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870B1 -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 Google Patents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870B1
KR102040870B1 KR1020180147460A KR20180147460A KR102040870B1 KR 102040870 B1 KR102040870 B1 KR 102040870B1 KR 1020180147460 A KR1020180147460 A KR 1020180147460A KR 20180147460 A KR20180147460 A KR 20180147460A KR 102040870 B1 KR102040870 B1 KR 102040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foot
bottom plate
spr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순
Original Assignee
임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옥순 filed Critical 임옥순
Priority to KR1020180147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70B1/ko
Priority to US16/695,956 priority patent/US202001634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6Concave end portions, e.g. with a cavity or cut-ou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사용자의 발의 모양이나 걸음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되면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며,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이 지면에 딛는 순간에 발의 내측부분이 내측방향으로 기울여지면서 발의 앞부분이 안쪽방향으로 쏠리게 하여 일자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저면 중앙부 전체를 감싸는 유연부(210)와 상기 유연부(210)의 전방과 후방으로 바닥판(100)의 저면 가장자리만을 감싸 전방통공(220a) 및 후방통공(220b)이 형성되도록 바닥판(100)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바닥판(100)의 상측에 놓이는 발을 감싸는 갑피(200)와, 상기 전방통공(220a)을 덮도록 결합되는 전방밑창(310)과, 상기 전방밑창(310)과 이격되어 후방통공(220b)을 덮도록 결합되는 후방밑창(320)으로 이루어져 발을 지지하는 밑창(300)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밑창(310)은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바(bar) 형태로 오목하게 함입된 라인홈(311)이 다수 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후방밑창(320)의 중심선상 외측 상면에 원추형 피봇돌기(323)가 돌출 형성되고, 완충부(322)의 중심선상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홈(324)을 형성한 뒤에 그 스프링홈(324)에 스프링(325)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방밑창(310)의 중심선상 외측 상면에 경사면이 전방밑창(310)의 내측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직각 삼각형 형태의 상향 경사돌기(313)가 형성되고, 전방밑창(310)의 중심선상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홈(314)을 형성한 뒤에 그 스프링홈(314)에 스프링(315)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100)의 전후방 내외측부분에는 피봇돌기(323)가 관통하는 피봇돌기 통과홀(101)과, 상향 경사돌기(313)가 관통하는 경사돌기 통과홀(102)과, 전후방측 스프링(315,325)이 관통하는 스프링 통과홀(103,10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0)의 상측에 삽탈가능하게 얹히는 깔창(110)의 저면중앙에 탄성판(112)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향 경사돌기(313)와 대면하는 깔창(110)의 저면에는 경사면이 외측방을 향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하향 경사돌기(111)가 상향 경사돌기(313)와 대응되게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Functional shoes with disparate front and rear sole}
본 발명은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사용자의 발의 모양이나 걸음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되면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며,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이 지면에 딛는 순간에 발의 내측부분이 내측방향으로 기울여지면서 발의 앞부분이 안쪽방향으로 쏠리게 하여 일자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물질적 수준은 예전에 비해 대폭 향상되었으나, 오히려 운동부족 및 평상시의 생활 자세불량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스트레스, 성인병, 비만 등 삶의 질에 대한 문제가 새로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일명 웰빙이라는 문화 조류가 생길 정도로 삶의 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인 관심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 따라 효과적인 운동방법, 좋지 않은 자세의 교정, 다이어트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발은 우리 몸 전체의 1/4에 해당되는 약 52개의 뼈와 수많은 관절과 인대, 신경, 혈관이 복잡하게 조화를 이룬 섬세한 인체 기관으로, 인간의 보행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발의 구조는 크게 족근골, 중족골, 족지골, 종골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뼈나 인대, 신경들의 연결에 의해 보행이 가능하다.
특히, 발의 뒤축으로부터 앞축으로 이어지는 발바닥의 선상은 최소의 에너지 소모로 신체를 균형있게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이와 연결된 인체의 척추부위나 목 부위까지 그 영향이 미친다. 이와 같이 발은 제2의 심장이라 불릴 정도로 인간의 신체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며, 장시간 발바닥을 편안하게 해주어야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이에 이상적인 보행방법은 발뒤꿈치로 착지한 뒤 발바닥의 중심부를 지나 엄지발가락 뿌리 부분으로 도약하는 보행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보행 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체중의 궤적은 뒤꿈치의 외반부에서 시작하여 발바닥의 중간부 외측을 지나면서 안으로 휘어져 엄지발가락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인간은 보행시 신발을 착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바닥 및 발목을 보호하며 보행 시 체중이 지면에 전달되며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해 무릎과 척추 등을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인식부족으로 대부분 양산되는 신발은 발의 모양이나 보행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신발의 겉모양에 치중하는바, 신발을 착용하더라도 보행의 어려움과 인체의 골격이 흐트러져 허리와 무릎 등의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의 모양이나 걸음 형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보행시 편안함을 느끼고 충격을 덜 받게 하기 위한 기능성신발이 대두되고 있으며, 상기 기능성신발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8344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의 기술로, 종래 발가락부터 발뒤꿈치까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던 밑창이 전방밑창과 상기 전방밑창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후방밑창으로 나누어진 형태를 가진 신발을 제안하고 있으며, 종래 신발에 비해 신발의 중간부분이 잘 구부러지므로 보행시 발을 편안하게 해준다.
다만, 전방밑창의 경우 보행시 사용자의 많은 하중이 전달되면서 후방밑창에 비해 보다 유연하게 구부러져야 하는데, 인용발명에는 그러한 구성이 없어 보행시 발의 앞부분이 사용자의 발 모양이나 걸음 형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변화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사람들이 팔자보행을 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는데, 팔자보행이란 걸을 때의 발의 각도가 바깥쪽으로 벌어진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이렇게 되면 무릎 바깥쪽으로 다리가 휘어져서 걷는 모양새를 띄게 된다.
팔자보행이 지속되면 뛰는 추진력이 저하시켜서 오래 걷거나 오래 뛰는 것이 잘 안되며 평발을 악화시키고 무지외반증, 굳은살 등 발가락 질환을 유발하며, 성인이 되었을 때 퇴행성 관절염의 위험이 높고, 팔자보행은 허리가 뒤로 접혀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지고, 척추후관절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반이 잘 틀어져서 요통과 허리디스크 등 허리부위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8344호(발명의 명칭 : 신발 갑피의 저면에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어 있는 신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방밑창이 보행시 사용자의 발의 모양이나 걸음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되면서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며,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이 지면에 딛는 순간에 발의 내측부분이 내측방향으로 기울여지면서 발의 앞부분이 안쪽방향으로 쏠리게 하여 일자보행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삭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저면 중앙부 전체를 감싸는 유연부와 상기 유연부의 전방과 후방으로 바닥판의 저면 가장자리만을 감싸 전방통공 및 후방통공이 형성되도록 바닥판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바닥판의 상측에 놓이는 발을 감싸는 갑피와, 상기 전방통공을 덮도록 결합되는 전방밑창과, 상기 전방밑창과 이격되어 후방통공을 덮도록 결합되는 후방밑창으로 이루어져 발을 지지하는 밑창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밑창은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바(bar) 형태로 오목하게 함입된 라인홈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전방밑창의 저면에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부분과, 발바닥이 위치하는 부분의 경계지점에 폭 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며 오목하게 함입된 라인홈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게 형성된 꺾임홈이 형성되고, 상기 밑창에는 상면에 다수 개의 에어홀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은 밑창에서 발바닥 외측부를 지지하는 지점보다 발바닥 내측부를 지지하는 지점에 더 많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후방밑창의 중심선상 외측 상면에 원추형 피봇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완충부의 중심선상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홈을 형성한 뒤에 그 스프링홈에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방밑창의 중심선상 외측 상면에 경사면이 전방밑창의 내측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직각 삼각형 형태의 상향 경사돌기가 형성되고, 전방밑창의 중심선상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홈을 형성한 뒤에 그 스프링홈에 스프링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의 전후방 내외측부분에는 피봇돌기가 관통하는 피봇돌기 통과홀과, 상향 경사돌기가 관통하는 경사돌기 통과홀과, 전후방측 스프링이 관통하는 스프링 통과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상측에 삽탈가능하게 얹히는 깔창의 저면중앙에 탄성판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향 경사돌기와 대면하는 깔창의 저면에는 경사면이 외측방을 향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하향 경사돌기가 상향 경사돌기와 대응되게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은, 전방밑창의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라인홈이 다수 개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의 모양이나 걸음 형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화되므로, 보행시 사용자의 발을 보다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보행하는 과정에서 발이 지면에 딛는 순간에 발의 내측부분이 내측방향으로 기울여지면서 발의 앞부분이 안쪽방향으로 쏠리게 되어 일자보행을 유도할 수 있게 하며, 그로인하여 팔자보행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신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상태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을 나타내는 분해상태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갑피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저면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밑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5의 C-C선 단면 방향에서 본 밑창의 각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신발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후방밑창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방밑창측의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신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바닥판(100)과, 하부가 상기 바닥판(100)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바닥판(100)의 상측에 놓이는 발을 감싸는 갑피(200)와, 상기 바닥판(100)의 저면에 결합된 갑피(200)에 부착되어 발을 지지하는 밑창(30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00)은 상측에 깔창이 놓이는 부분으로, 밑창(300)이 부착되기 전에 갑피(200)가 소정의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면서 신발의 저면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00)은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시 발가락과 발바닥을 내측에 포함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갑피(200)는 가죽이나 합성피혁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말과 같이 발바닥을 포함한 발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하되, 하측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갑피 저면부의 전후방에 전후방통공(220a,220b)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전후방통공(220a,220b)의 사이에는 유연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유연부(2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바닥 가운데 부분을 감싸는 위치에서 갑피(200)의 하부측이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며, 이 유연부(210)의 저면에는 보강부(211)가 덧대어져서 밑창(300)이 부착되지 않아 유연함이 부여된 유연부(210)의 중앙부를 통해 뾰족한 물체가 뚫고 들어오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갑피(200)는 양말과 같이 발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에서 발바닥 대응부분에서 2개의 구멍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2개의 구멍은 전후방통공(220a,220b)을 칭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갑피(200)의 안쪽으로 바닥판(100)이 삽입된 상태에서 갑피(200)의 하부측 상면과 바닥판(100)의 저면이 대면하는 부분, 즉 바닥판의 가장자리와 유연부(210)에 대면하는 가운데부분이 부착 결합되고, 전후방통공(220a,220b)의 하부에는 전후방통공(220a,220b)의 외주연 가장자리를 소정의 폭으로 커버하는 상태로 전후방밑창(310,320)이 각각 간격을 두고 부착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211)는 일예로, 갑피(2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부(211)가 유연부(210)에 덧대어짐에 따라 그렇게 덧대어진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유연부(210)를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밑창(300)은 상기 전방통공(220a)을 덮도록 결합되는 전방밑창(310)과, 상기 후방통공(220b)을 덮도록 결합되는 후방밑창(320)을 포함하며, 후방밑창(320)은 전방밑창(310)과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갑피(2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통공(220a)과 후방통공(220b)은 각각 전방밑창(310)과 후방밑창(32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밑창(310)과 후방밑창(320)은 갑피(200)에 결합시, 도 1 및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부(210)와, 유연부(210)를 덮은 보강부(211)의 일부를 덮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갑피(200)가 상호 겹쳐지면서 형성된 유연부(210)와, 상기 유연부(210) 외측으로 덧대어진 보강부(211)가 밑창(300)에 의해 일부가 덮혀서 고정되는바, 갑피(200)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밑창(300)은 다양한 재질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인젝션발포고무 등과 같이 신축성이 있으면서 내마모성이 강하고, 가볍고 내한성이 좋으며 제작 과정에서 성형성도 뛰어난 단일 재질로 이루어져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밑창(30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1 및 도 6 내지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판(100)을 내측에 포함하는 갑피(200)의 하부 측면을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가장자리가 돌출된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전방밑창(310)은 상부가 양측 및 전방측 가장자리가 돌출된 오목한 형태를 이루어져 내측에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밑창(320)은 상부가 양측 및 후측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오목한 형태를 이루어져 내측에 지지면(3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방밑창(3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바(bar) 형태로 오목하게 함입된 라인홈(311)이 다수 개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라인홈(311)은 전방밑창(310)이 사용자의 발의 모양이나 걸음 형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화되도록 하는바, 보행시 사용자의 발을 보다 편안하게 해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라인홈(311)은 갑피(200)에 실질적으로 부착되는 전방밑창(310)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전방밑창(310)의 지지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밑창(310)의 저면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시 지속적으로 꺾임이 발생되는 지점인 발가락이 위치하는 부분과 발바닥이 위치하는 부분의 경계지점에 폭 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며 오목하게 함입된 꺾임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꺾임홈(312)은 도 1에서 1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도 4 내지 도 6에서는 꺾임홈(312)이 2개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1개 보다는 2개를 형성했을 때, 전방밑창(310)이 더욱더 유연하게 구부려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꺾임홈(312)이 전방밑창(310)에 형성되는 경우, 꺾임홈(312)과 라인홈(311)이 상하로 일치하는 지점에 형성되면 꺾임홈(312)과 라인홈(311) 사이의 살 두께가 얇아져 전방밑창(310)이 반복적으로 구부려질 때 얇은 살 두께부분이 찢어지므로, 상기 꺾임홈(312)이 라인홈(311)과 지그재그 형태로 전방밑창(310)의 저면에 배치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꺾임홈(312)이 형성되는 지점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라인홈(311)은 꺾임홈(312)의 전방으로 한 개 내지 두 개가 형성되고, 꺾임홈(312)의 후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전방밑창(310)에서 상대적으로 유연하지 못한 부분에 유연함이 더 부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밑창(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에어홀(10)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홀(10)은 밑창(300)에 하중이 가해지면 밑창(300)이 측면방향으로 압착되며 늘어질 수 있는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되어 신축성이 향상되므로 발바닥으로부터 전해지는 신체의 하중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홀(10)은 밑창(100)이 지면에 닿으면서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밑창(300)에서 발날(발바닥 외측부)을 지지하는 지점보다 발날의 반대편인 발바닥 내측부를 지지하는 지점에 더 많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발바닥 가운데에 전후방향으로 중심선을 그었을 때 발날측이 되는 외측부분을 발바닥 외측부라고 칭하고, 그 발바닥 외측부의 반대편이 되는 내측부분을 발바닥 내측부라고 칭함을 밝혀둔다.
상기 밑창(300)에서 발바닥 외측부보다 발바닥 내측부에 에어홀(10)을 더 많이 형성하여 발바닥 내측부의 신축성이 더 우수한데, 이는 사용자가 보행시 발바닥 외측부 보다 발바닥 내측부에 더 큰 하중이 작용하므로 발바닥 내측부에 더 많은 에어홀(10)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시, 상기 밑창(300)이 지면에 닿게 되면, 에어홀(10)에 의해 부여되는 신축성으로 인해 지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 및 신체의 하중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홀(10)은 꺾임홈(312)이 형성된 지점의 상면에 라인홈(311)이 형성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므로 이와 마찬가지로 꺾임홈(312)이 형성된 지점, 즉꺾임홈(312)과 인접한 라인홈(311)의 사이에는 형성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방밑창(310)에서 꺾임홈(312)과 인접한 라인홈(311)의 사이를 제외하고, 보행시 사용자의 발바닥의 폭 방향 중 상대적으로 하중이 많이 전달되고 신축성이 필요한 지점인 라인홈(31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과 인접한 전방 또는 후방에 에어홀(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밑창(320) 중 지지면(321)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완충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322)는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후방밑창(320) 상부의 양측 및 후측 가장자리보다 낮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완충부(322)는 후방밑창(320) 상부의 양측 및 후측 가장자리보다는 낮고, 지지면(321)보다는 높은 위치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322)는 발뒤꿈치가 닿아 후방밑창(320)에서 하중이 상대적으로 많이 전달되는 부분으로 지지면(321)보다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보행시 완충작용이 우수하고 발뒤꿈치의 가운데부분만 완충부(322)에 접촉하고, 발이 지면에서 떨어질 때 그 외측은 지지면(32)과 순간적으로 미세한 간격을 형성하고 그 부분에서 압박감이 제거되므로 보행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322)가 지지면(321)에 비해 과도하게 돌출되는 경우에는 오히려 보행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지지면(321)보다 0.01mm~0.1mm 돌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322)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깊이를 가지는 에어라인(20)이 형성되어, 후방밑창(320)에 하중이 가해질 시 신축성 있게 압착되면서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322)의 중앙 가장자리에는 에어라인(20)이 형성되지 않고 양측방향으로 지지면(321)과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완충부(322) 가장자리 전체에 에어라인(20)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지면을 딛을 때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완충부(322)가 과도하게 압착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322)는 발바닥 외측부가 지지하는 지점보다 발바닥 내측부를 지지하는 지점에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발뒤꿈치가 발바닥 외측부의 표면적보다 발바닥 외측부 쪽의 표면적이 더 넓고, 보행중 지면에 발을 딛을 때, 작용하는 하중이 크기 때문에 발바닥 내측부 쪽으로 갈수록 신축성이 더욱 강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 인해 완충부(322)를 포함한 후방밑창(320)의 마모를 줄이면서도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력적으로 완화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사용자의 보행을 바르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홀(10)과 에어라인(20)은 상방으로 개방된 입구를 형성하면서 에어홀(10)과 에어라인(20) 하측 내부의 밑창(300)의 내부에서 다양한 형태로 에어공(30)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종단면상에서 입구로부터 밑창(300) 내부까지 동일한 폭으로 에어홀(10)과 에어라인(20)을 형성할 수 있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상에서 에어홀(10)과 에어라인(20)의 내측 하부에 입구보다 폭이 확대된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에어공(30)이 밑창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공(30)은 에어홀(10)과 에어라인(20)의 입구보다 넓은 공간을 형성하므로, 하중에 의해 밑창(300)이 압착될 시, 에어공(30)에 존재하던 공기가 상대적으로 좁은 입구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는바, 신발 내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으면서 신축적인 변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밑창(300)에서 에어홀(10)과 에어라인(20)의 하측 내부에 에어공(30)이 형성된 예를 살펴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30)이 밑창(300) 내부에 수개가 다중으로 형성되면서 에어공(30) 사이의 간격을 에어공(30)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여 밑창(300)의 압착시 각각의 에어공(30)에 존재하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30)이 밑창(300) 내부에 1 개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공(30)의 하방으로 에어공(30)보다 작은 홈을 가지도록 하여 밑창(300)의 압착시 에어공(30)에 존재하던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신발은 사용자의 발의 모양이나 걸음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의 발을 편안하게 해주며, 지면을 딛을 때 발에 가해지는 신체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바, 장시간 보행에도 피로감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는데,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에 포함된 모든 구성에 팔자보행을 일자보행의 유도하는 일자보행 유도수단이 추가된 것으로, 일실시예의 포함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되는 일자보행 유도수단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실시예에 포함되는 일자보행 유도수단은, 후방밑창(320)에 형성된 완충부(322)의 중심선상 외측 상면에 원추형 피봇돌기(323)가 돌출 형성되고, 완충부(322)의 중심선상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홈(324)을 형성한 뒤에 그 스프링홈(324)에 스프링(325)을 삽입하되, 스프링(325)의 상단부 높이가 적어도 피봇돌기(323)의 상단부 높이만큼 돌출되게 삽입 설치한다.
상기 스프링(325)의 상단부 높이를 피봇돌기(323)의 상단부 높이만큼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봇돌기(323)와 스프링(325)의 상부에 얹히는 깔창(1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방밑창(310)의 중심선상 외측 상면에 경사면이 전방밑창(310)의 내측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직각 삼각형 형태의 상향 경사돌기(313)가 형성되고, 전방밑창(310)의 중심선상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홈(314)을 형성한 뒤에 그 스프링홈(314)에 스프링(315)을 삽입하되, 스프링(315)의 상단부 높이가 적어도 상향 경사돌기(313)의 상단부 높이만큼 돌출되게 삽입 설치한다.
상기 스프링(315)의 상단부 높이를 상향 경사돌기(313)의 상단부 높이만큼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은 도 1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향 경사돌기(313)와 스프링(315)의 상부에 얹히는 깔창(11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100)의 전후방 내외측부분에는 피봇돌기(323)가 관통하는 피봇돌기 통과홀(101)과, 상향 경사돌기(313)가 관통하는 경사돌기 통과홀(102)과, 전후방측 스프링(315,325)이 관통하는 스프링 통과홀(103,104)이 상하로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100)은 갑피(20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상향 경사돌기(313)와 피봇돌기(323) 그리고 전후방스프링(315,325)이 그에 대응되는 경사돌기 통과홀(102)과 피봇돌기 통과홀(101), 전후방 스프링 통과홀(103,104)을 관통한 상태에서 바닥판(100)의 저면이 그와 대면하는 갑피(200)의 하부와 전후방밑창(310,320)의 상부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100)의 저면이 부착되는 갑피(200)의 하부는 전후방통공(220a,220b)을 제외한 부분으로 전후방통공(220a,220b)의 외측 가장자리와 유연부(210)의 상면을 칭하는 것으로, 바닥판(100)의 상면이 대면하는 부분을 칭한 것이며, 상기 전후방밑창(310,320)과 바닥판(100)의 부착은 서로 대면하는 전후방통공(220a,220b)의 빈 공간부에서 서로 부착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바닥판(100)의 상측에 삽탈가능하게 얹히는 깔창(110)의 저면중앙에는 깔창(110)이 수평방향으로는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고 상하방향으로는 구부림을 자유롭게 하는 탄성판(112)이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상향 경사돌기(313)와 대면하는 깔창(110)의 저면에는 경사면이 외측방을 향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하향 경사돌기(111)가 상향 경사돌기(313)와 대응되게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탄성판(112)은 탄성줄자와 같이 단면이 호형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목한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깔창(110)의 저면에 부착 설치하여 깔창(110)이 상부로 잘 구부려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깔창(110)과 탄성판(112)의 결합은 탄성판(112)의 전후방 단부를 깔창(110)에 리벳(113)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신발을 착용하기 전에는 깔창(110)이 바닥판(100)의 상측에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수평상태인데, 이는 후방밑창(320)측에는 피봇돌기(323)와 스프링(325) 상측에 깔창(110)이 얹혀있고 전방밑창(310)측에는 상향 경사돌기(313)와 스프링(315)에 얹혀서 깔창(11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시작하면, 발이 허공으로 올라갈 때는 사용자의 하중이 신발의 하측에 작용하지 않음에 따라 각각의 스프링(315,325)의 탄력에 의해 깔창(110)이 수평상태가 된다.
이렇게 보행과정에서 발이 허공에 떴다가 발이 지면을 딛을 때는 발뒤꿈치가 지면을 먼저 딛게 되는데, 발뒤꿈치가 지면을 먼저 딛을 때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깔창(110)을 압박하게 된다.
깔창(110)에 하중이 작용할 때, 깔창(110)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피봇돌기(323)측은 후방밑창(320)을 형성하는 소재의 쿠션만큼만 압축되지만, 스프링(325)은 후방밑창(320)보다 압축강도가 작아서 스프링(325)이 설치된 후방밑창(320)의 중심선상 내측방향으로 깔창(110)이 기울여지게 되고, 사용자의 뒤꿈치도 중심선상 내측방향으로 기울여지게 된다.
이렇게 발뒤꿈치가 지면을 디딘 뒤에는 발의 중간부분이 순간적으로 지면을 딛을 때,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은 중간부분에 밑창이 없고 갑피(200)로 된 유연부(210)가 구비되어서 발바닥이 순간적으로 둥글게 휘는 것에 따라 유연부(210)를 포함한 갑피(200)와, 바닥창(100), 그리고, 깔창(110)의 중간부분이 유연하게 구부려져서 발바닥을 구속하지 않음에 따라 발바닥을 편안하게 해준다.
이처럼 발바닥의 중간부분이 지면을 순간적으로 디딘 뒤에는 이어서 발의 앞부분이 지면을 딛게 되는데, 발뒤꿈치가 지면을 딛는 순간에 스프링(325)이 설치된 후방밑창(320)의 중심선상 내측방향으로 발뒤꿈치가 기울여졌음에 따라 발이 기울여진 상태로 발의 앞부분도 내측방향으로 기울여 진 상태에서 깔창(110)의 앞부분을 밟게 된다.
이와 같이 발바닥의 앞부분이 깔창(110)의 전방측을 밟을 때, 깔창(110)의 앞부분에 중심선상 외측방향에는 상향 경사돌기(313)와 하향 경사돌기(111)가 서로 대면한 상태로 있고 중심선상 내측에는 스프링(315)이 받치고 있어서, 스프링(315)측이 내려가면서 깔창(110)을 포함한 발바닥의 앞부분이 중심선상 내측 방향으로 기울여지게 된다.
이렇게 발바닥의 앞부분이 중심선상 내측 방향으로 기울여질 때, 중심선상 외측방 하부에는 상향 경사돌기(313)와 하향 경사돌기(111)가 서로 대면한 상태로 있으면서 상향 경사돌기(313)의 경사면이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깔창(11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하향 경사돌기(111)의 경사면이 상향 경사돌기(313)의 경사면을 따라 소폭이지만 미끄러져 내려가게 된다.
위와 같이 발바닥의 뒤꿈치부터 내측방향으로 기울여지고 뒤이어 발바닥의 앞부분도 내측방향으로 기울여진 상태에서 상향 경사돌기(313)의 경사면을 따라 깔창(110)이 소폭이지만 경사지게 내려감에 따라 발바닥의 앞부분이 중심선상 내측으로 소폭이지만 쏠리게 된다.
이렇게 발이 순간적으로 뒤꿈치부터 발바닥 앞부분이 내측으로 기울여지고 발바닥 앞부분이 내측방향으로 쏠림에 따라 팔자보행을 하려던 발이 일자보행을 하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깔창(110)은 통상적으로 발바닥이 직접 접촉하므로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일자보행 유도수단에 포함되는 깔창(110)이 내측으로 기울여야 되고, 또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은 가운데 부분이 유연하게 구부려지는 것이 특징이 있으므로 깔창(110)이 어느 정도 뻣뻣함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깔창(110)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탄성줄자와 같이 단면이 호형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을 지닌 탄성판(112)이 설치되어서 깔창(110)의 저면이 뻣뻣함을 유지하되, 탄성판(112)의 오목한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탄성판(112)의 설치로 인하여 탄성판(112)이 상측으로는 유연하게 둥글게 구부려지나, 하측으로는 잘 구부려지지 않으며 측방 수평방향으로는 꺾이지 않아서 탄성판(112)이 내측으로 기울여지는 것과, 탄성판(112)의 앞부분이 소정의 각도만큼 뒤틀릴 수 있어서 깔창(110)이 내측으로 기울여지는 것과, 깔창(110)의 앞부분이 상향 경사돌기(313)의 경사면에 안내되면서 내려갈 때 발바닥의 앞부분이 내측으로 쏠리도록 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고 발바닥의 중간부분이 휘는데도 방해가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10 : 에어홀 20 : 에어라인 30 : 에어공
100 : 바닥판 101 : 피봇돌기 통과홈 102 : 경사돌기 통과홈
103,104 : 스프링 통과홈 110 : 깔창 111 : 하향경사돌기
112 : 탄성판 113 : 리벳 200 : 갑피
210 : 유연부 211 : 보강부 220a : 전방통공
220b : 후방통공 300 : 밑창 310 : 전방밑창
311 : 라인홈 312 : 꺾임홈 313 : 상향 경사돌기
314,324 : 스프링홈 315,325 : 스프링 320 : 후방밑창
321 : 지지면 322 : 완충부 323 : 피봇돌기

Claims (10)

  1. 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저면 중앙부 전체를 감싸는 유연부(210)와 상기 유연부(210)의 전방과 후방으로 바닥판(100)의 저면 가장자리만을 감싸 전방통공(220a) 및 후방통공(220b)이 형성되도록 바닥판(100)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바닥판(100)의 상측에 놓이는 발을 감싸는 갑피(200)와,
    상기 전방통공(220a)을 덮도록 결합되는 전방밑창(310)과, 상기 전방밑창(310)과 이격되어 후방통공(220b)을 덮도록 결합되는 후방밑창(320)으로 이루어져 발을 지지하는 밑창(300)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밑창(310)은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바(bar) 형태로 오목하게 함입된 라인홈(31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전방밑창(310)의 저면에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부분과, 발바닥이 위치하는 부분의 경계지점에 폭 방향을 따라 가로지르며 오목하게 함입된 라인홈(311)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게 형성된 꺾임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밑창(300)에는 상면에 다수 개의 에어홀(10)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홀(10)은 밑창(300)에서 발바닥 외측부를 지지하는 지점보다 발바닥 내측부를 지지하는 지점에 더 많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밑창(310)에는 꺾임홈(312)과 인접한 라인홈(311)의 사이를 제외하고 라인홈(311)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과 인접한 전방 또는 후방에 에어홀(10)이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밑창(320) 상부는 양측 및 후측 가장자리가 돌출되어 오목한 형태를 이루어져 내측에 지지면(32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321)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형태를 이루며 후방밑창(320) 상부의 양측 및 후측 가장자리보다 낮게 돌출된 완충부(3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22)는 중앙이 양측방향으로 지지면(321)과 연결되고 나머지 가장자리를 따라 에어라인(20)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10)과 에어라인(20)은 종단면상에서 입구보다 폭이 확대된 소정의 공간을 이루는 에어공(30)이 밑창(300)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322)는 발바닥 외측부를 지지하는 지점보다 발바닥 내측부를 지지하는 지점에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9. 발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저면 중앙부 전체를 감싸는 유연부(210)와 상기 유연부(210)의 전방과 후방으로 바닥판(100)의 저면 가장자리만을 감싸 전방통공(220a) 및 후방통공(220b)이 형성되도록 바닥판(100)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바닥판(100)의 상측에 놓이는 발을 감싸는 갑피(200)와,
    상기 전방통공(220a)을 덮도록 결합되는 전방밑창(310)과, 상기 전방밑창(310)과 이격되어 후방통공(220b)을 덮도록 결합되는 후방밑창(320)으로 이루어져 발을 지지하는 밑창(300)을 포함하되,
    상기 전방밑창(310)은 상면에 폭 방향을 따라 바(bar) 형태로 오목하게 함입된 라인홈(311)이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후방밑창(320)의 중심선상 외측 상면에 원추형 피봇돌기(323)가 돌출 형성되고, 완충부(322)의 중심선상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홈(324)을 형성한 뒤에 그 스프링홈(324)에 스프링(325)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전방밑창(310)의 중심선상 외측 상면에 경사면이 전방밑창(310)의 내측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직각 삼각형 형태의 상향 경사돌기(313)가 형성되고, 전방밑창(310)의 중심선상 내측 상면에는 스프링홈(314)을 형성한 뒤에 그 스프링홈(314)에 스프링(315)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바닥판(100)의 전후방 내외측부분에는 피봇돌기(323)가 관통하는 피봇돌기 통과홀(101)과, 상향 경사돌기(313)가 관통하는 경사돌기 통과홀(102)과, 전후방측 스프링(315,325)이 관통하는 스프링 통과홀(103,104)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00)의 상측에 삽탈가능하게 얹히는 깔창(110)의 저면에는 경사면이 외측방을 향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하향 경사돌기(111)가 상향 경사돌기(313)와 대응되게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25)의 상단부의 높이가 피봇돌기(323)의 상단부 높이 만큼 돌출되게 설치되며, 스프링(315)의 상단부 높이가 상향 경사돌기(313)의 상단부 높이만큼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깔창(110)의 저면중앙에 탄성판(112)을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되, 이 탄성판(112)은 단면이 호형으로 만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오목한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탄성판(112)의 전후방 단부를 깔창(110)에 리벳(113)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KR1020180147460A 2018-11-26 2018-11-26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KR10204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60A KR102040870B1 (ko) 2018-11-26 2018-11-26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US16/695,956 US20200163407A1 (en) 2018-11-26 2019-11-26 Functional shoe having spaced front and rear outso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460A KR102040870B1 (ko) 2018-11-26 2018-11-26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870B1 true KR102040870B1 (ko) 2019-11-05

Family

ID=6857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460A KR102040870B1 (ko) 2018-11-26 2018-11-26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163407A1 (ko)
KR (1) KR1020408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095A (ko) * 2021-11-10 2023-05-17 이윤진 아웃솔 분리형 다목적 기능성 신발
KR102633388B1 (ko) 2023-06-01 2024-02-06 전근표 기능성 건강신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902A (ja) * 2003-02-26 2004-09-16 Okamoto Ind Inc 靴底並びに歩行靴
KR20090127843A (ko) * 2009-07-17 2009-12-14 류정현 충격흡수형 신발창
KR101008344B1 (ko) 2010-06-15 2011-01-13 임옥순 신발 갑피의 저면에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어 있는 신발
KR101693773B1 (ko) * 2016-09-06 2017-01-06 임옥순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4902A (ja) * 2003-02-26 2004-09-16 Okamoto Ind Inc 靴底並びに歩行靴
KR20090127843A (ko) * 2009-07-17 2009-12-14 류정현 충격흡수형 신발창
KR101008344B1 (ko) 2010-06-15 2011-01-13 임옥순 신발 갑피의 저면에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어 있는 신발
KR101693773B1 (ko) * 2016-09-06 2017-01-06 임옥순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095A (ko) * 2021-11-10 2023-05-17 이윤진 아웃솔 분리형 다목적 기능성 신발
KR102568812B1 (ko) * 2021-11-10 2023-08-21 이윤진 아웃솔 분리형 다목적 기능성 신발
KR102633388B1 (ko) 2023-06-01 2024-02-06 전근표 기능성 건강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3407A1 (en)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9798B2 (en) Shoe sole element
CA2424807C (en) Footwear sole
US7013583B2 (en)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8266825B2 (en) Shoe sole element
KR101287391B1 (ko) 신발 안창
US8474154B2 (en) Footwear for walking or running with rolling action
US6951066B2 (en) Cushioning 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TW201715979A (zh) 具有緩衝墊與波狀支撐件之拖鞋及其製造方法
US11297894B1 (en) Functional shoe insole
KR101196835B1 (ko) 신발패드
KR102040870B1 (ko)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는 기능성신발
JP5227713B2 (ja) 履き物及び内部構造体
US8407918B2 (en) Shoe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JP7500024B2 (ja) 衝撃吸収層の構造を有する靴底
KR102384927B1 (ko)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US20160174653A1 (en) Padded Foot Support with a Ball of Foot Depression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0818789B1 (ko) 기능성 밑창 구조를 갖는 신발
KR102669068B1 (ko) 신체 밸런스 유지형 부재를 갖는 신발
JP7350346B2 (ja) 履物
KR20120082220A (ko) 신발 밑창
US20220233341A1 (en) Dynamic Metatarsal Roll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