토오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만 용도가 한정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너무 고토오크는 바랄 수 없지만, 소형으로 설치 스페이스를 차지하지 않는 염가한 틸트힌지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설치한 컬부에 회전자유로이 삽입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서로 감는 방향을 변경한 복수의 컬부로 구성하고, 이 복수의 컬부에 회전축을 압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컬부의 축방향의 폭을 대략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설치한 컬부에 회전시에 개입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감기 방향을 변경한 복수의 컬부로 구성하고, 이 복수의 컬부에 회전축을 압입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컬부중의 어느 하나의 것의 감기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부착한 스토퍼핀과 맞닿는 스토퍼핀을 설치함으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더욱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설치한 컬부에 회전시에 삽입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감기방향을 변경한 복수의 컬부로 구성하고, 이 복수의 컬부에 회전축을 압입시켜 상기 컬부의 축방향을 대략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컬부중의 어느 하나의 감기방향에 상기 회전축에 부착한 스토퍼핀과 맞닿는 스토퍼핀을 설치함으로서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어느 경우에도 본 고안은 상기 회전축과 복수의 컬부 사이에 그리스굄을 형성함에 있어서, 이 그리스굄을 상기 회전축에 설치한 복수의 둘레홈과, 상기 각 컬부에 형성시킨 단수 혹은 복수의 서로 교차하는 크로스홈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작용)
청구항 1과 같이 구성하면, 회전축에 대한 각 컬부의 마찰면적이 동일하게 되므로, 회전축의 좌우 어느 회전방향에 있어서도 분산이 적은 균등한 프릭션 토오크를 창츨할 수 잇다.
청구항 2와 같이 구성하면, 컬부의 회전축을 체결하는 방향으로 스토퍼가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중에 컬부가 확장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3과 같이 구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청구항 1과 2를 합한 작용을 이룰 수 있다.
청구항 4와 같이 구성하면, 그리스의 지탱이 좋게 되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회전축의 회전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고안실시의 형태]
도면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1은 장치 본체측에 고착되는 브래킷이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브래킷(1)은 평탄한 부착부(1a)의 일측부의 중앙부에서 세로홈(2)이 설치되고, 이 세로홈(2)을 끼고 좌우로 서로 말려드는 방향이 다른 제1컬부(3)와 제2컬부(4)가 축심을 공통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각 컬부(3,4)의 직경은 실시예의 것으로 4ψ정도이다. 이 제1컬부(3)와 제2컬부(4)에는, 그 각 말려들기 선단측과 부착부(1a)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틈새(3a,4a)가 설치됨과 동시에 담금질 등의 수단에 의하여 탄성이 부여되어 있다. 제1컬부(3)의 말려드는 방향에는 스토퍼돌기(3b)가 설치되어 있다.
5는 같은 스테인리스 강제의 회전축이고, 그 외주에는 제1컬부(3)와 제2컬부(4)에 대응시켜 각각 2개씩의 둘레홈(5a,5a·5b,5b)이 새겨 만들어져 있다.
이 회전축(5)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이 부여된 제1컬부(3)와 제2컬부(4)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컬부(3)와 제2컬부(4)에 압입됨으로써 프릭션토오크가 창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축(5)의 일단부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는 개폐체에 고착되는 부착부재(6)가 장치됨과 동시에, 제1컬부(3)에 설치한 스토퍼 돌기(3b)와 맞닿는 측에 예를 들면 스프링핀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핀(7)이 부착되어 있다.
제5도는 브래킷(1)의 전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1컬부(3)로 되는 제1편부(1b)와 제4컬부로 되는 제2편부(1c)에는, X상으로 크로스시킨 크로스홈(8a,8a·8b,8b)이 각각 한쌍씩 설치되어 있다. 더욱 제2컬부(4)를 형성시키는 제2편부(1c)는 제1컬부를 형성하는 제1편부(1b)보다 약간 짧다. 그리고 브래킷(1)의 각 컬부(3,4)에 설치한 크로스홈(8a,8a·8b,8b)과 회전축(5)에 설치한 둘레홈(5a,5a·5b,5b)으로 그리스 굄(9)이 형성되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미코트와 같은 윤활유가 저유되어 있다.
더욱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컬부가 2개의 것을 표시하였지만, 이 컬부의 수를 예를 들면 3개, 4개와 같이 늘려도 좋다. 컬부의 수를 늘려서 그 축방향의 폭을 짧게 하면 그만큼 진원도(眞圓度)로 형성하기 쉬운 점이 있을 것이다. 또 브래킷(1)에는 복수의 부착구멍(1d)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 브래킷(1)의 평탄부를 질러넣는 식으로 하여도 좋다. 회전축(5)에는 그 일단부에 부착부재(6)가 코오킹 등의 수단으로 고착되어 있지만, 이를 생략하여 회전축(5)을 바로 개폐체로 고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브래킷의 재료는 스테인리스 강 이외에 스프링강, 니켈황동, 스프링용 인청동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청구항 1과 같이 구성하면, 감기방향의 같은 컬부의 수를 1대 1, 혹은 2대 2와 같이 가지런히 하면 회전축의 좌우 어느 회전방향에도 균등하게 프릭션 토오크가 발생하는 것으로 됨과 동시에, 회전축의 외주면과 컬부의 내주면과의 면접촉에 의한 마찰저항으로 되므로, 회전축의 직경을 작게 하더라도 필요로 되는 프릭션 토오크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고, 틸트힌지를 보다 소형으로 하더라도 필요한 프릭션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사실로 인하여 회전축에 부착한 디스플레이체와 같은 개폐체를 임의의 개성각도로 정지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2와 같이 구성하면, 개폐체를 한도까지 열어놓은 경우에 회전축의 스토퍼핀이 컬부의 말려드는 방향에 설치한 스토퍼핀에 맞닿는 것으로 되므로, 컬부는 그때마다 말려드는 방향의 힘을 받아, 여러해 사용 후에 있어서도 컬부의 내경이 확장하여 프릭션토오크가 변동하여 버리는 것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3과 같이 구성하면, 청구항 1과 청구항 2를 합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청구항 4와 같이 구성하면 축방향으로 긴 컬부로서도 항상 그리스가 전주에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는 것으로 되므로, 여러해 사용하더라도 마찰에 의한 프릭션 토오크의 감소나 이질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설치한 컬부에 회전자유로이 삽입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틸트힌지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서로 감기방향을 변경한 복수의 컬부로 구성하고, 이 복수의 컬부에 회전축을 압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컬부의 축방향의 폭을 대략 동일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2.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설치한 컬부에 회전시에 삽입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틸트힌지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서로 감기방향을 변경한 복수의 컬부로 구성하고, 이 복수의 컬부에 회전축을 압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컬부중의 어느 하나의 말려드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에 부착한 스토퍼핀과 맞닿는 스토퍼핀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3.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설치한 컬부에 회전시에 삽입된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틸트힌지에 있어서, 상기 컬부를 탄성을 가짐과 동시에 서로 감기방향을 변경한 복수의 컬부로 구성하고, 이 복수의 컬부에 회전축을 압입시켜 상기 컬부의 축방향을 대략 동일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컬부중의 어느 하나의 말려들어가는 방향에 상기 회전축에 부착한 스토퍼핀과 맞닿는 스토퍼핀을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복수의 컬부 사이에는 그리스 굄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그리스굄을 상기 회전축에 설치한 복수의 둘레홈과 상기 각 컬부에 형성시킨 다수 혹은 복수의 서로 교차하는 크로스홈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힌지.
KR2019960054167U 1996-08-05 1996-12-23 틸트힌지 KR20014475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06273A JPH1047337A (ja) 1996-08-05 1996-08-05 チルトヒンジ
JP96-206273 1996-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211U true KR19980014211U (ko) 1998-06-05
KR200144752Y1 KR200144752Y1 (ko) 1999-06-15

Family

ID=1652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167U KR200144752Y1 (ko) 1996-08-05 1996-12-23 틸트힌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47337A (ko)
KR (1) KR200144752Y1 (ko)
TW (1) TW31595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350B1 (ko) * 1999-07-24 2006-03-17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힌지장치
US6584646B2 (en) * 2000-02-29 2003-07-01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Tilt hinge for office automation equipment
JP3406558B2 (ja) * 2000-02-29 2003-05-12 株式会社下西製作所 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US6588062B2 (en) * 2001-09-11 2003-07-08 Cema Technologies, Inc. Spring loaded pop-up friction hinge assembly
TW534185U (en) * 2002-09-17 2003-05-21 Hon Hai Prec Ind Co Ltd Hinge Device
US6711782B1 (en) * 2002-12-03 2004-03-30 Sinher Technology Inc. Duplex opposite friction hinge
CN101677499B (zh) * 2008-09-17 2011-12-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铰链结构
JP5650696B2 (ja) * 2012-09-04 2015-01-0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スリットが形成された弾性変形体を有する機械式ストッパ装置、及び該機械式ストッパ装置を備えた多関節ロボット
JP7485326B2 (ja) * 2019-10-29 2024-05-1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装置並びに各種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47337A (ja) 1998-02-17
TW315950U (en) 1997-09-11
KR200144752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941B1 (ko) 사무자동화기기용 틸트힌지
KR100294295B1 (ko) 개폐체의개폐장치
KR100348824B1 (ko) 틸트힌지
JP3691630B2 (ja) 開閉体の開閉装置
KR200144752Y1 (ko) 틸트힌지
EP1338811B1 (en) Uniaxial hinge device with a plurality of torque generating parts
AU725339B2 (en) Friction hinge with detent capability
US6775884B2 (en) Clip-type friction hinge device
JPH09196048A (ja) チルトヒンジ
JP2012229717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2001107941A (ja) チルトヒンジ
JP2002005152A (ja) チルトヒンジ
KR0149120B1 (ko) 축받이구
WO2022030173A1 (ja) 片方向制動ヒンジ
KR200279159Y1 (ko) 마찰 힌지장치
KR200176127Y1 (ko) 클립형 토션 스프링을 사용한 마찰 힌지 장치
JPH0673280U (ja) チルトヒンジ
KR200343021Y1 (ko) 양방향성 커어링 힌지클립
KR100383730B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JP2003065355A (ja) トルクヒンジ又はトルクリミッタ
JPS63167118A (ja) ころ軸受装置
JP3000188U (ja) Oa機器用チルトヒンジ
KR200190936Y1 (ko) 클립형 마찰 힌지장치
KR100187530B1 (ko) 개폐체 지지용 힌지장치
KR200252210Y1 (ko) 모니터 힌지결합용 와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