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138B1 -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138B1
KR102666138B1 KR1020230105316A KR20230105316A KR102666138B1 KR 102666138 B1 KR102666138 B1 KR 102666138B1 KR 1020230105316 A KR1020230105316 A KR 1020230105316A KR 20230105316 A KR20230105316 A KR 20230105316A KR 102666138 B1 KR102666138 B1 KR 102666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dow
gasket
air condition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9324A (ko
Inventor
최성식
문동수
김강영
김학재
장우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4892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59259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5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penetrating a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프레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는,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서로 이격된 복수의 창문과 상기 복수의 창문에 대응되는 복수의 로어레일을 구비한 창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측에 공기조화기가 배치되는 로어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로어레일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고 상기 복수의 로어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로어서포터를 포함하여, 공기조화기의 설치위치를 다양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AIR CONDITIONER AND FRAME ASSEMBLY}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켜,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창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 케이스의 일측면이 실내공간을 향하고 케이스의 타측면이 실외공간을 향하도록 창문에 고정된다.
공기조화기의 케이스를 창문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창문과 케이스 사이에는 별도의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프레임의 고정구조가 획일화됨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설치위치가 고정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위치에 공기조화기가 고정적으로 설치돼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프레임과 창문 간의 고정이 어렵고, 프레임과 창틀 간의 결속력이 약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프레임과 창문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과 창문 사이 공간으로 외기 및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프레임과 창문 사이가 단열되지 않아,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슬라이드되는 창문이 프레임에 충돌하면서 충격을 가할 때, 그 충격이 그대로 공기조화기에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창문과 창틀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특허문헌 10-2021-0064333 한국특허문헌 10-2020-0154340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설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설치위치를 다양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고정시키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와 창문 간을 밀봉시키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에의 고정이 용이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성능이 강화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유입이 방지되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 어셈블리와의 결합력이 향상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의 충돌로 인한 충격력을 완화시키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창문과 창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창문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는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는, 창틀과 창문 사이의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공간에 배치되는 어퍼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창틀에 형성된 사이드돌출부와 상기 창문 사이이ㅔ서 연장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사이드돌출부와 상기 창문 사이에서 연장되는 로어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어퍼프레임의 하측에 이격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로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어퍼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사이드돌출부와 상기 창문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홈을 구비하여, 사이드돌출부 또는 창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로어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어퍼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이격된다.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사이드돌출부와 상기 창문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제2 홈을 구비하여, 사이드돌출부 또는 창문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돌출부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측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외측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홈은, 상기 복수의 사이드돌출부가 이격된 방향으로 상기 제1 내측홈과 이격될 수 있어, 제1 내측홈과 제1 외측홈 중 어느 하나와 사이드돌출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2 내측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2 외측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측홈은, 상기 복수의 사이드돌출부가 이격된 방향으로 상기 제2 내측홈과 이격될 수 있어, 제2 내측홈과 제2 외측홈 중 어느 하나와 사이드돌출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공간은, 상기 창틀의 일측과 상기 창문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공간은, 상기 창틀의 타측과 상기 창문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은, 상기 제1 공간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창틀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창문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창문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될 때,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은 상기 창틀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사이드돌출부가 삽입되는 창틀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어, 단열성능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사이드돌출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창문에 형성된 창문홈에 삽입되는 창문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어, 단열성능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창문가스켓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창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장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장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프레임은, 상기 제1 홈과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는 제1 연장홈을 구비할 수 있어, 창틀 또는 창문과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프레임은, 상기 제2 홈과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는 제2 연장홈을 구비할 수 있어, 창틀 또는 창문과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제1 연장프레임과 상기 제2 연장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프레임은, 상기 제1 연장프레임 및 상기 제2 연장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어퍼프레임과 상기 로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미들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프레임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미들프레임에 배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창틀에 상기 공간을 향해 하측으로 돌출된 어퍼레일과 결합되는 어퍼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서포터는, 상기 어퍼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레일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서포터는, 상기 복수의 어퍼레일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어퍼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서포터는, 상기 어퍼레일이 삽입되는 어퍼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서포터는, 상기 어퍼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클램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서포터는, 상기 어퍼바디와 상기 클램퍼를 관통하는 클램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클램퍼에 형성된 나사산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서포터는, 상기 어퍼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어퍼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창틀에 상기 공간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된 로어레일과 결합되는 로어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서포터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레일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서포터는, 상기 복수의 로어레일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로어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서포터는, 상기 로어레일이 삽입되는 로어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서포터는, 상기 로어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어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서포터는, 상기 로어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마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로어방진제와 마주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로어프레임과 상기 로어바디 사이에 형성된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공기조화기가 안착되는 로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로어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프레임은, 상기 리브에 개구된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는, 상기 로어프레임과 결합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배수홀보다 실내공간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창문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상기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중공부를 포함하여, 공기조화기와 창문어셈블리 사이를 밀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프레임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삽입부에 대응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삽입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프레임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중공부를 포함하여, 가스켓의 압축성 및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프레임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둘레벽에 밀착되는 연장리브를 포함하여, 프레임어셈블리의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창틀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창틀가스켓을 포함하여, 창틀과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창틀은: 상기 창문을 향해 돌출된 사이드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이드돌출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여, 프레임어셈블리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 커버;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돌출부가 위치하는 창틀삽입부가 형성되어, 프레임어셈블리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중공부를 포함하여, 프레임어셈블리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사이드돌출부에 가까워지게 벤딩되어 접촉하여, 프레임어셈블리는 다양한 두께의 창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사이드돌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커버의 연장단으로부터 연장된 삽입가이드를 포함하여, 프레임어셈블리의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상기 창문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가스켓을 포함하여, 창문과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창문은: 상기 사이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창문홈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가스켓은: 상기 프레임삽입부가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된 창문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문삽입부는 상기 창문홈에 삽입되어, 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창문가스켓은: 상기 창문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삽입중공부를 포함하여, 가스켓의 압축성 및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창문가스켓은: 상기 창문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창문홈을 형성하는 둘레벽에 밀착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하여, 프레임어셈블리의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와 창문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을 활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하부 서포터의 탈부착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설치위치를 다양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창문과 창틀에 고정되는 프레임을 활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과 창문 사이에 가스켓을 배치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하부 서포터의 고정구조로 인하여, 프레임의 창문에의 고정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가스켓을 활용한 고정구조로 인하여,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구조로 인하여, 실내로의 빗물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가스켓을 배치하여, 공기조화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가스켓을 배치하여, 공기조화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창문과 창틀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삽입가이드를 구비한 가스켓 구조로 인하여, 설치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신축성 있는 가스켓 구조로 인하여, 다양한 규격의 창문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과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의 상부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의 상부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 상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의 하부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의 하부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의 하부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의 일부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고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설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설치의 제1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설치의 제2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가스켓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가스켓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 및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문어셈블리(9)에 탈착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를 기준으로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이 구분될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를 기준으로 일측은 실내공간일 수 있고, 타측은 실외공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공간을 향해 개구된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가질 수 있다.
창문어셈블리(9)는 창틀(91) 및 창문(92)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92)은 창틀(9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창문(92)의 내측에는 유리(93)가 구비될 수 있다.
창문(92)은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창문(92) 각각은, 창틀(91)에 형성된 레일(911, 913)(도 17참조)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창문(92) 각각은, 창틀(91)에 형성된 사이드돌출부(912)에 거치될 수 있다. 창틀(91)의 레일(911, 913) 및 사이드돌출부(912)는 창문(9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창틀(91)의 양 측 각각으로부터 제1 공간(94)과 제2 공간(95)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는 공기조화기(1)가 배치되는 공간(94, 95)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94, 95)은, 도 1을 기준으로 창틀(91)의 좌측부와 창문(92)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공간(94) 및 창틀(91)의 우측부와 창문(92)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공간(95)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공간(94)과 제2 공간(95)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공간(94)과 제2 공간(95) 중 원하는 위치에 공기조화기(1)를 배치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창틀(91)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창틀(91)의 레일(911, 913)(도 17참조) 및 사이드돌출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1 공간(94)과 제2 공간(95)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창문(92)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창틀(91)에 고정되어, 공기조화기(1)를 지지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내측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는 프레임어셈블리(500)에 지지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흡입구(11) 및 토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1)와 토출구(12)는 공기조화기(1)의 실내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마감재(6)는 공기조화기(1)의 실내측을 커버할 수 있다. 마감재(6)는 공기조화기(1)와 결합될 수 있다. 마감재(6)는 프레임어셈블리(500)보다 실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1)를 수평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그릴(15)을 통과하여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열교환기(44)는 케이스(10) 내부에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내열교환기(44)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실내열교환기(44)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팬(34)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11)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내팬(34)은 횡류팬일 수 있다.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토출구(12)로 유동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20)은 토출구(12)를 개폐할 수 있고,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베인(20)을 회전시키는 베인모터(29)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인모터(29)는 모터축(291)을 통해 베인(20)과 연결될 수 있다. 베인(20)은 베인모터(29)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흡입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 실외그릴(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은 실외흡입구(16)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제1 실외그릴(18)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토출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는 실외흡입구(16)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외토출구(17)와 실외흡입구(16)는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2 실외그릴(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실외토출구(19)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는 제2 실외그릴(19)을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실외그릴(19)은 제1 실외그릴(18)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실외그릴(18)과 제2 실외그릴(19)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 실외토출구(17), 제1 실외그릴(18) 및 제2 실외그릴(19)은 케이스(1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흡입구(16)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실외열교환기(42)에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실외열교환기(42)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외팬(35)은 케이스(10) 외부의 공기를 실외흡입구(16)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실외팬(35)은 횡류팬일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로 유동할 수 있다.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격벽(36)을 포함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격벽(36)은 케이스(10)의 양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내측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측공간(101)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구(11)를 통해 실내측공간(10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측공간(101)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내팬(34)에 의해 송풍되어, 토출구(1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내팬(34) 및 실내열교환기(44)는 실내측공간(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측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측공간(102)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외공간의 공기는 실외흡입구(16)를 통해 실외측공간(10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실외측공간(102) 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팬(35)에 의해 송풍되어, 실외토출구(17)를 통해 실외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실외팬(35) 및 실외열교환기(42)는 실외측공간(10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측공간(101)과 실외측공간(102)은 격벽(36)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격벽(36)은 실내측공간(101)과 실외측공간(1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격벽(36)은 실내측공간(101)과 실외측공간(102)을 분리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공간을 구분지을 때, 실내측공간(101)을 "실내측"으로, 실외측공간(102)을 "실외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사이드프레임(51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0)은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0)은 창틀(91)(도 1참조) 또는 창문(92)(도 1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0)은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양 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이드프레임(510)은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설치공간(501)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공간(501)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5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방수부재(519)를 포함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사이드프레임(51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사이드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로어프레임(5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실내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와 프레임(510, 56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연장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프레임(520)은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프레임(520)은 창틀(91)(도 1참조) 또는 창문(92)(도 1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520)은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양 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연장프레임(520)은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520)은 사이드프레임(510)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520)은 사이드프레임(510)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랙(528)을 포함할 수 있다. 랙(528)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랙(528)은 연장프레임(520)과 결합될 수 있다. 랙(528)은 연장프레임(520)과 함께 사이드프레임(5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차폐부재(529)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529)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재(529)는 상하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차폐부재(529)는 상하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차폐부재(529)는 공기조화기(1)의 상측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어퍼프레임(53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은 한 쌍의 연장프레임(520)과 결합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은 연장프레임(52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어퍼서포터(54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창틀(91)(도 17참조)의 어퍼레일(913)(도 17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미들프레임(550)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프레임(55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미들프레임(550)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미들프레임(550)은 어퍼프레임(530)과 로어프레임(5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설치공간(501)은 미들프레임(550)과 로어프레임(56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재(529)는 어퍼프레임(530)과 미들프레임(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재(529)는 어퍼프레임(530)과 미들프레임(55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고정부재(55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미들프레임(550)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설치공간(50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조절부재(552)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552)는 미들프레임(550)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부재(552)는 연장프레임(520)이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재(552)는 랙(528)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로어프레임(560)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설치공간(50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로어서포터(5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프레임(5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창틀(91)(도 1참조)의 로어레일(911)(도 1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창틀가스켓(580,680)을 포함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51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은 사이드프레임(5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은 연장프레임(520)과 결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은 한 쌍의 연장프레임(52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은 연장프레임(5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은 창틀(91)(도 1참조)의 사이드돌출부(912)(도 1참조)와 결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은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틀(91) 사이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창문가스켓(590,690)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51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사이드프레임(5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연장프레임(520)과 결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한 쌍의 연장프레임(520)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연장프레임(5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창문(92)(도 6참조)의 리세스(921)(도 6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문(92) 사이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4는 프레임어셈블리(500)를 구성요소 별로 분해한 것이다.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몇 가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은 미들프레임(550)과 로어프레임(56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0)은 제2 사이드프레임(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512)은 미들프레임(550)과 로어프레임(56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제2 사이드프레임(512)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설치공간(501)(도 3참조)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제2 사이드프레임(5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은 제1 내측홈(5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홈(511a)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홈(511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은 제1 외측홈(5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홈(511b)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측홈(511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측홈(511a)과 제1 외측홈(511b)은 창틀(91)(도 1참조)의 레일(911, 913)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내측홈(511a)과 제1 외측홈(511b)은 "제1 홈"으로 이름될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제1 내측홈(511a)과 제1 외측홈(5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홈(511a)은 "제1 내측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제1 외측홈(511b)은 "제1 외측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제1 내측결합부(511a)는, 홈일 수도 있고, 돌기일 수도 있다. 제1 내측결합부(511a)는 창틀(91) 또는 창문(9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제1 외측결합부(511b)는, 홈일 수도 있고, 돌기일 수도 있다. 제1 외측결합부(511b)는 창틀(91) 또는 창문(9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도 3참조) 또는 창문가스켓(590,690)(도 3참조)은 제1 내측홈(511a)과 제1 외측홈(51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512)은 제2 내측홈(5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홈(512a)은 제2 사이드프레임(512)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홈(512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512)은 제2 외측홈(5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측홈(512b)은 제2 사이드프레임(512)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측홈(512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측홈(512a)과 제2 외측홈(512b)은 창틀(91)(도 1참조)의 레일(911, 913)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내측홈(512a)과 제2 외측홈(512b)은 "제2 홈"으로 이름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제2 내측홈(512a)과 제2 외측홈(5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홈(512a)은 "제2 내측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제2 외측홈(512b)은 "제2 외측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제2 내측결합부(512a)는, 홈일 수도 있고, 돌기일 수도 있다. 제2 내측결합부(512a)는 창틀(91) 또는 창문(9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제2 외측결합부(512b)는, 홈일 수도 있고, 돌기일 수도 있다. 제2 외측결합부(512b)는 창틀(91) 또는 창문(9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도 3참조) 또는 창문가스켓(590,690)(도 3참조)은 제2 내측홈(512a)과 제2 외측홈(512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520)은 제1 연장프레임(5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프레임(521)은 어퍼프레임(530)과 미들프레임(55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프레임(521)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프레임(520)은 제2 연장프레임(5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프레임(522)은 어퍼프레임(530)과 미들프레임(550)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프레임(522)은 제2 사이드프레임(512)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프레임(521)과 제2 연장프레임(522)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차폐부재(529)(도 3참조)는 제1 연장프레임(521)과 제2 연장프레임(5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장프레임(521)은 제1 내측연장홈(52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연장홈(521a)은 제1 연장프레임(521)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연장홈(521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측연장홈(521a)은 제1 내측홈(511a)과 상하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다. 제1 내측연장홈(521a)과 제1 내측홈(511a)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연장프레임(521)은 제1 외측연장홈(5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측연장홈(521b)은 제1 연장프레임(521)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측연장홈(521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외측연장홈(521b)은 제1 외측홈(511b)과 상하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다. 제1 외측연장홈(521b)과 제1 외측홈(511b)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내측연장홈(521a)과 제1 외측연장홈(521b)은 창틀(91)(도 1참조)의 레일(911, 913)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내측연장홈(521a)과 제1 외측연장홈(521b)은 "제1 연장홈"으로 이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홈은, 제1 내측연장홈(521a)과 제1 외측연장홈(5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연장홈(521a)은 "제1 내측연장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제1 외측연장홈(521b)은 "제1 외측연장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제1 내측연장결합부(521a)는, 홈일 수도 있고, 돌기일 수도 있다. 제1 내측연장결합부(521a)는 창틀(91) 또는 창문(9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제1 외측연장결합부(521b)는, 홈일 수도 있고, 돌기일 수도 있다. 제1 외측연장결합부(521b)는 창틀(91) 또는 창문(9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도 3참조) 또는 창문가스켓(590,690)(도 3참조)은 제1 내측연장홈(521a)과 제1 외측연장홈(521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장프레임(522)은 제2 내측연장홈(5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연장홈(522a)은 제2 연장프레임(522)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연장홈(522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측연장홈(522a)은 제2 내측홈(512a)과 상하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다. 제2 내측연장홈(522a)과 제2 내측홈(512a)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2 연장프레임(522)은 제2 외측연장홈(5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측연장홈(522b)은 제2 연장프레임(522)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측연장홈(522b)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외측연장홈(522b)은 제2 외측홈(512b)과 상하방향으로 연속될 수 있다. 제2 외측연장홈(522b)과 제2 외측홈(512b)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2 내측연장홈(522a)과 제2 외측연장홈(522b)은 창틀(91)(도 1참조)의 레일(911, 913)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내측연장홈(522a)과 제2 외측연장홈(522b)은 "제2 연장홈"으로 이름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홈은, 제2 내측연장홈(522a)과 제2 외측연장홈(5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연장홈(522a)은 "제2 내측연장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제2 외측연장홈(522b)은 "제2 외측연장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제2 내측연장결합부(522a)는, 홈일 수도 있고, 돌기일 수도 있다. 제2 내측연장결합부(522a)는 창틀(91) 또는 창문(9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제2 외측연장결합부(522b)는, 홈일 수도 있고, 돌기일 수도 있다. 제2 외측연장결합부(522b)는 창틀(91) 또는 창문(9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일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680)(도 3참조) 또는 창문가스켓(590,690)(도 3참조)은 제2 내측연장홈(522a)과 제2 외측연장홈(522b)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5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수평방향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설치되는 복수의 Case 중 어느 하나를 예시로 도시한 것이다.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는 창틀(91)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와 창틀(91) 사이에는 프레임어셈블리(50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케이스(10)를 창틀(9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창틀(91)은 상측으로 돌출된 로어레일(91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창틀(91)의 내측 공간(94, 95)(도 1참조)을 향해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창틀(9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돌출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창틀(91)의 내측 공간(94, 95)(도 1참조)을 향해 측방(Lateral side)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로어레일(9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로어레일(9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가스켓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로어레일(911)은 실내로부터 실외를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가스켓결합부(912)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는 실내로부터 실외를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복수의 로어레일(9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1)은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1)은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제2 사이드프레임(512) 중 어느 하나는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가스켓결합부(912)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 내측홈(511a)과 제1 외측홈(511b) 중 어느 하나는,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측홈(511a)과 제1 외측홈(511b)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제1 내측홈(511a)과 가스켓결합부(912) 사이에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가스켓(580)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창틀가스켓(580)은 사이드프레임(511)과 창틀(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은 사이드프레임(511)과 창틀(91) 사이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은 사이드프레임(511) 및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은 사이드프레임(511)과 가스켓결합부(912)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은 지지부(58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81)는 창틀(91)과 사이드프레임(5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581)는 창틀(91) 및 사이드프레임(511)과 접촉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은 프레임삽입부(58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582)는 지지부(581)로부터 사이드프레임(51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582)는 제1 내측홈(511a) 또는 제1 외측홈(511b)에 삽입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은 제1 연장부(5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583)는 지지부(581)로부터 창틀(9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583)는 가스켓결합부(91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은 제2 연장부(5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부(584)는 지지부(581)로부터 창틀(9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584)는 가스켓결합부(91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스켓결합부(912)는 제1 연장부(583)와 제2 연장부(58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창틀가스켓(580)은 삽입부(58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585)는 제1 연장부(583)와 제2 연장부(58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스켓결합부(912)는 삽입부(585)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6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수평방향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6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설치되는 복수의 Case 중 어느 하나를 예시로 도시한 것이다.
창문(92)은 창틀(9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창틀(91)에 형성된 로어레일(911)을 따라 창문이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창틀(91)에 형성된 로어레일(911)의 연장 방향 또는 로어레일(911)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케이스(10)의 실내측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형성된 일면에서 실외흡입구(16)와 실외토출구(17)가 형성된 타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2)은 케이스(10)와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2)은 케이스(10)를 창문(9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케이스(10)와 창문(92) 사이에 제2 사이드프레임(512)이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케이스(10)와 창문(92) 사이에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내측홈(512a)과 제2 외측홈(512b) 중 어느 하나는, 창문(92)과 결합될 수 있다.
도 6는 제2 내측홈(512a)과 창문(92) 사이에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가스켓(590)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창문가스켓(590)은 사이드프레임(512)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은 사이드프레임(512)과 창문(92) 사이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은 사이드프레임(512) 및 창문(92)과 결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은 사이드프레임(512)과 창문(92)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은 지지부(59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591)는 창문(92)과 사이드프레임(5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591)는 창문(92) 및 사이드프레임(512)과 접촉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은 프레임삽입부(59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592)는 프레임접촉부(592)로 칭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592)는 지지부(591)로부터 사이드프레임(51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592)는 제2 내측홈(512a) 또는 제2 외측홈(512b)에 삽입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은 창문삽입부(593)를 포함할 수 있다. 창문삽입부(593)는 지지부(591)로부터 창문(9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창문삽입부(593)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삽입부(593)는 내부에 형성된 삽입 중공부(5930)를 포함할 수 있다.
창문(92)은 사이드돌출부(912)가 삽입되는 창문홈(921)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92)은 창문홈(921)을 형성하는 내벽(9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92)은 창문홈(921)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벽(922a)과 제2 내벽(922b), 및 제1 내벽(922a)과 제2 내벽(922b)을 연결하는 제3 내벽(922c)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홈(921)의 깊이 방향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에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내벽(922a)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벽(922b)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벽(922a)과 제2 내벽(922b)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벽(922a)은 제2 내벽(922b)으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이격될 수 있다. 제2 내벽(922b)은 제1 내벽(922a)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이격될 수 있다. 제3 내벽(922c)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내벽(922c)은 제1 내벽(922a)의 연장 방향 및/또는 제2 내벽(922b)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내벽(922c)은 제1 내벽(922a)의 연장 방향과 제2 내벽(922b)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창문(92)은 사이드 프레임(512)을 마주하는 외벽(923)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923)은 창문(92)이 닫힐 때 창틀(91)에 접촉하는 일면일 수 있다. 외벽(92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923)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923)은 제3 내벽(922c)과 나란할 수 있다. 외벽(923)은 제3 내벽(922c)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923)은 제3 내벽(922c)으로부터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외벽(923)은 제1 내벽(922a) 및/또는 제2 내벽(922b)과 연결될 수 있다.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창문(92)이 닫힐 때, 사이드돌출부(912)는 창문홈(921)에 삽입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의 창문삽입부(593)는 창문홈(921)에 삽입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은 지지리브(59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594)는 창문삽입부(593)로부터 창문(9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지지리브(594)는 창문홈(92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리브(594)는 창문(92)에 압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연장프레임(5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프레임(521)은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고, 제1 연장프레임(521)과 창틀(91) 사이에는 창틀가스켓(5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창틀가스켓(580)은 제1 내측연장홈(521a) 또는 제1 외측연장홈(521b)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프레임(522)은 창문(92)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장프레임(520)과 창문(92) 사이에는 창문가스켓(59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창문가스켓(590)은 제2 내측연장홈(522a) 또는 제2 외측연장홈(522b)에 삽입될 수 있고, 창문홈(92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7은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상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어퍼프레임(530) 및 어퍼서포터(540)의 단면도이다.
어퍼프레임(530)은 연장프레임(5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은 어퍼플레이트(531)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플레이트(531)는 연장프레임(5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플레이트(531)는 연장프레임(520)과 결합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은 어퍼돌출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돌출부(532)는 어퍼플레이트(5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돌출부(532)는 어퍼서포터(540)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은 어퍼결합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결합부재(533)는 볼트일 수 있다. 어퍼결합부재(533)는 어퍼프레임(530)과 연장프레임(52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어퍼결합부재(533)는 어퍼플레이트(531)와 연장프레임(520)을 관통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과 결합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에 탈착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바디(541)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바디(541)는 어퍼프레임(53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결합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결합부(542)는 어퍼바디(54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결합부(542)는 어퍼프레임(530)의 어퍼돌출부(532)에 고정될 수 있다. 어퍼결합부(542)는 어퍼프레임(530)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어퍼결합부(542)와 어퍼돌출부(532)는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어퍼돌출부(532)는 어퍼플레이트(531)의 상측에 이격될 수 있다. 어퍼결합부(542)는, 어퍼플레이트(531)와 어퍼돌출부(5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어퍼결합부(542)는 어퍼레일(913)(도 17참조)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어퍼결합부(542)는, 어퍼프레임(530)의 일측단에서 어퍼플레이트(531)와 어퍼돌출부(5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된 이후, 어퍼프레임(53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어퍼플레이트(531)와 어퍼돌출부(53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클램퍼(54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퍼(543)는 어퍼바디(54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클램핑부재(544)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부재(544)는 볼트일 수 있다. 클램핑부재(544)는 어퍼바디(541)와 클램퍼(543)를 관통할 수 있다. 클램핑부재(544)는 클램퍼(54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방진제(545)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방진제(545)는 고무일 수 있다. 어퍼방진제(545)는 어퍼바디(54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방진제(545)는 서로 마주보도록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레일삽입부(546)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레일삽입부(546)는 어퍼바디(541)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창틀(91)의 어퍼레일(913)(도 9참조)은 어퍼레일삽입부(546)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8은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어퍼서포터(540)의 클램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일 수 있다.
클램퍼(543)는 클램핑부재(544)가 삽입되는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미도시)에는, 클램핑부재(544)가 체결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클램핑부재(544)는 상기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산(미도시)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클램핑부재(544)가 상기 나사산(미도시)을 따라 회전됨으로 인해, 클램퍼(543)는 클램핑부재(544)의 회전방향에 따라 클램핑부재(544)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부재(544)가 제1 방향(P)으로 회전될 때, 클램퍼(543)는 클램핑부재(544)와 가까워지는 방향(Q)으로 이동될 수 있다. 클램퍼(543)가 클램핑부재(544)와 가까워지는 방향(Q)으로 이동되면, 어퍼바디(541)의 폭(W)이 작아지고, 양 측에 배치된 어퍼방진제(545)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어퍼바디(541)의 내측에 삽입된 어퍼레일(913)(도 9참조)은 어퍼레일삽입부(546) 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부재(544)가 제1 방향(P)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클램퍼(543)는 클램핑부재(54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클램퍼(543)가 클램핑부재(54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어퍼바디(541)의 폭(W)이 커지고, 양 측에 배치된 어퍼방진제(54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이에, 어퍼바디(541)의 내측에 삽입된 어퍼레일(913)(도 9참조)에 가해지는 힘이 작아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9는 창틀(91)에 설치된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상부의 단면도일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은 연장프레임(520)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에 탈착될 수 있다.
창틀(91)은 하측으로 돌출된 어퍼레일(913)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레일(913)은 창틀(91)의 내측 공간(94, 95)(도 1참조)을 향해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레일(913)은 실내공간으로부터 실외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레일(913)과 결합될 수 있다. 어퍼레일(913)은 어퍼서포터(540)의 어퍼레일삽입부(546)(도 9참조)로 삽입될 수 있다.
어퍼레일(913)이 어퍼바디(541)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핑부재(544)를 회전시킬 시, 클램퍼(543)는 클램핑부재(544)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어퍼바디(541)의 양 측에 배치된 어퍼방진제(545) 사이의 폭(W)은 작아지고, 어퍼방진제(545)와 어퍼바디(541)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어퍼방진제(545) 사이공간으로 삽입된 어퍼레일(913)은 어퍼방진제(545)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10은 프레임어셈블리(500)의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로어프레임(56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0)은 로어프레임(560)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로어플레이트(561)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561)는 사이드프레임(5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561)는 사이드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로어돌출부(56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돌출부(562)는 로어플레이트(56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돌출부(562)는 로어서포터(570)와 결합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로어결합부재(563)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사이드프레임(510)과 로어프레임(560)을 연결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로어플레이트(561)와 사이드프레임(510)을 관통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볼트일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프레임(560)과 결합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프레임(5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프레임(560)에 탈착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바디(571)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바디(571)는 로어프레임(560)의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결합부(57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결합부(572)는 로어바디(571)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결합부(572)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로어돌출부(562)는 로어결합부(572)의 내측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사이드프레임(510), 로어플레이트(561) 및 로어결합부(572)를 관통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제1 서포터벽(5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터벽(573)은 로어바디(57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제2 서포터벽(5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포터벽(574)은 로어바디(57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서포터벽(573)과 제2 서포터벽(574)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방진제(57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방진제(575)는 고무일 수 있다. 로어방진제(575)는 로어바디(57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방진제(575)는 로어바디(571) 및 제1 서포터벽(573)에 고정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마찰부재(576)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576)는 모헤어일 수 있다. 마찰부재(576)는 로어바디(57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찰부재(576)는 로어바디(571) 및 제2 서포터벽(574)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찰부재(576)는 로어방진제(575)와 마주할 수 있다. 마찰부재(576)는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틀(91) 간의 마찰계수를 줄일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레일삽입부(577)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레일삽입부(577)는 제1 서포터벽(573)과 제2 서포터벽(57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레일(911)(도 11참조)은 로어레일삽입부(57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로어레일삽입부(577) 내로 삽입된 로어레일(911)은 로어방진제(575)와 마찰부재(576)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11은 창틀(91)과 결합된 프레임어셈블리(500)의 하부의 단면도이다.
로어프레임(56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결합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로어프레임(560)과 사이드프레임(510)을 관통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로어프레임(560)과 사이드프레임(5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프레임(560)과 결합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로어서포터(570)와 로어프레임(560)을 관통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로어서포터(570)와 로어프레임(56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프레임체결홀(561a)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체결홀(561a)은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프레임체결홀(561a)은 로어플레이트(561)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체결홀(561a)은 복수의 로어레일(911)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프레임체결홀(561a)을 관통하여, 로어프레임(560)과 사이드프레임(5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서포터체결홀(572a)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터체결홀(572a)은 상하로 개구될 수 있다. 서포터체결홀(572a)은 로어결합부(572)에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체결홀(572a)은 복수의 로어레일(911)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체결홀(572a)은 프레임체결홀(561a)과 상하로 대응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프레임체결홀(561a)과 서포터체결홀(572a)을 관통하여, 로어프레임(560)과 로어서포터(57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창틀(91)의 로어레일(911)은 로어서포터(570)와 결합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로어바디(57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로어방진제(575)와 마찰부재(576)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로어방진제(575)와 마찰부재(576)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1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배수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로어프레임(56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 및 제2 사이드프레임(5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제2 사이드프레임(51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제2 사이드프레임(51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제2 사이드프레임(512) 사이에서 로어프레임(56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배수홀(578)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홀(578)은 프레임어셈블리(5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578)은 방수부재(519)보다 실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수홀(578)은 로어프레임(560)에 하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578)은 로어프레임(560)과 로어서포터(5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578)은 로어프레임(560)으로부터 로어서포터(570)를 향해 하측으로 개구될 수 있다.
로어바디(571)는 로어플레이트(561)의 하측에 이격될 수 있다. 배수홀(578)은 로어플레이트(561)와 로어바디(57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돌출부(562)는 실외측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로어돌출부(562)는 배수홀(578)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동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의 하부로 낙하한 물은, 배수홀(578)을 통해 실외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배수홀(578)보다 실내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프레임어셈블리(500)의 하부로 낙하한 물이 실내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13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배수구조를 설명하는 도이다.
로어프레임(560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 및 제2 사이드프레임(5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제2 사이드프레임(51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제2 사이드프레임(51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방수부재(519)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제2 사이드프레임(512) 사이에서 로어프레임(5600)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0)은 배수홀(568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홀(5680)은 로어프레임(56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5680)은 방수부재(519)보다 실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수홀(5680)은 로어프레임(5600)에서 실외측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배수홀(5680)은 로어서포터(570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수홀(5680)은 로어플레이트(561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0)은 로어플레이트(561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플레이트(5610)는 사이드프레임(511, 512)와 결합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0)은 리브(56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5620)는 로어플레이트(56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브(5620)는 로어플레이트(5610)의 실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배수홀(5680)은 리브(5620)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5680)은 리브(5620)에 실외측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0)는 로어체결부재(5630)를 통해 로어플레이트(5610)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0)와 로어플레이트(5610)는 밀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배수구조는 도 12의 제1 실시예와 도 13의 제2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14는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미들프레임(550)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미들프레임(550)은 사이드프레임(5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미들프레임(55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를 설명한다.
도 15는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와 프레임어셈블리(500)가 결합되는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케이스(10)의 상부는 미들프레임(550)에 대응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고정부재(55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베이스프레임(551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5511)은 미들프레임(55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5511)은 미들프레임(550)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고정리브(55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리브(5512)는 베이스프레임(55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고정홀(551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5513)은 고정리브(5512)에 개구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홀더(551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5514)는 베이스프레임(551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후크(5515)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5515)는 홀더(5514)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제1 지지막대(55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막대(5516)는 미들프레임(55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지지막대(5516)는 고정리브(5512)와 마주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제1 스프링(55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프링(5517)은 제1 지지막대(5516)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스프링(5517)은 미들프레임(550)의 상측에서 압착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제2 지지막대(55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막대(5518)는 미들프레임(55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지지막대(5518)는 홀더(5514)와 마주할 수 있다.
고정부재(551)는 제2 스프링(5519)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프링(5519)은 제2 지지막대(5518)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스프링(5519)은 미들프레임(550)의 상측에서 압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는 어퍼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패널(110)은 공기조화기(1)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케이스고정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고정부(111)는 어퍼패널(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스고정부(111)는 고정리브(5512)와 마주할 수 있다.
케이스고정부(111)는 고정리브(5512)를 향해 개구된 체결홀(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고정부(111)는 체결홀(111a)과 고정홀(5513)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부재(551)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후크삽입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삽입홈(112)은 어퍼패널(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고정부재(551)의 후크(5515)는 후크삽입홈(112) 내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후크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지지부(113)는 후크삽입홈(112)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고정부재(551)의 후크(5515)는 후크지지부(113)에 걸림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는, 고정부재(551)가 케이스고정부(111) 및 후크삽입홈(112)과 결합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설치를 설명한다.
도 16은 창문어셈블리(9)에 공기조화기(1)가 설치되는 다양한 Case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창틀(91)은 복수개의 로어레일(9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로어레일(911)은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로어레일(911)은 실내측에 인접한 순으로, 제1~4로어레일(911a, 911b, 911c, 911d)로 구분될 수 있다.
창틀(91)은 복수개의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는 복수의 로어레일(911a, 911b, 911c, 911d)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창틀(91)은 복수개의 어퍼레일(913)(도 9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어퍼레일(913)은 복수의 로어레일(911a, 911b, 911c, 911d)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 도 16,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에 탈착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의 서로 다른 부위에 탈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퍼서포터(540)가 어퍼프레임(53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공기조화기(1)를 창문어셈블리(9)의 다양한 위치(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Case 1~4)에 설치할 수 있다.
도 9, 도 16,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로어서포터(570)는 로어프레임(560)에 탈착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프레임(560)의 서로 다른 부위에 탈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어서포터(570)가 로어프레임(56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공기조화기(1)를 창문어셈블리(9)의 다양한 위치(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Case 1~4)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Case1은, 공기조화기(1)가 제1 공간(94)(도 1참조)의 실외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이다. Case1에서,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3 로어레일(911c) 및 제4 로어레일(911d)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3 로어레일(911c) 및 제3 어퍼레일(913c)(도 17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Case1에서, 어퍼서포터(540)는 제3 어퍼레일(913c)(도 17참조)과 결합될 수 있고, 로어서포터(570)는 제3 로어레일(911c)과 결합될 수 있다. Case1에서, 제1 내측홈(511a)(도 4참조) 및 제1 내측연장홈(521a)(도 4참조)은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와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 사이에는 창틀가스켓(580,680)이 배치될 수 있다. Case1에서, 제2 내측홈(512a)(도 4참조) 및 제2 내측연장홈(522a)(도 4참조)은 창문(92)(도 1참조)과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문(92)(도 1참조) 사이에는 창문가스켓(590,69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Case2은, 공기조화기(1)가 제2 공간(95)(도 1참조)의 실외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이다. Case2에서,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3 로어레일(911c) 및 제4 로어레일(911d)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4 로어레일(911d) 및 제4 어퍼레일(913d)(도 18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Case2에서, 어퍼서포터(540)는 제4 어퍼레일(913d)(도 18참조)과 결합될 수 있고, 로어서포터(570)는 제4 로어레일(911d)과 결합될 수 있다. Case2에서, 제1 외측홈(511b)(도 4참조) 및 제1 외측연장홈(521b)(도 4참조)은 창문(92)(도 1참조)과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문(92)(도 1참조) 사이에는 창문가스켓(590,690)이 배치될 수 있다. Case2에서, 제2 외측홈(512b)(도 4참조) 및 제2 외측연장홈(522b)(도 4참조)은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와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 사이에는 창틀가스켓(580,68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Case3은, 공기조화기(1)가 제1 공간(94)(도 1참조)의 실내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이다. Case3에서,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1 로어레일(911a) 및 제2 로어레일(911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로어레일(911a) 및 제2 어퍼레일(913a)(도 17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Case3에서, 어퍼서포터(540)는 제1 어퍼레일(913a)(도 17참조)과 결합될 수 있고, 로어서포터(570)는 제1 로어레일(911a)과 결합될 수 있다. Case3에서, 제1 내측홈(511a)(도 4참조) 및 제1 내측연장홈(521a)(도 4참조)은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와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 사이에는 창틀가스켓(580,680)이 배치될 수 있다. Case3에서, 제2 내측홈(512a)(도 4참조) 및 제2 내측연장홈(522a)(도 4참조)은 창문(92)(도 1참조)과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문(92)(도 1참조) 사이에는 창문가스켓(590,69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Case4은, 공기조화기(1)가 제2 공간(95)(도 1참조)의 실내측에 인접하게 설치된 것이다. Case4에서,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1 로어레일(911a) 및 제2 로어레일(911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로어레일(911b) 및 제2 어퍼레일(913b)(도 18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Case4에서, 어퍼서포터(540)는 제2 어퍼레일(913b)(도 18참조)과 결합될 수 있고, 로어서포터(570)는 제2 로어레일(911b)과 결합될 수 있다. Case4에서, 제1 외측홈(511b)(도 4참조) 및 제1 외측연장홈(521b)(도 4참조)은 창문(92)(도 1참조)과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문(92)(도 1참조) 사이에는 창문가스켓(590,690)이 배치될 수 있다. Case4에서, 제2 외측홈(512b)(도 4참조) 및 제2 외측연장홈(522b)(도 4참조)은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와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가스켓결합부(912)(도 1참조) 사이에는 창틀가스켓(580,6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와 프레임어셈블리(500)가 제1 공간(94)과 제2 공간(95) 모두에 설치가능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를 제1 공간(94)과 제2 공간(95) 중 어느 하나에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어셈블리(500)가 제1~4레일(911a, 911b, 911c, 911d, 913a, 913b, 913c, 913d) 모두에 설치가능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가 창문어셈블리(9)로부터 실내를 향해 돌출된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설치를 설명한다.
도 17은 공기조화기(1)가 도 16의 Case1과 같이 설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7의 (a)는 단면도의 상부이고, 도 17의 (b)는 단면도의 하부이다.
어퍼레일(913)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어퍼레일(913)은 실내측에 인접한 순서로, 제1~4어퍼레일(913a, 913b, 913c, 913d)로 구분될 수 있다.
가스켓결합부(912)는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는 실내측에 인접한 순서로, 제1~4가스켓결합부(912a, 912b, 912c, 912d)로 구분될 수 있다.
Case1의 경우,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1 공간(94)(도 1참조) 내의 실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어퍼서포터(540)는 제3 어퍼레일(913c)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어퍼프레임(530)(도 9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도 9참조)의 어퍼돌출부(532)(도 7참조)는 복수의 어퍼레일(913)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결합부재(533)에 의해 복수의 어퍼돌출부(53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와 프레임어셈블리(5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어퍼서포터(540)가 어퍼프레임(530)에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se1과 같이 공기조화기(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내측에 인접하게 위치한 어퍼돌출부(532)(도 7참조)에 어퍼서포터(540)를 결합시키고, 어퍼서포터(540)를 제3 어퍼레일(913c)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내측홈(511a)(도 4참조) 및 제1 내측연장홈(521a)을 제3 가스켓결합부(912c)에 결합시키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제3 가스켓결합부(912c) 사이에 창틀가스켓(580,680)(도 16참조)을 배치할 수 있다.
Case1의 경우,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1 공간(94)(도 1참조) 내의 실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로어서포터(570)는 제3 로어레일(911c)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로어프레임(560)(도 11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도 11참조)의 로어결합부재(563)(도 11참조)가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은, 복수의 로어레일(911)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결합부재(563)에 의해 복수의 상기 관통홀(미도시)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1)와 프레임어셈블리(50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로어서포터(570)가 로어프레임(560)에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se1과 같이 공기조화기(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내측에 인접한 위치에 로어결합부재(563)를 관통시켜 로어프레임(560)과 로어서포터(570)를 결합시키고, 로어서포터(570)를 제3 로어레일(911c)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내측홈(512a)(도 4참조) 및 제2 내측연장홈(522a)을 제3 창문(92c)(도 18참조)에 결합시키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제3 창문(92c) 사이에 창문가스켓(590,690)(도 16참조)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설치를 설명한다.
도 18은 공기조화기(1)가 도 16의 Case2과 같이 설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8의 (a)는 단면도의 상부이고, 도 18의 (b)는 단면도의 하부이다.
창문(92)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창문(92)은 복수의 레일(911a, 911b, 911c, 911d, 913a, 913b, 913c, 913d)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창문(92) 각각은 복수의 어퍼레일(913) 및 복수의 로어레일(9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창문(92)는 실내측에 인접한 순서로, 제1~4창문(92a, 92b, 92c, 92d)로 구분될 수 있다.
Case2의 경우,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2 공간(95)(도 1참조) 내의 실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어퍼서포터(540)는 제4 어퍼레일(913d)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어퍼프레임(530)(도 9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Case2과 같이 공기조화기(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외측에 인접하게 위치한 어퍼돌출부(532)(도 7참조)에 어퍼서포터(540)를 결합시키고, 어퍼서포터(540)를 제4 어퍼레일(913d)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외측홈(512b)(도 4참조) 및 제2 외측연장홈(522b)을 제4 가스켓결합부(912d)(도 17참조)에 결합시키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제4 가스켓결합부(912d) 사이에 창틀가스켓(580,680)(도 16참조)을 배치할 수 있다.
Case2의 경우,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2 공간(95)(도 1참조) 내의 실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로어서포터(570)는 제4 로어레일(911d)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로어프레임(560)(도 11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Case2과 같이 공기조화기(1)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실외측에 인접한 위치에 로어결합부재(563)(도 11참조)를 관통시켜 로어프레임(560)(도 11참조)과 로어서포터(570)를 결합시키고, 로어서포터(570)를 제4 로어레일(911d)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외측홈(511b)(도 4참조) 및 제1 외측연장홈(521b)을 제4 창문(92d)에 결합시키고,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제4 창문(92d) 사이에 창문가스켓(590,690)(도 16참조)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몇 가지의 설치형태의 예시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설치위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제1 공간(94)과 제2 공간(95) 모두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레일(911a, 911b, 911c, 911d, 913a, 913b, 913c, 913d),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a, 912b, 912c, 912d) 및 복수의 창문(92a, 92b, 92c, 92d) 모두에 결합될 수 있어, 공기조화기(1)가 설치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공기조화기(1) 및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사이드프레임(510)과 연장프레임(520)의 홈 구조 및 서포터(540, 570)의 탈착구조로 인하여, 공기조화기(1)가 창문어셈블리(9)에 설치되는 위치를 다양화할 수 있다. 이에, 공기조화기(1)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1)가 실내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설치를 설명한다.
어퍼프레임(530)은 어퍼서포터(540)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위를 가질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어퍼프레임(530)의 상기 복수의 결합부위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퍼서포터(540)가 어퍼프레임(53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어퍼서포터(540)가 어퍼프레임(53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공기조화기(1)가 실내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어퍼프레임(530)은 복수의 어퍼돌출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복수의 어퍼돌출부(53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돌출부(532)는 제1 어퍼돌출부(532a) 및 제2 어퍼돌출부(53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어퍼돌출부(532)의 개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어퍼돌출부(532a)와 제2 어퍼돌출부(532b)는 복수의 어퍼레일(913)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어퍼돌출부(532a)와 제2 어퍼돌출부(532b) 각각은, 복수의 어퍼레일(913)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제1 어퍼돌출부(532a) 또는 제2 어퍼돌출부(532b)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어퍼서포터(540)는 제1 어퍼돌출부(532a)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어퍼서포터(540)는 제2 어퍼돌출부(532b)와 결합될 수 있다.
어퍼서포터(540)는 복수의 어퍼레일(913a, 913b, 913c, 913d)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어퍼서포터(540)가 어퍼프레임(530)과 결합되는 위치 및 어퍼서포터(540)가 어퍼레일(913)과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설치위치 및 공기조화기(1)가 실내공간으로 돌출된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어퍼서포터(540)를 제1 돌출부(532a)와 제2 어퍼레일(913b)에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와 공기조화기(1)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어퍼서포터(540)를 제2 돌출부(532b)와 제3 어퍼레일(913c)에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와 공기조화기(1)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로어서포터(570)와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위를 가질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로어프레임(560)의 상기 복수의 결합부위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어서포터(570)가 로어프레임(56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로어서포터(570)가 로어프레임(56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공기조화기(1)가 실내공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로어프레임(560)은 복수의 프레임체결홀(561a)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복수의 프레임체결홀(561a)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의 서포터체결홀(572a)은 복수의 프레임체결홀(561a)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될 수 있다. 로어결합부재(563)는 복수의 프레임체결홀(561a) 중 어느 하나와 서포터체결홀(572a)을 관통하여, 로어프레임(560)과 로어서포터(57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프레임체결홀(561a)은 제1 프레임체결홀(561a1) 및 제2 프레임체결홀(561a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체결홀(561a)의 개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프레임체결홀(561a1)과 제2 프레임체결홀(561a2)은 복수의 로어레일(911)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체결홀(561a1)과 제2 프레임체결홀(561a2) 각각은, 복수의 로어레일(911)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대응되게 위치할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제1 프레임체결홀(561a1) 또는 제2 프레임체결홀(561a2)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로어결합부재(563)는 로어서포터(540)와 제1 프레임체결홀(561a1)을 관통하여, 로어서포터(540)를 제1 프레임체결홀(561a1)의 하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로어결합부재(563)는 로어서포터(540)와 제2 프레임체결홀(561a2)을 관통하여, 로어서포터(540)를 제2 프레임체결홀(561a2)의 하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로어서포터(570)는 복수의 로어레일(911a, 911b, 911c, 911d)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어서포터(570)가 로어프레임(560)과 결합되는 위치 및 로어서포터(570)가 로어레일(911)과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설치위치 및 공기조화기(1)가 실내공간으로 돌출된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로어서포터(570)를 제1 프레임체결홀(561a1)과 제2 로어레일(911b)에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와 공기조화기(1)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는, 로어서포터(570)를 제2 프레임체결홀(561a2)과 제3 로어레일(911c)에 결합시킴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와 공기조화기(1)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설치를 설명한다.
도 19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수평방향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설치되는 복수의 Case 중 어느 하나를 예시로 도시한 것이다.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는 창문어셈블리(9)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의 케이스(10)는 창틀(91)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창틀(91)과 창문(9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와 창틀(91) 사이에는 프레임어셈블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0)와 창문(91) 사이에는 프레임어셈블리(50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케이스(10)를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케이스(10)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프레임은 케이스(10)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은, 프레임어셈블리(500)에서 가스켓(580,590,680,690)이 제외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 어셈블리(500)는 프레임과 가스켓(580,590,680,69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은 케이스(10)를 창문어셈블리(9)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은 케이스(10)와 창문어셈블리(9)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창틀(91)은 상측으로 돌출된 로어레일(91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창틀(91)의 내측 공간(94, 95)(도 1참조)을 향해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창문(92)은 창틀(9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창틀(91)에 형성된 로어레일(911)을 따라 창문이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창틀(91)에 형성된 로어레일(911)의 연장 방향 또는 로어레일(911)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케이스(10)의 실내측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형성된 일면에서 실외흡입구(16)와 실외토출구(17)가 형성된 타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창틀(9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돌출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창틀(91)의 내측 공간(94, 95)(도 1참조)을 향해 측방(Lateral side)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로어레일(9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로어레일(9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가스켓결합부"로 이름될 수 있다.
로어레일(911)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로어레일(911)은 실내로부터 실외를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가스켓결합부(912)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는 실내로부터 실외를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복수의 로어레일(9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어셈블리(500)는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1)은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1)은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제2 사이드프레임(512) 중 어느 하나는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가스켓결합부(912)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1 내측홈(511a)과 제1 외측홈(511b) 중 어느 하나는,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측홈(511a)과 제1 외측홈(511b)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가스켓결합부(91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580,590,680,69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580,590,680,690)은 창틀(91)과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창틀가스켓(580,6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제1 내측홈(511a)과 가스켓결합부(912) 사이에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가스켓(680)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창틀가스켓(680)은 프레임과 창틀(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창틀(9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창틀(91) 사이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틀가스켓(68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과 창틀(91)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사이드프레임(510) 및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가스켓결합부(912)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틀가스켓(680)은 제1 사이드프레임(511)에 삽입되고, 사이드돌출부(912)는 상기 창틀가스켓(68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지지부(68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81)는 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681)는 창틀(91)과 사이드프레임(5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681)는 창틀(91) 및 사이드프레임(510)과 접촉될 수 있다. 창틀(91)과 사이드프레임(510)은 지지부(681)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지지부(681)는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681)는 창문(92)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681)는 복수의 사이드돌출부(912)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681)는 창틀(91)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지지중공부(68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중공부(6810)는 지지부(68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중공부(6810)는 지지부(68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중공부(6810)는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지지중공부(6810)는 창문(92)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중공부(6810)는 복수의 사이드돌출부(912)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중공부(681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압축성 있는 지지중공부(681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충격 완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프레임삽입부(68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82)는 프레임접촉부(682)로 칭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82)는 지지부(681)로부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82)는 지지부(681)로부터 사이드프레임(51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삽입부(682)는 지지부(681)의 중심부로부터 제1 사이드프레임(51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82)는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삽입부(682)는 제1 내측홈(511a) 또는 제1 외측홈(511b)에 삽입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제1 삽입중공부(6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820)는 프레임삽입부(68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820)는 지지중공부(6810)로부터 사이드프레임(5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820)는 프레임삽입부(682)가 연장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82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820)는 공기조화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창문어셈블리(9)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프레임삽입부(682)로부터 연장된 연장리브(68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리브(683)는 프레임삽입부(682)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리브(683)는 프레임의 홈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은 홈(511a,511b)을 형성하는 둘레벽(5112a,5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은 제1 외측홈(511b)을 형성하는 제1 외측 둘레벽(5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511)은 제1 내측홈(511a)을 형성하는 제1 내측 둘레벽(5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프레임(511)은 제1 내측홈(511a)을 형성하는 제1 내측 둘레벽(5112a)을 포함하고, 연장리브(683)는 상기 제1 내측 둘레벽(5112a)에 밀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제1 연장리브(68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리브(683a)는 프레임삽입부(682)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리브(683a)는 프레임삽입부(682)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리브(683a)는 프레임삽입부(682)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리브(683a)는 프레임삽입부(682)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리브(683a)는 제1 내측 둘레벽(5112a) 또는 제1 외측 둘레벽(5112b)에 밀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제2 연장리브(68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리브(683b)는 프레임삽입부(682)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면은 제1 연장리브(683a)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될 수 있다. 제2 연장리브(683b)는 프레임삽입부(682)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리브(683b)는 프레임삽입부(682)로부터 실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리브(683b)는 프레임삽입부(682)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리브(683b)는 제1 내측 둘레벽(5112a) 또는 제1 외측 둘레벽(5112b)에 밀착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커버(68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684)는 연신부(684)로 칭할 수 있다. 커버(684)는 지지부(68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커버(684)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684)는 사이드돌출부(912)를 감쌀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지지부(68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 커버(68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684a)는 제1 연신부(684a)로 칭할 수 있다. 커버(684)는 제1 커버(68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684a)는 창틀가스켓(680)이 적용된 사이드돌출부(912)를 기준으로, 실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틀가스켓(680)이 있어서, 제1 커버(684a)는 실외측에 인접한 지지부(681)의 일단으로부터 제1 사이드프레임(5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커버(684a)는 실외측을 마주하는 사이드돌출부(511)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커버(684a)로 인해,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틀(91)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커버(684a)로 인해,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지지부(68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커버(6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684b)는 제2 연신부(684b)로 칭할 수 있다. 커버(684)는 제2 커버(6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버(684b)는 창틀가스켓(680)이 적용된 사이드돌출부(912)를 기준으로, 실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틀가스켓(680)이 있어서, 제2 커버(684b)는 실내측에 인접한 지지부(681)의 일단으로부터 제1 사이드프레임(5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커버(684b)는 실내측을 마주하는 사이드돌출부(511)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커버(684b)로 인해, 프레임어셈블리(500)와 창틀(91) 사이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커버(684b)로 인해,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684)는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드돌출부(912)에 가까워지게 벤딩될 수 있다. 커버(684)와 사이드돌출부(912) 사이의 이격된 간격은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684a)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실내측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또, 제2 커버(684b)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실외측을 향하여 벤딩될 수 있다. 제1 커버(648a)와 제2 커버(684b)는 사이드돌출부(912)를 각각 실외측과 실내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커버(684)의 두께는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커버(684)의 일단은 지지부(681)에 연결되고, 커버(681)의 타단은 사이드돌출부(912)에 접촉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커버중공부(68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중공부(6840)는 커버(684)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중공부(6840)는 커버(684)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커버중공부(6840)는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커버중공부(6840)의 폭은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감소할 수 있다. 커버중공부(684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684) 사이에는 창틀삽입부(687)가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돌출부(912)는 창틀삽입부(687)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버(684a)와 제2 커버(684b) 사이에는 사이드돌출부(912)가 위치하는 공간인 창틀삽입부(687)가 형성될 수 있다. 창틀삽입부(687)의 폭은 지지부(681)로부터 멀어지면서 작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커버(684a)와 제2 커버(684b) 사이의 이격된 간격은 지지부(681)로부터 멀어지면서 작아질 수 있다. 창틀삽입부(687)는 제1 커버(684a), 제2 커버(684b), 및 창틀접촉부(688)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프레임접촉부(682)는 지지부(681)의 일면에 형성되고, 창틀접촉부는(688) 사이드돌출부(912)가 접촉하는 지지부(681)의 타면일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삽입가이드(68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가이드(685)는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사이드돌출부(912)로부터 이격되도록 커버(684)의 연장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삽입가이드(685)는 사이드돌출부(912)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제1 삽입가이드(68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가이드(685a)는 제1 커버(684a)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가이드(685a)는 제1 커버(684a)로부터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가이드(685a)는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사이드돌출부(912)로부터 점차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삽입가이드(685a)와 사이드돌출부(912)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가이드(685a)는 제1 커버(684a)의 일단으로부터 제1 사이드프레임(511)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실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제2 삽입가이드(68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가이드(685b)는 제2 커버(684b)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삽입가이드(685b)는 제2 커버(684b)로부터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삽입가이드(685b)는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사이드돌출부(912)로부터 점차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삽입가이드(685b)와 사이드돌출부(912)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삽입가이드(685b)는 제2 커버(684b)의 일단으로부터 제1 사이드프레임(510)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실내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은 창틀접촉부(686)를 포함할 수 있다. 창틀접촉부(686)는 커버(684)와 삽입가이드(68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창틀접촉부(686)는 커버(684)의 연장단일 수 있다. 창틀접촉부(686)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창틀접촉부(686)는 사이드돌출부(912)에 접촉할 수 있다.
창틀접촉부(686)는 제1 창틀접촉부(68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창틀접촉부(686a)는 제1 커버(684a)와 제1 삽입가이드(685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창틀접촉부(686a)는 제1 커버(684a)의 연장단일 수 있다. 제1 창틀접촉부(686a)는 실외측을 마주하는 사이드돌출부(912)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창틀접촉부(686)는 제2 창틀접촉부(68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창틀접촉부(686b)는 제2 커버(684b)와 제2 삽입가이드(685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창틀접촉부(686b)는 제2 커버(684b)의 연장단일 수 있다. 제2 창틀접촉부(686b)는 실외측을 마주하는 사이드돌출부(912)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여, 창틀가스켓(680)을 설명한다.
도 21은 창틀가스켓(680)의 배치에 따른 형태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창틀(91)의 사이드돌출부(912)는 창틀삽입부(687)에 위치할 수 있다. 창틀가스켓(680)의 창틀접촉부(686)는 사이드돌출부(912)를 가압할 수 있다. 창틀접촉부(686)가 가압되면, 제1 커버(684a)와 제2 커버(684b) 사이의 이격된 간격(G1)은 줄어들 수 있다. 다시 말해, 창틀접촉부(686)가 가압되면, 제1 창틀접촉부(686a)와 제2 창틀접촉부(686b) 사이의 이격된 간격(G1)은 줄어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커버(648a) 및 제2 커버(684b)가 사이드돌출부(912)에 가하는 압력은 높아질 수 있다. 또, 창틀가스켓(680)과 사이드돌출부(912) 사이의 접촉 면적은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창틀가스켓(680)의 밀폐력은 증가될 수 있다. 창틀접촉부(686)가 사이드돌출부(912)를 강하게 누를수록, 창틀가스켓(680)의 밀폐력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설치를 설명한다.
도 22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된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수평방향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2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1)가 설치되는 복수의 Case 중 어느 하나를 예시로 도시한 것이다.
창문(92)은 창틀(9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창틀(91)에 형성된 로어레일(911)을 따라 창문이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창틀(91)에 형성된 로어레일(911)의 연장 방향 또는 로어레일(911)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케이스(10)의 실내측 흡입구(11)와 토출구(12)가 형성된 일면에서 실외흡입구(16)와 실외토출구(17)가 형성된 타면으로 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92)의 이동 방향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2)은 케이스(10)와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512)은 케이스(10)를 창문(9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2은 케이스(10)와 창문(92) 사이에 제2 사이드프레임(512)이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케이스(10)와 창문(92) 사이에는 제1 사이드프레임(511)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2 내측홈(512a)과 제2 외측홈(512b) 중 어느 하나는, 창문(92)과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580,590,680,69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580,590,680,690)은 창문(92)과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가스켓(590,6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제2 내측홈(512a)과 창문(92) 사이에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문가스켓(690)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가스켓(580,590,680,690)은 프레임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가스켓(590,690)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사이드프레임(510)과 창문(92) 사이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가스켓(590,690)은 제2 사이드프레임(512)과 창문(92) 사이에 배치되어 사이공간을 실링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사이드프레임(512) 및 창문(92)과 결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590,690)은 사이드프레임(512)과 창문(92)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가스켓(690)은 제2 사이드프레임(512) 및 창문(92)의 창문홈(921)에 삽입될 수 있다.
창문(92)은 창문홈(921)을 형성하는 내벽(9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92)은 창문홈(921)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벽(922a)과 제2 내벽(922b), 및 제1 내벽(922a)과 제2 내벽(922b)을 연결하는 제3 내벽(922c)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홈(921)의 깊이 방향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에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내벽(922a)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벽(922b)은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벽(922a)과 제2 내벽(922b)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벽(922a)은 제2 내벽(922b)으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이격될 수 있다. 제2 내벽(922b)은 제1 내벽(922a)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이격될 수 있다. 제3 내벽(922c)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내벽(922c)은 제1 내벽(922a)의 연장 방향 및/또는 제2 내벽(922b)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내벽(922c)은 제1 내벽(922a)의 연장 방향과 제2 내벽(922b)의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창문(92)은 사이드 프레임(512)을 마주하는 외벽(923)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923)은 창문(92)이 닫힐 때 창틀(91)에 접촉하는 일면일 수 있다. 외벽(92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923)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923)은 제3 내벽(922c)과 나란할 수 있다. 외벽(923)은 제3 내벽(922c)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923)은 제3 내벽(922c)으로부터 창문(92)의 이동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외벽(923)은 제1 내벽(922a) 및/또는 제2 내벽(922b)과 연결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지지부(69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91)는 프레임과 창문어셈블리(9)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591)는 창문(92)과 사이드프레임(5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부(691)는 창문(92) 및 사이드프레임(512)과 접촉될 수 있다. 창문(92)과 사이드프레임(510)은 지지부(691)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지지부(691)는 창문(92)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691)는 복수의 사이드돌출부(912)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691)는 창문(92)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1 지지부(69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691a)는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2 지지부(69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691b)는 실외측으로부터 실내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지지중공부(69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중공부(6910)는 지지부(69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중공부(6910)는 지지부(69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중공부(6910)는 창문(92)이 이동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중공부(691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압축성 있는 지지중공부(691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충격 완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1 지지중공부(69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중공부(6910a)는 제1 지지부(691a)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중공부(6910a)는 제1 지지부(691a)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2 지지중공부(69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중공부(6910b)는 제2 지지부(691b)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중공부(6910b)는 제2 지지부(691b)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프레임삽입부(69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92)는 프레임접촉부(692)로 칭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92)는 지지부(691)로부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92)는 제1 지지부(691a)와 제2 지지부(69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92)는 제1 지지부(691a)와 제2 지지부(691b)를 이격시킬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92)는 지지부(691)로부터 사이드프레임(51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삽입부(692)는 지지부(691)로부터 제2 사이드프레임(511)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92)는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삽입부(692)는 제2 내측홈(512a) 또는 제2 외측홈(512b)에 삽입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프레임삽입부(69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중공부(6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920)는 사이드프레임(5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920)는 프레임삽입부(692)가 연장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920)는 지지중공부(6910)와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삽입중공부(6920)는 제1 지지중공부(6910a) 및 제2 지지중공부(6910b)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92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920)는 공기조화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창문어셈블리(9)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프레임삽입부(692)로부터 연장된 연장리브(69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리브(693)는 프레임삽입부(692)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리브(693)는 프레임의 홈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512)은 홈(512a,512b)을 형성하는 둘레벽(5122a,5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512)은 제2 외측홈(512b)을 형성하는 제2 외측 둘레벽(51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512)은 제2 내측홈(512a)을 형성하는 제2 내측 둘레벽(5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이드프레임(512)은 제2 내측홈(512a)을 형성하는 제2 내측 둘레벽(5122a)을 포함하고, 연장리브(693)는 상기 제2 내측 둘레벽(5122a)에 밀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1 연장리브(69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리브(693a)는 프레임삽입부(692)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리브(693a)는 프레임삽입부(692)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리브(693a)는 프레임삽입부(692)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리브(693a)는 제2 내측 둘레벽(5122a) 또는 제2 외측 둘레벽(5122b)에 밀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2 연장리브(69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장리브(693b)는 프레임삽입부(692)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면은 제1 연장리브(693a)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될 수 있다. 제2 연장리브(693b)는 프레임삽입부(692)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리브(693b)는 프레임삽입부(692)로부터 실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리브(693b)는 제2 내측 둘레벽(5122a) 또는 제2 외측 둘레벽(5122b)에 밀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창문삽입부(694)를 포함할 수 있다. 창문삽입부(694)는 지지부(691)로부터 창문(9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문삽입부(694)는 프레임삽입부(692)가 지지부(691)로부터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69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창문(92)은 사이드돌출부(912)가 삽입되는 창문홈(921)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92)은 로어레일(91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창문(92)이 닫힐 때, 사이드돌출부(912)는 창문홈(921)에 삽입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의 창문삽입부(694)는 창문홈(921)에 삽입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2 삽입중공부(69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중공부(6940)는 창문삽입부(694)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중공부(6940)는 창문(9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삽입중공부(6940)는 창문삽입부(694)가 연장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삽입중공부(6940)는 지지중공부(6910)와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삽입중공부(6940)는 제1 지지중공부(6910a) 및 제2 지지중공부(6910b)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제2 삽입중공부(6940)는 제1 삽입중공부(692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삽입중공부(6940)가 형성됨으로써, 프레임어셈블리(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삽입중공부(6940)는 공기조화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창문어셈블리(500)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돌출리브(695)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리브(695)는 창문삽입부(694)로부터 창문(9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리브(695)는 창문삽입부(694)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리브(695)는 창문홈(921)에 밀착될 수 있다. 돌출리브(695)는 창문홈(921)을 형성하는 둘레벽에 밀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1 돌출리브(69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리브(695a)는 창문삽입부(694)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리브(695a)는 창문삽입부(694)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리브(695a)는 창문삽입부(694)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돌출리브(695a)는 창문홈(921)을 형성하는 둘레벽에 밀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제2 돌출리브(69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리브(695b)는 창문삽입부(694)의 타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면은 제1 돌출리브(695a)가 형성된 일면과 대향될 수 있다. 제2 돌출리브(695b)는 창문삽입부(694)가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리브(695b)는 창문삽입부(694)로부터 실내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리브(695b)는 창문홈(921)을 형성하는 둘레벽에 밀착될 수 있다.
창문가스켓(690)은 코어벽(696)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벽(696)은 제1 삽입중공부(6920)와 제2 삽입중공부(69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어벽(696)은 제1 삽입중공부(6920)와 제2 삽입중공부(6940)를 구획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어벽(696)은 제1 삽입중공부(6920)와 제2 삽입중공부(6940)를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 제1 삽입중공부(6920)와 제2 삽입중공부(6940) 사이에 코어벽(696)에 형성됨으로써, 창문가스켓(690)의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연장프레임(5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프레임(521)은 가스켓결합부(912)와 결합될 수 있고, 제1 연장프레임(521)과 창틀(91) 사이에는 창틀가스켓(68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창틀가스켓(680)은 제1 내측연장홈(521a) 또는 제1 외측연장홈(521b)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프레임(522)은 창문(92)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연장프레임(520)과 창문(92) 사이에는 창문가스켓(69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창문가스켓(690)은 제2 내측연장홈(522a) 또는 제2 외측연장홈(522b)에 삽입될 수 있고, 창문홈(92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창문어셈블리에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상기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 및 기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켓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프레임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삽입부에 대응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삽입부는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켓은: 상기 프레임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켓은: 상기 프레임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홈을 형성하는 둘레벽에 밀착되는 연장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창문어셈블리는: 창틀; 및 창문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창틀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창틀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창틀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창틀과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창틀은: 상기 창문을 향해 돌출된 사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이드 돌출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제1 커버; 및 상기 지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돌출부가 위치하는 창틀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버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사이드 돌출부에 가까워지게 벤딩되어 접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사이드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커버의 연장단으로부터 연장된 삽입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커버와 상기 삽입 가이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사이드 돌출부에 접촉하는 창틀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가스켓은: 상기 창문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창문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창문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가스켓은, 상기 창문과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창틀은: 상기 창문을 향해 돌출된 사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문은: 상기 사이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창문홈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가스켓은: 상기 프레임삽입부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된 창문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문삽입부는 상기 창문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창문가스켓은: 상기 창문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삽입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창문가스켓은: 상기 창문삽입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창문홈을 형성하는 둘레벽에 밀착되는 돌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는: 공기조화기와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공기조화기와 상기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켓은: 실내측으로부터 실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본 개시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개시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공기조화기 10: 케이스
500: 프레임어셈블리 510: 사이드프레임
520: 연장프레임 530: 어퍼프레임
540: 어퍼서포터 550: 미들프레임
560: 로어프레임 570: 로어서포터
580: 창틀가스켓 590: 창문가스켓
9: 창문어셈블리 91: 창틀
911: 로어레일 912: 가스켓결합부
913: 어퍼레일 92: 창문

Claims (14)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창문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창틀 사이에 배치되는 창틀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창틀에 접촉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된 프레임접촉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가스켓이 상기 프레임과 상기 창틀에 접촉 시, 상기 지지부의 중공은 형태가 변형되는 공기조화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접촉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프레임접촉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리브는,
    상기 프레임접촉부로부터 상기 창문의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가스켓은:
    상기 지지부의 타면으로부터 상기 창틀을 향하여 연장된 연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부는:
    상기 타면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창틀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연신부; 및
    상기 타면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창틀을 향하여 연장된 제2 연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부와 상기 제2 연신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타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줄어드는 공기조화기.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부와 상기 제2 연신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타면은 플랫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신부와 상기 제2 연신부 사이에는 창틀 측을 향해 개구된 공간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가스켓이 상기 창틀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연신부와 상기 제2 연신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은 줄어드는 공기조화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가스켓이 상기 창틀에 가압되면, 상기 창틀에 접촉하는 상기 제1 연신부와 상기 제2 연신부의 접촉 면적은 증가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30105316A 2022-05-13 2023-08-11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2666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725 2022-05-13
KR20220058725 2022-05-13
KR1020230048921A KR20230159259A (ko) 2022-05-13 2023-04-13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921A Division KR20230159259A (ko) 2022-05-13 2023-04-13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324A KR20230159324A (ko) 2023-11-21
KR102666138B1 true KR102666138B1 (ko) 2024-05-14

Family

ID=8898189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5317A KR102708028B1 (ko) 2022-05-13 2023-08-11 공기조화기
KR1020230105316A KR102666138B1 (ko) 2022-05-13 2023-08-11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20230105315A KR20230159323A (ko) 2022-05-13 2023-08-11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20240016664A KR20240019204A (ko) 2022-05-13 2024-02-02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20240016662A KR102708027B1 (ko) 2022-05-13 2024-02-02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20240016663A KR20240019203A (ko) 2022-05-13 2024-02-02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5317A KR102708028B1 (ko) 2022-05-13 2023-08-11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5315A KR20230159323A (ko) 2022-05-13 2023-08-11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20240016664A KR20240019204A (ko) 2022-05-13 2024-02-02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20240016662A KR102708027B1 (ko) 2022-05-13 2024-02-02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20240016663A KR20240019203A (ko) 2022-05-13 2024-02-02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7080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892B1 (ko) * 2014-01-16 2016-01-20 홍경표 창호용 기밀유지구
KR102039071B1 (ko) * 2019-03-26 2019-11-0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설치 및 탈결합이 용이한 창틀거치형 공기청정기
KR102194007B1 (ko) 2019-01-31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626B1 (ko) * 2013-06-12 2014-08-13 (주)한별산업개발 차단부재가 구비된 고단열성 창호
US10776072B2 (en) 2016-03-29 2020-09-15 Intel Corporation Technologies for framework-level audio device virtualization
KR20180002322U (ko) * 2017-01-22 2018-08-01 유효상 창호용 가스켓
CN107071863A (zh) 2017-05-02 2017-08-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家电配网方法、家电和用户端
KR102381534B1 (ko) * 2018-03-28 2022-03-31 김우진 창틀 장착형 환기시스템
CN113168704B (zh) 2019-02-22 2024-06-18 轨迹人有限责任公司 用于练习场击球运行路径特征的系统和方法
KR102086298B1 (ko) 2019-10-15 2020-03-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폭시게나아제 조합반응에 의한 리폭신 유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폭신 유사체
KR20210079901A (ko) * 2019-12-20 202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892B1 (ko) * 2014-01-16 2016-01-20 홍경표 창호용 기밀유지구
KR102194007B1 (ko) 2019-01-31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39071B1 (ko) * 2019-03-26 2019-11-01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설치 및 탈결합이 용이한 창틀거치형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203A (ko) 2024-02-14
KR20230159325A (ko) 2023-11-21
KR102708028B1 (ko) 2024-09-20
KR102708027B1 (ko) 2024-09-20
KR20230159323A (ko) 2023-11-21
KR20230159324A (ko) 2023-11-21
KR20240019204A (ko) 2024-02-14
KR20240019202A (ko)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84456B (zh) 密封装置和具有其的窗式空调器
WO2020038239A1 (zh) 窗式空调器
KR101589985B1 (ko) 가변형 유리 커튼 월 구조
JP2005249373A (ja) 空調機の室内機
JP5036203B2 (ja) 空気調和機
KR102666138B1 (ko)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20230159259A (ko)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JP5008329B2 (ja) 空気調和機
JP4822904B2 (ja) 空気調和機
KR100804424B1 (ko) 공기조화장치
US1185831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30158957A (ko) 공기조화기 및 프레임어셈블리
KR10077223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JP2007271139A (ja) 空気調和機
KR102710543B1 (ko) 공기조화기 설치 키트 및 공기조화기
KR102723311B1 (ko) 공기조화기 및 설치키트
US12013132B2 (en) Air conditioner
KR20240031984A (ko) 공기조화기
KR102718735B1 (ko) 공기조화기 및 설치키트
CN210861371U (zh) 空调室内机
KR101419946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펌프조립체
JP3039442B2 (ja) 熱交換器への仕切板取付構造
JP7482439B2 (ja) 空気調和装置
KR20230158966A (ko) 공기조화기 및 설치키트
JP2007271143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