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213B1 - 태양광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213B1
KR101210213B1 KR1020120109563A KR20120109563A KR101210213B1 KR 101210213 B1 KR101210213 B1 KR 101210213B1 KR 1020120109563 A KR1020120109563 A KR 1020120109563A KR 20120109563 A KR20120109563 A KR 20120109563A KR 101210213 B1 KR101210213 B1 KR 10121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solar cell
solar cells
groo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206A (ko
Inventor
지석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2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태양광 발전장치가 개시된다.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태양광 발전장치는 창호 등에 사용되어, 넓은 투과 영역을 가지면서, 향상된 발전효율을 가진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SOLAR CELL APPARATUS}
실시예는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전 변환 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발전 모듈은 지구 환경의 보전에 기여하는 무공해 에너지를 얻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태양 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이 개선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 모듈을 구비한 많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주거 용도 및 상업 건물의 외장재로까지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실시예는 넓은 투과 영역 및 향상된 발전효율을 가지며, 건물의 외벽 및 창호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다수 개의 태양전지들; 및 상기 투명기판의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태양전지들을 각각 서로 연결하는 다수 개의 접속부재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제 1 홈 및 상기 제 1 홈에 인접하는 제 2 홈이 형성되는 투명기판; 상기 제 1 홈에 삽입되며,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제 1 태양전지; 상기 제 2 홈에 삽입되며,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제 2 태양전지; 및 상기 제 1 태양전지 및 상기 제 2 태양전지를 연결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투명기판에 수직 또는 경사지는 태양전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넓은 투과 영역을 가진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가 창호로 사용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은 효율적으로 태양전지에 입사될 수 있다. 즉, 창호는 세워져서 사용되기 때문에, 태양전지에 대한 태양광의 입사각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전지가 투명기판에 수평한 경우보다 태양전지에 대한 태양광의 입사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넓은 투과 영역을 가지면서, 동시에 향상된 발전 효율을 가진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건물의 외벽 및 창호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태양광이 태양전지에 입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태양전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태양전지들이 서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들이 서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배선, 전지, 장치, 면 또는 패턴 등이 각 패턴, 배선, 전지, 면 또는 패턴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태양광이 태양전지에 입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태양전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태양전지들이 서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투명기판(100), 다수 개의 태양전지들(200), 다수 개의 접속부재들(300) 및 다수 개의 밀봉부재들(400)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기판(100)은 투명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투명기판(100)은 절연체이다. 상기 투명기판(100)은 예를 들어,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투명기판(1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유리, 강화유리 또는 투명한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투명기판(1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PMM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crylonitrile styrene;AS), 폴리스티렌(polystyrene;P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PES), 폴리아미드(polyamide;PA), 폴리에스테르이미드(polyesterimide;PEI) 및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e;PMP)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투명기판(100)은 다수 개의 홈들(110)을 포함한다. 상기 홈들(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홈들(110)은 상기 투명기판(100)의 일 측면(102)으로부터 반대 측면까지 연장된다.
상기 홈들(110)의 깊이는 상기 투명기판(100)의 두께의 약 5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상기 투명기판(100)의 두께는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홈들(110)의 폭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의 두께에 따라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들(110)의 폭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의 두께보다 더 크다.
상기 홈들(110)은 상기 투명기판(100)의 전면(101)에 형성된다. 상기 홈들(110)은 서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홈들(110)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홈들(110)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상기 투명기판(100)과 교차한다.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상기 투명기판(100)과 수직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상기 투명기판(100)과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양전지들(200) 및 상기 투명기판(100) 사이의 각도는 약 90°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00) 및 상기 투명기판(100) 사이의 각도는 약 45°내지 약 85°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00) 사이의 간격 및 상기 태양전지들(200)의 기울어진 정도가 적당히 조절되어, 상기 태양전지들(200)에 입사되는 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00) 사이의 간격 및 상기 태양전지들(200)의 기울어진 각도가 조절되어,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광-전 변환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각각 상기 홈들(110)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홈들(11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홈들(110)은 상기 투명기판(10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들(11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이 상기 투명기판(100)과 경사지도록, 상기 태양전지들(200)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서로 이격되면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태양광을 입사받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예를 들어, CIGS계 태양전지, 실리콘 계열 태양전지, 염료감응 계열 태양전지, Ⅱ-Ⅵ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또는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되는 광-전 변환층 및 상기 광-전 변환층 상에 배치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200)는 지지기판(210), 이면전극층(220), 광 흡수층(230), 버퍼층(240), 고저항 버퍼층(250), 윈도우층(260) 및 그리드 전극들(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판(210)은 절연체이며, 상기 이면전극층(220), 상기 광 흡수층(230), 상기 버퍼층(240), 상기 고저항 버퍼층(250), 상기 윈도우층(260) 및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기판(210)은 플렉서블 할 수 있다. 상기 지지기판(210)은 스테인레스 기판,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이면전극층(220)은 상기 지지기판(2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이면전극층(220)은 도전층이다. 상기 이면전극층(22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면전극층(220)은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부(221)를 포함한다.
상기 광 흡수층(230)은 상기 이면전극층(2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광 흡수층(230)은 Ⅰ-Ⅲ-Ⅵ족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 흡수층(230)은 구리-인듐-갈륨-셀레나이드계(Cu(In,Ga)Se2;CIGS계) 결정 구조, 구리-인듐-셀레나이드계 또는 구리-갈륨-셀레나이드계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흡수층(230)의 에너지 밴드갭(band gap)은 약 1eV 내지 1.8eV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240)은 상기 광 흡수층(23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버퍼층(240)은 상기 광 흡수층(230) 상에 직접 형성된다. 즉, 상기 버퍼층(240)은 상기 광 흡수층(230)에 직접 접촉한다. 상기 버퍼층(24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황화 카드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버퍼층(240)의 에너지 밴드갭은 약 2.0eV 내지 약 2.5eV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240)의 두께는 약 50㎚ 내지 약 150㎚일 수 있다.
상기 고저항 버퍼층(250)은 상기 버퍼층(24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고저항 버퍼층(250)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징크 옥사이드(i-ZnO)를 포함한다. 상기 고저항 버퍼층(250)의 에너지 밴드갭은 약 3.1eV 내지 3.3eV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층(260)은 상기 고저항 버퍼층(25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층(260)은 투명하며, 도전층이다.
상기 윈도우층(26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알루미늄이 도핑된 징크 옥사이드(Al doped ZnO;AZO) 또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uim tin oxide;ITO)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흡수층(230), 상기 버퍼층(240), 상기 고저항 버퍼층(250) 및 상기 윈도우층(260)은 상기 단자부(221)를 노출시킨다. 즉, 상기 단자부(221)에는 상기 광 흡수층(230), 상기 버퍼층(240), 상기 고저항 버퍼층(250) 및 상기 윈도우층(260)이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은 상기 윈도우층(26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은 상기 윈도우층(260)에 접속된다.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은 상기 윈도우층(260)의 전자 수집 능력을 보조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접속부재들(30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의 끝 단에 연결된다. 결국,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높은 저항을 가진다. 즉, 상기 윈도우층(260)은 높은 비저항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높은 저항을 가진다.
이에 따라서, 상기 광 흡수층(230)으로부터 생성되는 전자는 상기 윈도우층(260) 만을 따라서 상기 접속부재들(300)로 이동되기가 쉽지 않다. 이때,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은 상기 윈도우층(260)에 접속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저항을 가지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즉,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의 전체적인 저항을 낮추고,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광-전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은 메인 그리드 전극(271) 및 다수 개의 서브 그리드 전극들(272)일 수 있다. 상기 메인 그리드 전극(271)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서브 그리드 전극들(272)은 상기 메인 그리드 전극(271)들로부터, 상기 태양전지들(200)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광이 입사되는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상기 윈도우층(260)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접속부재들(30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을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접속부재들(30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을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들(300)은 도전테이프 또는 도전 와이어 일 수 있다.
상기 접속부재들(300)은 상기 투명기판(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상기 투명기판(10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접속부재들(300)은 상기 태양전지(200)의 돌출된 부분에 접속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재들(300)은 상기 단자부(221) 및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제 1 접속부재(301)는 제 1 태양전지(201)의 단자부(221)에 접속되고, 제 2 태양전지(202)의 그리드 전극들(270)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접속부재(302)는 제 2 태양전지(202)의 단자부(221) 및 제 3 태양전지(203)의 그리드 전극들(270)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태양전지(201), 상기 제 2 태양전지(202) 및 상기 제 3 태양전지(203)는 상기 제 1 접속부재(301) 및 상기 제 2 접속부재(302)에 의해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홈들(11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홈들(110) 내측에 각각 채워진다. 즉,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홈들(110) 내측에 채워지는 충진재이다.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각각 상기 태양전지들(200)을 둘러싼다. 즉,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을 밀봉한다.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투명하며, 절연체이다. 상기 밀봉부재들(40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투명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들(400)로 사용되는 광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투명기판(1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투명기판(100)에 대응하는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홈들(11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에 밀착된다. 상기 밀봉부재들(400)은 상기 태양전지들(200)에 습기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투명기판(10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태양전지들(200)의 돌출되는 부분 및 상기 접속부재들(300)을 밀봉하기 위한 추가적인 밀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투명기판(100)의 측면을 둘러싸는 프레임 및 상기 태양전지들(20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인접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또는 축전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정션 박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들(200)은 상기 투명기판(100)에 수직하거나, 경사지기 때문에,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넓은 투과 영역을 가진다. 즉, 상기 태양전지들(200)이 상기 투명기판(100)에 수평한 경우보다,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더 넓은 투과 영역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태양전지들(200)이 상기 투명기판(100)에 수직인 경우, 상기 태양전지들(200)의 측면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이 투과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가 창호로 사용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은 효율적으로 상기 태양전지들(200)에 입사될 수 있다. 즉, 창호는 세워져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들(200)에 대한 태양광의 입사각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 태양전지들(200)이 상기 투명기판(100)에 수평한 경우보다, 상기 태양전지들(200)에 대한 태양광의 입사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밀봉부재들(400)의 굴절률이 상기 투명기판(100)의 굴절률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밀봉부재들(400) 및 상기 투명기판(100) 사이의 계면에서의 전반사가 감소된다. 또한, 상기 밀봉부재들(400)의 굴절률이 상기 투명기판(100)의 굴절률보다 더 큰 경우, 상기 태양전지들(200)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입사각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넓은 투과 영역을 가지면서, 동시에 향상된 발전 효율을 가진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건물의 외벽 및 창호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들이 서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태양전지들 및 접속부재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앞선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변경된 부분을 제외하고,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본질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태양전지들(500)은 도전기판(520), 광 흡수층(530), 버퍼층(540), 고저항 버퍼층(550), 윈도우층(560) 및 그리드 전극들(570)을 포함한다.
상기 도전기판(520)은 도전체이며, 플렉서블하다. 상기 도전기판(52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기판(520)은 상기 광 흡수층(530), 상기 버퍼층(540), 상기 고저항 버퍼층(550), 상기 윈도우층(560) 및 상기 그리드 전극들(570)을 지지한다.
상기 도전기판(520)은 이면전극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도전기판(520)은 상기 광 흡수층(530)에 접속되어, 상기 광 흡수층(530)으로부터 발생되는 전하를 받는다.
상기 광 흡수층(530), 상기 버퍼층(540), 상기 고저항 버퍼층(550), 상기 윈도우층(560) 및 상기 그리드 전극들(570)은 상기 도전기판(520) 상에 차례로 적층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부재들(301, 302)은 각각 상기 그리드 전극들(270) 및 상기 도전기판(52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접속부재(301)는 제 1 태양전지(501)의 도전기판에 접속되고, 동시에, 제 2 태양전지(502)의 그리드 전극들에 연결된다. 또한, 제 2 접속부재(302)는 상기 제 2 태양전지(502)의 도전기판에 연결되고, 제 3 태양전지(503)의 그리드 전극들에 연결된다.
상기 도전기판(520)은 이면전극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지지기판 기능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들(500)은 지지기판을 따로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더 넓은 투과 영역을 가진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들(500)은 단자부를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들(500)은 서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투명기판
110 : 홈
200 : 태양전지

Claims (5)

  1. 홈을 가지는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홈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 및 상기 투명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충진재
    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상기 투명기판보다 더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의 일부는 상기 투명기판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는 플렉서블한 태양광 발전장치.
  4.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태양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는
    지지기판;
    상기 지지기판 상에 배치되는 이면전극층;
    상기 이면전극층 상에 배치되는 광 흡수층;
    상기 광 흡수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층; 및
    상기 윈도우층 상에 배치되는 그리드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이면전극층의 일부를 노출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5. 제 1 홈 및 상기 제 1 홈에 인접하는 제 2 홈이 형성되는 투명기판;
    상기 제 1 홈에 삽입되며,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제 1 태양전지;
    상기 제 2 홈에 삽입되며, 상기 투명기판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경사지는 제 2 태양전지; 및
    상기 제 1 태양전지 및 상기 제 2 태양전지를 연결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의 깊이는 상기 투명기판의 두께의 50% 내지 70%인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20109563A 2012-09-28 2012-09-28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1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563A KR101210213B1 (ko) 2012-09-28 2012-09-28 태양광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563A KR101210213B1 (ko) 2012-09-28 2012-09-28 태양광 발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225A Division KR20110074304A (ko) 2009-12-24 2009-12-24 태양광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206A KR20120113206A (ko) 2012-10-12
KR101210213B1 true KR101210213B1 (ko) 2012-12-07

Family

ID=4728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563A KR101210213B1 (ko) 2012-09-28 2012-09-28 태양광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573B1 (ko) * 2019-08-27 2021-05-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인성이 우수한 태양 전지 모듈
KR102317848B1 (ko) * 2019-11-01 2021-10-27 한국기계연구원 집광형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3973B1 (ko) * 2020-02-14 2022-10-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KR102514016B1 (ko) * 2020-05-20 2023-03-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led가 설치된 태양광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99896B1 (ko) * 2021-06-16 2023-1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KR102660795B1 (ko) 2022-03-17 2024-04-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206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37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10213B1 (ko) 태양광 발전장치
WO2007081825A2 (en) Interconnects for solar cell devices
US10249770B2 (en) Solar cell module
KR20140049065A (ko) 직렬 연결형 박막 태양광 모듈 및 박막 태양 전지의 직렬 연결 방법
KR20110074304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54663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130101290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01728B1 (ko) 태양 전지 모듈
KR102243640B1 (ko) 태양 전지 모듈
US20130247964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JP5916605B2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866309B1 (ko) 메탈 웰딩 태양전지
KR101273186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599896B1 (ko) 충격 흡수구조체를 포함한 태양광 모듈
KR10130644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19628266U (zh) 一种叉指背接触太阳能电池、电池组件和光伏系统
CN102664207A (zh) 太阳能电池
KR101349415B1 (ko) 태양전지 모듈
US20150075586A1 (en) Solar cell module
US20150136197A1 (en) Solar cell array
KR101283237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230153588A (ko) 태양광 모듈의 제조 방법
US20160233346A1 (en) Solar Battery Module
KR20150089874A (ko)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