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5349B1 - 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 - Google Patents

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5349B1
KR102675349B1 KR1020210064750A KR20210064750A KR102675349B1 KR 102675349 B1 KR102675349 B1 KR 102675349B1 KR 1020210064750 A KR1020210064750 A KR 1020210064750A KR 20210064750 A KR20210064750 A KR 20210064750A KR 102675349 B1 KR102675349 B1 KR 102675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unit
pot
wa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7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7105A (en
Inventor
박상권
Original Assignee
박상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권 filed Critical 박상권
Priority to KR102021006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5349B1/en
Publication of KR2022015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534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1Devices for filling-up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3Devices for setting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5Devices for setting seeds in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과 농작물이 식재된 화분을 자동으로 제작하여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관계없이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농작물 재배용 화분을 대량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system for flower pots for growing crops, and more specifically, to automatically produce and supply pots with soil and crops planted in them, thereby enabling mass production of flower pots for growing crops, regardless of location. This is about a production system for flower pots for growing crops.

Description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

본 발명은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양과 농작물이 식재된 화분을 자동으로 제작하여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관계없이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농작물 재배용 화분을 대량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system for flower pots for growing crops, and more specifically, to automatically produce and supply pots with soil and crops planted in them, thereby enabling mass production of flower pots for growing crops, regardless of location. This is about a production system for flower pots for growing crops.

국토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과 환경 오염으로 건강한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는 토지가 급격하게 줄고 있으며, 이는 식량 문제를 야기할 위험이 높고 많은 식품, 농작물들이 수입산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Due to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lan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land available for producing healthy crops is rapidly decreasing, which poses a high risk of causing food problems and many foods and crops are being replaced by imported products.

또한, 건강한 농작물에 대한 걱정과 함께 직접 농작물을 재배하는 가정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Additionally, with concerns about healthy crops, the number of households growing their own crops is rapidly increasing.

그러나, 화분은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식물을 재배함으로써 자연 친화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화분을 통해서는 물, 일조량, 약재 등의 공급을 시기 적절하게 관리해야 하는 농작물의 재배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 However, as shown in the patent document below, flower pots are generally used to achieve a nature-friendly interior design effect by growing plants for ornamental purposes indoors, such as at home or in the office, and through flower pots, water, sunlight, medicine, etc. are provided in a timely manner. Crops that need to be managed cannot be grown properly.

따라서, 가정에서 화분을 통해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어렵고,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토지의 부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화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대량 재배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row crops in pots at home, and even when pots are used to overcome the problem of lack of land for growing crops, it is difficult to achieve mass cultivation.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127310호(2012. 03. 08. 등록)"회전가능한 다단식 화분"(Patent Document)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27310 (registered on March 8, 2012) “Rotable multi-stage flower po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토양과 농작물이 식재된 화분을 자동으로 제작하여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관계없이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농작물 재배용 화분을 대량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ion system for plant pots for crop cultivation, which enables mass production of crop plant pots capable of growing crops regardless of location by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d supplying pots in which soil and crops are planted.

본 발명은 일반 흙에서 불순물을 분리하고, 크기별로 분리시키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에 따라 적절한 토양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pot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that separates impurities from general soil and separates them by size, thereby allowing the use of appropriate soil mix according to the crop.

본 발명은 크기별로 분리된 토양입자에 퇴비, 미생물, 비료 등의 첨가물과 약재를 투입하여, 농작물의 생장에 적합한 성분의 토양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pot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which allows the creation of soil with ingredients suitable for the growth of crops by adding additives such as compost, microorganisms, fertilizers, etc. and medicinal materials to soil particles separated by size.

본 발명은 화분에 투입된 토양에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씨앗 또는 모종이 정확한 위치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which allows the seeds or seedlings to be placed in the correct location by forming a space for seeds or seedlings to be placed in the soil inserted into the pot.

본 발명은 파종침을 이용하여 씨앗을 찔러 토양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발아에 적합한 위치로 씨앗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that allows the seeds to be inserted into a position suitable for germination by piercing the seeds using a seeding needle and inserting them into the soil.

본 발명은 모종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토양에 모종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that allows seedlings to be introduced into the soil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seedlings.

본 발명은 농작물에 따라 위치별로 토양의 종류와 층의 두께 등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화분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에 따른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pot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that can provide an optimal growth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rop by setting the type of soil and layer thickness differently for each location depending on the crop and putting it into the pot. .

본 발명은 위치에 따라 분리된 토양의 모양이 정확하게 유지되며 화분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that accurately maintains the shape of the separated soil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allows it to be put into the flower pot.

본 발명은 화분에 투입된 토양의 모양에 따라 압착시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작물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which can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for crops by compressing the soil put into the po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t and expelling the air inside.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n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은 토양을 수용하여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과,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을 제작하는 제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작장치는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에 사용될 토양을 분리시키는 토양분리장치와, 상기 토양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토양을 첨가물, 약재와 배합하여 화분에 투입하는 토양배합장치와, 토양이 탑재된 화분에 재배될 농작물을 투입하는 농작물투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p cultivation pot that accommodates soil to allow cultivation of crops, and a manufacturing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crop cultivation pot, and the manufacturing device. The device includes a soil separation device that separates the soil to be used in the pot for growing crops, a soil mixing device that mixes the soil separated by the soil separation device with additives and medicinal materials and puts it into a pot, and a soil mixing device that mixes the soil separated by the soil separation device with additives and medicinal materials and adds it to the pot for cultivation in the po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rop input device for inputting crop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토양분리장치는 일반 흙을 일정 궤도를 따라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궤도이송부와, 상기 궤도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토양이 하강하며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 입자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separation device includes a orbital transfer unit that transports general soil upward along a certain orbit, and the soil transferred by the orbital transfer uni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rticle separation unit that descends and separates particles according to particle siz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궤도이송부는 흙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흙을 수용하는 수용단과,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륜을 포함하고, 상기 입자분리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하강하는 경사를 가지며, 하강할수록 큰 직경의 분리공이 관통 형성되는 분리통과; 상기 분리통의 하부에 형성되어 크기별 토양 입자를 수용하는 수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rbital transfer unit includes a transfer conveyor formed inclined to ris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soil, and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ransfer conveyor. It is formed so as to include a receiving end for receiving soil and a driving wheel for driving the transfer conveyor, and the particle separation part is form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and has a downward slope, and as it descends, a separation hole with a larger diameter is formed through it. passes through sepa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ceiving box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bin to accommodate soil particles of each siz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은 그 끝단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리공을 통해 분리되지 못한 불순물을 배출시키는 토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tank includes a discharge end formed through an end of the separation tank to discharge impurities that were not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ion hol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토양배합장치는 상기 토양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토양을 화분에 공급하는 토양공급부와; 상기 토양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토양에 첨가물을 투입하는 첨가물투입부와; 토양에 약재를 투입하는 약재투입부와; 화분을 상기 토양공급부, 첨가물투입부, 약재투입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토양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mixing device includes a soil supply unit that supplies the soil separated by the soil separation device to the pot; an additive input unit for injecting additives into the soil supplied by the soil supply unit; A medicine input unit for putting medicine into the so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oil moving part that moves the pot along the soil supply part, the additive input part, and the medicine input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투입장치는 토양에 농작물의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투입홀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홀형성부는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위치에 삽입되는 복수의 투입홀형성부재와, 복수의 투입홀형성부재를 지지하면서 함께 승강되도록 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p input device includes an input hole forming part that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seeds or seedlings of the crop will be input into the soil, and the input The hole form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hole forming members inserted into a position where seeds or seedlings are to be introduced, and a support plat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input hole forming members and allows them to be raised and lowered toge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투입장치는 상기 투입홀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씨앗을 파종하는 파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p input device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eding part for sowing seeds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put hole forming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종부는 씨앗에 삽입되는 파종침과; 상기 파종침이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하로 승강되는 침고정부재와; 상기 침고정부재를 탄성지지하며, 침고정부재를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탄성체와; 상기 지지탄성체가 고정되고, 파종침이 삽입된 씨앗이 하단에 걸려 파종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ing part includes a seeding needle inserted into the seed; a needle fixing member that fixes and supports the seeding needle and moves up and down; a support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needle fixing member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raise the needle fixing member; The support elastic body is fixed, and the support body for separating the seeds from the seeding needle by hanging at the bottom into which the seeding needle is inser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종부는 씨앗을 수용하는 씨앗수용본체와, 상기 씨앗수용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ing part includes a seed receiving body for receiving seeds,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ed receiving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투입장치는 상기 투입홀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모종을 식립하는 식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립부는 모종이 수용되는 식립본체와, 상기 식립본체 내에 형성되어 모종을 파지하는 모종집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종집게모듈은 공기의 주입에 따라 팽창되어 모종을 파지하는 탄성지지체와, 상기 탄성지지체에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입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p input device includes a planting part for planting seedlings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put hole forming part, and the planting part It includes a planting body that is accommodated, and a seedling tongs module formed in the planting main body to grip the seedlings, wherein the seedling tongs module expands upon injection of air and includes an elastic supporter that grips the seedlings, and air in the elastic support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ir inlet and outlet hose that forms an injection passag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은 상기 토양배합장치에 의해 배합된 토양을 화분에 탑재시키는 토양탑재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토양탑재장치는 배합된 토양을 투입될 위치별로 분배하는 토양분배부와, 상기 토양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토양을 화분으로 투입하는 토양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oil loading device for loading the soil mixed by the soil mixing device into the pot, and the soil loading device is configured to load the soil mixed by the soil mixing device into the po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oil distribution unit that distributes the soil according to the input location, and a soil input unit that injects the soil distributed by the soil distribution unit into the flower po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토양분배부는 화분에 투입될 토양이 위치별로 분리되어 수용되는 배토판과; 상기 배토판의 상부에 장착되어 배토판을 덮으며, 위치별로 분리된 토양이 각 위치에 정확하게 투입되도록 하는 토양격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토양투입부는 토양이 수용된 토양분배부를 뒤집어 배토판에 수용된 토양이 화분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distribution unit includes a soil plate on which soil to be added to the pot is separated and accommodated by position; It includes a soil isolation plate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il plate and covers the soil plate and allows the soil separated by location to be accurately injected into each location, wherein the soil input unit turns over the soil distribution unit containing the soil and is accommodated in the soil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allowing soil to be introduced into the po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토판은 토양이 투입될 위치에 하측으로 함입되어 토양을 수용하는 토양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토양격리판은 복수의 격리셀이 관통 형성되는 격리셀판과, 상기 격리셀판의 상부를 덮는 막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판은 토양분배부가 뒤집힌 후 제거되어 배토판으로부터 화분으로 토양이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soil plate includes a soil receiving groove that is recessed downward at a position where the soil is to be input and accommodates the soil, and the soil isolation The plate includes an isolation cell plat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isolation cells are formed, and a blocking plate that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isolation cell plate, and the blocking plate is removed after the soil distribution portion is turned over to allow soil to be introduced from the soil plate into the pot. Do it a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토양투입부는 상기 토양분배부를 파지하는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input unit includes a gripping module for gripping the soil distribution unit, a rotation module for rotating the gripping module, and the rotation modul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elevating module for elev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지모듈은 상하측에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양분배부에 밀착되는 파지판과, 상기 파지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이동모듈과, 상기 파지이동모듈과 연결되어 각 파지이동모듈을 승강시키는 파지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module includes a gripping plate formed as a pai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oil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gripping plate being moved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rip moving module that moves the grip moving module, and a grip lifting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grip moving module and raises and lowers each grip moving modu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토양탑재장치는 상기 토양투입부에 의해 투입된 토양을 압박하는 토양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양압착부는 상기 배토판의 토양수용홈과 상응하는 크기의 함입홈이 형성되는 압착판을 이용하여 토양을 압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lant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il loading device includes a soil compression unit that presses the soil introduced by the soil injection unit, and the soil compression unit is used to compress the topsoi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il is compressed using a compression plate in which an indented groove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oil receiving groove of the plate is formed.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combining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with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토양과 농작물이 식재된 화분을 자동으로 제작하여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관계없이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한 농작물 재배용 화분을 대량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manufacturing and supplying pots in which soil and crops are planted, thereby enabling the mass production of pots for growing crops that allow crops to be grown regardless of location.

본 발명은 일반 흙에서 불순물을 분리하고, 크기별로 분리시키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에 따라 적절한 토양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parating impurities from general soil and separating them by size, allowing appropriate soil to be mixed and used according to crops.

본 발명은 크기별로 분리된 토양입자에 퇴비, 미생물, 비료 등의 첨가물과 약재를 투입하여, 농작물의 생장에 적합한 성분의 토양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reating soil with ingredients suitable for the growth of crops by adding additives such as compost, microorganisms, and fertilizers and medicinal materials to soil particles separated by size.

본 발명은 화분에 투입된 토양에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씨앗 또는 모종이 정확한 위치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forming a space for seeds or seedlings to be placed in the soil placed in a pot, so that the seeds or seedlings can be placed in the correct location.

본 발명은 파종침을 이용하여 씨앗을 찔러 토양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발아에 적합한 위치로 씨앗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seeds to be inserted into a location suitable for germination by piercing the seeds using a seeding needle and inserting them into the soil.

본 발명은 모종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토양에 모종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seedlings to be introduced into the soil while minimizing damage to the seedlings.

본 발명은 농작물에 따라 위치별로 토양의 종류와 층의 두께 등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화분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에 따른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n optimal growth environment for each crop by setting the soil type and layer thickness differently for each location and putting it into the pot.

본 발명은 위치에 따라 분리된 토양의 모양이 정확하게 유지되며 화분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at the shape of the soil separated depending on the location is accurately maintained and can be put into a flower pot.

본 발명은 화분에 투입된 토양의 모양에 따라 압착시켜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작물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pport capacity for crops by compressing the soil put into the pot according to the shape and expelling the air in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의 제작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토양분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토양배합장치 및 농작물투입장치의 구성도
도 4는 투입홀형성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5는 파종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파종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식립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8은 배토판에 토양이 채워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9는 토양격리판의 구성도(a) 및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b)
도 10은 토양분배부의 토양이 화분에 투입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참고도
도 11은 토양탑재장치에 의해 화분에 투입된 토양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2는 토양투입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토양압착부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의 농작물 재배용 화분의 구성도
도 15는 도 14의 덮개부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6은 덮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7은 지지부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18은 날개부의 구성도
도 19는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0은 수위게이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1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의 구성도
도 23은 스마트파이프접속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4는 스마트파이프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5는 스마트파이프의 내부 구성도
도 26은 급배수조절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도 26에 따른 급배수조절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8은 급배수조절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9는 도 28에 따른 급배수조절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30은 급배수조절모듈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1은 도 30에 따른 급배수조절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32는 도 31에서 급수관로개폐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33은 스마트제어모듈의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anufacturing device for a flower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oil separation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oil mixing device and crop input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put hole forming par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eding por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eeding part
Figure 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installation portion
Figure 8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filling the topsoil with soil.
Figure 9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il isolation plate (a) and the installation state (b)
Figure 1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putting the soil of the soil distribution unit into the pot
Figure 1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soil introduced into a pot by a soil loading device.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oil injection part
Figure 1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oil compaction section
Figure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ower pot for crop cultivation in the plant cultivation po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cover part of Figure 14
Figure 1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ver part
1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support portion.
Figure 1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ing portion
Figure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unit
2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level gauge.
Figure 2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Figure 2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lower pot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mart pipe connection part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mart pipe
Figure 2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mart pipe
Figure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Figure 2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Figure 26
Figure 2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Figure 29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Figure 28
Figure 3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Figure 3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Figure 30
Figure 3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 supply pipe opening and closing module in Figure 31.
Figure 3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mart control modu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lant pot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also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included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은 토양을 수용하여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1)과,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을 제작하는 제작장치(3)를 포함한다. When explaining the plant cultivation pot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the crop cultivation pot production system includes a crop cultivation pot (1) that accommodates soil and allows the cultivation of crops. , and includes a manufacturing device (3) for manufacturing the flower pot (1) for growing crops.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농지가 아닌 임야나 가정에서도 채소, 나무, 과일 등의 다양한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그 제작이 공장에서 자동으로 대량 제작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을 통해 장소에 상관없이 대량의 농작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가정 등에서도 손쉽게 다양한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후술할 기본적인 구성을 갖춘 상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작장치(3)에 의해 화분(1)에 투입되는 토양의 분리, 배합 및 투입, 그리고 투입된 토양에 대한 농작물의 식재까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작시스템은 농작물이 식재된 상태의 화분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제조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소에 관계없이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flower pot (1)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ultivation of various crops such as vegetables, trees, and fruits not in farmland but in forests or at home, and can be mass-produced automatically in a factory. Through the crop cultivation pot (1), it is possible to grow large quantities of crops regardless of loc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cultivate various crops at home. In particular, the pot for growing crops (1) is manufactured with the basic configuration described later necessary for growing crops, and the manufacturing device (3) separates, mixes and adds soil to the pot (1), and It can even allow crops to be planted in the soil. Therefore, the manufacturing system can quickly manufacture pots with crops planted in large quantities, thereby allowing crops to be grown regardless of location.

상기 제작장치(3)에 관하여 먼저 설명하면, 상기 제작장치(3)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을 제작하는 구성으로, 일반 흙으로부터 화분(1)에 투입될 토양을 분리시키는 토양분리장치(31)와, 상기 토양분리장치(31)에 의해 분리된 토양을 첨가물, 약재와 배합하여 화분(1)에 투입하는 토양배합장치(32)와, 토양이 탑재된 화분(1)에 재배될 농작물(A)을 투입하는 농작물투입장치(33)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manufacturing device 3 is described. The manufacturing device 3 is configured to manufacture a flower pot 1 for growing crops, and is a soil separation device 31 that separates the soil to be put into the flower pot 1 from general soil. ), a soil mixing device (32) for mixing the soil separated by the soil separation device (31) with additives and medicinal materials and putting it into the pot (1), and crops to be grown in the pot (1) loaded with soil ( A) may include a crop input device 33 that inputs the crop.

상기 토양분리장치(31)는 일반 흙에서 화분에 사용될 흙을 분리하는 구성으로, 흙을 입자 크기 별로 분리하도록 하며, 흙에 포함된 불순물이 분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토양분리장치(31)는 흙의 성질에 따라 분리된 상태에서 흙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이송부(311)에 의해 흙을 상측으로 이송시킨 다음 입자분리부(312)를 따라 하강하면서 흙의 입자 크기별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soil separation device 31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soil to be used in flower pots from general soil. It separates the soil by particle size and allows impurities contained in the soil to be separated and discharged. The soil separation device 31 can allow the inflow of soil in a separated state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soil. As shown in FIG. 2, the soil is transported upward by the orbital transfer unit 311 and then particle separation is performed. As it descends along the part 312, the soil is separated by particle size.

상기 궤도이송부(311)는 일반 흙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상측으로 이송된 흙이 입자분리부(312)를 따라 하강하면서 크기별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궤도이송부(311)는 이송컨베이어(311a), 수용단(311b), 구동륜(311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rbital transport unit 311 is configured to transport general soil upward, allowing the soil transported upward to descend along the particle separation unit 312 and be separated by size. The orbital transfer unit 311 may include a transfer conveyor 311a, a receiving end 311b, and a driving wheel 311c.

상기 이송컨베이어(311a)는 흙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용단(311b)에 흙을 수용하여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구동륜(311c)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The transport conveyor 311a is configured to transport soil upward, accommodates soil at receiving ends 311b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nd allows transport, and is formed to rotate by the drive wheel 311c.

상기 수용단(311b)은 이송컨베이어(311a)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송컨베이어(311a)에 수용되는 흙을 지지하여 상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ceiving end 311b is form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nsfer conveyor 311a, and supports the soil received in the transfer conveyor 311a so that it can be transported upward.

상기 구동륜(311c)은 이송컨베이어(311a)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회전에 따라 이송컨베이어(311a)가 무한궤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riving wheel 311c operates the transfer conveyor 311a and allows the transfer conveyor 311a to rotate in an infinite orbit as it rotates.

상기 입자분리부(312)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11a)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흙을 크기별로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흙이 하강하며 크기별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통(312a)과, 상기 분리통(312a) 하측에 형성되어 크기별로 분리되는 토양 입자를 수용하는 수용함(312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rticle separation unit 312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soil transported upward by the transfer conveyor 311a by size, and includes a separation bin 312a that separates the soil by size as it descends, and the separation bin 312a ) It may include a container 312b formed on the lower side to accommodate soil particles separated by size.

상기 분리통(312a)은 흙이 이동하며 크기별로 분리되는 구성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의 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통(312a)은 상기 이송컨베이어(311a)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이송컨베이어(311a)에 의해 이송되는 흙이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며, 내부로 수용되는 흙이 하강하면서 크기별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통(312a)은 그 끝단에서 분리통(312a)에 의해 분리되지 못한 불순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통(312a)은 분리공(312a-1) 및 토출단(312a-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bin 312a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soil by size as it moves, and may be formed as a circular bin with a certain length. The separation bin (312a) is form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311a) to allow the soil transported by the transfer conveyor (311a) to be accommodated inside, and to separate the soil by size as it descends. do. Additionally, the separator 312a allows impurities that are not separated by the separator 312a to be discharged from its end. For this purpose, the separation tank 312a may include a separation hole 312a-1 and a discharge end 312a-2.

상기 분리공(312a-1)은 상기 분리통(312a)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구성으로, 크기별로 분리통(312a)의 하부를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공(312a-1)은 분리통(312a)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지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작은 크기의 토양입자가 하강하면서 먼저 분리공(312a-1)을 통해 배출된 후 점점 큰 크기의 토양입자가 분리공(312a-1)을 통해 배출되어 크기별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eparation hole 312a-1 is formed along the separation tube 312a and can be formed along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tube 312a according to size. Preferably, the separation hole (312a-1) is formed to have a size that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tank (312a), so that small-sized soil particles descend and are first discharged through the separation hole (312a-1). After this, soil particles of increasingly larger siz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paration hole 312a-1, allowing separation by size.

상기 토출단(312a-2)은 상기 분리통(312a)의 끝단에 관통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분리공(312a-1)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 나무가지, 잎, 비닐 등의 불순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charge end (312a-2) is formed through the end of the separation tank (312a), and impurities such as tree branches, leaves, and vinyl that could 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separation hole (312a-1) can be discharged. Let it happen.

상기 수용함(312b)은 분리통(312a)에 의해 크기별로 분리되는 토양입자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각각 상이한 크기의 분리공(312a-1)을 통해 배출되는 토양입자를 분리하여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함(312b)에 의해 수용되는 토양입자는 상기 토양배합장치(32)로 이동하여 각 토양입자의 배합비율에 따라 화분(1)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The receiving box 312b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soil particles separated by size by the separation container 312a, and separates and accommodates soil particles discharged through the separation holes 312a-1 of different sizes. The soil particles received by the receiving box 312b are moved to the soil mixing device 32 so that they can be put into the flowerpot 1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each soil particle.

상기 토양배합장치(32)는 상기 토양분리장치(31)에서 크기별로 분리되는 토양입자를 배합하여 화분(1)에 투입하는 구성으로, 토양입자와 함께 첨가물, 약재 등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배합장치(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다양한 토양층의 배합 및 토양층에 따른 첨가물, 약재 등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배합장치(32)는 별도의 가열수단(미도시)을 마련하여 토양을 태워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토양배합장치(32)는 토양공급부(321), 첨가물투입부(322), 약재투입부(323), 토양이동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il mixing device 32 is configured to mix soil particles separated by size in the soil separation device 31 and add them to the flowerpot 1, and can allow additives, medicines, etc. to be added along with the soil particles. there is. In addition, the soil mixing device 32 can mix various soil layers and add additives, medicines, etc. according to the soil layer while moving the pot 1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3. Additionally, the soil mixing device 32 may provide a separate heating means (not shown) to burn the soil to remove impurities. The soil mixing device 32 may include a soil supply unit 321, an additive input unit 322, a medicine input unit 323, and a soil moving unit 324.

상기 토양공급부(321)는 상기 토양분리장치(31)에 의해 분리된 토양입자를 화분(1)에 투입하는 구성으로, 크기별로 분리된 토양입자를 각각 수용하여 개별적인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토양공급부(321)는 상기 토양이동부(324)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화분(1)에 토양을 투입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토양의 입자 크기별로 그 배합비나 층의 두께 등을 달리하여 화분(1)에 투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oil supply unit 321 is configured to inject soil particles separated by the soil separation device 31 into the pot 1, and can accommodate soil particles separated by size to allow individual input. The soil supply unit 321 injects soil into the pot (1)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soil moving unit 324, and through this, varies the mixing ratio or layer thickness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the soil, thereby changing the pot ( It can be put into 1).

상기 첨가물투입부(322)는 화분(1)에 첨가물을 투입하는 구성으로, 농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비료, 퇴비, 미생물 등의 첨가물을 투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투입부(322)도 토양이동부(324) 상부에 형성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화분(1)에 첨가물을 투입하도록 하고, 토양의 층별로 첨가물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additive input unit 322 is configured to inject additives into the flower pot 1, and can input additives such as fertilizers, compost, and microorganism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rops. The additive input unit 322 is also formed at the top of the soil moving unit 324 to allow additives to be injected into the flowerpot 1 moving left and right, and to allow the additives to be input by layer of soil.

상기 약재투입부(323)는 화분(1)에 약재를 투입하는 구성으로, 농작물의 생장을 촉진하거나 병충해를 예방하는 등의 다양한 약재를 투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토양이동부(324) 상부에 형성된다. The medicine input unit 323 is configured to inject medicine into the flower pot 1, and can allow various medicines such as promoting the growth of crops or preventing pests and diseases to be introduced, an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il moving part 324. do.

상기 토양이동부(324)는 화분(1)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컨베이어의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토양이동부(324)는 토양, 첨가물, 약재 등을 다양한 층, 위치별로 투입하여 농작물에 대한 최적의 생육환경을 갖추도록 할 수 있다. The soil moving unit 324 is configured to move the flower pot 1 left and right,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nveyor to allow left and right movement. Therefore, the soil moving unit 324 can provide an optimal growth environment for crops by introducing soil, additives, medicines, etc. into various layers and locations.

상기 농작물투입장치(33)는 토양이 투입된 화분(1)에 농작물(A)을 식재하는 구성으로, 씨앗 또는 모종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농작물투입장치(33)는 토양배합장치(3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토양이동부(324)에 의해 이동하는 화분(1)에 씨앗 또는 모종을 투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적절한 위치의 토양층에 씨앗 또는 모종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농작물투입장치(33)는 토양에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투입홀형성부(331)와, 씨앗(S)을 투입하는 파종부(332)와, 모종을 식립하는 모종식립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rop input device 33 is configured to plant crops (A) in a pot (1) into which soil has been placed, and can allow seeds or seedlings to be inserted. The crop input device 3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oil mixing device 32 and can input seeds or seedlings into the pot 1 moved by the soil moving unit 324, and is placed in the soil layer at an appropriate location. Seeds or seedlings can be introduced. For this purpose, the crop input device 33 includes an input hole forming part 331 that forms a space into which seeds or seedlings will be input into the soil, a seeding part 332 for inserting seeds (S), and a seeding part for planting seedlings. It may include a seedling planting unit 333.

상기 투입홀형성부(331)는 토양에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일정 높이의 토양이 화분(1)에 적층된 후 토양 위에 투입될 공간의 형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입홀형성부(3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투입홀형성부재(331a)를 토양에 삽입하여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며, 복수의 투입홀형성부재(331a)는 지지판(331b)에 지지되어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The input hole forming portion 331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into which seeds or seedlings will be inserted into the soil. After soil of a certain height is stacked on the flowerpot 1, a space into which seeds or seedlings will be inserted can be formed. . The input hole forming unit 331 inserts a plurality of input hole forming members 331a into the soil to form a space into which seeds or seedlings are input, as shown in FIG. 4, and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hole forming members 331a. ) is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331b) so that it can be raised and lowered together.

상기 파종부(332)는 투입홀형성부(33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씨앗을 파종하는 구성으로, 파종침(332a)을 이용하여 파종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복수의 씨앗을 뿌리는 형태로 파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파종침(332a)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고정부재(332b), 지지탄성체(332c), 지지본체(332d)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감자와 같이 씨눈이 위로 향하는 것이 발아에 좋은 경우 씨눈이 위를 향하도록 파종침(332a)에 의해 씨앗을 고정하여 토양 상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eding unit 332 is configured to sow seeds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put hole forming unit 331, and sowing is carried out using a seeding needle 332a or by sowing a plurality of seeds. It can be done. When using a seeding needle (332a), it can include a needle fixing member (332b), a support elastic body (332c), and a support body (332d) as shown in FIG. 5, and like potatoes, those with the seed facing upwards germinate. In a good case, the seeds can be fixed on the soil by fixing them with the seeding needle 332a so that the seed buds face upward.

상기 파종침(332a)은 씨앗을 찔러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하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씨앗을 찌를 수 있도록 형성되며, 침고정부재(332b)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된다. The seeding needle (332a) is configured to pierce and fix seeds. The lower end is formed to be sharp so that it can pierce the seeds, and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elevation of the needle fixing member (332b).

상기 침고정부재(332b)는 파종침(332a)의 상단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별도의 승강장치(미도시)에 의해 승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탄성체(332c)에 의해 지지본체(332d)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침고정부재(332b)는 지지탄성체(332c)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지는 힘을 받게 되며, 파종침(332a)을 하강시켜 씨앗에 삽입된 상태에서 침고정부재(332b)를 놓는 경우 지지탄성체(332c)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서 파종침(332a)이 삽입된 씨앗이 지지본체(332d)에 걸려 파종침(332a)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The needle fixing member 332b is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eeding needle 332a and can be lifted up and down by a separate lifting device (not shown),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332d by the support elastic body 332c. is fixed to Therefore, the needle fixing member (332b) receives a force that pushes it upward by the support elastic body (332c), and when the seeding needle (332a) is lowered and the needle fixing member (332b) is placed while inserted into the seed. As the seed into which the seeding needle 332a is inserted is lifted upward by the support elastic body 332c, it is caught on the support body 332d and separated from the seeding needle 332a.

상기 지지탄성체(332c)는 상기 침고정부재(332b)와 지지본체(332d) 사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상기 침고정부재(332b)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제공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탄성체(332c)는 승강장치(미도시)가 침고정부재(332b)를 놓는 경우 자동으로 침고정부재(332b)를 상승시켜 파종침(332a)으로부터 씨앗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elastic body 332c is inserted between the needle holding member 332b and the support body 332d, and provides force to push the needle holding member 332b upward. Therefore, the support elastic body (332c) can automatically raise the needle fixing member (332b) when a lifting device (not shown) places the needle fixing member (332b) so that the seeds can be separated from the seeding needle (332a). there is.

상기 지지본체(332d)는 상기 파종침(332a), 침고정부재(332b), 지지탄성체(332c)가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단으로는 파종침(332a)이 관통하여 승강된다. 또한, 상기 지지본체(332d)의 하단에는 돌출단(332d-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파종침(332a)이 상승하는 경우 씨앗이 돌출단(332d-1)에 걸려 파종침(332a)으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파종침(332a)으로부터의 씨앗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body 332d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seeding needle 332a, the needle fixing member 332b, and the support elastic body 332c are inserted and lifted, and the seeding needle 332a penetrates the lower end. and is lifted up. In addition, a protruding end (332d-1) can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body (332d), and when the seeding needle (332a) rises, the seed is caught on the protruding end (332d-1) and sowed. It is made to be automatically separated from the needle 332a. Therefore, the seeds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eding needle 332a.

또한, 상기 파종부(332)는 복수의 씨앗을 뿌리는 형태로 토양에 파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앗수용본체(332e)에 씨앗(S)들을 수용하도록 하고, 씨앗수용본체(332e) 하단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332f)를 개방하여 씨앗(S)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수의 씨앗(S)을 신속하게 화분(1)에 투입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eding unit 332 can be used to sow a plurality of seeds into the soil.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seeds (S) are accommodated in the seed receiving body 332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332f)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ed receiving body (332e) and opened and closed can be opened to allow the input of the seeds (S). In this case, a large number of seeds (S) can be quickly introduced into the pot (1).

상기 식립부(333)는 토양에 모종(B)을 식립하는 구성으로, 모종(B)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홀형성부(331)에 의해 토양 상에 형성된 공간에 모종(B)을 안착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식립부(33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B)을 수용하는 식립본체(333a)와, 식립본체(333a) 내에 형성되어 모종(B)을 집어 안착시키는 모종집게부(33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anting part 333 is configured to plant the seedlings (B) in the soil, and the seedlings (B) are placed in the space formed on the soil by the input hole forming part 331 while supporting the seedlings (B). Let them do it. For this purpose, the planting portion 333 includes a planting body 333a that accommodates the seedlings (B), as shown in FIG. 7, and a seedling tongs portion formed within the planting body 333a to pick up and seat the seedlings (B). (333b).

상기 식립본체(333a)는 모종(B)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모종(B)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립본체(333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모종(B)을 수용할 수 있으며, 승강을 통해 모종(B)을 화분(1) 내에 투입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lanting body 333a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edlings (B), and can be formed to match the size of the seedlings (B). The planting body (333a)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an accommodate the seedlings (B), and the seedlings (B) can be placed into the pot (1) by lifting.

상기 모종집게부(333b)는 식립본체(333a) 내에 형성되어 모종(B)을 파지하는 구성으로, 모종(B)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탄성지지체(333b-1)에 의해 모종(B)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체(333b-1)에는 공기입출호스(333b-2)가 연결되어 탄성지지체(333b-1)에 대한 공기의 투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탄성지지체(333b-1)를 팽창시켜 모종(B)을 파지하고, 탄성지지체(333b-1)를 수축시켜 파지된 모종(B)을 화분(1) 내에 안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종집게부(333b)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체(333b-1)를 팽창시켜 모종(B)을 파지한 상태에서 식립본체(333a)를 하강시켜 화분(1) 내로 진입되도록 하며, 탄성지지체(333b-1)로부터 공기를 배출시켜 탄성지지체(333b-1)를 수축시킴으로써 모종(B)이 화분(1)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seedling tongs 333b are formed in the planting body 333a and are configured to hold the seedlings (B). The seedlings (B) are provided by the elastic support 333b-1 having elasticity to prevent damage to the seedlings (B). B) can be grasped. In addition, an air inlet and outlet hose (333b-2) is connected to the elastic support (333b-1) to allow air to be injected and discharged into the elastic support (333b-1), through which the elastic support (333b-1) can be expanded to grip the seedling (B), and the elastic support (333b-1) can be contracted to seat the grasped seedling (B) in the flower pot (1).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7 (a), the seedling tongs (333b) expand the elastic support (333b-1) to lower the planting body (333a) while holding the seedlings (B) to plant the pot (1). ), and air is discharged from the elastic support (333b-1) to contract the elastic support (333b-1) so that the seedling (B) can be seated in the flower pot (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작장치(3)를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작장치(3)는 토양을 위치별로 분할하여 화분(1)에 투입시키는 토양탑재장치(34)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토양배합장치(32)에서는 화분(1) 대신 별도의 토양수용부에 첨가물, 약재 등이 혼합된 토양이 수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토양수용부에 수용된 토양을 토양탑재장치(34)를 통해 화분(1)에 토양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manufacturing device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3, the manufacturing device 3 includes a soil loading device 34 that divides the soil by position and puts it into the flower pot 1. ) can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is case, in the soil mixing device 32, the soil mixed with additives, medicines, etc. can be accommodated in a separate soil receiving portion instead of the pot 1, and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soil receiving portion can be placed in the soil loading device 34. Through this, soil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t (1).

상기 토양탑재장치(34)는 배합된 토양(G)을 화분(1)에 탑재시키는 구성으로, 토양을 위치별로 분배하여 화분(1)에 대한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토양탑재장치(34)는 씨앗 또는 모종의 위치에 따라 각각 상이한 두께를 갖도록 토양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의 토양이 상이한 두께를 갖도록 적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탑재장치(34)는 위치별로 상이한 두께로 적층된 토양을 압박하여 토양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하고, 이를 통해 농작물(A)에 대한 토양(G)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양탑재장치(34)는 토양분배부(341), 토양투입부(342), 토양압착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oil loading device 34 is configured to load the mixed soil (G) into the flower pot (1), and distributes the soil by location so that it is added to the flower pot (1). In particular, the soil loading device 34 can allow soil to be input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eed or seedling, and as shown in FIG. 11, each layer of soil is stacked to have a different thickness. can be formed. In addition, the soil mounting device 34 presses the soil stacked at different thicknesses for each location to expel the air inside the soil, thereby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oil (G) for the crops (A). . To this end, the soil loading device 34 may include a soil distribution unit 341, a soil input unit 342, and a soil compression unit 343.

상기 토양분배부(341)는 토양을 위치별로 분리하여 수용하는 구성으로, 토양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토양투입부(342)에 의해 뒤집혀 화분(1)에 분리되어 수용된 토양 모양 그대로 화분(1)에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양분배부(341)는 토양을 수용하는 배토판(341a)과; 상기 배토판(341a) 상부를 덮으며, 토양이 분리된 상태로 화분(1)에 투입되도록 하는 토양격리판(341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receive soil by location, and while receiving the soil, it is overturned by the soil input unit 342 and separated into the flower pot 1 to retain the shape of the soil received. so that it can be put into. For this purpose,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includes a soil plate 341a for receiving soil; It may include a soil isolation plate (341b) that covers the top of the soil plate (341a) and allows the soil to be inserted into the pot (1) in a separated state.

상기 배토판(341a)은 토양을 위치별로 분리하여 수용하는 구성으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별로 투입하고자 하는 토양의 높이에 맞추어 토양에 수용되는 토양수용홈(341a-1)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토양수용홈(341a-1)은 토양이 투입될 높이와 너비에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하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토판(341a)은 상측에 토양이 투입되는 경우 각 토양수용홈(341a-1)에 토양이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배토판(341a)에는 진동이 가해져 각 토양수용홈(341a-1) 전체에 토양(G)이 고르게 투입되도록 한다. The soil plate 341a is configured to separate and accommodate soil by location, and as shown in FIG. 8(a), there is a soil receiving groove 341a-1 that is accommodated in the soil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oil to be placed for each location. to form. Therefore, the soil receiving groove (341a-1) is form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nd width into which the soil is to be injected, and as shown in FIG. 8(b), the soil plate (34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into which the soil is injected. In this case, each soil receiving groove (341a-1) is filled with soil. At this time, vibration is applied to the topsoil plate (341a) to ensure that the soil (G) is evenly injected into each soil receiving groove (341a-1).

상기 토양격리판(341b)은 배토판(341a) 상부를 덮는 구성으로, 배토판(341a)을 덮은 상태에서 배토판(341a)이 뒤집혀 배토판(341a)에 수용된 토양 모양대로 화분(1)에 대한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양격리판(341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격리셀(341b-11)로 형성되는 격리셀판(341b-1)과, 상기 격리셀판(341b-1)의 상부에 밀착되는 막음판(341b-2)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oil isolation plate (341b)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soil plate (341a). With the soil plate (341a) covered, the soil plate (341a) is turned over and placed in the pot (1)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oil contained in the soil plate (341a). Ensure that inputs can be made. For this purpose, the soil isolation plate (341b) is an isolation cell plate (341b-1) formed of a plurality of isolation cells (341b-11), as shown in FIG. It may include a blocking plate (341b-2) in close contact.

상기 격리셀판(341b-1)은 다수의 격리셀(341b-11)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배토판(341a)의 토양수용홈(341a-1)에 수용된 토양(G)이 다수의 격리셀(341b-11)에 나뉘어지면서 격리셀(341b-11)를 통과하여 화분(1)에 투입되므로 토양수용홈(341a-1)에 수용된 모양 그대로 화분(1)에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리셀판(341b-1)은 격리셀(341b-11)의 크기와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토양이 투입되는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The isolation cell plate (341b-1) is formed by penetrating a plurality of isolation cells (341b-11), and the soil (G) contained in the soil receiving groove (341a-1) of the topsoil plate (341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ince it is divided into the isolation cell (341b-11) and passes through the isolation cell (341b-11) and is put into the flower pot (1), it can be put into the flower pot (1) in the same shape as received in the soil receiving groove (341a-1). In addition, the isolation cell plate (341b-1) can precisely control the position at which soil is introduced by adjusting the size and number of isolation cells (341b-11).

상기 막음판(341b-2)은 상기 격리셀판(341b-1)의 상부를 덮는 구성으로, 상기 토양분배부(341)가 뒤집히는 경우에도 배토판(341a)으로부터 토양이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막음판(341b-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양분배부(341)가 뒤집힌 후 제거되어 배토판(341a)에 수용된 토양 모양 그대로 화분(1)에 투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토양분배부(341)는 각 위치별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토양층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토양층별로 상이한 두께를 갖도록 토양이 적층되어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blocking plate (341b-2)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isolation cell plate (341b-1) and prevents soil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soil plate (341a) even when the soil distribution portion 341 is turned over. . As shown in FIG. 10, the blocking plate (341b-2) is removed after the soil distribution portion (341) is turned over, and the soil contained in the soil plate (341a) is put into the pot (1) as is. Therefore,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can form soil layers with different thicknesses at each location, and as shown in FIG. 11, soil can be stacked and injected to have different thicknesses for each soil layer.

상기 토양투입부(342)는 상기 토양분배부(341)를 이용하여 화분(1)에 토양을 투입시키는 구성으로,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양분배부(341)를 파지한 상태에서 뒤집되도록 하고, 뒤집은 후 막음판(341b-2)을 제거함으로써, 배토판(341a)에 수용된 토양 모양 그대로 화분(1)에 투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양투입부(34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모듈(342a), 회전모듈(342b), 승강모듈(342c)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oil input unit 342 is configured to inject soil into the pot (1) using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and is formed as a pair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while holding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By turning it over and removing the blocking plate (341b-2) after turning it over, the soil contained in the soil plate (341a) is put into the flower pot (1) in the same shape. To this end, the soil input unit 342 may include a gripping module 342a, a rotation module 342b, and an elevating module 342c, as shown in FIG. 12.

상기 파지모듈(342a)은 상기 토양분배부(341)를 파지하는 구성으로, 토양분배부(341)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모듈(342b)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지모듈(342a)은 토양분배부(341)를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승강을 통해 화분(1)에 토양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파지모듈(342a)은 파지판(342a-1), 파지이동모듈(342a-2), 파지승강모듈(342a-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ripping module 342a is configured to grip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and rotates by the rotation module 342b while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is held. In addition, the gripping module 342a can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gripping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and can allow soil to be input into the flower pot 1 through lifting. For this purpose, the gripping module 342a may include a gripping plate 342a-1, a gripping moving module 342a-2, and a gripping lifting module 342a-3.

상기 파지판(342a-1)은 상하 한 쌍으로 형성되어 토양분배부(341)를 상하에서 파지하는 구성으로, 토양분배부(34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충분한 너비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파지판(342a-1) 중 하나에는 자력에 의한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자석(342a-1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자석(342a-11)을 통해 배토판(341a) 및 토양격리판(341b)을 부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토판(341a) 및 토양격리판(341b) 상에는 전자석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자력을 갖는 표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파지판(342a-1)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한다. The gripping plate 342a-1 is formed as an upper and lower pair to grip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from the top and bottom, and may be formed as a plate with a sufficient width to fix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In addition, an electromagnet (342a-11) that enables attachment by magnetic force can be formed on one of the pair of grip plates (342a-1), and the topping plate (341a) and The soil isolation plate 341b can be attached. For this purpose, a surface with magnetic force can be formed on the topsoil plate 341a and the soil isolation plate 341b to enable attachment of an electromagnet, so that it can be lifted by the gripping plate 342a-1. do.

상기 파지이동모듈(342a-2)은 각 파지판(342a-1)에 연결되어 파지판(342a-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파지판(342a-1)의 좌우 방향 이동을 통해 토양분배부(341)를 파지하거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gripping movement module 342a-2 is connected to each gripping plate 342a-1 and moves the gripping plate 342a-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gripping plate 342a-1.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can be gripped or the grip can be released.

상기 파지승강모듈(342a-3)은 상하 한 쌍의 파지이동모듈(342a-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각 파지이동모듈(342a-2)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실린더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하 파지판(342a-1)이 각각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grip lifting module 342a-3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a pair of upper and lower grip moving modules 342a-2, and is configured to lift and lower each grip moving module 342a-2, and may be formed as a cylinder, etc. , Through this, the upper and lower gripping plates 342a-1 can be raised and lowered, respectively.

상기 회전모듈(342b)은 상기 파지모듈(342a)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파지승강모듈(342a-3)과 연결되어 파지승강모듈(342a-3)을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듈(342b)은 파지모듈(342a)에 의해 토양분배부(341)를 파지한 상태에서 뒤집도록 할 수 있다. The rotation module 342b is configured to rotate the grip module 342a, and can be connected to the grip lift module 342a-3 to rotate the grip lift module 342a-3. Therefore, the rotation module 342b can flip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while holding it by the gripping module 342a.

상기 승강모듈(342c)은 상기 회전모듈(342b)을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토양분배부(341)를 뒤집은 상태에서 하강시켜 화분(1) 내로 토양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lifting module 342c is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rotation module 342b, and can lower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in an inverted state to allow soil to be introduced into the flowerpot 1.

일 예로, 상기 토양투입부(342)는 파지모듈(342a)에 의해 토양분배부(341)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모듈(342b)을 작동시켜 토양분배부(341)를 뒤집도록 할 수 있으며, 토양분배부(341)가 뒤집힌 상태에서 상측의 파지모듈(342a)만을 상승시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토판(341a)만을 상승시켜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토판(341a)에 수용되어 있는 토양(G)은 수용되어있던 모양 그대로 격리셀판(341b-1)에 수용되고, 상측의 파지판(342a-1)에 형성된 전자석(342a-11)에 의해 격리셀판(341b-1)을 부착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측의 파지판(342a-1)을 파지이동모듈(342a-2)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시켜 하측의 파지판(342a-1)에 지지된 막음판(341b-2)이 일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격리셀판(341b-1)에 수용되어있던 토양(G)은 막음판(341b-2)의 제거에 따라 화분(1)으로 투입되어 안착되게 된다. As an example, the soil input unit 342 can turn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over by operating the rotation module 342b while gripping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by the gripping module 342a, With the soil distribution unit 341 turned over, only the upper gripping module 342a can be raised to separate the top soil plate 341a, as shown in FIG. 10 . In this case, the soil (G) accommodated in the topsoil plate (341a) is accommodated in the isolation cell plate (341b-1) as it was received, and the electromagnet (342a-11) formed in the upper grip plate (342a-1) ), while the isolation cell plate (341b-1) is attached and fixed, the lower grip plate (342a-1) is moved to one side by the grip movement module (342a-2) to hold the lower grip plate (342a-1). The blocking plate (341b-2) supported is moved to one side and separated. Accordingly, the soil (G) contained in the isolation cell plate (341b-1) is introduced into the flower pot (1) and settled upon removal of the blocking plate (341b-2).

상기 토양압착부(343)는 상기 토양투입부(342)에 의해 화분(1)에 투입된 토양을 압박하는 구성으로, 토양의 압박을 통해 토양 내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토양압착부(343)는 화분에 수용된 토양의 농작물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양압착부(34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토판(341a)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압착판(343a)을 통해 토양을 압박하도록 할 수 있으며, 토양수용홈(341a-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함입홈(343a-1)을 통해 토양을 누르도록 하여 토양 모양 그대로 압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oil pressing unit 343 is configured to press the soil introduced into the pot 1 by the soil input unit 342, and allows air in the soil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pressing of the soil. Therefore, the soil compression portion 343 can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of the soil contained in the pot to the crops. In addition, the soil pressing portion 343 can press the soil through a pressing plate 343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soil plate 341a, as shown in FIG. 13, and the soil receiving groove 341a- By pressing the soil through the indentation groove (343a-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1), the pressure can be maintained in the shape of the soil.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에 관하여 도 14 내지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토양 및 토양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을 수용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내에 형성되어 농작물 생장에 필요한 물 및 약재를 공급하는 관로부(11)와; 상기 본체부 하단에서 물을 수용하는 물보관부(12)와; 상기 본체부(10) 상단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부(13)와; 상기 본체부(10)에 수용된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지지물(141)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부(14)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단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반사하는 태양반사판(151) 또는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판(152)으로 형성되는 날개부(15)와; 상기 본체부(10)의 재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16)와; 상기 센서부(16)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관로부(11)를 통한 물 또는 약재의 공급, 상기 물보관부로부터의 배수, 상기 덮개부(13)의 개폐, 공기의 공급 등을 조절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한다. When the pot for growing crops (1)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21, the pot for growing crops (1)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0) that accommodates soil and crops grown in the soil; a conduit portion (11) formed within the main body portion (10) to supply water and medicine necessary for crop growth; a water storage unit (12) that accommodates water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cover part 13 form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part 10 to be openable and closed; a support part 14 that allows the installation of a support 141 to protect crop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part 10; a wing portion 15 form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0 and formed of a solar reflector 151 that reflects sunlight or a solar panel 152 that generates power by sunlight; a sensor unit 16 that measures information about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the main body unit 1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6, the supply of water or medicine through the conduit unit 11, drainage from the water storage unit,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unit 13, supply of air, etc. are controll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17 that does.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채소, 과일, 나무 등의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물, 약재의 공급 및 배수 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농작물의 대량 재배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화분(1)에 수용되는 토양의 하부에 물을 수용하도록 하여 밭 작물뿐만 아니라 벼 등의 논 작물까지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고, 화분의 상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13)를 형성하여 재배 환경에 따라 농작물을 보호하고, 화분 내의 온습도 및 광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농지가 아닌 일반 임야 상에서도 토지의 상태와 관계없이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작되어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반 가정에도 농작물이 심어진 상태로 공급하여 손쉽게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본체부(10), 관로부(11), 물보관부(12), 덮개부(13) 등을 포함하는 상태로 제작되며, 제작된 화분(1)에 상기 제작장치(3)에 의해 토양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의 완제품을 생산하도록 한다. The flower pot 1 for growing crops allows the cultivation of various crops such as vegetables, fruits, and trees, and enables mass cultivation of crops by automatically supplying and draining water and medicine. In particular, the flower pot (1) for growing crops accommodates water in the lower part of the soil accommodated in the flower pot (1) to enable cultivation of not only field crops but also rice field crops such as rice, and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t the top of the flower pot. By forming the part 13, the crops are protected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environment,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mount of light in the pot can be controlled. Accordingly, the flowerpot 1 for growing crops can enable crops to be grown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the land, even on general forests other than farmland. In addition, the pots 1 for growing crops can be manufactured and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in factories, and can also be supplied to ordinary homes with crops planted, allowing easy cultivation of crops. The flower pot (1) for growing crops is manufactured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10), a pipe portion (11), a water storage portion (12), a cover portion (13), and the fabricated flower pot (1). Soil is introduced by the device 3 to produce the finished product of the pot 1 for growing crops.

상기 본체부(10)는 토양과 토양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농작물을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 하단에는 물보관부(12)가 형성되어 토양에 지하수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단 둘레를 따라서는 관로부(11)가 형성되어 화분 내에 물 및 약재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는 덮개부(13)가 형성되어 본체부(10)를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상단 모서리를 따라서는 지지부(14)가 형성되어 농작물을 지지하거나 보호하는 지지물(14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덮개부(13)가 형성되는 수직 방향으로는 날개부(15)가 형성되어 태양광을 반사하거나 태양에 의한 전력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본체부(10) 내부에는 센서부(16)가 형성되어 화분 내부,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도록 하며, 본체부(10) 일측에는 제어부(17)가 형성되어 본체부(10)에 대한 물, 약재의 공급, 배수, 덮개부(13)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그 하단에 견인홀(10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추후 화분(1) 내 농작물(A)의 수확시 견인홀(101)에 견인장치를 넣어 본체부(10)를 뒤집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의 손상 없이 농작물의 수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뿌리 식물의 경우 기존에는 호미, 수확기 등으로 수확함에 따라 수확물의 표면에 상처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던 바, 상기 견인홀(101)을 통해 본체부(10)를 뒤집어 농작물을 손상없이 수확할 수 있도록 하고, 견인장비를 통해 다수의 본체부(10)를 들러올려 뒤집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농작물의 수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견인홀(101)에는 화분의 이동시에도 지게차 등의 이동장치를 삽입하여 용이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soil and crops grown in the soil, and is formed to be of a sufficient size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crops. A water storage part 1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o play the role of providing groundwater to the soil, and a pipe part 11 is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to store water and medicinal materials in the pot. Ensure supply can be achieved. In addition, a cover part 13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0 to cover the main body part 10, and a support part 14 is formed along the upper edge to support or protect crops ( 141) to enable installation. In addition, a wing part 15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 the cover part 13 is formed to reflect sunlight or generate power by the sun, and a sensor part 16 is inside the main body part 10. ) is formed to measure the condition of the inside of the pot and the soil, and a control unit 1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and medicine to the main body 10, drainage, and the cover part 13. Opening and closing can be done automatically. In addition, the main body 10 can have a traction hole 101 formed at its bottom, and when harvesting crops A in the pot 1 later, a traction device can be inserted into the traction hole 101 to form the main body 10. By reversing (10), crops can be harvested without damage to the crop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oot plants, there was a problem of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harvested product when harvested with a hoe, harvester, etc., so the main body 10 can be turned over through the traction hole 101 to harvest the crop without damage. It is possible to quickly harvest crops by lifting and flipping the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using traction equipment. Additionally, when moving a flower pot, a moving device such as a forklift can be inserted into the towing hole 101 to facilitate easy movement.

상기 관로부(11)는 본체부(10) 내에 형성되어 본체부(10) 내의 토양에 물, 약재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0) 상단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로부(11)는 외부로부터 물, 약재를 공급받아 토양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11)과, 약재를 공급하는 약재관(11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duit portion 11 is formed within the main body portion 10 to supply water and medicine to the soil within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op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e pipe portion 11 can receive water and medicine from the outside and provide them to the soil, and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111 for supplying water and a medicine pipe 112 for supplying medicine.

상기 급수관(111)은 본체부(10) 내 토양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분사노즐(111a)을 통해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11)을 통한 물의 공급은 상기 제어부(17)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토양 내의 수분, 물보관부(12)의 수위, 습도 등에 따라 공급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급수관(11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분사를 통해 화분 내의 온도를 하강시켜 더위에 의한 피해를 줄이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ipe 111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soil within the main body 10, and can allow water to be sprayed through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111a.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1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the control unit 17, and the suppl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moisture in the soil, water level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humidity, etc. . Additionally, damage caused by heat can be reduced by lowe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flower pot by spray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1.

상기 약재관(112)은 본체부(10) 내 토양에 약재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농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약재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6)의 후술할 토양센서(162)에 의해 측정되는 토양 상태 정보에 따라 약재의 공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재관(112) 역시 복수의 분사노즐(112a)을 통해 약재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약재관(112)에 의해 본체부(10) 내 토양 전체에 약재의 고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medicine pipe 112 is configured to supply medicine to the soil within the main body 10, and can ensure the supply of medicine suitable for the growth of crops, and the soil sensor 162 of the sensor part 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can be used to adjust the supply of medicinal materials according to soil cond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 The medicine pipe 112 can also allow the medicine to be sprayed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112a, and is formed within the main body 10 by the medicine pipe 112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 It can ensure an even supply of medicinal materials throughout the soil.

상기 물보관부(12)는 본체부(10) 하부에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0) 내에 수용된 토양에 지하수의 공급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물보관부(12)는 상기 본체부(10)를 통해 벼와 같이 논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보관부(12)에는 상기 센서부(16)의 후술할 수위센서(163)가 형성되어 수용된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와 연결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보관부(12)는 별도로 수동배수구(121)를 연결하여 수동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보관부()는 그 상부에 배수홀(122a)이 형성된 배수판(122)을 형성하여 물보관부(12) 상부에 안착된 토양에 지하수의 역할을 하는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배수홀(122a)의 개수와 크기 등은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torage part 12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water, and can perform a role such as supplying groundwater to the soil contained in the main body 10. Therefore, the water storage unit 12 can enable the cultivation of crops grown in rice fields, such as rice, through the main body unit 10. The water storage unit 12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163 of the sensor unit 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measure the level of water contained therein,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to allow drainage. 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unit 12 may be separately connected to a manual drain 121 so that drainage can be performed manually. In addition, the water storage unit (12) can form a drainage plate (122) with a drainage hole (122a) formed on its upper part, so that water serving as groundwater can be supplied to the soil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torage unit (12). , the number and size of the drainage holes 122a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crop.

상기 덮개부(13)는 본체부(10)의 상부를 덮는 구성으로, 본체부(10) 상단에 지지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3)는 빗물이나 불순물, 유해 동물 등이 본체부(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야간이나 겨울철에는 덮개부(13)를 덮어 온도의 하락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3)는 낮의 경우 개방되어 광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덮개부(13)는 상단덮개(131), 덮개가이드면(133), 덮개이동수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part 13 is configured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10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fore, the cover part 13 can block rainwater, impurities, harmful animals, etc. from flowing into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cover part 13 can be covered at night or in winter to minimize a drop in temperature. . Additionally, the cover portion 13 can be opened during the day to secure the amount of light. To this end, the cover portion 13 may include a top cover 131, a cover guide surface 133, and a cover moving means 132.

상기 상단덮개(131)는 본체부(10)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며 개방된 본체부(10) 상단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덮개(131)는 농작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덮개이동수단(132)에 의해 본체부(10) 상단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단덮개(131) 상에는 농작물의 보호를 위해 하우스 등의 지지물(141)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상단덮개(131)는 함입홈(131a), 기어돌출단(131b), 하우스결속구(131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p cover 131 moves along the top of the main body 10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 top of the main body 10, and can b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two sides as shown in FIG. 15. The top cover 131 forms a space through which crops can pass, and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top of the main body 10 by the cover moving means 132. Additionally, a support 141 such as a house may be installed on the top cover 131 to protect crops. To this end, the top cover 131 may include a recessed groove (131a), a gear protrusion end (131b), and a house fastener (131c).

상기 함입홈(131a)은 상단덮개(13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양측 상단덮개(131) 사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덮개(13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농작물이 통과하여 생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입홈(131a)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와 개수, 모양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recessed groove 131a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top cover 131, and can be formed between the top covers 131 on both sides. Therefore, the top cover 131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allowing crops to pass through and grow. In addition, the indented grooves 131a can be formed in various sizes, numbers, and shapes, as shown in FIG. 15(b), to enable cultivation of various crops.

상기 기어돌출단(131b)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덮개(131)의 하부를 따라 기어의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덮개이동수단(132)에 맞물려 좌우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어돌출단(131b)의 이동에 따라 상단덮개(131)가 이동하면서 본체부(10)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The gear protruding end 131b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ear along the lower part of the top cover 131, as shown in FIG. 16, and is engaged with the cover moving means 132 to move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main body 10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the top cover 131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ear protruding end 131b.

상기 하우스결속구(131c)는 본체부(10) 상부에 비닐, 보온덮개 등의 하우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물(14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덮개(131)의 양 끝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물(141)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스결속구(131c)는 상기 본체부(10)를 비닐하우스의 형태로 만들도록 할 수 있으며, 일르 통해 씨앗의 발아 또는 묘목의 보호가 가능하도록 하고, 겨울철에는 광량을 확보하면서도 보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house binding device 131c is configured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a support 141 formed in the shape of a house such as vinyl or a thermal cover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16, the top cover 131 ) can be formed in a ring shape at both ends to ensure that the support 141 is fixed. Accordingly, the house binding device 131c can make the main body 10 in the form of a greenhouse, thereby enabling germination of seeds or protection of seedlings, and ensuring heat retention while securing the amount of light in winter. It can be made possible.

상기 덮개가이드면(133)은 상기 본체부(10) 상단에 형성되어 상단덮개(131)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가이드면(133)은 상단덮개(131)가 양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개폐되도록 하여 상단덮개(131) 상의 빗물이 본체부(10) 내로 유입되지 않고 밖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체부(10) 내로의 빗물의 유입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ver guide surface 133 is form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0 to form a path along which the top cover 131 moves, and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16(b). there is. Therefore, the cover guide surface 133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the top cover 131 tilted to both sides so that rainwater on the top cover 131 does not flow into the main body 10 but flows out, Through this, the inflow of rainwater into the main body 10 can be minimized.

상기 덮개이동수단(132)은 상기 상단덮개(131)를 개폐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모터(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덮개이동수단(132)은 상기 기어돌출단(131b)과 맞물리도록 하며, 회전에 따라 상단덮개(131)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덮개이동수단(132)은 본체부(10) 내에 모터 등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외부 동력수단과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over moving means 132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power to open and close the top cover 131,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ear that rotates by a motor (not shown). The cover moving means 132 engages with the gear protruding end 131b and moves the top cover 131 left and right as it rotates. The cover moving means 132 may form a motor or the like within the main body 10, and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means to rotate.

상기 지지부(14)는 화분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결속끈, 그물, 비닐, 철망 등의 지지물(141)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물(141)을 지지하는 지지대(142)와, 지지대(142)가 본체부(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삽입구(143)를 포함한다. The support portion 14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stallation of supports 141 such as binding strings, nets, vinyl, and wire mesh to protect crops grown in pots, and includes a support 142 that supports the supports 141. And, it includes a support insertion hole 143 that allows the support 142 to be fixed on the main body 10.

상기 지지물(141)은 상기 본체부(10) 내에 수용되는 농작물(A)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끈의 형태로 형성되어 농작물의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물(141)은 그물, 철망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오이, 참외 등의 열매 작물의 경우 작물이 제한된 범위에서 성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물(141)은 비닐 등으로 형성되는 하우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지지물(141)은 상기 지지대(142)와 함께 상기 상단덮개(131)의 하우스결속구(131c)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지물(141)은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을 하우스로 형성되도록 하여 보온 효과와 함께 재배 초기 씨앗의 발아나 약한 묘목의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141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crops A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binding string as shown in FIG. 17 to support the crops. In addition, the support 141 is formed in the form of a net, wire mesh, etc., so that in the case of fruit crops such as cucumbers and melons, the crops can be grown within a limited range. In addition, the support 14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use made of vinyl, etc., and in this case, the support 141 is supported on the house binding hole 131c of the top cover 131 together with the support 142.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is, the support 141 can form the flowerpot 1 for growing crops into a house to achieve a warming effect and to protect the germination of seeds in the early stages of cultivation and the protection of weak seedlings.

상기 지지대(142)는 상기 지지물(141)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0) 상에 형성되는 지지대삽입구(143)에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42)는 결속끈, 그물, 비닐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물(141)을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자, Y자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142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upport 141 a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insertion hole 143 formed on the main body 10. The support 142 can support the support 141, which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binding string, net, and vinyl, at a plurality of points to maintain a stable fixed state,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traight, Y-shaped, etc. can be formed.

상기 지지대삽입구(143)는 상기 지지대(142)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0) 상부에 둘레를 따라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삽입구(143)는 원형, 사각, 삼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단면의 지지대(142)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지대(142)가 지지물(141)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지점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insertion hole 143 is a structure into which the support 142 is inserted and fixed, and can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The support insertion hole 143 is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square, and triangular, so that the support 142 of various cross-sections can be inserted and fixed, and the support 142 can stably fix the support 141. It can be formed at multiple points.

상기 날개부(15)는 상기 상단덮개(131)의 수직 방향 양측에 판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태양을 반사시키거나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부(10) 상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날개부(15)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반사판(151), 태양전지판(152), 삽입힌지(153), 판삽입홈(15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ngs 15 are formed in a plate shape on both sides of the top cover 13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n reflect the sun or generate power by solar energy, and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10. It can be formed to be fixed and rotatable. To this end, the wing portion 15 may include a solar reflector 151, a solar panel 152, an insertion hinge 153, and a plate insertion groove 154, as shown in FIG. 18.

상기 태양반사판(151)은 태양광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판으로, 태양광을 반사하여 본체부(10) 내의 농작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태양반사판(151)은 농작물에 대한 추가적인 광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위치에 따라 그 각도를 조절하여 반사되는 광량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olar reflector 151 is a plat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reflecting sunlight, and can reflect sunlight to be provided to crops within the main body 10. Therefore, the solar reflector 151 can secure an additional amount of light for crops, and the amount of reflected ligh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its angl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

상기 태양전지판(152)은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태양반사판(151)과 선택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태양광을 반사하면서 전력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태양전지판(152)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은 화분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전력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각도가 조절되어 전력 생산을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olar panel 152 is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by sunlight, and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the solar reflector 151 or configured to generate power while reflecting sunlight. The power produced by the solar panel 152 can be used as the power needed to operate the flower pot, and its angle can be adjusted to maximize power production.

상기 삽입힌지(153)는 상기 태양반사판(151) 또는 태양전지판(152) 끝단에 형성되어 본체부(1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성으로, 본체부(10) 상단에 형성되는 판삽입홈(154)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힌지(153)는 상기 태양반사판(151) 또는 태양전지판(152)의 회전을 통해 반사되는 태양광, 태양광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을 극대화하도록 할 수 있다. The insertion hinge 15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olar reflector 151 or the solar panel 152 a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and is a plate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top of the main body 10 ( 154) and rotate it. Therefore, the insertion hinge 153 can maximize the sunlight reflect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solar reflector 151 or the solar panel 152 and the power produced by the sunlight.

상기 판삽입홈(154)은 상기 삽입힌지(153)가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0) 상단의 모서리를 따라 함입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late insertion groove 154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sertion hinge 153 to be inserted and rotate, and can be formed by being recessed along the edge of the top of the main body 10.

상기 센서부(16)는 상기 본체부(10) 내의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측정된 정보에 따라 물 및 약재의 공급, 배수, 덮개부(13)의 개폐 등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16)는 온습도센서(161), 토양센서(162), 수위센서(163), 풍량센서(1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6 is a component that measures the condition within the main body unit 10, and allows the supply of water and medicine,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unit 13, etc. to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information. . The sensor unit 16 may include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61, a soil sensor 162, a water level sensor 163, and an air volume sensor 164.

상기 온습도센서(161)는 본체부(10) 내의 온습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온습도에 따라 물의 공급, 배수, 덮개부(13)의 개폐가 조절되도록 하여 적정 온도와 습도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61 is a component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in the main body 10, and can adjust the water supply, drainage,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part 13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an appropriate level.

상기 토양센서(162)는 본체부(10) 내 토양의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토양 내의 수분, pH, 전기전도도 등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양센서(162)는 토양의 상태에 따라 물 또는 약재의 공급, 배수, 그리고 공기의 공급 등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oil sensor 162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condition of the soil within the main body 10, and can measure moisture, pH, electrical conductivity, etc. in the soil. Accordingly, the soil sensor 162 can control the supply of water or medicine, drainage, and air supply, etc.,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oil.

상기 수위센서(163)는 상기 물보관부(12) 내 수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물보관부(12) 내 수위에 따른 물의 공급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163)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게이지(163a)를 포함하여, 물보관부(12) 내의 수위를 본체부(10) 외부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level sensor 163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water level within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can ensure that water is supplied and drain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within the water storage unit 12. In addition, the water level sensor 163 includes a water level gauge 163a as shown in FIG. 20, and can display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수위게이지(163a)는 물보관부(12) 내 물의 수위를 외부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물의 수위에 따라 부유체(163a-3)가 상하로 이동하여 수위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위게이지(163a)는 하단의 물관로(163a-1)를 통해 물보관부(12) 내의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그 상단은 물보관부(12)와 연통되는 공기관로(163a-2)를 통해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물관로(163a-1)와 공기관로(163a-2)는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그 사이의 부유체(163a-3)가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위게이지(163a)는 부유체(163a-3)가 본체부(10)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해당 부분을 투명하게 형성하여 부유체(163a-3)의 위치를 통한 수위의 파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level gauge 163a is configured to externally display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the floating body 163a-3 can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to display the water level. Therefore, the water level gauge 163a allows water to flow into the water storage unit 12 through the water pipe 163a-1 at its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water pipe 163a-1 communicates with the water storage unit 12. 2),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pipe (163a-1) and the air pipe (163a-2)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loating body (163a-3) between them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make it possible Therefore, the water level gauge 163a has a transparent part so that the floating body 163a-3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water level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body 163a-3. It can be done.

상기 풍량센서(164)는 본체부(10) 주변의 바람 세기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본체부(10) 외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풍량센서(164)에 의해 측정되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덮개부(13)의 개폐를 조절하여 바람에 대한 농작물의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wind speed sensor 164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wind intensity around the main body 10, and can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part 1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wind measured by the wind speed sensor 164 to protect crops from the wind.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본체부(10) 내 물 및 약재의 공급, 배수, 덮개부(13)의 개폐, 공기의 공급 등에 관한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서부(16)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작동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는 복수의 본체부(10)가 연결되는 경우 복수의 본체부(10)와 연결되는 통합시스템에 의해 동시에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7)는 급수조절모듈(171), 약재공급조절모듈(172), 덮개조절모듈(173), 배수조절모듈(174), 지하수공급모듈(175), 공기공급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operations related to the supply of water and medicine in the main body 10, drainag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13, supply of air, etc., and i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6. Oper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vailable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are connected, the control unit 17 may simultaneously control operations by an integrated system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The control unit 17 includes a water supply control module 171, a medicine supply control module 172, a cover control module 173, a drainage control module 174, an underground water supply module 175, and an air supply module 176. can do.

상기 급수조절모듈(171)은 본체부(10)에 대한 물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급수관(111)을 통해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급수조절모듈(171)은 본체부(10) 내의 온도, 습도에 따라 물의 공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부(10) 내의 온도에 따라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조절모듈(171)은 토양의 수분이 부족하거나 물보관부(12)의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외부의 물저장수단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control module 171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supply of water to the main body 10, and ensures that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1. The water supply control module 171 can control the supply of w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within the main body 10, and can supply water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within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control module 171 can supply water even when the moisture in the soil is insufficient or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is low, and the water is supplied by receiving water from an external water storage means. can do.

상기 약재공급조절모듈(172)은 본체부(10) 내 토양에 대한 약재의 공급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토양센서(162)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약재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재공급조절모듈(172)은 상기 약재관(112)을 통한 약재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외부의 약재저장수단으로부터 약재를 공급받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edicine supply control module 172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supply of medicine to the soil within the main body 10, and can adjust the supply of medicine according to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oil sensor 162. The medicine supply control module 172 ensures the supply of medicine through the medicine pipe 112, and can provide medicine by receiving medicine from an external medicine storage means.

상기 덮개조절모듈(173)은 상기 덮개부(13)의 개폐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덮개이동수단(132)을 작동시켜 상단덮개(131)가 덮개가이드면(1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덮개조절모듈(173)은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상단덮개(131)를 폐쇄하여 보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상단덮개(131)를 열어 열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조절모듈(173)은 시기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우천시나 재배 초기에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over control module 173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part 13, and operates the cover moving means 132 to allow the top cover 131 to move along the cover guide surface 133. .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s low, the cover control module 173 closes the top cover 131 to keep warm, and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it opens the top cover 131 to exhaust heat. can do. In addition, the cover control module 173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depending on the season, and can be kept closed during rainy weather or at the beginning of cultivation.

상기 배수조절모듈(174)은 상기 물보관부(12)로부터의 배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보관부(12)를 외부와 연결하여 물보관부(12)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조절모듈(174)은 물보관부(12) 내의 수위가 기준값보다 높거나 토양의 수분이 과도한 경우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물보관부(12)와 연결되는 별도의 배관(미도시)과, 밸브, 펌프 등을 마련하여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drain control module 174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drainage from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connects the water storage unit 12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You can. The drainage control module 174 can discharge water when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is higher than the standard value or when the moisture in the soil is excessive, and a separate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 valves, pumps, etc. can be provided to allow water to be discharged.

상기 지하수공급모듈(175)은 상기 물보관부(12)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외부로부터 물보관부(12)에 별도로 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하수공급모듈(175)은 물보관부(12)의 수위가 기준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관을 통해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groundwater supply module 175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can separately supply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from the outside. The groundwater supply module 175 can supply water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torage unit 12 does not reach the standard value, and can supply water through a separate pipe.

상기 공기공급모듈(176)은 본체부(10)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농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질소, 산소 등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모듈(176)은 토양의 상태에 따라 공기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공기의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모듈(176)은 상기 물보관부(12)를 통해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물보관부(12)의 물을 모두 배수한 다음 물보관부(12)를 통한 공기의 공급을 통해 토양에 질소, 산소 등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급공급모듈(176) 화분 내 환경이 습한 경우 공기의 공급을 통해 건조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module 176 is configured to supply air into the main body 10, and can supply air such as nitrogen and oxygen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rops. The air supply module 176 can control the supply of air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oil, and can ensure supply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The air supply module 176 can supply air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 After draining all of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unit 12, the air supply module 176 can supply air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 Through supply, air such as nitrogen and oxygen can be supplied to the soil. In addition, if the environment inside the flower pot of the supply module 176 is humid, the dry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by supplying ai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을 도 22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1)은 복수개의 본체부(10)를 서로 연결하여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한 통합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마트연결부(18)와 상기 스마트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본체부들을 제어하는 통합관리부(19)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a flower pot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33, the flower pot 1 for growing crops has a plurality of body parts 10 connected to each other. It may additionally include a smart connection unit 18 for integrated control of the device and an integrated management unit 19 for controlling main body units connected by the smart connection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재배용 화분은 일 실시예와 같은 화분의 본체부(10)를 복수개 연결하여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한 물, 약재, 공기의 공급, 배수, 덮개부(13)의 개폐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본체부(10)를 활용한 농작물의 대량 재배가 손쉽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은 다수의 본체부(10)를 스마트연결부(18)에 의해 서로 연결하기만 하면, 다수의 본체부(10)에 대해 물, 약재의 공급, 배수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대량 재배를 위한 화분의 설치도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본체부(10) 중 하나를 마스터 화분(1a)으로 지정하여 복수의 본체부(10)가 하나의 군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스터 화분(1a)에서만 센서부(16)에 의한 상태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측정된 정보를 통합관리부(19)로 보내 하나의 군을 형성하는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해 마스터 화분(1a)의 상태에 따른 통합적인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은 설치를 간소화하면서 설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고,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한 정확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flower pot for growing crop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onnects a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 of the same flower pot as in one embodiment to provide water, medicine, and air to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 drainage, and the cover portion 13. Opening and closing can be performed together, and through this, mass cultivation of crops using a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can be easily and efficiently performed. The flower pot for growing crops can be used for mass cultivation because water, medicine supply, drainage, etc. a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for the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simply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main parts 10 to each other by the smart connection part 18. Installation of flower pots can also be done simply. In particular, the flower pot for growing crops can designate one of the plurality of body parts 10 as the master flower pot 1a, as shown in FIG. 22, so that the plurality of body parts 10 form one group, The state i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6 only in the master pot 1a, and the measured information is sent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19 for the plurality of main body units 10 forming one group. Integrated control according to the status of 1a)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flower pot for growing crops simplifies installation, saves installation costs, and allows accurate control of the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상기 스마트연결부(18)는 복수의 본체부(1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한 물, 약재, 공기의 공급, 배수, 덮개부(13)의 개폐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연결부(18)는 상기 급수관(111) 및 물보관부(12)에 대해 구분되어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물보관부(12)에 대한 공기의 공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연결부(18)는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한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제어장치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관리부(19)에 의해 제어에 따라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연결부(18)는 스마트파이프(181), 개폐기어(182), 약재관로(183), 급배수관로(184), 급배수조절모듈(185), 급수관로개폐모듈(186), 스마트제어모듈(18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connection part 18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a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so that the supply of water, medicine, and air to the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drainage, and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part 13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can do. In addition, the smart connection unit 18 can supply water separately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and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ensure that air is accurately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can do. In addition, the smart connection unit 18 can form a separate control device to enable control of a plurality of main body units 10 simultaneously, and operates according to control by 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19. It can be done. For this purpose, the smart connection unit 18 includes a smart pipe 181, an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a medicine pipe 183, a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a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185, and a water supply pip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86. , may include a smart control module (187).

상기 스마트파이프(181)는 본체부(10)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각 본체부(10)에 대한 삽입과 스마트파이프(181) 사이의 연결을 통해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통합관리부(19)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마트파이프(181)는 접속단(181a), 파이프연결모듈(181b), 종단마개(181c)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mart pipe 181 i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main body parts 10, and installation can be completed simply through insertion into each main body part 10 and connection between the smart pipes 181.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department (19). For this purpose, the smart pipe 181 may include a connection end (181a), a pipe connection module (181b), and an end cap (181c).

상기 접속단(181a)은 본체부(10)에 삽입되는 스마트파이프(181) 끝단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개폐기어(182), 약재관로(183), 급배수관로(18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스마트파이프(181)의 삽입을 위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파이프접속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end 181a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mart pipe 181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 and as shown in FIG. 24(b), the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and the medicine pipe 183 to be described later are connected. ,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is formed to protrude. In addition, the main body portion 10 may be formed with a smart pipe connection portion 102 as shown in FIG. 23 for insertion of the smart pipe 181.

상기 스마트파이프접속부(102)는 스마트파이프(181)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접속단(181a)을 통해 돌출되는 개폐기어(182), 약재관로(183), 급배수관로(184)가 삽입되도록 하고, 급배수관로(184)는 급수관로(184a)와 배수관로(184b)로 분기되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13)는 상기 개폐기어(182)와 덮개이동수단(132)의 연결을 위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 내에 기어연결관(134)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기어연결관(134) 내에는 덮개연결기어(134a)가 형성되어 덮개이동수단(132)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덮개연결기어(134a)는 상기 개폐기어(182)와 맞물려 개폐기어(18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되며, 그 회전력이 덮개이동수단(132)으로 전달되어 상단덮개(131)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181a)을 통해 돌출되는 약재관로(183)는 본체부(10) 내의 약재관(112)과 연결되고, 급수관로(184a)는 급수관(111)과 연결되며, 배수관로(184b)는 물보관부(12)와 연결되어 물보관부(12)에 대한 물의 공급 및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smart pipe connection part 102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space into which the smart pipe 181 is insert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the medicine pipe 183, and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protrude through the connection end 181a. ) is inserted, and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is branched into a water supply pipe 184a and a drainage pipe 184b and inserted. At this time, the cover portion 13 can be configured to form a gear connection pipe 134 within the main body portion 10 as shown in FIG. 23 to connect the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and the cover moving means 132. In addition, a cover connection gear 134a is formed within the gear connection pipe 134 to be connected to the cover moving means 132. The cover connection gear 134a is engag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and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ver moving means 132 to open and close the top cover 131. make it happen. In addition, the medicine pipe 183 protruding through the connection end 181a is connected to the medicine pipe 112 in the main body 10, the water supply pipe 184a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and the drain pipe ( 184b)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to enable supply and drainage of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상기 파이프연결모듈(181b)은 스마트파이프(181) 사이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ipe connection module 181b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smart pipes 181, and can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24(a).

상기 종단마개(181c)는 스마트파이프(181)의 끝단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가장 말단에 연결되는 스마트파이프(181)의 끝단에 결합되어 스마트파이프(181)로 유동되는 물, 약재, 공기의 외부 유출이 차단되도록 한다. The end stopper (181c) is a component tha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mart pipe (181),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mart pipe (181) connected to the most distal end to prevent water, medicine, and air flowing into the smart pipe (181) from the outside. Make sure leaks are blocked.

상기 개폐기어(182)는 상기 스마트파이프(181)내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 내의 덮개연결기어(134a)와 연결되어 상단덮개(131)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is inserted into the smart pipe 181, an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cover connection gear 134a in the main body 10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p cover 131. do.

상기 약재관로(183)는 상기 스마트파이프(181) 내에서 약재가 공급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부(10) 내의 약재관(112)과 연결되어 각 본체부(10)에 약재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medicine pipe 183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medicine is supplied within the smart pipe 181, and is connected to the medicine pipe 112 in the main body 10 to supply medicine to each body part 10. Ensure supply can be achieved.

상기 급배수관로(184)는 상기 스마트파이프(181) 내에서 물의 공급 및 배수가 이루어지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181a)에서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로(184a)와 배수관로(184b)로 분기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is a configuration tha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and drained within the smart pipe 181,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pipe, and at the connection end 181a, as shown in FIG. 24 As shown, it is branched into a water supply pipe 184a and a drainage pipe 184b.

상기 급수관로(184a)는 상기 급수관(111)에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접속단(181a)에서 급수관(111)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관로(184a)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로(184b)의 상측에 형성되어 급수구(184a-1)를 통해 배수관로(184b)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급수구(184a-1)를 통해 급수관로(184a)로 유입되어 급수관(111)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수관로(184a) 상에는 급수조절모듈(184a-2)이 형성되어 급수관로(184a)를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급수조절모듈(184a-2)은 외부로 노출되어 수동으로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pipe 184a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at the connection end 181a.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pipe 184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ain pipe 184b as shown in FIG. 26 and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84b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84a-1.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urnace 184 flows into the water supply pipe 184a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84a-1 and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In addition, a water supply control module (184a-2) is formed on the water supply pipe (184a) to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84a), and the water supply control module (184a-2) is exposed to the outside. Adjustments can be made manually.

상기 배수관로(184b)는 상기 물보관부(12)에 대한 물의 공급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끝단이 물보관부(12)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관로(184b)는 그 끝단에서 유동구(184b-1)가 관통형성되어 물보관부(12)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의 작동에 따른 유동구(184b-1)의 개폐에 따라 물보관부(12)에 대한 급수 및 배수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drain pipe 184b is configured to supply and drain water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its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For this purpose, the drain pipe 184b may have a flow port 184b-1 formed through its end to communicate with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a flow port (184b-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drain control module 185. Depending 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184b-1), water supply and drainage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can be adjusted.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은 상기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급배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도 26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로(184b)를 통해 이동하며, 상기 유동구(184b-1)에 대한 개폐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은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형태로 작동을 조절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 30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의 형태로 작동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은 와이어의 형태로 작동이 조절되는 경우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유동구(184b-1)가 폐쇄되어 물보관부(12)에 물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와이어를 당김는 경우에만 유동구(184b-1)가 개방되어 물보관부(12)로부터 배수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물에 잠겨있는 상태로 재배되는 논 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8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유동구(184b-1)가 개방되어 물보관부(12)로부터 물이 배수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와이어를 당기는 경우에만 유동구(184b-1)가 폐쇄되어 급수관(111)을 통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물이 빠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밭 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drainage control module 185 is configured to control water supply/drainage through the water/drain pipe 184, and moves through the drain pipe 184b as shown in FIGS. 26 to 31, and the flow port ( The opening and closing of 184b-1) can be adjusted. The water supply/drainage control module 185 can control its operation in the form of a wire as shown in FIGS. 26 to 29 or in the form of a gear as shown in FIGS. 30 to 31. .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drainage control module 185 is controlled in the form of a wire, as shown in FIGS. 26 to 27, the flow port 184b-1 is normally closed so that water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unit 12. It is maintained in an accommodated state, and only when the wire is pulled, the flow port 184b-1 is opened to allow drainage or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torage unit 12. In this case, the rice field is grown submerged in water. Crops can be grown.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8 and 29, the flow port 184b-1 is normally opened to maintain water draining from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the flow port 184b-1 is opened only when the wire is pulled. ) can be closed to allow water suppl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1, and in this case, field crops can be grown while maintaining water draining conditions.

먼저 도 26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수조절모듈(185)에 관하여 설명하면,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은 차단부재(185a), 탄성체(185b), 탄성체지지부재(185c), 조절와이어(185d)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when describing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185 as shown in FIGS. 26 and 27,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185 includes a blocking member (185a), an elastic body (185b), an elastic body support member (185c), It may include an adjustment wire (185d).

상기 차단부재(185a)는 상기 유동구(184b-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유동구(184b-1)에 끼워져 유동구(184b-1)를 폐쇄할 수 있는 패킹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185a)는 평상시 상기 탄성체(185b)에 의해 밀려 유동구(184b-1)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와이어(185d)를 당기는 경우에만 유동구(184b-1)로부터 멀어져 유동구(184b-1)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185a)가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구(184b-1)를 폐쇄하는 평상시에는 물보관부(12)에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본체부(10) 내의 토양이 물에 잠긴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경우 공급되는 물은 상기 급수관로(184a)를 거쳐 급수관(111)으로 제공되어 토양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와이어(185d)를 당겨 유동구(184b-1)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물보관부(12)로부터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 2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경우 물보관부(12)에 대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blocking member 185a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ort 184b-1,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acking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low port 184b-1 and close the flow port 184b-1. The blocking member (185a) is normally pushed by the elastic body (185b) to keep the flow port (184b-1) closed, and only when the adjustment wire (185d) is pulled as shown in FIG. 27(b). Moving away from the flow port (184b-1), the flow port (184b-1) is opened. Therefore, in normal times when the blocking member 185a closes the flow port 184b-1 as shown in FIG. 27(a), the water storage unit 12 is maintained in a state filled with water and the water in the main body 10 is maintained. The soil can be submerged in water, and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84 in this state, the supplie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84a and supplied to the soil. It can be done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7(b), when the flow port 184b-1 is opened by pulling the control wire 185d, water can be drained from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in this state, FIG. 27(b) As shown in c),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상기 탄성체(185b)는 일단이 상기 차단부재(185a)에 연결되어 차단부재(185a)를 미는 힘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단부재(185a)가 유동구(184b-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185b)의 타단은 탄성체지지부재(185c)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하며, 압축된 상태에서 삽입되어 차단부재(185a)를 밀 수 있도록 한다. The elastic body (185b) is configured to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185a) to provide a force to push the blocking member (185a), and the blocking member (185a) maintains the flow opening (184b-1) in a closed state. Let's do it.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185b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elastic body support member 185c, and is inserted in a compressed state to push the blocking member 185a.

상기 탄성체지지부재(185c)는 배수관로(184b) 내측에 형성되어 탄성체(185b)의 타단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탄성체(185b)가 압축된 상태에서 차단부재(185a)를 밀 수 있도록 한다. The elastic body support member 185c is formed inside the drain pipe 184b to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185b, and allows the blocking member 185a to be pushed while the elastic body 185b is compressed.

상기 조절와이어(185d)는 상기 차단부재(185a)에 연결되어 차단부재(185a)를 당기는 구성으로, 당김에 따라 유동구(184b-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와이어(185d)는 스마트제어모듈(187)의 후술할 개폐조절모터(187c)에 연결되어 당기거나 풀림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wire (185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member (185a) and pulls the blocking member (185a), so that the flow port (184b-1)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pulling. In addition, the control wire 185d can be 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control motor 187c of the smart control module 187 to control pulling or loosening.

또한,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은 도 28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85a)를 지지하는 차단지지구(185e)를 추가로 포함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평상시 차단부재(185a)가 유동구(184b-1)로부터 이격되어 유동구(184b-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185 may additionally include a blocking support member 185e that supports the blocking member 185a, as shown in FIGS. 28 and 29. In this case, the blocking member is normally used (185a) is spaced apart from the flow port (184b-1) so that the flow port (184b-1) can be maintained in an open state.

상기 차단지지구(185e)는 배수관로(184b)의 내측에 형성되어 차단부재(185a)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단부재(185a)가 조절와이어(185d)에 의해 당겨질 때 차단부재(185a)에 의해 폐쇄되어 물보관부(12)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차단부재(185a)는 도 2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유동구(184b-1) 및 차단지지구(185e)와 이격되어 물보관부(12)가 배수관로(184b)와 연통되도록 하고, 물보관부(12)의 물이 배출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와이어(185d)에 의해 차단부재(185a)가 당겨지면 상기 차단부재(185a)는 차단지지구(185e)에 밀착되어 물보관부(12)를 폐쇄하도록 하고, 급배수관로(184)를 통한 물의 공급에 따라 급수관(111)을 통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와이어(185d)를 놓는 경우 차단부재(185a)는 차단지지구(185e)와 유동구(184b-1) 사이로 돌아가 물보관부(12)가 개방된 상태가 되며, 이때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물보관부(12)로 물이 유입되어 채워질 수 있다. The blocking support member (185e)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84b) to support the blocking member (185a). When the blocking member (185a) is pulled by the adjustment wire (185d), the blocking member (185a) It is closed by so that the water storage part 12 can be clos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blocking member 185a is spaced apart from the flow opening 184b-1 and the blocking support area 185e in normal times, as shown in FIG. 29(a), so that the water storage unit 12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84b. and maintain a state in which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unit 12 can be discharged. And as shown in FIG. 29(b), when the blocking member 185a is pulled by the control wire 185d, the blocking member 185a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locking support member 185e and closes the water storage unit 12. In this way,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1 according to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84.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9(c), when the control wire 185d is placed, the blocking member 185a returns between the blocking support area 185e and the flow port 184b-1, and the water storage unit 12 is opened. At this time,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water may flow into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fill it.

기어 형태로 형성되는 급배수조절모듈(185)을 도 30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은 개폐부재(185f), 가이드부재(185g), 회전기어(185h)를 통해 유동구(184b-1)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explaining the water supply/drainage control module 185 formed in the form of a gear with reference to FIGS. 30 to 31, the water supply/drainage control module 185 includes an opening/closing member (185f), a guide member (185g), and a rotating gear (185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port (184b-1).

상기 개폐부재(185f)는 상기 유동구(184b-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배수관로(184b)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유동구(184b-1)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재(185f)는 상기 가이드부재(185g)에 지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기어(185h)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며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부재(185f)는 차단패킹(185f-1), 나선돌기(185f-2), 이동연결기어(185f-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low port 184b-1, and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drain pipe 184b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port 184b-1.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being supported by the guide member 185g,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gear 185h to allow movement. To this e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may include a blocking packing 185f-1, a spiral protrusion 185f-2, and a movable connection gear 185f-3.

상기 차단패킹(185f-1)은 상기 유동구(184b-1)에 밀착되어 유동구(184b-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상기 개폐부재(185f)의 좌우 방향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유동구(184b-1)를 개폐하도록 한다. The blocking packing (185f-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w port (184b-1) and opens and closes the flow port (184b-1), and moves together wit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to form the flow port (184b-1). 1) Open and close.

상기 나선돌기(185f-2)는 개폐부재(185f)의 둘레를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부재(185g)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나선돌기(185f-2)는 개폐부재(185f)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부재(185g) 내측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개폐부재(185f)의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spiral protrusion 185f-2 is formed to protrude in a spir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and is formed to engage with a screw thread formed inside the guide member 185g. Therefore, the spiral protrusion 185f-2 is supported and rotated inside the guide member 185g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rotates, and thu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상기 이동연결기어(185f-3)는 상기 회전기어(185h)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기어(185h)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구성으로, 개폐부재(185f)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기어(185h)의 회전에 따라 이동연결기어(185f-3)가 회전하면서 개폐부재(185f)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moving connection gear 185f-3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rotation gear 185h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gear 185h, and can be formed insid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 Therefore, as the rotation gear 185h rotates, the movable connection gear 185f-3 rotates to m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가이드부재(185g)는 상기 개폐부재(185f)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상기 배수관로(184b) 내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85g)의 내측은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선돌기(185f-2)가 맞물려 지지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guide member 185g is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and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84b. The inside of the guide member (185g)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crew thread, and the spiral protrusion (185f-2) may be engaged and rotated in a supported state.

상기 회전기어(185h)는 상기 개폐부재(185f)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구성으로,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연결기어(185f-3)를 회전시켜 개폐부재(185f)를 좌우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상기 개폐부재(185f)에 형성되는 차단패킹(185f-1)이 유동구(184b-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185f)가 이동함에 따라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패킹(185f-1)이 유동구(184b-1)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되는 경우 물보관부(12)로부터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경우 물보관부(12)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패킹(185f-1)이 유동구(184b-1)에 밀착된 상태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급수관(111)에 대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rotation gear 185h is configured to rotate to m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and rotates the moving connection gear 185f-3 according to rotation to m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to the left and right, The blocking packing (185f-1) form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allows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port (184b-1). Therefore,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moves, as shown in FIG. 31(a), when the blocking packing 185f-1 is opened away from the flow port 184b-1, water is drained from the water storage unit 12. can be achieved, and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as shown in FIG. 31(b),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1 (c), when water is supplied while the blocking packing (185f-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w port (184b-1),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there is.

또한,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에는 물보관부(12)를 통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급수관로개폐모듈(186)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pip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86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185 to ensure the supply of air through the water storage unit 12.

상기 급수관로개폐모듈(186)을 도 32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급수관로개폐모듈(186)은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의 작동에 연동하여 급수관로(184a)의 급수구(184a-1)를 개폐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급수관로개폐모듈(186)은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수조절모듈(185)이 상기 유동구(184b-1)를 개방한 경우 상기 급수구(184a-1)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급수관(111)으로 유출되지 않고 물보관부(12)로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배수조절모듈(185)이 유동구(184b-1)를 폐쇄한 경우에는 급수구(184a-1)를 개방시켜 급수관(111)으로의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관로개폐모듈(186)은 막음부재(186a), 탄성부재(186b), 지지부재(186c), 누름부재(186d)를 포함할 수 있다. If the water supply pip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86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2, the water supply pip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86 is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185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184a of the water supply pipe 184a. -1) Open and close. In other words, the water supply pipe opening and closing module 186 operates at the water supply port 184a-1 when the water supply/drain control module 185 opens the flow port 184b-1, as shown in FIG. 32(b). It is closed, and thus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84 can be delivered only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without leaking into the water supply pipe 111.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2(c), when the water supply/drain control module 185 closes the flow port 184b-1, the water supply port 184a-1 is opened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make it happen. To this end, the water supply pipe opening/closing module 186 may include a blocking member 186a, an elastic member 186b, a support member 186c, and a pressing member 186d.

상기 막음부재(186a)는 상기 급수구(184a-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상기 탄성부재(186b)에 의해 지지되어 급수구(184a-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막음부재(186a)는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에 형성되는 누름부재(186d)와 접촉되어 눌리는 경우 급수구(184a-1)와 이격되어 급수구(184a-1)가 개방되도록 한다. The blocking member 186a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water inlet 184a-1, and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186b to mainta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inlet 184a-1. And when the blocking member (186a) is pressed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member (186d) formed on the water/drain control module (185), it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supply port (184a-1) so that the water supply port (184a-1) is opened. .

상기 탄성부재(186b)는 상기 막음부재(186a)를 급수구(184a-1)측으로 밀어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이에 따라 평상시 막음부재(186a)가 급수구(184a-1)에 밀착되어 급수구(184a-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elastic member (186b) is configured to push the blocking member (186a) toward the water inlet (184a-1) and thus adhere to it. Accordingly, the blocking member (186a) is norm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inlet (184a-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inlet (184a-1). 184a-1) can be kept closed.

상기 지지부재(186c)는 상기 탄성부재(186b)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급수구(184a-1) 내측에 형성되어 탄성부재(186b)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86c)는 탄성부재(186b)가 압축된 상태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막음부재(186a)를 밀어 급수구(184a-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86c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elastic member 186b and is formed inside the water supply port 184a-1 to maintain the elastic member 186b in a fixed state. Accordingly, the support member 186c can allow the elastic member 186b to be inserted in a compressed state, and can push the blocking member 186a to mainta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inlet 184a-1.

상기 누름부재(186d)는 상기 막음부재(186a)를 눌러 급수구(184a-1)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급수구(184a-1)를 통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름부재(186d)는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에 고정되어 급배수조절모듈(185)의 이동과 함께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개폐부재(185f)에 고정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재(186d)는 상기 개폐부재(185f)가 유동구(184b-1)를 폐쇄시킨 상태에서는 막음부재(186a)를 상측으로 밀어 급수구(184a-1)가 개방되도록 하고, 개폐부재(185f)가 이동하여 유동구(184b-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막음부재(186a)와 멀어져 막음부재(186a)가 다시 급수구(184a-1)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로개폐모듈(186)은 급배수관로(184)를 통한 공기의 공급시 공기가 급수관(111) 측으로 유출되지 않고 물보관부(12) 측으로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186d is configured to press the blocking member 186a away from the water inlet 184a-1, allowing water to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inlet 184a-1. The pressing member 186d is fixed to the water supply/drainage control module 185 and moves left and right with the movement of the water supply/drainage control module 185, and may be fixed to the opening/closing member 185f. Accordingly, the pressing member 186d pushes the blocking member 186a upward to open the water supply port 184a-1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closes the flow port 184b-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 closes the flow port 184b-1. When (185f) moves and the flow port (184b-1) is opened, it moves away from the blocking member (186a) so that the blocking member (186a) remain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ter inlet (184a-1) again. Therefore, the water supply pipe opening/closing module 186 can ensure that when ai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84, the air does not flow out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but is only deliver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상기 스마트제어모듈(187)은 상기 스마트연결부(18)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파이프(181)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해 작동의 제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제어모듈(187)은 상기 스마트파이프(181)의 일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해당 스마트파이프(181)에 연결된 복수의 스마트파이프(181)를 통해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제어모듈(187)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개폐모터(187a), 약재공급모터(187b), 개폐조절모터(187c), 급수부(187d), 배수부(187e), 공기공급부(187f)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control module 187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mart connection part 18,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main body parts 10 connected by the smart pipe 181 at the same time. there is. The smart control module 187 can be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mart pipe 181, and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ain bodies 10 through a plurality of smart pipes 181 connected to the smart pipe 181. control can be achieved. As shown in FIG. 33, the smart control module 187 includes a cover opening and closing motor (187a), a medicine supply motor (187b),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otor (187c), a water supply unit (187d), a drainage unit (187e), and an air supply unit. (187f) may be included.

상기 덮개개폐모터(187a)는 상기 개폐기어(182)와 연결되어 개폐기어(182)를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상단덮개(131)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motor 187a is connec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and ro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gear 182, so that the top cover 131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약재공급모터(187b)는 약재관로(183)를 통한 약재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펌프 등을 작동시켜 외부의 약재저장공간으로부터 약재관로(183)를 통해 본체부(10) 내의 약재관(112)으로 약재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medicine supply motor 187b is a configuration that supplies medicine through the medicine pipe 183, and operates a pump, etc., from the external medicine storage space through the medicine pipe 183 to the medicine pipe in the main body 10 ( 112) to ensure that medicinal materials are supplied.

상기 개폐조절모터(187c)는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조절와이어(185d)를 당기거나 상기 회전기어(185h)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조절모터(187c)는 상기 급배수조절모듈(185)을 이동시켜 배수관로(184b)와 연통되는 유동구(184b-1)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보관부(12), 급수관(111)에 대한 급수, 물보관부(12)로부터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opening/closing control motor (187c)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drainage control module (185) and is formed to pull the control wire (185d) or rotate the rotation gear (185h).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otor 187c can move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185 to open and close the flow port 184b-1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 pipe 184b, through which the water storage unit ( 12),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and drained from the water storage unit 12.

상기 급수부(187d)는 본체부(10)로의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급배수관로(184)를 통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부(187d)는 본체부(10)의 급수관(111) 또는 물보관부(12)에 대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급수펌프(187d-2)를 통해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급수밸브(187d-1)를 통해 물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supply unit 187d is configured to supply water to the main body 10, and can supply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drain pipe 184. Therefore, the water supply unit 187d supplies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or the water storage unit 12 of the main body 10, and supplies water through the water pump 187d-2. , the supply of water can be adjusted through the water supply valve (187d-1).

상기 배수부(187e)는 본체부(10)로부터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물보관부(12)로부터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배수부(187e)는 급배수관로(184)와 연결되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배수펌프(187e-2)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밸브(187e-1)를 통해 배수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drain part 187e is configured to allow water to be drained from the main body 10, and to allow water to be drained from the water storage part 12. The drain unit 187e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to allow drainage, and allows drainage through the drain pump 187e-2, and controls the drainage through the drain valve 187e-1. It can be done.

상기 공기공급부(187f)는 본체부(10)에 대해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물보관부(12)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187f)는 질소, 산소 등 농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급펌프(187f-2)에 의해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고, 공급밸브(187f-1)에 의해 공기의 공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ir supply unit 187f is configured to supply air to the main body 10, and can supply air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The air supply unit (187f) can supply air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rops, such as nitrogen and oxygen. Air is supplied by the supply pump (187f-2), and air is supplied by the supply valve (187f-1). Supply can be regulated.

상기 통합관리부(19)는 상기 스마트연결부(18)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본체부(10)에 대한 통합적인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서부(16), 바람직하게는 마스터 화분의 본체부(10)의 센서부(16)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통해 동일한 군을 이루는 본체부(10)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부(19)는 각 본체부(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부(10)에 공급되는 약재, 물 등을 수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합관리부(19)는 배수통(191), 약재통(192), 급수통(193), 제어지시모듈(195)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19 is configured to provide integrated control over the plurality of main body units 10 connected by the smart connection unit 18, and includes the sensor unit 16, preferably the main body of the master flower pot. The main body unit 10 forming the same group can be controlled throug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6 of the unit 10. In addition, 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19 can accommodate water discharged from each main body 10, and can accommodate medicines, water, etc. supplied to the main body 10. To this end, the integrated management unit 19 may include a drain container 191, a medicine container 192, a water tank 193, and a control instruction module 195.

상기 배수통(191)은 각 본체부(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마트파이프(181)의 급배수관로(184)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수통(191)은 배수되는 물을 수용하여 별도로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배수되는 물의 성분 등의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drain tank 191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water discharged from each main body 1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of the smart pipe 181. The drain tank 191 can accommodate drained water so that it can be separately purified or analyzed for components of the drained water.

상기 약재통(192)은 각 본체부(10)로 공급되는 약재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농작물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약재들을 수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토양의 상태에 따라 공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약재공급모터(187b)와 연결되어 약재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medicine container 192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medicine supplied to each main body 10, and can accommodate various medicine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crops, and the supply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soil, It is connected to the medicine supply motor (187b) to ensure the supply of medicine.

상기 급수통(193)은 각 본체부(10)로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외부 별도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급수통(193)은 상기 급배수관로(184)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도록 하며, 상기 급수부(187d)와 연결되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water tank 193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water supplied to each main body 10, and can also receive water from a separat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he water tank 193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184 to supply wat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187d to supply water.

상기 공기통(194)은 각 본체부(10)로 공급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공급부(187f)와 연결되어 급배수관로(184)를 통해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air tank 194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ir supplied to each main body 10, and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unit 187f to supply air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pipe 184.

상기 제어지시모듈(195)은 본체부(10)에 대한 작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센서부(16)에 의해 측정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제어모듈(187)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지시모듈(195)은 상기 덮개개폐모터(187a), 약재공급모터(187b), 개폐조절모터(187c), 급수부(187d), 배수부(187e), 공기공급부(187f)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어지시모듈(195)은 본체부(10)에 대한 물의 공급 또는 배수시 상기 개폐조절모터(187c)를 통해 급수구(184a-1) 및 유동구(184b-1)의 개폐를 조절하여 급수관(111) 또는 물보관부(12)로의 물의 공급과 물보관부(12)로부터의 배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지시모듈(195)은 공기공급부(187f)를 통해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급수관로개폐모듈(186)에 의해 급수구(184a-1)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동구(184b-1)를 통해 물보관부(12)로 질소, 산소 등의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지시모듈(195)은 물보관부(12)에 먼저 물을 가득채워 토양에 물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토양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하고, 그 이후 질소, 산소 등의 공기를 공급하여 새로운 공기로 토양이 채워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은 상기 토양센서(162)에 의해 측정되는 토양상태정보에 따라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instruction module 195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ain body 10, and allows the smart control module 187 to operat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6. . The control instruction module 195 operates the cover opening and closing motor (187a), medicine supply motor (187b),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otor (187c), water supply unit (187d), drain unit (187e), and air supply unit (187f). Adjust it. In particular, the control instruction module 195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port 184a-1 and the flow port 184b-1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otor 187c when supplying or draining water to the main body 10. The supply of water to the water supply pipe 111 or the water storage unit 12 and the drainage from the water storage unit 12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control instruction module 195 can ensure that air is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87f. When the water supply port 184a-1 is closed by the water supply pipe opening/closing module 186, the flow port Air such as nitrogen and oxygen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2 through (184b-1). At this time, the control instruction module 195 first fills the water storage unit 12 with water to allow the water to be absorbed into the soil to expel air from the soil, and then supplies air such as nitrogen and oxygen to create new water. The soil can be filled with air, and this oper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soil cond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oil sensor 162.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uch embodiments are only embodiments that embod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not per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embod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 농작물 재배용 화분 10: 본체부 101: 견인홀
102: 스마트파이프접속부 11: 관로부 111: 급수관
111a: 분사노즐 112: 약재관 112a: 분사노즐
12: 물보관부 121: 수동배수구 122: 배수판
122a: 배수홀 13: 덮개부 131: 상단덮개
131a: 함입홈 131b: 기어돌출단 131c: 하우스결속구
132: 덮개이동수단 133: 덮개가이드면 134: 기어연결관
134a: 덮개연결기어 14: 지지부 141: 지지물
142: 지지대 143: 지지대삽입구 15: 날개부
151: 태양반사판 152: 태양전지판 153: 삽입힌지
154: 판삽입홈 16: 센서부 161: 온습도센서
162: 토양센서 163: 수위센서 163a: 수위게이지
163a-1: 물관로 163a-2: 공기관로 163a-3: 부유체
164: 풍량센서 17: 제어부 18: 스마트연결부
181: 스마트파이프 181a: 접속단 181b: 파이프연결모듈
181c: 종단마개 182: 개폐기어 183: 약재관로
183a: 약재조절모듈 184: 급배수관로 184a: 급수관로
184a-1: 급수구 184a-2: 급수조절모듈 184b: 배수관로
184b-1: 유동구 185: 급배수조절모듈 185a: 차단부재
185b: 탄성체 185c: 탄성체지지부재 185d: 조절와이어
185e: 차단지지구 185f: 개폐부재 185f-1: 차단패킹
185f-2: 나선돌기 185f-3: 이동연결기어 185g: 가이드부재
185h: 회전기어 186: 급수관로개폐모듈 186a: 막음부재
186b: 탄성부재 186c: 지지부재 186d: 누름부재
187: 스마트제어모듈 187a: 덮개개폐모터 187b: 약재공급모터
187c: 개폐조절모터 187d: 급수부 187d-1: 급수밸브
187d-2: 급수펌프 187e: 배수부 187e-1: 배수밸브
187e-2: 배수펌프 187f: 공기공급부 187f-1: 공급밸브
187f-2: 공급펌프 19: 통합관리부 191: 배수통
192: 약재통 193: 급수통 194: 공기통 `
95: 제어지시모듈 3: 제작장치 31: 토양분리장치
311: 궤도이송부 311a: 이송컨베이어 311b: 수용단
311c: 구동륜 312: 입자분리부 312a: 분리통
312a-1: 분리공 312a-2: 토출단 312b: 수용함
32: 토양배합장치 321: 토양공급부 322: 첨가물투입부
323: 약재투입부 324: 토양이동부 33: 농작물투입장치
331: 투입홀형성부 331a: 투입홀형성부재 331b: 지지판
332: 파종부 332a: 파종침 332b: 침고정부재
332c: 지지탄성체 332d: 지지본체 332d-1: 돌출단
332e: 씨앗수용본체 332f: 개폐도어 333: 식립부
333a: 식립본체 333b: 모종집게부 333b-1: 탄성지지체
333b-2: 공기입출호스 34: 토양탑재장치 341: 토양분배부
341a: 배토판 341a-1: 토양수용홈 341b: 토양격리판
341b-1: 격리셀판 341b-11: 격리셀 341b-2: 막음판
342: 토양투입부 342a: 파지모듈 342a-1: 파지판
342a-11: 전자석 342a-2: 파지이동모듈 342a-3: 파지승강모듈
342b: 회전모듈 342c: 승강모듈 343: 토양압착부
343a: 압착판 343a-1: 함입홈
1: Flowerpot for growing crops 10: Main body 101: Towing hole
102: Smart pipe connection part 11: Pipeline part 111: Water supply pipe
111a: spray nozzle 112: medicine pipe 112a: spray nozzle
12: Water storage unit 121: Manual drain 122: Drain plate
122a: Drain hole 13: Cover part 131: Top cover
131a: Indented groove 131b: Gear protruding end 131c: House binding port
132: Cover moving means 133: Cover guide surface 134: Gear connector
134a: cover connection gear 14: support 141: support
142: Support 143: Support insertion hole 15: Wing part
151: solar reflector 152: solar panel 153: insertion hinge
154: Plate insertion groove 16: Sensor unit 161: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62: Soil sensor 163: Water level sensor 163a: Water level gauge
163a-1: Water pipe 163a-2: Air pipe 163a-3: Floating body
164: Air volume sensor 17: Control unit 18: Smart connection unit
181: Smart pipe 181a: Connection end 181b: Pipe connection module
181c: End stopper 182: Opening/closing gear 183: Medicine pipe
183a: Medicine control module 184: Water supply pipe 184a: Water supply pipe
184a-1: Water supply port 184a-2: Water supply control module 184b: Drain pipe
184b-1: Flow port 185: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trol module 185a: Blocking member
185b: elastic body 185c: elastic body support member 185d: adjustment wire
185e: Blocking support district 185f: Opening and closing member 185f-1: Blocking packing
185f-2: Spiral protrusion 185f-3: Moving connection gear 185g: Guide member
185h: Rotating gear 186: Water supply pipe opening/closing module 186a: Blocking member
186b: elastic member 186c: support member 186d: pressing member
187: Smart control module 187a: Cover opening/closing motor 187b: Medicine supply motor
187c: Open/close control motor 187d: Water supply unit 187d-1: Water supply valve
187d-2: Water pump 187e: Drain unit 187e-1: Drain valve
187e-2: Drain pump 187f: Air supply unit 187f-1: Supply valve
187f-2: Supply pump 19: Integrated management unit 191: Drain tank
192: Medicine container 193: Water container 194: Air container `
95: Control instruction module 3: Manufacturing device 31: Soil separation device
311: Orbital transfer unit 311a: Transfer conveyor 311b: Receiving end
311c: driving wheel 312: particle separation unit 312a: separation bin
312a-1: Separation hole 312a-2: Discharge end 312b: Accommodation
32: Soil mixing device 321: Soil supply unit 322: Additive input unit
323: Medicine input unit 324: Soil movement unit 33: Crop input device
331: Input hole forming part 331a: Input hole forming member 331b: Support plate
332: Seeding part 332a: Seeding needle 332b: Needle fixing member
332c: Support elastic body 332d: Support body 332d-1: Protruding end
332e: Seed receiving body 332f: Opening/closing door 333: Planting unit
333a: Planting body 333b: Seedling tongs 333b-1: Elastic support
333b-2: Air inlet and outlet hose 34: Soil mounting device 341: Soil distribution unit
341a: topsoil plate 341a-1: soil receiving groove 341b: soil isolation plate
341b-1: Isolation cell plate 341b-11: Isolation cell 341b-2: Blocking plate
342: Soil input unit 342a: Gripping module 342a-1: Gripping plate
342a-11: electromagnet 342a-2: grip moving module 342a-3: grip lifting module
342b: Rotation module 342c: Elevating module 343: Soil compression unit
343a: Pressing plate 343a-1: Embedded groove

Claims (16)

토양을 수용하여 농작물의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과,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을 제작하는 제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작장치는,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에 사용될 토양을 분리시키는 토양분리장치와, 상기 토양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토양을 첨가물, 약재와 배합하여 화분에 투입하는 토양배합장치와, 토양이 탑재된 화분에 재배될 농작물을 투입하는 농작물투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토양분리장치는
일반 흙을 일정 궤도를 따라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궤도이송부와, 상기 궤도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토양이 하강하며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 입자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궤도이송부는
흙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흙을 수용하는 수용단과,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륜을 포함하고,
상기 입자분리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단에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하강하는 경사를 가지며, 하강할수록 큰 직경의 분리공이 관통 형성되는 분리통과; 상기 분리통의 하부에 형성되어 크기별 토양 입자를 수용하는 수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It includes a flower pot for cultivating crops that accommodates soil and allows cultivation of crops, and a manufacturing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flower pot for growing crops,
The production device is,
A soil separation device that separates the soil to be used in the pot for growing crops, a soil mixing device that mixes the soil separated by the soil separation device with additives and medicinal materials and adds it to the pot, and crops to be grown in the pot loaded with soil. Includes a crop input device,
The soil separation device is
It includes an orbital transport unit that transports general soil upward along a certain orbit, and a particle separation unit in which the soil transported by the orbital transport unit descends and is separated according to particle size,
The orbital transfer unit
It includes a transfer conveyor that is inclined to rise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soil, a receiving end that is form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ransfer conveyor to receive soil, and a drive wheel that drives the transfer conveyor,
The particle separation unit,
a separation passage form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fer conveyor and having a downward slope, through which a separation hole with a larger diameter is formed as it descends; A planter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comprising a containe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bin to accommodate soil particles of each siz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은
그 끝단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리공을 통해 분리되지 못한 불순물을 배출시키는 토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bin is
A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charge end formed through the end and discharging impurities that were not separated through the separatio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배합장치는
상기 토양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토양을 화분에 공급하는 토양공급부와; 상기 토양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토양에 첨가물을 투입하는 첨가물투입부와; 토양에 약재를 투입하는 약재투입부와; 화분을 상기 토양공급부, 첨가물투입부, 약재투입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토양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oil mixing device
a soil supply unit that supplies the soil separated by the soil separation device to the flower pot; an additive input unit for injecting additives into the soil supplied by the soil supply unit; A medicine input unit for putting medicine into the soil; A soil moving unit that moves the pot along the soil supply unit, additive input unit, and medicine input unit. A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comprising a soil mov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투입장치는
토양에 농작물의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공간을 형성하는 투입홀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홀형성부는,
씨앗 또는 모종이 투입될 위치에 삽입되는 복수의 투입홀형성부재와, 복수의 투입홀형성부재를 지지하면서 함께 승강되도록 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rop input device is
It includes an input hole forming part that forms a space for inserting crop seeds or seedlings into the soil,
The input hole forming part,
A plant cultiva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put hole forming members inserted into a position where seeds or seedlings are to be inserted, and a support plate that supports the plurality of input hole forming members and allows them to be lifted toge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투입장치는
상기 투입홀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씨앗을 파종하는 파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rop input device is
A planter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comprising a sowing part for sowing seeds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put hole forming pa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부는
씨앗에 삽입되는 파종침과; 상기 파종침이 고정되어 지지되며, 상하로 승강되는 침고정부재와; 상기 침고정부재를 탄성지지하며, 침고정부재를 상승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탄성체와; 상기 지지탄성체가 고정되고, 파종침이 삽입된 씨앗이 하단에 걸려 파종침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지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eding unit
Sowing needles inserted into seeds; a needle fixing member that fixes and supports the seeding needle and moves up and down; a support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needle fixing member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raise the needle fixing member; A support body in which the support elastic body is fixed and the seed into which the seeding needle is inserted is caught at the bottom and separated from the seeding need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파종부는
씨앗을 수용하는 씨앗수용본체와, 상기 씨앗수용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eding unit
A plant plant production system for growing crops, comprising a seed receiving body for accommodating seeds,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ed receiving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투입장치는
상기 투입홀형성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모종을 식립하는 식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립부는 모종이 수용되는 식립본체와, 상기 식립본체 내에 형성되어 모종을 파지하는 모종집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종집게모듈은,
공기의 주입에 따라 팽창되어 모종을 파지하는 탄성지지체와, 상기 탄성지지체에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입출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rop input device is
It includes an planting part for planting seedlings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put hole forming part,
The planting unit includes a planting body in which the seedlings are accommodated, and a seedling tongs module formed in the planting body to hold the seedlings,
The seedling tongs module,
A flower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comprising an elastic support that expands upon injection of air to hold the seedlings, and an air inlet and outlet hose that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jected into the elastic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은
상기 토양배합장치에 의해 배합된 토양을 화분에 탑재시키는 토양탑재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토양탑재장치는,
배합된 토양을 투입될 위치별로 분배하는 토양분배부와, 상기 토양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토양을 화분으로 투입하는 토양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nt pot production system for crop cultivation is
It further includes a soil loading device for loading the soil mixed by the soil mixing device into the flower pot,
The soil loading device is,
A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comprising a soil distribution unit that distributes the mixed soil to each input location, and a soil input unit that injects the soil distributed by the soil distribution unit into the po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분배부는
화분에 투입될 토양이 위치별로 분리되어 수용되는 배토판과; 상기 배토판의 상부에 장착되어 배토판을 덮으며, 위치별로 분리된 토양이 각 위치에 정확하게 투입되도록 하는 토양격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토양투입부는 토양이 수용된 토양분배부를 뒤집어 배토판에 수용된 토양이 화분으로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oil distribution unit
A soil plate on which the soil to be added to the pot is separated and accommodated by location; It includes a soil isolation plate that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oil plate and covers the soil plate, and allows soil separated by location to be accurately injected into each location,
The soil input unit is a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il distribution unit containing the soil is turned over and the soil contained in the soil plate is input into the po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판은
토양이 투입될 위치에 하측으로 함입되어 토양을 수용하는 토양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토양격리판은,
복수의 격리셀이 관통 형성되는 격리셀판과, 상기 격리셀판의 상부를 덮는 막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막음판은 토양분배부가 뒤집힌 후 제거되어 배토판으로부터 화분으로 토양이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topping plate is
It includes a soil receiving groove that is recessed into the lower side at the location where the soil is to be introduced and accommodates the soil,
The soil isolation plate is,
It includes an isolation cell plat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isolation cells are formed, and a blocking plate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isolation cell plate,
The blocking plate is a pot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il distribution portion is turned over and then removed to allow soil to be introduced from the soil plate into the pot.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투입부는
상기 토양분배부를 파지하는 파지모듈과, 상기 파지모듈을 회전시키는 회전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을 승강시키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oil injection unit
A planter manufacturing system for growing crops, comprising a gripping module for gripping the soil distribution unit, a rotation module for rotating the gripping module, and an elevating module for elevating the rotation modul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모듈은
상하측에 한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토양분배부에 밀착되는 파지판과, 상기 파지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지이동모듈과, 상기 파지이동모듈과 연결되어 각 파지이동모듈을 승강시키는 파지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재배용 화분 제작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gripping module is
A gripping plate formed as a pair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soil distribution unit, a gripping moving module that moves the gripping pl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gripping lifting module that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moving module and raises and lowers each gripping moving module. A plant production system for growing crops,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210064750A 2021-05-20 2021-05-20 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 KR1026753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50A KR102675349B1 (en) 2021-05-20 2021-05-20 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50A KR102675349B1 (en) 2021-05-20 2021-05-20 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05A KR20220157105A (en) 2022-11-29
KR102675349B1 true KR102675349B1 (en) 2024-06-13

Family

ID=8423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50A KR102675349B1 (en) 2021-05-20 2021-05-20 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534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39B1 (en) * 2021-03-17 2021-05-10 이승수 seedling transpla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7370A (en) * 2009-02-26 2010-09-03 정윤섭 Seedbed, seeding method and flowerpot
KR20120119293A (en) * 2011-04-21 2012-10-31 반디꽃 영농조합법인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180038749A (en) * 2016-10-07 2018-04-17 주기현 Method of manufacturing supplying soil for bed soil and supplying soil for covering so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39B1 (en) * 2021-03-17 2021-05-10 이승수 seedling transpla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105A (en)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30807B (en) Method for cultivating cherry seedlings
KR101269814B1 (en) the growing method of hydroponics ginseng and the system
CN108338046A (en) Growth of watermelon method
US6389751B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ing subirrigation
US20110219683A1 (en) Plant, Vegetable and Herb Growing System
CN101292627A (en) Industrial seedling raising method for vine hard branch single-bud cuttage
CN107517799B (en) Method for raising seedlings of scandent dark urine greenhouse container
CN107182686A (en) A kind of yield-increasing cultivation method of peach
KR102700846B1 (en) A Crop Cultivation Pot
CN101861809A (en) Soil-retaining water-saving method for planting trees in gravel land in dry and hot area
KR200443043Y1 (en) The blueberry-growing pot using flower foam
KR101158719B1 (en) The supply of water available prefabricated container seedlings grown
CN103026888A (en) Plant cultivation methods, cultivation modules and commercial uses thereof
US10849288B2 (en) Cultivation system
KR102675349B1 (en) A Manufacturing System for Crop Cultivation Pot
CN106613822A (en) Planting method for organic fruit and vegetable
CN107821340B (en)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diaphorina citri
CN103004353A (en) Method for cultivating plants on basis of feeding nutrition liquid through capillary force
CN103535207B (en) A kind of planter
RU2535739C1 (en) Method of growing green fodder mass on substrate
CN208370564U (en) Multifunctional lighting plants pallet assembly
CN2432777Y (en) Nested water cultivating pot
KR101759179B1 (en) Removable growth bed system for cultivating ginseng
KR102218756B1 (en) Landscaping tree production method using container
CN109258336A (en) A kind of plantation of organic vegetable and preserv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