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7897B1 -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897B1
KR102677897B1 KR1020190069926A KR20190069926A KR102677897B1 KR 102677897 B1 KR102677897 B1 KR 102677897B1 KR 1020190069926 A KR1020190069926 A KR 1020190069926A KR 20190069926 A KR20190069926 A KR 20190069926A KR 102677897 B1 KR102677897 B1 KR 102677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unit
transfer
centrifugal separation
support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727A (ko
Inventor
류희근
류승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랩
Priority to KR102019006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789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 B04B5/0407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for liquids contained in receptacles
    • B04B5/0414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for liquids contained in receptacles comprising test tubes
    • B04B5/0421Radial chamber apparatu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e.g. butyrometers for liquids contained in receptacles comprising test tubes pivot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4Periodical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04B2011/046Loading, unloading, manipulating sample container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은 원심분리유닛; 내측에 상기 원심분리유닛이 수납되고, 일 측에 검체튜브를 수용한 지지랙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상기 원심분리유닛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으로부터 상기 검체튜브를 분리하여 인서트에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유닛; 및 상기 검체튜브가 적재된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으로 투입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검체가 투입되면 자동적으로 검체의 식별, 검체의 이송, 검체의 원심분리 및 검체의 적재를 일괄 수행 가능하고, 다수의 원심분리유닛과, 검체를 식별하여 해당 원심분리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통해 여러 종류의 검체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원심분리 가능하여, 작업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AUTOMATIC CENTRIFUGE SYSTEM}
본 발명은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분리기란 원심력을 이용하여 균질액을 여러 부분으로 나눌 목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계로서, 균질액을 시험관에 넣고 원심분리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병원 내 검사실 전체 검사 과정 중 약 60%를 차지하는 전처리 과정에 있어서, 혈액을 원심 분리하는 원심분리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은 검사 시료의 수집, 검사 시료의 이송, 선택적인 검사시료의 원심 분리, 후속하는 전-분석 처리(pre-analytical process)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검사자가 직접 일일이 검체튜브에 표시된 식별코드를 확인한 후, 확인된 검체튜브를 해당 원심분리기의 내부에 적재하고, 원심분리가 완료된 검체튜브를 원심분리기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보관함으로 이동시켜야 함에 따라,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89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체의 식별, 검체의 이송, 검체의 원심분리 및 검체의 적재를 자동적으로 일괄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은 원심분리유닛; 내측에 상기 원심분리유닛이 수납되고, 일 측에 검체튜브를 수용한 지지랙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상기 원심분리유닛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으로부터 상기 검체튜브를 분리하여 인서트에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유닛; 및 상기 검체튜브가 적재된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으로 투입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상기 원심분리유닛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이송유닛의 하측에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랙정렬부; 상기 검체튜브가 분리된 지지랙을 일 측에 구비된 랙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컨베이어부; 및 상기 검체튜브가 분리된 지지랙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랙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랙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검체튜브가 분리된 지지랙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랙보관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 후 방향을 나타내는 X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좌, 우 방향을 나타내는 Y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 하 방향을 나타내는 Z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3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검체튜브를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유닛을 통하여 이송된 원심분리가 완료된 검체튜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검체보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송유닛은, 상기 인서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서트 고정부; 및 상기 인서트 고정부를 이동시켜, 상기 인서트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에 적재하거나,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에 적재된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인서트 고정부를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2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승강부; 및 상기 제1 승강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 고정부를 지지하고,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이송유닛의 둘레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면에 안착된 복수개의 인서트를 상기 제3 이송유닛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서트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공급부는, 상기 제3 이송유닛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가 안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 측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플레이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은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 내측에 상기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이 적층된 상태로 수납되고, 일 측에 검체튜브를 수용한 지지랙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식별한 후,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지지랙을 상기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 중 어느 하나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일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상기 지지랙에 적재된 검체튜브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식별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지지랙을 해당 원심분리유닛이 위치한 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을 상기 원심분리유닛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으로부터 상기 검체튜브를 분리하여 인서트에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유닛; 및 상기 검체튜브가 적재된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으로 투입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검체가 투입되면 자동적으로 검체의 식별, 검체의 이송, 검체의 원심분리 및 검체의 적재를 일괄 수행 가능하고, 다수의 원심분리유닛과, 검체를 식별하여 해당 원심분리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통해 여러 종류의 검체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원심분리 가능하여, 작업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수의 작업자를 통해 수행되는 검체의 식별공정, 검체의 이송공정, 검체의 원심분리공정 및 검체의 적재공정을 한 번에 수행 가능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제1 이송유닛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제1 이송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이송유닛의 제1 컨베이어부 및 제2 컨베이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이송유닛의 랙정렬부 및 랙전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제2 이송유닛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제2 이송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이송유닛의 제3 이송부 및 파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제3 이송유닛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이송유닛의 인서트 고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제3 이송유닛이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3 이송유닛의 이송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인서트 공급부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의 식별부 및 승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이하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이라 함)은 원심분리유닛(110) 및 본체(120)를 포함한다.
원심분리유닛(110)은 본체(120)에 수납되어, 내측에 적재된 인서트(I)를 회전시켜 인서트(I)에 적재된 검체튜브(T)를 원심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원심분리유닛(110)은 상측에 인서트(I)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원심분리유닛(110)의 내측에는 출입구와 연통되어 인서트(I)가 수용되는 회전드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드럼에는 복수개의 인서트(I)가 수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드럼에는 최대 3개의 인서트(I)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유닛(1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와, 원심분리유닛(110)의 구동상태를 확인 가능한 표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심분리유닛(110)은 선택적으로 본체(120)의 내측에 출입 가능하고, 본체(120)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원심분리유닛(110)의 하측에는 원심분리유닛(110)을 지지하고, 원심분리유닛(11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스, 원심분리유닛(110)은 지지부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본체(120)의 내측에 수용되거나, 본체(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부는 원심분리유닛(110)이 안착 가능한 판형의 트레이와, 트레이에 설치되어 트레이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트레이의 상면에 설치되어 원심분리유닛(110)을 지지하고, 원심분리유닛(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완충부재와, 지지부는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도록 트레이에 설치되어, 캐스터가 접해있는 지지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하중분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분산부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트레이에 체결되고, 회전을 통하여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한 체결부와, 체결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체결부의 하강 시 지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는 단부를 향하여 단면의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20)는 내측에 원심분리유닛(110) 및 후술할 이송유닛들이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2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검체튜브(T)를 수용한 지지랙(R)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120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20)는, 원심분리유닛(110)을 수납 가능한 소정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둘레에 설치되고 일 측에 투입구(120a)가 형성되는 패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20)의 전방에 설치되는 패널부는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원심분리유닛(110)의 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20)의 전방에 설치되는 패널부에는 본체(120)의 내측에 수용된 원심분리유닛(110)의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투입구(120a)는 본체(120)의 측부에 설치되는 패널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120)는, 프레임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프레임부를 이동시키는 캐스터와, 캐스터가 접해있는 지지면에 지지되어 하중을 분산시키는 하중분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중분산부재는 수직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부에 설치됨에 따라, 캐스터의 구동이 필요할 때에는 상승하여 지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반대로 캐스터의 구동이 완료된 때에는 하강하여 지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은 제1 이송유닛(15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이송유닛(150)은 투입구(120a)를 통해 본체(120)의 내측으로 투입된 지지랙(R)을 원심분리유닛(110) 측으로 이송하여 제2 이송유닛(160)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제2 이송유닛(160)에 의해 검체튜브(T)가 분리된 지지랙(R)을 랙배출구(153a) 측으로 이송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송유닛(150)은 제1 컨베이어부(151), 랙정렬부(152), 제2 컨베이어부(153) 및 랙전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베이어부(151)는 본체(120)의 내측으로 투입된 지지랙(R)을 원심분리유닛(110)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컨베이어부(151)는 모터와,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풀리, 구동풀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종동풀리, 및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를 회전하여 외면에 설치된 지지랙(R)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랙정렬부(152)는 제1 컨베이어부(151)를 통해 이송된 지지랙(R)을 가압하여 제2 이송유닛(160)의 하측에 정렬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랙정렬부(152)는 제1 정렬부(1521) 및 제2 정렬부(1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렬부(1521)는 제1 컨베이어부(151)를 통해 이송된 지지랙(R)의 외면을 지지하여 지지랙(R)을 정렬시킨 후, 지지랙(R)을 가압하여 제2 이송유닛(160)의 하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정렬부(1522)는 제1 정렬부(1521)에 대향 배치되어 제1 정렬부(1521)를 통해 전달된 지지랙(R)의 외면을 지지하고, 지지랙(R)을 제2 이송유닛(160)의 하측에 정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정렬부(1521)는 지지랙(R)의 외면을 지지하고, 지지랙(R)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를 제2 정렬부(1522) 측으로 선형이동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정렬부(1522)는 지지랙(R)의 외면을 지지하는 패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렬부(1521)를 통해 지지랙(R)이 제2 이송유닛(160)의 하측으로 전달될 때, 지지랙(R)의 하면을 지지하는 부위에는 지지랙(R)의 하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지지랙(R)의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랙(R)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형의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컨베이어부(153)는 제1 컨베이어부(151)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술할 랙전달부(154)를 통해 전달된 검체튜브(T)가 분리된 지지랙(R)을 일 측에 구비된 랙배출구(153a)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컨베이어부(153)는 모터와,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풀리, 구동풀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종동풀리, 및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를 회전하여 외면에 설치된 지지랙(R)을 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랙전달부(154)는 랙정렬부(152)를 통해 전달된 지지랙(R)의 측부에 배치되어, 검체튜브(T)가 분리된 지지랙(R)을 가압하여 지지랙(R)을 제2 컨베이어부(153)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랙전달부(154)는 지지랙(R)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를 제2 컨베이어부(153) 측으로 선형이동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송유닛(150)은 랙안내부(155)는 투입구(120a)를 통해 본체(120)의 내측으로 투입된 지지랙(R)을 가압하여 제1 컨베이어부(151)로 전달하는 랙안내부(155)와, 제2 컨베이어(153)를 통해 이송된 검체튜브(T)가 분리된 지지랙(R)을 랙배출구(153a) 측으로 가압하여 제2 컨베이어부(153)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랙배출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유닛(150)은 랙보관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랙보관부(157)는 랙배출구(153a)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랙배출구(153a)를 통해 제2 컨베이어부(153)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검체튜브(T)가 분리된 지지랙(R)을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랙보관부(157)는 랙배출구(153a)와 연통되도록 본체(120)에 착탈 가능한 트레이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다수의 지지랙을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랙(R)의 하면을 지지하는 랙보관부(157)의 상면에는 지지랙(R)의 하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지지랙(R)의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랙(R)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기형의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은 제2 이송유닛(160)을 포함한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이송유닛(160)은 제1 이송유닛(150)을 통해 이송된 지지랙(R)으로부터 검체튜브(T)를 분리하여 인서트(I)에 적재하고, 원심분리가 완료된 검체튜브(T)를 인서트(I)로부터 분리하여 후술할 검체보관부(180)에 적재한다.
제2 이송유닛(160)은 제1 이송부(161), 제2 이송부(162), 제3 이송부(163) 및 파지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161)는 제1 이송유닛(150)의 상측에 배치되어 본체(120)의 전, 후 방향을 나타내는 X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송부(161)는 제2 이송부(162)의 일 측을 지지하고, 제2 이송부(162)를 X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와, 제2 이송부(162)의 타 측을 지지하고 제2 이송부(16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 가능한 액추에이터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구동부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2 이송부(162)의 일 측을 지지하는 테이블,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어 테이블에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테이블을 X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 모듈 및 볼 스크류 모듈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는 제2 이송부(162)의 타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에 결합되어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부(162)는 제1 이송부(161)에 설치되어 본체(120)의 좌, 우 방향을 나타내는 Y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송부(162)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 가능한 실린더 형태의 액추에이터로 적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세는, 제2 이송부(162)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이송부(161)에 일 측 및 타 측이 지지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제3 이송부(163)를 지지하는 테이블,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어 테이블에 결합되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테이블을 Y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는 볼 스크류 모듈 및 볼 스크류 모듈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 이송부(163)는 제2 이송부(162)에 설치되어 본체(120)의 상, 하 방향을 나타내는 Z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이송부(163)는 파지부(164)의 일 측을 지지하고, 파지부(164)를 Z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와, 파지부(164)의 타 측을 지지하고 파지부(164)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벨트를 순환시켜 벨트에 설치된 파지부(164)를 Z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구동부는 제2 이송부(162)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풀리, 구동풀리로부터 수직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종동풀리, 및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를 회전하여 외면에 설치된 파지부(164)를 이동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는 파지부(164)의 타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에 결합되어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64)는 제3 이송부(163)에 설치되어 검체튜브(T)를 파지할 수 있다.
예컨대, 파지부(164)는 제3 이송부(163)에 설치되어 Z축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고, 하측에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승강모듈과, 가이드레일에 설치되고, 상대 운동을 수행하여 내측에 수용된 검체튜브(T)를 선택적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퍼는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상대운동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파지부재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검체튜브(T)를 수용할 수 있는 파지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검체튜브(T)의 외면을 가압하는 파지부재의 일면은 검체튜브(T)의 가압 시 검체튜브(T)의 외형이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리퍼는 승강모듈의 내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미도시)와 연결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통해 상대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은 검체보관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검체보관부(180)는 제2 이송유닛(160)의 일 측에 배치되어, 제2 이송유닛(160)을 통하여 이송된 원심분리가 완료된 검체튜브(T)를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검체보관부(180)는 본체(120)에 착탈 가능한 트레이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다수의 검체튜브(T)를 보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은 제3 이송유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이송유닛(170)은 검체튜브(T)가 적재된 인서트(I)를 원심분리유닛(110)의 내측으로 투입하고, 원심분리유닛(110)의 내측에 적재된 인서트(I)를 원심분리유닛(110)으로부터 꺼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3 이송유닛(170)은 인서트(I)를 고정시키는 인서트 고정부(171)와, 인서트 고정부(171)를 이동시켜, 인서트 고정부(171)에 고정된 인서트(I)를 원심분리유닛(110)의 내측에 적재하거나, 원심분리유닛(110)의 내측에 적재된 인서트(I)를 원심분리유닛(110)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172) 이송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서트 고정부(171)는 제1 이송부(1721)에 설치되어 Z축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고, X축 방향을 따라 상대운동을 수행하여 인서트(I)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서트 고정부(171)는 제1 이송부(1721)에 설치되어 Z축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고, 하측에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가이드레일(미도시)을 구비하는 승강모듈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대 운동을 수행하여 인서트(I)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그리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리퍼는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상대운동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파지부재는 수직방향을 따라 하강하여 인서트(I)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된 후, 서로 멀어지도록 상대운동을 수행하여 인서트(I)의 내면을 가압하는 포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파지부재의 단부에는 인서트(I)의 내측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리퍼는 승강모듈의 내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 등과 같은 액추에이터(미도시)와 연결되고,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통하여 상대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이송부(172)는 제1 이송부(1721) 및 제2 이송부(17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1721)는 인서트 고정부(171)를 Z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시켜, 인서트 고정부(171)에 고정된 인서트(I)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부(1721)는 개별적으로 Z축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복수개의 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이송부(1721)는 제2 이송부(1722)에 설치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승강부(17211) 및 제1 승강부(17211)에 설치되어 인서트 고정부(171)를 지지하고,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승강부(172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이송부(1721)는 개별적으로 Z축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한 복수개의 승강부(17211, 17212)를 통하여 2단 스트로크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I)를 원심분리유닛(110)에 적재하거나, 원심분리유닛(110)으로부터 인서트(I)를 꺼낼 때 보다 안정적으로 인서트(I)의 이동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인서트(I)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 고정부(171)가 설치된 제2 승강부(17212)는 제1 승강부(17211)에 비하여 더 정밀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승강부(17211)는 제2 승강부(17212)의 일 측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2 승강부(17212)를 Z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제2 승강부(17212)의 일 측 및 타 측을 지지하고 제2 승강부(17212)의 이동 시 제2 승강부(17212)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제2 이송부(1722)에 설치되는 모터,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풀리, 구동풀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종동풀리,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 종동풀리에 결합되어 종동풀리와 함께 회전되는 스크류샤프트 및 제2 승강부(17212)의 일 측에 결합되어 스크류사프트에 설치되고, 스크류사프트의 회전 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2 승강부(17212)를 스크류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는 제2 승강부(17212)의 일 측 및 타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제2 이송부(1722)에 설치되어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승강부(17212)는 인서트 고정부(171)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편, 지지편에 동력을 전달하여 인서트 고정부(171)를 Z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지지편의 일 측 및 타 측을 지지하고 인서트 고정부(171)의 이동 시 지지편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제1 승강부(17211)에 설치되는 모터,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풀리, 구동풀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종동풀리,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벨트, 종동풀리에 결합되어 종동풀리와 함께 회전되는 스크류샤프트 및 지지편에 결합되어 스크류사프트에 설치되고, 스크류사프트의 회전 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인서트 고정부(171)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편을 스크류샤프트의 외면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는 지지편의 일 측 및 타 측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제1 승강부(17211)에 설치되어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부(1722)는 제1 이송부(1721)를 X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시켜, 인서트 고정부(171)에 고정된 인서트(I)를 원심분리유닛(110)의 출입구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인서트(I)가 안착되어 있던 후술할 회전 플레이트(191)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송부(1722)는 제1 이송부(1721)를 지지하는 테이블, 테이블을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테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내부, 및 상기 테이블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은 안내부에 설치되는 제1 지지패널과, 제1 지지패널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제1 이송부(1721)를 지지하는 제2 지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벨트를 순환시켜 벨트에 설치된 테이블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풀리, 구동풀리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종동풀리 및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종동풀리로 전달하고, 일 측에 결합된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는 테이블의 하면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본체에 설치되어 가이드블록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는 테이블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이송벨트에 결합된 테이블의 일 부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은 인서트 공급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인서트 공급부(190)는 제3 이송유닛(170)의 둘레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에 안착된 복수개의 인서트(I)를 제3 이송유닛(170)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인서트 공급부(190)는 회전 플레이트(191), 구동부(192) 및 동력전달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91)는 제3 이송유닛(170)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면에 복수개의 인서트(I)가 안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플레이트(191)는 본체(120)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베어링(미도시)을 매개로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인서트(I)가 안착 가능한 복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플레이트(191)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인서트(I)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플레이트(19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인서트(I)는 원심분리유닛(110)에 한 번에 적재 가능한 인서트(I)의 수량보다 더 많은 수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원심분리유닛(110)에 한 번에 세 개의 인서트(I)가 적재 가능할 경우, 회전 플레이트(191)의 상면에는 총 여섯 개의 인서트(I)가 적재될 수 있다.
구동부(192)는 회전 플레이트(191)의 일 측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192)는 본체(120)에 설치되는 모터와,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 시 회전력을 발생시켜 둘레에 설치된 동력전달부(193)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93)는 구동부(192)와 회전 플레이트(191)를 서로 연결하고, 구동부(192)의 회전력을 회전 플레이트(191)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동력전달부(193)는 회전부와 구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회전 플레이트(191)를 회전시키는 벨트 또는 체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110) 및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110)이 적층된 상태로 수납되고,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검체튜브(T)를 수용한 지지랙(R)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120a)가 형성되는 본체(12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100)은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송유닛은 투입구(120a)를 통해 본체(120)의 내측으로 투입된 지지랙(R)을 식별한 후, 식별 결과에 따라 지지랙(R)을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 (110)중 어느 하나로 이송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이송유닛은 식별부(130) 및 승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130)는 투입구(120a)를 통해 본체(120)의 내측으로 투입된 지지랙(R)을 일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지지랙(R)에 적재된 검체튜브(T)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식별부(130)는 투입구(120a)를 통과한 지지랙(R)의 전면 및 후면을 지지하여 지지랙(R)을 정렬시키는 가이드패널, 지지랙(R)의 하면을 지지하여 외부로부터 지지랙(R)이 투입된 방향으로 지지랙(R)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랙이송부, 제1 랙이송부를 통해 일 방향으로 이동 중인 지지랙(R)으로부터 지지랙(R)의 외면에 부착된 식별코드(미도시)를 인식하여 지지랙(R)에 적재된 검체튜브(T)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코드인식모듈, 제1 랙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지지랙(R)의 단부를 지지하여 지지랙(R)의 이동을 제한하고, 지지랙(R)을 정렬시키는 이동제한패널, 및 이동제한패널에 지지되어 설정 위치에 배치된 지지랙(R)을 가압하여 후술할 승강부(140)로 전달하는 제2 랙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랙이송부는 모터와,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 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풀리, 구동풀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종동풀리 및 구동풀리와 적어도 하나의 종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구동풀리와 적어도 하나의 종동풀리의 둘레를 회전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랙이송부는 모터,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 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기어, 구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기어의 회전 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지지랙을 향해 선형이동 가능한 랙기어, 랙기어에 설치되어 랙기어와 함께 지지랙 측을 향하여 선형이동 가능하고, 단부에 지지랙의 전면을 가압 가능한 가압패널을 구비한 가압부, 가압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압부의 상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 및 가압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가압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140)는 식별부(130)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식별부(130)를 통해 전달된 지지랙(R)을 해당 원심분리유닛(110)이 위치한 층으로 이송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부(140)는 식별부(130)를 통해 전달된 지지랙(R)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지랙 고정부와, 지지랙 고정부를 Z축 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지랙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랙 고정부는 식별부(130)를 통해 전달된 지지랙(R)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 제1 지지부재에 안착된 지지랙(R)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 및 지지랙(R)의 후면을 지지하고, 지지랙 이송부에 설치되는 제3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에는 지지랙(R)의 하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되어 지지랙(R)을 고정시킬 수 있는 돌기형의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랙 이송부는 본체(120)에 설치되고, 지지랙 이송부와 결합되어 지지랙 이송부를 Z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와, 지지랙 고정부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모터와, 모터의 선단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 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풀리, 구동풀리로부터 Z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종동풀리 및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에 설치되어 구동풀리의 회전 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의 둘레를 회전하여, 일 측에 결합된 지지랙 고정부를 승강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부는 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지지랙 고정부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블록, 및 지지랙 고정부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유닛은 제1 이송유닛(150), 제2 이송유닛(160) 및 제3 이송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이송유닛(150)은 승강부(140)를 통해 이송된 지지랙(R)을 원심분리유닛(110) 측으로 이송하여 제2 이송유닛(160)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제2 이송유닛(160)에 의해 검체튜브(T)가 분리된 지지랙(R)을 랙배출구(153a) 측으로 이송한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이송유닛(160)은 제1 이송유닛(150)을 통해 이송된 지지랙(R)으로부터 검체튜브(T)를 분리하여 인서트(I)에 적재하고, 원심분리가 완료된 검체튜브(T)를 인서트(I)로부터 분리하여 후술할 검체보관부(180)에 적재한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이송유닛(170)은 검체튜브(T)가 적재된 인서트(I)를 원심분리유닛(110)의 내측으로 투입하고, 원심분리유닛(110)의 내측에 적재된 인서트(I)를 원심분리유닛(110)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검체가 투입되면 자동적으로 검체의 식별, 검체의 이송, 검체의 원심분리 및 검체의 적재를 일괄 수행 가능하고, 다수의 원심분리유닛과, 검체를 식별하여 해당 원심분리유닛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통해 여러 종류의 검체를 하나의 장치 내에서 원심분리 가능하여, 작업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를 통해 다수의 작업자를 통해 수행되는 검체의 식별공정, 검체의 이송공정, 검체의 원심분리공정 및 검체의 적재공정을 한 번에 수행 가능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110. 원심분리유닛
120. 본체 120a. 투입구
130. 식별부
140. 승강부
150. 제1 이송유닛
151. 제1 컨베이어부
152. 랙정렬부
1521. 제1 정렬부
1522. 제2 정렬부
153. 제2 컨베이어부 153a. 랙배출구
154. 랙전달부
155. 랙안내부
156. 랙배출부
157. 랙보관부
160. 제2 이송유닛
161. 제1 이송부
162. 제2 이송부
163. 제3 이송부
164. 파지부
170. 제3 이송유닛
171. 인서트 고정부
172. 이송부
1721. 제1 이송부
17211. 제1 승강부
17212. 제2 승강부
1722. 제2 이송부
180. 검체보관부
190. 인서트 공급부
191. 회전 플레이트
192. 구동부
193. 동력전달부
T. 검체튜브
R. 지지랙
I. 인서트

Claims (12)

  1. 원심분리유닛;
    내측에 상기 원심분리유닛이 수납되고, 일 측에 검체튜브를 수용한 지지랙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상기 원심분리유닛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유닛;
    상기 제1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으로부터 상기 검체튜브를 분리하여 인서트에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유닛; 및
    상기 검체튜브가 적재된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으로 투입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상기 원심분리유닛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이송유닛의 하측에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랙정렬부;
    상기 검체튜브가 분리된 지지랙을 일 측에 구비된 랙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컨베이어부; 및
    상기 검체튜브가 분리된 지지랙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랙전달부;를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랙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상기 검체튜브가 분리된 지지랙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랙보관부; 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의 전, 후 방향을 나타내는 X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좌, 우 방향을 나타내는 Y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상, 하 방향을 나타내는 Z축 방향을 따라 선형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3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검체튜브를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유닛을 통하여 이송된 원심분리가 완료된 검체튜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검체보관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유닛은,
    상기 인서트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서트 고정부; 및
    상기 인서트 고정부를 이동시켜, 상기 인서트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에 적재하거나,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에 적재된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이송부;
    를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인서트 고정부를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부;
    를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2 이송부에 설치되어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승강부; 및
    상기 제1 승강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 고정부를 지지하고,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승강부;
    를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유닛의 둘레에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여 상면에 안착된 복수개의 인서트를 상기 제3 이송유닛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서트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공급부는,
    상기 제3 이송유닛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면에 상기 복수개의 인서트가 안착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 측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플레이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11.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
    내측에 상기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이 적층된 상태로 수납되고, 일 측에 검체튜브를 수용한 지지랙을 투입 가능한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식별한 후,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지지랙을 상기 복수개의 원심분리유닛 중 어느 하나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상기 원심분리유닛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이송유닛과, 상기 제1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으로부터 상기 검체튜브를 분리하여 인서트에 적재하도록 구성되는 제2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상기 원심분리유닛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지지랙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이송유닛의 하측에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랙정렬부;
    상기 검체튜브가 분리된 지지랙을 일 측에 구비된 랙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2 컨베이어부; 및
    상기 검체튜브가 분리된 지지랙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랙전달부;를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투입된 상기 지지랙을 일 방향으로 이동 시키고, 상기 지지랙에 적재된 검체튜브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식별부;
    상기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식별부를 통해 전달된 상기 지지랙을 해당 원심분리유닛이 위치한 층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승강부;
    상기 검체튜브가 적재된 인서트를 상기 원심분리유닛의 내측으로 투입하도록 구성되는 제3 이송유닛;
    을 포함하는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KR1020190069926A 2019-06-13 2019-06-13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KR10267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926A KR102677897B1 (ko) 2019-06-13 2019-06-13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926A KR102677897B1 (ko) 2019-06-13 2019-06-13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27A KR20200142727A (ko) 2020-12-23
KR102677897B1 true KR102677897B1 (ko) 2024-06-25

Family

ID=7408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926A KR102677897B1 (ko) 2019-06-13 2019-06-13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78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024A (ja) * 2002-10-31 2004-05-27 Teruaki Ito 検体遠心分離システム
JP2004230328A (ja) * 2003-01-31 2004-08-19 Teruaki Ito 検体遠心分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12B1 (ko) 2008-07-10 2010-08-31 주식회사 한랩 자동 평형형 원심분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024A (ja) * 2002-10-31 2004-05-27 Teruaki Ito 検体遠心分離システム
JP2004230328A (ja) * 2003-01-31 2004-08-19 Teruaki Ito 検体遠心分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27A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5060B2 (ja) 自動体液分析装置における試料管ホルダ
CN107150033B (zh) 电子部件供应用托盘的供应推车及处理电子部件的分选机
AU2009201568B2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analysis of samples on gel cards
US5588797A (en) IC tray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92375A (ko) 원심분리기 시스템 및 작업 흐름
CN112122014B (zh) 一种适用于全自动试样离心的进样装置
KR20050055691A (ko) 원심분리에 의한 샘플의 전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122024B1 (ko) 검체 튜브 정렬 장치, 이를 포함하는 자동화된 원심분리 시스템, 스택 모듈 및 원심분리 모듈
JP4327970B2 (ja) 発光測定装置及び蛍光測定装置
TW201716141A (zh) 離心分離裝置及離心分離方法
KR102677897B1 (ko) 자동화 원심분리 시스템
CN106179781A (zh) 一种微柱凝胶卡离心机
CN113019988B (zh) 视觉检测设备
KR102037436B1 (ko) 시료 분석 장치
CN214895631U (zh) 全自动安规测试机
JP2007527003A (ja) デバイス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400701A1 (en) Sample feeding apparatus, sample analyz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sample feeding apparatus
CN110596408B (zh) 一种全自动干式免疫分析设备
CN116466099A (zh) 样本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704374B (zh) 具有毛细管传送机构的分析系统
KR100262270B1 (ko) 수평식 핸들러에서 테스트 트레이내로 소자를 로딩/언로딩하는방법 및 그 장치
KR102274543B1 (ko) 쏘 앤 플레이스먼트 시스템
US20190064194A1 (en) Automatic analysing system for in vitro diagnostics
CN113607491A (zh) 一种样本一体化检测装置
JP3873982B2 (ja) 蓋付きマイクロプレート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