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00609B1 - 햄머밀 분쇄 선별기 - Google Patents

햄머밀 분쇄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00609B1
KR102700609B1 KR1020240020962A KR20240020962A KR102700609B1 KR 102700609 B1 KR102700609 B1 KR 102700609B1 KR 1020240020962 A KR1020240020962 A KR 1020240020962A KR 20240020962 A KR20240020962 A KR 20240020962A KR 102700609 B1 KR102700609 B1 KR 102700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riking
unit
main body
hammer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2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휘
Original Assignee
김홍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휘 filed Critical 김홍휘
Priority to KR1020240020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00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02C13/1807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the material to be crushed being thrown against an anvil or impact plate
    • B02C2013/187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the material to be crushed being thrown against an anvil or impact plate radi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02C2013/280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the beater elements are attached to disks mounted on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햄머밀 분쇄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페인트 용기, 고추장 용기 등 철 재질로 형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선별물을 선별하여 재활용함에 있어서, 선별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타격 및 스크래핑 함과 아울러, 선별물에 다중 복합적으로 충격력을 인가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식을 통해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는,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본체부; 및 상기 회전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 본체부가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케이스의 내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투입된 선별물의 표면을 타격 및 스크래핑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햄머밀 분쇄 선별기{HAMMER MILL GRINDING CLASSIFIER}
본 발명은 햄머밀 분쇄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페인트 용기, 고추장 용기 등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을 선별하여 재활용함에 있어서, 선별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타격 및 스크래핑 함과 아울러, 선별물에 다중 복합적으로 충격력을 인가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식을 통해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햄머밀 분쇄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는 금속재질의 사각형 페인트통에 담긴 상태로 유통된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된 폐페인트통은 용광로에서 다시 용융시켜 재활용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페인트를 담는데 사용된 폐페인트통의 경우, 내부에 페인트가 남아서 딱딱하게 건조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폐페인트통을 용융시킬 경우, 불순물인 페인트가 혼합되어 철의 순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페인트통을 용융시키는 과정에서 페인트가 연소되어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폐페인트통에 묻어 있는 페인트 잔여물을 박리하는 등록특허 제10-0500909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특허는 폐페인트통을 파쇄한 후, 파쇄된 폐페인트통의 조각에서 페인트를 박리시키는 처리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장치는 페인트통의 조각을 상호 충돌시켜 페인트가 박리되도록 함으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페인트통에 건조된 상태로 부착된 페인트 잔여물을 제거하면서 선별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009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페인트 용기, 고추장 용기 등 철 재질로 형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을 선별하여 재활용함에 있어, 선별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스크래핑 함과 아울러 선별물에 다중 복합적으로 물리적인 충격력을 인가하는 방식을 통해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햄머밀 분쇄 선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는,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본체부; 및 상기 회전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 본체부가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케이스의 내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투입된 선별물의 표면을 타격 및 스크래핑하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본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회전축;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격벽부; 일측과 타측이 시점과 종점에 배치된 격벽부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과 타측의 사이 구간이 시점과 종점 사이에 배치된 격벽부들을 관통하며, 상기 타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복수개가 상기 격벽부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각각의 연결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격벽부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연결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 본체부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선별물의 표면을 타격하는 타격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부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타격유닛과 마주하고, 상기 선별물의 표면과 마찰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제1 긁음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경사면부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타격유닛과 마주하며, 상기 선별물의 표면과 마찰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제2 긁음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천장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타격부의 작동에 의해 상 방향으로 튕겨지는 선별물이 충돌하는 복수개의 충돌유닛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충돌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충돌부에 축 결합되는 결합영역 및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이동바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와 결합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는 받침대; 저면이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바를 감싸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이동바가 관통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측으로 돌출된 이동바의 상측에 체결되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접촉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격유닛의 일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상기 선별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파쇄날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연결대에 장착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는, 페인트 용기, 고추장 용기 등 철 재질로 형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선별물을 선별하여 재활용함에 있어서, 선별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타격 및 스크래핑 함과 아울러, 선별물에 다중 복합적으로 충격력을 인가하여 이물질을 분리하는 방식을 통해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선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에 적용된 솔레노이드 및 파쇄날을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에 적용된 솔레노이드 및 파쇄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1)는, 페인트 용기, 고추장 용기 등 철 재질로 형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선별물들을 선별하여 재활용함에 있어, 선별물들의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타격함과 아울러 스크래핑에 의한 마찰력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선별효율을 높여 선별물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이때, 이물질은 선별물이 페인트 용기일 경우, 선별물의 표면에서 굳어 고착된 페인트 찌꺼기이고, 그리고, 선별물이 고추장 용기일 경우, 선별물의 표면에서 굳어 고착된 고추장 찌꺼기이다. 즉, 이물질은 선별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1)는 회전 본체부(10)와, 타격부(20)와, 제1 긁음부(30a)와, 제2 긁음부(30b)와, 배출부(130)와, 충돌부(40)와, 이동바(50)와, 받침대(60)와, 탄성부(70)와, 지지부(80)와, 고정대(90)와, 솔레노이드(100) 및 파쇄날(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20)의 상측에는 선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20a)가 형성된다.
이때, 선별물은 여러 조각으로 컷팅된 후 투입구(120a)를 통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으로 투입된다.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회전 본체부(10) 및 타격부(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회전 본체부(10)는 케이스(1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면서 타격부(20)를 작동시키는 구성이다.
회전 본체부(10)는 회전축(11)과, 격벽부(12) 및 연결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는 베어링이 각각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회전축(11)은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회전축(11)은 일측과 타측이 베어링에 장착된다. 회전축(11)의 어느 일측은 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회전축(11)의 돌출된 부분은 구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된다.
구동장치는 모터와, 모터에 장착되는 구동 스프로켓과, 회전축(11)에 장착되는 피동 스프로켓 및 구동 스프로켓과 피동 스프로켓에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어 회전축(11)을 회전시키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1)에서 스프로켓은 풀리로 대체되고, 체인은 타이밍 밸트로 대체될 수 있다.
전술한 구동장치는 공지의 트롬멜 스크린(트롬멜 선별기)에서 상용화 된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격벽부(12)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부(12)는 중심부가 회전축(11)에 장착된다. 따라서, 회전축(11) 및 격벽부(12)는 함께 회전된다.
격벽부(12)는 다수개로 적용된다. 격벽부(12)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연결대(13)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대(13)는 일측과 타측이 시점과 종점에 배치된 격벽부(12)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대(13)의 일측과 타측의 사이 구간은 시점과 종점 사이에 배치된 모든 격벽부(12)들을 관통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축(11)과 격벽부(12) 및 연결대(13)는 일체로 형성되며, 구동장치가 구동될 시 함께 회전된다.
연결대(13)는 후술되는 타격부(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써, 다수개의 타격부(20)가 적용되도록 다수개로 적용된다.
특히, 타격부(20)는 회전 본체부(10)에서 펼쳐지는 형태로 작동되면서 수용공간에 외곽측에 편심되게 위치되는 선별물 조각들을 타격하는 바, 연결대(13)는 격벽부(12)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타격부(20)는 각각의 연결대(13)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며, 격벽부(12)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타격부(20)는 격벽부(12)들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격벽부(12)들은 짝수 또는 홀수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격벽부(12)들의 사이 공간도 짝수 또는 홀수로 형성된다.
일 예로,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연결대(13)에 적용되는 타격부(20)들은 짝수에 위치한 공간에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연결대(13)의 일측에 위치된 이웃하는 연결대(13)에 적용되는 타격부(20)들은 홀수에 위치한 공간에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연결대(13)에 적용되는 타격부(20)들은 일측에 위치된 이웃하는 연결대(13)에 장착된 타격부(20)들과 대각선상에 배치된 상태로 선별물 조각들을 타격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타격부(20)는 모든 격벽부(12)들의 사이 공간마다 배치된 상태로 선별물 조각들을 타격할 수 있다.
아울러, 타격부(20)는 격벽부(12)들의 사이 공간마다 1개 또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1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타격부(20)는 몸체부(21) 및 타격유닛(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1)는 연결대(13)에 장착되는 장착구(211)를 포함한다. 장착구(211)는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공의 직경은 연결대(13)와 동일하거나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몸체부(21)는 연결대(13) 상에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장착구(211)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격벽부(12)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링(212)에 지지된다. 고정링(212)은 연결대(13)에 장착된 상태로 장착구(211)의 일측면과 타측면을 각각 지지하여 타격부(2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부(20)들은 장착구(211)를 통해 연결대(13)에 매달려 있는 구조를 이룬다. 회전축(11)이 회전되지 아니할 시 타격부(20)들은 자중에 의해 늘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타격유닛(22)은 몸체부(2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타격유닛(22)은 몸체부(21)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타격유닛(22)은 선별물 조각들에 대한 타격범위를 넓히도록 몸체부(21)보다 긴 폭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이 구동장치의 작동으로 회전될 시 몸체부(21) 및 타격유닛(22)은 원심력에 의해 케이스(120)의 내면 방향으로 즉, 격벽부(12)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다. 특히, 타격유닛(22)은 격벽부(12)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선별물 조각들의 표면을 타격한다.
타격유닛(22)은 직사각형 판 또는 정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타격유닛(22)은 긁음부(30a,30b)나 배출부(130)와 마주하는 일측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긁음부(30a)는 케이스(120)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부(122)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제1 긁음부(30a)는 타격유닛(22)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긁음부(30a)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긁음부(30a)는 타격유닛(22)과 마주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1 긁음부(30a)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선별물 조각들 중 일정량은 회전하는 타격유닛(22)과 제1 긁음부(30a)의 사이에서 스크래핑 된다.
즉, 선별물 조각의 전면과 후면은 각각 타격유닛(22)과 제1 긁음부(30a)에 스크래핑 된다.
아울러, 타격유닛(22)과 제1 긁음부(30a)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선별물 조각의 경우 타격유닛(22)에 타격되어 제1 긁음부(30a)에 충돌된다.
제2 긁음부(30b)는 케이스(120)의 내부에 형성되고, 경사면부(122)의 상측에 위치되는 수직면부(123)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제2 긁음부(30b)는 타격유닛(22)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 긁음부(30b)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긁음부(30b)는 타격유닛(22)과 마주하는 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2 긁음부(30b)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선별물 조각들 중 일정량은 회전하는 타격유닛(22)과 제2 긁음부(30b)의 사이에서 스크래핑 된다.
즉, 선별물 조각의 전면과 후면은 각각 타격유닛(22)과 제2 긁음부(30b)에 스크래핑 된다.
아울러, 타격유닛(22)과 제2 긁음부(30b)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선별물 조각의 경우 타격유닛(22)에 타격되어 제2 긁음부(30b)에 충돌된다.
그리고, 제2 긁음부(30b)를 통과한 선별물 조각은 하측에 배치된 제1 긁음부(30a)로 낙하되어 2차적으로 스크래핑 및 충돌된다.
도 2를 기준으로 회전축(1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타격부(20)들도 원심력에 의해 펼쳐진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타격유닛(22)은 회전과정에서 선별물 조각들을 시계방향으로 밀어내면서 타격 및 스크래핑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별물은 고추장 용기나 페인트 용기로 형성되는 바, 이물질은 용기의 내면에만 묻어 있다. 이때, 선별물 조각은 내면과 외면이 구분되지 않고 수용공간에 투입되기 때문에 선별물 조각들 중 일부는 이물질이 묻어 있는 내면이 제1,2 긁음부(30a,30b)에 접촉 또는 충돌되고 외면은 타격유닛(22)에 타격된다. 아울러, 선별물 조각들 중 다른 일부는 이물질이 묻어 있는 내면이 타격유닛(22)에 타격되고 외면은 제1,2 긁음부(30a,30b)에 접촉 또는 충돌된다.
이로 인해, 선별물 조각의 내면이 타격유닛(22)을 향하는 경우, 타격유닛(22)이 내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타격 및 스크래핑하고, 선별물 조각의 내면이 제1,2 긁음부(30a,30b)을 향하는 경우, 제1,2 긁음부(30a,30b)이 내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긁어낸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1)는 타격유닛(22)과 제1,2 긁음부(30a,30b)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선별물 조각의 내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에 물리적 충격을 가하여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배출부(130)는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 배치된다. 배출부(130)는 케이스(1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배출부(130)는 일측이 하측에 배치된 긁음부(3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케이스(120)의 내벽면에 용접 결합 또는 볼팅 결합된다.
배출부(130)는 회전축(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축(11) 의 전체 길이 대비 80% 내지 90%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아울러, 배출부(130)는 적어도 시점에 배치된 격벽부(12)에서부터 종점에 배치된 격벽부(12)까지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배출부(130)는 대략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30)에는 타격부(20) 및 제1,2 긁음부(30a,30b)에 의해 선별물 조각에서 분리 및 파쇄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홀(13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선별물 조각은 타격유닛(22), 제1,2 긁음부(30a,30b) 및 충돌유닛(41) 등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더 작은 크기로 파쇄될 수 있다. 그리고, 더 작은 크기로 파쇄된 선별물 조각도 배출홀(130a)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출홀(130a)은 더 작은 크기로 파쇄된 선별물 및 이물질을 케이스(120)의 하측에 배치된 컨베이어(140)에만 배출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베이어(140)의 일측에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통이 마련될 수 있다.
타격유닛(22)이 선별물 조각을 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타격 및 스크래핑 함에 따라, 선별물 조각은 배출부(130)로 이동된다.
그리고, 타격유닛(22) 중 일부는 긁음부(30) 상에에서 선별물 조각을 타격 및 스크래핑 하고, 다른 일부의 타격유닛(22)은 배출부(130) 상에서 선별물 조각을 타격 및 스크래핑 한다.
일 예로, 배출부(130)는 수용공간에 투입된 선별물 조각을 배출할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배출부(130)는 좌측단이 우측단보다 높거나 또는 우측단이 좌측단보다 높은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선별물 조각은 타격유닛(22)에 의해 타격되면서 배출부(130)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출된 선별물 조각은 부가 컨베이어(140)로 낙하된 후 이송되어 별도의 수집통에 수집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케이스(120)는 선별물 조각을 배출할 수 있도록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에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선별물 조각에서 분리된 이물질은 배출구를 통해 컨베이어(140)로 배출되고, 선별이 완료된 선별물 조각은 작업자가 개방구를 통해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선별물 조각은 타격유닛(22)에 의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 상 방향(천장면 방향)으로 튕겨져 올라간다.
충돌부(40)는 이와 같이 튕겨져 올라온 선별물 조각에 충격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분리하는데 일조하는 구성이다.
충돌부(40)는 케이스(120)의 천장면 하측에 배치된다. 충돌부(40)는 전술한 배출부(130)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충돌부(40)의 저면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복수개의 충돌유닛(4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충돌유닛(41)은 제1,2 긁음부(30a,30b)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충돌유닛(41)에는 타격부(20)의 작동에 의해 상 방향으로 튕겨지는 선별물 조각이 충돌한다. 이러한 충돌력을 통해서도 선별물 조각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선별물 조각에 대한 이물질의 고착력이 강한 경우 타격유닛(22) 및 제1,2 긁음부(30a,30b)의 충격력, 접촉력 등이 이물질에 작용하더라도, 이물질이 한번에 파쇄 및 분리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그러나, 타격유닛(22)은 반복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선별물 조각을 반복적으로 타격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이때, 선별물 조각은 타격유닛(22)과, 제1,2 긁음부(30a,30b)로부터 물리적 충격을 받은 다음, 상 방향으로 튕겨져 충돌유닛(41)에 충돌되면서 추가로 물리적 충격을 받은 후 낙하된 다음, 다시 타격유닛(22)과, 제1,2 긁음부(30a,30b)의 물리적 충격을 받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선별물 조각에 연속 충격력을 발생시켜 이물질을 파쇄 및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파쇄 및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충돌부(40)는 케이스(120)의 천장면에 설치된 중공의 힌지편(121)에 결합되는 축을 포함한다. 힌지편(121)은 2개 한쌍으로 구성되어 케이스(120)의 천장면 일측 끝부분 및 타측 끝부분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축은 충돌부(4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힌지편(121)의 중공에 삽입된다.
충돌부(40)는 축이 힌지편(121)의 중공에 삽입됨으로 인해 선별물 조각이 충돌될 시, 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충돌부(40)는 선별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하도록 이동바(50)와, 받침대(60)와, 탄성부(70) 및 받침대(60)와 연계하여 회동작동 된다.
이동바(50)는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서 충돌부(40)에 축 결합되는 결합영역(51) 및 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영역(52)을 포함한다. 이동바(50)는 케이스(120)를 관통한다.
케이스(120)에는 이동바(50)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동바(50)는 케이스(120) 및 충돌부(40)에 경사진 구조로 적용된다. 이동바(50)는 충돌부(40)에 선별물 조각이 충돌됨에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상,하 이동된다.
이동바(50)가 상,하 이동됨으로 인해 결합영역(51)의 일부분이 케이스(1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현상과 돌출영역(52)의 일부분이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때, 이동바(50)는 케이스(12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바, 케이스(120)의 관통홀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대(60)는 케이스(120)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이동바(50)는 돌출영역(52)이 받침대(60)를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받침대(60)는 돌출영역(5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탄성부(70)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70)는 돌출영역(52)을 감싸고, 저면이 받침대(60)의 상면에 지지된다.
탄성부(70)는 이동부와 함께 상 방향으로 이동되는 받침부에 의해 압축된다.
지지부(80)는 지지판(81) 및 너트(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81)은 탄성부(70)의 상면을 지지한다. 지지판(81)은 케이스(1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대(90)에 결합된다. 이로 인해 지지판(81)은 부동상태를 유지한다.
지지판(81)에는 돌출영역(52)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관통홀은 돌출영역(52)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영역(52)은 관통홀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돌출영역(52)의 외주연에는 나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너트(82)는 돌출영역(52)의 나선에 체결되면서 지지판(81)의 상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탄성부(70)는 받침대(60) 및 지지판(81)의 사이에서 압축 및 팽창되며, 이동부와 함께 상승되는 받침대(60)에 가압되어 압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에 투입된 후, 타격유닛(22)에 의해 상 방향으로 튕겨진 선별물 조각은 충돌유닛(41)에 충돌되며, 이때, 충돌부(40)가 축을 기준으로 상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이동바(50) 및 받침대(60)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과정에서 받침대(60)가 탄성부(70)를 압축시킨다. 그리고, 탄성부(70)가 받침대(60)에 압축되면서 충돌부(4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게 된다.
또한, 선별물 조각이 충돌부(40)에 충돌되지 아니하면 탄성부(7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받침부를 밀어서 케이스(120)의 외면에 접촉시킨다. 이와 동시에 충돌부(40)가 축을 기준으로 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햄머밀 분쇄 선별기(1)에 적용된 솔레노이드(100) 및 파쇄날(110)에 대해 설명한다.
솔레노이드(100)는 타격유닛(22)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솔레노이드(100)는 플런저가 케이스(120)의 내면을 향하도록 타격유닛(22)에 결합된다.
파쇄날(110)은 솔레노이드(100)의 플런저에 각각 결합된다.
파쇄날(110)은 배출부(130)나 제1,2 긁음부(30a,30b)등과 마주하는 일측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격유닛(22)과 함께 회전되면서 선별물에 고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타격하여 파쇄한다.
이때, 솔레노이드(100)는 파쇄날(110)을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이때, 솔레노이드(100)는 파쇄날(110)을 1초에 약 2~3회 정도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파쇄날(110)은 후진될 시 선별물에 접촉되지 아니하며, 전진될 시 일정영역이 타격유닛(22)로부터 돌출되어 선별물에 고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타격한다.
이로 인해, 파쇄날(110)은 선별물에 고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확률적으로 파쇄하여 선별물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아울러, 큰 덩어리 형태로 선별물의 표면에 고착된 이물질의 경우, 파쇄날(110)에 타격되더라도 선별물에서 분리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파쇄날(110)의 타격력으로 이물질에 크랙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타격유닛(22)으로 크랙이 발생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스크래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햄머밀 분쇄 선별기 10 : 회전 본체부
11 : 회전축 12 : 격벽부
13 : 연결대 20 : 타격부
21 : 몸체부 211 : 장착구
212 : 고정링 22 : 타격유닛
30a,30b : 긁음부 40 : 충돌부
41 : 충돌유닛 50 : 이동바
51 : 결합영역 52 : 돌출영역
60 : 받침대 70 : 탄성부
80 : 지지부 81 : 지지판
82 : 너트 90 : 고정대
100 : 솔레노이드 110 : 파쇄날
120 : 타격유닛(22) 120a : 투입구
121 : 힌지편 122 : 경사면부
123 : 수직면부 130 : 배출부
130a : 배출홀 140 : 컨베이어

Claims (6)

  1.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본체부; 및
    상기 회전 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 본체부가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케이스의 내면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투입된 선별물의 표면을 타격 및 스크래핑하는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본체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는 회전축;
    중심부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격벽부;
    일측과 타측이 시점과 종점에 배치된 격벽부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과 타측의 사이 구간이 시점과 종점 사이에 배치된 격벽부들을 관통하며, 상기 타격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대는 복수개가 상기 격벽부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타격부는 상기 각각의 연결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격벽부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타격부는,
    상기 연결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구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될 시 원심력에 의해 회전 본체부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선별물의 표면을 타격하는 타격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타격유닛의 일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반복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면서 상기 선별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파쇄날을 포함하는 햄머밀 분쇄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면부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타격유닛과 마주하고, 상기 선별물의 표면과 마찰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제1 긁음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수직면부에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타격유닛과 마주하며, 상기 선별물의 표면과 마찰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제2 긁음부를 더 포함하는 햄머밀 분쇄 선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천장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에는 상기 타격부의 작동에 의해 상 방향으로 튕겨지는 선별물이 충돌하는 복수개의 충돌유닛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충돌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충돌부에 축 결합되는 결합영역 및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바;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이동바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바와 결합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는 받침대;
    저면이 상기 받침대에 지지되고, 상기 이동바를 감싸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이동바가 관통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상측으로 돌출된 이동바의 상측에 체결되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접촉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햄머밀 분쇄 선별기.
KR1020240020962A 2024-02-14 2024-02-14 햄머밀 분쇄 선별기 KR10270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0962A KR102700609B1 (ko) 2024-02-14 2024-02-14 햄머밀 분쇄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20962A KR102700609B1 (ko) 2024-02-14 2024-02-14 햄머밀 분쇄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0609B1 true KR102700609B1 (ko) 2024-08-30

Family

ID=92587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0962A KR102700609B1 (ko) 2024-02-14 2024-02-14 햄머밀 분쇄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06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09B1 (ko) 2005-02-16 2005-07-18 정숙희 페인트 캔에서의 페인트 박리장치
KR100964347B1 (ko) * 2009-02-04 2010-06-17 (주)대명크라샤 크라샤의 충격 완화장치
JP2011251215A (ja) * 2010-05-31 2011-12-15 Endo Kogyo Kk 粉砕装置
KR101428795B1 (ko) * 2014-03-28 2014-08-12 유신환경 유한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용 압착과 타격에 의한 2단식 파쇄기
KR101917568B1 (ko) * 2018-04-23 2019-01-24 최재호 롤밀과 해머밀을 2단으로 배치한 파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909B1 (ko) 2005-02-16 2005-07-18 정숙희 페인트 캔에서의 페인트 박리장치
KR100964347B1 (ko) * 2009-02-04 2010-06-17 (주)대명크라샤 크라샤의 충격 완화장치
JP2011251215A (ja) * 2010-05-31 2011-12-15 Endo Kogyo Kk 粉砕装置
KR101428795B1 (ko) * 2014-03-28 2014-08-12 유신환경 유한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용 압착과 타격에 의한 2단식 파쇄기
KR101917568B1 (ko) * 2018-04-23 2019-01-24 최재호 롤밀과 해머밀을 2단으로 배치한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5828B2 (ja) 鉛蓄電池用極板の格子体材料・活物質分離回収方法及び装置
CN105750205A (zh) 一种建筑垃圾抛重破碎装置及其方法
JP6780885B2 (ja) 渦流による夾雑物分離機能を有する比重別廃棄物選別機
JP2948540B2 (ja) 破砕不適物選別破砕装置
JP2003071319A (ja) 廃棄物処理方法、廃棄物処理システム、廃棄物粗破砕装置、廃棄物破砕装置及び廃棄物細破砕装置
US5632380A (en) Ferrous material recovery system
CN100406126C (zh) 金属罐回收系统
US69766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rubber
KR102700609B1 (ko) 햄머밀 분쇄 선별기
JP2004041859A (ja) コンクリート廃材再生装置、コンクリート廃材再生方法、コンクリート廃材再生骨材
KR102235463B1 (ko) 폐플라스틱 압축블록 파쇄장치
CN113102023A (zh) 一种具有粉碎和磁力分选功能的建筑垃圾加工装置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CN212018041U (zh) 一种固体废物处理装置
JP2939712B2 (ja) 空きびん等の分別破砕処理装置
JP3753852B2 (ja) 破袋廃棄物の風力選別装置
JPH06320112A (ja) 選別装置
KR102643305B1 (ko) 트롬멜 선별기
KR101514428B1 (ko) 금속과 비닐 선별장치
JP2017056460A (ja) 回転式圧力篩い処理装置
RU2072262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JP2837069B2 (ja) 都市ごみ等の破砕分別装置
CN113843253B (zh) 一种生活垃圾筛分处理生产线及其工艺流程
CN220559468U (zh) 一种带筛网颚式破碎机
CN110978334B (zh) 一种用于塑胶材料的强力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