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13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139B1
KR102666139B1 KR1020230105795A KR20230105795A KR102666139B1 KR 102666139 B1 KR102666139 B1 KR 102666139B1 KR 1020230105795 A KR1020230105795 A KR 1020230105795A KR 20230105795 A KR20230105795 A KR 20230105795A KR 102666139 B1 KR102666139 B1 KR 102666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ompressor
cover
base
expa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9326A (ko
Inventor
이종철
문동수
김강영
김학재
박민규
최성식
김민규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5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6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팽창장치;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팽창장치가 배치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여, 압축기와 팽창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 가열 또는 정화시켜,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히트펌프장치를 구비한다. 히트펌프장치는 냉매관으로 서로 연결된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장치 및 실내열교환기를 포함하고, 냉매를 순환시켜 케이스 내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이러한 히트펌프장치의 압축기 및 팽창장치는, 냉매를 압축 또는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소음을 유발하고, 히트펌프장치에서 발생된 소음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야기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소음저감을 위해 흡음재층과 차음재층을 접착제로 도포한 흡차음재를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흡차음재의 합포과정에서 흡차음재의 형태가 변형됨으로 인해 압축기를 온전하게 둘러싸지 못하고,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흡차음재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이 창문과 창틀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진동하는 압축기과 인접하는 부품 사이의 마찰 및 간섭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문헌 10-2019-0133477 한국특허문헌 10-2019-0078874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커버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커버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팽창장치의 커버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팽창장치의 커버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팽창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압축기와 팽창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제1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팽창장치가 배치되는 제2 바디를 포함하여, 압축기와 팽창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의 상하높이는, 상기 제2 바디의 상하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보다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높이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2 바디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경사부와 마주하는 수납부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가 안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압축기와 연결되는 압축기유입관 및 압축기토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유입관이 통과하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압축기를 둘러싸는 마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와 상기 마운트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토출관이 통과하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바디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는 냉매관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관관통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팽창장치유입관이 통과하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압축기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벽, 상기 압축기의 측방에 위치하는 제2 벽 및 상기 팽창장치의 측방에 위치하는 경계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벽, 상기 제2 벽 및 상기 경계벽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트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가 위치하는 제1 배치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마운트와 상기 경계벽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팽창장치가 위치하는 제2 배치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버가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펌프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팽창장치;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팽창장치가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탄성재로 형성되어, 커버는 압축기와 팽창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과 상기 팽창장치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 쉘;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나머지 일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나머지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타측과 상기 팽창장치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2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은, 서로 회전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 또는 개방하여, 대량 생산된 복수의 커버를 내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로 서로 중첩하여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쉘은: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할 때, 상기 제2 쉘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 및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할 때, 상기 제2 쉘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접촉면으로부터 연장된 삽입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쉘은: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할 때, 상기 제1 접촉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 및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할 때, 상기 삽입 리브가 수용되는 리브 홈을 포함하여,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는: 일면에 형성된 서비스 홀을 포함하여, 작업자는 서비스 홀을 통해 커버의 외측에서 커버의 내부에 배치된 압축기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서비스 홀에 배치되고, 일측으로 틸팅되어 상기 서비스 홀을 개방하는 틸팅 도어를 포함하여, 서비스 홀을 통해 압축기의 소음이 커버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틸팅 도어는, 외측면이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서비스 홀을 형성하는 둘레에 연결되고, 내측면은 상기 서비스 홀을 형성하는 둘레로부터 상기 서비스 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홀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커버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어, 작업자의 압축기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커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가 위치하는 배치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배치공간으로부터 실내 측으로 이격된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으로부터 실외 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팽창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격벽을 기준으로, 실외 측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격벽을 기준으로, 실내 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어, 커버와 베이스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격벽보다 실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격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3 격벽이 배치되는 제1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냉매관이 배치되는 제2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압축기와 팽창장치를 둘러싸는 커버를 배치함으로써, 압축기와 팽창장치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커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를 금속재로 제조함으로써, 소음의 저감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와 베이스의 결합구조로 인하여, 커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를 탄성재로 형성함으로써, 압축기와 팽창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베이스에 안착되는 커버 구조로 인하여, 커버와 베이스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에 형성된 서비스 홀로 인하여, 작업자의 압축이에 대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비스 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틸팅 도어로 인하여, 서비스 홀을 통해 누설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서로 회전 결합된 제1 쉘과 제2 쉘로 인하여, 대량 생산된 복수의 커버의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컨투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입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일부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일부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및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커버 및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효과를 설명하는 표와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탈착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는 창틀(91) 및 창문(92)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91)은 창문어셈블리(9)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창틀(91)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창문(92)은 창틀(91)의 내측공간에서 이동될 수 있다. 창문(92)의 내측에는 유리(Glass)가 고정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는 공간(93)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의 공간(93)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는 키트(94)가 배치될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를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시킬 수 있다. 키트(94)는 공기조화기(1)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 틈새를 밀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를 기준으로 실내공간(Indoor Space)과 실외공간(Outdoor Space)이 구분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기(1)를 설명함에 있어서, 실내공간을 향하는 실내측을 전방으로, 실외공간을 향하는 실외측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실내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외공간으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흡입구(11)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흡입구(11)와 이격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실내공간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흡입구(11)의 일측에 이격된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0)는 공기조화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프론트케이스(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실내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리어케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실외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의 일부는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외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리어케이스(14)는 프론트케이스(13)와 결합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그릴(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릴(15)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릴(15)은 토출구(12)와 이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케이스(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그릴(15)과 이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3은 공기조화기(1)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프론트케이스(13)는 프론트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프론트케이스(13)의 전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구(11) 및 토출구(12)는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1 플레이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제1 플레이트(131)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33)는 제2 플레이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제2 플레이트(132)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31)와 제2 플레이트(132)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릴(15)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탈착될 수 있다. 그릴(15)은 흡입구(11)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릴(15)은 제1 플레이트(131)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프론트플레이트(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제2 플레이트(132)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탑플레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케이스(13)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프론트플레이트(13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134)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프론트케이스(13)의 일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케이스(13)는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타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리어케이스(14)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프론트케이스(13)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플레이트(135)와 제2 사이드플레이트(136)는 "사이드플레이트"로 이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어셈블리(AS)를 포함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어셈블리(AS)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은, 케이스(10) 내부로부터 별도로 분리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3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닛(30)과 제2 유닛(40)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유닛(4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제2 유닛(40)과 제3 유닛(50)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3 유닛(50)의 일부 부품은 제1 유닛(30)과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에 대한 설명은 공기조화기(1)의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의 구분이 엄격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들 중 일부를 의미하는 개념일 수 있다. 제1, 2, 3유닛(30, 40, 50) 각각은 복수의 부품의 조립체일 수 있고,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각 유닛(30, 40, 50)으로부터 별개로 분리될 수 있다. 각 유닛(30, 40, 50)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별개로 분리되어 별도의 독립적인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제1 바디(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3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제2 바디(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3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32)는 제1 바디(3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조립체(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조립체(33)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3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립체(33)는 제1 바디(31)를 둘러쌀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내팬(34)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바디(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제1 바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30)은 실외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1 바디(3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제1 바디(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내팬(34)과 실외팬(35)은 "팬"으로 이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압축기(41)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외열교환기(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제1 바디(31)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실외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할 수 있다.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42)로 유입되어 실외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팽창장치(43)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제2 바디(32)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장치(43)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실내열교환기(44)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바디(31)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를 통과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44)로 유입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냉매배관(미도시)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유닛(40)은 베이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케이스(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는 제1, 2바디(31, 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 실외열교환기(42), 팽창장치(43) 및 실내열교환기(44)는 베이스(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컨트롤박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의 내부에는 베인모터(29)(도 4참조), 실내팬(34), 실외팬(35), 압축기(41) 및 팽창장치(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PCB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부품들(29, 34, 35, 41, 4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3 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닛(50)은 제3 바디(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컨트롤박스(5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바디(52)의 내측에는 수배관 또는 냉매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바디(52)는 상기 수배관 또는 상기 냉매배관을 커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과하여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4)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실내열교환기(4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1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횡류팬일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2)로 유동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고,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2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모터축(291)을 통해 베인(20)과 연결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모터(29)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흡입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실외그릴(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은 실외흡입구(16)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제1 실외그릴(18)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는 실외흡입구(16)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실외그릴(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실외토출구(19)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제2 실외그릴(19)을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제1 실외그릴(18)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과 제2 실외그릴(19)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 실외토출구(17), 제1 실외그릴(18) 및 제2 실외그릴(19)은 리어케이스(14)(도 3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흡입구(16)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실외열교환기(4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실외흡입구(16)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횡류팬일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로 유동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격벽(36)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의 양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01)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공간(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되어,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내팬(34) 및 실내열교환기(44)는 제1 공간(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간(102)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간(102)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되어,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팬(35) 및 실외열교환기(42)는 제2 공간(10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은 격벽(3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36)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제1 공간(101)과 제2 공간(102)을 분리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공간을 구분지을 때, 제1 공간(101)을 "실내측"으로, 제2 공간(102)을 "실외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5는 공기조화기(1) 하부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공기조화기(1)는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500)는 베이스(45)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500)는 일체형일 수 있다. 커버(500)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커버(5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41) 및 팽창장치(43)는 커버(5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어큐뮬레이터(4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7)는 압축기(41)와 연결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7)는 커버(5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펌프(46)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46)는 베이스(45)에 안착될 수 있다. 펌프(46)는 열교환기(42, 44)(도 4참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커버(500)는 펌프(46)와 이격배치될 수 있다. 펌프(446)는 커버(5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500)는 베이스(45)에 탈착될 수 있다. 커버(500)는 베이스(45)에 고정될 수 있고, 베이스(45)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커버(500)와 베이스(45)는 서로 다른 복수의 위치에서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45)는 제1 벽(4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벽(451)은 압축기(4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벽(451)은 커버(5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45)는 제2 벽(4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벽(452)은 압축기(41)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벽(452)은 커버(500)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벽(452)은 제1 벽(45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45)는 펜스(453)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453)는 커버(5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펜스(453)는 제1 벽(451)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박스(51)(도 3참조)는 펜스(45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5)는 경계벽(454)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벽(454)은 펜스(45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경계벽(454)은 커버(500)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경계벽(454)은 커버(500)와 펌프(4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500)는 복수의 위치에서 베이스(45)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3종류의 위치에서 커버(500)와 베이스(45)가 결합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커버(500)와 베이스(45)의 결합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1)는 제1 체결부재(5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501)는 제1 벽(451)과 커버(500)의 전방을 연결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체결부재(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502)는 제2 벽(452)과 커버(500)의 측방을 연결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3 체결부재(5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503)는 경계벽(454)과 커버(500)의 측방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2, 3체결부재(501, 502, 503)는 "체결부재"로 이름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부재(501, 502, 503)는, 제1, 2, 3체결부재(501, 502, 5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6은 커버(500)와 베이스(45)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커버(500)는 제1 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41)는 제1 바디(5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500)는 제2 바디(520)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제2 바디(5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510)와 제2 바디(520)는 일체형일 수 있다. 다만, 제1 바디(510)와 제2 바디(520)는 서로 탈착될 수도 있다. 제1 바디(510)와 제2 바디(520)는 금속재일 수 있다.
베이스(45)는 후방벽(455)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벽(455)은 제1 벽(451)의 후방에 이격될 수 있다. 제1 벽(451)과 후방벽(45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500)는 제1 벽(451)과 후방벽(455) 사이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5)는 마운트(456)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트(456)는 제1 벽(451)과 후방벽(45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마운트(456)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베이스(45)는 베이스플레이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450)는 베이스(45)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벽(451)은 베이스플레이트(45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벽(452)은 베이스플레이트(45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펜스(453)는 베이스플레이트(45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경계벽(454)은 베이스플레이트(45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후방벽(455)은 베이스플레이트(45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마운트(456)는 베이스플레이트(45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45)는 제1 배치공간(45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치공간(457)은 제1 벽(451)과 후방벽(45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치공간(457)은 마운트(456)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치공간(457)은 제2 벽(452)과 펜스(45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510)는 제1 배치공간(457)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5)는 제2 배치공간(45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치공간(458)은 마운트(456)와 경계벽(4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치공간(458)은 펜스(453)와 후방벽(45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제2 배치공간(458)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45)는 펌프배치공간(459)을 포함할 수 있다. 펌프배치공간(459)은 경계벽(45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경계벽(454)은 제2 배치공간(458)과 펌프배치공간(45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46)는 펌프배치공간(45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7은 커버(500)와 베이스(45)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이다.
압축기(41)는 제1 바디(5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제2 바디(5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간격(5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간격(504)은 제1 바디(510)와 마운트(45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격(504)은 "간격"으로 이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제1 간격(50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토출관(411)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토출관(411)은 압축기(41)와 연결될 수 있고, 고온고압상태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압축기토출관(411)은 제1 간격(504)을 통해 제1 바디(5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압축기토출관(411)은 제1 간격(504)을 통해 제1 바디(510)의 외부로 빠져나와서, 실외열교환기(42)(도 3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간격(5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간격(505)은 제2 바디(520)와 베이스플레이트(4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간격(505)은 후방벽(455)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간격(505)은 "간격"으로 이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제2 간격(50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팽창장치유입관(432)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유입관(432)은 팽창장치(43)와 연결될 수 있고, 저온고압상태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팽창장치유입관(432)은 실외열교환기(42)(도 3참조)와 팽창장치(43)를 연결할 수 있다. 팽창장치유입관(432)을 통해 팽창장치(43)로 유입된 냉매는 팽창될 수 있다. 팽창장치유입관(432)은 제2 간격(505)을 통해 제2 바디(52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팽창장치유입관(432)은 제2 간격(505)을 통해 제2 바디(520)의 내부로 들어가서, 팽창장치(43)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8은 커버(500)와 베이스(45)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이다.
공기조화기(1)는 제3 간격(5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간격(506)은 제2 바디(520)와 베이스플레이트(4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간격(506)은 펜스(453)와 마주할 수 있다. 제3 간격(506)은 "간격"으로 이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제3 간격(506)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팽창장치토출관(431)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토출관(431)은 팽창장치(43)와 연결될 수 있고, 저온저압상태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팽창장치토출관(431)은 실내열교환기(44)(도 3참조)와 팽창장치(43)를 연결할 수 있다. 팽창장치토출관(431)을 통해 실내열교환기(44)로 유입된 냉매는 증발될 수 있다. 팽창장치토출관(431)은 제3 간격(506)을 통해 제2 바디(52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팽창장치토출관(431)은 제3 간격(506)을 통해 제2 바디(520)로부터 빠져나와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유입관(412)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유입관(412)은 압축기(41)와 연결될 수 있고, 저온저압상태의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압축기유입관(412)은 실내열교환기(44)(도 3참조)와 압축기(41)를 연결할 수 있다. 압축기유입관(412)을 통해 압축기(41)로 유입된 냉매는 압축될 수 있다. 압축기유입관(412)은 제3 간격(506)을 통해 제2 바디(520)의 내부를 가로지를 수 있다. 압축기유입관(412)은 제2 바디(520) 내부를 가로질러 제1 바디(510)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압축기유입관(412)은 제3 간격(506)을 통과하여, 제1 바디(51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커버(500)를 설명한다.
도 9는 커버(500)의 사시도이다.
제1 바디(510)는 제1 하우징(5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51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41)(도 5참조)는 제1 하우징(5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510)는 제2 하우징(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512)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7)(도 5참조)는 제2 하우징(5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512)은 제1 하우징(5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하우징(512)은 제1 수납부(5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납부(512a)는 제1 하우징(5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수납부(512a) 내에는 냉매관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우징(512)은 제2 수납부(5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납부(512b)는 제1 하우징(5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수납부(512b)의 전후방향 폭은, 제1 수납부(512a)의 전후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7)(도 5참조)는 제2 수납부(512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제1 바디(5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510)의 상하방향 높이는 제2 바디(520)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제1 바디(510)와 제2 바디(520) 사이에는 높이차(H)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512)과 제2 바디(520) 사이에는 높이차(H)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실내측을 마주하는 제1 면(5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527)은 전방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면(527)은 제1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측을 마주하는 제2 바디(520)의 제1 면(527)은 제1 바디(5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제1 바디(510)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1 플랜지(5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5272)는 제1 바디(510)에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5272)는 제1 바디(510)의 일면에 접합될 수 있다. 제1 플랜지(5272)는 제1 면(527)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플랜지(5272)는 제1 면(527)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플랜지(5272)는 제1 면(527)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527)은 제1 플랜지(5272)에 의해 제1 바디(5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상측을 향하는 제2 면(5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528)은 상방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면(528)은 제1 면(527)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면(528)은 제1 바디(5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방을 마주하는 제2 면(528)은 제1 바디(5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제1 바디(510)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2 플랜지(5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랜지(5282)는 제1 바디(510)에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랜지(5282)는 제1 바디(510)의 일면에 접합될 수 있다. 제2 플랜지(5282)는 제2 면(528)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플랜지(5282)는 제2 면(528)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플랜지(5282)는 제2 면(528)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면(528)은 제2 플랜지(5282)에 의해 제1 바디(5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측면을 향하는 제3 면(529)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면(529)은 측방을 마주할 수 있다. 제3 면(529)은 제1 면(527) 및 제2 면(528)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면(529)은 제1 바디(5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팽창장치수납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장치수납부(521)는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팽창장치(43)(도 5참조)는 팽창장치수납부(5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수납부돌출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돌출부(522)는 팽창장치수납부(52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납부돌출부(522) 내에는 냉매관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절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523)는 팽창장치수납부(521)의 하부에 함몰될 수 있다. 절개부(523)는 팽창장치수납부(521)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3 간격(506)(도 8참조)은 절개부(523)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간격(506)(도 8참조)은 베이스플레이트(450)(도 8참조)와 절개부(5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커버(500)를 설명한다.
도 10은 커버(500)를 상측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차음부재(530)는 단면을 절개하여 일부만을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바디(510)는 경계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부(514)는 제1 하우징(511)과 제2 하우징(512)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경계부(514)는 제2 바디(520)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전단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부(525)는 제2 바디(52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단부(525)는 경계부(514)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전단부(525)와 경계부(514) 사이에는 거리차(D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510)는 경사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513)는 제1 바디(5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513)는 제2 바디(52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513)는 제2 바디(520)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경사부(513)는 수납부돌출부(522)를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후단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단부(524)는 제2 바디(52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단부(524)는 경사부(513)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후단부(524)와 경사부(513) 사이에는 거리차(D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격(504)(도 7참조)은 경사부(513)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격(504)(도 7참조)은 경사부(513)와 마운트(456)(도 7참조)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513)는 압축기토출관(411)(도 7참조)이 빠져나가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500)는 차음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음부재(530)는 제1 바디(510) 및 제2 바디(52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차음부재(530)는 제1 바디(510) 및 제2 바디(520)의 내둘레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커버(500)는 커버(500)와 차음부재(530)에 의해 이중으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커버(500)를 설명한다.
도 11은 커버(500)를 후방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바디(510)는 함몰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516)는 제1 하우징(51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함몰부(516)는 경사부(513)(도 10참조)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격(504)(도 7참조)은 함몰부(51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격(504)(도 7참조)은 함몰부(516)와 마운트(456)(도 7참조)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510)는 연장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15)는 제2 하우징(512)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515)는 제1 하우징(511)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515)와 제1 하우징(511) 사이에는 높이차(H)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520)는 냉매관관통부(526)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관관통부(526)는 제2 바디(5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냉매관관통부(526)는 제1 바디(510)와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간격(505)(도 7참조)은 냉매관관통부(526)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간격(505)(도 7참조)은 냉매관관통부(526)와 베이스플레이트(450)(도 7참조)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팽창장치유입관(432)(도 7참조)은 냉매관관통부(526)와 베이스플레이트(450) 사이를 통과하여 팽창장치(43)에 연결될 수 있다.
차음부재(530)는 제1 바디(510)와 제2 바디(52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커버(500)를 설명한다.
도 12는 커버(500)를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하우징(511)과 제2 하우징(512) 사이에는 높이차(H)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511)의 하단과 제2 바디(520)의 하단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절개부(523)는 제1 하우징(511)과 수평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절개부(523)는 제2 바디(520)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바디(510)는 하단부(5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517)는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질 수 있다. 하단부(517)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질 수 있다.
차음부재(530)는 제1 바디(510)와 제2 바디(52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3은 서로 다른 진동모드 조건에서, 커버(500)의 진동을 나타낸 컨투어이다.
도 13의 (a), (b), (c)는 진동모드해석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진동모드 조건에서 고유진동수 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컨투어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a)는 제1 진동모드에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이다. 이 때, 고유진동수는 약 230Hz일 수 있다.
도 13의 (b)는 제2 진동모드에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이다. 이 때, 고유진동수는 약 300Hz일 수 있다.
도 13의 (c)는 제3 진동모드에서 실험을 진행한 결과이다. 이 때, 고유진동수는 약 432Hz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4는 압축기(41)의 주파수와 커버(500)의 고유진동수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압축기(41)의 운전주파수는 200Hz보다 낮은 P영역에 형성된다. 이 때, 본 개시의 커버(500)의 고유진동수는 P보다 큰 230Hz(a), 300Hz(b) 및 430Hz(c)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커버(500)는 압축기(41)와 공진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5는 종래기술에 따라 흡차음재를 설치하였을 때와, 본 개시의 커버(500)를 설치하였을 때의 소음감지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주파수영역대를 구간별로 나타낸 것이고, 세로축은 감소된 소음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Case1, Case2 및 Case3는, 커버(500)의 두께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즉, Case1, Case2 및 Case3 각각의 커버(500) 두께는 다를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라 접착제로 도포된 흡차음재를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본 개시의 커버(500)를 사용하였을 때 소음저감의 양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16은 종래기술에 따른 흡차음재를 사용하였을 때와 본 개시의 커버(500)를 사용하였을 때의 소음저감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래프를 참고했을 때, 압축기(41)의 전 주파수 영역대에서 본 개시의 커버(500)를 설치하였을 때 발생되는 소음이 종래기술보다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압축기(41), 팽창장치(43), 냉매관(48), 및 베이스(6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와 팽창장치의 배치>
압축기(41)와 팽창장치(43)는 냉매관(48)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팽창장치(43)는 압축기(4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장치(43)는 압축기(4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팽창장치(43)와 압축기(41)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베이스>
압축기(41)와 팽창장치(43)는 베이스(60)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0)는 압축기(41)와 팽창장치(43)가 위치하는 배치공간(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0)는 격벽(64)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64)은 베이스(6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격벽(64)은 배치공간으로부터 실내 측으로 이격된 제1 격벽(6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642)은 배치공간의 실내 측을 구획할 수 있다. 제1 격벽(642)은 압축기(4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격벽(642)은 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격벽(642)은 압축기(41)의 전방에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방은 실내 측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격벽(64)은 제2 격벽(6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격벽(644)은 배치공간의 측면을 구획할 수 있다. 제2 격벽(644)은 팽창장치(43)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격벽(644)은 실내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격벽(644)은 배치공간의 우측에 위치하고, 실내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격벽(644)은 제1 격벽(64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격벽(644)은 제1 격벽(642)으로부터 실외측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냉매관(48)은 제1 격벽(642)과 제2 격벽(644) 사이의 이격 간격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60)는 배치공간을 구획하는 둘레벽(62)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벽(62)은 베이스(6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배치공간은 둘레벽(62), 제1 격벽(642) 및 제2 격벽(64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
어큐뮬레이터(47)는 압축기(4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7)는 압축기(4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47)는 실내 측을 마주하는 압축기(41)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압축기(41)와 어큐뮬레이터(47)는 냉매관(48)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 및 냉매관>
실외열교환기(42)는 압축기(41)의 실외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팽창장치(43)의 실외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와 압축기(41)는 냉매관(48)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커버(70)는 제1 바디부(71)와 제2 바디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2 바디부>
커버(70)는 내부에 압축기(41)가 배치되는 제1 바디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71)는 커버(70)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바디부(71)는 압축기(41)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바디부(71)는 어큐뮬레이터(47)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바디부(71)는 압축기(41) 및/또는 어큐뮬레이터(47)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71)는 어큐뮬레이터(47)가 수용되는 제1 돌출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71)는 압축기(41)와 어큐뮬레이터(47)를 둘러싸고, 상기 압축기(41)와 어큐뮬레이터(47)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제1 바디부(71)는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커버(70)는 내부에 팽창장치(43)가 배치되는 제2 바디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72)는 커버(70)의 나머지 일부일 수 있다. 제2 바디부(72)는 팽창장치(43)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바디부(72)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관(48)은 제2 돌출부(72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부(72)는 팽창장치(43)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72)는 하측이 개구될 수 있다.
<탄성재>
제1 바디부(71)와 제2 바디부(72)는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부(71)와 제2 바디부(72)는 완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7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고밀도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흡음재>
커버(70)는 차음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음부재(530)는 제1 바디부(71) 및 제2 바디부(72)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차음부재(530)는 제1 바디부(71) 및 제2 바디부(72)의 내둘레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커버(70)는 커버(70)와 차음부재(530)에 의해 이중으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체형>
제2 바디부(72)는 제1 바디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부(72)는 제1 바디부(7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부(71)의 수용 공간과 제2 바디부(72)의 수용 공간은 연통될 수 있다. 제1 바디부(71)와 제2 바디부(7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2 하우징>
제1 바디부(71)는 제1 격벽(642)을 기준으로, 실외 측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7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71a)은 압축기(41)의 실외 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71a)은 제1 바디부(71)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71a)은 제1 바디부(71)의 후방부일 수 있다. 제2 바디부(72)는 제1 하우징(7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부(71)는 제1 격벽(642)을 기준으로, 실내 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7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71b)은 압축기(41)의 실내 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71b)은 어큐뮬레이터(47)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71b)은 제1 바디부(71)의 나머지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71b)은 제1 바디부(71)의 전방부일 수 있다.
<돌출부>
제1 바디부(71)는 실내 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711)를 포함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47)는 제1 돌출부(71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711)는 어큐뮬레이터(47)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71b)은 제1 하우징(71a)보다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높이 차이>
제2 하우징(71b)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71b)은 제1 하우징(71a)보다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71b)의 하단은 제1 하우징(71a)의 하단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71b)의 하단과 제1 하우징(71a)의 하단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높이(H)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제2 바디부(72)의 하단과 제2 하우징(71b)의 하단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 높이(H)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71b)의 하단은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71b)의 하단과 베이스(60)가 밀착됨으로써, 차음성이 향상될 수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커버(70)는 제1 오프닝(712)과 제2 오프닝(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프닝>
커버(70)는 제3 격벽(646)이 배치되는 제1 오프닝(7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프닝(712)은 제1 바디부(7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프닝(712)은 제2 하우징(71b)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 오프닝(712)은 제1 바디부(71)의 하부에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프닝(712)은 제1 돌출부(71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오프닝>
커버(70)는 냉매관(48)이 배치되는 제2 오프닝(722)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관(48)은 제2 오프닝(722)을 통해 커버(70)의 내부와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오프닝(722)은 제2 바디부(7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오프닝(722)은 제2 바디부(72)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2 오프닝(722)은 제2 바디부(72)의 하부에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커버(70)는 회동 결합된 제1 쉘(70a)과 제2 쉘(7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2 쉘>
커버(70)는 압축기(41)의 일측과 팽창장치(43)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 쉘(7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쉘(70a)은 제1 바디부(71)의 일부와 제2 바디부(72)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70)는 압축기(41)의 타측과 팽창장치(43)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2 쉘(7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쉘(70b)은 제1 바디부(71)의 나머지 일부와 제2 바디부(72)의 나머지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쉘(70a)은 커버(70)의 실내측을 향하는 일면을 포함하고, 제2 쉘(70b)은 상기 커버(70)의 실외측을 향하는 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면과 타면은 서로 대향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
제1 쉘(70a)과 제2 쉘(70b)은 서로 회전 결합될 수 있다. 커버(70)는 제1 쉘(70a)과 제2 쉘(70b)을 연결하는 회전연결부(70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연결부(703)는 제1 쉘(70a)의 가장자리와 제2 쉘(70b)의 가장자리를 연결할 수 있다. 회전연결부(70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쉘(70a)과 제2 쉘(70b)은 회전연결부(703)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쉘(70a)과 제2 쉘(70b)은 회전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결합이라 함은, 제1 쉘(70a)과 제2 쉘(70b)이 폐쇄되어 내부 공간(700)을 구획하는 것일 수 있다. 분리라 함은, 제1 쉘(70a)과 제2 쉘(70b)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700)이 개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쉘(70a)과 제2 쉘(70b)은 서로 결합되어 내부 공간(700)을 구획할 수 있다. 또, 제1 쉘(70a)과 제2 쉘(70b)은 서로 분리되어 내부 공간(700)을 개방할 수 있다. 내부 공간(700)은 제1 쉘에 형성된 제1 내부 공간(700a)과, 제2 쉘에 형성된 제2 내부 공간(7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쉘(70a)과 제2 쉘(70b)이 결합될 때, 제1 내부 공간(700a)과 제2 내부 공간(700b)은 내부 공간(70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쉘(70a)과 제2 쉘(70b)이 분리될 때, 내부 공간(700)은 제1 내부 공간(700a)과 제2 내부 공간(700b)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2 접촉면>
제1 쉘(70a)은 제2 쉘(70b)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70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쉘(70a)과 제2 쉘(70b)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 공간(700)을 구획할 때, 제1 접촉면(702a)은 제2 쉘(70b)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접촉면(702a)은 커버(70)의 단면일 수 있다.
제2 쉘(70b)은 제1 쉘(70a)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702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쉘(70a)과 제2 쉘(70b)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 공간(700)을 구획할 때, 제2 접촉면(702b)은 제1 접촉면(702a)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접촉면(702b)은 제1 접촉면(702a)에 대응될 수 있다.
<삽입 리브와 리브 홈>
제1 쉘(70a)은 제2 쉘(70b)의 내측에 수용되는 삽입 리브(704a)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리브(704a)는 제1 접촉면(702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리브(704a)는 제1 접촉면(702a)으로부터 제2 접촉면(702b)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 삽입 리브(704a)는 제1 접촉면(702a)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쉘(70a)과 제2 쉘(70b)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 공간(700)을 구획할 때, 삽입 리브(704a)는 제2 쉘(70b)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쉘(70b)은 삽입 리브(704a)가 수용되는 리브 홈(704b)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 홈(704b)은 삽입 리브(704a)에 대응될 수 있다. 리브 홈(704b)은 제2 접촉면(702b)으로부터 리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쉘(70a)과 제2 쉘(70b)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 공간(700)을 구획할 때, 삽입 리브(704a)는 리브 홈(704b)에 수용될 수 있다.
<제4 간격>
커버(70)는 제2 바디부(72)의 하측에 형성된 제4 간격(706a)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간격(706a)은 전술한 제2 바디부(72)의 하단과 제2 하우징(71b)의 하단 사이의 이격 간격(H)에 대응될 수 있다. 냉매관(48)은 제4 간격(706a)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간격>
커버(70)는 제1 바디부(71)의 하측에 형성된 제5 간격(70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간격(706b)은 제4 간격(706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냉매관(48)은 제5 간격(706b)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커버(70)는 서비스 홀(716)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홀>
커버(70)는 제1 바디부(71)에 형성된 서비스 홀(716)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홀(716)은 제1 바디부(7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 홀(716)은 상기 일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서비스 홀(716)은 제1 바디부(7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서비스 홀(716)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커버(7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홀(716)의 깊이는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커버(70)의 중심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서비스 홀(716)의 깊이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커버(70)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비스 홀(716)은 커버(70)의 단면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 홀(716)의 깊이 방향은 커버(70)의 일면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룰 수 있다.
<틸팅 도어>
커버(70)는 서비스 홀(716)을 개방하는 틸팅 도어(718)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도어(718)는 서비스 홀(716)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도어(718)는 서비스 홀(716)에 배치되고, 상기 서비스 홀(716)을 폐쇄할 수 있다. 틸팅 도어(718)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틸팅 도어(718)는 서로 이격되어 서비스 홀(716)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틸팅 도어(718)는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틸팅 도어(718)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틸팅 도어(718)는 서비스 홀(716)을 형성하는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틸팅 도어(718)는 사각 형상의 서비스 홀(716)을 형성하는 둘레인 사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틸팅 도어(718)의 일면은 제1 바디부(71)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틸팅 도어(718)는 서비스 홀(716)을 형성하는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틸팅 도어(718)의 외측면(7184)은 제1 바디부(71)의 외측면(7004)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틸팅 도어(718)는 커버(70)의 외측면(7004)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4개의 틸팅 도어(718)는 서로 이격되어 서비스 홀(716)을 형성할 수 있다.
틸팅 도어(718)의 내측면은 서비스 홀(716)을 형성하는 둘레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틸팅 도어(718)의 내측면은 제1 바디부(71)의 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도어(718)는 서비스 홀(716)을 형성하는 둘레로부터 상기 서비스 홀(716)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틸팅 도어(718)는 제1 바디부(71)의 일면에서 타면으로 갈수록 서비스 홀(716)의 중심을 향하는 경사면(719)을 포함할 수 있다. 틸팅 도어(718)가 서비스 홀(716)을 개방할 때, 경사면(719)은 서비스 홀의 둘레면과 가까워질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커버(70)는 베이스(6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격벽>
베이스(60)는 제1 격벽(642)보다 실내 측에 위치하는 제3 격벽(64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격벽(646)은 제1 격벽(642)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격벽(646)은 실내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격벽(646)은 제1 격벽(642)과 베이스(60)의 둘레벽(6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격벽(646)은 제1 오프닝(712)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커버(70)는 압축기(41)와 팽창장치(43)를 둘러쌀 수 있다. 커버(70)는 어큐뮬레이터(47)를 둘러쌀 수 있다. 커버(70)는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바디부(72)는 베이스(6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2 격벽 사이의 갭>
제1 격벽(642)과 제2 격벽(644) 사이에는 이격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냉매관(48)은 제1 격벽(642)과 제2 격벽(644) 사이에 형성된 이격 간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격벽(642)과 제2 격벽(644)은 냉매관(48)이 배치되는 소정 간격(G)으로 이격된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격벽(642)과 제2 격벽(644) 사이에 형성된 이격 간격에 배치된 냉매관(48)은 제2 바디부(7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소음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29(a)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에 따른 소음 실험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29(b)는 도 29(a)의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모드 설명>
공기조화기(1)는 실내 풍량에 따라 복수의 운전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풍량은 실내기로부터 실내 공간으로 공급하는 바람의 양을 칭할 수 있다. 실내 풍량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파워(Power), 하이(High), 미드(Mid), 로우(Low), 슈퍼 로우(S-Low)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실내 풍량은 파워(Power), 하이(High), 미드(Mid), 로우(Low), 슈퍼 로우(S-Low) 모드 순서로 감소할 수 있다. 압축기(41)의 주파수(Hz)는 파워(Power), 하이(High), 미드(Mid), 로우(Low), 슈퍼 로우(S-Low) 모드 순서로 감소할 수 있다.
<SPL>
SPL은 사운드 파워 레벨(Sound Power Level)을 의미한다. SPL은 압축기(41)에서 발생한 소리의 에너지를 나타낼 수 있다. SPL의 단위는 데시벨(dB)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PL이 작아지면 소리의 에너지는 감소할 수 있다. SPL이 작아지면 소리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다.
<SQI>
SQI는 사운드 퀄리티 인덱스(Sound Quality Index)를 의미한다. SQI는 소리의 질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SQI는 소리의 선명도와 청취감을 나타낼 수 있다.
<A, B>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5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일 수 있다.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7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1)일 수 있다. A의 커버(500)는 메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커버(500)는 판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A의 실험 결과를 보면, 파워(Power), 하이(High), 미드(Mid), 로우(Low), 슈퍼 로우(S-Low) 모드 순서로 갈수록 SPL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풍량이 작아질수록 SPL은 감소할 수 있다. 또,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질수록 SPL은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내 풍량이 줄어들거나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지면, 압축기(41)에서 누설되는 소음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파워(Power), 하이(High), 미드(Mid), 로우(Low), 슈퍼 로우(S-Low) 모드 순서로 갈수록 SQI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풍량이 작아질수록 SQI는 감소할 수 있다. 또,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질수록 SQI는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내 풍량이 줄어들거나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지면, 재실자에게 감지되는 소음의 질이 낮아질 수 있다. 또, 실내 풍량이 줄어들거나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지면, 재실자에게 감지되는 감성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B의 커버(70)는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B의 커버(70)는 고밀도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B의 실험 결과를 보면, 파워(Power), 하이(High), 미드(Mid), 로우(Low), 슈퍼 로우(S-Low) 모드 순서로 갈수록 SPL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풍량이 작아질수록 SPL은 감소할 수 있다. 또,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질수록 SPL은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내 풍량이 줄어들거나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지면, 압축기(41)에서 누설되는 소음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파워(Power), 하이(High), 미드(Mid), 로우(Low), 슈퍼 로우(S-Low) 모드 순서로 갈수록 SQI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풍량이 작아질수록 SQI는 감소할 수 있다. 또,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질수록 SQI는 감소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내 풍량이 줄어들거나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지면, 재실자에게 감지되는 소음의 질이 낮아질 수 있다. 또, 실내 풍량이 줄어들거나 압축기(41)의 주파수가 작아지면, 재실자에게 감지되는 감성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A와 B를 비교하면, 탄성재로 형성된 B의 커버(70)가, 메탈 소재로 형성된 A의 커버(500)보다 SPL 및 SQI가 작을 수 있다.
파워(Power) 모드에서 SPL은, A가 48.3dB(A)이고, B가 46.8dB(A)으로, B가 A에 비해 1.5dB(A)만큼 낮다. 하이(High) 모드에서 SPL은, A가 44.0dB(A)이고, B가 43.3dB(A)으로, B가 A에 비해 0.7dB(A)만큼 낮다. 미드(Mid) 모드에서 SPL은, A가 41.8dB(A)이고, B가 40.0dB(A)으로, B가 A에 비해 1.8dB(A)만큼 낮다. 로우(Low) 모드에서 SPL은, A가 40.8dB(A)이고, B가 38.6dB(A)으로, B가 A에 비해 2.2dB(A)만큼 낮다.
파워(Power) 모드에서 SQI는, A가 22.2이고, B가 18.2로 B가 A에 비해 18%만큼 낮다. 하이(High) 모드에서 SQI는, A가 15.5이고, B가 14.5로 B가 A에 비해 7%만큼 낮다. 미드(Mid) 모드에서 SQI는, A가 12.0이고, B가 10.8로 B가 A에 비해 10%만큼 낮다. 로우(Low) 모드에서 SQI는, A가 11.1이고, B가 8.8로 B가 A에 비해 21%만큼 낮다
도 1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팽창장치; 및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내부에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팽창장치가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탄성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일측과 상기 팽창장치의 일측을 커버하는 제1 쉘; 및 상기 제1 바디부의 나머지 일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나머지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의 타측과 상기 팽창장치의 타측을 커버하는 제2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은, 서로 회전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 또는 개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쉘은: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할 때, 상기 제2 쉘에 접촉하는 제1 접촉면; 및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할 때, 상기 제2 쉘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접촉면으로부터 연장된 삽입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쉘은: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할 때, 상기 제1 접촉면에 접촉하는 제2 접촉면; 및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할 때, 상기 삽입 리브가 수용되는 리브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부는: 일면에 형성된 서비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서비스 홀에 배치되고, 일측으로 틸팅되어 상기 서비스 홀을 개방하는 틸팅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틸팅 도어는, 외측면이 상기 제1 바디부의 일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서비스 홀을 형성하는 둘레에 연결되고, 내측면은 상기 서비스 홀을 형성하는 둘레로부터 상기 서비스 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홀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커버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커버에 수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팽창장치가 위치하는 배치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격벽은: 상기 배치공간으로부터 실내 측으로 이격된 제1 격벽; 및 상기 제1 격벽으로부터 실외 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팽창장치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격벽을 기준으로, 실외 측에 배치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격벽을 기준으로, 실내 측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하우징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에 안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격벽보다 실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격벽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제3 격벽이 배치되는 제1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바디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어 냉매관이 배치되는 제2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공기조화기 10: 케이스
41: 압축기 43: 팽창장치
45: 베이스 500: 커버
510: 제1바디 520: 제2 바디
530: 차음부재

Claims (16)

  1.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베이스에 안착되고,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는 팽창장치;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결합되고, 금속 소재로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압축기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팽창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된 냉매관 또는 상기 팽창장치에 연결된 냉매관이 통과하는 간격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바디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바디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결합되고, 실내측을 마주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의 하단은,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의 하단과 연속되는 공기조화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실내측을 향하는 제1 면으로부터 벤딩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1 플랜지; 및
    상측을 향하는 제2 면으로부터 벤딩되고,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에 연결된 냉매관 또는 상기 팽창장치에 연결된 냉매관은,
    상기 절개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조화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실내측을 향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결합된 제1 면;
    상측을 향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결합된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연결되고, 측면을 향하는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3 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하단은,
    상기 절개부와 연속되는 공기조화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바디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제3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벽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벽은,
    상기 펌프와 상기 팽창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실내측을 향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결합된 제1 면;
    상측을 향하고,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에 결합된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연결되고, 측면을 향하는 제3 면; 및
    상기 제3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경계벽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에 연결된 냉매관은,
    상기 함몰부와 상기 베이스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실외측을 향하는 상기 제1 바디의 타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압축기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마운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30105795A 2022-05-13 2023-08-11 공기조화기 KR102666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23 2022-05-13
KR20220058723 2022-05-13
KR1020230048920A KR20230159258A (ko) 2022-05-13 2023-04-13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920A Division KR20230159258A (ko) 2022-05-13 2023-04-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326A KR20230159326A (ko) 2023-11-21
KR102666139B1 true KR102666139B1 (ko) 2024-05-17

Family

ID=889818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920A KR20230159258A (ko) 2022-05-13 2023-04-13 공기조화기
KR1020230105795A KR102666139B1 (ko) 2022-05-13 2023-08-11 공기조화기
KR1020240025639A KR20240027663A (ko) 2022-05-13 2024-02-22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920A KR20230159258A (ko) 2022-05-13 2023-04-13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5639A KR20240027663A (ko) 2022-05-13 2024-02-2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30159258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915A (ko) * 2011-01-06 2012-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CN109414212B (zh) 2016-06-03 2023-03-21 国立大学法人东京医科齿科大学 生物磁测量装置
KR20180027111A (ko) * 2016-09-06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팽창기구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
CN106767455A (zh) 2016-12-15 2017-05-31 惠科股份有限公司 驱动芯片的传递交接平台的自动测量方法、设备
KR102029369B1 (ko) 2017-12-27 2019-10-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
KR102293985B1 (ko) 2018-05-23 2021-08-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골절 정복 시술장치
KR102234438B1 (ko) * 2019-05-24 202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318550B1 (ko) * 2019-12-24 202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258A (ko) 2023-11-21
KR20240027663A (ko) 2024-03-04
KR20230159326A (ko)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073B2 (en) Air conditioner having an audio collecting device
KR20030089690A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EP3385626B1 (en) Outdoor machine
EP1300635A2 (en) Noise reduc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of large-sized air conditioner
JP2023052717A (ja) 空気調和機
US5664428A (en) Indoor unit for a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0342072Y1 (ko)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KR102666139B1 (ko) 공기조화기
JP3107604U (ja) 空気調和機室外機の騒音低減構造
KR20000032363A (ko) 공기조화기의 흡음재
US20070039342A1 (en) Monolithic air conditioner
KR102501953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2396084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WO200913390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967522B2 (ja) 熱交換装置
KR20080050155A (ko) 냉장고 기계실의 소음저감구조
KR102666137B1 (ko) 공기조화기
JP701909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6114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2577234B (zh) 一种便携式制冷设备及并联式斯特林制冷系统
KR102454035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10035710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0037825A (ko) 소음저감 창문형 에어컨
KR20210060134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210026612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