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2236B1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 - Google Patents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2236B1 KR102722236B1 KR1020220018951A KR20220018951A KR102722236B1 KR 102722236 B1 KR102722236 B1 KR 102722236B1 KR 1020220018951 A KR1020220018951 A KR 1020220018951A KR 20220018951 A KR20220018951 A KR 20220018951A KR 102722236 B1 KR102722236 B1 KR 1027222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phene
- molded body
- composite molded
- graphene composite
- sho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1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30040373 Para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6124 polyolefin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GETQZCLCWQTVFV-UHFFFAOYSA-N tri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N(C)C GETQZCLCWQTVF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588747 Klebsiella pneumoni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ECAHXYUAAWDEL-UHFFFAOYS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N.C=CC1=CC=CC=C1 XECAHXYUAAWDE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5601 bas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43 anti-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1 conductive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22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57 Non-nutritive fee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50 UV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11 Van der Waals for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38 fung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54 inocul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0 melt-blown nonwov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8 metal de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44 reinfor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25 ultraso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68 woo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69—Filters or screens for the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11—Bioc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29K2105/162—Nano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7/00—Use of elements other than metals as filler
- B29K2507/04—Carbon
Abstract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고분자 수지에 분산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링 공정을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가 우수한 전도성, 항균, 제균, 유해가스에 대한 탈취율, 정전기 방지, 원적외선 방출, 자외선 차단율, 김서림 방지(물방울 맺힘 방지), 수분 증발 방지 효과, 보온성, 탄력, 복원력, 인장강도 및 신율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고분자 수지에 분산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링 공정을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가 우수한 전도성, 항균, 제균, 유해가스에 대한 탈취율, 정전기 방지, 원적외선 방출, 자외선 차단율, 김서림 방지(물방울 맺힘 방지), 수분 증발 방지 효과, 보온성, 탄력, 복원력, 인장강도 및 신율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구두, 운동화, 등산화 및 골프화 등 각종 신발은 아웃솔, 미드솔, 인솔 및 갑피로 구성된다. 아웃솔은 지면과 직접 맞닿아 접지력을 증대시켜 보행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발바닥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체중 및 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미드솔은 아웃솔의 상부에 위치하여 발바닥에 쿠션감을 제공하거나 체중의 분산 및 하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인솔 역시 쿠션감 및 하중 흡수의 역할 및 신발 내부의 표면 마감재로의 역할을 하며, 갑피는 가죽이나 섬유 또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만 들어지고 있다.
그중 인솔은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하면서 우수한 쿠션감을 제공함에 따라 발의 피로도를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신발의 내부 마감재로의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고, 표면에는 가죽이나 섬유지 등을 부착 형성하여 완성된다.
한 예로 '신발의 인솔(등록번호: 10-0919137)'은 폴리우레탄 겔 재질로 된 신발용 인솔에 대한 것으로, 폴리우레탄 재질을 적용하여 제작하되 발이 닿는 부위에 따라 그 경도를 달리하여 인솔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충격 흡수 효과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신발용 인솔을 제공한 바 있다.
또 다른 예로 '육각형 실리콘 지압 인솔(등록번호: 10-1333728호)'에서는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신발용 인솔을 제작하되, 인솔의 저면에 벌집구조를 갖는 육각 라인 돌출부를 형성함에 따라 충격 흡수가 향상되게 하고 발의 지압과 동시에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실리콘 지압 인솔을 제공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인솔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부분 폴리우레탄 기재의 표면에 가죽 또는 섬유지 등을 접착 고정하여 생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가죽 또는 섬유지가 폴리우레탄 기재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내구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 기재의 표면에 접착되는 가죽 또는 섬유지에 오랜시간 동안 발이 직접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습기가 제거되지 못하여 냄새 발생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고분자는 성형이 쉽고, 내약품성이 우수하며 가볍기 때문에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부품, 건축재료 및 포장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절연성을 갖는 기본 특성으로 인해 마찰 등에 의해 생긴 정전기가 발생한 후에 방전, 흡인, 반발력 등으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거나 중화시키는 정전기의 분산 또는 방사 특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ESD(electrostatic discharge) 고분자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고분자로서의 기본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 정전기 방사 특성을 지닌 전기 전도성 고분자 소재이다. ESD 고분자는 104-10 Ω/sq 정도의 표면저항을 갖고 있어 마찰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사하는 정전기 분산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도성 충전제를 사용하는 방식과 관련해서는 전도성을 갖는 충전제 중 카본블랙, 탄소섬유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성능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도성의 성능 측면에서 탄소나노튜브 소재가 충전재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분산 기술에 어려움이 있고, 분산이 되었다 해도 탄소나노튜브 입자들이 서로 뭉쳐지려는 성질이 강해, 수지 내에서의 균일한 분산성을 유지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과 매트릭스 수지와 탄소나노튜브 간에 부착력 부족으로 인하여 정전특성의 성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탄소나노튜브의 화학적 변형과 분산에 관한 많은 논문과 특허들이 발표 또는 공개되어 왔다.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을 위해 단순히 물리적 처리를 위해 분산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논문뿐만 아니라 초음파(ultrasonication),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단계만으로는 충분히 분산되지도 않고, 분산 안정성 또한 좋지 않다는 한계를 노출하였다. 특히, 이러한 방법들은 다른 첨가제가 첨가될 경우 분산계가 흐뜨러져서 탄소나노튜브가 서로 뭉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것들이 수지와의 혼합 시 균일한 분산성을 나타내지 못해 전기적인 특성 및 물리적인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카본나노튜브에 비해 13배나 적은 비저항과 100배나 체저항을 나타내는 그래핀을 이용하는 것에 관심이 높아졌다. 그래핀은 상기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새로운 전도성 충전제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 그래핀 또한 순수한 탄소로 이루어진 판상구조로 강한 반데르발스힘과 π-π 인터렉션이 작용하여 낮은 용해도와 분산도를 갖는다는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하던 중,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고, 압출시킨 후,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링 공정을 수행하여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제조할 경우, 고분자 수지에 그래핀이 안정되게 분산되며, 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가 전도성, 항균, 제균 등 우수한 특성들을 가질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신발부재는 신발의 아웃솔, 미드솔, 인솔, 내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액상 그래핀 또는 분말 형태의 그래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말 형태의 그래핀 크기는 50 n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다층 나노그래핀, 나노그래핀 판상 분체, 나노그래핀 리본, 기능성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PO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되는 그래핀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신발부재는 57 Mpa 내지 100 Mpa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신발부재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또는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18시간 후 정균감소율이 각각 8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신발부재는 암모니아, 아세트산, 트리메틸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2시간 탈취율이 각각 2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혼합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필터링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압출은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필터링은 상기 압출기의 내측 또는 외주면에 설치되며, 이물질이 통과하는 미세통로가 형성된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는, 상기 필터링 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혼합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그래핀 및 고분자 용융 수지에 포함된 가스, 수증기, 저분자 화학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어 상용화제 또는 커플링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그래핀과 고분자 수지가 계면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으므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우수한 전도성, 항균, 제균, 유해가스에 대한 탈취율, 정전기 방지, 원적외선 방출, 자외선 차단율, 김서림 방지(물방울 맺힘 방지), 수분 증발 방지 효과, 보온성, 탄력, 복원력, 인장강도 및 신율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가 매우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신발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홀 플레이트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커팅부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 및 6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파장에 따른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항균 성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탈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항곰팡이 성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홀 플레이트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커팅부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 및 6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파장에 따른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항균 성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탈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항곰팡이 성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를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신발부재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가 적용되는 신발(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웃솔(3), 미드솔(3), 인솔(5), 내피(7) 및 외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도 1에는 아웃솔(3) 및 미드솔(3)을 단일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분리된 구조를 가질 경우 상기 아웃솔(3) 상에 미드솔(3)이 위치하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는 신발(1)의 아웃솔(3), 미드솔(3), 인솔(5), 내피(7)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신발부재는 아웃솔(3), 미드솔(3), 인솔(5) 또는 내피(7)를 구성하는 소재 자체가 그래핀 복합 성형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에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가 부분적으로 포함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아웃솔(3) (또는 미드솔)을 구성하는 소재 중, 일부 소재만이 그래핀 복합 성형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로 이루어진 아웃솔(3)은 바람직하게 아웃솔의 최하단 및 최상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하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아웃솔(3)이 우수한 접지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3), 미드솔(3), 인솔(5) 또는 내피(7)는 각각 요구되는 특성이 상이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웃솔(3) 또는 미드솔(3)의 경우 우수한 전도성으로 인한 접지 효과, 정전기 방지, 탄력, 복원력, 인장강도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인솔(5) 또는 내피(7)는 우수한 전도성으로 인한 접지 효과, 항균, 제균, 보온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그 자체로 상기와 같은 모든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우수한 전도성, 항균, 제균, 유해가스에 대한 탈취율, 정전기 방지, 원적외선 방출, 자외선 차단율, 김서림 방지(물방울 맺힘 방지), 수분 증발 방지 효과, 보온성, 탄력, 복원력, 인장강도 및 신율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이용하여 신발부재를 제조할 경우, 통상적으로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여 신발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동일하게 채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고분자 수지에 분산된 형태의 그래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핀은 액상 그래핀 또는 분말 형태의 그래핀인 것일 수 있으며, 분말 형태를 가질 경우 이의 크기는 50 n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핀은 다층 나노그래핀, 나노그래핀 판상 분체, 나노그래핀 리본, 기능성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PO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핀 함량의 하한값은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0.00001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핀의 함량이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래핀의 함량이 너무 적어 이를 포함하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 또는 신발부재가 그래핀 고유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지 못할 수 있으며, 5 중량부 초과일 경우 고분자 수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고분자 수지에 분산된 그래핀의 분산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혼합되는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중량 혼합비율은 약 0.05: 99.95 또는 약 0.005: 99.995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KS K 0555(2015, B법)에 의해 측정된 면포에 대한 마찰대전성이 250 V 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KS K 0555(2015, B법)에 의해 측정된 모포에 대한 마찰대전성이 100 V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KS K 0555(2015, B법)에 의해 측정된 면포에 대한 마찰대전성이 약 200 V일 수 있으며, KS K 0555(2015, B법)에 의해 측정된 모포에 대한 마찰대전성이 약 76 V인 것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진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함유하는 신발부재는 낮은 마찰대전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정전기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또는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18시간 후 정균감소율이 각각 99%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99.9%인 것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신발부재가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청결한 신발부재의 제공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신발부재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또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24시간 후 세균감소율이 각각 99%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99.9%인 것일 수 있다. 이는 마찬가지로 상기 신발부재가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우수한 세균감소율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중량 함량 범위에 따라 상기 항균효과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의하면 상기 그래핀의 중량 함량범위가 적어질수록 이를 포함하는 신발부재의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파장대 200 nm 내지 400 nm에서의 자외선 차단율이 90%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94%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신발부재는 파장대 290 nm 내지 315 nm에서의 자외선 차단율이 약 96.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9.6%일 수 있으며, 파장대 315 nm 내지 400 nm에서의 자외선 차단율은 약 94.2%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8.8%일 수 있다. 즉, 상기 신발부재가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우수한 자외선 차단율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암모니아, 아세트산, 트리메틸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2시간 탈취율이 각각 60%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모니아의 2시간 탈취율은 약 60%이고, 아세트산의 2시간 탈취율은 약 63%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취율은 하기 식 1로 계산되는 것일 수 있다.
[식 1]
탈취율(%) = [(blank농도)-(sample농도)/(blank농도)]× 100
이때, 상기 식 1에서 blank농도는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한 농도이고, sample농도는 상기 신발부재에 포함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존재 하에서 측정한 농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57 Mpa 내지 100 Mpa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165% 내지 190%의 신율(elongation)을 가져 기계적 물성이 매우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신발부재에 함유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가스, 수증, 저분자 화학 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원재료 고유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래핀과 고분자 수지가 계면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아 매우 안정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는 윤활제, 컬러런트, 이형제, 안료, 염료, 대전방지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억연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내마찰 내마모제, 커플링제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하고자 하는 신발부재의 종류에 따라 상술한 물질 외에 추가 물질이 더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으로서,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혼합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필터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을 수용하는 호퍼(10); 상기 호퍼(10)와 연결되며, 상기 호퍼(10)에 수용된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압출기; 및 상기 압출기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필터(5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50)는 상기 압출기의 내측 또는 외주면에 설치되며, 이물질이 통과하는 미세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제 3 측면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장치를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2는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5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본원의 제 3 측면에 따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5에 나타낸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장치는 하나의 구현예에 불과하므로, 일부 형태의 변형 또는 구성요소의 치환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그래핀 복합 성형체”란 하기 후술할 필터링 이후의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그 이후 단계인 펠릿 형태로 성형된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신발부재”는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신발부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우선,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의 형태는 액상 그래핀 또는 분말 형태의 그래핀인 것일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다층 나노그래핀, 나노그래핀 판상 분체, 나노그래핀 리본, 기능성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핀은 나노 사이즈로 형성된 나노 그래핀인 것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그래핀의 크기는 1 μm 미만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n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핀은 바람직하게 액상 그래핀으로서 다층 나노그래핀 또는 그래핀 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다층 나노그래핀은 2차원 구조로서 1 내지 10층의 형태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핀이 액상 그래핀일 경우, 그래핀 원료에 액상첨가제가 혼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액상첨가제는 그래핀을 원활히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통상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PO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은 고분자 수지에 그래핀을 함침시키거나 코팅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혼합되는 그래핀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이하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래핀 함량의 하한값은 크게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0.00001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핀의 함량이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0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그래핀의 함량이 너무 적어 제조되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가 그래핀 고유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지 못할 수 있으며, 5 중량부 초과일 경우 고분자 수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그래핀이 고분자 수지에 원활히 분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는 그래핀 옥사이드를 액상 첨가제와 혼합시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에 고분자 수지를 투입하여 혼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혼합된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은 건조단계를 수행하기 때문에 수분함량이 약 15 wt% 이하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치보다 높은 수분함량을 가질 경우 하기 후술할 압출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의 압출이 원활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혼합된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10)에 수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호퍼(10)에 수용된 혼합물은 이후 압출기로 이송되어 압출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혼합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필터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압출은 압출기를 이용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크류를 이용한 압출기, 기계적 압출기 또는 기체, 액체, 유압 등을 이용한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출은 스크류(30)를 이용한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압출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압출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압출은 스크류(30)를 이용한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출기의 일측 상부는 상기 혼합물을 수용하는 호퍼(10)의 하부면과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호퍼(10)에서 공급되는 혼합물이 압출기의 일측 내부로 이송되어 압출기의 타측 방향으로 압출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출기에는 상기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 외에, 추가적으로 베이스 고분자, 부재료, 첨가제 등이 공급되어 함께 압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출기의 압출방향을 따라 각각의 원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베이스 고분자 수용 호퍼(12), 부재료 수용 호퍼(14) 및 첨가제 수용 호퍼(16)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베이스 고분자 수용 호퍼(12)는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 수용 호퍼(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과 베이스 고분자가 함께 혼합된 상태로 압출기에 투입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고분자 및 부재료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물성을 충족시켜주기 위해 적절한 물질을 선택하여 공급시켜 주는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첨가제는 강화제, 충진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리섬유(glass fiber, GF) 또는 탄소섬유(carbon fiber, CF)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고분자, 부재료 및 첨가제는 제조하고자 하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물성을 충족시켜 주기 위하여 소량 첨가되는 것일 수 있으며, 첨가되는 물질의 종류 또는 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물성을 위하여 적절히 선택하여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내부에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이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 바디(20); 상기 바디(20)의 내부 혼합물 이동 통로에 수용되고 호퍼(10)로부터 혼합물을 공급받아 혼합 및 용융시키면서 홀 플레이트(80) 및 커팅부(90)로 압출하는 스크류(30); 상기 바디(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혼합물을 가열 용융하는 히터(40); 상기 히터(40)에 의해 용융된 혼합물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필터(50); 및 상기 바디(20)의 끝단에 위치하는 헤드(7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은 가스, 수증기, 저분자 화학물질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제조되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물성 또는 특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저분자 화학물질은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올리고머(oligomer), 트리고머(trigomer) 등일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물질들은 인체에 유해한 바, 이를 제거하여 제조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인체에 무해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필터(50)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필터(50)는 도넛 형상의 벤트링(vent ring, 52)이 스크류(30)의 축선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된 구조로서, 인접한 벤트링(52)과 벤트링(52) 사이에는 이물질을 통과시키고, 용융된 혼합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미세통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용융된 혼합물은 스크류(30)의 회전에 의해 이동통로를 따라 헤드(70)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물질은 미세통로를 통과하여 가스포집공간(51)에 포집된 후, 제1, 2 배출관(60, 61)을 경유하여 진공펌프(6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배출관(60, 61)의 도중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배관을 연결하여 필터(5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더욱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2 배출관(60, 61)의 도중에 외부의 공기가 인입되는 공기흡입관(63)의 일단을 연결하고 공기흡입관(63)의 타단에는 공기필터(64)를 설치하여 외부 공기 중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제2 배출관(61)과 공기흡입관(63)은 동일직선상으로 배열되고 여기에 제1 배출관(60)이 직각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물질 배출시스템은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관(63)과 제2 배출관(61)을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서 베르누이 정리에 의거 제1 배출관(60)에 부압(negative pressure)을 형성하므로 가스포집공간(51)에 포집된 이물질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 배출관(61)의 하류단(downstream end)에 진공펌프(62)를 설치하여 가스와 수증기를 배출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진공펌프(62)를 설치하는 대신에 공기흡입관(63) 상류단(upstream end)에 송풍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송풍기의 송풍에 의해 상기와 같은 원리로 제1 배출관(60)에 부압이 형성되어 가스포집공간(51)의 이물질을 신속히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이 경우 송풍기가 이물질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서 이물질에 의해 송풍기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물질을 신속히 배출하는 다른 방안으로서, 필터(50)의 가스포집공간(51)이 외부의 공기와 연통할 수 있도록 필터(50) 외벽에 공기흡입구(53)를 설치할 수 있다. 공기흡입구(53)를 통하여 가스포집공간(51)에 인입된 공기는 가스포집공간(51)을 구성하는 벤트링(52) 외주면과 필터(50) 외벽 사이를 빠른 속도로 통과하여 제1, 2 배출관(60, 61)과 진공펌프(62)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벤트링(52)들 사이에 형성된 미세통로와 벤트링(52) 외주면은 서로 직각을 이루므로 상기 제1 배출관(60)에 부압이 형성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 벤트링(52)의 미세통로에 부압이 형성되며, 따라서 용융된 혼합물로부터 발생한 이물질은 미세통로를 신속히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배출관(60)과 공기흡입구(53)는 서로 가장 먼 위치, 즉 필터(50)의 축선방향과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설치하여 벤트링(52)의 미세 통로 전체에 부압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스크류(30)가 1개인 일축 압출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스크류(30)가 2개인 이축 압출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3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진공펌프(62)의 토출부에 배출가스의 환경기준에 맞추어 이물질 내의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출은 스크류를 이용한 압출기 외에도 기계적 압출기 또는 기체, 액체, 유압 등을 이용한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50)는 압출기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으나, 내측에 설치 가능한 것일 수 있으며,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이 상기 필터(50)에 직접적으로 통과됨으로써 필터링 공정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필터링 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혼합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성형은 도 3 내지 5에 나타낸 홀 플레이트(80) 및 커팅부(9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홀 플레이트(80)의 일면은 상기 헤드(70)의 끝단에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으며, 홀 플레이트(80)의 타면에는 커팅부(9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70)의 토출구(75)를 통하여 분출되는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의 혼합물은 용융된 상태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용융된 상태의 혼합물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홀 플레이트(8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85)을 통해 커팅부(90)로 분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팅부(90)는 내부에 중심축을 따라 회전하는 커터(9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내부에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시켜 주는 냉각수 이송관(95)이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홀 플레이트(80)를 통해 분출되는 혼합물은 상기 커터(92)에 의해 펠릿 형태로 절단되어 성형되는 것일 수 있으며, 절단과 동시에 냉각수에 의해 온도를 하강시키기 때문에 용융된 상태의 혼합물이 급속히 굳게 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에는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커팅 이후에 냉각시켜 주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 후 커팅을 수행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냉각은 냉각수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 냉각공기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냉각공기는 냉각수에 비해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청결한 펠릿의 제조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펠릿 형태로 성형된 혼합물은 이후 제품(그래핀 복합 성형체) 저장 호퍼(미도시)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펠릿을 가공시켜 신발부재가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가스, 수증, 저분자 화학 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원재료 고유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래핀과 고분자 수지가 계면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아 매우 안정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57 Mpa 내지 100 Mpa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및 165% 내지 190%의 신율(elongation)을 가져 기계적 물성이 매우 우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계적 물성 외에도 우수한 항균, 제균, 정전기 방지 또는 원적외선 방출 특성 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 (그래핀 0.05 wt% / PET 99.95 wt%)
도 2의 제조방법 및 도 3의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그래핀 복합 매트릭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다층 나노그래핀을 액상 첨가제와 혼합시켜 액상의 다층 나노그래핀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수득한 액상의 다층 나노그래핀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혼합시켜 함침 및 코팅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그래핀 및 PET의 중량 혼합비율은 0.05 wt% : 99.95 wt%이었다. 그 다음, 상기 그래핀 및 PET의 혼합물을 건조시킨 후, 도 2의 제조장치에 투입시켜 압출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압출된 혼합물을 성형하여 펠릿 형태의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 (그래핀 옥사이드 0.05 wt% / PET 99.95 wt%)
상기 실시예 1에서 다층 나노그래핀 대신 나노 그래핀 옥사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펠릿 형태의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 (그래핀 0.05 wt% / PP 99.95 wt%)
상기 실시예 1에서 PET 대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멜트블로운 부직포(60 g/m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펠릿 형태의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 (그래핀 0.1 wt% / PP 99.9 wt%)
상기 실시예 3에서 그래핀 및 PP의 중량 혼합비율을 0.1 wt% : 99.9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펠릿 형태의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제조 (그래핀 0.005 wt% / PP 99.995 wt%)
상기 실시예 3에서 그래핀 및 PP의 중량 혼합비율을 0.005 wt% : 99.995 wt%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펠릿 형태의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마찰대전성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마찰대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KS K 0555(2015, B법)에 의거하여 면포 및 모포에 대한 마찰대전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때 시험조건은 20±2℃, 40±2%R.H., 400 r/min 이었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낮은 마찰대전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우수한 정전기 방지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방사에너지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를 평가하기 위해, 이를 사단법인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의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측정 방법은 KFIA-FI-1005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파장은 5 내지 20 μm, 온도는 37℃를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파장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를 측정하여 이의 그래프를 도 6a 및 6b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2] - 실시예 1
[표 3] - 실시예 5
상기 표 2 및 3과 도 6a 및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5 내지 20 μm의 파장범위에서 0.894, 0.893의 방사율 및 3.45 x 102 W/m2·μm, 3.44 x 102 W/m2·μm의 방사에너지 방출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가 우수한 원적외선 방사율 및 방사에너지 방출량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자외선 차단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자외선 차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KS K 0850:2014에 의거하여 자외선-A(315~400 nm) 및 자외선-B(290~315 nm)의 자외선 차단율 및 자외선 차단지수(UPF)를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험기기로는 UV Transmittance Analyzer를 사용하였고, 광원으로는 Xenon Arc를 사용하였다.
[표 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우수한 자외선 차단율 및 자외선 차단지수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우수한 자외선 차단 성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균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항균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F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KS K 0693:2016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5와 도 6(실시예 1) 및 7(실시예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 Klebsiella pneumoniae (폐렴막대균)이었고,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접종균에 0.05% 비이온계면활성제(snogen)를 사용하였으며, 표준포로서 KS K 0905 염색견뢰도용 첨부백포(cotton)를 사용하였다.
[표 5]
상기 표 5와 도 7(실시예 1) 및 8(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시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모두 높은 정균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99.9%의 정균감소율을 나타내어 항균 성능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항균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미생물기술연구원에 의뢰하여 JIS Z 2801:2013(필름밀착법)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균주는 Escherichia coli (대장균),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이었고,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접종균에 0.05% 비이온계면활성제(snogen)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였다.
[표 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시 실시예 5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높은 세균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보다 높은 항균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실험예 5. 탈취율 평가
상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에 대한 탈취율을 평가하기 위해 FTM-5-2:2004, 가스검지관법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측정시간은 2시간 경과 후로 하였으며, 탈취율은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1]
탈취율(%) = [(blank농도)-(sample농도)/(blank농도)]× 100
이때, 상기 식 1에서 blank농도는 시료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한 농도이고, sample농도는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존재 하에서 측정한 농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표 7]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암모니아 및 아세트산에 대한 2시간 탈취율이 각각 약 20% 및 60%로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율을 평가하기 위해 KIFA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원에 의뢰하여 KFIA-FI-1004에 의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9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8]
상기 표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율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항곰팡이 성능 평가
상시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의 항곰팡이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KIFA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원에 의뢰하여 곰팡이 저항성능 분석(ASTM G-21)을 수행하였으며, 각각 4주간 곰팡이와 동시에 배양하여 곰팡이의 번식을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를 하기 표 9 및 도 10에 각각 나타내었다.
[표 9]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한 그래핀 복합 성형체에 곰팡이를 배양시켜도 곰팡이의 번식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항곰팡이 성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신발 3: 아웃솔, 미드솔
5: 인솔 7: 내피
10: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 수용 호퍼
12: 베이스 고분자 수용 호퍼 14: 부재료 수용 호퍼
16: 첨가제 수용 호퍼 20: 바디
30: 스크류 40: 히터
50: 필터 51: 가스포집공간
52: 벤트링 53: 공기흡입구
60: 제1 배출관 61: 제2 배출관
62: 진공펌프 63: 공기흡입관
64: 공기필터 70: 헤드
75: 토출구 80: 홀 플레이트
85: 홀 90: 커팅부
92: 커터 95: 냉각수 이송관
5: 인솔 7: 내피
10: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 수용 호퍼
12: 베이스 고분자 수용 호퍼 14: 부재료 수용 호퍼
16: 첨가제 수용 호퍼 20: 바디
30: 스크류 40: 히터
50: 필터 51: 가스포집공간
52: 벤트링 53: 공기흡입구
60: 제1 배출관 61: 제2 배출관
62: 진공펌프 63: 공기흡입관
64: 공기필터 70: 헤드
75: 토출구 80: 홀 플레이트
85: 홀 90: 커팅부
92: 커터 95: 냉각수 이송관
Claims (14)
-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키는 단계;
상기 압출된 혼합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켜 필터링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펠릿 형태로 성형시켜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가공하여 신발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그래핀은 액상 그래핀 또는 분말 형태의 그래핀인 것이고,
상기 분말 형태의 그래핀 크기는 50 nm 이하인 것이고,
상기 그래핀 및 고분자 수지를 혼합시키는 단계는 그래핀 옥사이드를 액상 첨가제와 혼합시켜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액상 그래핀 옥사이드에 고분자 수지를 투입하여 혼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압출은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필터링은 상기 압출기의 내측 또는 외주면에 설치되며, 이물질이 통과하는 미세통로가 형성된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그래핀 복합 성형체는 그래핀과 고분자 수지가 계면에서 서로 분리되지 않는 것인 신발부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신발부재는 신발의 아웃솔, 미드솔, 인솔, 내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부재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다층 나노그래핀, 나노그래핀 판상 분체, 나노그래핀 리본, 기능성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부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 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lyolefin elastomer, PO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부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되는 그래핀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이하인 것인 신발부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57 Mpa 내지 100 Mpa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를 가지는 것인 신발부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또는 폐렴막대균(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18시간 후 정균감소율이 각각 80% 이상인 것인 신발부재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부재는 암모니아, 아세트산, 트리메틸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의 2시간 탈취율이 각각 20% 이상인 것인 신발부재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8951A KR102722236B1 (ko) | 2022-02-14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18951A KR102722236B1 (ko) | 2022-02-14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23046A KR20230123046A (ko) | 2023-08-23 |
KR102722236B1 true KR102722236B1 (ko) | 2024-10-28 |
Family
ID=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5566B1 (ko) * | 2017-07-24 | 2019-01-04 | 주식회사 지에이치디홀딩스 |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드 플라스틱 복합체의 제조방법 |
KR101985866B1 (ko) | 2019-01-30 | 2019-06-05 | (주)투디엠 |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와 2차원 소재 필러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59058B1 (ko) * | 2018-07-19 | 2019-12-24 | 한국화학연구원 | 내마모성 및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인솔 |
KR102234468B1 (ko) * | 2020-04-17 | 2021-04-01 | 주식회사 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 | 그래핀 또는 탄소 소재-고분자 수지 복합체의 제조시설 |
KR102254591B1 (ko) * | 2020-08-14 | 2021-05-21 | 정도식 |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 |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5566B1 (ko) * | 2017-07-24 | 2019-01-04 | 주식회사 지에이치디홀딩스 | 압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드 플라스틱 복합체의 제조방법 |
KR102059058B1 (ko) * | 2018-07-19 | 2019-12-24 | 한국화학연구원 | 내마모성 및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인솔 |
KR101985866B1 (ko) | 2019-01-30 | 2019-06-05 | (주)투디엠 |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와 2차원 소재 필러를 포함하는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234468B1 (ko) * | 2020-04-17 | 2021-04-01 | 주식회사 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 | 그래핀 또는 탄소 소재-고분자 수지 복합체의 제조시설 |
KR102254591B1 (ko) * | 2020-08-14 | 2021-05-21 | 정도식 |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 제조방법 및 그래핀을 포함한 안경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688060T3 (es) | Sustrato fibroso,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y utilización de un sustrato fibroso de este tipo | |
JP7376355B2 (ja) | 抗菌・抗ウイルス性組成物 | |
JP7019613B2 (ja) | 正温度係数を有する導電性成形体 | |
JP3963941B2 (ja) | 徐放性熱可塑性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製品 | |
CN102892824A (zh) | 抗微生物塑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CN104817746A (zh) | 石墨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 |
CN106243490B (zh) | 一种抗静电长玻璃纤维增强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0959883B1 (ko) | 전도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시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도성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시트 | |
CN109706533B (zh) | 一种抗菌防霉丙纶长丝及其制备方法 | |
JP2012528253A (ja) | 多層伝導性繊維と、共押出によるその製造 | |
CN109706532A (zh) | 一种石墨烯功能纤维及其制备方法 | |
KR102722236B1 (ko)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 | |
WO2019044864A1 (ja) | 造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621126B1 (ko) | 압출용 고분자 펠릿, 고분자 복합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 |
JP2005179607A (ja) | 抗菌性複合粒子 | |
US20060264553A1 (en) | Extrus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f strength-modified and phyllosilicate reinforced thermoplastic systems | |
KR101631840B1 (ko) |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성형품 | |
KR20230123046A (ko)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신발부재 | |
KR20230150051A (ko) | 그래핀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조성물 | |
KR102366152B1 (ko) | 고분자 수지에 분산된 그래핀을 포함하는 그래핀 복합 매트릭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그래핀 복합 매트릭스 | |
KR102450377B1 (ko)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포함하는 다용도 매트리스 | |
US10486334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substrate for electrostatic painting | |
KR20230122368A (ko)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통해 제조된 파이프 | |
KR20230123040A (ko)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함유하는 원사 | |
KR20230122360A (ko) | 그래핀 복합 성형체를 함유하는 다용도 필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