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763B1 - 설비 보관용 챔버 - Google Patents

설비 보관용 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763B1
KR102672763B1 KR1020230176642A KR20230176642A KR102672763B1 KR 102672763 B1 KR102672763 B1 KR 102672763B1 KR 1020230176642 A KR1020230176642 A KR 1020230176642A KR 20230176642 A KR20230176642 A KR 20230176642A KR 102672763 B1 KR102672763 B1 KR 102672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gasket
chamber
connection
equipmen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진
나상만
정성훈
Original Assignee
비앤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에스(주) filed Critical 비앤에스(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셀을 이송하는 설비를 내부에 보관하기 위해 내부에 기체가 충전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에 관한 것으로, 설비 보관용 챔버에 있어서, 설비 보관용 챔버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로파일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로파일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프로파일부, 상기 제1 프로파일, 상기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의 각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프로파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파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프로파일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설비 보관용 챔버{CHAMBER FOR STO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설비 보관용 챔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체 에너지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태양광 발전에 관한 기술들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 제조 공정 중 태양광 셀을 제조 하는 공정은 매우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이다.
태양광 셀은 폴리실리콘 등의 재료를 가공하여 잉곳을 생산한 후, 잉곳을 절단 가공하여 생산한다. 잉곳이 절단 가공되어 생산된 셀은 이후의 제조 공정을 위한 이동을 위해 카세트에 적재된다.
가공된 셀은 카세트에 적재되어 각각의 제조 공정을 거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공된 셀은 세정 및 건조 공정을 거친 후 증착 공정에 투입된다. 이때 절단 가공된 셀이 대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를 만나게 되면, 셀의 산화가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셀의 산화는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그러므로, 태양광 셀의 표면에 각종 물질들의 증착이 마무리 될 때 까지는 태양광 셀 표면의 산화 방지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태양광 셀을 이동시키는 설비 전체의 외곽을 감싸는 챔버를 만들고 그 내부에는 질소와 같은 기체를 충전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챔버는 매우 대형일 수 있다. 따라서, 챔버 이송의 편의를 위해 분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챔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분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내부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설비 보관용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설비 보관용 챔버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로파일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로파일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프로파일부, 상기 제1 프로파일, 상기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의 각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프로파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파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프로파일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은 상하 방향 길이 및 전후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은 상하 방향 길이 및 좌우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프로파일은 좌우 방향 길이 및 전후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좌우 방향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제3 프로파일의 전후 방향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제3 프로파일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상하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 바디 및 상기 연결부 바디 및 상기 가스켓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삽입부재,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삽입부재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3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삽입부재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삽입부재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한 쌍의 상기 제3 삽입부재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연결부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 영역 및 상기 걸림 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로파일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 바디의 관통 홀을 관통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영역은, 상기 돌출 영역에 비해 직경이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 바디 중 상기 관통 홀이 형성되는 면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걸림 영역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은 상기 관통 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 바디 중 상기 제1 프로파일을 바라보는 벽을 제1 벽이라 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벽의 상하 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프로파일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부는,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1 프로파일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스켓은, 제1 가스켓 바디 및 상기 제1 가스켓 바디 중 상기 제1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돌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좌우 벽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좌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프로파일의 좌우 벽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좌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바디 중 상기 제1 벽과 마주 보는 벽을 제2 벽이라 할 때, 상기 제2 벽에는, 상기 제2 좌우 삽입홈 및 상기 제3 좌우 삽입홈과 서로 연결되는 L자형의 제1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설비 보관용 챔버는, 상기 제2 좌우 삽입홈, 상기 제3 좌우 삽입홈 및 상기 제1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프로파일, 상기 제3 프로파일 및 상기 제2 벽과 상기 커버부의 사이를 기밀하는 제1 기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가스켓부는, 가스켓 바디 및 상기 가스켓 바디로부터 상기 프로파일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프로파일부에 삽입되는 보조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보조 삽입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 바디의 코너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 바디는, 상하 방향 길이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상하 방향 길이와 대응되고, 좌우 방향 길이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좌우 방향 길이와 대응되고, 전후 방향 길이가 상기 제3 프로파일의 전후 방향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 상기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은 각각 4개씩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8개 구비되어, 육면체 형태를 정의하고, 커버부는 5개 구비되어 상기 육면체의 면들 중 5개의 면을 커버하고, 상기 설비 보관용 챔버는, 상기 프로파일부에 의해 정의되는 육면체의 면들 중 남은 1개의 면 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커버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도어부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를 회전시키게 마련되는 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경첩은, 상기 프로파일부 중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프로파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프로파일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 바디로부터 상기 프로파일부를 향해 돌출되는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부는, 가스켓 바디 및 상기 가스켓 바디 중 상기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내부에 배치되는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프로파일부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는 L자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비 보관용 챔버는, 상기 삽입홈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파일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를 기밀하는 사각형의 기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프로파일, 상기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내부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 및 기밀부를 포함하므로 이동성이 좋아지면서도 기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보관용 챔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커버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어부 및 받침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연결부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삽입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가스켓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연결부에 삽입부재와 가스켓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프로파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서 프로파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보관용 챔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커버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어부 및 받침부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연결부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삽입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가스켓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연결부에 삽입부재와 가스켓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프로파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7에서 프로파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보관용 챔버는 태양광 셀을 이송하는 설비를 내부에 보관하기 위해 내부에 기체가 충전되는 챔버일 수 있다. 기체는 질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위치한 태양광 셀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반응성이 낮은 기체 중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챔버는 태양광 셀 이외에도 산화를 방지해야 하는 대상물이 있다면 이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써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지칭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은 설비 보관용 챔버가 배열된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며, 상하방향이라 하여 반드시 연직방향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설비 보관용 챔버는 도 1과 같이 받침대의 상측에 안착될 수도 있고, 지면에 놓여질 수도 있다.
설비 보관용 챔버는 프로파일부(100), 연결부(200), 커버부(300) 및 가스켓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부(100)는 제1 프로파일(110), 제2 프로파일(120) 및 제3 프로파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11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프로파일(12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프로파일(1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110), 제2 프로파일(120) 및 제3 프로파일(130)은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 중 어느 하나씩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110), 제2 프로파일(120) 및 제3 프로파일(130)은 각각 4개씩 구비될 수 있다.
프로파일부(10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따라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의 선택이 가능할 수 있다.
연결부(200)는 제1 프로파일(110), 제2 프로파일(120) 및 제3 프로파일(130)의 각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직육면체의 꼭지점과 대응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8개 구비되어, 제1 프로파일(110), 제2 프로파일(120) 및 제3 프로파일(130)과 함께 육면체 형태를 정의할 수 있다.
커버부(300)는 프로파일부(100)에 결합되어, 프로파일부(100)를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한다 함은,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프로파일부(100)가 커버부(300)의 바라보는 방향 측에 배치되어 일부가 중첩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커버부(300)는 5개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300)는 프로파일부(100) 및 연결부(200)에 의해 정의된 육면체의 면들 중 5개의 면을 커버할 수 있다. 남은 1개의 면은 후술할 도어부(600)가 커버할 수 있다.
커버부(3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부(300)는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투명한 재질의 범위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커버부(30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별도의 관찰을 위한 투시창 등의 존재 없이도 내부의 관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가스켓부(400)는 프로파일부(100)의 단부와 연결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부(400)는 표면에 요철(40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부(400)는 프로파일부(100)의 단부와 연결부(200) 사이로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해하고, 외부의 공기가 프로파일부(1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상술한다.
<프로파일부(100)>
제1 프로파일(110)은 상하 방향 길이 및 전후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프로파일(110)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전후 방향 길이의 2배일 수 있다.
제2 프로파일(120)은 상하 방향 길이 및 좌우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프로파일(120)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하 방향 길이의 2배일 수 있다.
제3 프로파일(130)은 좌우 방향 길이 및 전후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프로파일(130)의 좌우 방향 길이는 전후 방향 길이의 2배일 수 있다.
제1 프로파일(110)의 전후 방향 길이는, 제2 프로파일(120)의 좌우 방향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프로파일(120)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제3 프로파일(130)의 전후 방향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제3 프로파일(130)의 좌우 방향 길이는, 제1 프로파일(110)의 상하 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110), 제2 프로파일(120) 및 제3 프로파일(13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200)>
연결부(200)는 연결부 바디(201) 및 삽입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 바디(20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 바디(201)는, 상하 방향 길이가 제1 프로파일(110)의 상하 방향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바디(201)는 좌우 방향 길이가 제2 프로파일(120)의 좌우 방향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 바디(201)는 전후 방향 길이가 제3 프로파일(130)의 전후 방향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삽입부재(202)는 연결부 바디(201) 및 가스켓부(400)를 관통할 수 있다. 삽입부재(202)는 제1 내지 제3 프로파일(13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단부에 삽입된다 함은, 나머지 프로파일에 삽입부재(202)가 삽입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삽입부재(202)가 여러 개의 프로파일에 동시에 삽입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모든 삽입부재(202)는 제1 내지 제3 프로파일(13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삽입된다.
삽입부재(202)는 걸림 영역(202') 및 돌출 영역(202'')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영역(202')은 연결부 바디(201)의 내부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돌출 영역(202'')은 걸림 영역(202')으로부터 프로파일부(100)를 향해 돌출되어, 연결부 바디(201)의 관통 홀(203)을 관통하는 영역일 수 있다. 걸림 영역(202')은, 돌출 영역(202'')에 비해 직경이 클 수 있다.
연결부 바디(201) 중 관통 홀(203)이 형성되는 면의 마주보는 면에는 통과 홀(204)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 홀(204)의 직경은 걸림 영역(202')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통과 홀(204)은 관통 홀(203)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202)는 통과 홀(204)이 관통 홀(203)을 바라보는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재(202)는, 제1 삽입부재(202a), 제2 삽입부재(202b) 및 제3 삽입부재(20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재(202a)는 제1 프로파일(110)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삽입부재(202a)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삽입부재(202a)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삽입부재(202b)는 제2 프로파일(120)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삽입부재(202b)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삽입부재(202b)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3 삽입부재(202c)는 제3 프로파일(130)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삽입부재(202c)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삽입부재(202c)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프로파일부(100)를 향해 돌출되는 끼움돌기(20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부(400)는, 가스켓 바디(401) 및 끼움홈(403)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홈(403)은 가스켓 바디(401) 중 끼움돌기(206)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끼움돌기(206)가 내부에 배치되는 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부 바디(201) 중 제1 프로파일(110)을 바라보는 벽을 제1 벽(210)이라 하고, 연결부 바디(201) 중 제1 벽(210)과 마주 보는 벽을 제2 벽(220)이라 한다. 또한, 연결부 바디(201) 중 제2 프로파일(120)을 바라보는 벽을 제3 벽(230)이라 하고, 연결부 바디(201) 중 제3 벽(230)과 마주 보는 벽을 제4 벽(240)이라 한다. 또한, 연결부 바디(201) 중 제3 프로파일(130)을 바라보는 벽을 제5 벽(250)이라 하고, 연결부 바디(201) 중 제5 벽(250)과 마주 보는 벽을 제6 벽(260)이라 한다.
일 예로 연결부(200)는 제1 끼움돌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돌기(21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끼움돌기(211)는 제1 벽(210)의 상하 방향 단부로부터 제1 프로파일(11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0)는 제2 끼움돌기(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끼움돌기(23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끼움돌기(231)는 제3 벽(230)의 좌우 방향 단부로부터 제2 프로파일(1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00)는 제3 끼움돌기(2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끼움돌기(25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3 끼움돌기(251)는 제5 벽(250)의 좌우 방향 단부로부터 제3 프로파일(13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가스켓부(400)는, 제1 가스켓(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스켓(410)은 제1 벽(210)과 제1 프로파일(110) 사이에 끼워지는 가스켓일 수 있다.
제1 가스켓(410)은, 제1 가스켓 바디(411) 및 제1 끼움홈(4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끼움홈(412)은 제1 가스켓 바디(411) 중 제1 끼움돌기(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제1 끼움돌기(211)가 내부에 배치되는 홈일 수 있다.
또한, 가스켓부(400)는, 제2 가스켓(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스켓(420)은 제3 벽(230)과 제2 프로파일(120) 사이에 끼워지는 가스켓일 수 있다.
제2 가스켓(420)은, 제2 가스켓 바디(421) 및 제2 끼움홈(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끼움홈(422)은 제2 가스켓 바디(421) 중 제2 끼움돌기(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제2 끼움돌기(231)가 내부에 배치되는 홈일 수 있다.
또한, 가스켓부(400)는, 제3 가스켓(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스켓(430)은 제5 벽(250)과 제3 프로파일(130) 사이에 끼워지는 가스켓일 수 있다.
제3 가스켓(430)은, 제3 가스켓 바디(431) 및 제3 끼움홈(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끼움홈(432)은 제3 가스켓 바디(431) 중 제3 끼움돌기(251)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제3 끼움돌기(251)가 내부에 배치되는 홈일 수 있다.
제1 가스켓(410), 제2 가스켓(420) 및 제3 가스켓(43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스켓부(400)>
가스켓부(400)는, 보조 삽입부재(4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삽입부재(404)는 가스켓 바디(401)로부터 프로파일부(100)를 향해 돌출되어 프로파일부(100)에 삽입되는 부재일 수 있다.
보조 삽입부재(202)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가스켓 바디(401)의 코너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 삽입부재(404)는 하나의 가스켓 바디(401)에 4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를 위해 프로파일부(100)는 한 쌍의 삽입부재(202)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 홀(101)과, 4개의 보조 삽입부재(404)가 삽입되는 4개의 보조 삽입 홀(102)을 구비할 수 있다.
<기밀부(5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보관용 챔버는 기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밀부(500)는 프로파일부(100) 및 연결부(200)와 커버부(300)의 사이를 기밀하는 부분일 수 있다.
프로파일부(100)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0)에는 삽입홈(103)과 연통되는 L자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기밀부(500)는 삽입홈(103) 및 홈에 삽입되어 프로파일부(100) 및 연결부(200)와 커버부(30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기밀부(500)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밀부(500)의 각 코너부분들은 L자형의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110)의 상하 벽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상하 삽입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로파일(110)의 전후 벽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전후 삽입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파일(120)의 좌우 벽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좌우 삽입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파일(120)의 상하 벽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상하 삽입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로파일(130)의 좌우 벽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좌우 삽입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로파일(130)의 전후 벽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전후 삽입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벽(220)에는, 제2 좌우 삽입홈(103) 및 제3 좌우 삽입홈(103)과 서로 연결되는 L자형의 제1 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벽(240)에는, 제1 전후 삽입홈(103) 및 상기 제3 전후 삽입홈(103)과 서로 연결되는 L자형의 제2 홈(2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6 벽(260)에는, 제1 상하 삽입홈(103) 및 상기 제2 상하 삽입홈(103)과 서로 연결되는 L자형의 제3 홈(261)이 형성될 수 있다.
기밀부(500)는 제1 기밀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밀부재(510)는 제2 좌우 삽입홈(103), 제3 좌우 삽입홈(103) 및 제1 홈(221)에 삽입되어, 제2 프로파일(120), 제3 프로파일(130) 및 제2 벽(220)과 커버부(30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제1 기밀부재(510)의 코너들은 제1 홈(22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기밀부(500)는 제2 기밀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밀부재(520)는 제1 전후 삽입홈(103), 제3 전후 삽입홈(103) 및 제2 홈(241)에 삽입되어, 제1 프로파일(110), 제3 프로파일(130) 및 제4 벽(240)과 커버부(30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제2 기밀부재(520)의 코너들은 제2 홈(24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기밀부(500)는 제3 기밀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밀부재(530)는 제1 상하 삽입홈(103), 제2 상하 삽입홈(103) 및 제3 홈(261)에 삽입되어, 제1 프로파일(110), 제2 프로파일(120) 및 제6 벽(260)과 커버부(300)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제3 기밀부재(530)의 코너들은 제3 홈(261)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도어부(6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보관용 챔버는 도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600)는 프로파일부(100)에 의해 정의되는 육면체의 면들 중 남은 1개의 면 측에 형성되는 개구(OP)를 커버할 수 있다. 개구(OP)는 제1 프로파일(110) 및 제3 프로파일(1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어부(600)는, 도어 바디(610) 및 경첩(620)을 포함할 수 있다. 경첩(620)은 도어 바디(610)를 회전시키게 마련될 수 있다. 경첩(620)은 프로파일부(100) 중 개구(OP)를 정의하는 프로파일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경첩(620)은 제3 프로파일(13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보관용 챔버는 도어부(600)가 개구(OP)를 폐쇄할 때 도어부(600)와 맞물려 도어부(600)와 개구(OP)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도어 가스켓(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가스켓(700)은 개구(OP)를 정의하는 프로파일부(100)의 내측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 가스켓(700)은 개구(OP)를 정의하는 프로파일부(100)의 내측에 결합되는 도어 가스켓 고정부(7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어 가스켓(700)은 도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로파일부
101: 삽입 홀
102: 보조 삽입 홀
103: 삽입 홈
110: 제1 프로파일
120: 제2 프로파일
130: 제3 프로파일
200: 연결부
201: 연결부 바디
202: 삽입부재
202': 걸림 영역
202'': 돌출 영역
202a: 제1 삽입부재
202b: 제2 삽입부재
202c: 제3 삽입부재
203: 관통 홀
204: 통과 홀
205: 홈
206: 끼움돌기
210: 제1 벽
211: 제1 끼움돌기
220: 제2 벽
221: 제1 홈
230: 제3 벽
231: 제2 끼움돌기
240: 제4 벽
241: 제2 홈
250: 제5 벽
251: 제3 끼움돌기
260: 제6 벽
261: 제3 홈
300: 커버부
400: 가스켓부
401: 가스켓 바디
402: 요철
403: 끼움홈
404: 보조 삽입부재
410: 제1 가스켓
411: 제1 가스켓 바디
412: 제1 끼움홈
420: 제2 가스켓
421: 제2 가스켓 바디
422: 제2 끼움홈
430: 제3 가스켓
431: 제3 가스켓 바디
432: 제3 끼움홈
500: 기밀부
510: 제1 기밀부재
520: 제2 기밀부재
530: 제3 기밀부재
600: 도어부
610: 도어 바디
620: 경첩
700: 도어 가스켓
710: 도어 가스켓 고정부
OP: 개구
P: 받침대

Claims (19)

  1. 태양광 셀을 이송하는 설비를 내부에 보관하기 위해 내부에 기체가 충전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프로파일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프로파일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프로파일부;
    상기 제1 프로파일, 상기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의 각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프로파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프로파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프로파일부의 단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부는,
    가스켓 바디; 및
    상기 가스켓 바디로부터 상기 프로파일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프로파일부에 삽입되는 보조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설비 보관용 챔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은 상하 방향 길이 및 전후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은 상하 방향 길이 및 좌우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프로파일은 좌우 방향 길이 및 전후 방향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좌우 방향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상하 방향 길이는, 상기 제3 프로파일의 전후 방향 길이와 대응되고,
    상기 제3 프로파일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상하 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 바디; 및
    상기 연결부 바디 및 상기 가스켓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설비 보관용 챔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제1 프로파일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삽입부재;
    상기 제2 프로파일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삽입부재;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의 단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3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삽입부재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삽입부재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한 쌍의 상기 제3 삽입부재는 좌우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연결부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 영역; 및
    상기 걸림 영역으로부터 상기 프로파일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 바디의 관통 홀을 관통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영역은, 상기 돌출 영역에 비해 직경이 큰, 설비 보관용 챔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바디 중 상기 관통 홀이 형성되는 면의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걸림 영역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은 상기 관통 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바디 중 상기 제1 프로파일을 바라보는 벽을 제1 벽이라 할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벽의 상하 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제1 프로파일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부는,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1 프로파일 사이에 끼워지는 제1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스켓은,
    제1 가스켓 바디; 및
    상기 제1 가스켓 바디 중 상기 제1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돌기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끼움홈을 포함하는, 설비 보관용 챔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좌우 벽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좌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 프로파일의 좌우 벽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좌우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바디 중 상기 제1 벽과 마주 보는 벽을 제2 벽이라 할 때,
    상기 제2 벽에는, 상기 제2 좌우 삽입홈 및 상기 제3 좌우 삽입홈과 서로 연결되는 L자형의 제1 홈이 형성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좌우 삽입홈, 상기 제3 좌우 삽입홈 및 상기 제1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프로파일, 상기 제3 프로파일 및 상기 제2 벽과 상기 커버부의 사이를 기밀하는 제1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삽입부재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켓 바디의 코너에 위치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3.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바디는,
    상하 방향 길이가 상기 제1 프로파일의 상하 방향 길이와 대응되고,
    좌우 방향 길이가 상기 제2 프로파일의 좌우 방향 길이와 대응되고,
    전후 방향 길이가 상기 제3 프로파일의 전후 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 상기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은 각각 4개씩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8개 구비되어, 육면체 형태를 정의하고,
    커버부는 5개 구비되어 상기 육면체의 면들 중 5개의 면을 커버하고,
    상기 프로파일부에 의해 정의되는 육면체의 면들 중 남은 1개의 면 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커버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를 회전시키게 마련되는 경첩을 포함하고,
    상기 경첩은, 상기 프로파일부 중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프로파일부에 결합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투명한 폴리 카보네이트 재질로 형성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 바디로부터 상기 프로파일부를 향해 돌출되는 끼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부는,
    가스켓 바디; 및
    상기 가스켓 바디 중 상기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가 내부에 배치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부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는 L자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파일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커버부의 사이를 기밀하는 사각형의 기밀부를 더 포함하는, 설비 보관용 챔버.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파일, 상기 제2 프로파일 및 상기 제3 프로파일은 서로 동일한 형상인, 설비 보관용 챔버.
KR1020230176642A 2023-11-20 2023-12-07 설비 보관용 챔버 KR102672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0512 2023-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2763B1 true KR102672763B1 (ko) 2024-06-10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793B1 (ko) * 2011-02-18 2013-01-25 (주)엔에스 조립식 진공챔버
KR101687955B1 (ko) * 2009-02-22 2016-12-20 마퍼 리쏘그라피 아이피 비.브이. 하전입자 리소그래피 장치 및 진공 챔버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955B1 (ko) * 2009-02-22 2016-12-20 마퍼 리쏘그라피 아이피 비.브이. 하전입자 리소그래피 장치 및 진공 챔버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방법
KR101226793B1 (ko) * 2011-02-18 2013-01-25 (주)엔에스 조립식 진공챔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3942A2 (en) Grooved type of vacuum thermal insulation material and a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6095860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family seal, and family seal
EP2690387A2 (en) Refrigerator vegetable room and a refrigerator with the same
KR102672763B1 (ko) 설비 보관용 챔버
KR20120007019A (ko) 실링 플레이트를 구비한 배터리 하우징
JP6095454B2 (ja) コネクタ
EP3413375B1 (en) Battery pack
US4029208A (en) Packaging receptacle for printed boards
JP5371016B2 (ja) コンテナ
TW201427871A (zh) 可用於同時水平地及垂直地組合之容器
KR20170081417A (ko) 냉장고
SE9504194L (sv) Kontakthus försett med tätning
KR2004006673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 유닛
JP6463145B2 (ja) 太陽電池パネルの梱包構造
JP2005158339A (ja) 燃料電池
JP2021082669A (ja) 電気機器用ケース
KR102247607B1 (ko) 에어갭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하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KR102291420B1 (ko) 수밀형 챔버
CN217876712U (zh) 一种门间防护件
JP2008084657A (ja) 燃料電池
JP2019002582A (ja) 冷蔵庫
JP2005212844A (ja) 保冷用気密容器
JP6176309B2 (ja) 断熱容器
KR102457233B1 (ko) 조립식 단열 판넬
JP3232348U (ja) 保冷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