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090B1 -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090B1
KR102666090B1 KR1020220113724A KR20220113724A KR102666090B1 KR 102666090 B1 KR102666090 B1 KR 102666090B1 KR 1020220113724 A KR1020220113724 A KR 1020220113724A KR 20220113724 A KR20220113724 A KR 20220113724A KR 102666090 B1 KR102666090 B1 KR 10266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larm
fire
detector
applied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34554A (ko
Inventor
장인순
김종래
Original Assignee
열두방재(주)
장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열두방재(주), 장인순 filed Critical 열두방재(주)
Priority to KR102022011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090B1/ko
Publication of KR2024003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 또는 화재감지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보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는 감지기선로의 인가전압을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감지기선로에 연결된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작동되는 경우, 화재감지기의 작동으로 인하여 감지기선로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이 변동되는 것을 경보발생부가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계구역 내 모든 화재감지기에서 경보가 발생되므로 입주민 등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나 피난을 유도할 수 있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Fire detector having fire alarm function and fire alarm apparatus}
본 발명은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를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 또는 화재감지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보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는 감지기선로의 인가전압을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감지기선로에 연결된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작동되는 경우, 화재감지기의 작동으로 인하여 감지기선로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이 변동되는 것을 경보발생부가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경계구역 내 모든 화재감지기에서 경보가 발생되므로 입주민 등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나 피난을 유도할 수 있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아파트나 사무실, 공장 등의 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알려주는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화재경보설비는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경보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발생 사실을 건물 관계자에게 알려주고, 건물 내의 거주자 또는 근무자 등에게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으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설비를 말한다.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화재경보설비는 화재수신기, 중계기, 화재감지기, 발신기, 표시등, 경종이나 사이렌 같은 경보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상방송설비와 연동되어 운영되기도 한다.
그중 화재감지기란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를 말하며, 약칭하여 감지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화재수신기는 화재감지기나 발신기에서 발하는 화재 신호를 직접 수신하거나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한 후, 화재의 발생을 표시 및 경보하여 주는 장치를 말하며, 중계기란 화재감지기나 발신기 등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받아 이를 화재수신기의 제어반에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리고, 발신기는 화재 발생 신호를 화재수신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한편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화재감지기의 설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재수신기(400)에 연결된 감지기선로(200)에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100)를 연결하게 되며, 수동으로 발신할 수 있는 발신기(310)도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종단에는 종단저항(210)이 연결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중간에 중계기(500)가 포함되기도 한다. 상기 발신기(310)의 경우 지구경종(320)과 표시등(330)을 같이 모아놓은 속보세트(300)에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 화재수신기(400)에는 이와 같은 감지기선로(200)가 경계구역별로 여러 개가 연결되어 있는데, 각각의 감지기선로(200)는 서로 다른 경계구역에서의 화재발생을 탐지하는 선로이다. 그리고, 상기 화재수신기(400)에는 각각의 감지기선로(200) 별로 화재감지기(100)의 작동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램프(410)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감지기선로(200) 중 하나에서 화재감지기(100)가 작동되는 경우 해당 감지기선로(200)의 표시램프(410)가 점등됨과 동시에 상기 화재수신기(400) 인근에 설치된 주경종(420)이 울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 연기 등을 상기 화재감지기(100)에서 감지하게 되고,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화재감지기(100) 내부에서 접점이 연결되며 상기 감지기선로(200)는 폐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재수신기(400)에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이 표시램프(410)에 표시되게 되며, 주경종(420) 및 지구경종(320)이 울리면서 거주자나 입주자들의 피난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비상방송설비가 구비된 건물에서는 비상방송설비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각 세대 또는 각 근무처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화재 발생 사실 공지와 피난 유도를 위한 방송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화재탐지설비, 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에 있어서는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 발생 사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는 할 수 있지만, 화재 발생 사실을 거주자 모두에게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비상방송설비의 경우 스피커가 주로 거실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세대에서 안방이나 기타 구획된 공간에 들어가 있는 사람들이 방문을 닫고 있는 경우 청취가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TV 소리 등 거실에서 발생하는 소음 때문에 비상방송을 미처 듣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경종의 경우, 외부소음 차단 및 단열을 위해 각 세대의 현관에 중문을 설치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TV 소리가 큰 경우에는 경종 소리를 거실에서조차 못 듣게 되는 경우도 있으며, 방에 들어가서 방문을 닫고 있는 경우에는 비상방송이든 경종이든 거의 듣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경종 소리가 작게 들리게 되면 멀리서 들리는 것으로 착각하여 듣는 사람들이 무심하게 흘려들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화재탐지, 경보 및 비상방송설비로는 화재 발생 초기에 거주자나 입주자 모두에게 신속하고 명확하게 알려야 하는 면에 있어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여러 개의 방으로 구획되고, 같은 층에 여러 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의 경우 더욱 심각해진다. 예를 들어 주방이나 다른 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상황은 매우 위급하고 긴박한 상황인데도 거주자가 방 안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있는 경우에는, 화재감지기(100)가 화재를 감지하더라도 화재 발생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화재가 발생한 세대에 설치된 화재감지기(100)가 화재를 감지하여 작동한 결과 화재수신기(400)의 표시램프(410)가 점등되고, 주경종(420) 및 지구경종(320)이 울리고 이에 따라 비상방송이 송출되더라도 정작 해당 세대의 거주자는 다른 방에 들어가서 문을 닫고 있어서 전혀 모를 수도 있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독거노인이나 1인 단독가구 또는 가족 모두 외출 후 혼자만 남아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알려 줄 식구도 없기 때문에 더욱 피해가 커질 수 있다.
또한, 같은 통로를 사용하는 옆집이나 앞집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인데, 바로 앞집에 화재가 발생한 긴박한 상황인데도 같은 층에 있는 다른 세대들에서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즉, 앞집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감지기(100)가 화재를 감지하여 작동한 결과 화재수신기(400)의 표시램프(410)가 점등되고, 주경종(420) 및 지구경종(320)이 울리고 이에 따라 비상방송이 송출되더라도 바로 앞집에서는, 같은 경계구역이어서 화재감지기(100)들이 동일한 감지기선로(200)에 같이 연결된 상황인데도 이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1인 단독가구 및 맞벌이 가구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더욱 심각해져 갈 수 있다. 집이 비워진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같은 층의 다른 세대에서 화재 초기에 알 수 있는 길이 더욱 없어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아파트 등에서 입주민 등이 방에 들어가 방문을 닫고 있더라도, 다른 방이나 다른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같은 세대 내 어느 한 공간에서라도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세대 내 다른 공간에 대하여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시킬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파트 등에서 같은 층이나 같은 경계구역 내 다른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세대가 아닌 다른 세대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사실을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같은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통신회선 연결 없이도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수신기나 중계기에서 화재 발생 사실을 알려주지 않아도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화재 발생 사실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자체적으로 수행하여 알릴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을 측정하다가 화재 감지로 인하여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이 변동되어 저하되면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방점검 등을 위하여 화재수신기에 전원이 차단되어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이 낮아지게되는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경보가 발생하지 않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같은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하더라도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도 화재경보나 방송이 송출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보발생을 위한 회로에 대한 전원공급을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정전압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으로 인하여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이 낮아지더라도 경보가 발생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이 정상 범위로 측정되는 평상시에는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으로 충전부를 충전하였다가,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이 비정상이어서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충전부에 충전된 전력으로 화재경보나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으로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 충전부를 충전하더라도, 충전전력에 대한 부담이 화재수신기에 한꺼번에 가해지지 않게 충전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자동화재탐지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같은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같은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이지만, 기존의 화재감지기와 혼용하여 필요한 위치에만 장착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같은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할 수 있는 복합기능의 화재감지기이지만,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높고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같은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할 수 있는 복합기능의 화재감지기이지만,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을 측정하여 전압값이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되, 화재경보 발생을 위한 작동 전원으로서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을 측정하여 전압값이 정상 범위가 아닌 경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되, 충전부,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의 방전을 예방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 동안만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을 송출하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으로 화재를 감지할 때, 화재발생 시 감지기선로에 인가되는 전압이 감지기선로의 여건이나 화재감지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현장상황에 따라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을 적용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특징을 더 하거나,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가 공급하는 전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경보발생부에 공급할 수 있는 정전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전압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정전압을 상기 경보발생부에 공급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며,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거나,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며,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거나,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거나,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보발생부를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시키며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거나,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제2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며,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1전압 조절수단; 및 상기 제2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2전압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경보발생부는, 작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연결지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지연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이상으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임의의 지연시간을 정한 후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제1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지연부는, 상기 인가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 또는 상기 인가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과 상기 충전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을 빼거나 더하거나 곱하거나 나눈 값에 의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거나, 상기 연결지연부에는 난수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지연부는, 상기 난수발생수단이 발생하는 난수에 의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거나, 연결지연부; 및 지연시간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지연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이상으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지연시간 입력부에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의하여 지연시간을 정한 후,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제1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 이상으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시켜야 하는 경우 중, - 상기 인가전압이 제4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칭부의 차단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다가,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4전압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로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의 인가전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거나,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제2스위칭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칭부; 를 상기 제1스위칭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상기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로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제2스위칭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 평상시 차단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스위칭부에 의하여 작동되면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의 인가전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과 함께,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재감지기에 결합되어 경계구역 내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발생장치로서,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경보발생부에 공급할 수 있는 정전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전압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정전압을 상기 경보발생부에 공급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며,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로 하거나,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며,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로 하거나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로 하거나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보발생부를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시키며,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로 하거나,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제2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며,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아파트 등에서 입주민 등이 방에 들어가 방문을 닫고 있더라도, 다른 방이나 다른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대피할 수 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크다.
이뿐만 아니라, 아파트 등에서 같은 층이나 같은 경계구역 내 다른 세대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세대가 아닌 다른 세대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사실을 신속하게 알 수 있게 되므로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대피할 수 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크다.
본 발명은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경보발생부에 공급할 수 있는 정전압부를 포함하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인가전압이 높더라도 경보발생부 작동에 적합한 전원으로 낮추어서 공급하고, 화재발생으로 인가전압이 낮아지더라도 경보발생부 작동에 적합한 전원으로 높여서 공급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이 없더라도 경보발생부가 언제나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 라인을 설치하는 별도의 공사도 필요 없어 설치비용이 적게 들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평상시에는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으로 충전부를 충전하였다가,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이 비정상이어서(제1전압 내지 제2전압의 범위)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충전부에 충전된 전력으로 화재경보나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도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공급이 없이도 작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원공급 라인을 설치하는 별도의 공사도 필요 없어 설치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을 측정하여 인가전압이 일정 범위(제1전압 ~ 제2전압) 안에 들어오는 경우에만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화재 발생을 판단할 수 있어 경계구역 내 어디에서라도 화재가 발생하면 즉시 감지하여 경보 또는 방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발생을 판단함에 있어 인가전압이 일정 범위(제1전압 ~ 제2전압) 안에 들어올 때만 화재로 판단하기 때문에, 화재수신기 점검 등으로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나 경보발생장치는 화재경보를 발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점검 등에 있어 불필요한 화재경보가 발생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같이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을 측정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화재감지기나 경보발생장치에 내장된 경보발생부에서 경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통신회선 연결 없이도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같이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전압값을 측정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에 내장된 경보발생부에서 경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화재수신기나 중계기에서 신호를 보내주지 않더라도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연결지연부 또는 제어부에서 임의의 지연시간을 정하여 충전부에 대한 충전을 시작하기 때문에, 하나의 감지기선로로 구성되어 있는 경계구역 내 모든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의 충전부에 대하여 동시에 충전을 하지 않고 각자 다른 시간에 충전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 충전부에 충전을 하더라도 충전전력에 대한 부담이 화재수신기에 한꺼번에 가해지지 않게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연결지연부 또는 제어부에서 임의의 지연시간을 정할 때, 지연시간 입력부에 입력된 입력값에 의하여 지연시간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경계구역내 각각의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들에 대하여 각각 다른 지연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화재감지기들 및 경보발생장치에 대하여 각각 다른 충전 시작 시간을 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또한 연결지연부 또는 제어부에서 임의의 지연시간을 정할 때, 인가전압이나 충전전압의 소수점 이하값을 이용하거나 이들을 합하거나 빼거나 나누거나 곱한 값으로 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하나의 경계구역 내 각각의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임의의 지연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들에 대하여 각각 다른 충전 시작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또한 연결지연부 또는 제어부에서 임의의 지연시간을 정할 때, 난수를 발생시켜 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경계구역 내 각각의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임의의 지연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들에 대하여 각각 다른 충전 시작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충전부에 대한 충전을 시작하려고 할 때 인가전압이 정상전압 범위라 할지라도 미리 정해진 하한선 이하일 경우에는 충전을 지연시키도록 함으로써, 다른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들이 먼저 충전을 함에 따라 공급전력이 부족하면 나중에 충전하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들이 더 기다릴 수 있도록 하였고 이에 따라 화재수신기에서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들에 대한 충전 시 전력부담이 경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이고, 기존의 감지기선로에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화재탐지설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각각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것이고, 기존의 감지기선로에 연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화재감지기와 혼용하여 필요한 위치에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로 동시에 교체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때는, 예산 범위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같은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화재경보나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이지만, 간단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와 더불어 경제적인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재경보 발생을 위한 작동 전원으로서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도 사용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제작의 용이성이나 비용 측면 또는 설치나 운영의 편리성을 감안하여, 충전식을 선택하거나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 방식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설치 및 운용에 있어 탄력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을 송출할 때, 일정 시간 동안만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충전부,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의 완전 방전을 예방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높이고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1전압 조절수단 및 제2전압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감지기선로의 길이나 배선, 이에 따른 전압강하나 누설전류, 화재수신기(400) 내 작동릴레이(430)의 내부저항 및 화재감지기의 종류에 따라 화재발생시 감지기선로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이 다를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제1전압 및 제2전압을 현장 여건에 맞추어 설정함으로써, 정확하게 화재를 감지하여 경보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기존의 화재감지기에 결합하게 되면,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와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어, 기존의 화재감지기를 폐기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의 절감은 물론 자동화재탐지설비에 대한 업그레이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일반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화재감지기가 평상시일 때와 작동되었을 때를 비교해 놓은 내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기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3실시예의 적용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4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5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6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7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8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9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9실시예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10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10실시예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1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의 기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의 제4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의 제5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경계구역에는 여러 개의 화재감지기(100)는 감지기선로(200)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지기선로(200)는 화재수신기(400)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감지하는 화재신호를 상기 화재수신기(4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감지기선로(200)에는 수동으로 화재를 발신할 수 있는 발신기(310)도 연결되어 있으며, 종단에는 종단저항(210)이 연결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중간에 중계기(500)가 포함되기도 한다. 상기 화재수신기(400)에는 각각의 감지기선로(200) 별로 화재감지기(100)의 작동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램프(410)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감지기선로(200) 중 하나에서 화재감지기(100)가 작동되는 경우 해당 감지기선로(200)의 표시램프(410)가 점등됨과 동시에 상기 화재수신기(400) 인근에 설치된 주경종(420)이 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화재수신기(400)에는 이와 같은 감지기선로(200)가 경계구역별로 여러 개가 연결되어 있는데, 각각의 감지기선로(200)는 서로 다른 경계구역에서의 화재발생을 탐지하는 선로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상기 화재감지기(100)에서 감지하게 되고,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화재감지기(100) 내부에서 접점이 연결되며 상기 감지기선로(200)는 폐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재수신기(400)에는 화재가 발생한 구역이 표시램프(410)에 표시되게 되며, 주경종(420) 및 지구경종(320)이 울리면서 거주자나 입주자들의 피난을 유도하게 된다.
도 2에는 화재감지기가 평상시일 때(도 2a)와 화재를 감지하여 작동되었을 때(도 2b)를 비교해 놓은 내부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는 상기 화재수신기(400)에서 공급되는 DC 24V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수신기(400) 내부에는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중간에 직렬로 작동릴레이(430)의 작동코일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경계구역까지 연장되어 배선되어 있는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는 각각의 화재감지기(100)들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종단에는 종단저항(21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릴레이(430)의 작동코일 내부저항은 1KΩ ~ 1.3KΩ이며, 상기 종단저항(210)의 저항값은 약 10KΩ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평상시에는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기(100)들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각각의 저항값에 의하여 전압 배분이 되어 상기 작동릴레이(430)의 작동코일 양단에는 약 2V가 인가되고,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는 상기 종단저항(210)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인 약 22V가 인가되게 된다. 반면,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작동되는데(빨간색 타원 참조),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작동되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을 단락시킨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기(100)의 작동 시 단락된 상태에서 내부저항은 약 200Ω 정도가 되기 때문에 저항값에 의한 전압 배분에 따라 상기 작동릴레이(430)의 작동코일 양단에는 20V가 인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릴레이(430)가 작동하여 접점이 폐로상태로 되면(파란색 타원 참조) 표시램프(410)와 주경종(420)이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작동릴레이(430)의 작동코일 양단에 20V가 인가되므로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 인가전압은 4V 정도로 낮아지게 된다. 만일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복수 개가 작동되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은 더 낮아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화재감지기(100)가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화재발생 초기에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 인가전압은 4V가 된다. 즉, 하나의 경계구역 내에서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평상시 양단 인가전압은 약 22V를 유지하게 되나, 화재로 인하여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가 작동되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 전압은 4V 정도로 급격히 저하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경계구역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같이 하나의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화재수신기(400)내에 있는 상기 작동릴레이(430)를 작동시키기도 하지만, 이 과정에서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 전압이 4v로 급격히 저하된다는 점에서 착안 된 발명이다. 즉, 화재로 인하여 경계구역 내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 이상이 작동되면, 같은 경계구역 내 다른 화재감지기(100)들의 양단에는 인가전압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4v 내외로 되므로, 상기 화재감지기(100)에 상기 인가전압을 감지하여 작동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한다면 상기 화재감지기(100) 각각에서도 같은 경계구역 내 화재 발생을 알릴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한 것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기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200)를 통하여 화재수신기(400)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100)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110) 및 상기 감지기선로(200)에 인가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전압은 상기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가 작동되어 단락되었을 때 상기 감지기선로(200) 양단에 인가될 수 있는 최저전압이며, 상기 제2전압은 상기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가 작동되어 단락되었을 때 상기 감지기선로(200) 양단에 인가될 수 있는 최고전압을 말한다. 상기 제1전압 및 상기 제2전압은 감지기선로의 길이나 배선상태, 누설전류, 화재수신기(400) 내 작동릴레이(430)의 내부저항 및 사용되는 화재감지기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상기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가 작동되어 단락되었을 때 상기 감지기선로(200) 양단의 인가전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4v내외가 되나 감지기선로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기 화재감지기(100)의 장착 위치에 따라 다소 편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전압 및 상기 제2전압의 범위를 약 3 ~ 5V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전압은 3V로 하고, 상기 제2전압은 5V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감지기선로의 배선이나 길이 등 현장 여건에 따라서 상기 제1전압은 2V로 하고, 상기 제3전압은 6V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경보발생부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을 발생하는 구성으로서, 부저나 사이렌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화재 시 방송될 수 있는 방송녹음을 보관하고 있다가 화재에 따른 대피 안내방송이나 대응요령 등을 안내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경보발생부(150)에는 스피커(151)를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기본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공급할 수 있는 정전압부(13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전압부(130)는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의 변동에 관계 없이 정전압 즉 일정한 전압을 만들어서 상기 경보발생부(150)의 작동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정전압부(130)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정전압을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공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소방점검 등을 이유로 상기 화재수신기(400)의 전원을 차단한다든가 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100)들이 한꺼번에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점검현장에 혼란을 가져오는 일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감지기선로(200)에 인가전압이 2V 또는 3V 미만의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는 상기 정전압부(130)는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전압을 공급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152)을 가지며, 상기 전압감지수단(152)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상기 경보발생부(150)가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경보발생부(150)가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압감지수단(152)은 전압감시선(220)을 통하여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정전압이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평상시 정상작동 상태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0)가 화재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이며, 도 5(b)는 경계구역내 하나의 화재감지기(100)의 감지부(110) 중 하나에서 화재가 감지된 경우이며, 도 5(c)는 소방점검 등을 위하여 화재수신기(400)의 전원을 차단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 정상작동 상태에서 상기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도 화재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유로 상기 감지기선로(200) 양단의 인가전압은 약 22v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감지수단(152)의 양단에도 22v가 측정되며, 상기 정전압부(130)에도 22v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정전압부(130)는 인가전압 22v를 정전압으로 만들어서(예를 들어 6v) 상기 경보발생부(150)의 작동전원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전압감지수단(152)의 양단에 인가된 22v는 상기 제2전압(5~6v)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전압은 상기 경보발생부(150)의 작동에 필요한 전압으로서 5v나 6v가 될 수도 있고, 9v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감지기(100)들 중 하나의 감지부(110a)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부(110a)가 작동되어 단락되면,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감지기선로(200) 양단의 인가전압은 약 4v로 강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전압부(130)에 인가되는 전압도 약 4v가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정전압부(130)는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대하여 이전과 같은 정전압(6v)을 상기 경보발생부(150)의 작동전원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압감지수단(152)의 양단에는 4v가 측정되며, 이는 상기 제1전압(2~3v)보다 크고, 상기 제2전압(5~6v) 보다 작으므로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경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인가전압이 4v로 저하되는 현상은 같은 경계구역 내에서 동일하게 발생되는 현상이므로 본 발명에 의한 화재경보기(100)가 장착되어 있는 모든 곳에서는 화재경보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화재수신기(400)의 전원이 꺼지게 되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 인가전압은 0v가 되므로 상기 정전압부(130)에도 0v가 인가되므로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잔류전압이나 유도전압 등에 의하여 인가전압이 1v 내외의 전압이 되더라도,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정전압이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기본 구성(도 3 참조)에 더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전부(120) 및 제1스위칭부(1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발생부(150)에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상기 전압감지수단(152)이 포함되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부(120)는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감지기선로(2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3전압은 평상시 상기 감지기선로(200)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인 22v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전압강하 등을 감안하여 18v ~ 20v 정도로 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평상시 상기 화재수신기(40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충전부(12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연결상태로 하였다가, 화재 발생 시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이 저하되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차단상태로 하고 상기 충전부(120)의 전원이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포함된 전압감지수단(152)은 상기 경보발생부(150)가 상기 인가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게 해주는 구성으로서,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전압감지수단(152)을 통하여 감지한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기본 구성(도 3 참조)에 더하여,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충전부(120) 및 제1스위칭부(141) 및 제2스위칭부(1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발생부(150)에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상기 전압감지수단(152)이 포함되지 않는 실시예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상기 인가전압을 판단하여 작동함으로써,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므로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부(120)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대하여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칭부(141) 또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감지기선로(2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경보발생부(15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적용사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기계적 접점을 가진 릴레이(Relay)나 또는 반도체 접점을 가진 반도체릴레이(SSR, Solid-state relay)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반도체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진 전자회로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의 사례는 릴레이(Relay)나 SSR을 적용한 사례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10)는 일반적인 화재감지기에 포함되는 구성인데,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100)에도 당연히 포함된다.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로, 화재 감지 시에는 단락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거쳐서 상기 충전부(12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릴레이(Relay)나 SSR로 하는 경우 제1접점부(141a)와 제1구동부(141b)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1구동부(141b)는 상기 전압감시선(220)을 통하여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접점부(141a)는 b접점 즉, 평상시에는 폐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 시 개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구동부(141b)는 상기 인가전압에 의하여 상기 제1접점부(141a)를 폐로상태로 하였다가,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접점부(141a)를 개방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기계식 릴레이로 하는 경우 상기 제1구동부(141b)는 코일과 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지게 될 것이므로 평상시에는 코일에 인가된 높은 인가전압으로 마그네틱에 자력이 형성되므로 상기 제1접점부(141a) 접점을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폐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아지게 되면 상기 마그네틱의 힘이 약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점부(141a) 접점을 밀거나 잡아당기는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1접점부(141a)를 개방상태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스위칭부(142)도 릴레이(Relay)나 SSR로 하는 경우 제2접점부(142a)와 제2구동부(142b)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2구동부(142b)는 상기 전압감시선(220)을 통하여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양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접점부(142a)는 a접점 즉, 평상시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화재 발생 시 폐로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구동부(142b)는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2접점부(142a)를 개방상태로 하였다가,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사이에 들어오게 되면 상기 제2접점부(142a)를 폐로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구동부(142b)에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사이가 되었을 때만 구동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동제어부(미도시)를 따로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들은 상기 화재감지기(100) 안에 모두 수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존의 화재감지기가 장착되는 브라켓에 끼울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손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화재감지기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 실시예 모두에서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서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경보발생부 연결이 상기 감지기선로(200)로부터의 인입선에 같이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감지기선로(200)로부터의 인입선은 상기 충전부(120)에 대한 충전라인으로 하고, 상기 충전부(120)에 별도의 공급라인을 두어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경보발생부(150) 사이의 연결은 상기 공급라인을 통하여 별도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충전부(120)를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3실시예에 대한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는 평상시 충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b)는 화재 발생 시 충전이 중단되고 화재경보가 송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계구역 내 어디에서도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폐로상태가 되고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개방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은 상기 충전부(120)에 그대로 인가되기 때문에 상기 충전부(120)는 충전 중 상태가 된다(빨간 화살표 참조). 그러나 상기 경보발생부(15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아무 일도 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 충전부(120)에는 자체적인 충전 제어회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과충전 또는 과방전 등을 방지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110a)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은 4v 정도로 급격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감시선(220)에 의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141)에 공급되는 전압 또한 4V 이하로 급격하게 저하되므로 상기 제1스위칭부(141)에서는 상기 제1구동부(141b)의 작동이 중지되어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제1접점부(141a)를 개방상태로 각각 만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서는 상기 제1구동부(142b)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2접점부(142a)를 개방상태로 각각 만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상기 충전부(120)의 연결은 차단되고, 상기 충전부(120)의 전원이 상기 경보발생부(150)로 공급되어 상기 경보발생부(150)에서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을 송출하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100)들은 평상시에는 상기 감지기선로(220)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으로 상기 충전부(120)를 충전하다가 상기 인가전압이 낮아지면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보발생부(150)를 작동하여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을 송출하게 되므로, 화재 발생 초기에 화재가 발생한 경계구역내 모든 입주민에게 화재발생 사실을 알릴 수 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4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기본 구성(도 3 참조)에 더하여,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120), 상기 제1스위칭부(141) 및 상기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부(120)는 앞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감지기선로(2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충전부(120), 상기 경보발생부(150),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전압감지수단(18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보발생부(150)를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5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기본 구성(도 3 참조)에 더하여,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충전부(120), 상기 제1스위칭부(141), 상기 제2스위칭부(142) 및 상기 제어부(18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 제5실시예에서 상기 충전부(120)는 앞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감지기선로(2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며,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경보발생부(15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충전부(120), 상기 경보발생부(150), 상기 제1스위칭부(141) 및 상기 제2스위칭부(142)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전압감지수단(18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제2스위칭부(142)를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연결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압 및 상기 제2전압은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배선상황이나 길이, 이에 따른 전압강하, 누설전류, 화재수신기(400) 내 작동릴레이(430)의 내부저항 및 장착되는 화재감지기(100)의 종류 등 현장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1전압 조절수단(미도시) 및 상기 제2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2전압 조절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전압 조절수단 및 상기 제2전압 조절수단은 상기 경보발생부(150) 내 전압감지수단(152) 또는 상기 제어부(180) 내 전압감지수단(181)에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현장 여건이 달라서 화재 발생시 상기 감지기선로(200)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이 다소 다르더라도 얼마든지 적용시켜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100)를 적절하게 장착시킴으로서 화재경보의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은 화재 발생 초기 일정 시간 동안에만 필요하다는 점과 화재설비 점검 등의 상황에서 상기 충전부에 대한 완전 방전을 예방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여, 상기 경보발생부의 화재경보 발생은 일정 시간 예를 들어 약 30초 동안만 송출하도록 제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내부 제어회로를 두어 작동전원이 공급되면 일정 시간 동안만 상기 경보발생부(150)를 작동하도록 하거나,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 타이머 등 작동시간 제한수단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6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연결지연부(16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상기 연결지연부(160)는 상기 제1스위칭부(141)의 작동시작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연결지연부(160)는, 상기 제1스위칭부(141)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 상기 인가전압이 정상전압 범위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임의의 지연시간을 정한 후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제1스위칭부(141)가 연결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지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화재감지기(100)마다 다르게 정해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지연부(160)에서 정해진 임의의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상기 연결지연부(160)을 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지연부(160)를 상기 제어부(180) 안에 두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지연시간을 상기 화재감지기(100)마다 다르게 정하는 경우, 소방설비에 대한 점검 또는 실재 화재감지기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141)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에, 상기 인가전압이 정상전압 범위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모든 화재감지기(100)에 포함된 충전부(120)가 한꺼번에 상기 감지기선로(200)에 연결되어 충전을 개시하는 것을 예방하게 되는데, 각각의 화재감지기(100)들이 시간 간격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충전개시를 함으로써 상기 화재수신기(400)에 한꺼번에 충전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화재감지기(100)마다 상기 지연시간을 다르게 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지연부(160)는, 상기 지연시간을 정할 때 상기 인가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 및/또는 상기 충전부(120)에 충전된 충전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기선로(200)는 선로저항이나 누설전류 등이 있기 때문에 상기 감지기선로(200)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은 모든 지점에서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각각의 화재감지기(100)가 연결된 지점의 인가전압들은 적어도 소수점 이하 단위는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상기 화재감지기(100) 마다 상기 충전부(120)에 충전된 전압들도 적어도 소수점 이하 단위는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가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 및/또는 상기 충전부(120)에 충전된 충전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을 이용하되 그 값에 1,000을 곱한 값을 지연시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인가전압이 21.28V가 나온 화재감지기(100)에서는 지연시간을 280초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21.75V가 나온 화재감지기(100)에서는 지연시간을 750초로 하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두 화재감지기(100)는 470초 차이를 두고 충전을 개시하게 되므로 상기 화재수신기(400)에서 충전전력 공급에 따른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화재발생을 감지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경보발생부(150)가 작동되더라도 상기 충전부(120)는 완전 방전 상태로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충전부(120)에 대하여 많은 시간 차이를 두고 충전을 하더라도, 충전을 시작하기 전에 화재 감지가 된다든가 하는 비상상황이 오더라도 상기 충전부(120)가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상기 일정 시간 동안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만일을 대비하여 상기 지연시간 차이를 짧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곱해주는 배수를 작게 하면 된다. 또한, 각각의 화재감지기(100) 마다 상기 지연시간을 각각 다를 확률을 높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인가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과 상기 충전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을 빼거나 더하거나 곱하거나 나눈 값에 의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각각의 화재감지기(100)마다 상기 지연시간이 각각 달라질 확률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7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각각의 화재감지기(100) 마다 상기 지연시간을 각각 다르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난수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적용한 실시예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지연부(160)에는 난수발생수단(161)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이 경우 상기 연결지연부(160)는, 상기 난수발생수단(161)이 발생하는 난수에 의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수발생수단(161)이 발생하는 난수는 각각의 화재감지별로 다르게 임의의 수로 나올 수 있도록 각각의 화재감지기(100)마다 seed를 달리해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난수의 발생 범위를 정하고(예를 들어 1 ~ 100) 발생된 난수에 일정한 배수를 곱하여 지연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8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는 각각의 화재감지기(100) 마다 상기 지연시간을 각각 다르게 하기 위한 방법을 위 실시예들과 다르게 한 것이다. 본 발명 제8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상기 화재감지기(100)를 설치할 때 상기 화재감지기(100) 마다 다른 입력값을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화재감지기(100)들 각각에 대하여 입력된 입력값에 의하여 지연시간을 정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 제8실시예는 상기 연결지연부(160) 및 지연시간 입력부(17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지연부(160)는, 상기 제1스위칭부(141)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 상기 인가전압이 정상전압 범위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지연시간 입력부(170)에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의하여 지연시간을 정한 후,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제1스위칭부(141)가 연결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지연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연시간 입력부는 딥스위치 등과 같이 스위치 세팅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는 수단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으로 연결한 후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입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연시간은 상기 지연시간 입력부(170)의 입력값에 일정한 배수를 곱하여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예들은 상기 정전압부(130) 또는 상기 충전부(120)를 포함하는 실시예지만, 상기 정전압부(130) 또는 상기 충전부(120) 없이 상기 제2스위칭부(142)만 포함하거나, 상기 제1스위칭부(141)와 상기 제2스위칭부(142)만 포함하여도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5에는 상기 경보발생부(150)와 제2스위칭부(142)만 포함하는 실시예인 본 발명의 제9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본 발명 제9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는 상기 경보발생부(150), 상기 제1스위칭부(141) 및 상기 제2스위칭부(142)만을 포함하는 실시예인 본 발명의 제10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8에는 본 발명 제10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제9실시예는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기본 구성(도 3 참조)에 제2스위칭부(142)만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로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연결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연결상태로 되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제9실시예에서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도 1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소자 등으로 구성하되, 작동전압은 상기 제2전압 보다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인가전압이 22v 내외가 되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므로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 포함된 상기 제2구동부(142b)가 작동하여 상기 제2접점부(142)를 개방시켜 차단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경보발생부(150)에는 상기 인가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0v가 되어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도 1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선로(200)에 연결된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의 감지부(110a)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은 4v로 저하되어 상기 제2전압 이하가 되므로 상기 제2구동부(142b)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접점부(142a)는 단락되어 연결상태로 된다. 그러면 상기 경보발생부(150) 양단에는 4v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경보발생부(150)에서는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소방점검 등을 위하여 도 16(c)에서처럼 상기 화재수신기(400)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은 0v로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경보발생부(150) 양단 전압도 0v가 되므로 상기 경보발생부(150)에서는 경보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제10실시예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기본 구성(도 3 참조)에 상기 제1스위칭부(141) 및 상기 제2스위칭부(142)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제2스위칭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제1스위칭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로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제2스위칭부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평상시 차단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스위칭부(141)에 의하여 작동되면 연결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연결상태로 되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 제10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위칭부(141) 및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도 18(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릴레이 또는 반도체소자 등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스위칭부(141)의 작동전압은 상기 제2전압 보다 높게 하고, 상기 제2스위칭부(141)의 작동전압은 상기 제2전압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인가전압이 22v 내외가 되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므로 상기 제1스위칭부(141)에 포함된 상기 제1구동부(141b)가 작동하여 상기 제1접점부(141)를 개방시켜 차단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 포함된 상기 제2구동부(142b)에 인가되는 전압은 0v가 되므로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 포함된 상기 제2접점부(142a) 또한 개방되어 차단상태가 된다.
그러나, 도 1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선로(200)에 연결된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의 감지부(110a)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은 4v로 저하되어 상기 제2전압 이하가 되므로 상기 제1스위칭부(141)에 포함된 상기 제1구동부(141b)가 작동하지 않게 되어, 상기 제1접점부(141a)는 단락되어 연결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 포함된 상기 제2구동부(142b)에 인가되는 전압은 4v가 인가되므로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 포함된 상기 제2접점부(142a)는 단락되어 연결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경보발생부(150) 양단에는 4v의 전압이 인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경보발생부(150)에서는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소방점검 등을 위하여 도 18(c)에서처럼 상기 화재수신기(400)의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감지기선로(200)의 인가전압은 0v로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경보발생부(150) 양단 전압도 0v가 되므로 상기 경보발생부(150)에서는 경보를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제9실시예 및 제10실시예 또한 상기 제2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2전압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작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관하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9에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또 다른 유형의 실시예인 제11실시예에 대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제11실시예는, 앞선 실시예들 중 상기 충전부(120) 및 상기 제1스위칭부(141)가 없는 대신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 등 단독전원을 사용한 실시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 제11실시예는, 앞에서 살펴본 기본 구성(도 3 참조)에 더하여,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90) 및 상기 제2스위칭부(142)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로 하여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며,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190)와 상기 경보발생부(15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서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공급부(19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만 상기 제2스위칭부(142)를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제어수단(미도시)을 두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 제11실시예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스위칭부(142)에 대하여는, 연결상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대하여,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연결상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본 발명 제11실시예는,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경계구역 내에서 화재감지기(100) 중 하나가 화재를 감지하게 되면 모든 화재감지기(100)에서 화재경보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는 상기 충전부(120) 없이 단독전원을 사용하게 되므로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고장 발생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작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0에는 기존의 화재경보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기 감지기선로(200)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600)의 기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600)는 기존의 화재감지기(101)에 결합되어 경계구역 내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발생장치(600)로서, 감지기선로(200)에 인가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0(b) 및 도 20(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600)는 천장(112)에 부착된 기존의 화재감지기(101)용 브라켓(111)에 장착한 후 그 위에 기존의 화재감지기(101)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600)’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600)의 기본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을 정전압으로 만들어 상기 경보발생부에 공급할 수 있는 정전압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152)을 가지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전압부(130)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정전압을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공급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나머지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600)’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600)의 기본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120)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감지기선로(2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14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152)을 가지며.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나머지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600)’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600)의 기본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120),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감지기선로(2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141)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경보발생부(15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1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142)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제1스위칭부(141)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충전부(12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나머지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600)’의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600)의 기본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120),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감지기선로(2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141) 및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181)을 가지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보발생부(150)를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나머지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600)’의 제5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600)의 기본 구성에 더하여, 상기 감지기선로(200)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150)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120),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감지기선로(20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141), 상기 충전부(120)와 상기 경보발생부(150)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142),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181)을 가지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제2스위칭부(142)를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141)를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상기 제2스위칭부(142)가 연결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나머지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재감지기의 제5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경보발생장치(600)에도 상기 제1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1전압 조절수단 및 상기 제2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2전압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경보발생부(150)는, 작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관하여는 앞에서 설명한 화재감지기(1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화재감지기
101 기존의 화재감지기 110 감지부
111 브라켓 112 천장
120 충전부 130 정전압부
141 제1스위칭부 142 제2스위칭부
150 경보발생부 151 스피커
152 전압감지수단 160 연결지연부
161 난수발생수단 170 지연시간 입력부
180 제어부 181 전압감지수단
190 전원공급부
200 감지기선로
210 종단저항 220 전압감시선
300 속보세트
310 발신기 320 지구경종
330 표시등
400 화재수신기
410 표시램프 420 주경종
430 작동릴레이
500 중계기
600 경보발생장치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화재감지기에,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며,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4.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화재감지기에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5.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화재감지기에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보발생부를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시키며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6.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화재감지기에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제2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며,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7.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화재감지기에
    상기 제1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1전압 조절수단; 및
    상기 제2전압을 조절하여 정할 수 있는 제2전압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8.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이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작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지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지연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이상으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임의의 지연시간을 정한 후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제1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연부는, 상기 인가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 또는 상기 인가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과 상기 충전전압의 소수점 이하 값을 빼거나 더하거나 곱하거나 나눈 값에 의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연부에는 난수발생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지연부는, 상기 난수발생수단이 발생하는 난수에 의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12.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지연부; 및
    지연시간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지연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이상으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지연시간 입력부에 입력되어 있는 입력값에 의하여 지연시간을 정한 후, 상기 지연시간 동안 상기 제1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13.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칭부가 차단상태로 된 이후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 이상으로 복귀되어 다시 연결상태로 전환시켜야 하는 경우 중
    - 상기 인가전압이 제4전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칭부의 차단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다가,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4전압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14.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화재감지기에,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로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의 인가전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15.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화재감지기에,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제2스위칭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제1스위칭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감지기선로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상기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로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2전압 이하이면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제2스위칭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 평상시 차단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스위칭부에 의하여 작동되면 연결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의 인가전압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16.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감지기선로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발신하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하는 열,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기선로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상기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화재감지기에,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부;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17. 삭제
  18. 삭제
  19. 화재감지기 각각 마다 하나씩 결합되어 경계구역 내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발생장치로서,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경보발생장치에,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며,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
  20. 화재감지기 각각 마다 하나씩 결합되어 경계구역 내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발생장치로서,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경보발생장치에,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인가전압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제1스위칭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연결상태가 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차단상태가 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가 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
  21. 화재감지기 각각 마다 하나씩 결합되어 경계구역 내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발생장치로서,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경보발생장치에,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만 상기 경보발생부를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시키며,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
  22. 화재감지기 각각 마다 하나씩 결합되어 경계구역 내 화재 발생을 경보하는 경보발생장치로서,
    상기 화재감지기와 같은 경계구역 내의 화재감지기 중 하나 이상에서 화재가 감지되어 감지기선로에 인가된 인가전압이 정상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같은 경계구역 내 어디에선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인가전압이 제1전압 내지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작동하지 않으며,
    상기 경보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경보는, 부저나 사이렌 또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발생시키는 화재경보 또는 화재경보방송인 경보발생장치에,
    상기 감지기선로와 연결되어, 상기 인가전압으로 충전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발생부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감지기선로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1스위칭부;
    상기 충전부와 상기 경보발생부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제2스위칭부;
    상기 인가전압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압감지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 내지 상기 제2전압 범위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1전압보다 낮거나 상기 제2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제2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며,
    - 상기 인가전압이 제3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연결상태로 하고, 상기 인가전압이 상기 제3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차단상태로 하며,
    상기 경보발생부는, 상기 제2스위칭부가 연결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발생장치
  23. 삭제
  24. 삭제
KR1020220113724A 2022-09-07 2022-09-07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KR10266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724A KR102666090B1 (ko) 2022-09-07 2022-09-07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724A KR102666090B1 (ko) 2022-09-07 2022-09-07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554A KR20240034554A (ko) 2024-03-14
KR102666090B1 true KR102666090B1 (ko) 2024-05-14

Family

ID=9024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724A KR102666090B1 (ko) 2022-09-07 2022-09-07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0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6606B2 (ja) * 1991-03-25 1998-10-27 ニッタン株式会社 火災感知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警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4195A (ja) * 1987-11-30 1989-06-06 Hochiki Corp 火災報知装置
JPH0624953Y2 (ja) * 1989-03-10 1994-06-29 ニッタン株式会社 火災警報装置
KR101311501B1 (ko) * 2011-11-03 2013-09-25 프로테크주식회사 보호기능을 구비한 화재경보 중계기
KR20190094672A (ko) * 2018-02-05 2019-08-14 진영배 무선 화재경보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6606B2 (ja) * 1991-03-25 1998-10-27 ニッタン株式会社 火災感知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警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554A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727B1 (ko) 소방중계기방송장치 선로의 단락검사에 따른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US20080218000A1 (en) Power-Off System and Method
US20090212961A1 (en) Wireless remote controllable fire and smoke alarm system
CN109819676B (zh) 具有灾难警报及灾难训练功能的led照明灯系统
JP2015231185A (ja) 非常放送設備
KR101145414B1 (ko)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CN101201962B (zh) 一种电视机的烟雾实时侦测报警方法及其装置
KR101984624B1 (ko) 유선식 화재감지기의 보조 화재경보 시스템
KR100643790B1 (ko) 첨단아파트 화재경보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666090B1 (ko) 감지기선로 인가전압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화재감지기 및 경보발생장치
CA2597090A1 (en) Wireless remote controllable fire and smoke alarm system
GB2423397A (en) Wireless smoke alarm system
JP2003196761A (ja) 煙感知器
KR20100002104A (ko) 무선 디지털 통합 방재시스템
JP4191983B2 (ja) 電流表示装置
KR20200129975A (ko) 선로 단락 단선 보호기능 통합관리 iot 전관방송시스템
KR101352384B1 (ko) 지능형 화재 알람 시스템
KR20220019972A (ko) P형수신기 원격감시 제어시스템
JPH07182574A (ja) 住宅用火災警報器
KR102666092B1 (ko) 다른 화재감지기에서 감지된 화재에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아날로그형 감지기 및 경보장치
KR102644624B1 (ko) P형 수신기의 비화재보 처리시스템
KR102078659B1 (ko) 자체 비상방송이 가능한 스피커 장치
JP6646839B2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JP6545567B2 (ja) 感震遮断システム
JP3863667B2 (ja) 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