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6604B1 -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6604B1
KR102706604B1 KR1020200084226A KR20200084226A KR102706604B1 KR 102706604 B1 KR102706604 B1 KR 102706604B1 KR 1020200084226 A KR1020200084226 A KR 1020200084226A KR 20200084226 A KR20200084226 A KR 20200084226A KR 102706604 B1 KR102706604 B1 KR 10270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layer
tessellation
unit
tesse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361A (ko
Inventor
차승일
윤민주
심연향
이동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8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6604B1/ko
Priority to PCT/KR2020/016199 priority patent/WO2022010048A1/ko
Publication of KR2022000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6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01L31/046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곤형 단위태양전지셀들을 복수 개 연결하여 유연성 면상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테셀레이션 구조에 의하여 곡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설치면에 태양전지를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Solar cell with a tessel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면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설치면에 설치 가능한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도의 산업성장과 인구증가에 따라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고 이로 인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의 증가는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는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방안으로 대체에너지의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가운데 그 중 태양광발전시스템은 국내에서 2012년부터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시행과 같은 제도적 기반과 함께 급속히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건물 또는 차량의 지붕과 같이 구조물의 최상단에 태양전지를 설치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나 구조물의 디자인이 다양해지면서 일반적인 판형 태양전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거나 설치 장소에 제약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곡면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 10-1144038후)'에서는 곡면형의 유리 기판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선루프 및 파노라마 루프 등과 같이 휘어진 차체 구조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곡면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다양한 곡면 구조체에 태양전지를 설치하기 위한 기술로서 후면전극 또는 유리기판을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다양한 곡면을 갖는 설치장소마다 그에 꼭 맞는 곡률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KR 10-1144038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설치면에설치 가능하도록 단위태양전지셀이 테셀레이션 구조로 형성된 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곤형 단위태양전지셀들을 복수 개 연결하여 유연성 면상체로 형성되는 태양전지로서, 상기 단위태양전지셀은,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판으로 형성되는 기판층; 상기 기판층의 상부에 태양전지셀이 배치되는 태양전지층; 상기 기판층과 상기 태양전지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전지층을 고정시키는 절연체층; 및 상기 단위태양전지셀의 표면을 밀봉하여 상기 태양전지셀을 보호하는 밀봉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층은, 상기 태양전지 전체의 후면을 밀봉하는 실리콘 고무와, 상기 태양전지셀의 전면을 밀봉하는 투명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의 상기 단위태양전지셀은, 경사와 위사로 직조된 금속 직물로 형성된 연결 전극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러한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의 상기 연결 전극은, 연결 방향에 대하여 금속 직물의 경사 및 위사가 45°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연결 후 금속 직물이 인장, 수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의 상기 단위태양전지셀은,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테셀레이션 구조에 의하여 곡면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의 설치면에 태양전지를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평면 구조의 태양전지와 비교하여 효율의 저하가 없이 동일한 효율로 태양열 발전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단위태양전지셀의 구성도와 실제 제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금속 직물의 인장방향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금속 직물의 인장방향에 따른 신축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연결 전극의 인장방향에 따른 신축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연결 전극의 인장방향에 따른 신축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단위태양전지셀이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과 실제 제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의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가 다양한 형상으로 접혀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에서 단위태양전지셀(100)의 개수에 따른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태양전지, 태양광발전, 유연성 수지(PDMS)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는 단위태양전지셀(100)이 복수 개 연결되어 유연성 면상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단위태양전지셀(100)은 도 1 내지 도 2과 같이, 태양전지층(110), 절연체층(120), 기판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표면은 밀봉재층(140)에 의하여 밀봉된다. 본 발명은 폴리곤형 단위태양전지셀(100)들을 복수 개 연결하여 유연성 면상체로 형성되는 태양전지로서, 단위태양전지셀(100)은,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판으로 형성되는 기판층(130), 기판층(130)의 상부에 태양전지셀이 배치되는 태양전지층(110), 기판층(130)과 태양전지층(110)의 사이에 배치되어 태양전지층(110)을 고정시키는 절연체층(120), 단위태양전지셀(100)의 표면을 밀봉하여 태양전지셀을 보호하는 밀봉재층(140)을 포함하고, 밀봉재층(140)은, 태양전지 전체의 후면을 밀봉하는 실리콘 고무와, 태양전지셀의 전면을 밀봉하는 투명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기판층(130)위에 태양전지층(110)이 배치되고, 기판층(130)과 태양전지층(110) 사이에 절연체층(120)이 배치되되, 이웃한 단위태양전지셀(1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결전극(200)에 형성된 전극(220)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절연체층(120)에서는 절연체로서 절연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층(130)은 태양전지셀을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철판과 같은 금속판을 사용하거나,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판을 사용할 수 있도 있다.
한편, 태양전지층(110)에 배치되는 태양전지셀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태양전지를 이용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폴리곤형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 연결되었을 때 테셀레이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는 단위태양전지셀(100)은 복수 개 연결되어 테셀레이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테셀레이션(tessellation)은 평면 도형을 겹치지 않으면서 빈틈이 없게 모으는 구조로서, 정규 테셀레이션, 준정규 테셀레이션, 비정규 테셀레이션의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도 정규 테셀레이션이란 한 가지 정다각형으로만 이루어진 테셀레이션을 의미하며 정다각형이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으로 되는 3가지 경우가 존재한다.
복수 개의 단위태양전지셀(100)이 이러한 테셀레이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폴리곤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특히, 폴리곤형 중에서도 정규 테셀레이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자유로운 구조로 폴딩 또는 스트레칭 될 수 있는 삼각형 형상인 것으로 한다.
한편, 복수 개의 태양전지단위셀(100)은 연결 전극(200)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전극(200)은 연결체(210)와 연결체(21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전극(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체(210)는 전기적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기 저항이 작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연결체(210)는 경사와 위사로 직조된 금속으로 형성된 것으로, 인장 또는 수축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연결체(210)는 전기 저항이 작은 구리 등의 금속 직물로 형성되어 신축성/유연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연결체(210)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직물의 경사 및 위사가 45°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직물의 인장 방향이 경사 및 위사의 90°방향인 경우와 45°방향인 경우 중 금속 직물의 인장 방향이 경사 및 위사의 45°방향인 경우가 인장 강도가 더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추가로, 연결체(210)가 일반적인 금속 직물로 되는 경우보다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ber)가 함침된 금속 직물로 되는 경우에 인장 강도는 더 강해질 수 있다. 즉, 연결체(210)는 연결 방향에 대하여 금속 직물의 경사 및 위사가 45°방향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연결 전극(200)의 신축성/유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연결체(210)가 실리콘 고무가 함침된 금속 직물로 되면 연결 전극(200)의 신축성/유연성을 조금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실리콘 고무로는 백금 촉매 실리콘(platinum-catalyzed silicones)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210)가 일반적인 금속 직물이면서 경사 및 위사가 90°방향인 경우 신축성/유연성이 가장 낮고, 연결체(210)가 실리콘 고무가 함침된 금속 직물이면서 경사 및 위사가 45°방향인 경우 신축성/유연성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연결 전극(200)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단위태양전지셀(100)을 연결하면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연결될 수 있다. 각 단위태양전지셀(100)들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직-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저전류인 경우에는 직렬연결이 바람직하고, 저전압, 고전류인 경우에는 병렬연결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단위태양전지셀(100)이 연결된 예를 살펴보면 도 9와 같다. 이렇게 연결된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는 도 10과 같이, 굴곡지게 접히더라도 신축성/유연성을 갖는 연결 전극(200)의 강한 인장 강도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끊어지지 않고 계속 연결되어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는 그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밀봉재층(1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밀봉재층(140)에 사용되는 밀봉재는 단위태양전지셀(100) 각각을 밀봉시키거나 복수 개의 단위태양전지셀(100)이 연결된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전체를 밀봉시키면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태양전지의 Encapsulation(밀봉)을 위하여 back-sheet - EVA film - 태양전지 - EVA film - Glass로 적층한 후, 이를 열압착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제조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유연성 면상체로 형성되는 태양전지를 접거나 구부릴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밀봉재는 수분을 침투시키지 않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태양전지를 보호하며 동시에 빛을 손실없이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로 되어야하며, 신축가능한 소재여야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소재의 투명PDMS(poly dimethylsiloxane)를 이용한다.
즉, 밀봉재층(140)은 태양전지 전체의 후면과 연결 전극(200)까지 포함하여 실리콘 고무로 밀봉하고, 태양광을 받는 태양전지모듈의 앞면은 투명 PDMS로 밀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적 결합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는 판형 태양전지와 비교했을 때, 효율의 저하 없이 유연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단위태양전지셀(100)의 개수를 늘려 직렬 연결한 모듈 각각을 0.8SUN 조건의 야외에서 측정하였을 때 각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테셀레이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된 단위태양전지셀(100)의 개수가 증가해도 효율의 저하가 없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단위태양전지셀
110: 태양전지층
120: 절연체층
130: 기판층
140: 밀봉재층
200: 연결 전극
210: 연결체
220: 전극

Claims (5)

  1. 폴리곤형 단위태양전지셀들을 복수 개 연결하여 유연성 면상체로 형성되는 태양전지로서,
    상기 단위태양전지셀은,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판으로 형성되는 기판층;
    상기 기판층의 상부에 태양전지셀이 배치되는 태양전지층;
    상기 기판층과 상기 태양전지층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전지층을 고정시키는 절연체층; 및
    상기 단위태양전지셀의 표면을 밀봉하여 상기 태양전지셀을 보호하는 밀봉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층은,
    상기 태양전지 전체의 후면을 밀봉하는 실리콘 고무와, 상기 태양전지셀의 전면을 밀봉하는 투명 폴리디메틸실록산(PDMS)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태양전지셀은
    경사와 위사로 직조된 금속 직물로 형성된 연결 전극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은,
    연결 방향에 대하여 금속 직물의 경사 및 위사가 45°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연결 후 금속 직물이 인장, 수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태양전지셀은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KR1020200084226A 2020-07-08 2020-07-08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KR10270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226A KR102706604B1 (ko) 2020-07-08 2020-07-08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PCT/KR2020/016199 WO2022010048A1 (ko) 2020-07-08 2020-11-17 스트레처블 태양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226A KR102706604B1 (ko) 2020-07-08 2020-07-08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361A KR20220006361A (ko) 2022-01-17
KR102706604B1 true KR102706604B1 (ko) 2024-09-12

Family

ID=7955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226A KR102706604B1 (ko) 2020-07-08 2020-07-08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06604B1 (ko)
WO (1) WO202201004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1711A1 (en) 2011-07-11 2014-04-24 Fujifilm Corporation Conductive sheet, touch panel, display device, method for producing said conductive sheet,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2016020996A (ja) 2014-07-15 2016-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イリングパネル
WO2017110402A1 (ja) * 2015-12-25 2017-06-29 スフェラーパワー株式会社 導電性三軸織物構造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電子デバイス付き三軸織物構造
JP2020031237A (ja) 2019-11-22 2020-0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複合型表示体
JP2021190560A (ja) 2020-05-29 2021-12-13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4586B2 (ja) * 2010-05-28 2016-10-25 ソーラーワールド イノベ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SolarWorld Innovations GmbH ソーラーセルを接触させ結線するための方法と当該方法で作られるソーラーセル複合体
KR101144038B1 (ko) 2010-11-11 2012-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곡면형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6895A (ko) * 2015-03-31 2016-10-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휴대용 유기태양전지 모듈체
KR101891119B1 (ko) * 2016-11-29 2018-08-23 (주)루바니 조각 패턴의 태양전지가 결합된 스마트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WO2018232328A1 (en) * 2017-06-16 2018-12-20 Higher Dimension Materials, Inc. Hybrid solar and wind power towers
GB2572330B (en) * 2018-03-26 2020-09-02 Paragraf Ltd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electricit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1711A1 (en) 2011-07-11 2014-04-24 Fujifilm Corporation Conductive sheet, touch panel, display device, method for producing said conductive sheet,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2016020996A (ja) 2014-07-15 2016-02-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イリングパネル
WO2017110402A1 (ja) * 2015-12-25 2017-06-29 スフェラーパワー株式会社 導電性三軸織物構造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電子デバイス付き三軸織物構造
JP2020031237A (ja) 2019-11-22 2020-02-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複合型表示体
JP2021190560A (ja) 2020-05-29 2021-12-13 株式会社カネカ 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361A (ko) 2022-01-17
WO2022010048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77445U (zh) 太阳能电池模块
US20220149226A1 (en) Flexible photovoltaic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030071B2 (ja) 多角形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200176622A1 (en) Massively connected individual solar cells
MX2010011175A (es) Membrana de techado termoplastica que se puede soldar por calor fotovoltaico.
US9231123B1 (en) Flexible connectors for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s
EP2600426B1 (en) Solar cell apparatus
US20230006082A1 (en) Hybrid photovoltaic device having rigid planar segments and flexible non-planar segments
CN108560839A (zh) 一种屋顶建筑一体化的光伏系统
CN108023537A (zh) 一种彩钢瓦屋顶光伏组件结构
JP2014110278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9985580B2 (en) Solar junction box for solar panel
KR102706604B1 (ko) 테셀레이션 구조의 태양전지
US20090211620A1 (en) Conformal solar power material
CN205811944U (zh) 一种光伏组件及光伏系统
TW201448243A (zh) 太陽電池模組
JP200507211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791592B1 (ko) 반도체 기능 소자가 부착된 기능사
CN109391226A (zh) 光伏瓦系统及光伏建筑屋顶
US8631613B1 (en) Interlocking lips on building integrable photovoltaic module edges
JP2015023283A (ja) 太陽電池
JP3633944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アレイ
US20240250196A1 (en) Solar-cell module
KR102599896B1 (ko)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EP4358398A1 (en) Mounting kit, photovoltaic module arrangement and assembl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