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9051B1 -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79051B1 KR102679051B1 KR1020230108186A KR20230108186A KR102679051B1 KR 102679051 B1 KR102679051 B1 KR 102679051B1 KR 1020230108186 A KR1020230108186 A KR 1020230108186A KR 20230108186 A KR20230108186 A KR 20230108186A KR 102679051 B1 KR102679051 B1 KR 1026790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rope
- balance
- balance weight
- winding dru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058 directional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승강로프에 연결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승강물체; 제1샤프트(L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를 권취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제2균형추; 및 상기 제1샤프트(L1)에 제공되어 상기 승강물체의 하강 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로부터 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승강로프에 연결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승강물체; 제1샤프트(L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를 권취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제2균형추; 및 상기 제1샤프트(L1)에 제공되어 상기 승강물체의 하강 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로부터 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의 건물에 사용되는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카 및 균형추가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 하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승객이나 화물을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의 주행거리만큼의 승강로의 필요면적을 차지함으로써, 건물의 전용면적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경제적 손실은 건물의 대형화로, 건축비의 상승 등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건축주에게 커다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카권취모터에 의해 에너지가 소비되며,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카권취모터의 에너지의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발명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카가 하강할때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시도가 없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은 엘리베이터카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카권취모터의 에너지를 줄여줄 수 있고, 발전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발전시스템은 제2균형추를 들어줌으로써 발전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객체와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로프; 복수 개의 상기 연결로프와 연결되는 균형부; 및 상기 균형부에 배치된 균형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를 통해 상기 외부객체에 가해지는 힘이 달라지는 균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형부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균형막대; 상기 균형막대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균형추; 상기 균형막대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외측에 연결로프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가 형성된 가이드부; 및 상기 연결로프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균형막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균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형부는, 상기 균형막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균형막대로 전달하여 상기 균형막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1이동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균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외부객체에 연결된 제1연결로프(R1)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 상기 외부객체에 연결된 제2연결로프(R2)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 상기 외부객체에 연결된 제3연결로프(R3)와 연결되는 제3연결부; 상기 외부객체에 연결된 제4연결로프(R4)와 연결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의 움직임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제1거리가 달라질 수 있게 제공되는 균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형부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균형막대; 상기 균형막대의 좌우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에 연결된 제1연결부와 제3연결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하측에 연결된 제2연결부와 제4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프는, 상기 제1연결부에 연결된 제1연결로프(R1);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된 제2연결로프(R2); 상기 제3연결부에 연결된 제3연결로프(R3); 및 상기 제4연결부에 연결된 제4연결로프(R4)를 포함하고, 상기 균형막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연결로프(R1), 상기 제2연결로프(R2), 상기 제3연결로프(R3), 상기 제4연결로프(R4)에 가해지는 힘이 달라지는 균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객체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상술한 균형장치; 및 상기 외부객체로부터 힘을 전달받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권취드럼을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승강물체가 하강하는 힘을 전달받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를 더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터권취드럼과 연동되게 동작하는 제2균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균형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권취드럼에 연결된 제1샤프트에 연결된 중심기어부; 상기 중심기어부와 맞닿아 회전하는 외곽기어부; 상기 외곽기어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기어부와 상대적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상승작용부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형장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각각의 상기 균형장치에는 상기 엘리베이터권취드럼에 힘을 전달해줄 수 있는 외부객체가 연결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균형장치는 외부객체를 통해 엘리베이터권취드럼을 가해준 후 외부객체를 통해 엘리베이터권취드럼에 가해지는 힘을 멈출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균형장치는 외부객체를 통해 엘리베이터권취드럼에 힘을 가해줌으로써 복수 개의 균형장치를 통해 엘리베이터권취드럼에 연속적으로 힘을 가해질 수 있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승강로프에 연결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승강물체; 제1샤프트(L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를 권취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제2균형추; 및 상기 제1샤프트(L1)에 제공되어 상기 승강물체의 하강 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기로부터 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시스템은,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2균형추상승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균형추상승수단은,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을 통해 상기 제1 승강로프와 연결되는 제2 승강로프; 상기 제2 승강로프를 권취하는 복수 개의 승강로프롤러; 및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로프롤러는, 상기 제2 승강로프를 상부에서 권취하는 복수 개의 상부승강롤러; 및 상기 제2 승강로프를 하부에서 권취하는 복수 개의 하부승강로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승강롤러와 상기 하부승강로프롤러의 개수는 상기 제1 승강로프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샤프트(L1)에는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과 직경이 다른 보조권취드럼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는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와 연결되는 제2 승강로프는 상기 보조권취드럼에 권취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2균형추와 연결되는 승강롤러; 상기 승강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 및 상기 승강롤러가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압력발생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제공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전시스템은,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균형추상승수단은,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2균형추와 접촉하는 상부받침부; 상기 상부받침부의 대향되는 측에 배치되는 하부받침부; 상기 상부받침부와 상기 하부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받침부를 상승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하부받침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동롤러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샤프트(L1)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균형장치를 더 포함하는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또한, 상기 발전시스템은, 상기 승강물체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물체가 상사점에 도달했을때 상기 제2균형추가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승강물체를 하강시키고, 상기 승강물체가 하사점에 도달했을때 상기 제2균형추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승강물체를 상승시키는 발전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은 승강물체(예: 엘리베이터카)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카권취모터의 에너지를 줄여줄 수 있고, 발전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시스템은 제2균형추를 들어줌으로써 발전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균형장치(10)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1)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로프와 외부객체(20)가 연결된 정면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로프와 외부객체(20)가 연결된 측면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2의 가이드부(13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균형장치(5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외부객체(20')에 복수 개의 제1연결로프(R1), 제2연결로프(R2), 제3연결로프(R3) 및 제4연결로프(R4)가 연결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시스템(1')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발전시스템(1')에서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804)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804)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승강물체(32)와 제2균형추(621)가 균형을 유지하며 승강물체(32)가 왕복운동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로프와 외부객체(20)가 연결된 정면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로프와 외부객체(20)가 연결된 측면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2의 가이드부(13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균형장치(5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외부객체(20')에 복수 개의 제1연결로프(R1), 제2연결로프(R2), 제3연결로프(R3) 및 제4연결로프(R4)가 연결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시스템(1')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발전시스템(1')에서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804)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804)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승강물체(32)와 제2균형추(621)가 균형을 유지하며 승강물체(32)가 왕복운동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균형장치(10)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1)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연결로프와 외부객체(20)가 연결된 정면도(xy평면)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연결로프와 외부객체(20)가 연결된 측면도(xz평면)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는 도 2의 가이드부(13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시스템(1)은 연결로프에 힘을 가할 수 있는 균형장치(10); 연결로프와 연결됨으로써 균형장치(10)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는 외부객체(20); 외부객체(20)로부터 힘을 전달받을 수 있는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으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8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객체(20)는 복수 개의 연결로프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객체(20)는 연결로프를 감을 수 있는 드럼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은 승강물체(32)에 연결된 로프를 감을 수 있는 드럼일 수 있다. 여기서, 승강물체(32)는 사람 또는 물건을 운반할 수 있는 상승 및 하강하는 엘리베이터카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의 로프에 연결된 물체는 승강물체(32)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로프는 후술하는 제1연결로프(R1), 제2연결로프(R2), 제3연결로프(R3) 및 제4연결로프(R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연결로프에 힘을 가할 수 있는 균형장치(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는, 외부객체(20)와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로프; 및 복수 개의 상기 연결로프와 연결되는 균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균형부(100)에 배치된 균형추(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로프를 통해 상기 외부객체(20)에 가해지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발전시스템(1)에서 균형장치(10)는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균형장치(10)에는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에 힘을 전달해줄 수 있는 외부객체(2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형장치(10)가 2개로 제공되는 경우 외부객체(20)는 2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균형장치(10)가 3개로 제공되는 경우 외부객체(20)도 3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균형장치(10)와 외부객체(20)가 각각 2개씩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균형장치(10)와 외부객체(20)가 3개 이상씩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균형장치(10)는 외부객체(20)를 통해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을 가해준 후 외부객체(20)를 통해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에 가해지는 힘을 멈출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균형장치(10)는 외부객체(20)를 통해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에 힘을 가해줌으로써 복수 개의 균형장치(10)를 통해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에 연속적으로 힘을 가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균형장치(10)에서 나오는 연결로프가 외부객체(20)에 모두 감겨진 후, 클러치(C)가 작동하여 하나의 균형장치(10)에 연결된 제2샤프트(L2)를 멈출 수 있다.
그 후, 다른 하나의 균형장치(10)가 동작하여 다른 하나의 외부객체(20)가 동작함으로써,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에 연속적으로 힘을 가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균형장치(10)와 2개의 외부객체(20)가 동작하는 것을 예시하나, 3개의 균형장치(10)와 3개의 외부객체(20)가 이와 같은 원리로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연결로프가 감기고 풀릴 수 있는 로핑거리가 더 필요한 경우 균형장치(10)와 외부객체(20)를 더 많이 설치하여 로핑거리를 늘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객체(20)는 연결로프로부터 힘을 받아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에 힘을 전달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에 연결된 승강물체(32)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카권취모터(802)가 작동한다. 이때, 외부객체(20)는 균형장치(10)의 연결로프로부터 일방향으로 힘을 받아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에 힘을 가함으로써 승강물체(32)의 상승을 도와주는 힘을 가해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균형장치(10)에 의해 승강물체(32)가 상승할때 승강물체권취모터(802)가 소비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엘리베이터권취드럼(30)이 하강하는 경우 승강물체권취모터(802)의 작동이 멈춘다. 이때, 외부객체(20)는 균형장치(10)의 연결로프로부터 타방향으로 힘을 받아 발전기(804)를 동작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발전기(804)에서 에너지가 생산될 수 있다.
승강물체(32)가 상승할 때, 균형장치(10)는 외부객체(20)가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를 균형장치(10)의 "정방향 작동"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승강물체(32)가 하강할 때, 균형장치(10)는 외부객체(20)가 타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경우를 균형장치(10)의 "역방향 작동"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균형부(100)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균형막대(110); 균형막대(110)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균형추(120); 균형막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외측에 연결로프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가 형성된 가이드부(130); 및 연결로프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균형막대(110)의 좌우방향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좌우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하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균형막대(110)는 제어부(도면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180)가 동작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균형막대(1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균형막대(110)의 양 측면에는 균형추(12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균형추(120)는 균형막대(110)의 일측면에 하나, 다른측면에 하나, 총 2개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균형막대(110)는 가상의 중심축(O-O')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중심축(O-O')은 균형막대(110)의 균형이 유지되는 가상의 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균형막대(110)가 가상의 중심축(O-O')에 대해 우측방향(+x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균형장치(10)는 정방향 작동할 수 있다.
균형막대(110)가 가상의 중심축(O-O')에 대해 좌측방향(-x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균형장치(10)는 역방향 작동할 수 있다.
가상의 중심축(O-O')에는 균형막대(110)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드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내부에 균형막대(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의 상측에는 제1연결부(131)와 제3연결부(133)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부(130)의 하측에는 제2연결부(132)와 제4연결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131)는 가이드부(130)와 제1연결로프(R1)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로프(R1)는 하측지지부(904)에 제공된 제1하부롤러(171)와 상측지지부(902)에 제공된 제1상부롤러(161)를 거쳐 제1연결부(13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부(132)는 가이드부(130)와 제2연결로프(R2)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연결로프(R2)는 하측지지부(904)에 제공된 제2하부롤러(172)를 거쳐 제2연결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부(133)는 가이드부(130)와 제3연결로프(R3)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연결부(133)는 하측지지부(904)에 제공된 제3하부롤러(173)와 상측지지부(902)에 제공된 제2상부롤러(162)를 거쳐 제3연결부(133)에 연결될 수 있다.
제4연결부(134)는 가이드부(130)와 제4연결로프(R4)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연결부(134)는 하측지지부(904)에 제공된 제4하부롤러(174)를 거쳐 제4연결부(134)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131)와 제2연결부(132)와 제1상부롤러(161)와 제1하부롤러(171)와 제2하부롤러(172)는 좌우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된 후 고정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연결부(133)와 제4연결부(134)와 제2상부롤러(162)와 제3하부롤러(173)와 제4하부롤러(174)는 좌우방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된 후 고정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131)와 제3연결부(133) 사이의 제1거리(X1)가 변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연결부(131)와 제3연결부(133) 사이의 거리는 제어부(도면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1거리(X1)는 제1연결부(131)와 가이드지지부(950) 사이의 거리인 제11거리(X11)와, 제3연결부(133)와 가이드지지부(950) 사이의 거리인 제12거리(X12)의 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131)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1거리(X11)가 달라질 수 있고, 제3연결부(133)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2거리(X12)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부(131)가 이동할때 동일하게 제2연결부(132), 제1상부롤러(161), 제1하부롤러(171), 제2하부롤러(172)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상부롤러(161)는 상측지지부(902)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1하부롤러(171)와 제2하부롤러(172)는 하측지지부(904)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측지지부(902)와 하측지지부(904)에 별도의 레일을 설치하지 않은 도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것이고,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측지지부(902)와 하측지지부(904)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이드레일(909)을 도시한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이드레일(909)와 상측지지부(902) 사이, 가이드레일(909)과 하측지지부(904) 사이에 가이드롤러(901)를 배치함으로써, 가이드레일(909)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레일(909)이 이동됨에 따라 제1상부롤러(161)와 제1하부롤러(171), 제2하부롤러(172)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909)이 이동됨에 따라 제2상부롤러(162)와 제3하부롤러(173)와 제4하부롤러(174)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연결부(133)가 이동할 때 동일하게 제4연결부(134), 제2상부롤러(162), 제3하부롤러(173), 제4하부롤러(174)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상부롤러(162)는 상측지지부(902)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제3하부롤러(173)와 제4하부롤러(174)는 하측지지부(904)에 설치된 레일을 다라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도면미도시)에 의해 제1연결부(131)와 제3연결부(133) 사이의 제1거리(X1)가 좁게 제어되는 경우 연결로프를 통해 외부객체(20)에 가해지는 힘을 크게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도면미도시)에 의해 제1연결부(131)와 제3연결부(133) 사이의 제1거리(X1)가 넓게 제어되는 경우 연결로프를 통해 외부객체(20)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131)와 하나의 균형추(120) 사이의 좌우방향 거리는 제2거리(X2)로 정의될 수 있고, 제3연결부(133)와 다른 하나의 균형추(120) 사이의 좌우방향 거리는 제3거리(X3)로 정의될 수 있다.
균형막대(110)의 이동에 따라 제2거리(X2)가 제3거리(X3) 보다 상대적으로 커지는 경우, 제1연결로프(R1)와 제4연결로프(R4)에 가해지는 힘이 제2연결로프(R2)와 제3연결로프(R3)에 가해지는 힘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균형막대(110)의 이동에 따라 제3거리(X3)가 제2거리(X2) 보다 상대적으로 커지는 경우, 제2연결로프(R2)와 제3연결로프(R3)에 가해지는 힘이 제1연결로프(R1)와 제4연결로프(R4)에 가해지는 힘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가이드지지부(9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균형막대(110)는 가이드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지지부(950)의 상부는 상측지지부(902)에 고정되고, 가이드지지부(950)의 하부는 하측지지부(904)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지지부(902)와 하측지지부(904)의 양 측면은 측면지지부(903)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하부롤러(171)와 제2하부롤러(172)와 제3하부롤러(173)와 제4하부롤러(174)의 하측에는 연결로프의 유격을 조정해줄 수 있는 유격조절부(190)가 제공될 수 있다.
유격조절부(190)는 제1연결로프(R1), 제2연결로프(R2), 제3연결로프(R3), 제4연결로프(R4)의 유격을 조절함으로써 연결로프가 원활하게 외부객체(20)에 감기고 풀리게 제공될 수 있다.
균형부(100)는, 균형막대(11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구동부(180); 및 구동부(180)에서 가해지는 힘을 상기 균형막대(110)로 전달하여 상기 균형막대(1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제1이동가이드(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80)는 균형막대(110)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구동부재(184); 구동부재(184)를 회전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82)는 균형막대(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고, 구동부재(184)는 균형막대(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재(184)는 스크류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제1이동가이드(138)는 구동부재(184)와 맞물릴 수 있는 구성으로, 스크류 형태의 구동부재(184)가 회전하는 경우 제1이동가이드(138)가 구동부재(184)가 맞물려 균형막대(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이동가이드(138)는 가이드부(13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동부재(184)는 균형막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균형막대(110)는 가이드부(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일 방향으로 움직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30)는 좌우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균형막대(110)는 두 방향으로 움직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균형막대(110)는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균형막대(110)와 가이드부(130)는 좌우방향으로 상대적 움직임을 갖지만, 상하방향으로 상대적 움직임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즉, 균형부(100)와 가이드부(130)는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가이드부(130)의 가상의 중심축(O-O')에는 가이드지지부(95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지지부(950)는 가이드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고, 가이드부(130)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가이드지지부(950)와 연결되는 제1가이드롤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롤러(135)는 가이드부(130)가 가이드지지부(95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용하되, 좌우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균형추(120)의 하부에는 균형추(120)가 하측지지부(904)에 충격을 가해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부(910)가 제공될 수 있다.
가상의 중심축(O-O')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균형막대(110)의 전후방향(y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 제1전후방향지지부(930); 및 가상의 중심축(O-O')을 기준으로 타측에는 균형막대(110)의 전후방향(y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 제2전후방향지지부(94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xz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y축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전후방향지지부(930)와 제2전후방향지지부(940)는 균형막대(110)의 상하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균형막대(110)와 좌우방향으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1전후방향지지부(930)와 제2전후방향지지부(940)는 균형막대(110)와 상하방향으로만 상대적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전후방향지지부(930)와 제2전후방향지지부(940)의 일측은 상측지지부(902)에 지지되고 타측은 하측지지부(90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전후방향지지부(930)는 상측지지부(902)와 하측지지부(904)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측지지부(902)에 제공되고 상측지지부(902)와 좌우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제1좌우방향이동롤러(931); 하측지지부(904)에 제공되고 하측지지부(904)와 좌우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제2좌우방향이동롤러(9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전후방향지지부(930)와 균형막대(110) 사이에는 제1중간롤러(933)가 제공될 수 있다.
제1중간롤러(933)는 균형막대(110)가 제1전후방향지지부(93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게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전후방향지지부(940)는 상측지지부(902)와 하측지지부(904)를 연결하는 막대 형상으로, 상측지지부(902)에 제공되고 상측지지부(902)와 좌우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제3좌우방향이동롤러(941); 하측지지부(904)에 제공되고 하측지지부(904)와 좌우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제4좌우방향이동롤러(9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전후방향지지부(940)와 균형막대(110) 사이에는 제2중간롤러(943)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중간롤러(943)는 균형막대(110)가 제2전후방향지지부(94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을 허용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도면미도시)는 균형막대(110) 또는 균형추(12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승강물체(32)가 상승할 때 균형막대(11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정방향 작동), 승강물체(32)가 하강할 때 균형막대(11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역방향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균형부(100)의 작동에 따른 연결로프(구체적으로는, 제1연결로프(R1), 제2연결로프(R2), 제3연결로프(R3), 제4연결로프(R4))에 가해지는 힘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승강물체(32)가 상승하는 경우, 제어부(도면미도시)는 균형막대(110)를 우측(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거리(X2)가 제3거리(X3) 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승강물체(32)가 상승하는 경우, 균형막대(110)는 하강할 수 있다.
균형막대(110)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균형막대(1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연결로프(R1)와 제4연결로프(R4)에 가해지는 힘이 크게 작용하고, 제1연결로프(R1)와 제4연결로프(R4)에 가해지는 힘은 외부객체(20)에 전달될 수 있다.
외부객체(20)는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힘을 가해 승강물체권취모터(802)에서 가해지는 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줄 수 있으며, 외부객체(20)로부터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승강물체(32)가 하강하는 경우, 제어부(도면미도시)는 균형막대(110)를 좌측(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3거리(X3)가 제2거리(X2) 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승강물체(32)가 하강하는 경우, 균형막대(110)는 상승할 수 있다.
균형막대(110)가 좌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균형막대(11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2연결로프(R2)와 제3연결로프(R3)에 가해지는 힘이 크게 작용하고, 제2연결로프(R2)와 제3연결로프(R3)에 가해지는 힘은 외부객체(20)에 전달되어 발전기(804)에 의해 발전에너지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샤프트(L2)가 회전함에 따라 외부객체(20)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연결로프(R1)와 제3연결로프(R3)는 감길 수 있고, 제2연결로프(R2)와 제4연결로프(R4)는 풀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물체(32)가 상승할 때 균형막대(110)는 하강할 수 있으며, 이때 제1연결로프(R1)와 제3연결로프(R3)는 외부객체(20)에 대해 풀리고, 제2연결로프(R2)와 제4연결로프(R4)는 외부객체(20)에 대해 감기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승강물체(32)가 하강할 때 균형막대(110)는 상승할 수 있으며, 이때 제1연결로프(R1)와 제3연결로프(R3)는 외부객체(20)에 대해 감기고, 제2연결로프(R2)와 제4연결로프(R4)는 외부객체(20)에 대해 풀리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균형장치(10)로부터 외부객체(20)에 가해진 외력이 작용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균형장치(10) 및 이에 연결되는 외부객체(20)는 2개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균형장치(10) 및 이에 연결되는 외부객체(20)는 하나, 또는 3개 이상 제공될 수도 있다.
외부객체(20)로부터 외부객체(20)가 일 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이 전달되는 경우, 외부객체(20)는 제2샤프트(L2)에 연결된 제1연결기어(811)에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시계방향 회전)을 전달하고, 제1연결기어(811)는 제2연결기어(812)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제1샤프트(L1)에 연결된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승강물체권취모터(802)가 승강물체권취드럼(30)을 권취시키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반대로, 외부객체(20)로부터 외부객체(20)가 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이 전달되는 경우, 외부객체(20)는 제2샤프트(L2)에 연결된 제1연결기어(811)에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반시계방향 회전)을 전달하고, 제1연결기어(811)는 제2연결기어(812)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제1샤프트(L1)에 연결된 발전기(804)에 힘을 전달함으로써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샤프트(L2)에는 클러치(C)가 제공됨으로써 제2샤프트(L2)에 작용하는 힘을 선택적으로 제2연결기어(812)에 전달할 수 있다.
제1샤프트(L1)에는 승강물체(32)를 상승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승강물체권취모터(802), 승강물체권취모터(802)에서 가해지는 힘을 제2샤프트(L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C), 제2균형장치(50)의 일부러 제공되는 제1중심기어(512), 승강물체(32)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30), 외부객체(20)로부터 힘을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연결기어(811),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기(804), 제1샤프트(L1)에서 가해지는 힘을 발전기(804)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C)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샤프트(L2)에는 외부객체(20), 제2연결기어(812), 제2샤프트(L2)에서 가해지는 힘을 제2연결기어(812)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C)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샤프트(L2) 및 이에 연결된 각 구성은 2개로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3샤프트(L3)에는 제2균형장치(50)의 일부인 제2중심기어(514), 제3연결기어(813'), 또 다른 승강물체권취드럼(30'), 발전기(804), 클러치(C)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샤프트(L3)에는 제3샤프트(L3)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 브레이크(801)가 배치될 수 있다.
제4샤프트(L4)에는 제4연결기어(814), 와이어유도장치(4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다른 제4샤프트(L4')에도 제4연결기어(814'), 와이어유도장치(40')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샤프트(L1), 제2샤프트(L2), 제3샤프트(L3), 제4샤프트(L4)는 각각 양 단부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와이어유도장치(40)는 제4샤프트(L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4샤프트(L4)에는 제4연결기어(814)가 제공되고, 제1샤프트(L1)에는 제3연결기어(813)가 제공되고, 제3연결기어(813')와 제4연결기어(814)가 맞물릴 수 있다.
제3연결기어(813)와 제4연결기어(814)의 연결은 기어뿐만 아니라, 체인, 벨트 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와이어유도장치(40)의 일측에는 로프가 원활하게 가이드할 수 있는 로프유도부(48)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유도장치(40)에 의해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권취되는 와이어가 감기고 풀림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결로프를 권취하는 외부객체(20)에도 동일한 기능을 하는 와이어유도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균형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균형장치(10)와 비교하여, 균형추(120)가 1개로 제공된 주요 차이가 있는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 및 도면부호는 도 2에서 설명한 균형장치(10)의 설명에 갈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는, 외부객체(20)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로프; 및 복수 개의 연결로프에 연결되는 균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균형부(100')의 균형막대(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균형추(120)의 이동에 따라 연결로프를 통해 외부객체(20)에 가해지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균형장치(10')는 균형추(120)가 균형막대(110)의 일측 단부에만 배치되어 있는바, 균형부(100')는 제1연결로프(R1)와 제4연결로프(R4)에 힘을 가하는 정방향 작동만을 한다.
도 6에서 균형막대(110)는 텔레스코프 방식(다단 방식)으로 구동모터(182)로부터 x축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균형막대(110)가 x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경우, 균형추(120)가 구동모터(182)로부터 멀어짐으로써 제2거리(X2)가 커질 수 있다. 반대로, 균형막대(110)가 x축 방향으로 줄어드는 경우 균형추(120)가 구동모터(182)로부터 가까워짐으로써 제2거리(X2)가 작아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균형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균형장치(10)와 비교하여, 균형막대(1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균형추(120)가 직접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주요 차이점이 있는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구성 및 도면부호는 도 2에서 설명한 균형장치(10)의 설명에 갈음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10'')는, 외부객체(20)에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로프; 및 복수 개의 연결로프에 연결되는 균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균형부(100'')의 균형막대(1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균형추(120)의 이동에 따라 연결로프를 통해 외부객체(20)에 가해지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균형막대(110'')에는 균형추(120) 및 균형추(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균형추이동롤러(854), 균형추이동롤러(854)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86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제어부(864)는 복수 개의 균형추이동롤러(854)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켜 균형추(120)를 균형막대(110'')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측면지지부(903)와 균형막대(110'') 사이에는 균형막대이동롤러(852)가 배치될 수 있다.
균형막대이동롤러(852)에 의해 균형막대(1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균형추(120)가 우측으로 이동할 수록 제1연결로프(R1)와 제4연결로프(R4)에 가해지는 힘이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제2균형장치(5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8을 참조하면, 발전시스템(1)은 승강물체(32); 승강물체(32)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30); 승강물체권취드럼(30)과 연동되게 동작하는 제2균형장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균형장치(50)에 의해 종래의 승강물체(32)에 적용되는 종래의 균형추를 대체할 수 있으며, 균형추가 움직이는 공간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균형장치(50)는 승강물체(32)가 연결된 승강물체권취드럼(30); 승강물체권취드럼(30)의 제1샤프트(L1)에 연결되고 서로 맞닿아 회전하는 한 쌍의 중심기어부(510); 및 한 쌍의 중심기어부(510)와 각각 맞닿아 회전하는 한 쌍의 외곽기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승강물체(32)에 의해 승강물체권취드럼(30)이 제1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중심기어부(510)는 외곽기어부(530)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대해 제1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중심기어부(510)는 서로 맞닿아 회전하는 제1중심기어(512)와 제2중심기어(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중심기어(512)는 제1샤프트(L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중심기어(514)는 제3샤프트(L3)에 연결될 수 있다.
외곽기어부(530)는 제1중심기어(512)와 맞물리는 제1외곽기어(532); 및 제2중심기어(514)와 맞물리는 제2외곽기어(5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외곽기어(532)와 제2외곽기어(534)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외곽기어부(530)는 한 쌍의 중심기어부(510)에 대해 지렛대 원리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440)가 하측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제1외곽기어(532)는 중심기어부(510)를 하측으로 누름에 따라 제1외곽기어(5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중심기어(51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외곽기어부(530)와 중심기어부(510)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외곽기어부(530)가 중심기어부(510)에 대해 가해지는 힘이 달라질 수 있다.
외곽기어부(530)는 중심기어부(510)에 대해 하측 방향(-z축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균형장치(50)는 외곽기어부(530)와 연결된 상태에서 중심기어부(510)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440); 및 이동부(440)에 대해 하중을 가할 수 있는 하중조절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중조절부(420)는 피스톤 실린더로스 스프링 장력, 에어, 유압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압력발생부(430)를 통해 하중조절부(42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즉, 압력발생부(430)에서 압력을 가하는 경우, 하중조절부(420)는 기어균형추(410) 및 이에 연결된 이동부(440)를 하측으로 누를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동부(440)에 연결된 외곽기어부(530)는 중심기어부(510)에 대해 힘을 가함으로써, 승강물체(32)로부터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가해지는 힘을 상쇄할 수 있다.
또한, 제2균형장치(50)는 중심기어부(510)와 맞물리는 보조기어(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어(540)는 제1중심기어(512)와 맞물리는 제1보조기어(542), 제2중심기어(514)와 맞물리는 제2보조기어(5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균형장치(50)는 이동부(440)에 대해 상방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상승작용부(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승작용부(920)는 압력발생부(430)로부터 힘을 받아 이동부(44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승작용부(920)에 의해 이동부(440)가 상승하는 경우,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하중조절부(420)는 진공을 형성하여 잡아당기는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이동부(440)를 들어줄 수도 있다.
또한, 제1외곽기어(532)가 연결된 제5샤프트(L5)에는 발전기(804)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제2외곽기어(534)가 연결된 제6샤프트(L6)에도 발전기(804)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6샤프트(L6)에 연결된 발전기(804)는 제2균형장치(50)의 이동부(440)가 하측 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해 발전될 수 있다.
도 9는 외부객체(20')에 복수 개의 제1연결로프(R1), 제2연결로프(R2), 제3연결로프(R3) 및 제4연결로프(R4)가 연결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균형장치(10)로부터 복수 개의 제1연결로프(R1), 복수 개의 제2연결로프(R2), 복수 개의 제3연결로프(R3), 복수 개의 제4연결로프(R4)가 나올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1연결로프(R1)는 하나의 제1복합줄(R11)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제2연결로프(R2)는 하나의 제2복합줄(R22)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제3연결로프(R3)는 하나의 제3복합줄(R33)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제4연결로프(R4)는 하나의 제4복합줄(R4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시스템(1')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발전시스템(1')에서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발전시스템과 비교하여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에 주요 차이가 있는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은 도 1 내지 도 9에서 상술한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1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에서 제2균형장치(50), 제3연결기어(813) 및 제1연결기어(811)를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시스템(1')은 제1 승강로프(601)에 연결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승강물체(32); 제1샤프트(L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제1 승강로프(601)를 권취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30);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제2균형추(621); 및 제1샤프트(L1)에 제공되어 상기 승강물체(32)의 하강 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8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전시스템(1')은 발전기(804)로부터 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균형추(621)를 직접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제2균형추상승수단(60)(도 11 내지 도 13 참조), 또는 후술하는 제2균형추(621)를 간접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균형장치(10, 10'')가 제공될 수 있다(도 14 및 도 15 참조).
제1샤프트(L1)에는 제1샤프트(L1)를 회전시킬 수 있는 힘을 가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모터(802); 제1샤프트(L1)에 작용하는 힘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치(C); 제1 승강로프(601)를 권취하는 승강물체권취드럼(30); 제1 승강로프(601)에 연결된 제2 승강로프(602)를 권취하는 보조권취드럼(39); 제1샤프트(L1)의 회전하는 힘에 의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발전기(804)가 제공될 수 있다. 발전기(804)에는 제1샤프트(L1)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발전기(804)에 연결할 수 있는 클러치(C)가 제공될 수 있다.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는 제1 승강로프(601)가 권취될 수 있으며, 제1 승강로프(601)에는 승강물체(32)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물체(32)는 엘리베이터카 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승강물체(32)는 엘리베이터 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다양한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물체권취드럼(30)이 제1 승강로프(601)를 권취함에따라 승강물체(32)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승강로프(601)와 제2 승강로프(602)를 각각 설명하나, 제1 승강로프(601)와 제2 승강로프(602)는 하나로 연결된 로프로 이해될 수 있다.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은, 승강물체권취드럼(30)을 통해 제1 승강로프(601)와 연결되는 제2 승강로프(602); 제2 승강로프(602)를 권취하는 복수 개의 승강로프롤러(610); 및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강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로프롤러(610)은, 제2 승강로프(602)를 상부에서 권취하는 복수 개의 상부승강롤러(612); 및 제2 승강로프(602)를 하부에서 권취하는 복수 개의 하부승강로프롤러(6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승강롤러(612)과 하부승강로프롤러(614)의 개수는 제1 승강로프(601)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물체(32)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길이가 긴 경우, 제1 승강로프(601)도 길게 제공된다. 이때, 제2 승강로프(602)를 권취하는 상부승강롤러(612)과 하부승강로프롤러(614)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상부승강롤러(612)과 하부승강로프롤러(614) 사이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이 경우,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승강로프(602)는 보조권취드럼(39)으로부터 하나의 상부승강롤러(612)을 거쳐 하나의 하부승강로프롤러(614)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상부승강롤러(612)을 거쳐 다른 하나의 하부승강로프롤러(6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승강로프(602)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부승강롤러(612)과 하부승강로프롤러(6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균형추(621)가 상승하는 경우 상부승강롤러(612)과 하부승강로프롤러(614)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고, 제2균형추(621)가 하강하는 경우 상부승강롤러(612)과 하부승강로프롤러(614)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2균형추(621)가 상승하는 경우 제7 샤프트(L7)와 제8 샤프트(L8)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고, 제2균형추(621)가 하강하는 경우 제7 샤프트(L7)와 제8 샤프트(L8)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제7 샤프트(L7)은 고정되어 있고, 제8 샤프트(L8)는 제2균형추(621)를 따라 이동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제7 샤프트(L7)와 제8 샤프트(L8)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균형추(621)의 무게는 상부승강롤러(612)과 하부승강로프롤러(614) 각각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승강롤러(612)과 하부승강로프롤러(614)의 개수가 늘어날 수록 제2균형추(621)의 무게도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부승강롤러(612)은 제7 샤프트(L7)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제7 샤프트(L7)는 양 측면에 제공되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부승강로프롤러(614)은 제8 샤프트(L8)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8 샤프트(L8)는 지지프레임(629)에 연결될 수 있고, 지지프레임(629)은 제2균형추(621)와 연결될 수 있따.
또한, 제1샤프트(L1)에는 승강물체권취드럼(30)과 직경이 다른 보조권취드럼(39)이 제공되고, 제1 승강로프(601)는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권취되고, 제1 승강로프(601)와 연결되는 제2 승강로프(602)는 보조권취드럼(39)에 권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물체권취드럼(30) 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권취드럼(39)을 제공함으로써 제1 승강로프(601)의 로핑거리를 늘릴 수 있다.
승강부(620)는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620)는 제2균형추(621)의 양 측면에 배치되어,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제2균형추(621)는 승강물체(32)의 무게와 균형을 맞춰주는 역할을 한다.
승강물체(32)의 하강시에 승강부(620)는 제2균형추(621)를 상승(+z축 방향)시키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물체(32)가 하강함에 따라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승강물체(32)의 하강시에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키는 경우, 승강물체(32)가 하강하는 힘은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부(620)가 없는 경우 제2균형추(621)는 승강물체(32)와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승강부(620)가 하강하더라도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가 생산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승강부(620)를 통해 제2균형추(621)를 들어줄 수 있는바, 승강물체(32)가 하강하는 동안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가 생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620)는 제2균형추(621)와 연결되는 승강롤러(622); 승강롤러(6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624); 및 승강롤러(622)가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626)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롤러(622)는 제1연결부재(623)를 통해 제2균형추(621)와 연결되고, 승강모터(626)가 동작함으로써 승강롤러(622)는 상승할 수 있다. 승강롤러(622)가 상승함에 따라 제2균형추(621)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승강모터(626)의 일측에는 고정롤러(628)가 배치되어 승강로프(627)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승강로프(627)가 이동함에 따라 승강롤러(622)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승강부(620)는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으며, 승강부(620)를 상승시키는 수단은 다양한 공지의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균형추(621)의 하부에는 제2균형추(621)가 바닥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910)가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승강물체(32)의 하부에도 완충부(910)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이용하여 발전기(804)에서 에너지가 생산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한다.
승강물체(32)가 상사점에 도달한 후 하강시에 승강부(620)는 제2균형추(621)를 상부로 들어줄 수 있다. 제2균형추(621)가 상승함에 따라 승강물체(32)가 하강하는 힘이 커질 수 있으며, 승강물체(32)가 하강하는 힘은 제1샤프트(L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샤프트(L1)의 회전력은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로 생산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과 비교하여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키는 승강부(620')에 대한 차이, 제1 승강로프(601)가 승강물체권취드럼(30)을 거치지 않고 바로 보조권취드럼(39')을 통해 제2 승강로프(602)와 연결되는 것에 주요 차이가 있는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은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강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부(620')는 피스톤, 실린더로서 압력발생부(43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제2균형추(621)를 들어올릴 수 있다.
승강부(620')의 피스톤이 상승하는 경우, 제2균형추(621)가 상승함으로써,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가 생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포함하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는 도 11과 비교하여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키는 승강부(620'')에 대한 차이, 복수 개의 제1 승강로프(601')에 대한 주요 차이가 있는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은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술한 도면부호와 설명을 원용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발전시스템은,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은,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강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부(620'')는, 제2균형추(621)와 접촉하는 상부받침부(6211); 상부받침부(6211)와 대향되는 측에 배치되는 하부받침부(6212); 상부받침부(6211)와 상기 하부받침부(6212)를 연결하고, 상부받침부(6211)를 상승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6213); 및 하부받침부(621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높이조절부(6213)를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동롤러(6214)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이동롤러(6214)의 일 측에는 높이조절이동롤러(6214)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모터(도면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높이조절이동롤러(6214)는 피니언으로 제공될 수 있고, 하부받침부(6212)는 랙으로 제공됨으로써, 높이조절이동롤러(6214)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높이조절부(6213)의 높이가 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부받침부(6211)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제2균형추(621)의 측면에는 승강롤러(622')가 제공될 수 있고, 승강롤러(622')는 승강사이드부재(624')를 따라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제2균형추상승수단(60'')은 보조권취드럼(39'')과 연결되는 제3 승강로프(603); 제3 승강로프(603)를 권취하고 제9 샤프트(L9)에 연결된 제1권취드럼(631); 제9 샤프트(L9)에 연결되고 제1권취드럼(631)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2권취드럼(632); 제2권취드럼(632)과 제2균형추(621)를 연결하는 제4 승강로프(60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권취드럼(631)의 직경은 제2권취드럼(632)의 직경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인더(633)의 하단에는 제4 승강로프(60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 와인더(633)가 제공될 수 수 있다.
또한 제1샤프트(L1)에는 보조권취드럼(39'')과 승강물체권취드럼(30')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는 복수 개의 제1 승강로프(601')가 권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1 승강로프(601')는 승강물체(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승강물체권취드럼(30')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제1 승강로프(60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 와인더(634)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승강로프(601')에는 제1 승강로프(601')가 꺾이는 부분을 지지하는 승강로프롤러(60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804)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7에서 상술한 균형장치(10'')가 제1샤프트(L1)에 연결되어 발전기(804)를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14에 도시된 균형장치(10'')는 도 7에서 상술한 균형장치(10'')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도 7의 설명에 갈음한다.
도 14에 도시된 발전시스템은 도 7에서 상술한 균형장치(10'')를 이용하여 발전기(804)에 힘을 가해줌으로써, 발전기(804)에 의해 발전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샤프트(L1)에 제공되는 외부객체(20'')와 발전기(804); 외부객체(20'')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균형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샤프트(L1)에는 상술한 승강물체권취모터(802) 및 승강물체권취드럼(30'')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발전시스템은, 제1 승강로프(601)에 연결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승강물체(32); 제1샤프트(L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601)를 권취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30''); 승강물체권취드럼(30'')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제2균형추(621); 및 제1샤프트(L1)에 제공되어 상기 승강물체(32)가 하강 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804)를 포함하고, 발전기(804)로부터 에너지가 발생되도록 상기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킬 수 있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균형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균형장치(10'')는 간접접으로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0 샤프트(L10)에는 제3권취드럼(633), 제4권취드럼(635)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4권취드럼(635)의 직경은 제3권취드럼(633)의 직경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승강물체권취드럼(30)과 제3 승강로프(603)는 제3 승강로프(603')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제4권취드럼(635)과 제2권취드럼(632)은 제4 승강로프(60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권취드럼(633)과 제2 와인더(634)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균형장치(10'')로부터 외부객체(2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샤프트(L1)에 힘이 가해져 제2균형추(621)가 상승할 수 있고, 발전기(804)에 의해 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804)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발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2에서 상술한 균형장치(10)가 제1샤프트(L1)에 연결되어 발전기(804)를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15에 도시된 균형장치(10)는 도 2에서 상술한 균형장치(10)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도 2의 설명에 갈음한다.
도 15에 도시된 발전시스템은 도 2에서 상술한 균형장치(10)를 이용하여 발전기(804)에 힘을 가해줌으로써, 발전기(804)에 의해 발전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샤프트(L1)에 제공되는 외부객체(20'')와 발전기(804); 및 외부객체(20'')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균형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샤프트(L1)에는 상술한 승강물체권취모터(802) 및 승강물체권취드럼(30'')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샤프트(L1)에는 제1기어(642)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1 샤프트(L11)에는 제2기어(644)와 제5권취드럼(636)이 제공될 수 있고, 제2기어(644)와 제5권취드럼(636)은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샤프트(L1)와 제11 샤프트(L11)는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고, 제1기어(642)와 제2기어(644)는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제1기어(642)는 제2기어(644) 보다 직경이 크게 제공될 수 있다.
균형장치(10)로부터 외부객체(2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샤프트(L1)에 힘이 가해져 제2균형추(621)가 상승할 수 있고, 발전기(804)에 의해 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승강물체(32)와 제2균형추(621)가 균형을 유지하며 승강물체(32)가 왕복운동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승강물체(32)의 왕복운동하는 모습의 개념적 설명을 위해 다른 구성요소의 도시는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발전시스템은, 승강물체(32)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승강물체(32)가 상사점에 도달했을때 승강물체(32)가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승강물체(32)가 하사점에 도달했을때 상기 승강물체(32)가 상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사점은 승강물체(32)가 최대로 상승할 수 있는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고, 하사점은 승강물체(32)가 최대로 하강할 수 있는 지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승강물체(32)가 상승할 때 제2균형추(621)는 승강물체(32)의 무게에 비례하여 승강물체(32)와 균형유지를 함으로써 승강물체권취모터(802)의 소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승강물체(32)가 하강할 때 제어부는 제2균형추(621)와 승강물체(32)가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것을 제로화하도록 제어하여(예를 들어, 제2균형추(62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승강물체(32)가 내려하는 힘을 방해하지 않고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승강물체(32)가 상사점에 도달했을때 제2균형추(621)가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발전기(804)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승강물체(32)가 하사점에 도달했을때 제2균형추(621)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고, 승강물체권취모터(802)를 작동시켜 제2균형추(621)와 승강물체(32)가 균형을 유지하면서 승강물체(32)가 상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1)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 발전시스템
10 : 균형장치
10' : 균형장치
10'' : 균형장치
100 : 균형부
100' : 균형부
100'' : 균형부
110 : 균형막대
110'' : 균형막대
120 : 균형추
130 : 가이드부
131 : 제1연결부
132 : 제2연결부
133 : 제3연결부
134 : 제4연결부
135 : 제1가이드롤러
138 : 제1이동가이드
161 : 제1상부롤러
162 : 제2상부롤러
171 : 제1하부롤러
172 : 제2하부롤러
173 : 제3하부롤러
174 : 제4하부롤러
180 : 구동부
182 : 구동모터
184 : 구동부재
190 : 유격조절부
20 : 외부객체
20' : 외부객체
30 : 승강물체권취드럼
30' : 승강물체권취드럼
32 : 승강물체
40 : 와이어유도장치
40' : 와이어유도장치
410 : 기어균형추
420 : 하중조절부
430 : 압력발생부
440 : 이동부
48 : 로프유도부
50 : 제2균형장치
510 : 중심기어부
512 : 제1중심기어
514 : 제2중심기어
530 : 외곽기어부
532 : 제1외곽기어
534 : 제2외곽기어
540 : 보조기어
542 : 제1보조기어
544 : 제2보조기어
801 : 브레이크
802 : 승강물체권취모터
804 : 발전기
811 : 제1연결기어
812 : 제2연결기어
813 : 제3연결기어
813' : 제3연결기어
814 : 제4연결기어
814' : 제4연결기어
852 : 균형막대이동롤러
854 : 균형추이동롤러
864 : 제2제어부
901 : 가이드롤러
902 : 상측지지부
903 : 측면지지부
904 : 하측지지부
909 : 가이드레일
910 : 완충부
920 : 상승작용부
930 : 제1전후방향지지부
931 : 제1좌우방향이동롤러
932 : 제2좌우방향이동롤러
933 : 제1중간롤러
940 : 제2전후방향지지부
941 : 제3좌우방향이동롤러
942 : 제4좌우방향이동롤러
943 : 제2중간롤러
950 : 가이드지지부
C : 클러치
L1 : 제1샤프트
L2 : 제2샤프트
L3 : 제3샤프트
L4 : 제4샤프트
L4' : 제4샤프트
L5 : 제5샤프트
L6 : 제6샤프트
39 : 보조권취드럼
39' : 보조권취드럼
39'' : 보조권취드럼
430' : 압력발생부
50 : 제2균형장치
60 : 제2균형추상승수단
60' : 제2균형추상승수단
60'' : 제2균형추상승수단
601 : 제1 승강로프
601' : 제1 승강로프
602 : 제2 승강로프
603 : 제3 승강로프
603' : 제3 승강로프
604 : 제4 승강로프
604' : 제4 승강로프
605 : 승강로프롤러
610 : 승강로프롤러
612 : 상부승강롤러
614 : 하부승강로프롤러
620 : 승강부
620' : 승강부
620'' : 승강부
621 : 제2균형추
6211 : 상부받침부
6212 : 하부받침부
6213 : 높이조절부
6214 : 높이조절이동롤러
622 : 승강롤러
622' : 승강롤러
623 : 제1연결부재
624 : 승강가이드부재
624' : 승강사이드부재
626 : 승강모터
627 : 승강로프
628 : 고정롤러
629 : 지지프레임
631 : 제1권취드럼
632 : 제2권취드럼
633 : 제3권취드럼
633 : 제1 와인더
634 : 제2 와인더
635 : 제4권취드럼
636 : 제5권취드럼
642 : 제1기어
644 : 제2기어
802 : 승강물체권취모터
811 : 제1연결기어
813 : 제3연결기어
L10 : 제10 샤프트
L11 : 제11 샤프트
L7 : 제7 샤프트
L8 : 제8 샤프트
L9 : 제9 샤프트
10 : 균형장치
10' : 균형장치
10'' : 균형장치
100 : 균형부
100' : 균형부
100'' : 균형부
110 : 균형막대
110'' : 균형막대
120 : 균형추
130 : 가이드부
131 : 제1연결부
132 : 제2연결부
133 : 제3연결부
134 : 제4연결부
135 : 제1가이드롤러
138 : 제1이동가이드
161 : 제1상부롤러
162 : 제2상부롤러
171 : 제1하부롤러
172 : 제2하부롤러
173 : 제3하부롤러
174 : 제4하부롤러
180 : 구동부
182 : 구동모터
184 : 구동부재
190 : 유격조절부
20 : 외부객체
20' : 외부객체
30 : 승강물체권취드럼
30' : 승강물체권취드럼
32 : 승강물체
40 : 와이어유도장치
40' : 와이어유도장치
410 : 기어균형추
420 : 하중조절부
430 : 압력발생부
440 : 이동부
48 : 로프유도부
50 : 제2균형장치
510 : 중심기어부
512 : 제1중심기어
514 : 제2중심기어
530 : 외곽기어부
532 : 제1외곽기어
534 : 제2외곽기어
540 : 보조기어
542 : 제1보조기어
544 : 제2보조기어
801 : 브레이크
802 : 승강물체권취모터
804 : 발전기
811 : 제1연결기어
812 : 제2연결기어
813 : 제3연결기어
813' : 제3연결기어
814 : 제4연결기어
814' : 제4연결기어
852 : 균형막대이동롤러
854 : 균형추이동롤러
864 : 제2제어부
901 : 가이드롤러
902 : 상측지지부
903 : 측면지지부
904 : 하측지지부
909 : 가이드레일
910 : 완충부
920 : 상승작용부
930 : 제1전후방향지지부
931 : 제1좌우방향이동롤러
932 : 제2좌우방향이동롤러
933 : 제1중간롤러
940 : 제2전후방향지지부
941 : 제3좌우방향이동롤러
942 : 제4좌우방향이동롤러
943 : 제2중간롤러
950 : 가이드지지부
C : 클러치
L1 : 제1샤프트
L2 : 제2샤프트
L3 : 제3샤프트
L4 : 제4샤프트
L4' : 제4샤프트
L5 : 제5샤프트
L6 : 제6샤프트
39 : 보조권취드럼
39' : 보조권취드럼
39'' : 보조권취드럼
430' : 압력발생부
50 : 제2균형장치
60 : 제2균형추상승수단
60' : 제2균형추상승수단
60'' : 제2균형추상승수단
601 : 제1 승강로프
601' : 제1 승강로프
602 : 제2 승강로프
603 : 제3 승강로프
603' : 제3 승강로프
604 : 제4 승강로프
604' : 제4 승강로프
605 : 승강로프롤러
610 : 승강로프롤러
612 : 상부승강롤러
614 : 하부승강로프롤러
620 : 승강부
620' : 승강부
620'' : 승강부
621 : 제2균형추
6211 : 상부받침부
6212 : 하부받침부
6213 : 높이조절부
6214 : 높이조절이동롤러
622 : 승강롤러
622' : 승강롤러
623 : 제1연결부재
624 : 승강가이드부재
624' : 승강사이드부재
626 : 승강모터
627 : 승강로프
628 : 고정롤러
629 : 지지프레임
631 : 제1권취드럼
632 : 제2권취드럼
633 : 제3권취드럼
633 : 제1 와인더
634 : 제2 와인더
635 : 제4권취드럼
636 : 제5권취드럼
642 : 제1기어
644 : 제2기어
802 : 승강물체권취모터
811 : 제1연결기어
813 : 제3연결기어
L10 : 제10 샤프트
L11 : 제11 샤프트
L7 : 제7 샤프트
L8 : 제8 샤프트
L9 : 제9 샤프트
Claims (9)
- 제1 승강로프에 연결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승강물체;
제1샤프트(L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를 권취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제2균형추; 및
상기 제1샤프트(L1)에 제공되어 상기 승강물체의 하강 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 및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2균형추상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균형추상승수단은,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을 통해 상기 제1 승강로프와 연결되는 제2 승강로프;
상기 제2 승강로프를 권취하는 복수 개의 승강로프롤러; 및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프롤러는,
상기 제2 승강로프를 상부에서 권취하는 복수 개의 상부승강롤러; 및
상기 제2 승강로프를 하부에서 권취하는 복수 개의 하부승강로프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승강롤러와 상기 하부승강로프롤러의 개수는 상기 제1 승강로프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발전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L1)에는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과 직경이 다른 보조권취드럼이 제공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는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와 연결되는 제2 승강로프는 상기 보조권취드럼에 권취되는
발전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2균형추와 연결되는 승강롤러;
상기 승강롤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가이드부재; 및
상기 승강롤러가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압력발생부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제공되는
발전시스템. - 제1 승강로프에 연결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승강물체;
제1샤프트(L1)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1 승강로프를 권취할 수 있는 승강물체권취드럼;
상기 승강물체권취드럼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제2균형추;
상기 제1샤프트(L1)에 제공되어 상기 승강물체의 하강 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발전기; 및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제2균형추상승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균형추상승수단은,
상기 제2균형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제2균형추와 접촉하는 상부받침부;
상기 상부받침부의 대향되는 측에 배치되는 하부받침부;
상기 상부받침부와 상기 하부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받침부를 상승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부; 및
상기 하부받침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높이조절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이동롤러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L1)에 힘을 가해줄 수 있는 균형장치를 더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시스템은,
상기 승강물체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물체가 상사점에 도달했을때 상기 제2균형추가 상승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승강물체를 하강시키고,
상기 승강물체가 하사점에 도달했을때 상기 제2균형추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승강물체를 상승시키는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30066860 | 2023-05-24 | ||
KR1020230066860 | 2023-05-24 | ||
KR1020230068503 | 2023-05-26 | ||
KR20230068503 | 2023-05-26 | ||
KR1020230068499 | 2023-05-26 | ||
KR20230068499 | 2023-05-26 | ||
KR1020230071629 | 2023-06-02 | ||
KR20230071629 | 2023-06-0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9051B1 true KR102679051B1 (ko) | 2024-06-27 |
Family
ID=917132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0195A KR102679060B1 (ko) | 2023-05-24 | 2023-07-12 |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KR1020230108186A KR102679051B1 (ko) | 2023-05-24 | 2023-08-18 |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0195A KR102679060B1 (ko) | 2023-05-24 | 2023-07-12 |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79060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1035A (ja) * | 1997-07-04 | 1999-01-26 | Toshiba Corp | エレベータ装置 |
JP2007302460A (ja) * | 2006-05-15 | 2007-11-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装置 |
JP2012020829A (ja) * | 2010-07-14 | 2012-02-02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装置 |
KR20130008877A (ko) * | 2011-07-13 | 2013-01-23 | 김형진 | 엘리베이터 낙하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
KR101817143B1 (ko) * | 2017-07-13 | 2018-01-10 | 정증자 | 엘리베이터 로핑장치 |
KR101917222B1 (ko) | 2018-02-02 | 2019-01-18 | 정증자 | 엘리베이터 로핑장치 |
KR102077124B1 (ko) * | 2019-07-04 | 2020-02-13 | 정증자 | 균형추 로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로핑장치 |
KR102508730B1 (ko) * | 2021-11-22 | 2023-03-14 | 정증자 |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균형시스템 |
-
2023
- 2023-07-12 KR KR1020230090195A patent/KR102679060B1/ko active
- 2023-08-18 KR KR1020230108186A patent/KR102679051B1/ko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1035A (ja) * | 1997-07-04 | 1999-01-26 | Toshiba Corp | エレベータ装置 |
JP2007302460A (ja) * | 2006-05-15 | 2007-11-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エレベータ装置 |
JP2012020829A (ja) * | 2010-07-14 | 2012-02-02 | Hitachi Ltd | エレベータ装置 |
KR20130008877A (ko) * | 2011-07-13 | 2013-01-23 | 김형진 | 엘리베이터 낙하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
KR101817143B1 (ko) * | 2017-07-13 | 2018-01-10 | 정증자 | 엘리베이터 로핑장치 |
KR101917222B1 (ko) | 2018-02-02 | 2019-01-18 | 정증자 | 엘리베이터 로핑장치 |
KR102077124B1 (ko) * | 2019-07-04 | 2020-02-13 | 정증자 | 균형추 로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로핑장치 |
KR102508730B1 (ko) * | 2021-11-22 | 2023-03-14 | 정증자 |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균형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9060B1 (ko) | 2024-06-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341336B (zh) | 电梯配置和方法 | |
US9758346B2 (en) | Tensioning arrangement for a traction means of an elevator | |
JP4468823B2 (ja) |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製造 | |
JP5524448B2 (ja) | エレベータ | |
TW200301749A (en) | Elevator | |
EP2776355B1 (en) | Elevator system | |
US20150158702A1 (en) | Low-Rise Elevator | |
MX2013004550A (es) | Instalacion de elevador. | |
JP2007501756A5 (ko) | ||
JP5947373B2 (ja) | 荷重及び人を輸送するための駆動ユニット、及びそのような駆動ユニットを有する荷重及び人の輸送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 | |
JP4270642B2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US20180065831A1 (en) | Elevator | |
KR102679051B1 (ko) |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시스템 | |
EP3878792A1 (en) | Counterweight frame, elevator and method | |
KR102508730B1 (ko) | 균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균형시스템 | |
CN107575067A (zh) | 一种钢丝绳滑轮组合牵引的立体车库升降机构 | |
JP4303842B2 (ja) |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US9988243B2 (en) | Elevator system | |
CN108313847A (zh) | 一种轿厢电梯的平层防溜动装置 | |
WO2013076790A1 (ja) | エレベータ装置、並びに、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かご及び釣り合いおもりの昇降方法 | |
JP2011080360A (ja) | 駐車装置と昇降装置 | |
JP6684473B2 (ja) | 複数の釣合い錘を備えるエレベータ | |
JP4195044B2 (ja) | エレベーター | |
JP2000318954A (ja) | 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 |
JP2001080856A (ja) | エレベータ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