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198A -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198A
KR19980014198A KR1019960033057A KR19960033057A KR19980014198A KR 19980014198 A KR19980014198 A KR 19980014198A KR 1019960033057 A KR1019960033057 A KR 1019960033057A KR 19960033057 A KR19960033057 A KR 19960033057A KR 19980014198 A KR19980014198 A KR 19980014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ter
temperature
outputting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1704B1 (ko
Inventor
윤주홍
Original Assignee
윤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홍 filed Critical 윤주홍
Priority to KR1019960033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7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14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8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온수의 온도가 위험한 상황을 충분히 전달하기가 어려우며, 고온의 온수로 인하여 빈번히 사고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고온의 온수에 대한 경고 메시지와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사용자가 물을 배출할때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며, 외부 환경에 따라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냉온정수기, 정수기, 냉온수기 등에 다양하게 이용됨.

Description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 정수기, 및 냉온수기의 작동상태와 현재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냉온정수기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01은 온도 센서, 102는 유량 센서, 103은 표시부, 1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105는 스위치 조작부를 각각 나타낸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4)가 온도 센서(101) 및 유량 센서(102)로부터 대략적인 물의 온도 및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단순한 형태로 온도 등을 표시부(103)에 표시하며, 스위치 조작부(105)를 통하여 외부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이처럼 종래의 냉온정수기는 제어부가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대략적으로 설정된 설정치에 따라 온수에 대한 온도를 단순 제어한다. 그리고, 온수의 현재 온도를 시각적으로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하기 때문에 온수의 온도에 대한 경각심을 사용자에게 충분히 전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냉온정수기에서는 온수의 온도가 위험한 온도인지를 사용자가 인식하기가 매우 어렵고,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을 충분히 전달하기가 어려우며, 위험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려워서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고온의 온수로 인하여 빈번히 사고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고온의 온수에 대한 경각심을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이에 대하여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정수기의 중요 부분인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음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사용자가 새로운 정수 필터(Filter)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물을 배출할때 자연의 소리(예 : 계곡 물소리, 폭포수 소리, 새 울음 소리, 풀벌레 울음소리, 바람소리 등)나 음악 등을 스피커(Speaker)를 통하여 출력하되, 특히 시각 계수부로부터 시간을 검색하여 현 상황의 분위기에 맞는 자연의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외부 환경(습도, 온도)에 따라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는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안 본 발명의 장치는, 장치 내부의 현재 온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수단; 물의 흐름을 감지하고, 누적된 물의 양으로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감지하는 유량 감지 수단;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수단;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수단; 온도 및 위험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에 대한 음성 메시지, 자연의 소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저장 수단; 상기 소리 저장 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소리를 입력받아 음의 크기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증폭 수단; 및 상기 온도 감지 수단, 유량 감지 수단, 및 입력 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각 입력값에 따라 상기 소리 저장 수단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냉온정수기의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냉온정수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온도 센서에 의해서 온도를 감지하여 현재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만 온도 및 위험에 대한 현 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1 단계; 유량 센서에 의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물의 흐름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물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제 2 단계; 및 정수 필터가 설치된 후부터 누적된 물의 양을 검사하여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된 경우에만 정수 필터 교환에 대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도 1 은 종래의 냉온정수기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처리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의 소리 출력 과정에 대한 세부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201 : 온도 센서 102, 202 : 유량 센서
103, 203 : 표시부 104, 204 : 마이크로프로세서
105, 205 : 스위치 조작부 206 : 시각 계수부
207 : 소리 저장부 208 : 증폭부
209 : 스피커 210 : 외부 온도 센서
211 : 외부 습도 센서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 제어장치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201은 온도 센서, 202는 물의 흐름 및 양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203은 현재의 모든 상황에 대한 표시부, 204는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205는 상황을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 조작부, 206은 시간 검색이 가능한 시각 계수부, 207은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음성 메모리(Memory)부, 208은 증폭부, 209는 스피커(Speaker), 210은 냉온정수기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 온도 센서, 211은 냉온정수기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외부 습도 센서를 각각 나타낸다.
센서에는 냉온정수기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201), 두개로 구성되어 하나는 물의 흐름을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감지하는 유량 센서(202), 냉온정수기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부 온도 센서(210), 및 냉온정수기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외부 습도 센서(211)가 있으며, 이의 상황을 마이크로프로세서(204)가 리드(Read)한다. 이때, 상기 외부 온도 센서(210)와 외부 습도 센서(211)는 외부 환경에 따라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가적인 요소이다.
시각 계수부(206)는 정수된 물이 배출될 때 현 시간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구분된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204)가 시간을 리드(Read)하거나 외부에서 사용자가 현재 시간을 마이크로프로세서(204)를 통하여 라이트(Write)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가적인 요소이다.
스위치 조작부(205)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마이크로프로세서(204)로 전달한다. 그리고, 표시부(203)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4)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소리 저장부(207)는 온도 및 위험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에 대한 메시지, 물이 배출될 때 제공하기 위한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의 소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204)가 현 상황을 적절히 판단하여 소리 저장부(207)를 제어하고, 소리 저장부(207)는 선택된 소리를 증폭부(208)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소리 저장부(207)에서 출력된 소리는 이용자의 귀에 적절한 음의 크기로 증폭부(208)에서 증폭되고, 이의 최종 출력은 스피커(209)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04)는 온도 센서(201), 유량 센서(202), 외부 온도 센서(210), 외부 습도 센서(211), 스위치 조작부(205)의 출력을 입력받아 표시부(203)에 표시하고, 시각 계수부(206)로부터 리드한 현재 시간과 상기 입력값에 따라 소리 저장부(207)를 제어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처리 흐름도이다.
먼저, 온도 센서(201)에 의해서 온도를 감지하여(301) 현재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302).
판단 결과,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만 온도 및 위험에 대한 현 상황을 신속히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하고(303),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지 않고 적절한 온도일 경우에는 외부 환경(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304)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305).
판단 결과,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만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고(306),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지 않은 경우에는 유량 센서(202)에 의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307) 물의 흐름이 있는지를 판단한다(308). 이때, 자연의 소리를 출력하는 예를 들어보면,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신선한 청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계곡물 소리 등을 들려주고,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쾌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하여 새소리 등을 들려준다.
판단 결과, 물의 흐름이 없을 경우에는 처음 과정(301)부터 반복 수행하고, 물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유익한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스피커(209)를 통하여 출력한다(309).
이후, 정수 필터가 설치된 후부터 누적된 물의 양을 검사하여(310)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311).
판단 결과,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넘어 섰으면 정수 필터 교환에 대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고(312) 처음 과정(301)부터 반복 수행하고,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넘지 않았으면 바로 처음 과정(301)부터 반복 수행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의 소리 출력 과정(309)에 대한 세부 흐름도로서, 시각 제어부(206)가 없는 경우에는 고정적인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고, 시각 제어부(206)가 있는 경우에는 현재 시간에 따라 적절한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한다.
먼저, 현재의 모드가 자동모드인지를 비교하여(401) 자동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메모리된 고정적인 제1 자연의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고(402) 종료한다.
만일, 자동 모드이면 시각 계수부(206)에서 현재의 시간을 검사하여(403) 현재의 시간이 오전인가(404), 오후인가(405), 저녁인가(406), 한밤중인가(407)를 검사한다. 아침이면 메모리된 제2 자연의 소리(예 : 새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고(408), 오후인 경우에는 메모리된 제3 자연의 소리(예 : 폭포수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며(409), 저녁인 경우에는 메모리된 제4 자연의 소리(예 : 계곡물 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고(410), 한밤중인 경우에는 메모리된 제5 자연의 소리(예 : 풀벌레 울음소리)나 음악 등을 출력하고(411)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상을 냉온정수기가 아닌 정수기에 적용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는 도 2 의 구성요소에서 온도 센서(211)만이 필요없게 되고, 나머지는 도 2 와 동일한 구성요소와 연결관계를 가지며, 그 동작에서도 온도 센서에 관련된 과정(301 내지 303)만이 달라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사상을 냉온정수기가 아닌 냉온수기에 적용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는 냉온정수기의 구성요소에서 정수 필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없는 구조를 가지며,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2 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그리고, 그 동작에서는 필터의 교환 주기를 출력하는 과정(310 내지 312)만이 달라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모든 조작 및 상태에 대하여 다향한 음향을 지원하여 인체에 위험한 온수 온도에 대하여는 경고 메시지(Message)를 출력함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음성 메시지로 출력함으로써 신뢰성 향상, 관리의 효율성, 및 보건 위생의 증진 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물을 배출할 때 자연의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더 쾌적한 분위기를 제공하여 심신의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9)

  1. 장치 내부의 현재 온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수단(201);
    물의 흐름을 감지하고, 누적된 물의 양으로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감지하는 유량 감지 수단(202);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수단(205);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수단(203);
    온도 및 위험에 대한 경고성 메시지,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에 대한 음성 메시지, 자연의 소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저장 수단(207);
    상기 소리 저장 수단(207)으로부터 선택된 소리를 입력받아 음의 크기를 증폭하여 스피커(209)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증폭 수단(208); 및
    상기 온도 감지 수단(201), 유량 감지 수단(202), 및 입력 수단(205)의 출력을 입력받아 표시 수단(203)에 표시하고, 각 입력값에 따라 상기 소리 저장 수단(207)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20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정수된 물이 배출될 때 현 시간의 상황에 따른 자연의 소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수단(204)이 시간을 리드(Read)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현재 시간을 상기 제어 수단(204)을 통하여 라이트(Write)하는 시각 계수 수단(20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장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204)으로 출력하는 외부 온도 감지 수단(210); 및
    장치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204)으로 출력하는 외부 습도 감지 수단(21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감지 수단(202)은,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 센서; 및
    누적된 물의 양을 감지하여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체크하는 유량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5. 상기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저장 수단(207)은,
    음악 소리를 더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6. 물의 흐름을 감지하고, 누적된 물의 양으로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감지하는 유량 감지 수단(202);
    사용자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수단(205);
    사용자에게 출력되는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 수단(203);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에 대한 음성 메시지, 자연의 소리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 저장 수단(207);
    상기 소리 저장 수단(207)으로부터 선택된 소리를 입력받아 음의 크기를 증폭하여 스피커(209)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증폭 수단(208); 및
    상기 유량 감지 수단(202) 및 입력 수단(205)의 출력을 입력받아 표시 수단(203)에 표시하고, 각 입력값에 따라 상기 소리 저장 수단(207)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204)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정수된 물이 배출될 때 현 시간의 상황에 따른 자연의 소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수단(204)이 시간을 리드(Read)하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현재 시간을 상기 제어 수단(204)을 통하여 라이트(Write)하는 시각 계수 수단(20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장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204)으로 출력하는 외부 온도 감지 수단(210); 및
    장치 외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 수단(204)으로 출력하는 외부 습도 감지 수단(211)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감지 수단(202)은,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 센서; 및
    누적된 물의 양을 감지하여 정수 필터(Filter)의 교환 시기를 체크하는 유량 감지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10. 상기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저장 수단(207)은,
    음악 소리를 더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11. 냉온정수기의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냉온정수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온도 센서(201)에 의해서 온도를 감지하여 현재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만 온도 및 위험에 대한 현 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1 단계(301 내지 303);
    유량 센서(202)에 의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물의 흐름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물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제 2 단계(307 내지 309); 및
    정수 필터가 설치된 후부터 누적된 물의 양을 검사하여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된 경우에만 정수 필터 교환에 대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3 단계(310 내지 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온정수기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외부 환경(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외부 온도 및 습도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만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제 4 단계(304 내지 3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제어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307 내지 309)의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과정은,
    현재의 모드가 자동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01);
    상기 단계(401)의 판단 결과, 자동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메모리된 고정적인 제1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단계(402); 및
    상기 단계(401)의 판단 결과, 자동 모드이면 시각 계수부(206)에서 현재의 시간을 검사하여 오전이면 메모리된 제2 자연의 소리(예 : 새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고, 오후이면 메모리된 제3 자연의 소리(예 : 폭포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며, 저녁이면 메모리된 제4 자연의 소리(예 : 계곡물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고, 한밤중이면 메모리된 제5 자연의 소리(예 : 풀벌레 울음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단계(403 내지 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 제어방법.
  14. 냉온수기의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냉온수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온도 센서(201)에 의해서 온도를 감지하여 현재 온수의 온도가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기준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만 온도 및 위험에 대한 현 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1 단계(301 내지 303); 및
    유량 센서(202)에 의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물의 흐름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물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제 2 단계(307 내지 3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냉온수기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외부 환경(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외부 온도 및 습도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만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제 3 단계(304 내지 3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제어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307 내지 309)의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과정은,
    현재의 모드가 자동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01);
    상기 단계(401)의 판단 결과, 자동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메모리된 고정적인 제1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단계(402); 및
    상기 단계(401)의 판단 결과, 자동 모드이면 시각 계수부(206)에서 현재의 시간을 검사하여 오전이면 메모리된 제2 자연의 소리(예 : 새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고, 오후이면 메모리된 제3 자연의 소리(예 : 폭포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며, 저녁이면 메모리된 제4 자연의 소리(예 : 계곡물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고, 한밤중이면 메모리된 제5 자연의 소리(예 : 풀벌레 울음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단계(403 내지 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 제어방법.
  17. 정수기의 제어장치에 적용되는 정수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유량 센서(202)에 의하여 물의 흐름을 감지하여 물의 흐름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물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에게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제 1 단계(307 내지 309); 및
    정수 필터가 설치된 후부터 누적된 물의 양을 검사하여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정수 필터의 교환 시기가 된 경우에만 정수 필터 교환에 대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 2 단계(310 내지 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외부 환경(온도, 습도 등)을 감지하여 외부 온도 및 습도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만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제 3 단계(304 내지 30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307 내지 309)의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과정은,
    현재의 모드가 자동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01);
    상기 단계(401)의 판단 결과, 자동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메모리된 고정적인 제1 자연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단계(402); 및
    상기 단계(401)의 판단 결과, 자동 모드이면 시각 계수부(206)에서 현재의 시간을 검사하여 오전이면 메모리된 제2 자연의 소리(예 : 새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고, 오후이면 메모리된 제3 자연의 소리(예 : 폭포수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며, 저녁이면 메모리된 제4 자연의 소리(예 : 계곡물 소리)나 음악을 출력하고, 한밤중이면 메모리된 제5 자연의 소리(예 : 풀벌레 울음소리)나 음악을 출력하는 단계(403 내지 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제어방법.
KR1019960033057A 1996-08-08 1996-08-08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191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057A KR100191704B1 (ko) 1996-08-08 1996-08-08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057A KR100191704B1 (ko) 1996-08-08 1996-08-08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198A true KR19980014198A (ko) 1998-05-25
KR100191704B1 KR100191704B1 (ko) 1999-06-15

Family

ID=1946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057A KR100191704B1 (ko) 1996-08-08 1996-08-08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05A (ko) * 2013-12-31 2015-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연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710B1 (ko) * 2019-01-07 2021-06-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178062B1 (ko) * 2019-01-07 2020-11-1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238489B1 (ko) * 2020-10-20 2021-04-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개선된 사용자 입력 모듈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905A (ko) * 2013-12-31 2015-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연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704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04403A1 (en) Speech generating means for use with signal sensors
NO972405L (no) Elektronisk innretning med föler
CA2437386A1 (en) Reflex tester and method for measurement
KR870009609A (ko) 가열장치
RU2007138420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яющее работой и отслеживающее работу бытовой техники и оборудования для развлечений
US5502435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ircuit breaker gas pressure
JP2004040281A (ja) 環境センサ付き携帯電話機
US6310554B1 (en) Severe weathe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and warning of severe weather conditions
KR19980014198A (ko) 제어상태를 소리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657638B2 (ja) ガス器具の使用状況監視システム
JPS5927395A (ja) 警報装置
KR20000063202A (ko) 울음소리를 이용한 유아의 상태분석장치
JP4680376B2 (ja) 警報器の交換時期告知システム
JP3371737B2 (ja) 除湿機の制御装置
KR960033402A (ko) 손목 휴대용 맥박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6969293B2 (ja) センシング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3866390B2 (ja) ガス漏れ警報器
JP2003006754A (ja) ガス警報器及びその点検方法
JP3571015B2 (ja) 各種機器の通風孔閉塞の警告装置および警告方法
KR970027748A (ko) 수온 센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3358155B2 (ja) ガスメータ
JP3603339B2 (ja) 結露検出装置
JPH10253464A (ja) 電子体温計
JPH0778188A (ja) データ収集装置
JPH11281454A (ja) ガス流量計及びその積算流量の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