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966B1 -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폴리플루오로화 화합물 - Google Patents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폴리플루오로화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966B1
KR102669966B1 KR1020237032203A KR20237032203A KR102669966B1 KR 102669966 B1 KR102669966 B1 KR 102669966B1 KR 1020237032203 A KR1020237032203 A KR 1020237032203A KR 20237032203 A KR20237032203 A KR 20237032203A KR 102669966 B1 KR102669966 B1 KR 10266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fluoro
pyrazolo
phenyl
equi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7499A (ko
Inventor
웨이 헤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디티알엠 바이오파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175783.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017256A/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디티알엠 바이오파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디티알엠 바이오파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Abstract

화학식 I 내지 IX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신규 폴리플루오로-치환된 피라졸로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염,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화합물 및 그의 제제를 사용하여 자가면역 질환 또는 장애, 이종면역 질환 또는 장애, 염증성 질환 및 암 또는 장애를 치료 및 억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 I>

<화학식 II>

Description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폴리플루오로화 화합물 {POLYFLUORINATED COMPOUNDS ACTING AS BRUTON'S TYROSINE KINASE INHIBITORS}
본 발명은 일련의 신규 폴리플루오로-치환된 피라졸로피리미딘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뿐만 아니라 활성 성분으로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및 그를 사용하여 BTK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일련의 신규 폴리플루오로-치환된 벤조페논 및 상응하는 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치환된 페녹시벤젠 및 상응하는 보레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BTK)는 Tec 패밀리의 구성원이고, 고유한 N-말단 도메인, 즉 플렉스트린 상동성 (PH) 도메인, Tec 상동성 (TH) 도메인, Src 상동성 3 (SH3) 도메인, Src 상동성 2 (SH2) 도메인, 및 Src 상동성 1/티로신 키나제 (SH1/TK) 또는 키나제 도메인으로도 지칭되는 촉매 도메인으로 이루어진다 (Akinleye et al.: Ibrutinib and novel BTK inhibitors in clinical development, Journal of Hematology & Oncology, 2013, 6:59). B 림프구의 정상 발생에서, 상이한 단백질 영역에서의 BTK 유전자의 정확한 발현은 B 세포의 기능 및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에서 주요 역할을 한다.
광범위한 세포 과정, 예컨대 세포 증식, 생존, 분화, 운동성, 혈관신생, 시토카인 생산 및 항원 발현을 개시하도록 하는, 성장 인자, B-세포 항원, 케모카인 및 선천성 면역 수용체를 비롯한 BTK 기능의 복수의 하류 수용체가 존재한다. 따라서, BTK는 많은 조혈 세포 신호전달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는 또한 B 세포 활성화, 발생, 생존 및 신호전달에서 중요하다 (Kurosaki, Molecular mechanisms in B cell antigen receptor signaling. Curr OP Imm, 1997, 9(3):309-18).
B 세포가 그의 면역 반응 및 염증 반응에 대한 면역 조절 효과를 갖는 것을 입증하는 증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CD20 항체 리툭시맙 (리툭산)은 B 세포를 소모시키는 단백질-기반 치료제이고,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자가항체-유발된 염증성 질환,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B 세포의 활성화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단백질 키나제는 B 세포 관련 질환에 도움이 될 것이다.
자가면역 질환에서 BTK의 역할에 대한 증거는 BTK-결핍 마우스 및 BTK-충분 마우스 모델에 의해 제공되었다 (Kil LP, et al.: Bruton's tyrosine kinase mediated signaling enhances leukemogenesis in a mouse model for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Am J Blood Res 2013, 3(1):71-83.).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의 마우스 모델에서, BTK-결핍 마우스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을 완전히 제거하고, BTK 과다발현은 백혈병을 가속하고,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공지된 BTK 억제제의 선택성은 BTK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키나제 (예컨대, ETK, EGF, BLK, FGR, HCK, YES, BRK 및 JAK3 등)를 억제함으로 인해 이상적이지 않고, 따라서 이는 더 많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보다 우수한 선택성을 갖는 억제제는 더 적은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공지된 BTK 억제제는 생체내에서, 효능에 영향을 미치고 부작용을 발생시킬 다양한 유도체를 생산한다. 공지된 BTK 억제제의 약동학은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효량의 화학식 I 또는 II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BTK 억제제를 사용하여 자가면역 질환, 이종면역 질환, 염증성 질환 및 암을 치료 또는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화학식 II>
여기서,
Ar1 및 Ar2는 독립적으로 화학식 III 및 화학식 IV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화학식 III>
<화학식 IV>
여기서,
A1, A2, A3, A4, A5, A6, A7, A8, A9 및 A10은 독립적으로 C 또는 N이고, N일 경우에 그에 연결되는 치환기는 부재하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는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카르보닐, 니트로, 시아노, 아미드 기, 저급 알킬 술폰아미드 기,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C1-C6 알킬, C1-C6 알콕실, C3-C10 시클로알킬이고; 여기서 알킬, 알콕실 또는 시클로알킬은 중수소, 할로겐, 아미노, 히드록시, 카르보닐, 니트로, 시아노, C1-C6 알킬, C1-C6 알콕실로 추가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1, R2, R3, R4, R5, R6, R7, R8, R9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중수소, 할로겐,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플루오린이고;
여기서, R6, R7, R8, R9는 피리미딘 고리의 NH2와 함께 6 내지 8원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Ar1은 독립적으로 벤조아릴 및 벤조-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치환기는 독립적으로 중수소,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카르보닐, 니트로, 시아노, 아미드 기, 저급 C1-C6 알킬, C1-C6 알콕실; C3-C10 시클로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알킬, 알콕실 또는 시클로알킬은 중수소, 할로겐, 아미노, 히드록시, 카르보닐, 니트로, 시아노, C1-C6 알킬, C1-C6 알콕실로 각각 임의로 치환되고,
Q는 O, S 또는 C(=O)이고;
M1은 포화 또는 불포화 C1-C8 탄소 쇄, C6-C10 아릴, C6-C10 아릴 C1-C6 알킬,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 알킬, 알킬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 알킬, 알킬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알킬, 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이고; 여기서 탄소 쇄,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 상의 수소 원자는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실, 시클로알콕실, 아미노, 시아노, 아미드 기 또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Y는 C(=O), NR11C(=O) 또는 S(=O)2이고;
R10, R11은 독립적으로 아미노, 시클로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옥소-헤테로시클릴,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아세틸, 아미드 기, 아실, 구아니딜,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알킬, C3-C10 시클로알킬, C1-C6 알콕실, C1-C6 옥소알킬로 나타내어질 수 있고; 여기서 아미노, 아미드 기, 아실, C2-C6 알케닐, 알킬, 알콕실 또는 시클로알킬은 중수소, 할로겐, 아미노, 히드록시, 히드록시 알킬, 카르보닐, 에스테르 기, 아미드 기,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C1-C6 알킬, C1-C6 알콕실, C1-C6 옥소알킬, C3-C10 시클로알킬로 추가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아릴 또는 헤테로-고리 상의 탄소 또는 질소에 연결된 수소 원자는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실, 시클로알콕실, 아미노, 시아노, 아미드 기 및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Ar1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으로부터 선택된다.
Q는 바람직하게는 O이고, 화학식 X 및 XI를 형성한다.
<화학식 X>
<화학식 XI>
여기서, Ar2, M1, Y 및 R10은 상기와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 Ar2는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치환된 페닐, 보다 바람직하게는
,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이고, 이에 따라 화학식 XII 및 XIII을 형성하고,
<화학식 XII>
<화학식 XIII>
여기서, M1은 포화 또는 불포화 C1-C8 탄소 쇄, 아릴, 아릴알킬, 알킬아릴, 알킬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 알킬, 알킬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알킬, 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이고; 여기서 탄소 쇄,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및 헤테로시클로알킬 상의 탄소 또는 질소 원자에 연결된 수소 원자는 알킬, 시클로알킬, 알콕실, 아미노, CN, 아미드 기 또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M1은 바람직하게는 피페리디닐 또는 피롤리디닐이고;
Y는 C(=O), NR11C(=O) 또는 S(=O)2, 바람직하게는 C(=O) 또는 NR11C(=O), 보다 바람직하게는 C(=O)이고;
R10은 아미노, 시클로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옥소-헤테로시클릴,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아세틸, 아미드 기, 아실, 구아니딜,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알킬, C3-C10 시클로알킬, C1-C6 알콕실, C1-C6 옥소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아미노, 아미드 기, 아실, C2-C6 알케닐, 알킬, 알콕실 또는 시클로알킬은 중수소, 할로겐, 아미노, 히드록시, 히드록시 알킬, 카르보닐, 에스테르 기, 아미드 기,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C1-C6 알킬, C1-C6 알콕실, C1-C6 옥소알킬, C3-C10 시클로알킬로 추가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R10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닐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 및 알키닐,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또는 헥실; 비닐, 프로페닐, 부테닐, 펜테닐 또는 헥세닐; 및 그의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용어 "히드록실"은 -OH를 갖는 기를 지칭한다.
용어 "할로겐" 또는 "할로"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아이오도를 지칭한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각각의 고리가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개 이상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함유할 수 있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탄소 고리를 지칭한다. 시클로알킬의 예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및 시클로헵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또한 나선형 고리계를 지칭하고, 여기서 시클로알킬 고리는 1개의 공통 탄소 원자를 공유한다.
용어 "헤테로시클로알킬"은 각각 N, O 및 S (이는 산화될 수 있음)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5 내지 6원 비-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고리를 지칭한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은 불포화이거나 또는 벤젠 고리와 융합될 수 있지만, 아자-가교된 시클릭 탄화수소는 포함하지 않는다. 헤테로시클로알킬은 아지리디닐,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호모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티에닐, 디히드로옥사졸릴,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 인돌리닐, 테트라히드로퀴놀릴,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 및 벤족사지닐, 바람직하게는 디히드로옥사졸릴, 옥사디아졸라닐 및 테트라히드로푸라닐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용어 "시클로아미노"는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를 갖고,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 (이는 산화될 수 있음)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상이한 헤테로원자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1개의 질소 원자가 결합되는 것인, "헤테로시클로알킬"에 의해 정의된 기의 3 내지 8원 비-방향족 시클릭 아민을 지칭한다. "시클로아미노"는 아자-가교된 시클릭 탄화수소 기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지리디닐, 아제티디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호모피페리디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아릴"은 방향족 카르보시클릭 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릴,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닐, 나프틸 및 인데닐, 가장 바람직하게는 페닐을 지칭한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질소 원자, 산소 원자 및 황 원자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헤테로원자를 갖는 1가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시클릭 기를 지칭하고, 이는 벤젠 고리와 융합될 수 있다. "헤테로아릴"은 예를 들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티에닐, 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벤즈티아졸릴, 벤족사졸릴, 인돌릴, 인다졸릴,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바람직하게는 피리다지닐, 피리딜, 피라지닐, 티아졸릴, 피라졸릴 및 티오옥사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가교된 고리 기"는 "가교된 시클릭 탄화수소 기" 및 "아자-가교된 시클릭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용어 "가교된 시클릭 탄화수소 기"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2 또는 3개의 시클로알킬 고리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 가교된 비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탄화수소 기이다. 비가교된 시클로알킬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4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가교된 비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탄화수소 기이다. 가교된 시클릭 탄화수소 기는, 예를 들어 비시클로[2.1.1]헥실, 비시클로[2.2.1]헵틸, 비시클로[2.2.2]옥틸, 비시클로[4.3.1]데실, 비시클로[3.3.1]노닐, 보르닐, 노르보르넨 기, 노르보르닐, 노르보르네닐, 6,6-디메틸-비시클로[3.1.1]헵틸, 트리시클로 부틸 및 아다만틸, 바람직하게는 아다만틸 또는 비시클로 [2.2.1] 헵틸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니트로"는 -NO2 기를 지칭한다.
용어 "아민"은 -NH2 기를 지칭하고, 이는 1, 2 또는 3개의 기, 예컨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등을 가질 수 있다.
용어 "시아노"는 -CN 기를 지칭한다.
용어 "알콕시"는 1개의 산소 원자와 연결된 알킬, 예를 들어 메톡실을 지칭하며, 여기서 산소 원자는 다른 분자 부분에 결합된다. 알콕시의 예는 메톡실, 에톡실, 프로폭실, 이소-프로폭실, n-부톡실 및 tert-부톡실을 포함한다.
용어 "아실"은 -C(=O)-알킬, -C(=O)-알케닐, -C(=O)-알키닐, -C(=O)-시클로알킬, -C(=O)-헤테로시클로알킬, -C(=O)-아릴, -C(=O)-헤테로아릴, 카르바모일, -C(=O)-C(=O)-알킬, -C(=O)-C(=O)-NH-알킬을 지칭한다. 여기서 용어 "알킬",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상기 언급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용어 "카르복실"은 -CO2H 기 또는 그의 염을 지칭한다.
용어 "트리플루로로메틸"은 -CF3 기를 지칭한다.
용어 "트리플루오로메톡시"은 -OCF3 기를 지칭한다.
용어 "트리플루오로아세틸"은 CF3C(=O)- 기를 지칭한다.
용어 "알킬 술폰아미드"는 -NR'S(=O)2R 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R은 알킬이고, R'는 수소 또는 상기와 같이 정의된 C1-C6 알킬이다.
용어 "아미드"는 -C(=O)NHR 또는 -NHC(=O)R 기를 지칭하고, 여기서 R은 상기와 같이 정의된 알킬이다.
용어 "에스테르"는 -C(=O)OR 기를 지칭하고, 여기서 R은 상기와 같이 정의된 알킬이다.
2종 이상의 용어가 조합되어, 예를 들어 "알킬아릴" 또는 "아릴알킬"로 사용되는 경우에, 여기서 각각의 용어는 상기 정의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산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된 염을 지칭하고, 비제한적 예는 (a) 산 부가염: 무기 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황산, 인산, 질산 등), 및 유기 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말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탄닌산, 파모산, 알긴산, 폴리 글루탐산, 옥시벤조산 등)의 염; (b) 염기 부가염, 금속 양이온, 예컨대 아연, 칼슘, 나트륨, 칼륨 등의 형성을 포함한다.
합성 반응식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실시양태 및 화합물을 통해 예시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화합물은 개시된 실시양태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그의 개별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합성 방법을 적극적으로 조사하고 다양한 제조 반응식을 제외시켰고 (반응식 1-3 참조), 피라졸로피리미딘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신규 방법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반응식 4-11 및 구체적 반응 실시예 참조).
하기 반응식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경로를 설명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기 반응식 및 논의에서, A1, A2, A3, A4, A5, A6, A7, A8, A9, R1, R2, R3, R4, R5, R6, R7, R8, R9, R10은 상기 정의된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반응식 1>
반응식 1은 문헌에 보고된 방법을 기초로 하여 설계되었다: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또는 3-플루오로-4-클로로-페놀) 및 3-아이오도-플루오로벤젠 (또는 3-플루오로-브로모페닐)을 염기성 조건 하에 구리 시약으로 촉매하여 1-브로모-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 (또는 1-클로로-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을 형성한 다음,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디클로로팔라듐)의 존재 하에 비스(피나콜레이토)보레이트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를 제공하였다. 생성된 보로네이트 에스테르를,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118)의 존재 하에 스즈키 반응에 의해, 치환된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과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먼저, 문헌에 보고된 방법에 따라 1-브로모-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 (또는 1-클로로-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을 합성하고, 상이한 염기 (예를 들어, 수산화칼륨, 탄산세슘), 상이한 구리 촉매 (예를 들어, 산화구리, 염화제1구리, 아이오딘화제1구리) 뿐만 아니라 상이한 용매 (예를 들어, DMSO, N-메틸피롤리돈, 1,4-디옥산)를 비롯한 상이한 반응 조건을 시도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어떠한 목적 화합물도 수득되지 않았다 (NO TM).
<반응식 2>
반응식 2는 문헌에 보고된 방법을 기초로 하여 설계되었다: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또는 3-플루오로-4-클로로-페놀) 및 3-플루오로페닐 보론산으로 1-브로모-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 (또는 1-클로로-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을 생성하고, 이어서 이를 상응하는 보로네이트 에스테르로 전환시킨 다음 목적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먼저, 문헌에 보고된 방법에 따라 1-브로모-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 (또는 1-클로로-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을 합성하고, 상이한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상이한 촉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구리) 및 상이한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를 시도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어떠한 목적 화합물도 수득되지 않았다.
<반응식 3>
반응식 3은 문헌에 보고된 방법을 기초로 하여 설계되었다: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을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2(dba)3) 및 적합한 리간드 (예를 들어, X-phos)의 존재 하에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과 반응시키고, 상응하는 보레이트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보레이트를,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118)의 존재 하에 스즈키 반응에 의해, 치환된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 피리미딘-4-아민과 반응시켜 치환된 3-플루오로페놀을 수득하고, 이것을 적합한 조건 하에 3-플루오로-브로모벤젠 (또는 2-플루오로-브로모벤젠)과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을 생성하였다. NMR, LCMS 및 생물학적 활성 데이터는 생성된 화합물이 목적 옥시알킬화 생성물이라기 보다는 아미노-알킬화 생성물임을 입증하였다.
<반응식 4>
플루오로-치환된 출발 물질 A1을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 중 염기, 예를 들어 탄산칼륨의 존재 하에 치환된 페놀 B1과 반응시켜 중간체 C1을 생성하였다. 중간체 C1을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아세트산칼륨 및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의 존재 하에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의 영향 하에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과 반응시켜 중간체 D1을 생성하였다. 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을 N-아이오도숙신이미드(NIS)와 반응시켜 중간체 F1을 수득한 다음, 적합한 조건 하에 중간체 F1 및 알콜 G1 사이에서 미츠노부 반응을 수행하여 중간체 H1을 형성하였다. 중간체 H1을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인산칼륨의 존재 하에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118의 영향 하에 보레이트 D1과 반응시켜 중간체 I1을 제공하였다. 산성 조건에서, 중간체 I1의 Boc 기를 제거하여 아민 J1을 수득하였고, 이를 친전자성 시약과 반응시켜 생성물 K1을 형성하였다.
<반응식 5>
중간체 F1 및 Boc-보호된 브로모 화합물 A2 (또는 메실레이트)를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칼륨 또는 탄산세슘)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중간체 B2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중간체 B2를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PPh3)4)의 영향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및 H2O)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스즈키 교차 커플링 반응을 통해 헤테로시클릭 보레이트 D1과 반응시켜 중간체 C2를 수득하였다. 산성 조건 하에 중간체 C2로부터 Boc 기를 제거하여 아민 D2를 수득할 수 있고, 아민 D2를 친전자성 시약과 반응시켜 생성물 E2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6>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PPh3)4)의 영향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및 H2O)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중간체 F1과 헤테로시클릭 보레이트 D1 사이에 스즈키 교차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중간체 A3을 수득할 수 있다. 중간체 F1을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세슘)의 존재 하에 Boc-보호된 브로모 화합물 A2 (또는 메실레이트)와 반응시켜 중간체 C2를 수득하였다. 산성 조건 하에 중간체 C2로부터 Boc 기를 제거하여 아민 D2를 수득할 수 있고, 이를 친전자성 시약과 반응시켜 생성물 E2를 수득하였다.
<반응식 7>
중간체 F1을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칼륨 또는 탄산세슘)의 존재 하에 Boc-보호된 브로모 화합물 B4 (또는 메실레이트)와 반응시켜 중간체 A4를 수득하였다.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및 H2O)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PPh3)4)의 영향 하에 중간체 A4와 헤테로시클릭 보레이트 D1 사이에 스즈키 교차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생성물 E2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8>
출발 물질 그리냐르 시약 A5를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브로모 (또는 클로로) 아릴 알데히드와 반응시켜 중간체 C5를 수득한 다음,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중 적합한 산화 시약 (예를 들어,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루테네이트 및 N-메틸 모르폴린 옥시드)의 영향 하에 이를 케톤 D5로 산화시켰다. 이어서 중간체 D5를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의 영향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아세트산칼륨)의 존재 하에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과 반응시켜 중간체 E5를 수득하였다.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PPh3)4)의 영향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및 H2O)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중간체 A4와 헤테로시클릭 보레이트 E5 사이에 스즈키 교차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생성물 F5를 수득하였다.
<반응식 9>
화합물 D2를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말레산 무수물과 반응시켜 중간체 A6을 수득한 다음, 이를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100℃-110℃)에서 폴리인산에 의해 고리화하여 B6을 형성하였다.
<반응식 10>
Br-치환된 출발 물질 A7을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DMF 중 염기, 예를 들어 탄산칼륨의 존재 하에 치환된 페놀 B1과 반응시켜 중간체 B7을 수득하였다. 니트로 화합물 B7을 적절한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및 물 중 적절한 환원 시약, 예를 들어 철 분말 및 염화암모늄에 의해 아민 C7로 환원시킨 다음, 아질산나트륨 및 플루오린화수소 피리딘으로 처리하여 F-치환된 중간체 D7을 생성하였다. 이어서 중간체 D7을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디클로로팔라듐(II))의 영향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중 적합한 염기 조건, 예를 들어 아세트산칼륨의 존재 하에 비스(피나콜레이토) 디보론과 반응시켜 중간체 E7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G1을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118)의 영향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인산칼륨의 존재 하에 보레이트 E7과 반응시켜 중간체 F7을 수득하였다. 산성 조건 하에 중간체 F7로부터 Boc 기를 제거하여 아민 G7을 수득할 수 있고, 이를 친전자성 시약과 반응시켜 생성물 H7을 수득하였다.
<반응식 11>
적합한 촉매 (예를 들어, Pd(PPh3)4)의 영향 하에 적합한 용매 (예를 들어, 1,4-디옥산 및 H2O) 중 적합한 염기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의 존재 하에 중간체 A4와 헤테로시클릭 보레이트 E7 사이에 스즈키 교차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생성물 A8을 수득하였다.
BTK를 억제하는데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화합물의 활성 데이터
본 발명은 화학식 I 내지 XIII의 화합물,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내지 XIII의 화합물은 1개 이상의 안정성 동위원소 또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동위원소는 2H, 3H, 13C, 14C, 15N, 18O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먼저 1H의 동위원소인 2H를 BTK 억제제 내로 도입한다.
화학식 I 내지 XIII의 화합물의 비닐 기의 이중 결합의 말단에 존재하는 1H을 2H로 대체하여 이중 결합의 산화/환원에 의해 유발되는 약물 불활성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 내지 XIII의 화합물,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및 그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BTK의 활성을 조절하고, BTK의 활성과 연관된 질환을 치료하거나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BTK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제약 활성 성분으로서 화학식 I 내지 XIII의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바람직하지 않은 시토카인 신호전달에 의해 유발되는 이들 질환은 하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1)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 갑상선기능항진증,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중증 근무력증, 만성 궤양성 결장염, 만성 위축성 위염과 연관된 악성 빈혈, 굿패스쳐 증후군, 심상성 천포창, 유천포창,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다발성 뇌척수 경화증, 급성 특발성 신경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전신 혈관염, 경피증, 천포창, 혼합 결합 조직 질환,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궤양성 결장염 등.
(2) 과민성 질환, 예컨대 혈청병,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약물 알레르기 등.
(3) 염증성 질환, 예컨대 각막염, 비염, 구내염, 볼거리, 인두염, 편도염, 기관염, 기관지염, 폐렴, 심근염, 위염, 위장염, 담낭염, 충수염 등.
(4) 다양한 B-세포 악성종양 (소림프구성 림프종 (SL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미만성 대 B-세포 림프종 (DLBCL), 다발성 골수종, 발덴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 (WM), 여포성 림프종 (FL) 및 외투 세포 림프종 (MCL) 포함)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암 및 BTK 활성의 억제로부터 이익을 얻는 다른 질환.
BTK 활성의 억제로부터 이익을 얻는 다른 질환은 뇌 종양, 방광암, 위암, 난소암, 췌장암, 유방암,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결장직장암, 신장암, 식도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골암, 피부암, 결장암, 여성 생식관 종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MM), 고환암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의 방법은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표준 제약 실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 (BTK 억제제)는 단독으로, 1종 이상의 추가의 약물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BTK 억제제 및 추가의 약물을 포함하는 제약 제제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경로 및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본원의 추가의 약물은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예를 들어, 악시티닙, 다사티닙, 이코티닙),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토포테칸), 단백질 키나제 C 억제제 (예를 들어, AEB-071), 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수용체 효능제 (예를 들어, 핑골리모드, KRP-203 등), 항-T 세포 이뮤노글로불린 (예를 들어, 아트감(AtGam)), 항-IL-2 수용체 항체 (예를 들어, 다클리주맙), 아미드 (CTX), 이포스파미드 (IFO), 아드리아마이신 (ADM), 다우노루비신 (DNR), 빈크리스틴 (VCR), 빈블라스틴 (VBL), 에토포시드 (VP16), 베르미어 (부몬), 카르보플라틴 (CBP) 및 메토트렉세이트 (MTX) 시클로스포린 A, 타크롤리무스, 시롤리무스, 에베롤리무스, 아자티오프린, 브레퀴나르, 레플루노미드, LEA-29Y, 항-CD3 항체 (예를 들어, 0KT3), 아스피린, B7-CD28 차단 분자 (예를 들어, 벨라타셉트, 아바타셉트 등), CD40-CD154 차단 분자 (항-CD40 항체 등),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피록시캄, 및 항염증 스테로이드 (예를 들어, 프레드니솔론 또는 덱사메타손)를 포함한다 (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제약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다른 첨가제가 활성 성분으로서 1 또는 2종 또는 그 초과의 화학식 I 내지 X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투여 형태는 경구 투여 형태, 예컨대 정제, 환제, 캡슐, 과립, 분말, 에멀젼, 시럽, 현탁액, 액체 제제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 예컨대 정맥내 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 좌제, 피하 작용제, 경피 작용제, 비강 작용제, 흡입제일 수 있다. 화합물의 용량을 적절하게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환자의 증상, 연령, 성별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의 경우에, 화합물의 성인 환자를 위한 1일 용량은 약 0.001 mg/kg 내지 100 mg/kg으로, 단일 용량이거나, 또는 1일에 2 내지 4회로 나뉘어진다. 환자 증상에 따른 정맥내 투여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성인 환자를 위한 1일 용량은 0.0001 mg/kg 내지 10 mg/kg, 1일에 1회 내지 그 초과회이다. 또한, 흡입제 투여를 사용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성인 환자를 위한 1일 용량은 0.0001 mg/kg 내지 1 mg/kg, 1일에 1회 내지 그 초과회이다.
본 발명에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조성물은 정제, 분말, 과립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조성물에서, 1종 이상의 활성 물질 및 적어도 1종의 불활성 부형제 (예를 들어, 락토스, 만니톨, 글루코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전분, 폴리 비닐 피롤리돈,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등)이 혼합된다. 통상적인 방법에 따르면, 조성물은 불활성 첨가제, 예컨대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붕해제 (예를 들어,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및 용해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정제 또는 환제는 당 코팅제 또는 위 또는 장용 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에멀젼, 용액, 현탁액, 시럽, 엘릭시르, 및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어, 정제수, 에탄올)를 포함한다. 불활성 희석제에 더하여,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 예컨대 가용화제, 습윤제, 현탁화제 및 감미제, 향미제, 향료제 및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는 멸균 수성 또는 비-수성 액체 제제, 현탁액 및 에멀젼을 포함한다. 수용액을 위한 희석제는 (예를 들어) 주사용 증류수 및 생리 염수를 포함할 수 있다. 비-수성 용액을 위한 희석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올리브 오일), 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 및 폴리소르베이트 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추가로 첨가제, 예컨대 등장화제, 보존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용해 보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박테리아 잔류 필터를 통한 여과, 살박테리아제 첨가 또는 광 조사와 같은 방법은 조성물을 멸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조성물은 멸균 고체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고, 이는 사용 전 주사를 위해 멸균수 또는 멸균 용매로 용해 또는 현탁될 수 있다.
경점막 작용제, 예컨대 흡입제 및 비강 작용제 등은 사용을 위해 고체, 액체 또는 반-고체 상태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형제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락토스 및 전분), pH 조정제, 보존제 IJ, 계면활성제, 윤활제 IJ, 안정화제 및 증점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흡입 또는 취입 장치가 투여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단독 또는 화합물의 제제화된 혼합물 분말이 투여되어 사용되도록 하는 공지된 장치, 예컨대 계량 흡입 장치 및 아토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될 수 있고,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 등이 단일 용량 또는 다중 용량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건조 분말 또는 분말-함유 캡슐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가압 에어로졸 스프레이가 또한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어, 클로로플루오로알칸, 히드로플루오로알칸, 또는 적합한 기체, 예컨대 이산화탄소)의 사용에 의해 투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BTK 억제제의 화합물
주: 구조와 명칭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에, 구조가 우선할 것이다.
실시예 1
1-(3-(4-아미노-3-(3-플루오로-4-(4-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트리에틸아민 (15 g, 150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6.3 g, 55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피페리딘-1포르메이트 (10.0 g, 5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순차적으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0 mL)을 첨가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0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3 g, 수율: 9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20.2 g, 62 mmol, 2.0 당량) 및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피페리딘-1-포르메이트 (13 g, 46.5 mmol, 1.5 당량)를 0℃에서 DMF (50 mL) 중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8.1 g, 3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 g, 수율: 25%)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아이오도-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HCl/EA (20 mL, 4 mol/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5 g, 11.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 g, 수율: 94%)를 수득하였다.
단계 D:
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3.2 g, 31.5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950 mg, 10.5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3-아이오도-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 g, 10.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3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7 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단계 E: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탄올
절차: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중 4-플루오로페닐 브로민화마그네슘의 용액 (1 M, 6.0 mL, 6.0 mmol, 1.2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2-플루오로-4-브로모-벤즈알데히드 (1.0 g, 5.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78℃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0℃로 냉각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20 mg, 수율: 30%)을 수득하였다.
단계 F: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루테네이트 (80 mg, 0.22 mmol, 0.15 당량), N-메틸 모르폴린 옥시드 (346 mg, 2.96 mmol, 2.0 당량) 및 4A 분자체 (300 mg)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탄올 (0.42 g, 1.4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0.4 g, 수율: 99%)을 수득하였다.
단계 G:
(2-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496 mg, 1.67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468 mg, 1.84 mmol, 1.1 당량), 아세트산칼륨 (490 mg, 5.02 mmol, 3.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71 mg, 0.1 mmol, 0.058 당량)을 1,4-디옥산 (3 mL) 중에 용해시키고, 80℃로 가열한 다음, 질소 하에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574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H:
1-(3-(4-아미노-3-(3-플루오로-4-(4-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2-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574 mg, 1.67 mmol, 1.0 당량), 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448 mg, 1.12 mmol, 1.0 당량), 탄산나트륨 (356 mg, 3.36 mmol, 3.0 당량) 및 Pd(PPh3)4 (127 mg, 0.11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5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70 mg, 수율: 12%)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223분; m/z = 489.2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30 (s, 1H), 8.00-7.97 (m, 2H), 7.73-7.55 (m, 3H),7.46-7.41 (m, 2H), 6.91-6.70 (m, 1H), 6.16-6.05 (m, 1H), 5.73-5.58 (m, 1H), 4.80-4.73 (m, 1H), 4.56-4.54 (m, 0.5H), 4.22-4.06 (m, 1.5H), 3.81-3.75 (m, 0.5H), 3.30-3.12 (m, 1.5H), 2.35-2.15 (m, 2H), 1.97-1.94 (m, 1H), 1.66-1.60 (m,1H).
실시예 2
1-(3-(4-아미노-3-(2-플루오로-4-(4-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플루오로-4-브로모-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탄올
절차:
THF 중 4-플루오로페닐 브로민화마그네슘의 용액 (1 M, 24.0 mL, 24.0 mmol, 1.2 당량)을 THF (20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벤즈알데히드 (4.06 g, 20.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78℃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3 g, 수율: 89%)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플루오로-4-브로모-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루테네이트 (580 mg, 1.66 mmol, 0.15 당량), N-메틸 모르폴린 옥시드 (2.6 g, 22.0 mmol, 2.0 당량) 및 4A 분자체 (1.0 g)를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탄올 (3.3 g, 11.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0 g, 수율: 92%)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3-플루오로-4-브로모-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1.0 g, 3.5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980 mg, 3.9 mmol, 1.1 당량), 아세트산칼륨 (1.2 g, 12.3 mmol, 3.5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149 mg, 0.2 mmol, 0.058 당량)을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80℃로 가열하고, 질소 하에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1.2 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D:
1-(3-(4-아미노-3-(2-플루오로-4-(4-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306 mg, 0.89 mmol, 1.0 당량), 1-(3-(4-아미노-3-아이오도-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355 mg, 1.12 mmol, 1.0 당량), 탄산나트륨 (283 mg, 2.67 mmol, 3.0 당량) 및 Pd(PPh3)4 (100 mg, 0.09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분리하여 목적 화합물 (42 mg, 수율: 10%)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740분; m/z = 488.9 [M+H]+; 총 실행 시간: 2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5 (s, 1H), 7.97-7.93 (m, 2H), 7.75-7.63 (m, 3H),7.45-7.41 (m, 2H), 6.88-6.71 (m, 1H), 6.14-6.02 (m, 1H), 5.74-5.56 (m, 1H), 4.73-4.54 (m, 1.5H), 4.19-4.04 (m, 1.5H), 3.71-3.65 (m, 0.5H), 3.23-3.15 (m, 1H), 3.02-2.97 (m, 0.5H), 2.31-2.07 (m, 2H), 1.97-1.90 (m, 1H), 1.60-1.52 (m,1H).
실시예 3
1-(3-(4-아미노-3-(3-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탄올
절차:
THF 중 3-플루오로페닐 브로민화마그네슘의 용액 (1 M, 6.0 mL, 6.0 mmol, 1.2 당량)을 THF (10 mL) 중 2-플루오로-4-브로모벤즈알데히드 (1.0 g, 5.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78℃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20 mg, 수율: 3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루테네이트 (80 mg, 0.22 mmol, 0.15 당량), N-메틸 모르폴린 옥시드 (346 mg, 2.96 mmol, 2.0 당량) 및 4A 분자체 (300 mg)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탄올 (0.42 g, 1.4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0.4 g, 수율: 99%)을 수득하였다.
단계 C:
(2-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2-플루오로-4-브로모-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200 mg, 0.67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188 mg, 0.73 mmol, 1.1 당량), 아세트산칼륨 (200 mg, 2.01 mmol, 3.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28 mg, 0.039 mmol, 0.058 당량)을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80℃로 가열하고, 질소 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240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D:
1-(3-(4-아미노-3-(3-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2-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192 mg, 0.48 mmol, 1.0 당량), 1-(3-(4-아미노-3-아이오도-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300 mg, 0.87 mmol, 1.8 당량), 탄산나트륨 (51 mg, 1.45 mmol, 3.0 당량) 및 Pd(PPh3)4 (56 mg, 0.05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 수율: 4%)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969분; m/z = 489.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4
1-(3-(4-아미노-3-(2-플루오로-4-(2-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플루오로-4-클로로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탄올
절차:
THF 중 3-플루오로-4-클로로페닐 브로민화마그네슘의 용액 (2 M, 19.3 mL, 38.6 mmol, 1.2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2-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3.6 g, 32.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78℃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2g, 수율: 2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플루오로-4-클로로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루테네이트 (455 mg, 1.3 mmol, 0.15 당량), N-메틸 모르폴린 옥시드 (2.0 g, 17.3 mmol, 2.0 당량) 및 4A 분자체 (1.0 g)를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플루오로-4-클로로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탄올 (2.2 g, 8.6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0 g, 수율: 92%)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3-플루오로-4-클로로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타논 (1.5 g, 5.94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3.3 g, 13.08 mmol, 2.2 당량), 아세트산칼륨 (1.74 g, 17.8 mmol, 3.0 당량),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540 mg, 0.59 mmol, 0.1 당량) 및 2-디시클로헥실 포스피노-2', 4', 6'-트리이소프로필 비페닐 (1.14 g, 2.37 mmol, 0.4 당량)을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1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2.0 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D:
1-(3-(4-아미노-3-(2-플루오로-4-(2-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타논 (2.0 g, 5.81 mmol, 2.3 당량), 1-(3-(4-아미노-3-아이오도-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1.0 g, 2.51 mmol, 1.0 당량), 탄산나트륨 (798 mg, 7.53 mmol, 3.0 당량) 및 Pd(PPh3)4 (300 mg, 0.25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2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2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70 mg, 수율: 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156분; m/z = 489.2 [M+H]+; 총 실행 시간: 4분.
실시예 5
1-(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플루오로-4-브로모-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탄올
절차:
THF 중 3-플루오로페닐 브로민화마그네슘의 용액 (1 M, 75 mL, 75 mmol, 1.5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벤즈알데히드 (10.0 g, 49.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78℃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다음, 0℃로 냉각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0 g, 수율: 1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플루오로-4-브로모-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퍼루테네이트 (350mg, 1.0mmol, 0.15 당량), N-메틸 모르폴린 옥시드 (1.56 g, 13.4mmol, 2.0 당량) 및 4A 분자체 (1.0 g)를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탄올 (2.0 g, 6.6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95 g, 수율: 98%)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3-플루오로-4-브로모-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1.9 g, 6.4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2.1 g, 8.3 mmol, 1.2 당량), 아세트산칼륨 (1.9 g, 19.2 mmol, 3.0 당량),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585 mg, 0.64 mmol, 0.1 당량) 및 2-디시클로헥실 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 비페닐 (1.21 g, 2.56 mmol, 0.4 당량)을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1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2.2 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D:
1-(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2.5 g, 7.3 mmol, 2.0 당량), 1-(3-(4-아미노-3-아이오도-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1.4 g, 3.6 mmol, 1.0 당량), 탄산나트륨 (1.14g, 10.8 mmol, 3.0 당량) 및 Pd(PPh3)4 (416 mg, 0.36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2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50 mg, 수율: 4%)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787분; m/z = 489.1 [M+H]+; 총 실행 시간: 1.5분.
1H NMR (400MHz, CDCl3) δ 8.43 (s, 1H), 7.78-7.73 (m, 3H), 7.65-7.53 (m, 3H), 7.35-7.25 (m, 1H), 6.64-6.57 (m, 1H), 6.35-6.28 (m, 1H), 5.76-5.66 (m, 1H), 5.48 (br, 2H), 4.99-4.90 (m, 1.5H), 4.60-4.56 (m, 0.5H), 4.25-4.22 (m, 0.5H), 4.07-4.05 (m, 0.5H), 3.81-3.77 (m, 0.5H), 3.45-3.41 (m, 0.5H), 3.28-3.20 (m, 0.5H), 2.99-2.94 (m, 0.5H), 2.44-2.32 (m, 2H), 2.06-2.01 (m, 1H), 1.80-1.76 (m, 1H).
실시예 6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5-메틸이속사졸-4-일)메타논
단계 A: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1.16 g, 3.38 mmol, 2.0 당량),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0.75 g, 1.69 mmol, 1.0 당량), 탄산나트륨 (358 mg, 3.38 mmol, 2.0 당량) 및 Pd(PPh3)4 (196 mg, 0.17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 석유 에테르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00 mg, 수율: 5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4-(4-아미노-1-(피페리딘-3-일)-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500 mg, 0.94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40 mg, 수율: 99%)를 수득하였다.
단계 C: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5-메틸이속사졸-4-일)메타논
절차:
5-메틸이속사졸-4-카르복실산 (15 mg, 0.11 mmol, 1.1 당량), HATU (60 mg, 0.15 mmol, 1.5 당량) 및 DIPEA (38 mg, 0.3 mmol, 3.0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4-(4-아미노-1-(피페리딘-3-일)-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45 mg, 0.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용리액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히드로클로라이드 (44 mg, 수율: 81%)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976분; m/z = 544.3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7
(E)-2-(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보닐)-2-히드록시-부트-2-엔니트릴
절차:
트리에틸아민 (17 mg, 0.16 mmol, 3.0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 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5-메틸이속사졸-4-일)메타논 (30 mg, 0.05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6 mg, 수율: 8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1.089분; m/z = 544.3 [M+H]+; 총 실행 시간: 2분.
실시예 8
(4-(4-아미노-1-(1-(비닐술포닐)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2-클로로에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6 mg, 0.1 mmol, 1.0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50 mg, 0.5 mmol, 5.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4-(4-아미노-1-(피페리딘-3-일)-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45 mg, 0.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용리액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 mg, 수율: 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030분; m/z = 525.1 [M+H]+; 총 실행 시간: 3분.
실시예 9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옥시란-2-일)메타논
절차:
포타슘 옥시란-2-포르메이트 (19 mg, 0.15 mmol, 1.0 당량), PyBrop (84 mg, 0.18 mmol, 1.2 당량) 및 DIPEA (38 mg, 0.3 mmol, 2.0 당량)를 DMF (2 mL) 중 (4-(4-아미노-1-(피페리딘-3-일) 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65 mg, 0.1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90℃로 가열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수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용리액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8 mg, 수율: 51%)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157분; m/z = 505.2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니트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단계 A: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
절차: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0.5 g, 2.62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0.86 g, 3.41 mmol, 1.3 당량), 아세트산칼륨 (490 mg, 5.02 mmol, 3.0 당량), X-phos (125 mg, 0.26 mmol, 0.1 당량) 및 Pd2(dba)3 (0.24 g, 0.26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90℃로 가열하고, 질소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0.62 g, 수율: 99%)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 (268 mg, 1.13 mmol, 2.0 당량),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250 mg, 0.56 mmol, 1.0 당량), 인산칼륨 (239 mg, 1.13 mmol, 2.0 당량) 및 Pd-118 (18 mg, 0.028 mmol, 0.05 당량)을 1,4-디옥산/물 (11 mL, 10/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60℃에서 14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빙수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50 mg, 수율: 62%)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니트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2-플루오로-니트로벤젠 (20 mg, 0.14 mmol, 1.2 당량) 및 탄산칼륨 (32 mg, 0.233 mmol, 2.0 당량)을 DMF (2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50 mg, 0.11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분리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8 mg, 수율: 12%)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320분; m/z = 550.4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1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1,2,4,5-테트라플루오로벤젠
절차:
탄산칼륨 (68.0 g, 492.1 mmol, 2.0 당량) 및 1,2,3,4,5-펜타플루오로페닐 (49.6 g, 295.3 mmol, 1.2 당량)을 DMF (500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47.0 g, 246.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100 mL)로 2회 및 포화 염수 (10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78 g, 수율: 9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절차:
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1,2,4,5-테트라플루오로벤젠 (73 g, 215.3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65.6 g, 258.4 mmol, 1.2 당량), 아세트산칼륨 (31.6 g, 322.9 mmol, 1.5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9.4 g, 12.8 mmol, 0.06 당량)을 1,4-디옥산 (1 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질소 하에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60 g, 수율: 72%)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7.6 g, 17.1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8.6 g, 22.3 mmol, 1.3 당량), 인산칼륨 (7.3 g, 34.2 mmol, 2.0 당량) 및 Pd-118 (0.56 g, 0.855 mmol, 0.05 당량)을 1,4-디옥산/물 (240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빙수 (300 mL)에 부은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4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6.8 g, 수율: 69%)을 수득하였다.
단계 D: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2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6.8 g, 11.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5.2 g, 수율: 86%)를 수득하였다.
단계 E: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887 mg, 8.7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26 g, 2.9mmol, 1.0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5 g, 2.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희석하고, 물 (30 mL)로 2회 및 포화 염수 (3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0.94 g, 수율: 6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130분; m/z = 531.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2 (s, 1H), 8.00-7.91 (m, 1H), 7.55-7.46 (m, 1H), 7.27 (dd, J = 2.4, 10.8 Hz, 1H), 7.12 (dd, J = 2.4, 8.8 Hz, 1H), 6.88-6.65 (m, 1H), 6.13-6.02 (m, 1H), 5.70-5.56 (m, 1H), 4.71-4.65 (m, 1H), 4.54-4.51 (m, 0.5H), 4.20-4.17 (m, 1H), 4.07-4.04 (m, 0.5H), 3.67-3.60 (m, 0.5H), 3.17-3.12 (m, 1H), 2.98-2.94 (m, 0.5H), 2.26-2.21 (m, 1H), 2.11-2.06 (m, 1H), 1.92-1.89 (m, 1H), 1.58-1.54 (m, 1H).
실시예 12
1-(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2-니트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2-니트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1,3-디플루오로-2-니트로벤젠 (222.8 mg, 1.4 mmol, 3.0 당량) 및 탄산칼륨 (96.8 mg, 0.7 mmol, 1.5 당량)을 아세토니트릴 (5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200 mg, 0.46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물 (10 mL)에 부은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90 mg, 수율: 34%)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2-플루오로-4-(3-플루오로-2-니트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1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2-니트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르메이트 (90 mg, 0.1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75 mg, 수율: 94%)를 수득하였다.
단계 C:
1-(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2-니트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45 mg, 0.45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13 mg, 0.15mmol, 1.0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2 mL) 중 3-(2-플루오로-4-(3-플루오로-2-니트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75 mg, 0.1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희석하고, 물 (5 mL)로 2회 및 포화 염수 (5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5: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9 mg, 수율: 2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538분; m/z = 522.3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1 (s, 1H), 7.71-7.55 (m, 2H), 7.43 (t, J = 9.2 Hz, 1H), 7.33 (d, J = 8.8 Hz, 1H), 7.22 (d, J = 8.8 Hz, 1H), 7.14 (d, J = 7.2 Hz, 1H), 6.88-6.67 (m, 1H), 6.13-6.02 (m, 1H), 5.70-5.56 (m, 1H), 4.69-4.53 (m, 1.5H), 4.21-4.05 (m, 1.5H), 3.68-3.61 (m, 0.5H), 3.21-3.18 (m, 1H), 3.05-2.99 (m, 0.5H), 2.24-2.13 (m, 2H), 1.92-1.89 (m, 1H), 1.59-1.54 (m, 1H).
실시예 13
N-((1s,4s)-4-(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단계 A:
1-(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3-니트로벤젠
절차:
탄산칼륨 (58 g, 420 mmol, 2.0 당량) 및 1-플루오로-3-니트로벤젠 (29.6 g, 210 mmol, 1.0 당량)을 DMF (400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40 g, 21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 (3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5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벤젠아민
절차:
클로라이드 암모늄 (28 g, 525 mmol, 2.5 당량) 및 철 분말 (58.8 g, 1.05 mol, 5.0 당량)을 에탄올 (300 mL) 및 물 (60 mL) 중 1-(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3-니트로벤젠 (65 g, 21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1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NH4HCO3, 구배: 10%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9 g,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브로모-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
절차:
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아닐린 (9 g, 32 mmol, 1.0 당량)을 피리딘-플루오린화수소 용액 (30 mL)에 -10℃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아질산나트륨 (2.42 g, 35 mmol, 1.1 당량)을 -10℃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6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용액을 얼음-에탄올 (50 mL)에 붓고, 이에 NaHCO3의 포화 용액 (50 mL)을 첨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8 g, 수율: 64%)을 수득하였다.
단계 D:
2-(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절차:
1-브로모-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벤젠 (5.8 g, 20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6.1 g, 24 mmol, 1.2 당량), 아세트산칼륨 (3.9 g, 40 mmol, 2.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0.89 g, 1.2 mmol, 0.06 당량)을 1,4-디옥산 (100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하에 85℃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6.5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r,4r)-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7 g, 70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2.9 g, 25.5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 tert-부틸 (1r,4r)-4-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5.0 g, 23.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0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0 g, 수율: 88%)을 수득하였다.
단계 F:
tert-부틸 (1s,4s)-4-(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8.8 g, 27.6 mmol, 2.0 당량) 및 (1r,4r)-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6.0 g, 20.5 mmol, 1.5 당량)를 0℃에서 DMF (50 mL) 중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3.6 g, 13.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 g, 수율: 64%)을 수득하였다.
단계 G:
1-((1s,4s)-4-아미노시클로헥실)-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20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tert-부틸 (1s,4s)-4-(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4 g, 8.7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5g, 수율: 73%)를 수득하였다.
단계 H:
N-((1s,4s)-4-(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9 g, 19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570 mg, 6.3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1-((1s,4s)-4-아미노시클로헥실)-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5 g, 6.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3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0g, 수율: 77%)을 수득하였다.
단계 I:
N-((1s,4s)-4-(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절차:
화합물 N-((1s,4s)-4-(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250 mg, 0.6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400 mg, 1.2 mmol, 2.당량), 탄산나트륨 (200 mg, 1.8 mmol, 3.0 당량) 및 Pd(PPh3)4 (70 mg, 0.06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0℃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75 mg,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856분; m/z =491.3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2 (s, 1H), 8.14 (d, 1H), 7.58-7.44 (m, 2H), 7.14-6.96 (m, 6H), 6.42-6.35 (m, 1H), 6.09-6.04 (m, 1H), 5.56-5.52 (m, 1H), 4.77-4.73 (m, 1H), 3.99-3.95 (m, 1H), 2.25-2.15 (m, 2H), 1.88-1.72 (m, 6H).
실시예 14
N-((1r,4r)-4-(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단계 A:
(1s,4s)-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4-니트로벤조에이트
절차:
tert-부틸 (1r,4r)-4-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4.4 g, 20.4 mmol, 1.0 당량), 4-니트로벤조산 (8.4 g, 50.3 mmol, 2.5 당량) 및 트리페닐포스핀 (8.0 g, 30.5 mmol, 1.5 당량)을 톨루엔 (240 mL)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에틸 아조디포르메이트 (7.1 g, 40.8 mmol, 2.0 당량)를 생성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이에 디클로로메탄 (500 mL)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1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0 g, 수율: 54%)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1s,4s)-4-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1s,4s)-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4-니트로벤조에이트 (4.0 g, 11.0 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 mL) 및 NaOH 용액 (2N, 100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12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로 희석하고, 메틸 tert-부틸 에테르 (5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0 g, 수율: 40%)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s,4s)-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트리에틸아민 (1.4 g, 14.0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0.8 g, 7.0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0 mL) 중 tert-부틸 (1s,4s)-4-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1.0 g, 4.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켄칭하고, 물 (30 mL)로 2회 및 염수 (3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860 mg, 수율: 64%)을 수득하였다.
단계 D:
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3 g, 8.8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5.8 g, 17.6 mmol, 2.0 당량), 인산칼륨 (3.7 g, 17.6 mmol, 2.0 당량) 및 Pd-118 (570 mg, 0.88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H2O (4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0℃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700 mg,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단계 E:
tert-부틸 (1r,4r)-4-(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385 mg, 1.18 mmol, 2.0 당량) 및 (1s,4s)-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346 mg, 1.18 mmol, 2.0 당량)를 DMF (10 mL) 중 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00 mg, 0.5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70 mg,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단계 F:
1-((1r,4r)-4-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1.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중 tert-부틸 (1r,4r)-4-(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70 mg, 0.1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61 m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G:
N-((1r,4r)-4-(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40 mg, 0.39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23 mg, 0.26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1-((1r,4r)-4-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1.5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희석하고, 물 (5 mL)로 2회 및 염수 (5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6.3 mg, 수율: 10%)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811분; m/z = 491.1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15
1-(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35 g, 346 mmol, 2.1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36.6 g, 321 mmol, 1.9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0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피롤리딘-1-포르메이트 (30.0 g, 16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하고, 물 (100 mL)로 2회 및 염수 (10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5.6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37 g, 115 mmol, 3.0 당량) 및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 피리미딘-4-아민 (10 g, 38 mmol, 1.0 당량)을 DMF (300 mL) 중 3-(메틸술포닐옥시)피롤리딘-1-포르메이트 (35 g, 134 mmol, 3.5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7.0 g, 수율: 44%)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아이오도-1-(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10.0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7.0 g, 1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5.3 g, 수율: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D:
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4.8 g, 48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750 mg, 8.0 mmol, 0.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3-아이오도-1-(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3 g, 1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고, 물 (30 mL)로 2회 및 염수 (3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5 g, 수율: 50%)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250 mg, 0.65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420 mg, 1.25 mmol, 2당량), 탄산나트륨 (200 mg, 1.88 mmol, 3.0 당량) 및 Pd(PPh3)4 (72 mg, 0.06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65 mg, 수율: 2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54분; m/z = 463.3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5 (s, 1H), 7.56-7.43 (m, 2H), 7.13-6.98 (m, 6H), 6.68-6.52 (m, 1H), 6.16-6.08 (m, 1H), 5.68-5.64 (m, 1H), 5.55-5.43 (m, 1H), 4.14-4.09 (m, 0.5H), 3.97-3.56 (m, 4.5H), 2.55-2.34 (m, 2H).
실시예 16 및 17
N-((1r,3r)-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N-((1s,3r)-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단계 A:
(1r,3s)-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트리에틸아민 (3.14 g, 31.05 mmol, 2.5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3.5 g, 24.84 mmol, 1.2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tert-부틸 (1s,3r)-3-히드록시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2.5 g, 12.4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5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5 g, 수율: 72%)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1S,3S)-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8.75 g, 26.85 mmol, 3.0 당량) 및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87 g, 7.16 mmol, 0.8 당량)을 0℃에서 DMF (30 mL) 중 (1r,3s)-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2.5 g, 8.9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50 mL)로 2회 및 염수 (5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00 mg, 수율: 1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1s,3s)-3-아미노시클로펜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10.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중 tert-부틸 (1s,3s)-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500 mg, 1.1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500 mg, 수율: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D:
N-((1s,3s)-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70 mg, 1.7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51 mg, 0.56 mmol, 1.1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5 mL) 중 1-((1s,3s)-3-아미노시클로펜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15 mg, 0.5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였다. 유기 상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00 mg, 수율: 45%)을 수득하였다.
단계 E:
N-((1s,3s)-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N-((1s,3r)-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절차:
N-((1s,3s)-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70 mg, 0.175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116.8 mg, 0.35 mmol, 1.1 당량), 탄산나트륨 (93 mg, 0.875 mmol, 3.0 당량) 및 Pd(PPh3)4 (20 mg, 0.017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실시예 16의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1 mg, 수율: 5%) 및 실시예 17의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8 mg, 수율: 2%)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실시예 16:
LC/MS (방법: UFLC): RT = 3.693분; m/z = 477.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7:
LC/MS (방법: UFLC): RT = 3.766분; m/z = 477.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8
1-(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250 mg, 0.63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417 mg, 1.26 mmol, 2.0 당량), 탄산나트륨 (200 mg, 1.88 mmol, 3.0 당량) 및 Pd(PPh3)4 (37 mg, 0.032 mmol, 0.05 당량)를 1,4-디옥산/물 (3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4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5 mg, 수율: 4.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693분; m/z = 477.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3 (s, 1H), 7.55-7.45 (m, 2H), 7.14-7.00 (m, 5H),6.85-6.69 (m, 2H), 6.09-6.02 (m, 1H), 6.13-6.02 (m, 1H), 5.70-5.56 (m, 1H), 4.69-4.53 (m, 1.5H), 4.21-4.04 (m, 1.5H), 3.69-3.66 (m, 0.5H), 3.20-3.14 (m, 1H), 2.99-2.94 (m, 0.5H), 2.27-2.12 (m, 2H), 1.92-1.89 (m, 1H), 1.59-1.53 (M,1H).
실시예 19
N-(2-(4-(1-(1-아크릴로일피페리딘-3-일)-4-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단계 A:
1-(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2-니트로벤젠
절차:
2-플루오로니트로벤젠 (44.33 g, 314.14 mmol, 1.2 당량) 및 탄산칼륨 (72.36 g, 523.57 mmol, 2.0 당량)을 DMF (500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50 g, 261.7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충분히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81.7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벤젠아민
절차:
1-(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2-니트로벤젠 (40 g, 128.17 mmol, 1.0 당량)을 에탄올 (5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로 3회 탈기하였다. 5% Pt/C (4 g, 10%, w/w)를 상기 용액에 첨가한 다음, 수소로 3회 탈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50 psi) 하에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6 g, 수율: 99%)을 수득하였다.
단계 C:
N-(2-(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35 g, 13.29 mmol, 2.5 당량) 및 메틸술포닐 클로라이드 (1.22 g, 10.65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2-(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아닐린 (1.5 g, 5.3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5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 3: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0 g, 수율: 52%)을 수득하였다.
단계 D:
N-(2-(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절차:
N-(2-(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1.0 g, 2.78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0.85 g, 3.33 mmol, 1.2 당량), 아세트산칼륨 (0.95 g, 9.72 mmol, 3.5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121 mg, 0.16 mmol, 0.06 당량)을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1.13 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E:
N-(2-(4-(1-(1-아크릴로일피페리딘-3-일)-4-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절차:
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100 mg, 0.251 mmol, 1.0 당량), N-(2-(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205 mg, 0.502 mmol, 2.0 당량), 탄산나트륨 (2N, 0.25 mL, 0.502 mmol, 2.0 당량) 및 Pd(PPh3)4 (29 mg, 0.025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 (2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 mg, 수율: 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452분; m/z = 552.4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20
N-(3-(4-(1-(1-아크릴로일피페리딘-3-일)-4-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단계 A:
N-(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02 g, 20 mmol, 6.0 당량) 및 메틸술포닐 클로라이드 (1.2 g, 10.6 mmol, 3.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아닐린 (1.0 g, 3.5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5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 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0 g, 수율: 7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N-(3-(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절차:
N-(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640 mg, 1.78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496 mg, 1.95 mmol, 1.1 당량), 아세트산칼륨 (523 mg, 5.33 mmol, 3.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126 mg, 0.178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80℃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0.8 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C:
N-(3-(4-(1-(1-아크릴로일피페리딘-3-일)-4-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절차:
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60 mg, 0.150 mmol, 1.0 당량), N-(3-(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페닐)메탄술폰아미드 (122 mg, 0.30 mmol, 2.0 당량), 탄산나트륨 (64 mg, 0.6 mmol, 4.0 당량) 및 Pd(PPh3)4 (17 mg, 0.015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 (6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40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6 mg, 수율: 22%)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775분; m/z = 552.1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21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6-트리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1,2,3,4-플루오로벤젠 (20 mg, 0.13 mmol, 1.0 당량) 및 탄산칼륨 (35 mg, 0.26 mmol, 2.0 당량)을 DMF (5 mL) 중 1-(3-(4-아미노-3-(2-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5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열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0 mg, 수율: 1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993분; m/z = 513.2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22
N-((1s,4s)-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단계 A:
3-아이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NaH (13.8 g, 345 mmol, 1.5 당량)를 0℃에서 DMF (1.24 L) 및 (180 mL) 중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g, 23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SEMCl (42 g, 253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빙수 (50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 10:1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0 g, 수율: 44%)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3-아이오도-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0 g, 102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50 g, 129 mmol, 1.3 당량), 인산칼륨 (40 g, 189 mmol, 1.8 당량) 및 Pd-118 (3.0 g, 5.0 mmol, 0.05 당량)을 1,4-디옥산/물 (1400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 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로 4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 10:1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5 g, 수율: 46%)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tOAc (20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5 g, 4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물 (100 mL) 및 포화 NaHCO3 (100 mL)을 잔류물에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3 g, 수율: 69%)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r,4r)-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7.16 g, 70.7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5.4 g, 45 mmol, 2.0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tert-부틸 (1r,4r)-4-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5.08 g, 23.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6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0 g, 수율: 87%)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r,4r)-4-아미노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4M HCl/EtOAc (1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40 mL) 중 (1r,4r)-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4 g, 13.6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2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F:
(1r,4r)-4-아크릴아미도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03 g, 10.19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307 mg, 3.4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5 mL) 중 (1r,4r)-4-아미노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780 mg, 3.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780mg, 수율: 93%)을 수득하였다.
단계 G:
N-((1s,4s)-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크릴아미드
절차:
(1r,4r)-4-아크릴아미도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49 mg, 0.198 mmol, 1.3 당량) 및 탄산세슘 (130.5 mg, 0.305 mmol, 2.0 당량)을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5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 mg, 수율: 2%)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816분; m/z = 544.9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23 및 24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4.8 g, 48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3.7 g, 32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피롤리딘-1-포르메이트 (3.0 g, 1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6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0 g, 수율: 9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피롤리딘-3-일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4M HCl/EtOAc (10 mL)를 에틸 아세테이트 (40 mL) 중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피롤리딘-1-포르메이트 (4.0 g, 1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5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C:
1-아크릴로일피롤리딘-3-일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4.5 g, 45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1.01 g, 12 mmol, 0.8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0 mL) 중 피롤리딘-3-일 메탄술포네이트 (2.5 g, 15 mmol,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5g, 수율: 83%)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1-아크릴로일피롤리딘-3-일 메탄술포네이트 (62 mg, 0.306 mmol, 2.0 당량) 및 탄산세슘 (149 mg, 0.459 mmol, 3.0 당량)을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5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실시예 23의 화합물 (18 mg, 수율: 11%) 및 실시예 24의 화합물 (3.5 mg, 수율: 2%)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실시예 23:
LC/MS (방법: UFLC): RT = 2.780분; m/z = 517.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Cl3) δ 8.35 (s, 1H), 7.55-7.48 (m, 1H), 7.10-7.03 (m, 1H), 6.93-6.88 (m, 2H), 6.43-6.39 (m, 1H), 5.73-5.57 (m, 2H), 5.47-5.43 (m, 1H), 4.15-3.96 (m, 3H), 3.82-3.73 (m, 1H), 2.70-2.42 (m, 2H).
실시예 24:
LC/MS (방법: UFLC): RT = 0.813분; m/z = 497.0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25
N-((1r,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절차:
N-((1r,3r)-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70 mg, 0.17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135 mg, 0.35 mmol, 2.0 당량), 탄산나트륨 (56 mg, 0.52 mmol, 3.0 당량) 및 Pd(PPh3)4 (20 mg, 0.0175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85℃에서 4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 mg, 수율: 4%)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935분; m/z = 531.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 MHz, DMSO-d6) δ 8.33 (s, 1H), 8.30 (d, J = 7.2 Hz, 1H), 7.99-7.90 (m, 1H), 7.60 (t, J = 8.4 Hz, 1H), 7.30 (dd, J = 2.4, 10.8 Hz, 1H), 7.14 (dd, J = 2.8, 8.4 Hz, 1H), 6.21-6.17 (m, 1H), 6.08-6.04 (m, 1H), 5.58-5.55 (m, 1H), 5.49-5.41 (m, 1H), 4.47-4.42 (m, 1H), 2.34-2.25 (m, 3.5H), 2.04-1.96 (m, 1.5H), 1.62-1.59 (M,1H).
실시예 26
N-((1s,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단계 A:
(1s,3s)-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틸 4-니트로벤조에이트
절차:
tert-부틸 (1s,3r)-3-히드록시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2.25 g, 11.2 mmol, 1.0 당량), 4-니트로벤조산 (4.67 g, 28.0 mmol, 2.5 당량) 및 트리페닐포스핀 (4.4 g, 16.8 mmol, 1.5 당량)을 톨루엔 (50 mL)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12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에틸 아조디포르메이트 (3.0 g, 16.8 mmol, 1.5 당량)를 생성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0 mL)을 잔류물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1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0.6 g, 수율: 1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1s,3s)-3-히드록시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칼륨 (177 mg, 1.28 mmol, 1.5 당량)을 메탄올 (5 mL) 중 (1s,3s)-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틸-4-니트로벤조에이트 (300 mg, 0.8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80m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s,3s)-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80 mg, 1.79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204 mg, 1.79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tert-부틸 (1s,3s)-3-히드록시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180 mg, 0.89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00 m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단계 D:
tert-부틸 (1s,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66 mg, 0.202 mmol, 2.0 당량) 및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0 mg, 0.101 mmol, 1.0 당량)을 DMF (1 mL) 중 (1s,3s)-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56 mg, 0.202 mmol, 2.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9 mg, 수율: 15%)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1r,3s)-3-아미노시클로펜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1.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1 mL) 중 tert-부틸 (1s,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9 mg, 0.01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8 mg, 수율: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F:
N-((1s,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절차:
트리에틸아민 (3.0 mg, 0.03 mmol, 2.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1.5 mg, 0.017 mmol, 1.1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1 mL) 중 1-((1r,3s)-3-아미노시클로펜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8 mg, 0.01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 수율: 12%)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424분; m/z = 531.2 [M+H]+; 총 실행 시간: 3분.
실시예 27
1-(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탄산칼륨 (42 mg, 0.304 mmol, 2.0 당량) 및 1-아크릴로일피페리딘-4-일 메탄술포네이트 (71 mg, 0.304 mmol, 2.0 당량)를 DMF (1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5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1 mg, 수율: 1.3%)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834분; m/z = 531.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28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메틸)아크릴아미드
단계 A:
3-(니트로메틸)시클로펜탄올
절차:
NaBH4 (1.06 g, 27.94 mmol, 2.0당량)을 0℃에서 메탄올 (20 mL) 중 3-(니트로메틸)시클로펜타논 (2.0 g, 14.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 mL)로 켄칭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0 g, 수율: 9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아미노메틸)시클로펜탄올
절차:
라니 니켈 (200 mg, 10%)을 에탄올 (30 mL) 중 3-(니트로메틸)시클로펜탄올 (2.0 g, 13.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로 3회 탈기한 다음, 수소 (50 psi) 하에 5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5 g, 수율: 94%)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3-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절차:
(Boc)2O (3.1 g, 14.33 mmol, 1.1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3.95 g, 39.07 mmol, 3.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아미노메틸)시클로펜탄올 (1.5 g, 13.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 0 7: 3)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0.7 g, 수율: 25%)을 수득하였다.
단계 D:
3-((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0.98 g, 9.75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0.74 g, 6.5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시클로펜틸)메틸카르바메이트 (0.7 g, 3.2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76 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단계 E:
3-(아미노메틸)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4M HCl/EA (10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760 mg, 2.5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590 mg, 수율: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F:
3-(아크릴아미도메틸)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530 mg, 5.3 mmol, 2.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280 mg, 3.2 mmol, 1.2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5 mL) 중 3-(아미노메틸)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590 mg, 2.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00 mg, 수율: 60%)을 수득하였다.
단계 G: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메틸)아크릴아미드
절차:
탄산칼륨 (98 mg, 0.712 mmol, 4.0 당량) 및 3-(아크릴아미도메틸)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131 mg, 0.534 mmol, 3.0 당량)를 DMF (1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70 mg, 0.17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6 mg, 수율: 0.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920분; m/z = 545.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29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tert-부틸 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BH3 (1 M, 90 mL, 90 mmol, 3.0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 중 1-(tert-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3-카르복실산 (6.45 g, 3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45℃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HCl (3N, 5 mL)로 켄칭하고, 물 (10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NaHCO3 (100 mL)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0 g, 수율: 67%)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메틸)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3.02 g, 30.0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2.28 g, 20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1-포르메이트 (0.7 g, 3.2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하고, 분리하고, 여기서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5 g,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단계 C:
피롤리딘-3-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4M HCl/EA (1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40 mL) 중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메틸)피롤리딘-1-포르메이트 (2.5 g, 8.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9 g, 수율: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D:
(1-아크릴로일피롤리딘-3-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7 g, 26.7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97 g, 10.7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0 mL) 중 피롤리딘-3-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1.9 g, 8.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고, 분리하고, 여기서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5 g, 수율: 65%)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탄산칼륨 (42 mg, 0.305 mmol, 2.0 당량) 및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52 mmol, 1.0 당량)을 DMF (2 mL) 중 DEV-007-032-I5 (46 mg, 0.198 mmol, 1.3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6 mg, 수율: 7%)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891분; m/z = 531.2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30
1-(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tert-부틸 4-(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 LiAlH4 (520 mg, 0.013 mmol, 0.7 당량)의 용액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 1-tert-부틸 4-에틸 피페리딘-1,4-디포르메이트 (5.0 g, 19.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 mL)로 켄칭한 다음, 15% NaOH (1 m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한 후, 물 (1 mL)을 생성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켰다.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0 g, 수율: 96%)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4-((메틸술포닐옥시)메틸)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3.76 g, 37.2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3.19 g, 27.9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5 mL) 중 tert-부틸 4-(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1-포르메이트 (4.0 g, 18.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5 g, 수율: 8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피페리딘-4-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4M HCl/EA (20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tert-부틸 4-((메틸술포닐옥시)메틸)피페리딘-1-포르메이트 (4.5 g, 13.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5 g, 수율: 95%)를 수득하였다.
단계 D:
(1-아크릴로일피페리딘-4-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4.63 g, 45.7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1.38 g, 15.2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5 mL) 중 피페리딘-4-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3.5 g, 15.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60 mL)로 켄칭하였다.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5 g, 수율: 66%)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탄산칼륨 (42 mg, 0.304 mmol, 2.0 당량) 및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60 mg, 0.152 mmol, 1.0 당량)을 DMF (2 mL) 중 (1-아크릴로일피페리딘-4-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75 mg, 0.304 mmol, 2.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5 mg, 수율: 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820분; m/z = 545.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31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tert-부틸 3-(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LiAlH4 (580 mg, 15.3 mmol, 0.7 당량)를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30 mL) 중 1-(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딘-3-카르복실산 (5.0 g, 21.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 mL)로 켄칭한 다음, 15% NaOH (1 m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물 (1 mL)을 생성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9 g, 수율: 9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메틸)피페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9 g, 18.6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2.12 g, 18.6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메틸)피페리딘-1-포르메이트 (2.0 g, 18.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하고,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5 g, 수율: 92%)을 수득하였다.
단계 C:
피페리딘-3-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4M HCl/EA (1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40 mL) 중 tert-부틸 3-((메틸술포닐옥시)메틸)피페리딘-1-포르메이트 (2.5 g, 8.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93 g, 수율: 98%)를 수득하였다.
단계 D:
(1-아크릴로일피페리딘-3-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67 g, 16.6 mmol, 2.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82 g, 9.1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0 mL) 중 피페리딘-3-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1.93 g, 8.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5 g, 수율: 71%)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탄산세슘 (99 mg, 0.304 mmol, 2.0 당량) 및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60 mg, 0.152 mmol, 1.0 당량)을 DMF (2 mL) 중 (1-아크릴로일피페리딘-3-일)메틸 메탄술포네이트 (75 mg, 0.304 mmol, 2.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 mg, 수율: 2%)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947분; m/z = 545.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32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단계 A:
3-옥소시클로펜탄카르보닐 클로라이드
절차:
DMF (3 방울) 및 옥살릴 클로라이드 (3.8 g, 30 mmol, 3.0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30 mL) 중 3-옥소-1-시클로펜탄카르복실산 (1.28 g, 10 mmol, 1.0 당량)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2 g, 수율: 82%)을 수득하였다.
단계 B:
에틸 3-옥소시클로펜탄포르메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3.8 g, 30 mmol, 2.0 당량) 및 에탄올 (754 mg, 16.37 mmol, 2.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옥소시클로펜탄카르보닐 클로라이드 (1.28 g, 8.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0.6 g, 수율: 47%)을 수득하였다.
단계 C:
에틸 3-(2,4-디메톡시벤질아미노)시클로펜탄포르메이트
절차:
2,4-디메톡시벤질 아민 (556 mg, 4.66 mmol, 1.0 당량),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히드라이드 (446 mg, 3.32 mmol, 1.4 당량) 및 아세트산 (200 mg, 3.32 mmol, 1.0 당량)을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에틸 3-옥소시클로펜탄포르메이트 (520 mg, 3.3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50 mg, 수율: 44%)을 수득하였다.
단계 D:
(3-(2,4-디메톡시벤질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절차:
LiAlH4 (17 mg, 0.445 mmol, 0.7 당량)를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중 에틸 3-(2,4-디메톡시벤질아미노)시클로펜탄포르메이트 (200 mg, 0.6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0.2 mL)로 켄칭한 다음, 15% NaOH (0.2 mL)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물 (0.6 mL)을 생성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킨 다음,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50 mg, 수율: 87%)을 수득하였다.
단계 E:
(3-(2,4-디메톡시벤질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71 mg, 1.7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29 mg, 1.13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2,4-디메톡시벤질아미노)시클로펜틸)메탄올 (150 mg, 0.56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94m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F:
(3-(N-(2,4-디메톡시벤질)아크릴아미도)시클로펜틸)메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20 mg, 2.18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79 mg, 0.873 mmol, 1.2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4-디메톡시벤질아미노)시클로펜틸)메틸 메탄술포네이트 (250 mg, 0.72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00 mg, 수율: 69%)을 수득하였다.
단계 G:
N-(2,4-디메톡시벤질)-N-(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절차:
탄산칼륨 (79 mg, 0.57 mmol, 2.5 당량) 및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23 mmol, 1.0 당량)을 DMF (5 mL) 중 (3-(N-(2,4-디메톡시벤질)아크릴아미도)시클로펜틸)메틸 메탄술포네이트 (137 mg, 0.34 mmol, 1.5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3)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60 mg, 수율: 62%)을 수득하였다.
단계 H:
N-(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절차:
Et3SiH (0.5 mL)를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 mL) 중 N-(2,4-디메톡시벤질)-N-(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60 mg, 0.1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포화 NaHCO3 (10 mL) 및 염수 (10 mL)로 각각 1회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3)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5 mg, 수율: 35%)을 수득하였다.
단계 I: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절차:
N-(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메틸)시클로펜틸)아크릴아미드 (15 mg, 0.036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21 mg, 0.054 mmol, 1.5 당량), 탄산칼륨 (17 mg, 0.127 mmol, 3.0 당량) 및 Pd(PPh3)4 (4 mg, 0.0036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 (8 mL, 3/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0분 동안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질소 분위기 하에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3)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 mg, 수율: 40%)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810분; m/z = 545.0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33 및 34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750 mg)을 SFC (키랄셀 OJ, 20μm; 초임계 CO2:C2H5OH(0.2%DEA), v/v, 200ml/분)에 의해 키랄 분리하여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280 mg, ee: 100%) 및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 (330 mg, ee: 98%)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실시예 33:
LC/MS (방법: UFLC): RT = 3.002분; m/z = 531.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Cl3) δ 8.36 (s, 1H), 7.58 (t, J = 8.4 Hz, 1H), 7.09-7.04 (m, 1H), 6.94-6.88 (m, 2H), 6.62-6.54 (m, 1H), 6.32-6.25 (m, 1H), 5.73-5.63 (m, 1H), 5.56-5.51 (m, 1H), 4.90-4.85 (m, 1.5H), 4.59-4.56 (m, 0.5H), 4.21-4.17 (m, 0.5H), 4.04-4.01 (m, 0.5H), 3.76-3.71 (m, 0.5H), 3.40-3.35 (m, 0.5H), 3.22-3.15 (m, 0.5H), 2.93-2.87 (m, 0.5H), 2.39-2.27 (m, 2H), 2.04-1.68 (m, 2H).
실시예 34:
LC/MS (방법: UFLC): RT = 3.006분; m/z = 531.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24 (s, 1H), 7.62 (t, J = 8.4 Hz, 1H), 7.50-7.45 (m, 1H), 7.09-7.01 (m, 2H), 6.85-6.63 (m, 1H), 6.21-6.09 (m, 1H), 5.77-5.61 (m, 1H), 4.63-4.59 (m, 1H), 4.23-4.07 (m, 1.5H), 3.90-3.85 (m, 0.5H), 3.51-3.45 (m, 0.5H), 3.34-3.17 (m, 1.5H), 2.40-2.23 (m, 2H), 2.08-2.05 (m, 1H), 1.75-1.71 (m, 1H).
실시예 35
1-(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1H-피롤-2,5-디온
단계 A:
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9.4 g, 92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0.5 g, 92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 tert-부틸 4-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10 g, 4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50 mL)으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1 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4-(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5.0 g, 15.3 mmol, 2.0 당량) 및 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4.5 g, 15.3 mmol, 2.0 당량)를 DMF (10 mL) 중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0 g, 7.6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1 g, 수율: 31%)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tert-부틸 4-(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0.82 g, 1.79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1.0 g, 2.69 mmol, 1.5 당량), 인산칼륨 (0.76 g, 3.68 mmol, 2.0 당량) 및 Pd-118 (58mg, 0.089 mmol, 0.05 당량)을 1,4-디옥산/물 (10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3)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800 m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4-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중 tert-부틸 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800 mg, 1.3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600 mg, 수율:90%)를 수득하였다.
단계 E:
4-(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절차:
디클로로메탄 (0.2 mL) 중 트리에틸아민 (41 mg, 0.408 mmol, 2.0 당량) 및 말레산 무수물 (20 mg, 204 mmol, 1.0 당량)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1 mL) 중 1-(4-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0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00 mg, 수율: 83%)을 수득하였다.
단계 F:
1-(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1H-피롤-2,5-디온
절차:
4-(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미노)-4-옥소-부트-2-엔산(50 mg, 0.085 mmol, 1.0 당량)을 PPA (0.5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빙수 (5 mL)에 부어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용리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 (1.5 mg, 수율: 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399분; m/z = 571.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36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1H-피롤-2,5-디온
단계 A:
tert-부틸 3-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수소화붕소나트륨 (710 mg, 18.8 mmol, 2.0 당량)을 0℃에서 메탄올 (20 mL) 중 tert-부틸 3-옥소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2.0 g, 9.3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 (2.0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41g, 13.9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798 mg, 6.97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1.0 g, 4.6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36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116 mg, 0.356 mmol, 2.0 당량) 및 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105 mg, 0.356 mmol, 2.0 당량)를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70 mg, 0.17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5 mg, 수율: 33%)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3-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2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34 mg, 0.05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0 m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E:
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절차:
디클로로메탄 (0.2 mL) 중 트리에틸아민 (29.3 mg, 0.29 mmol, 5.0 당량) 및 말레산 무수물 (5.69 mg, 0.058 mmol, 1.0 당량)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3 mL) 중 1-(3-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30 mg, 0.05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6 mg, 수율: 47%)을 수득하였다.
단계 F: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1H-피롤-2,5-디온
절차:
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16 mg, 0.028 mmol, 1.0 당량)을 PPA (5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빙수 (10 mL)에 부어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용리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0.8 mg, 수율: 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429분; m/z = 571.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37
1-((1s,3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1H-피롤-2,5-디온
단계 A:
tert-부틸 (1s,4r)-4-히드록시시클로펜트-2-에닐카르바메이트
절차:
Mo(Co)6 (1.6 g, 6.08 mmol, 1.0 당량)을 아세토니트릴/물 (10 mL, 20/1, v/v) 중 tert-부틸 3-옥사-2-아자-비시클로[2.2.1]헵트-5-엔-2-포르메이트 (6.0 g, 30.4 mmol, 5.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 (2.3 g, 60.8 mmol, 10.0 당량)을 상기 용액에 30℃에서 한 번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 0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0 g, 수율: 3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1r,3s)-3-히드록시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절차:
tert-부틸 (1s,4r)-4-히드록시시클로펜트-2-에닐카르바메이트 (2.0 g, 10 mmol)를 메탄올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반응 플라스크를 질소 공기로 3회 탈기하였다. 10% Pd/C (0.2 g, 10%, w/w)를 상기 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수소로 3회 탈기하였다. 반응 용액을 수소 분위기 (1 atm) 하에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목적 화합물 (1.9 g, 수율: 95%)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s,3r)-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350 mg, 3.48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397 mg, 3.48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1r,3s)-3-히드록시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350 mg, 1.7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00 mg, 수율: 83%)을 수득하였다.
단계 D:
tert-부틸 (1s,3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160 mg, 0.508 mmol, 2.0 당량) 및 (1s,3r)-3-(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펜틸 메탄술포네이트 (150 mg, 0.508 mmol, 2.0 당량)를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5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60 mg, 수율: 41%)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1s,3s)-3-아미노시클로펜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2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 tert-부틸 (1s,3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60 mg, 0.10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1 mg, 수율: 82%)를 수득하였다.
단계 F:
4-((1s,3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절차:
디클로로메탄 (0.2 mL) 중 트리에틸아민 (16 mg, 0.16 mmol, 2.0 당량) 및 말레산 무수물 (8 mg, 0.08 mmol, 1.1 당량)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0.5 mL) 중 1-((1s,3s)-3-아미노시클로펜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1 mg, 0.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0 mg, 수율: 87%)을 수득하였다.
단계 G:
1-((1s,3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1H-피롤-2,5-디온
절차:
4-((1s,3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펜틸아미노)-4-옥소-부트-2-엔산(40 mg, 0.069 mmol, 1.0 당량)을 PPA (0.5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빙수 (10 mL)에 부어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용리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7 mg, 수율: 2%)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370분; m/z = 557.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38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1H-피롤-2,5-디온
단계 A:
3-(tert-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4.5 g, 44.6 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3.37 g, 29.6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0 mL) 중 3-(tert-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 메탄술포네이트 (2.6 g, 14.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5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7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칼륨 (60 mg, 0.44 mmol, 3.0 당량) 및 3-(tert-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 메탄술포네이트 (140 mg, 0.553 mmol, 3.6 당량)를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5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0 mg, 수율: 61%)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3-아미노프로필)-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2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카르바메이트 (50 mg, 0.0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2 m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D:
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절차:
디클로로메탄 (0.2 mL) 중 트리에틸아민 (33 mg, 0.33 mmol, 3.0 당량) 및 말레산 무수물 (11 mg, 0.11 mmol, 1.0 당량)의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5 mL) 중 1-(3-아미노프로필)-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0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1H-피롤-2,5-디온
절차:
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450 mg, 1.28 mmol, 1.0 당량)을 PPA (5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하에 12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빙수 (10 mL)에 부어 반응물을 켄칭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용리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 (3.5 mg, 수율: 6%)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902분; m/z = 531.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39
단계 A:
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9.3 g, 92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0.5 g, 92 mmol, 2.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 tert-부틸 4-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10.0 g, 4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20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1 g, 수율: 81%)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4-(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4.9 g, 15.3 mmol, 2.0 당량) 및 4-(tert-부톡시카르보닐)시클로헥실 메탄술포네이트 (4.5 g, 15.3 mmol, 2.0 당량)를 DMF (10 mL) 중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0 g, 7.6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 4: 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1 g, 수율: 31%)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절차:
tert-부틸 4-(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0.82 g, 1.79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1.0 g, 2.69 mmol, 1.5 당량), 인산칼륨 (0.76 g, 3.68 mmol, 2.0 당량) 및 Pd-118 (58mg, 0.089 mmol, 0.05 당량)을 1,4-디옥산/물 (9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빙수 (1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4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0.8 g,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4-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 tert-부틸 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800 mg, 1.3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600 mg, 수율:90%)를 수득하였다.
단계 E:
2-(트리틸티오)아세트산
절차:
트리페닐메틸 클로라이드 (2.79 g, 10 mol, 1.0 당량) 및 BF3·Et2O (2 mL)를 디클로로메탄 (30 mL) 및 아세트산 (6 mL) 중 티오글리콜산 (0.92 g, 1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물 (20 mL) 및 염수 (20 mL)로 각각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8 g, 수율: 84%)을 수득하였다.
단계 F:
N-(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2-(트리틸티오)아세트아미드
절차:
2-(트리틸티오)아세트산 (65 mg, 0.195 mmol, 1.2 당량), DIPEA (42 mg, 0.326 mmol, 2.0 당량) 및 HATU (139 mg, 0.244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1-(4-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80 mg, 0.16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희석하고, 물 (20 mL) 및 염수 (20 mL)로 각각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80 mg, 수율: 62%)을 수득하였다.
단계 G:
절차:
Et3SiH (2 방울)를 TFA (0.5 mL) 중 N-(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2-(트리틸티오)아세트아미드 (80 mg, 0.1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 mg, 수율: 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442분; m/z = 564.5 [M/2]+;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40
3-(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티아졸리딘-2,4-디온
단계 A:
1-(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3-페닐티오우레아
절차:
페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 (24.8 mg, 0.184 mmol, 0.9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 1-(4-아미노시클로헥실)-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0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00 mg, 수율: 79%)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2-(페닐이미노)티아졸리딘-4-온
절차:
클로로아세트산 (17.4 mg, 0.184 mmol, 2.3 당량) 및 아세트산나트륨 (3.94 mg, 0.048 mmol, 0.6 당량)을 에탄올 (3 mL) 중 1-(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3-페닐티오우레아 (50 mg, 0.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0 mg, 수율: 38%)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티아졸리딘-2,4-디온
절차:
진한 HCl (5 mL) 중 3-(4-(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시클로헥실)-2-(페닐이미노)티아졸리딘-4-온 (20 mg, 0.03 mmol)의 용액을 11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 mg, 수율: 12%)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794분; m/z = 591.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41
(E)-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4-옥소-부트-2-엔아미드
절차: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8 mg, 0.1 mmol, 1.0 당량), DIPEA (26 mg, 0.2 mmol, 2.0 당량) 및 HATU (50 mg, 0.0.15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E)-4-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15 mg, 0. 15 mmol, 1.5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20 mL) 및 염수 (20 mL)로 각각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5 mg, 수율: 10%)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791분; m/z = 574.0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42
(E)-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N-메틸-4-옥소-부트-2-엔아미드
단계 A:
(E)-4-(메틸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절차:
메틸아민 (2 M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0 mL) 중 말레산 무수물 (500 mg, 5.1 mmol, 1.0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58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E)-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N-메틸-4-옥소-부트-2-엔아미드
절차: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50 mg, 0.315 mmol, 1.0 당량), DIPEA (163 mg, 1.26 mmol, 4.0 당량) 및 HATU (180 mg, 0.472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E)-4-(메틸아미노)-4-옥소-부트-2-엔산 (40 mg, 0.31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20 mL) 및 염수 (20 mL)로 각각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히드로클로라이드 (44 mg, 수율: 24%)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23분; m/z = 588.2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59-8.53 (m, 1H), 8.25-8.20 (m, 1H), 7.97-7.92 (m, 1H), 7.65-7.57 (m, 1H), 7.34-7.31 (m, 1H), 7.16-7.12 (m, 1H), 6.41-6.28 (m, 1H), 6.06-5.95 (m, 1H), 5.00-4.80 (m, 1.5H), 4.61-4.58 (m, 0.5H), 4.35-4.32 (m, 0.5H), 3.90-3.87 (m, 1H), 3.69-3.66 (m, 0.5H), 3.52-3.49 (m, 0.5H), 3.15-3.09 (m, 1H), 2.66-2.64 (m, 3H), 2.53-2.47 (m, 2H), 2.16-2.12 (m, 1H), 1.75-1.71 (m, 1H).
실시예 43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트리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 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보닐] 포름아미딘
절차:
CDI (25 mg, 0.15 mmol, 1.5 당량)를 DMF (5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8 mg, 0.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구아니딘 카르보네이트 (11 mg, 0.06 mmol, 0.6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3 mg,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749분; m/z = 562.0 [M+H]+; 총 실행 시간: 1.5분.
1H NMR (400MHz, CD3OD) δ 8.44 (s, 1H), 7.72 (t, J = 8.4 Hz, 1H), 7.53-7.48 (m, 1H), 7.13-7.07 (m, 2H), 5.10-5.06 (m, 1H), 4.30-4.27 (m, 1H), 3.98-3.86 (m, 2H), 3.47-3.42 (m, 1H), 2.37-2.31 (m, 2H), 2.12-2.07 (m, 1H), 1.81-1.78 (m, 1H).
실시예 44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부탄-1,3-디온
절차:
tert-부틸 아세토아세테이트 (24 mg, 0.15 mmol, 1.5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30 mg, 0.3 mmol, 3.0 당량)을 톨루엔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8 mg, 0.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5 mg, 수율: 27%)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78분; m/z = 561.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45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방법 1:
단계 A:
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1,2,4,5-테트라플루오로벤젠
절차:
탄산칼륨 (34.0 g, 246 mmol, 2.0 당량) 및 1,2,3,4,5-펜타플루오로페닐 (24.8 g, 147 mmol, 1.2 당량)을 DMF (250 mL) 중 4-브로모-3-플루오로페놀 (23.5 g, 12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밤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 중에 용해시키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9 g, 수율: 9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절차:
3-(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1,2,4,5-테트라플루오로벤젠 (36.5 g, 107.6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32.8 g, 129.2 mmol, 1.2 당량), 아세트산칼륨 (37 g, 377 mmol, 3.5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4.7 g, 6.45 mmol, 0.06 당량)을 1,4-디옥산 (500 mL) 중에 용해시킨 다음, 질소 하에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0 g, 수율: 72%)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NIS (250 g, 1.11 mol, 1.5 당량)를 DMF (800 mL) 중 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g, 0.74 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80-8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에탄올 (1000 mL)로 3회 세척하여 목적 화합물 (184 g, 수율: 95%)을 수득하였다.
단계 D:
(R)-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DIAD; 27.6 g, 137.5 mmol, 1.5 당량)를 테트라히드로푸란 (720 mL) 중 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4 g, 92 mmol, 1.0 당량), tert-부틸 (3S)-3-히드록시시클로펜틸카르바메이트 (26 g, 137.5 mmol, 1.5 당량) 및 PPh3 (36 g, 137.5 mmol, 1.5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 하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아세토니트릴 (200 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아세토니트릴 (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5 g, 수율: 63%)을 수득하였다.
단계 E: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R)-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25 g, 58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30 g, 75.4 mmol, 1.3 당량), 인산칼륨 (25 g, 116 mmol, 2.0 당량) 및 Pd-118 (750 mg, 1.16 mmol, 0.02 당량)을 1,4-디옥산/물 (600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키고, 물 (300 mL)을 잔류물에 첨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0 g, 조 물질)을 수득하였다.
단계 F: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100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중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60 g, 조 물질)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 물 (500 mL)을 수득된 생성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수성 상을 pH=9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4 g, 2-단계 수율: 90%)을 수득하였다.
단계 G: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NaOH (10%, 94 mL)를 -5℃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47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3.5 g, 50.7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한 다음,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5.97 g, 66 mmol, 1.3 당량)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염수 (100 mL)로 켄칭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3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메탄올 (5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여과하였다. 물 (1500 mL)을 교반 중인 여과물에 첨가한 다음,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감압 하에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6.5 g, 수율: 6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764분; m/z = 517.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45 (s, 1H), 7.70 (t, J = 8.4 Hz, 1H), 7.55-7.46 (m, 1H), 7.12-7.05 (m, 2H), 6.70-6.55 (m, 1H), 6.33-6.26 (m, 1H), 5.81-5.75 (m, 1H), 4.23-3.83 (m, 5H), 2.68-2.55 (m, 2H).
방법 2:
절차:
NaOH (216 mg, 5.40 mmol, 2.5 당량)를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0 mL) 및 물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 g, 2.1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한 다음,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 중 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288 mg, 2.27 mmol, 1.05 당량)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포화 염수 (10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3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실시예 45의 목적 화합물 (0.8 g, 수율: 71%)을 수득하였다.
방법 3:
절차:
(R)-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100 g, 0.26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120 mg, 0.31 mmol, 1.2 당량), 탄산나트륨 (55 mg, 0.52 mmol, 2.0 당량) 및 Pd(PPh3)4 (30 mg, 0.026 mmol, 0.01 당량)를 1,4-디옥산/물 (5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8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8 mg, 수율: 28%)을 수득하였다.
방법 4:
실시예 45 및 실시예 46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8 g, 18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10.7 g, 27 mmol, 1.5 당량), 인산칼륨 (7.6 g, 36 mmol, 2.0 당량) 및 Pd-118 (1.2 g, 1.8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물 (180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6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빙수 (5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 석유 에테르 =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5 g, 수율: 2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20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2.5 g, 4.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2 g, 수율: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C: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4 g, 12.8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38 g, 4.2 mmol, 0.9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2 g, 4.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30 mL)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0 g, 수율: 4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810분; m/z = 517.1 [M+H]+; 총 실행 시간: 7분.
단계 D: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을 SFC에 의해 키랄 분리하여 실시예 45의 화합물 (270 mg) 및 실시예 46의 화합물 (320 m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6:
LC/MS (방법: UFLC): RT = 2.808분; m/z = 517.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47
메틸 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4-옥소-부트-2-에노일카르바메이트
절차:
메틸 2,5-디옥소-2H-피롤-1(5H)-카르복실레이트 (17 mg, 0.11 mmol, 1.1 당량) 및 중탄산나트륨 (17 mg, 0.2 mmol, 2.0 당량)을 0℃에서 1,4-디옥산/물 (3 mL/1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8 mg, 0.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3)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0 mg, 수율: 67%)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775분; m/z = 632.1 [M+H]+; 총 실행 시간: 1.5분.
1H NMR (400MHz, CDCl3) δ 8.36 (s, 1H), 7.58-7.54 (m, 1H), 7.15-7.06 (m, 1H), 6.96-6.90 (m, 2H), 6.77-6.73 (m, 1H), 6.65-6.55 (m, 1H), 4.63-4.59 (m, 1H), 4.99-4.94 (m, 1H), 4.85-4.80 (m, 0.5H), 4.57-4.54 (m, 0.5H), 4.04-4.00 (m, 0.5H), 3.88-3.77 (m, 4H), 3.50-3.44 (m, 0.5H), 3.26-3.22 (m, 0.5H), 2.98-2.95 (m, 0.5H), 2.34-2.26 (m, 1H), 2.03-1.96 (m, 2H), 1.85-1.81 (m, 1H).
실시예 48
메틸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보닐)부트-2-에노에이트
단계 A:
(Z)-2-(메톡시카르보닐)부트-2-엔산
절차:
수산화리튬 1수화물 (0.265 g, 6.32 mmol, 1.0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물 (20 mL, 1/1, v/v) 중 디메틸 2-에틸리덴말로네이트 (1.0 g, 6.3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물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2 N HCl을 사용하여 pH=1로 조정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6 g, 수율: 6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메틸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보닐)부트-2-에노에이트
절차: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8 mg, 0.1 mmol, 1.0 당량), DIPEA (52 mg, 0.4 mmol, 4.0 당량) 및 HATU (57 mg, 0.15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Z)-2-(메톡시카르보닐)부트-2-엔산 (22 mg, 0.15 mmol, 1.5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4 mg, 수율: 4%)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540분; m/z = 603.2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49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보닐)아크릴로니트릴
단계 A:
3-(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판니트릴
절차:
2-시아노아세트산 (27 mg, 0.31 mmol, 1.5 당량), DIPEA (108 mg, 0.84 mmol, 4.0 당량) 및 HATU (120 mg, 0.31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00 mg, 수율: 8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보닐)아크릴로니트릴
절차:
메탄올 (10 mL) 중 파라포름알데히드 (6 mg, 0.2 mmol, 2.0 당량) 및 피페리딘 (0.2 mg, 0.002 mmol, 0.02 당량)의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환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3-(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3-옥소프로판니트릴 (54 mg, 0.1 mmol, 1.0 당량)을 첨가한 다음, 16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감압 하에 용매를 제거한 후, 톨루엔 (10 mL) 및 p-톨루엔술폰산 1수화물 (0.2 mg, 0.001 mmol, 0.01 당량)을 잔류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7 mg, 수율: 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0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히드록시메틸)프로프-2-엔-1-온
단계 A: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
절차:
수산화리튬 1수화물 (145 mg, 3.46 mmol, 5.0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메탄올/물 (3 mL, 1/1/1, v/v/v) 중 에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90 mg, 0.6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물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2 N HCl을 사용하여 pH=5로 조정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70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히드록시메틸)프로프-2-엔-1-온
절차: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57 mg, 0.54 mmol, 1.0 당량), DIPEA (253 mg, 1.96 mmol, 4.0 당량) 및 HATU (279 mg, 0.75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 (50 mg, 0.4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52 mg, 수율: 20%)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99분; m/z = 561.2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9.51 (br, 1H), 8.62 (br, 2H), 7.98-7.95 (m, 1H), 7.62 (t, J = 8.4 Hz, 1H), 7.33-7.30 (m, 1H), 7.17-7.15 (m, 1H), 5.33-5.27 (m, 1H), 5.11-5.05 (m, 1H), 4.87-4.82 (m, 1H), 4.46-3.94 (m, 2H), 3.60-3.07 (m, 2H), 2.22-2.16 (m, 2H), 1.90-1.87 (m, 1H), 1.65-1.60 (m, 1H).
실시예 51
1-(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1H-피롤-2,5-디온
절차:
화합물을 상기 언급된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74분; m/z = 517.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52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N-메틸피페리딘-1-카르복스아미드
절차: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109 mg, 0.63 mmol, 2.0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 mL) 중 메틸아민 (0.16 mL, 0.31 mmol, 1.0 당량,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2.0 M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50 mg, 0.31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92 mg, 수율: 5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24분; m/z = 534.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1 (s, 1H), 7.55 (t, J = 8.4 Hz, 1H), 7.27 (dd, J = 2.4, 8.8 Hz, 1H), 7.11 (dd, J = 2.4, 8.8 Hz, 1H), 6.50 (d, J = 4.4 Hz, 1H), 4.64-4.58 (m, 1H), 4.14-4.10 (m, 1H), 3.95-3.92 (m, 1H), 3.17-3.11 (m, 1H), 2.75-2.65 (m, 1H), 2.55-2.54 (m, 3H), 2.08-2.05 (m, 2H), 1.79-1.76 (m, 1H), 1.55-1.50 (m, 1H).
실시예 53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 피리미딘-1-일]피페리딘-1-포름아미딘
절차: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 mmol, 1.0 당량), N-메틸-1-피라졸 포름아미딘 (25 mg, 0.2 mmol, 2.0 당량) 및 DIPEA (77 mg, 0.6 mmol, 6.0 당량)의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5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 (5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 기준))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6 mg, 수율: 13%)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781분; m/z = 533.1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54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 피리미딘-1-일]-N'-시아노-N-메틸-피페리딘-1-포름아미딘
절차:
DIPEA (40 mg, 0.315 mmol, 3.0 당량) 및 디페닐 N-시아노카본이미데이트 (25 mg, 0.1 mmol, 1.0 당량)를 DMF (2 mL) 중 메틸아민 (2 M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0.05 mL, 0.1 mmol, 1.0 당량)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0 mg, 0.105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하에 1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5 mg, 수율: 8%)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689분; m/z = 558.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55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트리-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 피리미딘-1-일]-1-피페리디닐]-1-(메틸아미노)-2-니트로 에틸렌
단계 A:
N-메틸-1-메틸티오-2-니트로에틸렌아민
절차:
메틸아민 (31 mg, 2.0 mmol, 1.0 당량)을 에탄올 (10 mL) 중 1,1-비스(메틸티오)-2-니트로에텐 (330 mg, 2.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00 mg, 수율: 6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트리-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 피리미딘-1-일]-1-피페리디닐]-1-(메틸아미노)-2-니트로 에틸렌
절차:
에탄올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 및 N-메틸-1-메틸티오-2-니트로에틸렌아민 (22 mg, 0.15 mmol, 1.2 당량)의 혼합물을 1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 기준))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9.3 mg, 수율: 13%)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343분; m/z = 577.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56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N-메틸아세트아미드
절차:
2-브로모-N-메틸-아세트아미드 (32 mg, 0.21 mmol, 2.0 당량), 카르보네이트 칼륨 (29 mg, 0.21 mmol, 2.0 당량) 및 아이오딘화나트륨 (2 mg, 0.01 mmol, 0.1 당량)을 에탄올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6%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5 mg, 수율: 20%)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302분; m/z = 548.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57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N-메틸-2-옥소아세트아미드
절차:
트리에틸아민 (38 mg, 0.38 mmol, 3.0 당량) 및 옥살릴 클로라이드 (20 mg, 0.16 mmol, 1.2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메틸 아민 (6 mg, 0.1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 기준))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9.0 mg, 수율: 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48분; m/z = 562.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58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클로로프로판-1-온
절차:
트리에틸아민 (66 mg, 0.649 mmol, 3.0 당량) 및 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 (33 mg, 0.26 mmol, 1.2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5℃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2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 기준))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0 mg, 수율: 3%)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929분; m/z = 553.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44 (s, 1H), 7.02 (t, J = 8.4 Hz, 1H), 7.51-7.48 (m, 1H), 7.10-7.03 (m, 2H), 5.74-5.67 (m, 1H), 4.13-4.11 (m, 1H), 4.00-3.97 (m, 2H), 3.82-3.78 (m, 3H), 2.90-2.84 (m, 2H), 2.62-2.53 (m, 2H).
실시예 59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1H-이미다졸-4-일)메타논
절차:
이미다졸-4-카르복실산 (17 mg, 0.15 mmol, 1.2 당량), DIPEA (49 mg, 0.38 mmol, 3.0 당량) 및 HATU (53 mg, 0.14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5.0 mg, 수율: 35%)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368분; m/z = 571.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60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피리딘-3-일)메타논
절차:
니코틴산 (19 mg, 0.15 mmol, 1.2 당량), DIPEA (49 mg, 0.38 mmol, 3.0 당량) 및 HATU (53 mg, 0.14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 수율: 27%)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672분; m/z = 582.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9.06-8.93 (m, 2H), 8.69 (br, 1H), 8.50 (br, 1H), 8.18-8.10 (m, 1H), 7.77-7.71 (m, 1H), 7.53-7.48 (m, 1H), 7.15-7.08 (m, 2H), 5.34-5.23 (m, 1H), 4.61-4.58 (m, 0.5H), 4.43-4.40 (m, 0.5H), 3.99-3.68 (m, 2H), 3.48-3.46 (m, 1H), 2.42-2.37 (m, 2H), 2.15-2.09 (m, 1H), 1.95-1.87 (m, 1H).
실시예 61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클로로에타논
절차:
2-클로로아세트산 (14 mg, 0.13 mmol, 1.0 당량), 트리에틸아민 (19 mg, 0.19 mmol, 1.5 당량) 및 HATU (53 mg, 0.14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6 mg, 수율: 31%)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046분; m/z = 553.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35 (s, 1H), 7.98-7.93 (m, 1H), 7.58-7.54 (m, 1H), 7.31 (dd, J = 2.4, 11.2 Hz, 1H), 7.15 (dd, J = 2.4, 8.8 Hz, 1H), 4.90-4.86 (m, 0.5H), 7-4.73-4.70 (m, 0.5H), 4.48-4.39 (m, 2H), 4.27-4.04 (m, 1.5H), 3.82-3.66 (m, 1H), 3.23-3.17 (m, 1H), 2.95-2.90 (m, 0.5H), 2.27-2.13 (m, 2H), 1.94-1.75 (m, 2H).
실시예 62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디메틸아미노)에타논
절차:
N,N-디메틸글리신 (16 mg, 0.15 mmol, 1.2 당량), DIPEA (49 mg, 0.38 mmol, 3.0 당량) 및 HATU (53 mg, 0.14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6%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0 mg, 수율: 42%)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301분; m/z = 562.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4-8.21 (m, 1H), 7.98-7.90 (m, 1H), 7.56-7.50 (m, 1H), 7.27-7.24 (m, 1H), 7.11-7.09 (m, 1H), 4.83-4.75 (m, 0.5H), 4.66-4.57 (m, 0.5H), 4.44-4.41 (m, 0.5H), 4.20-4.00 (m, 1.5H), 3.59-3.56 (m, 0.5H), 3.45-3.40 (m, 1H), 3.16-3.10 (m, 2H), 2.90-2.83 (m, 0.5H), 2.16-2.08 (m, 8H), 1.89-1.85 (m, 1H), 1.67-1.45 (m, 1H).
실시예 63
5-(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보닐)티아졸리딘-2-온
절차:
2-옥소티아졸리딘-5-카르복실산 (26 mg, 0.19 mmol, 1.5 당량), DIPEA (49 mg, 0.38 mmol, 3.0 당량) 및 HATU (72 mg, 0.19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6%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 mg, 수율: 6%)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805분; m/z = 606.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64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트리플루오로메틸)프로프-2-엔-1-온
절차:
2-(트리플루오로메틸)아크릴산 (26 mg, 0.19 mmol, 1.5 당량), DIPEA (49 mg, 0.38 mmol, 3.0 당량) 및 HATU (72 mg, 0.19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6%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9 mg, 수율: 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310분; m/z = 599.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65 및 66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4,4,4-트리플루오로부탄-1,3-디온
4,4,4-트리플루오로-N-(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일)-3-옥소-부탄아미드
절차:
에틸 4,4,4-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테이트 (24 mg, 0.15 mmol, 1.2 당량) 및 DIPEA (49 mg, 0.38 mmol, 3.0 당량)를 톨루엔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5 (5 mg, 수율: 6%) 및 화합물 66 (4 mg, 수율: 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실시예 65:
LC/MS (방법: UFLC): RT = 1.095분; m/z = 615.1 [M+H]+; 총 실행 시간: 2분.
실시예 66:
LC/MS (방법: UFLC): RT = 1.079분; m/z = 615.1 [M+H]+; 총 실행 시간: 2분.
실시예 67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3-시클로프로필프로판-1,3-디온
단계 A:
3-시클로프로필-3-옥소프로판산
절차:
수산화리튬 1수화물 (0.59 g, 14.7 mmol, 2.0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물/메탄올 (15 mL, 1/1/1, v/v/v) 중 메틸 3-시클로프로필-3-옥소프로파노에이트 (1.0 g, 7.0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2 N HCl을 사용하여 pH=2로 조정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4 g, 수율: 44%)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3-시클로프로필프로판-1,3-디온
절차:
3-시클로프로필-3-옥소프로판산 (19 mg, 0.15 mmol, 1.2 당량), DIPEA (49 mg, 0.38 mmol, 3.0 당량) 및 HATU (72 mg, 0.19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6%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5 mg, 수율: 3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003분; m/z = 587.2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24-8.23 (m, 1H), 7.99-7.93 (m, 1H), 7.59-7.54 (m, 1H), 7.29-7.26 (m, 1H), 7.13-7.11 (m, 1H), 4.79-4.63 (m, 1H), 4.53-4.50 (m, 0.5H), 4.28-4.25 (m, 0.5H), 3.86-3.70 (m, 3H), 3.15-3.08 (m, 1.5H), 2.85-2.79 (m, 0.5H), 2.24-1.96 (m, 2H), 1.90-1.85 (m, 1H), 1.65-1.53 (m, 1H), 0.93-0.84 (m, 4H).
실시예 68
에틸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메틸)아크릴레이트
절차:
에틸 2-(브로모메틸) 아크릴레이트 (53 mg, 0.28 mmol, 1.2 당량) 및 탄산칼륨 (63 mg, 0.46 mmol, 2.0 당량)을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10 mg, 0.2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8 mg, 수율: 28%)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654분; m/z = 589.2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69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메틸)-N-메틸아크릴아미드
단계 A: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메틸)아크릴산
절차:
수산화리튬 1수화물 (3 mg, 0.076 mmol, 1.5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물/메탄올 (1.5 mL, 1/1/1, v/v/v) 중 에틸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메틸)아크릴레이트 (30 mg, 0.05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 (5 mL) 중에 용해시키고, 2 N HCl을 사용하여 pH=2로 조정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0mg, 수율: 86%)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메틸)-N-메틸아크릴아미드
절차:
메틸아민 (THF 중 1M, 0.072 mL, 0.072 mmol, 2.0 당량), DIPEA (14 mg, 0.107 mmol, 3.0 당량) 및 HATU (20 mg, 0.054 mmol, 1.5 당량)를 0℃에서 DMF (1 mL) 중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메틸)아크릴산 (20 mg, 0.03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9 mg, 수율: 40%)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262분; m/z = 574.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70
2-((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메틸)아크릴로니트릴
절차:
시아노아세트산 (10 mg, 0.12 mmol, 1.0 당량) 및 포름알데히드 (8.5 mg, 0.28 mmol, 2.4 당량)를 톨루엔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6 mg, 0.1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6‰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히드로클로라이드 (3.7 mg, 수율: 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458분; m/z = 542.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71
1-((R)-3-(4-아미노-3-(2-플루오로-4-(4-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4-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R)-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100 mg, 0.232 mmol, 1.0 당량),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80 mg, 0.232 mmol, 1.0 당량), 탄산칼륨 (96 mg, 0.696 mmol, 3.0 당량) 및 Pd(PPh3)4 (26 mg, 0.023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2.4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9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0 mg, 수율: 17%)을 수득하였다.
단계 B:
(4-(4-아미노-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4-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20 mg, 0.03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8 m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2-플루오로-4-(4-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2 mg, 0.115mmol, 3.0 당량) 및 아크릴산 (3.4 mg, 0.038 mmol, 1.0 당량)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4-(4-아미노-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4-플루오로페닐)메타논 (18 mg, 0.03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켄칭하고,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6.9 mg, 수율: 38%)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424분; m/z = 475.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72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R)-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100 mg, 0.232 mmol, 1.0 당량),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타논 (144 mg, 0.418 mmol, 1.8 당량), 탄산나트륨 (74 mg, 0.696 mmol, 3.0 당량) 및 Pd(PPh3)4 (26 mg, 0.023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2.4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9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0 mg, 수율: 3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4-(4-아미노-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40 mg, 0.07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0 mg, 수율: 93%)를 수득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4 mg, 0.14 mmol, 2.0 당량) 및 아크릴산 (7.0 mg, 0.078 mmol, 1.1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2 mL) 중 (4-(4-아미노-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2-플루오로페닐)메타논 (30 mg, 0.07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6%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4 mg, 수율: 1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359분; m/z = 475.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29 (s, 1H), 7.76-7.64 (m, 5H), 7.41 (t, J = 7.2 Hz, 1H), 7.33 (t, J = 8.8 Hz, 1H), 6.70-6.55 (m, 1H), 6.32-6.28 (m, 1H), 5.79-5.76 (m, 1H), 5.65-5.56 (m, 1H), 4.20-4.04 (m, 2.5H), 3.93-3.85 (m, 1H), 3.76-3.73 (m, 0.5H), 2.64-2.49 (m, 2H).
실시예 73
1-((R)-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R)-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140 mg, 0.32 mmol, 1.0 당량),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224 mg, 0.64 mmol, 2.0 당량), 탄산나트륨(101 mg, 0.96 mmol, 3.0 당량) 및 Pd(PPh3)4 (34 mg, 0.03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6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9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0 mg,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단계 B:
(4-(4-아미노-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50 mg, 0.09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0 mg, 수율: 99%)를 수득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벤조일)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9 mg, 0.19 mmol, 2.0 당량) 및 아크릴산 (9.5 mg, 0.105 mmol, 1.1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2 mL) 중 (4-(4-아미노-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닐)(3-플루오로페닐)메타논 (40 mg, 0.09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켄칭하고, 분리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0.5 mg, 수율: 1%)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522분; m/z = 475.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74
에틸 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복스아미도)부트-2-에노에이트
단계 A:
에틸 4-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절차:
수성 암모니아 용액 (10 mL)을 물 (10 mL) 중 에틸 4-브로모부트-2-에노에이트 (1.0 g, 5.1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7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에틸 4-(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카르복스아미도)부트-2-에노에이트
절차: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109 mg, 0.63 mmol, 2.0 당량)을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8 mg, 0.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4-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26 mg, 0.2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5 mg, 수율: 2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821분; m/z = 632.1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75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클로로에타논
절차:
트리에틸아민 (44 mg, 0.43 mmol, 2.0 당량)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24 mg, 0.22 mmol, 1.0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 기준))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7 mg, 수율: 1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34분; m/z = 539.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76
(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N-(4-(메틸아미노)-4-옥소-부트-2-에닐)피롤리딘-1-카르복스아미드
단계 A:
(E)-에틸 4-((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카르복스아미도)부트-2-에노에이트
절차: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 (21 mg, 0.13 mmol, 1.0 당량)을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4-아미노부트-2-에노에이트 (34 mg, 0.26 mmol, 2.0 당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0 mg, 수율: 37%)을 수득하였다.
단계 B:
4-((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카르복스아미도)부트-2-엔산
절차:
수산화리튬 1수화물 (6 mg, 0.15 mmol, 3.0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물/메탄올 (3 mL, 1/1/1, v/v/v) 중 에틸 4-((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카르복스아미도)부트-2-에노에이트 (30 mg, 0.0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물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2 N HCl을 사용하여 pH=2로 조정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0m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N-(4-(메틸아미노)-4-옥소-부트-2-에닐)피롤리딘-1-카르복스아미드
절차:
메틸아민 (5 mg, 0.15 mmol, 3.0 당량) 및 HATU (29 mg, 0.075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4-((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카르복스아미도)부트-2-엔산 (30 mg, 0.0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 mg, 수율: 16%)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854분; m/z = 603.1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77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3,3-트리플루오로프로판-1,2-디온
절차:
DIPEA (84 mg, 0.65 mmol, 3.0 당량) 및 에틸 4,4,4-트리플루오로아세토아세테이트를 0℃에서 톨루엔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1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7 mg, 수율: 5.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127분; m/z = 588.9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78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시클로프로필에탄-1,2-디온
단계 A:
포타슘 2-시클로프로필-2-옥소 아세테이트
절차:
1N 수산화칼륨 (0.7 mL, 0.70 mmol, 1.0 당량)을 테트라히드로푸란/물 (2 mL, 1/1, v/v) 중 에틸 2-시클로프로필-2-옥소아세테이트 (100 mg, 0.7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85 mg, 수율: 79%)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시클로프로필에탄-1,2-디온
절차:
포타슘 2-시클로프로필-2-옥소 아세테이트 (66 mg, 0.43 mmol, 2.0 당량), DIPEA (84 mg, 0.65 mmol, 3.0 당량) 및 PyBrop (12 mg, 0.24 mmol, 1.1 당량)를 0℃에서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3 mg, 수율: 4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943분; m/z = 559.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Cl3) δ 8.37-8.35 (m, 1H), 7.57 (t, J = 8.4 Hz, 1H), 7.10-7.05 (m, 1H), 6.95-6.89 (m, 2H), 5.60-5.54 (m, 1H), 4.21-3.88 (m, 3.5H), 3.80-3.72 (m, 0.5H), 2.73-2.48 (m, 3H), 1.25-1.05 (m, 4H).
실시예 79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메틸부탄-1,2-디온
절차:
소듐 3-메틸-2-옥소-부타노에이트 (45 mg, 0.32 mmol, 1.5 당량), DIPEA (84 mg, 0.65 mmol, 3.0 당량) 및 PyBrop (100 mg, 0.22 mmol, 1.0 당량)를 0℃에서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1 mg, 수율: 42%)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275분; m/z = 561.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Cl3) δ 8.37-8.36 (m, 1H), 7.55-7.50 (m, 1H), 7.10-7.05 (m, 1H), 6.95-6.88 (m, 2H), 5.60-5.55 (m, 1H), 4.15-3.4 (m, 4H), 3.42-3.37 (m, 1H), 2.58-2.48 (m, 2H), 1.14-1.01 (m, 6H).
실시예 80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4-히드록시-3,3-디메틸부탄-1,2-디온
절차:
4,4-디메틸-디히드로푸란-2,3-디온(15 mg, 0.12 mmol, 2.0 당량) 및 DMAP (1.3 mg, 0.01 mmol, 0.1 당량)를 테트라히드로푸란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8 mg, 수율: 1.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564분; m/z = 591.2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81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시클로프로필에탄-1,2-디온
절차:
포타슘 2-시클로프로필-2-옥소 아세테이트 (20 mg, 0.13 mmol, 1.1 당량), DIPEA (51 mg, 0.39 mmol, 3.0 당량) 및 PyBrop (56 mg, 0.12 mmol, 1.0 당량)를 0℃에서 DMF (5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6‰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7 mg, 수율: 6%)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938분; m/z = 573.5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82
N-(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아크릴아미드
단계 A:
tert-부틸 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카르바메이트
절차:
tert-부틸 2-브로모에틸카르바메이트 (114 mg, 0.51 mmol, 2.0 당량), 탄산칼륨 (70 mg, 0.51 mmol, 2.0 당량) 및 아이오딘화나트륨 (3.8 mg, 0.025 mmol, 0.1당량)을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0 mg, 수율: 37%)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2-아미노에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2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tert-부틸 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카르바메이트 (50 mg, 0.093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4 mg, 수율: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C:
N-(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8 mg, 0.28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8.4 mg, 0.093 mmol, 1.0 당량)를 -15℃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1-(2-아미노에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4 mg, 0.09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 mg, 수율: 11%)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552분; m/z = 491.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83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부탄-2-일)아크릴아미드
단계 A:
3-아미노부탄-2-올
절차:
포름산암모늄 (10.8 g, 171.1 mmol, 6.8 당량) 및 Pd/C (300 mg)를 메탄올 (30 mL) 중 3-니트로부탄-2-올 (3.0 g, 25.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화합물 (2.0 g, 수율: 8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3-히드록시부탄-2-일카르바메이트
절차:
Boc2O (4.9 g, 22.5 mmol, 1.1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4.54 g, 45.0 mmol, 2.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3-아미노부탄-2-올 (2.0 g, 22.5 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20 mL)로 2회 및 염수 (2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00 mg, 수율: 14%)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tert-부톡시카르보닐)부탄-2-일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640 mg, 6.34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540 mg, 4.76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부탄-2-일카르바메이트 (600 mg, 3.1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00mg, 수율: 59%)을 수득하였다.
단계 D: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부탄-2-일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165 mg, 0.51 mmol, 2.0 당량) 및 3-(tert-부톡시카르보닐)부탄-2-일 메탄술포네이트 (136 mg, 0.51 mmol, 2.0 당량)를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100 mg, 0.2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5 mg, 수율: 31%)을 수득하였다.
단계 E:
1-(3-아미노부탄-2-일)-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부탄-2-일카르바메이트 (45 mg, 0.08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5 mg, 수율: 85%)를 수득하였다.
단계 F: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부탄-2-일)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5 mg, 0.15 mmol, 2.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7 mg, 0.083 mmol, 1.1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1-(3-아미노부탄-2-일)-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35 mg, 0.07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0 mg, 수율: 8%)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038분; m/z = 519.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84
N-(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아크릴아미드
단계 A:
tert-부틸 2-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
절차:
Boc2O (29 g, 0.13 mol, 1.0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37 mL, 0.27 mol, 2.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200 mL) 중 1-아미노-프로판-2-올 (10 g, 0.13 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0 mL)로 2회 및 염수 (10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0 g, 수율: 87%)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tert-부톡시카르보닐)프로판-2-일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15 g, 11.4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0.98 g, 8.6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2-히드록시프로필카르바메이트 (1.0 g, 5.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8 g, 수율: 69%)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165 mg, 0.51 mmol, 2.0 당량) 및 1-(tert-부톡시카르보닐)프로판-2-일 메탄술포네이트 (128 mg, 0.51 mmol, 2.0 당량)를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30 mg, 수율: 21%)을 수득하였다.
단계 D:
1-(1-아미노프로판-2-일)-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 tert-부틸 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카르바메이트 (30 mg, 0.05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 수율:77%)를 수득하였다.
단계 E:
N-(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8.4mg, 0.084mmol, 2.0 당량) 및 아크릴산 무수물 (6.3mg, 0.05 mmol, 1.2 당량)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 (2 mL) 중 1-(1-아미노프로판-2-일)-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0mg, 0.04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0 mg, 수율: 2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912분; m/z = 505.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34 (s, 1H), 7.74 (t, J = 8.4 Hz, 1H), 7.55-7.48 (m, 1H), 7.13-7.06 (m, 2H), 6.10-6.08 (m, 2H), 5.60-5.57 (m, 1H), 5.27-5.24 (m, 1H), 3.82-3.73 (m, 2H), 1.66-1.64 (m, 3H).
실시예 85
N-(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N-메틸아크릴아미드
단계 A:
tert-부틸 2-히드록시에틸(메틸)카르바메이트
절차:
Boc2O (8.0 g, 36.6 mmol, 1.1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6.75 g,66.5 mmol, 2.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50 mL) 중 2-(메틸아미노)에탄올 (2.5 g, 33.3 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30 mL)로 2회 및 염수 (30 mL)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8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tert-부톡시카르보닐)에틸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31 g, 22.8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96 g, 17.7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tert-부틸 2-히드록시에틸(메틸)카르바메이트 (2.0 g, 11.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2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8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C:
tert-부틸 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메틸)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116 mg, 0.36 mmol, 2.0 당량) 및 2-(tert-부톡시카르보닐)에틸 메탄술포네이트 (90 mg, 0.36 mmol, 2.0 당량)를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70 mg, 0.1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0 mg, 수율: 52%)을 수득하였다.
단계 D: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2-(메틸아미노)에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메틸)카르바메이트 (50 mg, 0.09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4 m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E:
N-(2-(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에틸)-N-메틸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8 mg, 0.28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17 mg, 0.092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2-(메틸아미노)에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09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7.7 mg, 수율: 16%)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872분; m/z = 505.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86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N-메틸아크릴아미드
단계 A:
3-((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88 g, 28.5 mmol, 2.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64 g, 14.3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3-히드록시프로필(메틸)카르바메이트 (1.8 g, 14.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2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8 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메틸)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331 mg, 1.02 mmol, 2.0 당량) 및 3-(tert-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 메탄술포네이트 (272 mg, 1.02 mmol, 2.0 당량)를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200 mg, 0.5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58 mg, 수율: 20%)을 수득하였다.
단계 C: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3-(메틸아미노)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메틸)카르바메이트 (50 mg, 0.08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5 m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D:
N-(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프로필)-N-메틸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27 mg, 0.27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8 mg, 0.089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3-(메틸아미노)프로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45 mg, 0.08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히드로클로라이드 (2.3 mg, 수율: 5%)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010분; m/z = 519.2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87
N-(1-(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메틸프로판-2-일)아크릴아미드
단계 A:
2-(ter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 메탄술포네이트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60 g, 15.9 mmol, 3.0 당량) 및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908 mg, 7.93 mmol, 1.5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tert-부틸 1-히드록시-2-메틸프로판-2-일-카르바메이트 (1.0 g, 5.2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하고, 분리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0 mL)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4 g, 수율: 28%)을 수득하였다.
단계 B:
tert-부틸 1-(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메틸프로판-2-일카르바메이트
절차:
탄산세슘 (249 mg, 0.76 mmol, 2.0 당량) 및 2-(tert-부톡시카르보닐)-2-메틸프로필 메탄술포네이트 (272 mg, 1.02 mmol, 2.0 당량)를 DMF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150 mg, 0.3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0 mg,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2-아미노-2-메틸프로필)-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tert-부틸 1-(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메틸프로판-2-일카르바메이트 (20 mg, 0.035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8 mg, 수율: 100%)를 수득하였다.
단계 D:
N-(1-(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메틸프로판-2-일)아크릴아미드
절차:
이어서, 트리에틸아민 (12 mg, 0.12 mmol, 3.0 당량)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3.6 mg, 0.043 mmol, 1.0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1-(2-아미노-2-메틸프로필)-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20 mg, 0.04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히드로클로라이드 (0.8 mg, 수율: 3.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0.492분; m/z = 519.1 [M+H]+; 총 실행 시간: 1.5분.
실시예 88
4-(4-(1-((R)-1-아크릴로일피롤리딘-3-일)-4-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녹시)-N-메틸피콜린아미드
단계 A:
4-(3-플루오로-4-브로모페녹시)-N-메틸피콜린아미드
절차:
포타슘 tert-부톡시드 (177 mg, 1.58 mmol, 1.0 당량)를 DMF (10 mL) 중 4-브로모-3-플루오로페놀 (300 mg, 1.5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4-클로로-N-메틸피콜린아미드 (282 mg, 1.66 mmol, 1.05 당량) 및 탄산칼륨 (229 mg, 1.66 mmol, 1.0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8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수득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95 mg, 수율: 19%)을 수득하였다.
단계 B:
4-(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N-메틸피콜린아미드
절차:
4-(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N-메틸피리딘 아미드 (95 mg, 0.29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88 mg, 0.35 mmol, 1.2 당량), 아세트산칼륨 (86 mg, 0.87 mmol, 3.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13 mg, 0.017 mmol, 0.06 당량)을 1,4-디옥산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에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100 mg, 수율: 93%)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C: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4-일옥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R)-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52 mg, 0.12 mmol, 1.0 당량), 4-(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N-메틸피콜린아미드 (45 mg, 0.12 mmol, 1.0 당량), 인산칼륨 (51 mg, 0.24 mmol, 2.0 당량) 및 Pd-118 (8 mg, 0.012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물 (4 mL, 3/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0℃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15 mg, 수율: 24%)을 수득하였다.
단계 D:
4-(4-(4-아미노-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녹시)-N-메틸피콜린아미드
절차:
4M HCl/EA (5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2-(메틸카르바모일)피리딘-4-일옥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15 mg, 0.028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 수율: 81%)를 수득하였다.
단계 E:
4-(4-(1-((R)-1-아크릴로일피롤리딘-3-일)-4-아미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녹시)-N-메틸피콜린아미드
절차:
이어서, NaOH 용액 (2N, 0.4 mL)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1.9 mg, 0.021 mmol, 1.0 당량)를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1 mL) 중 4-(4-(4-아미노-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3-일)-3-플루오로페녹시)-N-메틸피콜린아미드 (10 mg, 0.02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6 mg, 수율: 60%)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445분; m/z = 489.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89
1-((R)-3-(4-아미노-3-(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2-플루오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4-(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6,7-디메톡시퀴놀린
절차:
THF 중 포타슘 tert-부톡시드의 용액 (1N, 1.24 mL, 1.24 mmol, 1.05 당량)을 DMF (2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225 mg, 1.1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4-클로로-6,7-디메톡시퀴놀린 (264 mg, 1.18 mmol, 1.0 당량) 및 탄산칼륨 (81 mg, 0.59 mmol, 0.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80℃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00 mg, 수율: 24%)을 수득하였다.
단계 B:
4-(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6,7-디메톡시퀴놀린
절차:
4-(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6,7-디메톡시퀴놀린 (100 mg, 0.26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101 mg, 0.39 mmol, 1.5 당량), 아세트산칼륨 (78 mg, 0.79 mmol, 3.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25 mg, 0.026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 (2 mL) 중에 용해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에 8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 (110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4-(6,7-디메톡시퀴놀린-4-일옥시)-2-플루오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R)-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100 mg, 0.26 mmol, 1.0 당량), 4-(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6,7-디메톡시퀴놀린 (145 mg, 0.39 mmol, 1.5 당량), 탄산나트륨 (83 mg, 0.78 mmol, 3.0 당량) 및 Pd(PPh3)4 (30 mg, 0.026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0 mg, 수율: 12%)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17분; m/z = 556.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79 (br, 1H), 8.51 (s, 1H), 7.92-7.86 (m, 2H), 7.57-7.47 (m, 3H), 7.29 (br,1H), 6.74-6.60 (m, 1H), 6.34-6.29 (m, 1H), 5.82-5.76 (m, 2H), 4.27-4.23 (m, 0.5H), 4.15-4.10 (m, 8H), 3.97-3.82 (m, 1.5H), 2.67-2.59 (m, 2H).
실시예 90
1-((R)-3-(4-아미노-3-(2-플루오로-4-(퀴놀린-4-일옥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4-(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퀴놀린
절차:
4-클로로-퀴놀린 (440 mg, 2.7 mmol, 1.0 당량)을 클로로벤젠 (5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2.04 g, 10.8 mmol, 4.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수산화나트륨 용액 (1 N, 10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800 mg, 수율: 93%)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B:
4-(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퀴놀린
절차:
4-(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퀴놀린 (400 mg, 1.26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480 mg, 1.89 mmol, 1.5 당량), 아세트산칼륨 (370 mg, 3.78 mmol, 3.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117 mg, 0.126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 (4 mL) 중에 용해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에 8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450 mg, 수율: 98%)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2-플루오로-4-(퀴놀린-4-일옥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R)-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100 mg, 0.26 mmol, 1.0 당량), 4-(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퀴놀린 (142 mg, 0.39 mmol, 1.5 당량), 탄산나트륨 (83 mg, 0.78 mmol, 3.0 당량) 및 Pd(PPh3)4 (30 mg, 0.026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5 mg, 수율: 10%)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586분; m/z = 496.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9.08 (d, J = 6.8 Hz, 1H), 8.72 (d, J = 8.4 Hz, 1H), 8.49 (s, 1H), 8.26-8.20 (m, 2H), 8.06 (br, 1H), 7.91 (d, J = 6.8 Hz, 1H), 7.56-7.44 (m, 3H), 6.71-6.57 (m, 1H), 6.31-6.27 (m, 1H), 5.80-5.74 (m, 2H), 4.27-3.92 (m, 4H), 2.70-2.55 (m, 2H).
실시예 91
(E)-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4-(디메틸아미노)부트-2-엔-1-온
절차:
(E)-4-(디메틸아미노)부트-2-엔산 히드로클로라이드 (23 mg, 0.14 mmol, 1.1 당량), DIPEA (50 mg, 0.39 mmol, 3.0 당량) 및 HATU (54 mg, 0.14 mmol, 1.1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9 mg, 수율: 40%)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625분; m/z = 574.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11.24 (br, 1H), 8.57 (s, 1H), 8.02-7.95 (m, 1H), 8.62 (t, J = 8.4 Hz, 1H), 7.33 (dd, J = 2.0, 10.8 Hz, 1H), 7.33 (dd, J = 2.0, 8.4 Hz, 1H), 6.76-6.68 (m, 2H), 5.65-5.56 (m, 1H), 4.22-4.16 (m, 0.5H), 4.04-3.87 (m, 4.5H), 3.69-3.58 (m, 1H), 2.71-2.68 (m, 6H), 2.54-2.37 (m, 2H).
실시예 92
(E)-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페닐프로프-2-엔-1-온
절차:
(E)-3-페닐-2-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19.7 mg, 0.12 mmol, 1.1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22 mg, 0.22 mmol, 2.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 mL)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6 mg, 수율: 25%)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371분; m/z = 593.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46 (s, 1H), 7.68-7.60 (m, 4H), 7.55-7.37 (m, 4H), 7.09-6.92 (m, 3H), 5.81-5.71 (m, 1H), 4.33-4.31 (m, 0.8H), 4.19-3.82 (m, 3.2H), 2.73-2.56 (m, 2H).
실시예 93
(E)-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2-플루오로페닐)프로프-2-엔-1-온
절차:
(E)-3-(2-플루오로페닐)아크릴산 (24 mg, 0.14 mmol, 1.1 당량), DIPEA (50 mg, 0.39 mmol, 3.0 당량) 및 HATU (54 mg, 0.14 mmol, 1.1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5 mg, 수율: 31%)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5.220분; m/z = 611.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DMSO-d6) δ 8.04 (s, 1H), 7.95-7.87 (m, 2H), 7.60-7.55 (m, 2H), 7.48-7.42 (m, 1H), 7.28-7.23 (m, 3H), 7.12-7.06 (m, 2H), 5.64-5.50 (m, 1H), 4.23-4.20 (m, 0.5H), 4.05-3.75 (m, 3.5H), 2.56-2.39 (m, 2H).
실시예 94
1-((R)-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tert-부틸 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6.5 g, 15.0 mmol, 1.0 당량), 2-(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6.5 g, 19.6 mmol, 1.3 당량), 인산칼륨 (6.4 g, 30.1 mmol, 2.0 당량) 및 Pd-118 (0.25 g, 0.39 mmol, 0.01 당량)을 1,4-디옥산/물 (16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85℃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로 희석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4.2 g, 수율: 5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4M HCl/EA (10 mL)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15 mL) 중 (3R)-tert-부틸 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4.2 g, 8.2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7 g, 수율: 92%)를 수득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NaOH 용액 (10%, 15.3 mL) 및 아크릴로일 클로라이드 (0.67 g, 7.44 mmol, 0.9 당량)를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중 3-(2-플루오로-4-(3-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3.7 g, 8.2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0에서 1: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2.5 g, 수율: 6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178분; m/z = 463.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Cl3) δ 8.36 (s, 1H), 7.53-7.49 (m, 1H), 7.40-7.35 (m, 1H), 6.95-6.81 (m, 4H), 6.41-6.39 (m, 2H), 5.69-5.55 (m, 3H), 4.14-3.98 (m, 3H), 3.78-3.72 (m, 1H), 2.71-2.54 (m, 2H).
실시예 95
1-((R)-3-(4-아미노-3-(2-플루오로-4-(피리미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2-(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
절차:
2-클로로피리미딘 (1.98 g, 17.3 mmol, 1.1 당량) 및 탄산칼륨 (2.6 g, 18.8 mmol, 1.2 당량)을 아세톤 (30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10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3.0 g, 15.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 (100 mL)을 첨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 5: 1)에 의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 (930 mg, 수율: 22%)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피리미딘
절차:
4-(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피리미딘 (300 mg, 1.11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425 mg, 1.67 mmol, 1.5 당량), 아세트산칼륨 (328 mg, 3.34 mmol, 3.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89 mg, 0.11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 (3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85℃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207 mg, 수율: 59%)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2-플루오로-4-(피리미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R)-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80 mg, 0.21 mmol, 1.0 당량), 2-(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피리미딘 (132 mg, 0.42 mmol, 2.0 당량), 탄산나트륨 (66 mg, 0.63 mmol, 3.0 당량) 및 Pd(PPh3)4 (24 mg, 0.021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2.4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5 mg, 수율: 3.7%)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115분; m/z = 447.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96
1-((R)-3-(4-아미노-3-(4-(4-클로로피리미딘-2-일옥시)-2-플루오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
절차: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3.0 g, 15.7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5.98 g, 23.6 mmol, 1.5 당량), 아세트산칼륨 (4.62 g, 47.1 mmol, 3.0 당량), Pd2(dba)3 (1.44 g, 1.57 mmol, 0.1 당량) 및 x-phos (749 mg, 1.57 mmol, 0.1 당량)을 1,4-디옥산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85℃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3.1 g, 수율: 83%)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B:
1-((R)-3-(4-아미노-3-(2-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R)-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500 mg, 1.3 mmol, 1.0 당량), 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놀 (621 mg, 2.6 mmol, 2.0 당량), 탄산나트륨 (415 mg, 3.9 mmol, 3.0 당량) 및 Pd(PPh3)4 (150 mg, 0.13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6 mL, 5/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1:1)에 의해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2 mg, 수율: 2.5%)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4-(4-클로로피리미딘-2-일옥시)-2-플루오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NaH (1.3 mg, 0.033 mmol, 1.0 당량)를 테트라히드로푸란 (2 mL) 중 1-((R)-3-(4-아미노-3-(2-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12 mg, 0.03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4-클로로-2-(메틸술포닐)피리미딘 (6.3 mg, 0.033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4.1 mg, 수율: 2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554분; m/z = 481.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97
1-((R)-3-(4-아미노-3-(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단계 A:
2-(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절차:
2-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4.2 g, 23.0 mmol, 1.1 당량) 및 탄산칼륨 (3.5 g, 25.1 mmol, 1.2 당량)을 부타논 (15 mL) 및 디메틸 술폭시드 (5 mL) 중 3-플루오로-4-브로모페놀 (4.0 g, 20.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 (20 mL)을 첨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단리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00 mg, 수율: 7%)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절차:
2-(4-브로모-3-플루오로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300 mg, 0.89 mmol, 1.0 당량),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452 mg, 1.78 mmol, 2.0 당량), 아세트산칼륨 (272 mg, 2.78 mmol, 3.0 당량)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 (40 mg, 0.05 mmol, 0.06 당량)을 1,4-디옥산 (2 mL) 중에 용해시키고, 85℃로 가열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 (340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직접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C:
1-((R)-3-(4-아미노-3-(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옥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절차:
(R)-1-(3-(4-아미노-3-아이오도-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80 mg, 0.21 mmol, 1.0 당량), 2-(3-플루오로-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페녹시)-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 (160 mg, 0.42 mmol, 2.0 당량), 탄산칼륨 (86 mg, 0.63 mmol, 3.0 당량) 및 Pd(PPh3)4 (24 mg, 0.021 mmol, 0.1 당량)를 1,4-디옥산/물 (10 mL, 1/1, v/v)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조사하면서 85℃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4 mg, 수율: 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800분; m/z = 515.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98
(Z)-4-((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4-옥소-부트-2-엔니트릴
절차:
포타슘 (Z)-3-시아노아크릴레이트 (29 mg, 0.216 mmol, 2.0 당량), PyBrop (60 mg, 0.130 mmol, 1.2 당량),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2 mg, 0.324 mmol, 3.0 당량)을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 기준))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4 mg, 수율: 2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545분; m/z = 542.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24 (s, 1H), 7.61-7.58 (m, 1H), 7.48-7.43 (m, 1H), 7.19-7.01 (m, 3H), 6.08-6.01 (m, 1H), 5.62-5.56 (m, 1H), 4.16-4.14 (m, 1H), 4.05-3.98 (m, 1.5H), 3.88-3.83 (m, 1H), 3.75-3.70 (m, 0.5H), 2.61-2.51 (m, 2H).
실시예 99 및 100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클로로에타논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클로로에타논
단계 A: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클로로에타논
절차:
디클로로메탄 (1 mL) 중 트리에틸아민 (2 mL) 및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21 mg, 0.19 mmol, 0.9 당량)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 기준))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80 mg, 수율: 69%)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클로로에타논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클로로에타논
절차: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클로로에타논을 SFC에 의해 키랄 분리하여 화합물 99(20 mg, 수율: 25%) 및 실시예 100의 화합물 (35 mg, 수율: 4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실시예 99:
LC/MS (방법: UFLC): RT = 3.566분; m/z = 552.9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0:
LC/MS (방법: UFLC): RT = 3.572분; m/z = 552.9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1 및 102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2-디클로로에타논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2-디클로로에타논
단계 A: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2-디클로로에타논
절차:
디클로로메탄 (1 mL) 중 트리에틸아민 (2 mL) 및 2,2-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28 mg, 0.19 mmol, 0.9 당량)의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30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80 mg, 수율: 65%)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2-디클로로에타논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2-디클로로에타논
절차: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2-디클로로에타논을 SFC에 의해 키랄 분리하여 실시예 101의 화합물 (18 mg, 수율: 23%) 및 실시예 102의 화합물 (30 mg, 수율: 38%)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실시예 101:
LC/MS (방법: UFLC): RT = 3.788분; m/z = 586.9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2:
LC/MS (방법: UFLC): RT = 3.793분; m/z = 586.9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3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2-디클로로에타논
절차:
DIPEA (42 mg, 0.324 mmol, 3.0 당량) 및 2,2-디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 (34 mg, 0.162 mmol, 1.5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순차적으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6 mg, 수율: 40%)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760분; m/z = 572.9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4
(E)-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부트-2-엔-1-온
절차:
트리에틸아민 (30 mg, 0.3 mmol, 3.0 당량) 및 (E)-부트-2-에노일 클로라이드 (10 mg, 0.1 mmol, 1.0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9 mg, 수율: 36%)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854분; m/z = 553.0 [M+Na]+;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5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메틸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2-메타크릴산 (11 mg, 0.134 mmol, 1.2 당량), HATU (53 mg, 0.140 mmol, 1.3 당량)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2 mg, 0.324mmol, 1.0 당량)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단리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8 mg, 수율: 32%)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557분; m/z = 532.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44-8.43 (m, 1H), 7.71-7.65 (m, 1H), 7.53-7.47 (m, 1H), 7.13-7.06 (m, 2H), 5.76-5.65 (m, 1H), 5.36-5.32 (m, 1H), 5.24-5.21 (m, 1H), 4.21-3.99 (m, 2.5H), 3.88-3.80 (m, 1H), 3.70-3.65 (m, 0.5H), 2.59-2.52 (m, 2H), 1.94-1.89 (m, 3H).
실시예 106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플루오로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2-플루오로아크릴산 (11 mg, 0.134 mmol, 1.2 당량), HATU (53 mg, 0.140 mmol, 1.3 당량)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2 mg, 0.324mmol, 1.0 당량)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단리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10 mg, 수율: 18%)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624분; m/z = 535.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43-8.42 (m, 1H), 7.77-7.66 (m, 1H), 7.55-7.47 (m, 1H), 7.12-7.06 (m, 2H), 5.71-5.68 (m, 1H), 5.54-5.52 (m, 0.5H), 5.42-5.41 (m, 0.5H), 5.31-5.26 (m, 1H), 4.28-4.26 (m, 1H), 4.13-4.08 (m, 1.5H), 3.95-3.76 (m, 1.5H), 2.76-2.52 (m, 2H).
실시예 107 및 108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플루오로에타논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플루오로에타논
단계 A: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플루오로에타논
절차:
트리에틸아민 (2 mL) 및 2-플루오로아세틸 클로라이드 (18 mg, 0.19 mmol, 0.9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페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포화 NaHCO3 (20 mL)으로 켄칭하고,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0 mg, 수율: 29%)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플루오로에타논
1-((S)-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플루오로에타논
절차: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2-플루오로에타논을 SFC에 의해 키랄 분리하여 실시예 107의 화합물 (13 mg, 수율: 43%) 및 실시예 108의 화합물 (14 mg, 수율: 47%)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실시예 107:
LC/MS (방법: UFLC): RT = 3.362분; m/z = 537.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8:
LC/MS (방법: UFLC): RT = 3.359분; m/z = 537.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09
((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옥사졸-2-일)메타논
절차:
이어서, 옥사졸-2-카르복실산 (16 mg, 0.143 mmol, 1.1 당량), HATU (54 mg, 0.143 mmol, 1.1 당량)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0 mg, 0.389 mmol, 3.0 당량)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60 mg, 0.13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4 mg, 수율: 33%)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417분; m/z = 558.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10
((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벤조[d]옥사졸-2-일)메타논
절차:
이어서, 벤조[d]옥사졸-2-카르복실산 (26 mg, 0.163 mmol, 1.5 당량), HATU (45 mg, 0.119 mmol, 1.1 당량)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2 mg, 0.324 mmol, 3.0 당량)을 0℃에서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8.7 mg, 수율: 13%)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5.007분; m/z = 608.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11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플루오로에타논
절차:
트리에틸아민 (30 mg, 0.6 mmol, 3.0 당량) 및 2-플루오로아세틸 클로라이드 (18 mg, 0.2 mmol, 2.0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mg, 0.1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히드로클로라이드 (9.5 mg, 수율: 9%)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516분; m/z = 523.3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12
2-((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옥소아세토니트릴
단계 A:
포타슘 시아노포르메이트
절차:
수산화칼륨 (267 mg, 0.157 mmol, 1.0 당량)을 0℃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물 (10 mL/10 mL) 중 에틸 시아노포르메이트 (300 mg, 0.15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70 mg, 수율: 100%)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옥소아세토니트릴
절차:
포타슘 시아노포르메이트 (28 mg, 0.26 mmol, 2.0 당량), PyBrop (132 mg, 0.26 mmol, 2.0 당량) 및 트리에틸아민 (39 mg, 0.39 mmol, 3.0 당량)을 DMF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6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0 mg, 수율: 1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258분; m/z = 515.5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13
2-((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아세토니트릴
절차:
2-아이오도 아세토니트릴 (36 mg, 0.216 mmol, 2.0 당량) 및 탄산칼륨 (74 mg, 0.54 mmol, 5.0 당량)을 DMF (0.5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12 mg, 수율: 22%)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350분; m/z = 502.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Cl3) δ 8.37 (s, 1H), 7.60 (t, J = 8.4 Hz, 1H), 7.09-7.02 (m, 1H), 6.94-6.88 (m, 2H), 5.63-5.56 (m, 1H), 3.74 (s, 2H), 3.30-3.25 (m, 1H), 3.19-3.12 (m, 2H), 2.97-2.90 (m, 1H), 2.56-2.52 (m, 2H).
실시예 114
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판니트릴
절차:
3-브로모-프로피오니트릴 (28 mg, 0.216 mmol, 2.0 당량) 및 탄산칼륨 (74 mg, 0.54 mmol, 5.0 당량)을 DMF (0.5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 mg, 수율: 11%)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671분; m/z = 516.0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Cl3) δ 8.36 (s, 1H), 7.59 (t, J = 8.4 Hz, 1H), 7.10-7.04 (m, 1H), 6.94-6.88 (m, 2H), 5.65-5.52 (m, 1H), 3.35-3.31 (m, 1H), 3.05-2.91 (m, 5H), 2.58-2.44 (m, 4H).
실시예 115
(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N-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복스아미드
단계 A:
(3R)-4-니트로페닐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포르메이트
절차:
트리에틸아민 (2 mL) 및 4-니트로페닐 카르보노클로리데이트 (52 mg, 0.23 mmol, 1.1 당량)를 디클로로메탄 (9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0 mg, 0.2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80 mg, 수율: 69%)을 수득하였다.
단계 B:
(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N-히드록시피롤리딘-1-카르복스아미드
절차:
히드록실아민 수용액 (50%, 0.5 mL, 0.254 mmol, 2 당량)을 DMF (3 mL) 중 (3R)-4-니트로페닐 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카르복실레이트 (80 mg, 0.1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 mg, 수율: 9%)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803분; m/z = 522.1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16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1-(비닐술포닐)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절차: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1 mg, 0.238 mmol, 2.2 당량), DMAP (1.32 mg, 0.011 mmol, 0.1 당량) 및 2-클로로에틸 술포닐 클로라이드 (21 mg, 0.130 mmol, 1.2 당량)를 0℃에서 디클로로메탄 (5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6 mg, 수율: 11%)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543분; m/z = 552.9[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17
2-((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옥소아세트산
절차: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1 mg, 0.33 mmol, 3.0 당량) 및 에틸 시아노포르메이트 (13 mg, 0.13 mmol, 1.2 당량)를 톨루엔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5 mg, 수율: 9%)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1.884분; m/z = 535.1 [M+H]+; 총 실행 시간: 3분.
실시예 118
(3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카르보니트릴
절차:
브로민 시아나이드 (23 mg, 0.216 mmol, 2.0 당량) 및 중탄산나트륨 (27 mg, 0.324 mmol, 3.0 당량)을 아세토니트릴 (2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0 mL)로 희석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7% NH4HCO3,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26 mg, 수율: 49%)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3.338분; m/z = 488.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25 (s, 1H), 7.68 (t, J = 8.4 Hz, 1H), 7.52-7.45 (m, 1H), 7.10-7.02 (m, 2H), 5.57-5.52 (m, 1H), 4.01-3.96 (m, 1H), 3.86-3.80 (m, 2H), 3.69-3.65 (m, 1H), 2.52-2.46 (m, 2H).
실시예 119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클로로-3-히드록시프로판-1-온
단계 A:
2-클로로-2-히드록시아세트산
절차:
질산은 (620 mg, 3.669 mmol, 1.04 당량)을 물 (3 mL) 중 탄산나트륨 (530 mg, 6.386 mmol, 1.42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물 (3 mL) 중 2,2-디클로로아세트산 (500 mg, 3.52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326 mg, 수율: 84%)을 수득하였다.
단계 B:
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2-클로로-3-히드록시프로판-1-온
절차:
이어서, 2-클로로-2-히드록시아세트산 (15 mg, 0.163 mmol, 1.5 당량), HATU (45 mg, 0.119 mmol, 1.1 당량)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2 mg, 0.324 mmol, 3.0 당량)을 0℃에서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 mg, 0.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포화 NaHCO3 (10 mL)으로 켄칭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10 mL)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10%에서 100%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3.4 mg, 수율: 6%)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4.221분; m/z = 569.0 [M+H]+; 총 실행 시간: 7분.
실시예 120
(E)-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듀테륨-프로프-2-엔-1-온
단계 A:
(E)-3-브로모아크릴산
절차:
프로피올산 (1 g, 14.28 mmol, 1.0 당량) 및 HBr (40% 수용액, 1.7 mL, 0.88 당량)의 혼합물을 140℃에서 밤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수득된 조 생성물을 물 (4 mL)로부터 3회 결정화하여 목적 화합물 (0.76 g, 수율: 35%)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1H NMR (400MHz, CDCl3) δ 7.76 (d, J = 14 Hz, 1H), 6.55 (d, J = 14 Hz, 1H).
단계 B:
(E)-3-듀테륨 아크릴레이트
절차:
Na-Hg (6 g, 49.67mmol, 2.5 당량)을 0 내지 5℃에서 D2O (30 mL) 중 (E)-3-브로모아크릴산 (3 g, 19.8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6시간 동안 교반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1M 염산을 사용하여 pH=5로 조정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 (20 mL)로 5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 (0.52 g, 수율: 36%)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1H NMR (400MHz, CDCl3) δ 7.76 (d, J = 17.2 Hz, 1H), 6.55 (d, J = 17.2 Hz, 1H).
단계 C:
(E)-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듀테륨-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E)-3-듀테륨 아크릴레이트 (76 mg, 1.08 mmol, 1.0 당량), HATU (530 mg, 1.40 mmol, 1.3 당량)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19 mg, 3.24 mmol, 3.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500 mg, 1.0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36%에서 37%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76 mg, 수율: 13%)를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LC/MS (방법: UFLC): RT = 2.765분; m/z = 518.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δ 8.41 (s, 1H), 7.66 (t, J = 8.4 Hz, 1H), 7.51-7.44 (m, 1H), 7.09-7.01 (m, 2H), 6.66-6.56 (m, 1H), 6.28-6.23(m, 1H),5.75-5.66 (m, 1H), 4.19-4.16 (m, 1H), 4.06-4.02 (m, 1.5H), 3.89-3.85 (m, 1H), 3.78-3.72 (m, 0.5H), 2.63-2.49 (m, 2H).
실시예 121
(Z)-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듀테륨-프로프-2-엔-1-온
단계 A:
(Z)-3-브로모아크릴산
절차:
프로피올산 (1 g, 14.28 mmol, 1.0 당량) 및 HBr (40% 수용액, 1.7 mL, 0.88 당량)의 혼합물을 55℃에서 밤새 교반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수득된 조 생성물을 물 (4 mL)로부터 3회 결정화하여 목적 화합물 (0.3 g, 수율: 14%)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1H NMR (400MHz, CDCl3) δ 7.16 (d, J = 8.4 Hz, 1H), 6.67 (d, J = 8.4 Hz, 1H).
단계 B:
(Z)-3-듀테륨 아크릴레이트
절차:
Na-Hg (6 g, 49.67mmol, 2.5 당량)을 0 내지 5℃에서 D2O (30 mL) 중 (Z)-3-브로모아크릴산 (3 g, 19.8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6시간 동안 교반하고,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1M 염산을 사용하여 pH=5로 조정한 다음, 디에틸 에테르 (20 mL)로 5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여 목적 화합물 (0.34 g, 수율: 23%)을 수득하였다.
분광법 데이터:
1H NMR (400MHz, CDCl3) δ 6.14 (d, J = 10.4 Hz, 1H), 5.96 (d, J = 10.4 Hz, 1H).
단계 C:
(Z)-1-((R)-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롤로[2,3-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3-듀테륨-프로프-2-엔-1-온
절차:
이어서, (Z)-3-듀테륨 아크릴레이트 (151 mg, 2.16 mmol, 1.0 당량), HATU (1.06 g, 2.80 mmol, 1.3 당량)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838 mg, 6.48 mmol, 3.0 당량)을 디클로로메탄 (3 mL) 중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1.0 g, 2.1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키고, 스핀-건조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HPLC에 의해 C18 역상 칼럼 (이동상: 아세토니트릴/물/0.5% HCl, 구배: 36%-37% (부피비))을 사용하여 정제하고, 감압 하에 증발시켜 휘발성 성분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목적 화합물의 히드로클로라이드 (228 mg, 수율: 20%)를 수득하였다.
LC/MS (방법: UFLC): RT = 2.775분; m/z = 518.1 [M+H]+; 총 실행 시간: 7분.
1H NMR (400MHz, CD3OD) δ 8.45 (s, 1H), 7.70 (t, J = 8.4 Hz, 1H), 7.52-7.46 (m, 1H), 7.13-7.05 (m, 2H), 6.71-6.61 (m, 1H), 5.80-5.73 (m, 2H), 4.23-4.20 (m, 1H), 4.09-4.04 (m, 1.5H), 3.93-3.90 (m, 1H), 3.80-3.75 (m, 0.5H), 2.67-2.56 (m, 2H).
시험관내 검정
BTK 키나제 활성의 억제 검정: 검정 화합물, 대조 화합물 또는 물 (대조군)을 완충제 중 1 nM BTK 야생형, 1 μM 비오틴-TK1 펩티드, 및 30 μM ATP를 함유하는 50 mM HEPES (pH=7.5) 완충제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EDTA를 첨가하여 켄칭하였다. 이어서, 2 nM 항체 및 62.5 nM XL665를 억제제 (5μl)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플레이트 판독기 (엔비전(Envision), 퍼킨 엘머(Perkin Elmer))를 사용하여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고, 이어서 판독치를 키나제 활성 억제율%로 변환하였다.
생체내 검정
수컷 SD 래트에서의 약동학적 연구: 24-시간 약동학적 연구를 위한 수컷 SD 래트를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정맥내 투여 및 경구 투여. 각각의 군에는 3마리의 래트가 존재하였다. 정맥내 투여 군의 경우에, 투여-전 및 투여-후 0.0833, 0.167, 0.5,1, 2, 4, 8, 24시간에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고; 경구 투여 군의 경우에, 투여-전 및 투여-후 0.167, 0.5, 1, 2, 4, 8, 24시간에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혈액 수집 후, HPLC-MS/MS를 적용하여 화합물의 혈장 농도를 결정하였다. 정맥내 군의 계산된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평균 혈장 클리어런스 (CLp), 정상 상태에서의 분포의 평균 겉보기 부피 (Vdss), 0-24시간 곡선하 면적 (AUC), 0-24시간 평균 체류 시간 (MRT), 반감기 (T1/2)를 포함하였고; 경구 군의 계산된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평균 피크 농도 (Cmax), 0-24시간 곡선하 면적 (AUC), 0-24시간 평균 체류 시간 (MRT); 연구 동안의 평균 상대 생체이용률을 포함하였다.
비글 개에서의 약동학적 연구: 24-시간 약동학적 연구를 위한 비글 개를 2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정맥내 투여 (킬로그램당 1 mg) 및 경구 투여 (킬로그램당 3 mg). 각각의 군에는 3마리의 개가 존재하였다. 정맥내 투여 군의 경우에, 투여-전 및 투여-후 0.033, 0.083, 0.25, 0.5, 1, 3, 6, 9, 24시간에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고; 경구 투여 군의 경우에, 투여-전 및 투여-후 0.083, 0.25, 0.5, 1, 3, 6, 9, 24시간에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혈액 수집 후, HPLC-MS/MS를 적용하여 화합물의 혈장 농도를 결정하였다. 정맥내 군의 계산된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평균 혈장 클리어런스 (CLp), 정상 상태에서의 분포의 평균 겉보기 부피 (Vdss), 0-24시간 곡선하 면적 (AUC), 0-24시간 평균 체류 시간 (MRT), 반감기 (T1/2)를 포함하였고; 경구 군의 계산된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평균 피크 농도 (Cmax), 0-24시간 곡선하 면적 (AUC), 0-24시간 평균 체류 시간 (MRT); 연구 동안의 평균 상대 생체이용률을 포함하였다.
생체내 종양 성장의 억제 연구: 군 사이에 비슷한 평균 체중을 달성하고 편차를 허용가능한 범위 내로 제어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에 의해 SCID 마우스 또는 누드 마우스 (실험 시작 시 약 18 g으로 칭량됨)를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종양 형성을 위해 마우스에게 BTK 세포주를 주사하였다. 억제제를 경구로 1일에 1회 또는 2회 총 7일 또는 14일 동안 투여하였다. 체중 및 종양 부피를 기록하였다.

Claims (21)

  1. 화학식 I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여기서, Ar1
    이고, 여기서 R1, R2, R4 및 R5는 각각 플루오린, R3는 수소이고;
    Ar2
    로부터 선택되고,
    Q는 O이고;
    M1은 피페리디닐 또는 피롤리디닐이고,
    Y는 -C(=O)-, NR11C(=O) 또는 S(=O)2이고, 여기서 R10 및 R11은 독립적으로 아미노, 시클로아미노,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로알킬, 옥소-헤테로시클릴,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플루오로아세틸, 아미드 기, 아실, 구아니딜,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1-C6 알킬, C3-C10 시클로알킬, C1-C6 알콕실 또는 C1-C6 옥소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아미노, 아미드 기, 아실, C2-C6 알케닐, 알킬, 알콕실 또는 시클로알킬은 중수소, 할로겐, 아미노, 히드록시, 히드록시 알킬, 카르보닐, 에스테르 기, 아미드 기, 니트로, 시아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C1-C6 알킬, C1-C6 알콕실, C1-C6 옥소알킬 또는 C3-C10 시클로알킬로 임의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X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화학식 IX>

    여기서, 상기 R1, R2, R3 , R4, R5, R10 및 M1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M1이 피페리디닐이고, R10이 중수소로 임의로 치환된 비닐인 화합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M1이 피롤리디닐이고, R10이 중수소로 임의로 치환된 비닐인 화합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0이 비치환된 비닐 또는 중수소-치환된 비닐인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및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9.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11.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1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BTK)를 0.5 μM 이하의 IC50로 억제하는 화합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1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TK를 0.05 μM 이하의 IC50로 억제하는 화합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15. 제1항에 있어서,
    1-(3-(4-아미노-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롤리딘-1-일)프로프-2-엔-1-온,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3-(2-플루오로-4-(2,3,5,6-테트라플루오로페녹시)페닐)-1-((R)-1-(비닐술포닐)피롤리딘-3-일)-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아민, 또는 그의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16. 제1항, 제2항, 제6항 내지 제12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암이 뇌 종양, 방광암, 위암, 난소암, 췌장암, 유방암, 두경부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결장직장암, 신장암, 식도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골암, 피부암, 결장암, 여성 생식관 종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MM), 및 고환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약 조성물.
  18. 제1항, 제2항, 제6항 내지 제12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자가면역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자가면역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이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뇌척수 경화증, 궤양성 결장염 및 전신 홍반성 루푸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0. 제1항, 제2항, 제6항 내지 제12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B-세포 악성종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B-세포 악성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B-세포 악성종양이 소림프구성 림프종 (SL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미만성 대 B-세포 림프종 (DLBCL), 다발성 골수종, 발덴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 (WM), 여포성 림프종 (FL) 및 외투 세포 림프종 (MCL)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KR1020237032203A 2014-04-29 2015-04-27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폴리플루오로화 화합물 KR102669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175783.7A CN105017256A (zh) 2014-04-29 2014-04-29 多氟化合物作为布鲁顿酪氨酸激酶抑制剂
CN201410175783.7 2014-04-29
KR1020167028059A KR20160144378A (ko) 2014-04-29 2015-04-27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폴리플루오로화 화합물
PCT/CN2015/000290 WO2015165279A1 (zh) 2014-04-29 2015-04-27 多氟化合物作为布鲁顿酪氨酸激酶抑制剂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059A Division KR20160144378A (ko) 2014-04-29 2015-04-27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폴리플루오로화 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499A KR20230137499A (ko) 2023-10-04
KR102669966B1 true KR102669966B1 (ko) 2024-05-2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965A1 (en) * 2012-06-18 2013-12-27 Principia Biopharma Inc. Reversible covalent pyrrolo- or pyrazolopyrimidines useful for the treatment cancer and autoimmune diseas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91965A1 (en) * 2012-06-18 2013-12-27 Principia Biopharma Inc. Reversible covalent pyrrolo- or pyrazolopyrimidines useful for the treatment cancer and autoimmune disea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5582B2 (ja) ブルトン型チロシンキナーゼ(btk)インヒビターとしての多フルオロ置換化合物
CN108349940B (zh) 布鲁顿酪氨酸激酶抑制剂
JP6609631B2 (ja) 縮合環ヘテロアリール化合物及びtrk抑制剤としての用途
ES2866152T3 (es) Derivados de tirosina amida como inhibidores de la Rho-quinasa
KR102073797B1 (ko) 단백질 키나제 저해제로서의 아미노피리다지논 화합물
EP3190889B1 (en) Compounds inhibiting leucine-rich repeat kinase enzyme activity
CA3013618C (en) Substituted pyrazolo[1,5-a]pyrimidine compounds as trk kinase inhibitors
US9688654B2 (en) Compounds inhibiting leucine-rich repeat kinase enzyme activity
BR112018074621B1 (pt) compostos derivados de pirazolopirimidina como inibidores de quinase,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reendendo ditos compostos e uso terapêutico dos mesmos
EA034558B1 (ru) 4-ИМИДАЗО[1,5-a]ПИРИДАЗИН-1-ИЛ-БЕНЗАМИДЫ В КАЧЕСТВЕ Btk-ИНГИБИТОРОВ
MX2013005603A (es) Derivados de pirrolopiridina sustituidos con ciclobutilo como inhibidores de janus cinasas (jak).
CN116323625A (zh) 杂环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医药上的用途
KR102669966B1 (ko)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폴리플루오로화 화합물
CN117396473A (zh) 血浆激肽释放酶的咪唑并吡啶基抑制剂
JP2022548381A (ja) 置換ベンゾイミダゾールカルボキサミドおよび医学的障害の治療におけるこれらの使用
WO2023227867A1 (en) Heterobicyclic amides as inhibitors of cd38
CN114981270A (zh) Mll1抑制剂和抗癌剂
CN115557946A (zh) 杂环内酰胺类化合物,包含其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