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068B1 -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 Google Patents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9068B1 KR102669068B1 KR1020230122360A KR20230122360A KR102669068B1 KR 102669068 B1 KR102669068 B1 KR 102669068B1 KR 1020230122360 A KR1020230122360 A KR 1020230122360A KR 20230122360 A KR20230122360 A KR 20230122360A KR 102669068 B1 KR102669068 B1 KR 102669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
- insole
- groove
- position corresponding
- convex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title 1
- 210000003371 to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1255 hallux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6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0474 heel Anatomy 0.000 description 18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845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37 tars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770 Foo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72720 Medialuna californ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332 Plantar Fasci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88 articular cartil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459 calcane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48 hind-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72 metatarsal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에 대응하는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인솔(100)에서 발바닥이 닿는 상면은, 발바닥의 내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의 제1볼록형상부(110)와,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의 제2볼록형상부(140)와, 발가락의 공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이면서 직선길이의 제3볼록형상부(120)와, 엄지발가락의 밑부분에 위치한 볼에 대응된 위치에 오목형의 보행안정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보행안정홈(130)은 발바닥의 볼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1볼록형상부(110)와 제2볼록형상부(140) 사이를 거쳐 발바닥의 뒤꿈치에 대응된 위치까지 연결된 오목형의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 중앙에 대응된 위치에 링형태로 돌출된 제4볼록형상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에 대응하는 밸런스 유지형 밑창 및 인솔 부재를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은 신체 중 가장 많이 움직이면서 체중을 지탱함과 함께 발바닥에는 신체의 장기와 연결되는 각종 신경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전신건강을 위해서는 발이 건강하고 피로하지 않아야 하며, 발만 잘 관리해도 혈액순환이 촉진되고 노폐물배출이 원활해지는 등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발의 건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적절한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신발의 핵심적인 부분은 발바닥과 직접 접하는 신발 깔창 즉, 인솔이라고 할 수 있다. 신발 인솔은 신발의 바닥면에 끼워져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된 것으로서, 통상 신발 내부의 바닥면 모양에 따라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보행시 편안함을 느끼고 피로감을 덜 수 있도록 쿠션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인솔은 바닥면이 평평한 형상이므로 발바닥의 형상과 합치되지 않아 발바닥의 특정 부분에만 강한 압력이 전해져 발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신발 인솔은 보행시 발바닥과 인솔 사이 슬립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보행시 불편함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비만으로 인한 체중 증가, 딱딱한 콘크리트 바닥이나 아스팔트에서의 생활 및 잘못된 자세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에 충격을 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무게하중을 지탱하고 체중의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발의 돔형 아치들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돔형 아치들의 변형은 인체 관절연골들의 밸런스를 무너뜨려 발이 무게하중을 적절히 흡수하거나 분산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발이 인체의 무게하중을 적절히 지탱하지 못하게 되면 족저근막염과 같은 발의직접적인 질환 발생뿐만 아니라 무릎관절의 연골에까지 지속적으로 피로도를 누적시켜 연골 마모에 의한 무릎관절염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 및 아치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밸런스 유지형 밑창 및 인솔 부재를 형성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시 인체 발의 부위별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여 형성된 밑창 또는 인솔 부재에 의해 유동에 의한 충격 흡수 및 분배, 안정적인 지지 그리고 부위별 위치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한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발바닥이 닿는 인솔과 상기 인솔을 지지하는 밑창으로 구성된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인솔에서 발바닥이 닿는 상면은, 발바닥의 내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의 제1볼록형상부와,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의 제2볼록형상부와, 발가락의 공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이면서 직선길이의 제3볼록형상부와, 엄지발가락의 밑부분에 위치한 볼에 대응된 위치에 오목형의 보행안정홈이 형성되되, 상기 보행안정홈은 발바닥의 볼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1볼록형상부와 제2볼록형상부 사이를 거쳐 발바닥의 뒤꿈치에 대응된 위치까지 연결된 오목형의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 중앙에 대응된 위치에 링형태로 돌출된 제4볼록형상부를 포함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밑창의 상면 테두리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연장된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 내측의 밑창 상면에 인솔이 안착되며, 이때 인솔의 하면에는 발가락의 위치에 대응된 전측면과 발뒤꿈치의 위치에 대응된 후측면 사이의 양측에 각각 소정 직선길이로 요입된 완충홈이 형성되며, 이때 완충홈과 완충홈 사이에 지지대가 형성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밑창의 상면과 인솔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솔의 양측 완충홈이 수용되면서 대응되도록 보강흡수대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흡수대의 내부에 중공형의 공압부가 형성되며, 양측 보강흡수대 사이로 인솔의 지지대가 수용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 완충판이 더 포함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솔의 완충홈 내측단에서 내부로 요입된 가압유도홈이 형성되되, 상기 완충홈의 방향에 대응된 가압유도홈의 일측면은 경사형으로 형성되면서 지지대의 방향에 대응된 가압유도홈의 타측면은 수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판의 보강흡수대 내측단에 가압유도홈의 형상에 대응된 가압지지부가 연결 형성되면서 보강흡수대의 공압부가 가압지지부의 내부로 연결된 형태를 형성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은, 인체 발의 부위별 뼈의 구조 및 아치의 형태에 대응하도록 밸런스 유지형 밑창 및 인솔 부재를 형성 배치하여 인체 무게하중을 분산 및 흡수하며, 보행시 인체 발의 부위별 가해지는 무게하중의 변화에 대응하여 형성된 부재에 의해 유동에 의한 충격 흡수 및 분배, 부위별 안정적인 지지 그리고 부위별 위치의 조정을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의 인솔과 밑창의 결합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의 평면도(a)와 D-D 부위의 단면도(b).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도 2의 (a)에 표현한 A-A 부위의 단면도(a), 도 2의 (a)에 표현한 B-B 부위의 단면도(b) 및 도 2의 (a)에 표현한 C-C 부위의 단면도(c).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신발 내부 바닥면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평판형 신발창 형태의 인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인솔과 밑창 사이에 완충판이 배치된 구조에서의 수직 단면도(a)와 완충판의 수직 단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밀창의 가압유도홈과 완충판의 가압지지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의 수직 단면도(a) 그리고 인솔과 완충판 간의 결합 분해도(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정정유도부가 형성된 완충판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의 평면도(a)와 D-D 부위의 단면도(b).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도 2의 (a)에 표현한 A-A 부위의 단면도(a), 도 2의 (a)에 표현한 B-B 부위의 단면도(b) 및 도 2의 (a)에 표현한 C-C 부위의 단면도(c).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신발 내부 바닥면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평판형 신발창 형태의 인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인솔과 밑창 사이에 완충판이 배치된 구조에서의 수직 단면도(a)와 완충판의 수직 단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밀창의 가압유도홈과 완충판의 가압지지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의 수직 단면도(a) 그리고 인솔과 완충판 간의 결합 분해도(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에서 정정유도부가 형성된 완충판의 수직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도면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사람의 발뼈는 활모양으로 아치가 형성되어 있어 몸무게를 지탱하고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발바닥이 닿는 인솔(100)과 상기 인솔(100)을 지지하는 밑창(200)으로 구성된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10)에 있어서,
상기 인솔(100)에서 발바닥이 닿는 상면은, 발바닥의 내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의 제1볼록형상부(110)와,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의 제2볼록형상부(140)와, 발가락의 공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이면서 직선길이의 제3볼록형상부(120)와, 엄지발가락의 밑부분에 위치한 볼에 대응된 위치에 오목형의 보행안정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보행안정홈(130)은 발바닥의 볼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1볼록형상부(110)와 제2볼록형상부(140) 사이를 거쳐 발바닥의 뒤꿈치에 대응된 위치까지 연결된 오목형의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 중앙에 대응된 위치에 링형태로 돌출된 제4볼록형상부(150)를 포함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솔(100)은 도 4에 나타낸 신발(10) 내부 전체에 깔아서 사용되거나 도 1에 나타낸 슬리퍼와 같이 밑창(200)과 일체로 사용되고, 사용자 발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2, 3, 4볼록형상부(110)(140)(120)(150) 및 보행안정홈(130)이 형성되는데, 인솔은 좌, 우측 신발(미도시)에 한 쌍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본 설명에서는 신발의 어느 일측에 장착되는 인솔(10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인솔(100)은 형상유지를 위해 강도가 있고, 탄성이 있으며, 가벼운 특징을 가지는 라텍스, 실리콘, 탄소섬유, 고분자수지(일예로, 폴리우레탄), 에틸렌 바이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소재가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고, 복수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솔(10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층이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층, 제2층과 같이 복수 개의 소재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솔(100)은 사용자의 발 사이즈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다양한 신발에 내입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 발의 상태에 따라 강도조절을 위해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위생적으로 교체 및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바닥이 닿는 인솔(100)의 상면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1볼록형상부(110)는 발바닥의 내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태로 형성되며, 발바닥의 내측 아치 형상에 대응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볼록형상부(110)는 발바닥의 내측 아치부를 자극하기 위한 돌출부로서, 발바닥의 오목한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볼록형상부(110)는 상부가 만곡하게 돌출되는 만곡부를 형성하되, 외측 방향으로는 다소 급한 경사를 이루지만 내측의 중앙부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곡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볼록형상부(110)는 인솔의 내외측 방향에 대하여 내측 중앙부로 볼록한 반달 형상을 가지며, 보행시 사용자 발의 피로도를 완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1볼록형상부(110)의 내측과 외측이 비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은 보행시 보다 자연스럽게 후족부에서 전족부로 하중이 이동될 때 내측방향으로 힘의 이동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볼록형상부(140)는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태로 형성되며, 발바닥의 외측 아치 형상에 대응된 형태로 형성된다.
제2볼록형상부(140)는 외측 아치부인 족근골 및 중족골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인체 발의 세로 방향 즉, 외측 종 아치(Lateral Longitudinal arch)를 지지한다. 상기 제1볼록형상부(110)와 배치되는 인접 영역이고 발바닥의 외측 영역이기 때문에 내측 종 아치 형태와는 정 반대의 아치 모양을 한다.
특히, 인체 발바닥의 외측 영역은 지면과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돌출 높이가 낮고 길쭉한 형태로 형성되며, 보행시 발목이 과도하게 회외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3볼록형상부(120)는 발가락의 공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이면서 직선길이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보행시 뒤꿈치와 함께 바닥에 가장 많이 닿는 부분으로, 가장 많은 하중이 가해지며, 제3볼록형상부(120)는 장시간 서서 일하는 업무나, 장시간 보행시 가장 많은 하중이 실리는 것을 보완하면서 안정성과 보행 견인력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행안정홈(130)은 엄지발가락의 밑부분에 위치한 볼에 대응된 위치에 오목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보행안정홈(130)은 발바닥의 볼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1볼록형상부(110)와 제2볼록형상부(140) 사이를 거쳐 발바닥의 뒤꿈치에 대응된 위치까지 연결된 오목형의 홈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보행안정홈(130)을 통하여, 보행 시 뒤꿈치에 하중이 가해진 후 체중이 전방으로 이동될 시 뒤꿈치에 가해졌던 하중이 해제되면서 아치부가 팽창되어 발이 외측으로 가이드되었다가,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의 방향으로 추진력을 발생시켜 보행이 교정 또는 보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볼록형상부(150)는 발바닥의 뒤꿈치 중앙에 대응된 위치에 링형태로 돌출되며, 발 뒤꿈치의 올바른 위치를 조정하면서 발 뒤꿈치를 받치는 구성이며, 제4볼록형상부(150)는 링형태로 형성되어 보행 시 발 뒤꿈치의 내측이 지면에 접지할 때 뒤꿈치가 가압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특히, 후족부의 중앙에 배치되어 종골을 받쳐주도록 하여 정상적인 보행인 경우 지면에 접촉시 후족부부터 충격이 발생되기 때문에 제4볼록형상부(150)를 통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인솔이 무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의 (b)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밑창(200)의 상면 테두리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연장된 지지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10) 내측의 밑창(200) 상면에 인솔(100)이 안착되며, 이때 인솔(100)의 하면에는 발가락의 위치에 대응된 전측면과 발뒤꿈치의 위치에 대응된 후측면 사이의 양측에 각각 소정 직선길이로 요입된 완충홈(160)이 형성되며, 이때 완충홈(160)과 완충홈(160) 사이로 인솔 하면의 중앙에 돌출형 지지대(170)가 형성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10)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210)는 밑창(200)의 상면 테두리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연장된 형태로서, 상기 밑창(200)의 지지부(210) 둘레의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면서 공간의 바닥면에 인솔(100)이 안착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발가락이 위치한 지골에 대응되는 인솔(100) 하면의 전측면은 밑창(200) 상면의 전측면에 연결 또는 밀착되면서 인솔(100) 하면의 전측면 테두리가 밑창 상면의 전측면 테두리에 위치한 지지대(170)에 면접 밀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발 뒤꿈치가 위치한 족근골에 대응되는 인솔(100) 하면의 후측면은 밑창(200) 상면의 후측면에 연결 또는 밀착되면서 인솔(100) 하면의 후측면 테두리가 밑창(200) 상면의 후측면 테두리에 위치한 지지대(170)에 면접 밀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솔(100) 하면의 전측면과 후측면 사이에 위치한 면(面)에서는 양측에 각각 소정 직선길이로 요입된 완충홈(160)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홈(10)과 완충홈(160) 사이에 지지대(17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70)는 인솔(100) 하면의 전측면 및 하측면에 대응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완충홈(160)은 내부로 요입된 홈형태이면서 직선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인솔(100) 양단으로 연계된 홈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인솔(100) 하면의 양측에 형성된 완충홈(160)은 발바닥의 아치부는 활 모양의 굽어져 있어 장시간 보행을 하거나 오래 서 있는 경우 급격한 피로감을 유발하게 됨에 따라 완충홈(160)을 통해 아치부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로감을 경감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하며, 특히 착용자의 보행 시 보행하중이 실질적으로 가해지는 발바닥 부분 즉, 발뒤꿈치로부터 발앞꿈치에 이르기까지의 부분이 완충홈(160)에 의하여 보다 더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보행과정에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피로를 보다 더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완충홈(160)에 의하여 착용자의 발 뒤꿈치로부터 발 앞꿈치의 발끝에 이르는 발바닥 전체면에 걸쳐 한층 더 자연스럽고 보행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착용자들의 무릎과 발목부위의 관절을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건강증진 측면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의 (b)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된 인솔(100) 중측의 양측과 밑창(200)의 지지부(210) 사이에 이격된 여유공간(220)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여유공간(220)은 인솔(100) 하측의 양측과 밑창(200)의 지지부(210) 사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보행시 신체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도록 인솔(100)의 중측 양단에서 후측 양단이 여유공간(220)으로 신장되어 하중분산을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밑창(200)의 상면과 인솔(10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솔(100)의 양측 완충홈(160)이 수용되면서 대응되도록 보강흡수대(310)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흡수대(310)의 내부에 중공형의 공압부(311)가 형성되며, 양측 보강흡수대(310) 사이로 인솔(100)의 지지대(170)가 수용 대응되도록 결합홈(32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 완충판(300)이 더 포함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10)을 제공한다.
상기 완충판(300)은 인솔(100)의 하면 형상에 대응된 상면 형상을 가지며, 그리고 인솔(100)의 하면 단면적에 대응된 단면적을 가진 완충판(300)을 사용한다.
상기 완충판(300)은 밑창(200)의 상면과 인솔(10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판(300)의 상면은 인솔(100)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완충판(300)의 하면은 밑창(200)의 상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완충판(300)의 상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보강흡수대(310)가 형성되어 인솔의 완충홈(160)으로 수용되며, 상기 보강흡수대(310)의 내부에 중공형의 공압부(311)가 형성되어 보행시 지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상기 완충판(300) 상면의 보강흡수대(310)와 보강흡수대(310) 사이로 결합홈(320)이 형성되어 지지대(170)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10)을 착용 후 보행시 인솔이 밑창으로부터 밀림 또는 이탈을 방지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포함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인솔(100)의 완충홈(160) 내측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가압유도홈(161)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완충홈(160)의 방향에 대응된 가압유도홈(161)의 일측면은 경사형으로 형성되면서 지지대(170)의 방향에 대응된 가압유도홈(161)의 타측면은 수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판(300)의 보강흡수대(310) 내측단에 가압유도홈(161)의 형상에 대응된 가압지지부(312)가 연결 형성되면서 보강흡수대(310)의 공압부(311)가 가압지지부(312)의 내부로 연결된 형태를 형성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10)을 제공한다.
상기 완충판(300) 양측에 형성된 보강흡수대(310)가 상호 좌우 대칭형태로 배치되면서 가압지지부(312)도 역시 좌우 대칭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인솔(100)의 가압유도홈(161)에 완충판(300)의 가압지지부(312)가 결합되면서 보강흡수대(310)의 공압부(311)가 가압지지부(312)의 내부로 연결된 형태를 형성되며, 이에 보행시 가압지지부(312)의 압축 변화에 대응되도록 공압부(311) 내부가 압축상태로 진행되어 발바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판(300)의 양단에 각각 수평 연결된 연장탭(331)이 형성되면서 연장탭(331) 상면에서 연결되어 여유공간(220)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수직판형 돌출핀(332)으로 구성된 정전유도부(33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정전유도부(330)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수직판형 돌출핀(332)으로 형성되며, 상기 정정유도부(330)는 돌출핀(332) 하단이 연장탭(331) 상면에 연결되어 소정 길이로 상향 연장된 수직판형의 돌출핀(332)이 복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정전유도부(330)는 여유공간(220)이 형성된 완충판(300))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인솔(100)의 상면에서 발생된 정전기 또는 발바닥에서 발생된 정전기를 정전유도부로 전달되어 밑창(200)으로 흡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인솔 100 제1볼록형상부 110 제2볼록형상부 140
제3볼록형상부 120 제4볼록형상부 150 보행안정홈 130
완충홈 160 지지대 160 가압유도홈 161
밑창 200 지지부 210 여유공간 220
완충판 300 보강흡수대 310 공압부 311
가압지지부 312 결합홈 320 정전유도부 330
연장탭 331 돌출핀 332
제3볼록형상부 120 제4볼록형상부 150 보행안정홈 130
완충홈 160 지지대 160 가압유도홈 161
밑창 200 지지부 210 여유공간 220
완충판 300 보강흡수대 310 공압부 311
가압지지부 312 결합홈 320 정전유도부 330
연장탭 331 돌출핀 332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발바닥이 닿는 상면으로 발바닥의 내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의 제1볼록형상부(110)와, 발바닥의 외측 아치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의 제2볼록형상부(140)와, 발가락의 공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 상향 볼록형이면서 직선길이의 제3볼록형상부(120)와, 엄지발가락의 밑부분에 위치한 볼에 대응된 위치에 오목형의 보행안정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보행안정홈(130)은 발바닥의 볼에 대응된 위치에서 제1볼록형상부(110)와 제2볼록형상부(140) 사이를 거쳐 발바닥의 뒤꿈치에 대응된 위치까지 연결된 오목형의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바닥의 뒤꿈치 중앙에 대응된 위치에 링형태로 돌출된 제4볼록형상부(150)를 포함하는 인솔(100)과 상기 인솔(100)을 지지하는 밑창(200)으로 구성된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10)에 있어서,
상기 밑창(200)의 상면 테두리에서 소정 길이로 상향 연장된 지지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10) 내측의 밑창(200) 상면에 인솔(100)이 안착되며, 이때 인솔(100)의 하면에는 발가락의 위치에 대응된 전측면과 발뒤꿈치의 위치에 대응된 후측면 사이의 양측에 각각 소정 직선길이로 요입된 완충홈(160)이 형성되며, 이때 완충홈(160)과 완충홈(160) 사이로 인솔 하면의 중앙에 돌출형 지지대(170)가 형성되며,
상기 인솔(100) 중측의 양측과 밑창(200)의 지지부(210) 사이에 이격된 여유공간(220)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여유공간(220)은 인솔(100) 하측의 양측과 밑창(200)의 지지부(210) 사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밑창(200)의 상면과 인솔(10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솔(100)의 양측 완충홈(160)이 수용되면서 대응되도록 보강흡수대(310)가 양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보강흡수대(310)의 내부에 중공형의 공압부(311)가 형성되며, 양측 보강흡수대(310) 사이로 인솔(100)의 지지대(170)가 수용 대응되도록 결합홈(32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 완충판(300)이 설치되며,
상기 인솔(100)의 완충홈(160) 내측단에서 내측으로 요입된 가압유도홈(161)이 연장 형성되되, 상기 완충홈(160)의 방향에 대응된 가압유도홈(161)의 일측면은 경사형으로 형성되면서 지지대(170)의 방향에 대응된 가압유도홈(161)의 타측면은 수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판(300)의 보강흡수대(310) 내측단에 가압유도홈(161)의 형상에 대응된 가압지지부(312)가 연결 형성되며, 보행시 가압지지부(312)의 압축 변화에 대응되도록 보강흡수대(310)의 공압부(311)가 가압지지부(312)의 내부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완충판(300)의 양단에 각각 수평 연결된 연장탭(331)이 형성되면서 연장탭(331) 상면에서 연결되어 여유공간(220)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수직판형 돌출핀(332)으로 구성된 정전유도부(3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2360A KR102669068B1 (ko) | 2023-09-14 | 2023-09-14 |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2360A KR102669068B1 (ko) | 2023-09-14 | 2023-09-14 |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69068B1 true KR102669068B1 (ko) | 2024-05-24 |
Family
ID=9132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2360A KR102669068B1 (ko) | 2023-09-14 | 2023-09-14 |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9068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8101Y1 (ko) * | 2001-12-06 | 2002-03-15 | (주)타스 | 쿠션과 통풍을 겸하는 신발용 삽입물 |
JP3784680B2 (ja) * | 2000-09-14 | 2006-06-14 | 茂 竹中 | 履き物用底部・中敷き |
KR101557782B1 (ko) | 2007-08-24 | 2015-10-19 | 오소솔 리미티드 | 착탈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발 교정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KR101746521B1 (ko) | 2010-05-18 | 2017-06-14 | 주식회사 학산 |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
JP2017108906A (ja) * | 2015-12-16 | 2017-06-22 | 株式会社ベルシャン | 履物用中敷及び履物用中敷部品 |
KR102170264B1 (ko) * | 2019-04-16 | 2020-10-26 | 조정명 | 자세교정이 가능한 쿠션 신발밑창 |
KR102509626B1 (ko) | 2021-11-15 | 2023-03-14 | 주식회사 버텍스코리아 | 에어쿠션 깔창 |
-
2023
- 2023-09-14 KR KR1020230122360A patent/KR1026690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84680B2 (ja) * | 2000-09-14 | 2006-06-14 | 茂 竹中 | 履き物用底部・中敷き |
KR200268101Y1 (ko) * | 2001-12-06 | 2002-03-15 | (주)타스 | 쿠션과 통풍을 겸하는 신발용 삽입물 |
KR101557782B1 (ko) | 2007-08-24 | 2015-10-19 | 오소솔 리미티드 | 착탈가능한 지지 부재를 갖는 발 교정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KR101746521B1 (ko) | 2010-05-18 | 2017-06-14 | 주식회사 학산 | 맞춤형 밸런스 유지용 패드가 구비된 신발깔창 |
JP2017108906A (ja) * | 2015-12-16 | 2017-06-22 | 株式会社ベルシャン | 履物用中敷及び履物用中敷部品 |
KR102170264B1 (ko) * | 2019-04-16 | 2020-10-26 | 조정명 | 자세교정이 가능한 쿠션 신발밑창 |
KR102509626B1 (ko) | 2021-11-15 | 2023-03-14 | 주식회사 버텍스코리아 | 에어쿠션 깔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880266B2 (en) | Footwear sole | |
US3990159A (en) | Therapeutic personalizable health shoe | |
US20010032400A1 (en) |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 |
JP5263880B2 (ja) | 靴用中敷 | |
KR200481847Y1 (ko) |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 |
JP2023505321A (ja) | ダイナミックな足底アーチサポートを実現するソールを有する靴 | |
KR102659993B1 (ko) | 기능성 슬리퍼 | |
US10694812B2 (en) | Shoe sole structure and shoe using same | |
KR102040870B1 (ko) |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 |
CN217446856U (zh) | 一种孩童用矫正鞋垫 | |
US20110289802A1 (en) |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 |
KR102669068B1 (ko) |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 |
JP2023138921A (ja) | 衝撃吸収層の構造を有する靴底 | |
US6321468B1 (en) |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 |
KR102384927B1 (ko) |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 |
EP1795083B1 (en) | Footwear sole | |
AU2020376694B2 (en) | Shoe insole | |
US11020263B2 (en) | Reverse insole | |
JP3222446U (ja) | 靴底及び靴 | |
KR101693773B1 (ko) |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 |
US20220233341A1 (en) | Dynamic Metatarsal Roll Bar | |
CN110122974A (zh) | 一种矫形鞋垫 | |
KR102667891B1 (ko) | 교정용 슬리퍼 | |
KR102454595B1 (ko) | 발의 균형 유지용 쿠션 패드, 이를 구비하는 인솔 | |
US20240268519A1 (en) | Footwear Sole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