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419B1 - 쿨런트 탱크 - Google Patents

쿨런트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419B1
KR102665419B1 KR1020190017459A KR20190017459A KR102665419B1 KR 102665419 B1 KR102665419 B1 KR 102665419B1 KR 1020190017459 A KR1020190017459 A KR 1020190017459A KR 20190017459 A KR20190017459 A KR 20190017459A KR 102665419 B1 KR102665419 B1 KR 10266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ase
disposed
coolant tank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9448A (ko
Inventor
김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90017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4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쿨런트 탱크에 있어서, 상측면이 개구되어 공작기계에서 칩과 쿨런트가 유입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로부터 쿨런트가 유입되어 다시 공작기계로 재순환시키는 쿨런트펌프가 배치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상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는 쿨런트 탱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쿨런트 탱크{COOLANT TANK}
본 발명은 쿨런트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 개선을 통해 칩 청소가 용이한 공작기계의 쿨런트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툴 보관장소의 형태로 툴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툴을 툴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 Tool Changer)를 구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 Automatic Palette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모재의 가공시 발생되는 칩을 제거함과 동시에 가공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 모재와 공구를 냉각시키기 위해, 쿨런트(coolant, 절삭유)를 가공부위에 분사한다.
칩은 대부분 별도의 칩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만, 분사된 쿨런트와 함께 공작기계의 가공영역 외측 및 하측으로 유동되어 쿨런트 탱크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쿨런트 탱크는 칩을 필터링하여 쿨런트 펌프로써 순환하여 재사용되기 때문에, 쿨런트 탱크 내부로 유입된 칩의 제거가 중요시된다.
등록특허 제10-0688956호(발명의 명칭: 칩컨베이어에 부속되는 칩/절삭유 여과장치)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링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필터링 구조는 이미 칩과 함께 쿨런트 탱크로 유입된 쿨런트의 유동과정에서 칩을 걸러내는 내부 구조이므로, 쿨런트 탱크 내에 적층되는 칩의 직접적인 제거에 불편함이 있었다.
즉, 쿨런트 탱크 내부 깊숙히 잔존하는 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쿨런트 탱크 자체를 공작기계와 분리하여 상부커버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설치된 장소의 제약에 따라 쿨런트 탱크의 분리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쿨런트 탱크의 구조상 기다란 도구를 이용해서 쿨런트 탱크 내부의 칩을 긁어내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쿨런트 탱크 내의 칩의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쿨런트 탱크가 훼손되거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더욱이, 종래 쿨런트 탱크는 칩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 칩제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어 유지비용과 시간이 증가하고,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종래 쿨런트 탱크는 비가공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하고, 공작기계의 신뢰성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6889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런트 탱크 내부로 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쿨런트 탱크를 공작기계 본체와 분리하지 않고 쿨런트 탱크의 청소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포함하는 쿨런트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쿨런트 탱크에도 적용하여 호환성을 증대하고 교체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쿨런트 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는 공작기계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쿨런트 탱크에 있어서, 상측면이 개구되어 공작기계에서 칩과 쿨런트가 유입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로부터 쿨런트가 유입되어 다시 공작기계로 재순환시키는 쿨런트펌프가 배치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상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제1 베이스는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는 공작기계의 비가공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는 ㄱ자로 절곡되어 공작기계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개구된 상측면에 배치되며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제1 트레이; 상기 제1 트레이의 상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통공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트레이; 및 상기 제2 트레이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트레이 또는 제2 트레이의 상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제1 트레이는 상측으로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트레이는 양측면이 상기 제1 트레이 방향으로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제2 베이스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트레이의 측면의 높이는 다른 세 개의 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제2 트레이는 상기 양측면이 형성되지 않은 두 개의 변에 상측으로 형성된 손잡이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제1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n등분 하였을 때, 상기 제2 트레이는 상기 제1 트레이에 n-1개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는 n-1개가 상기 제2 트레이에 각각 배치되고, 한 개가 상기 제1 트레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제1 베이스에는 상기 제1 트레이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바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쿨런트 탱크의 상기 제2 통공은 복수 개가 하나의 군을 형성하여 상기 제2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은 상기 제2 통공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1 트레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는 모재의 가공시 발생하는 칩과 쿨런트가 유입되는 쿨런트 탱크 상측면에 필터링부를 배치하여 쿨런트 탱크 내부로 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 상부에 배치된 필터링부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필터 청소 및 하우징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는 제2 트레이와 필터가 복수 개로 분리되어 설치공간이 좁은 곳에서도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는 칩 청소가 용이하고, 칩 청소시간을 최소화함에 따라 비가공시간 감소에 따라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공작기계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쿨런트 탱크는 칩 청소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작업환경을 신선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여 위험요소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런트 탱크가 배치된 공작기계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런트 탱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레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트레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트레이에 필터가 배치된 도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쿨런트 탱크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런트 탱크가 배치된 공작기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런트 탱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트레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트레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배치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런트 탱크는 공작기계(10)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과 필터링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측면이 개구되어 공작기계(10)에서 칩과 쿨런트가 유입되는 제1 베이스(110)와, 제1 베이스(110)로부터 쿨런트가 유입되어 다시 공작기계(10)로 재순환시키는 쿨런트펌프가 배치되는 제2 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칩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베이스(110)는 공작기계(10)의 가공영역에 배치되고, 제2 베이스(120)는 공작기계(10)의 비가공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제1 베이스(110)는 상측이 개구되어 후술할 필터링부(2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120)는 상측이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120)는 ㄱ자로 절곡되어 공작기계(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재 가공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칩과 쿨런트가 유입되는 공간에 제1 베이스(110)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120)는 상기 제1 베이스(110)와 연통되는 모든 형태로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상태에서, 제1 베이스(110)에 후술할 필터링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런트 탱크는 기존의 쿨런트 탱크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감의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베이스(110)에는 후술할 제1 트레이(2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바(111)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바(111)는 제1 베이스(110)에 볼트 체결 또는 용접 등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110) 내부, 제2 베이스(120) 내부 및/또는 제1 베이스(110)와 제2 베이스(120)의 사이에는 기존의 쿨런트 탱크와 같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메쉬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링부(200)는 제1 베이스(110)의 상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쿨런트 탱크의 이동 없이 필터링부(200)의 청소 및/또는 하우징(100)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터링부(200)는 제1 트레이(210), 제2 트레이(220) 및 필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레이(210)는 제1 베이스(110)의 개구된 상측면에 배치되며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공(211)은 쿨런트가 하측으로 유동될 수 있을 크기의 구멍으로서, 복수 개가 하나의 군을 형성하여 제1 트레이(210)의 바닥에 여러 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공(211)은 후술할 제2 트레이(220)의 제2 통공(221)에 대향되도록 제1 트레이(210)에 형성될 수 있다.또는, 제1 통공은 제2 통공(221)에 대향되지 않도록 제1 트레이(2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미세 칩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1 트레이(210)의 하측면에는 제1 통공(211)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쉬필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트레이(210)는 상측으로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베이스(110)의 개구된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2 베이스(120)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 트레이(210)의 측면의 높이는 다른 세 개의 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후술할 제2 트레이(220)를 슬라이딩시켜 착탈함으로서, 청소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제1 트레이(210)의 측면 중 가장 낮은 측면의 높이는 후술할 필터(230)의 높이와 대응되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레이(220)는 복수 개가 상기 제1 트레이(210)의 상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통공(221)은 쿨런트가 하측으로 유동될 수 있을 크기의 구멍으로서, 복수 개가 하나의 군을 형성하여 제2 트레이(220)의 바닥에 여러 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공(221)은 복수 개가 하나의 군을 형성하여 제2 트레이(220)의 가장자리 네 군데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110)로 미세 칩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2 트레이(220)의 하측면에는 제2 통공(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메쉬필터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트레이(220)는 양측면(222)이 제1 트레이(210) 방향으로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트레이(220)의 양측면(222)에 의해 제1 트레이(210)와 제2 트레이(220)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제2 트레이(220)의 양측면(222)에 의해 제1 트레이(210)로부터 제2 트레이(220)가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어 착탈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트레이(220)는 양측면(222)이 제1 트레이(21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트레이(210)와 제2 트레이(220) 사이로 칩이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트레이(220)는 상기 양측면(222)이 형성되지 않은 두 개의 변에 상측으로 형성된 손잡이(223)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223)에 의해 상기 제2 트레이(220)를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며, 후술할 필터(230)의 장착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223)의 높이는 후술할 필터(2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필터(230)가 안치되어도 상기 제2 트레이(220)를 들어서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제2 트레이(220)의 용이한 탈거를 위해, 제1 트레이(210)의 길이방향을 n등분 하였을 때, 제2 트레이(220)는 제1 트레이(210)에 n-1개가 배치되고, 필터(230)는 n-1개가 제2 트레이(220)에 각각 배치되고, 한 개가 제1 트레이(21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레이(210)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230)는 제2 베이스(12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됨으로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며, 이 후 복수 개의 제2 트레이(220)는 상기 제2 베이스(120)와 인접한 곳까지 슬라이딩시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트레이(210)를 네 구역으로 구획할 때, 제2 트레이(220)는 제1 트레이(210)에 세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230)는 세 개가 제2 트레이(220) 상에 배치되고, 제1 트레이(210)의 나머지 한 구역에 하나의 필터(23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230)는 제2 트레이(220)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트레이(210) 또는 제2 트레이(220)의 상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30)는 메쉬필터로써 구현될 수도 있으나, 미세칩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다공성 수지 재질의 폼(form) 필터(230)로써 구현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구조로 인해 신속하게 제1, 2 트레이를 이동시켜 용이하게 칩을 제거하고,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여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런트 탱크는 가공영역에 위치한 쿨런트 탱크의 상측면에 필터링부(200)를 포함하여 칩과 이물의 쿨런트 탱크 내부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링부(2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쿨런트 탱크 자체의 이동 없이도 필터링부(200) 및 쿨런트 탱크 내부의 청소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제1 베이스
111: 지지대 120: 제2 베이스
200: 필터링부 210: 제1 트레이
211: 제1 통공 220: 제2 트레이
221: 제2 통공 222: 양측면
223: 손잡이 230: 필터

Claims (10)

  1. 공작기계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쿨런트 탱크에 있어서,
    상측면이 개구되어 공작기계에서 칩과 쿨런트가 유입되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로부터 쿨런트가 유입되어 다시 공작기계로 재순환시키는 쿨런트펌프가 배치되는 제2 베이스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1 베이스의 상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개구된 상측면에 배치되며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제1 트레이;
    상기 제1 트레이의 상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닥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통공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트레이; 및
    상기 제2 트레이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트레이 또는 제2 트레이의 상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n등분 하였을 때, 상기 제2 트레이는 상기 제1 트레이에 n-1개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는 n-1개가 상기 제2 트레이에 각각 배치되고, 한 개가 상기 제1 트레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 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는 공작기계의 가공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는 공작기계의 비가공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 탱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는 ㄱ자로 절곡되어 공작기계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 탱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는 상측으로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트레이는 양측면이 상기 제1 트레이 방향으로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 탱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트레이의 측면의 높이는 다른 세 개의 측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 탱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레이는 상기 양측면이 형성되지 않은 두 개의 변에 상측으로 형성된 손잡이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 탱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에는 상기 제1 트레이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바가 적어도 두 개 이상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 탱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공은 복수 개가 하나의 군을 형성하여 상기 제2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은 상기 제2 통공에 대향되도록 상기 제1 트레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런트 탱크.
KR1020190017459A 2019-02-14 2019-02-14 쿨런트 탱크 KR10266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459A KR102665419B1 (ko) 2019-02-14 2019-02-14 쿨런트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459A KR102665419B1 (ko) 2019-02-14 2019-02-14 쿨런트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48A KR20200099448A (ko) 2020-08-24
KR102665419B1 true KR102665419B1 (ko) 2024-05-10

Family

ID=72235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459A KR102665419B1 (ko) 2019-02-14 2019-02-14 쿨런트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4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56B1 (ko) * 2005-09-01 2007-03-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칩 컨베이어에 부속되는 칩/절삭유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3025Y1 (ko) * 1996-11-12 1999-06-01 추호석 공작기계의 칩 팬 분리형 절삭유 탱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56B1 (ko) * 2005-09-01 2007-03-0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칩 컨베이어에 부속되는 칩/절삭유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448A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0923B2 (ja) 工作機械
JP2006326740A (ja) 工作機械
DE10144678A1 (de) Fräs-und Bohrbearbeitungszentrum
CN211465058U (zh) 一种排盘机零件加工用切削装置
KR100957607B1 (ko) 절삭칩 수거장치를 갖는 절삭기
KR102665419B1 (ko) 쿨런트 탱크
US20060207396A1 (en) Lathe, and Machining System Equipped with the Lathe
KR102602660B1 (ko) 공작기계의 폐유회수장치
KR20200106667A (ko) 공작기계용 슬라이딩 커버
KR20210122612A (ko) 공작기계의 절삭유 탱크 장치
KR20200127540A (ko) 공작기계
KR102454644B1 (ko) 수직형 공작기계의 커버장치
KR20190096017A (ko) 칩 컨베이어 장치
KR102347406B1 (ko) 공작기계의 공구 클램핑 장치
KR20210082887A (ko) 공작기계용 쿨런트 필터장치
CN220312669U (zh) 一种防止废料渣堆积的数控卧式加工中心
CN212043732U (zh) 一种机床用托盘更换装置及机床加工系统
CN220887115U (zh) 一种加工中心油水分离装置
KR200177995Y1 (ko) 칩수거기능을갖는절삭유탱크의필터
CN212071274U (zh) 一种数控车床的除屑机构
CN212217743U (zh) 一种立式数控钻孔攻丝加工中心
KR20220086296A (ko) 멀티 쿨런트 크리닝 유닛
CN216371256U (zh) 一种装载刀库的数控铣床
KR102595165B1 (ko) 터닝센터의 크로스 슬라이드
KR20230158807A (ko) 공작기계의 가공룸 칩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