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457B1 -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457B1
KR102667457B1 KR1020240034586A KR20240034586A KR102667457B1 KR 102667457 B1 KR102667457 B1 KR 102667457B1 KR 1020240034586 A KR1020240034586 A KR 1020240034586A KR 20240034586 A KR20240034586 A KR 20240034586A KR 102667457 B1 KR102667457 B1 KR 102667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frame
front vertical
electric vehicle
larg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쉴드원
이승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쉴드원, 이승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쉴드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6Fire-blan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주차 공간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전개되면서 화재가 난 전기자동차를 질식소화포로 한번에 감싸서 질식시키는 방식으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함으로 화재가 이웃 대형 전기자동차 및 주변 시설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LARGE ELECTRIC VEHICLE AUTOMATIC FIRE SUPPRESSION SYSTEM}
본 발명은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주차 공간에 설치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전개되면서 화재가 난 전기자동차를 질식소화포로 한번에 감싸서 질식시키는 방식으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함으로 화재가 이웃 대형 전기자동차 및 주변 시설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 등의 이유로 전기 버스나 전기 트럭 등 대형 전기자동차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데, 배터리 불량 등의 원인으로 인해 대형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의 경우 다수개의 배터리 셀을 연결한 상태이므로 자기장도 발생하고, 스파크나 누전 등으로 인한 화재의 발생은 거의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따라서 대형 전기자동차는 충전 중에 화재가 발생하기로 하는 데, 화재가 발생하면 배터리 폭발 등으로 인해 다른 전기자동차 또는 주변 시설로 화재가 번지면서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방 안전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03331호, 제10-2611735호에는 수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진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종래의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는 수조를 승강시키는 구조와 급수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03331호(등록일: 2023년02월21일),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611735호(등록일: 2023년12월05일),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52851호(등록일: 2022년10월05일), 발명의 명칭: "차량 화재 진압을 위한 폴딩형 소방 장비"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73296호(등록일: 2023년08월28일),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이동 바스켓"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주차 공간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확장 및 전개되면서 화재가 난 전기자동차를 질식소화포로 한번에 감싸서 질식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구조를 갖되, 주차장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확장부와 확장부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밀폐부로 구성되어 화재가 난 대형 전기자동차의 사이즈에 맞게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대형 전기자동차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아치 형상의 수직프레임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어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을 형성하고, 후방수직프레임은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주차 공간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후방수직프레임과 연동되는 전방수직프레임은 주차장 바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대형 전기자동차의 길이에 맞게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는 확장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접철수단; 상기 전방수직프레임의 전방에서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포개지게 설치되되,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은 대형 전기자동차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은 하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수평프레임은 전개되었을 때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고 중간프레임은 전개되었을 때 경사지게 펼쳐지면서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어 대형 전기자동차의 앞부분을 차단하는 밀폐부; 상기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작동시키는 밀폐작동수단; 및 상기 확장부와 밀폐부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씌워지게 조립되어 대형 전기자동차를 질식시키는 질식소화포;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화재가 발생하면 접철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전방수직프레임이 전진하면서 확장부를 확장시켜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로 화재가 난 대형 전기자동차가 진입하도록 하고 밀폐작동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밀폐부를 전개시켜 화재가 난 대형 전기자동차의 앞부분을 막아 전체적으로 질식소화포로 감싸도록 덮어서 질식시키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서로 포개지개 설치되는 상기 전방수직프레임, 중간프레임, 수평프레임의 하단부에는 각각 베이스판이 설치되고, 전방수직프레임의 하단은 베이스판에 고정핀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하단은 베이스판에 힌지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판을 중심으로 중간프레임은 경사지게 전개되고 수평프레임은 수평으로 전개되며, 상기 주차장 바닥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레일과 대응되는 바퀴가 설치되어 전방수직프레임, 중간프레임, 수평프레임이 바퀴를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프레임이 추가로 설치되고 전방수직프레임과 연장프레임의 사이 그리고 연장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에 각각 접철수단이 구비되어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더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철수단은 전방수직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와, 후방수직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는 제1링크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된 제2링크와, 실린더몸체의 후단부가 확장부에 연결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부가 제1링크에 연결된 확장실린더로 구성되어, 전기가 공급되어 실린더로드가 수축되면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가 확장되고, 실린더로드가 신장되면 제1링크와 제2링크가 경사지게 접혀지면서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가 축소되게 작동되며, 상기 밀폐작동수단은 밀폐실린더로 구성되되, 밀폐실린더 몸체의 후단부가 전방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부는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가 공급되면 실린더로드가 신장되면 수평프레임을 밀어서 질식소화포로 연결되어 있는 중간프레임은 경사지게 전개되고 수평프레임은 수평으로 전개되며, 실린더로드가 수축되면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당겨서 전방수직프레임에 포개지게 접히도록 작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수직프레임의 전방에는 파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지대를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파지대를 잡고 이동시켜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 사이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파지대를 분리해 일단은 전방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후방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고정하여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가 축소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는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주차 공간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확장부와 확장부의 전방을 밀폐시키는 밀폐부로 구성되어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화재가 발생하면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신고를 보내고 확장부와 밀폐부가 자동 으로 확장 및 전개되면서 화재가 난 전기자동차를 질식소화포로 전체적으로 한번에 감싸서 질식시키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고 화재가 이웃 전기자동차 및 주변 시설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는 확장부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길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화재가 난 대형 전기자동차의 사이즈에 맞게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하여 길이가 다른 모든 차종의 화재 진압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를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질식소화포를 제거한 내부 프레임 만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접철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 작동도,
도 5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도 7에서 접철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는 확장부(100), 접철수단(200), 밀폐부(300), 밀폐작동수단(400), 질식소화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확장부(100)는 전기 버스나 전기 트럭과 같은 대형 전기자동차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아치 형상의 수직프레임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된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후방수직프레임(110)은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주차장의 벽체(1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후방수직프레임(110)과 연동되는 전방수직프레임(120)은 주차장 바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전기자동차의 길이에 맞게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접철수단(200)은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접철수단(200)은 전방수직프레임(110)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210)와, 후방수직프레임(120)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는 제1링크(210)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된 제2링크(220)와, 실린더몸체의 후단부가 확장부(100)의 전방수직프레임(110)에 연결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부가 제1링크(210)에 연결된 확장실린더(2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철수단(200)은 확장부(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는 1군데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면처럼 상하로 2군데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 이상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접철수단(200)은 전기를 공급해 확장실린더(230)가 작동하여 실린더로드가 수축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사이가 확장되고, 실린더로드가 신장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경사지게 접혀지면서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사이가 축소되게 작동된다.
이때, 제1링크(210)의 상단 일부분에는 제2링크(220)로 연장되는 걸림편(222)이 형성되어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수평으로 펼쳐졌을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편(222)이 걸리면서 하방향으로 더 꺽이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상하로 2군데에 설치될 때 상부에 설치된 제1링크(210)의 힌지와 하부에 설치된 제1링크(210)의 힌지를 연결하게 연동바(224)를 설치하여 상부에 설치된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확장실린더(230)에 의해 작동될 때 하부에 설치된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도 함께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밀폐부(300)는 확장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대형 전기자동차의 앞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즉, 밀폐부(300)는 전방수직프레임(110)의 전방에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이 포개지게 설치되되,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은 전기자동차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은 하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수평프레임(320)은 전개되었을 때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고 중간프레임(310)은 전개되었을 때 경사지게 펼쳐지면서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어 대형 전기자동차의 앞부분을 차단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밀폐작동수단(400)은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을 작동시키게 구성된다.
즉, 밀폐작동수단(400)은 밀폐실린더(410)로 구성되되, 밀폐실린더 몸체의 후단부가 전방수직프레임(110) 및 후방수직프레임(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부는 수평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게 구성된다. 물론,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위치를 질식소화포(500)로 연결하여 잡아주고 있지만 전방수직프레임(110)과 중간프레임(310), 후방수직프레임(120)과 중간프레임(310),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사이 공간에는 보조와이어(W)가 연결 설치되어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벌어짐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폐작동수단(400)은 밀폐부(300)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폐작동수단(400)은 전기를 공급해 밀폐실린더(410)가 작동하여 실린더로드가 신장되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320)을 밀어서 질식소화포(500)로 연결되어 있는 중간프레임(310)은 경사지게 전개되고 수평프레임(320)은 수평으로 전개되며, 실린더로드가 수축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을 당겨서 전방수직프레임(110) 및 후방수직프레임(120)에 포개지게 접히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철수단(200)과 밀폐작동수단(400)은 미도시된 센서에서 대형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난 상태를 감지하면 신호를 보내서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람이 육안으로 확인해서 대형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나면 별도의 버튼을 눌러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질식소화포(500)는 확장부(100)와 밀폐부(300)의 외면에 씌워지게 조립되어 전기자동차를 전체적으로 덮어서 질식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질식소화포를 적용하면 되고 조립 방식도 공지 기술을 적용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서로 포개지개 설치되는 전방수직프레임(110), 중간프레임(310), 수평프레임(320)의 하단부에는 베이스판(600)이 설치되되, 전방수직프레임(110)의 하단은 베이스판(600)에 고정핀(P)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의 하단은 베이스판(600)에 힌지핀(H)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판(600)을 중심으로 중간프레임(310)은 경사지게 전개되고 수평프레임(320)은 수평으로 전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는 베이스판(600)의 하부에 바퀴(610)가 설치되어 확장부(100)가 바퀴(610)를 통해 이동하면서 확장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퀴(610)가 주차장 바닥(20)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주차장 바닥(20)에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레일(700)이 설치되고, 베이스판(600)의 하부에는 레일(700)과 대응되는 바퀴(610)가 설치되어 전방수직프레임(110), 중간프레임(310), 수평프레임(320)이 바퀴(610)를 통해 레일(700)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는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주차 공간에 대형 전기자동차를 주차하고 충전할 때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대형 전기자동차에 화재가 발생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수단(200)을 통해 전방수직프레임(120)이 전진하면서 확장부(100)를 확장시켜 전방수직프레임(120)과 후방수직프레임(110)의 사이로 화재가 난 전기자동차가 진입하도록 하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작동수단(400)을 통해 밀폐부(300)를 전개시켜 화재가 난 대형 전기자동차의 앞부분을 막아 전체적으로 질식소화포(500)로 감싸도록 덮어서 질식시키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확장부(100)의 확장 공간을 더 확보하기 위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프레임(130)이 추가로 설치되고 전방수직프레임(110)과 연장프레임(130)의 사이 그리고 연장프레임(130)과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사이에 각각 접철수단(200)이 구비되어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이 2배 이상으로 벌어져서 더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연장프레임(130)과 연장프레임(130)의 사이에도 접철수단(200)을 설치하여 확장 공간을 더 확보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 상에서 연장프레임(130)은 3개의 프레임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1개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철수단(200)과 밀폐작동수단(400)이 실린더 방식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수동식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수동식 구조를 설명하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수단(200)은 전방수직프레임(11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210)와, 후방수직프레임(120)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는 제1링크(210)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된 제2링크(2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접철수단(200)은 수동으로 전방수직프레임(110)을 잡아당기면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사이가 확장되고, 전방수직프레임(110)을 안쪽으로 밀면 제1링크(210)와 제2링크(220)가 경사지게 접혀지면서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사이가 축소되게 작동된다.
또한, 밀폐작동수단(400)은 전방수직프레임(110)에 설치된 윈치(420)와, 일단은 윈치(420)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프레임(320)에 연결되어 수평프레임(320)의 벌어지는 간격을 한정하는 밀폐와이어(4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윈치(420)는 시판되는 제품을 적용하면 되고, 따라서 공지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질식소화포(500)로 잡아주고 있지만 전방수직프레임(110)과 중간프레임(310) 사이 공간에는 보조와이어(W)가 연결 설치되어 중간프레임(310)의 벌어짐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폐작동수단(400)은 밀폐와이어(430)를 잡고 있던 윈치(420)를 해제하면 밀폐와이어(430)가 풀리면서 수평프레임(320)이 작동하여 질식소화포(500)로 연결되어 있는 중간프레임(310)은 경사지게 전개되고 수평프레임(320)은 수평으로 전개되며, 윈치(420)를 통해 밀폐와이어(430)를 수동으로 감으면 중간프레임(310)과 수평프레임(320)을 당겨서 전방수직프레임(110) 및 후방수직프레임(120)에 포개지게 접히도록 작동된다.
한편, 상술한 수동식 구조는 자동식 구조의 보조수단으로 병행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수직프레임(110)의 전방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대(8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지대(800)를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지대(800)를 잡고 이동시킨 후 파지대(800)는 분리해서 확장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 사이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파지대(800)를 분리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전방수직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측면에 고정하여 전방수직프레임(110)과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사이가 축소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설치하면 된다. 이를 위해, 전방수직프레임(110)의 전방과 전방수직프레임(110) 및 후방수직프레임(120)의 측면에는 파지대고정부(810)가 설치되어 파지대(8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파지대고정부(810)는 파지대(800)를 받쳐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 방식은 클립 고정방식, 핀 고정방식, 볼트 고정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대(800)는 본 발명에서 수동식 구조 뿐만 아니라 자동식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기 버스나 전기 트럭 등 대형 전기자동차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일반 전기 승용차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확장부 110: 전방수직프레임
120: 후방수직프레임 130: 연장프레임
200: 접철수단 210: 제1링크
220: 제2링크 222: 걸림편
224: 연동바 230: 확장실린더
300: 밀폐부 310: 중간프레임
320: 수평프레임 400: 밀폐작동수단
410: 밀폐실린더 420: 윈치
430: 밀폐와이어 500: 질식소화포
600: 베이스판 610: 바퀴
700: 레일 800: 파지대
810: 파지대고정부 W: 보조와이어

Claims (5)

  1. 대형 전기자동차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아치 형상의 수직프레임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어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을 형성하고, 후방수직프레임은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주차 공간의 벽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후방수직프레임과 연동되는 전방수직프레임은 주차장 바닥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대형 전기자동차의 길이에 맞게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되는 확장부;
    상기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접철수단;
    상기 전방수직프레임의 전방에서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포개지게 설치되되,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은 대형 전기자동차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은 하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설치되어 수평프레임은 전개되었을 때 수평으로 펼쳐지게 되고 중간프레임은 전개되었을 때 경사지게 펼쳐지면서 부채꼴 형상으로 전개되어 대형 전기자동차의 앞부분을 차단하는 밀폐부;
    상기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작동시키는 밀폐작동수단; 및
    상기 확장부와 밀폐부의 외면에 전체적으로 씌워지게 조립되어 대형 전기자동차를 질식시키는 질식소화포;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때 화재가 발생하면 접철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전방수직프레임이 전진하면서 확장부를 확장시켜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로 화재가 난 대형 전기자동차가 진입하도록 하고 밀폐작동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밀폐부를 전개시켜 화재가 난 대형 전기자동차의 앞부분을 막아 전체적으로 질식소화포로 감싸도록 덮어서 질식시키는 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로 포개지개 설치되는 상기 전방수직프레임, 중간프레임, 수평프레임의 하단부에는 각각 베이스판이 설치되고, 전방수직프레임의 하단은 베이스판에 고정핀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하단은 베이스판에 힌지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판을 중심으로 중간프레임은 경사지게 전개되고 수평프레임은 수평으로 전개되며,
    상기 주차장 바닥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는 레일과 대응되는 바퀴가 설치되어 전방수직프레임, 중간프레임, 수평프레임이 바퀴를 통해 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장프레임이 추가로 설치되고 전방수직프레임과 연장프레임의 사이 그리고 연장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에 각각 접철수단이 구비되어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더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은 전방수직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와, 후방수직프레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방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는 제1링크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된 제2링크와, 실린더몸체의 후단부가 확장부에 연결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부가 제1링크에 연결된 확장실린더로 구성되어, 전기가 공급되어 실린더로드가 수축되면 제1링크와 제2링크가 수평으로 펼쳐지면서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가 확장되고, 실린더로드가 신장되면 제1링크와 제2링크가 경사지게 접혀지면서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가 축소되게 작동되며,
    상기 밀폐작동수단은 밀폐실린더로 구성되되, 밀폐실린더 몸체의 후단부가 전방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로드의 선단부는 수평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가 공급되면 실린더로드가 신장되면 수평프레임을 밀어서 질식소화포로 연결되어 있는 중간프레임은 경사지게 전개되고 수평프레임은 수평으로 전개되며, 실린더로드가 수축되면 중간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당겨서 전방수직프레임에 포개지게 접히도록 작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수직프레임의 전방에는 파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지대를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되,
    상기 파지대를 잡고 이동시켜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 사이를 확장시킨 상태에서 파지대를 분리해 일단은 전방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고정하고 타단은 후방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고정하여 전방수직프레임과 후방수직프레임의 사이가 축소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KR1020240034586A 2024-03-12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KR102667457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457B1 true KR102667457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51B1 (ko) 2022-02-08 2022-10-11 서울특별시 차량 화재 진압을 위한 폴딩형 소방 장비
KR102579070B1 (ko) 2023-03-30 2023-09-18 (주)그린파워 전기차 소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851B1 (ko) 2022-02-08 2022-10-11 서울특별시 차량 화재 진압을 위한 폴딩형 소방 장비
KR102579070B1 (ko) 2023-03-30 2023-09-18 (주)그린파워 전기차 소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732B1 (ko) 공간확장형 캠핑카
US8474899B2 (en) Retractable top for off-road vehicles
AU691074B2 (en) Cargo conversion system for passenger aircraft
KR102667457B1 (ko)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MXPA02003051A (es) Proteccion de dispositivo dinamicamente desplegado.
KR101976327B1 (ko) 회전기능과 확장기능을 갖는 차량용 대형 차양장치
WO2006015591A1 (de) Seitenairbageinrichtung
BRPI0806576B1 (pt) Aparelho de airbag de proteção do joelho
JP2015085787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TW201206734A (en) Deployable shelter structure
KR102591755B1 (ko) 질식포를 이용한 볼라드 장착식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
US9045026B2 (en) Manual soft top with spring assist mechanism
KR102452851B1 (ko) 차량 화재 진압을 위한 폴딩형 소방 장비
TW200418666A (en) Canopy of baby car
JP2008113829A (ja) ガス消火装置
JPS5938145A (ja) 商品展示車
RU2266838C2 (ru) Защи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межкузовного перехода между двумя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 расположенными кузовами салонов одного и того же наземного шарнирно сочлененного пассажир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613475B1 (ko) 실내 주차 차량의 질식소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질식소화시스템
CA1179573A (en) Expandable van top tent assembly
DE202010014995U1 (de) Mechanisch - pyrotechnisches Feuerlöschsystem für ein Dach mit und ohne Photovoltaik - Anlage
JPH08135122A (ja) 防水シート張り付け用繰り出し装置
DE102016225871A1 (de) Brand- und Rauchschutzsystem mit selbstexpandierender Abdeckung, sowie Produktionsvorrichtung und Nutzfahrzeug mit solchem System
KR20240077088A (ko) 전기자동차용 자동 질식 소화포 설비
CN219630503U (zh) 一种消防机器人
JP2021036992A (ja) トンネルの防災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