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378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378B1
KR102673378B1 KR1020210142385A KR20210142385A KR102673378B1 KR 102673378 B1 KR102673378 B1 KR 102673378B1 KR 1020210142385 A KR1020210142385 A KR 1020210142385A KR 20210142385 A KR20210142385 A KR 20210142385A KR 102673378 B1 KR102673378 B1 KR 102673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or
terminal
lance
tab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8773A (ko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378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조립 및 설치 시 와이어가 당겨지더라도 탭 터미널과 소켓 터미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체결 시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터미널과 탭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 터미널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1콘택트와, 와이어가 압착되는 제1바렐과, 상기 소켓 터미널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1란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탭 터미널은,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제2콘택트와, 와이어가 압착되는 제2바렐과, 상기 탭 터미널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란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탭 터미널과 소켓 터미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전원과 전장품 또는 전장품과 전장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로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메일(또는 플러그) 커넥터와 피메일(또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메일 커넥터와 피메일 커넥터로 구성된 커넥터 조립체는 모듈화된 다양한 종류의 부품을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어 전기ㅇ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커넥터 조립체를 살펴보면, 체결 및 분리 가능한 메일 커넥터(1)와 피메일 커넥터(2)를 포함한다.
메일 커넥터(1)와 피메일 커넥터(2)는, 커넥터(1,2)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20)과, 하우징(10,20)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미널(30,40)과, 터미널(30,40)을 지지하는 리어홀더(50,6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중 터미널(30,40)은 커넥터(1,2)의 체결 시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탭 터미널(30)과 소켓 터미널(40)로 이루어진다.
탭 터미널(30)과 소켓 터미널(40)은, 커넥터(1,2)의 체결 시 접촉되는 콘택트(32,42)와, 와이어(70,80)가 압착되는 바렐(34,44)과, 터미널(30,40)의 밀림 등을 방지하는 란스(36,46)로 이루어진다.
이때, 탭 터미널(30)의 콘택트(32)는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소켓 터미널(40)의 콘택트(42)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탭 터미널(30)과 소켓 터미널(40)의 란스(36,46)는 서로 반대방향, 즉 탭 터미널(30)의 란스(36)는 하향으로 돌출되고, 소켓 터미널(40)의 란스(46)는 상향으로 돌출된다.
그런데 상술한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는 와이어(70,80)가 강하게 당겨질 경우 터미널(30,40)이 란스(36,4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콘택트(32,42) 사이가 벌어지며 접촉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예를 들어, 탭 터미널(30)에 연결된 와이어(70)를 당길 경우 콘택트(32)가 란스(36)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소켓 터미널(40)에 연결된 와이어(80)를 당길 경우 콘택트(42)가 란스(46)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탭 터미널(30)과 소켓 터미널(30,40)의 콘택트(32,42) 사이가 벌어져 단락 등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넥터의 조립 및 설치 시 와이어가 당겨지더라도 탭 터미널과 소켓 터미널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체결 시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켓 터미널과 탭 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 터미널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1콘택트와, 와이어가 압착되는 제1바렐과, 상기 소켓 터미널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1란스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탭 터미널은,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제2콘택트와, 와이어가 압착되는 제2바렐과, 상기 탭 터미널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란스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소켓 터미널은 와이어를 당길 경우 상기 제1란스를 중심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탭 터미널은 와이어를 당길 경우 상기 제2란스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소켓 터미널 또는/및 탭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길 경우 소켓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대 회전하므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1콘택트와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제2콘택트 사이가 벌어질 우려가 없어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와이어 당김에 의해 소켓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경우 제1콘택트와 제2콘택트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터미널의 접촉 성능 및 접촉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200)는, 제1커넥터(100)와, 제1커넥터(100)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커넥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제1커넥터(100)는 피메일 커넥터인 제2커넥터(200)에 삽입 및 체결되는 메일 커넥터이다.
이러한 제1커넥터(100)는, 제1커넥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110)과,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소켓 터미널(120)과, 제1하우징(11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리어홀더(130)로 구성된다.
제1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소켓 터미널(120)의 설치를 위한 제1장착공간(112)이 형성된다. 제1장착공간(112)은 제1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하우징(110)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로 구성된다. 이때, 제1장착공간(112)의 전단과 후단은 모두 개방되되, 후단은 제1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제1리어홀더(130)에 의해 밀폐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공간(112)의 바닥에는 제1걸림턱(114)이 형성되며, 제1걸림턱(114)에는 소켓 터미널(120)의 제1란스(126)가 걸려 고정된다.
한편, 제1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잠금 레버(116)가 마련된다. 잠금 레버(116)는 커넥터 조립체(100,200)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커넥터 조립체(100,2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또한, 제1하우징(110)의 상면, 잠금 레버(116)의 양측에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체결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118)가 형성된다.
소켓 터미널(120)은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체결 시 탭 터미널(220)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이다.
이러한 소켓 터미널(120)은, 기계/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1콘택트(122)와, 와이어(140)가 압착되는 제1바렐(124)과, 소켓 터미널(120)의 고정을 위한 제1란스(126)으로 이루어진다.
제1콘택트(122)는 후술한 제2콘택트(2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파이프 형상이며, 그 단면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콘택트(122)의 단면을 △자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와이어(140)의 당김에 의한 소켓 터미널(120)의 회전 시 제2콘택트(222)와의 사이가 벌어질 우려가 없으며, 특히 제2콘택트(222)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터미널(120,220)의 접촉 성능 및 접촉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란스(126)는 소켓 터미널(12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외팔편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1란스(126)의 단부는 제1장착공간(112)의 바닥에 형성된 제1걸림턱(114)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제1하우징(110)에 소켓 터미널(120)을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어(140)를 당기면, 소켓 터미널(120)은 제1걸림턱(114)에 걸려 고정된 제1란스(126)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제2커넥터(200)는 메일 커넥터인 제1커넥터(100)가 삽입 및 체결되는 피메일 커넥터이다.
이러한 제2커넥터(200)는, 제2커넥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탭 터미널(220)과, 제2하우징(21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리어홀더(230)로 구성된다.
제2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1하우징(110)의 전단이 삽입되는 수용공간(212)과, 탭 터미널(220)의 설치를 위한 제2장착공간(214)이 형성된다. 제2장착공간(214)은 제2하우징(210)의 폭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로 구성된다. 이때, 제2장착공간(214)의 전단은 수용공간(212) 측으로 개방되며, 후단은 제2하우징(210)의 후단 측으로 개방되되, 후단은 제2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제2리어홀더(230)에 의해 밀폐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장착공간(214)의 바닥에는 제2걸림턱(216)이 형성되며, 제2걸림턱(216)에는 탭 터미널(220)의 제2란스(226)가 걸려 고정된다.
한편, 제2하우징(210)의 상면에는 커넥터 조립체(100,200)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편(218)이 마련되고, 잠금편(218)의 양측에는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체결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29)이 형성된다.
탭 터미널(220)은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체결 시 소켓 터미널(120)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이다.
이러한 탭 터미널(220)은, 기계/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제2콘택트(222)와, 와이어(240)가 압착되는 제2바렐(224)과, 탭 터미널(220)의 고정을 위한 제2란스(226)으로 이루어진다.
제2콘택트(222)는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제2콘택트(222)를 V자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와이어(240)의 당김에 의한 탭 터미널(220)의 회전 시 제1콘택트(122)와의 사이가 벌어질 우려가 없으며, 특히 제1콘택트(122)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터미널(120,220)의 접촉 성능 및 접촉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란스(226)는 탭 터미널(220)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외팔편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2란스(226)의 단부는 제2장착공간(214)의 바닥에 형성된 제2걸림턱(216)에 걸려 고정된다.
따라서, 제2하우징(210)에 탭 터미널(220)을 설치한 상태에서 와이어(240)를 당기면, 탭 터미널(220)은 제2걸림턱(216)에 걸려 고정된 제2란스(22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200)는, 와이어(140 또는/및 240)를 당길 경우 소켓 터미널(120)과 탭 터미널(2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대 회전함으로써,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접촉 성능 및 접촉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커넥터(100)의 와이어(140)와 제2커넥터(200)의 와이어(240)를 당길 경우, 소켓 터미널(120)은 제1걸림턱(114)에 걸려 고정된 제1란스(126)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탭 터미널(220)은 제2걸림턱(216)에 걸려 고정된 제2란스(226)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콘택트(122)와 제2콘택트(222)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므로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소켓 터미널(120)이 고정된 상태에서 탭 터미널(220)만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1콘택트(122)와 제2콘택트(222)의 형상에 의해 접촉면적이 넓어져 터미널(120,220)의 접촉 성능 및 접촉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제1커넥터 110: 제1하우징
120: 소켓 터미널 130: 제1리어홀더
200: 제2커넥터 210: 제2하우징
220: 탭 터미널 230: 제2리어홀더

Claims (5)

  1.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체결 시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제1커넥터는, 소켓 터미널과, 상기 소켓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소켓 터미널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1콘택트와, 와이어가 압착되는 제1바렐과, 하부로 돌출된 제1란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소켓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장착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제1란스가 걸려 고정되는 제1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는, 탭 터미널과, 상기 탭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탭 터미널은,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제2콘택트와, 와이어가 압착되는 제2바렐과, 하부로 돌출되는 제2란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탭 터미널이 설치되는 제2장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장착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제2란스가 걸려 고정되는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콘택트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자 형상이고, 상기 제2콘택트는 상부로 갈수록 벌어지는 V자 형상이되, 상기 제1콘택트의 양측 내벽에는 밀착돌기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소켓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길 경우 상기 제1란스가 상기 제1걸림턱에 걸려 상기 소켓 터미널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탭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길 경우 상기 제2란스가 상기 제2걸림턱에 걸려 상기 탭 터미널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콘택트가 상기 제1콘택트의 상기 밀착돌기에 접촉하여 접촉 성능 및 접촉 유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란스는 상기 소켓 터미널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외팔편이고,
    상기 제2란스는 상기 탭 터미널의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이격되는 외팔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42385A 2021-10-25 2021-10-25 커넥터 조립체 KR102673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85A KR102673378B1 (ko) 2021-10-25 2021-10-25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385A KR102673378B1 (ko) 2021-10-25 2021-10-25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773A KR20230058773A (ko) 2023-05-03
KR102673378B1 true KR102673378B1 (ko) 2024-06-10

Family

ID=8638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385A KR102673378B1 (ko) 2021-10-25 2021-10-25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3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9442A (ja) 2005-11-25 2007-06-14 Hitachi Cable Ltd 電気接続端子
JP2020115449A (ja) 2019-01-15 2020-07-30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Tyco Electronics AMP Korea Co.,Ltd 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を含む家庭用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16504U1 (de) * 1994-10-21 1995-12-07 Whitaker Corp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hoher Dichte
JP2003036910A (ja) * 2001-07-19 2003-02-07 Yazaki Corp コネクタ端子
KR20200050859A (ko) * 2018-11-02 2020-05-12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9442A (ja) 2005-11-25 2007-06-14 Hitachi Cable Ltd 電気接続端子
JP2020115449A (ja) 2019-01-15 2020-07-30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Tyco Electronics AMP Korea Co.,Ltd コネクタアセンブリ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を含む家庭用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773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0064B2 (ja)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CN108258484B (zh) 电连接器及其组合
CN102185220B (zh) 卡缘连接器
EP2456018B1 (en) Waterproof structure
JP5563837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102904129B (zh) 同轴型电连接器及同轴型电连接器组合体
US11336040B2 (en) Conductive terminal with clamping portion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JP2006190685A (ja) パネル取付け用電気コネクタ
US3633152A (en) Box edge electrical connector
EP2677606B1 (en) Latching structure for shielded connector
US10819071B2 (en) Connector structure that is reconfigurable to accommodate either an STP cable or a UTP cable
JP6627599B2 (ja) 基板用防水コネクタ及び基板付きコネクタ
JP2004039622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TW201121168A (en) Method of installing antenna and coaxial connector
US20070059973A1 (en) Hot plug wire contact and connector assembly
US10879633B2 (en)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CN109037994A (zh) 连接器
TW201611430A (zh) 電連接器組合
US6811450B1 (en) Electrical receptacle-type terminal
US8491332B1 (en) Slim C5/C6 coupler
CN206271979U (zh) 一种电连接器
US7153171B1 (en) Lamp socket with stabilizing features
KR102673378B1 (ko) 커넥터 조립체
US5910031A (en) Wire to board connector
KR200437689Y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