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896B1 -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896B1
KR102599896B1 KR1020210077742A KR20210077742A KR102599896B1 KR 102599896 B1 KR102599896 B1 KR 102599896B1 KR 1020210077742 A KR1020210077742 A KR 1020210077742A KR 20210077742 A KR20210077742 A KR 20210077742A KR 102599896 B1 KR102599896 B1 KR 10259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solar
solar cells
solar ce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250A (ko
Inventor
전용석
강윤묵
이찬용
이창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896B1/ko
Priority to PCT/KR2022/008355 priority patent/WO2022265336A1/ko
Publication of KR2022016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250A/ko
Priority to KR1020230150591A priority patent/KR2023015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지부; 상기 봉지부의 높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30도 내지 90도가 되도록, 상기 봉지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및 상기 봉지부 내에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태양으로부터 생성되는 광자의 에너지를 광전효과를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를 태양전지라 하고, 두 개 이상의 태양전지를 단일 회로에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집합체를 태양광 모듈이라 한다.
태양전지의 핵심 소재는 광전효과를 나타내는 광 흡수층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소재로는 실리콘,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CdTe(Cadmium Telluride), III-V족 원소 복합소재, 광활성 유기물,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시스템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일반 가정이나 산업용의 독립 전력원으로 이용되거나, 상용 교류전원의 계통과 연계되어 보조 전력원으로 이용된다.
상기 태양전지는 반도체 재료를 p-n접합시켜 제조되며, 빛을 받을 때 작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 광전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 대부분 보통의 태양전지는 대면적의 p-n 접합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n접합 다이오드의 양극단에 발생된 기전력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면 단위 태양전지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태양전지는 그 기전력이 작기 때문에 다수의 태양전지를 연결하여 적정 기전력을 갖는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을 구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 외장형으로 사용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시스템은,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의 태양 전지판(Solar Cell Array)과, 상기 태양 전지판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인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사용처로 공급하는 인버터(Inverter)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태양광 시스템은 태양광의 에너지를 얻기 위해 설치되는 태양 전지판의 설치가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태양 전지판의 설치는 별도로 확보된 부지에 설치하거나 또는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건물에 태양광 시스템을 설치하려면 별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통상적으로 건물의 옥상에는 냉방장치를 구성하는 냉각탑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가 협소하고 한정되어 태양 전지판의 설치에 제한을 받게 되고 설치작업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건축물의 채광 및 환기를 위해 설치된 창호시스템에 태양광 시스템이 적용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태양광 시스템은 설치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확장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대해 향상된 내충격성을 가진 태양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을 구성하는 태양전지가 높이 방향(Z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30도 내지 90도로 구성 되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태양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은 봉지부; 상기 봉지부의 높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30도 내지 90도가 되도록, 상기 봉지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및 상기 봉지부 내에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의 탄성율은 상기 태양전지의 탄성율에 비해 높을 수 있다.
또한, 봉지부; 상기 봉지부의 높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30도 내지 90도가 되도록, 상기 봉지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상기 봉지부 내에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충격 흡수부; 및 상기 봉지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제2충격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충격 흡수부는, 상기 봉지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외측면에 배치된 충격 흡수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충격 흡수부 및 제2충격 흡수부의 탄성율은 상기 태양전지의 탄성율에 비해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충격 흡수부는 외면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봉지부; 상기 봉지부의 높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30도 내지 90도가 되도록, 상기 봉지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및 상기 봉지부 내에서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에서 복수의 태양전지를 연결하는 충격 흡수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의 양단에 배치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연장부를 관통하여, 복수의 태양전지를 연결하고, 외력 인가 시, 상기 충격 흡수부를 축으로 이웃하는 태양전지는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에 배치되며 이웃하는 태양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선을 통해 이웃하는 복수의 태양전지는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충격에 대해 향상된 내충격성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100)은 봉지부(110), 태양전지(120) 및 충격 흡수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100)은 제1방향(X축방향)으로 너비를 갖는 태양전지(120) 복수 개가 봉지부(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2방향(Z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봉지부(110)는 투명하고, 유연하여 형상 변형이 용이하며, 열 또는 UV에 경화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봉지부(110)는 EVA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봉지부(110)가 EV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태양광 모듈의 봉지부로서 사용 가능한 모든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봉지부(110)는 습기 침투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복수의 태양전지(12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봉지부(110)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PO(polyolefin), IONOMER, PVB(polyvinyl butyral),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실리콘 수지(silicone resin)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봉지부(110)에는 복수의 태양전지(120)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봉지부(110)는 태양전지(120)의 전면을 감쌀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120)는 두께와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태양전지(120)는 두께가 10 nm~10 μm인 박막형 태양전지(120)가 적용되거나, 두께가 50~300 μm인 실리콘 태양전지(120)가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태양전지(120)는 그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태양전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실리콘 태양전지는 사용되는 기판의 종류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는데, 광흡수층의 결정 특성에 따라 크게 다결정(Multicrystalline)과 단결정(Crystalline) 실리콘 태양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대표적인 실리콘 태양전지인 단결정(Crystalline) 태양전지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Wafer)를 기판으로 만드는 태양전지이다. 또한, 실리콘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 위에 다른 파장의 빛을 흡광하는 태양전지를 한 층 더 적층하는 이중접합(Tandem) 또는 그 위에 또다른 파장의 빛을 흡광하는 태양전지를 한층 더 적층하는 삼중접합(Triple Junction) 등의 다중접합 구조로 제조하거나, 하이브리드 구조로 제조하여 전환 효율을 통상의 실리콘 태양전지 수준 이상으로 높이고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태양전지(120)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태양전지(120) 각각은 높이 방향(Z축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30도 내지 90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봉지부(110)는 설정된 형태로 절곡된 이후, 경화되어 외력 제거 시 원래의 형태로 형상이 복구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봉지부(110)의 재질에 따라 경화 공정 없이도 외력 제거 시 원래의 형태로 형상이 복구되지 않을 수 있다.
충격 흡수부(130)는 높이 방향(Z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태양전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 흡수부(130)는 태양광 모듈(100) 내에서, 태양전지(120)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하나 적개 또는 하나 많게 구성될 수 있다.
수평 방향(X축방향)에서 충격 흡수부(130)의 너비는 태양전지(120)의 너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수평 방향(X축방향)에서 인가되는 외력이 충격 흡수부(130)에 전달되어 상쇄될 수 있다. 즉, 외력은 태양전지(120)에 인가되기 전에 충격 흡수부(130)에서 상쇄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부(130)는 스프링의 탄성체 형태, 스폰지 또는 폼(foam)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상쇄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충격 흡수부(130)는 태양전지(120)에 비해 탄성률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부(130)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 또는 굴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웃한 태양전지(120) 측에 광을 전달하여 광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200)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100)과 제2충격 흡수부(210)의 구성이 상이하며, 이후에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200)에 대해서는, 제2충격 흡수부(2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200)에서는 태양전지(120) 사이에 배치된 충격 흡수부(130)는 제1충격 흡수부(130)와 혼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2충격 흡수부(210)는 봉지부(11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이 입사되는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2충격 흡수부(210)는 투명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충격 흡수부(210)는 스프링의 탄성체 형태, 스폰지 또는 폼(foam)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상쇄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충격 흡수부(130) 및 제2충격 흡수부(210)는 태양전지(120)에 비해 탄성률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할 수 있다.
즉, 제1충격 흡수부(130)와 제2충격 흡수부(210)를 함께 구비한 태양광 모듈(200)은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이를 상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100)과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2충격 흡수부(330)의 구성이 상이하며, 이후에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300)에 대해서는, 제1기판(310), 제2기판(320) 및 제2충격 흡수부(3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300)에서는 태양전지(120) 사이에 배치된 충격 흡수부(130)는 제1충격 흡수부(130)와 혼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봉지부(110)의 전방과 후방 각각에 제1기판(310)과 제2기판(320)을 배치할 수 있다.
제1기판(310)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모듈의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모듈의 후면으로 습기나 오염물, 자외선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전기나 열을 통하지 않게 하여, 태양전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기판(310)은 고온 다습, 고전압 및 강한 자외선 등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내후성, 내습성, 내절연성, 자외선 차단성 등의 내구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기판(310)은 수분과 산소 침투를 방지하는 층, 화학적 부식을 방지하는 층, 절연 특성을 갖는 층과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한 예로, 제1기판(310)은 PVF(polyvinyl fluorid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저 철분 강화 유리(low iron tempered glass)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기판(310)은 이러한 재료로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2기판(320)과 같이 투명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기판(320)은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모듈의 전방에 배치되며, 입사되는 광을 투과하도록 투과율이 높고 파손 방지 기능이 우수한 강화 유리 등으로 이루어 지거나, 고투과 불소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강화 유리는 철 성분 함량이 낮은 저 철분 강화 유리(low iron tempered glass)일 수 있다.
제2충격 흡수부(330)는 제1기판(310)의 전면 및 제2기판(320)의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이 입사되는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제2충격 흡수부(330)는 투명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충격 흡수부(330)는 스프링의 탄성체 형태, 스폰지 또는 폼(foam)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상쇄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충격 흡수부(130) 및 제2충격 흡수부(330)는 태양전지(120)에 비해 탄성률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할 수 있다.
즉, 제1충격 흡수부(130)와 제2충격 흡수부(330)를 함께 구비한 태양광 모듈(300)은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이를 상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400)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100)과 제2충격 흡수부(410)의 구성이 상이하며, 이후에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300)에 대해서는, 제2충격 흡수부(41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400)에서는 태양전지(120) 사이에 배치된 충격 흡수부(130)는 제1충격 흡수부(130)와 혼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제2충격 흡수부(410)는 봉지부(110)의 전면에 배치되며, 투명도를 가지며, 스프링의 탄성체 형태, 스폰지 또는 폼(foam)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상쇄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충격 흡수부(410)는 외면이 곡률을 가지며, 제2충격 흡수부(410)는 태양전지(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며, 제2충격 흡수부(410)의 곡면 상의 변곡점이 태양전지(120)의 중심(1)과 동일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사된 광은 제2충격 흡수부(410)를 통해 굴절되어 태양전지(12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으로 입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충격 흡수부(130) 및 제2충격 흡수부(410)는 태양전지(120)에 비해 탄성률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할 수 있다.
즉, 제1충격 흡수부(130)와 제2충격 흡수부(410)를 함께 구비한 태양광 모듈(400)은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 충격을 흡수하고, 이를 상쇄할 수 있으며, 입사된 광을 굴절시켜 태양전지(120)에서의 광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500)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100)과 연장부(510), 충격 흡수부(520) 및 도선(530)의 구성이 상이하며, 이후에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500)에 대해서는, 연장부(510), 충격 흡수부(520) 및 도선(53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장부(510)는 복수의 태양전지(12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510)는 탄성을 가지며, 탄성을 갖는 고분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Y축방향으로 이웃하는 태양전지(120)의 연장부(510)는 상호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Y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120)는 상호 연장부(510)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520)는 스프링의 탄성체 형태, 스폰지 또는 폼(foam)형태 등으로 구성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부 충격을 흡수 또는 상쇄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절연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격 흡수부(520)는 태양전지(120)에 비해 탄성률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상쇄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520)는 중첩된 한 쌍의 연장부(510)를 관통하여, 이웃한 태양전지(12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즉, 충격 흡수부(520)를 축으로 이웃한 태양전지(120)는 상호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부(520)는 중첩된 한 쌍의 연장부(510) 각각에 억지 끼움 또는 별도의 마찰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되어 있어, 외력 없이는 유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가해지면 외력은 태양전지(120)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충격 흡수부(520) 측으로 전달되어, 충격 흡수부(520)를 축으로 이웃한 태양전지(120)가 회전하여 외부 충격을 상쇄할 수 있다.
한편, 충격 흡수부(520)를 통해 연결된 태양전지(120)는 봉지부(110) 내에 배치되어 필요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이 억제되며, 외력은 태양전지(120)의 유동, 충격 흡수부(520)에 전달 및 봉지부(110)에 전달을 통해 상쇄될 수 있다.
한편, Y축방향과 수직한 Z축방향(높이 방향)에는 복수의 열(제1열, 제2열, 제3열) 마다 복수의 태양전지(120)가 연결될 수 있다.
도선(530)은 제1도선(531) 및 제2도선(532)을 포함하고, 제1도선(531) 및 제2도선(532) 각각은 충격 흡수부(520)를 통해 고정되며, Z축방향 및 Y축방향에서 이웃한 태양전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도선(531)은 Z축방향에서 충격 흡수부(520)를 통해 상하로 배치된 태양전지(120)를 병렬 연결하며, 제2도선(532)은 Y축방향에서 충격 흡수부(520)를 통해 좌우로 배치된 태양전지(120)를 직렬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전지(120)의 상단에는 제1전극이 배치되고, 하단에는 제1전극과 상이한 제2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태양광 모듈
110: 봉지부
120: 태양전지
130: 충격 흡수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봉지부;
    상기 봉지부의 높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30도 내지 90도가 되도록, 상기 봉지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및
    상기 봉지부 내에서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에서 복수의 태양전지를 연결하는 충격 흡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의 양단에 배치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연장부를 관통하여, 복수의 태양전지를 연결하고,
    외력 인가 시, 상기 충격 흡수부를 축으로 이웃하는 태양전지는 회전가능한 태양광 모듈.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에 배치되며 이웃하는 태양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선을 통해 이웃하는 복수의 태양전지는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된 태양광 모듈.
KR1020210077742A 2021-06-16 2021-06-16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KR102599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742A KR102599896B1 (ko) 2021-06-16 2021-06-16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PCT/KR2022/008355 WO2022265336A1 (ko) 2021-06-16 2022-06-14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KR1020230150591A KR20230157272A (ko) 2021-06-16 2023-11-03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742A KR102599896B1 (ko) 2021-06-16 2021-06-16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591A Division KR20230157272A (ko) 2021-06-16 2023-11-03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250A KR20220168250A (ko) 2022-12-23
KR102599896B1 true KR102599896B1 (ko) 2023-11-08

Family

ID=84527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742A KR102599896B1 (ko) 2021-06-16 2021-06-16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KR1020230150591A KR20230157272A (ko) 2021-06-16 2023-11-03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591A KR20230157272A (ko) 2021-06-16 2023-11-03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99896B1 (ko)
WO (1) WO202226533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7923A (ja) * 2015-08-07 2017-02-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衝撃吸収型ガラス基板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372B1 (ko) * 2009-12-24 2011-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074304A (ko) * 2009-12-24 2011-06-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US20120171800A1 (en) * 2010-12-30 2012-07-05 Du Pont Apollo Ltd. Method of sealing an electronic device
KR20130050449A (ko) * 2011-11-08 201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갖는 자동차의 선루프
KR101210213B1 (ko) * 2012-09-28 2012-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07476B1 (ko) * 2013-04-09 2017-02-16 주식회사 오리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실링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37923A (ja) * 2015-08-07 2017-02-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衝撃吸収型ガラス基板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336A1 (ko) 2022-12-22
KR20230157272A (ko) 2023-11-16
KR20220168250A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8705B2 (ja) 内部間隔を有する非平面状ソーラーユニットの組立品
KR10109137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US8418417B2 (en) Photovoltaic module
US20080053518A1 (en) Transparent solar cell system
US20130306130A1 (en) Solar module apparatus with edge reflection enhance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10023959A1 (en) Photovoltaic Cell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94841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0213B1 (ko) 태양광 발전장치
GB2570493A (en) Solar panel arrangement
KR102339975B1 (ko) 정션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KR102586342B1 (ko) 태양광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40318603A1 (en) All Plastic Solar Panel
JP2016186156A (ja) 太陽電池一体型壁材
KR102599896B1 (ko)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CN115602692A (zh) 一种太阳能叠层电池、电池组件和光伏系统
KR102101728B1 (ko) 태양 전지 모듈
JP2015194072A (ja) 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023216A (ja) 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25119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660795B1 (ko) 태양광 모듈
KR102145756B1 (ko) 누설절감 bipv 태양전지
KR102243640B1 (ko) 태양 전지 모듈
KR102543008B1 (ko)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8295B1 (ko) 태양광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596269B1 (ko) 확장이 용이한 조립형 태양광 모듈 및 어셈블리의 구조 및 공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