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8867A -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 Google Patents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8867A
KR20220028867A KR1020200110464A KR20200110464A KR20220028867A KR 20220028867 A KR20220028867 A KR 20220028867A KR 1020200110464 A KR1020200110464 A KR 1020200110464A KR 20200110464 A KR20200110464 A KR 20200110464A KR 20220028867 A KR20220028867 A KR 20220028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disposed
main body
sides
cen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욱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8867A/ko
Publication of KR2022002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5Frames, bed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23Q1/017Arrangements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3Devices for removing chips using the gravit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75Devices for removing chips for removing chips or coolant from the workpiece after mach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후측부에 형성되는 주축 조립체 장착부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ATC 장착부가 배치되는 제1 사이드와,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케이블베어 장착부가 배치되는 제2 사이드와,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주축 조립체 장착부의 하측 내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제1,2 사이드 사이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센터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되며 보수작업이 좋고 절삭칩 및 절삭유의 누출/누설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BED AND MACHINE TOOL HAVING THIS}
본 발명은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되며 보수작업이 좋고 절삭칩 및 절삭유의 누출/누설을 차단할 수 있는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란, 가공 소재를 작업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기계장치를 총칭한다. 최근에는 NC(Numerical Control) 공작기계가 주로 사용되는데, 입력되는 각종 수치 정보를 기반으로 가공 재료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을 하는 자동기계장치를 말한다.
공작기계의 일 형태는 소재를 가공하는 툴(tool)이 장착된 툴포트(tool port)가 주축의 전단부에 결합되고, 주축이 회전하면서 툴이 소재를 가공하는 구조이다.
소재를 다양한 크기, 형태, 치수 등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툴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
통상 공작기계에는 다양한 툴이 보관되고 공급되는 교환장치가 배치된다. 그 형태로는 매거진 타입(magazine type), 터렛 타입(turret type) 등이 있다.
여기서 매거진 타입의 경우, 매거진에서 툴포트를 클램핑하고 자동툴교환장치(ATC;Auto Tool Changer)에 대응되는 위치까지 이송시키면, 자동툴교환장치가 주축의 전단부로 툴포트를 교체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공작기계용 베드(1)의 일 형태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베드(1)의 일 형태는, 베드바디(2)와, 베드바디(2)의 내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관통부(3), 관통부(3)에 배치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미도시), 베드바디(2)의 후미에 형성되는 주축 조립체 장착부(4), 베드바디(2)의 일측에 형성되는 ATC 장착부(5) 및 베드바디(2)의 타측에는 스플레쉬 가드(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6)이 장착된다.
종래 베드(1)의 경우 절삭칩 및 절삭유를 배출하기 위해 스파이럴 컨베이어를 배치할 관통부(3)를 만들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주물 형상이 필요하여 베드(1) 바닥면과의 최소 높이와 폭이 증가하게 된다. 즉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또한 경량화가 어렵다.
그리고 스플레쉬 가드를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6)이 요구되므로, 조립 공수 및 원가 상승이 발생하고, 베드(1)이 외부로 절삭칩/절삭유 누출시 별도의 보안 커버가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작비용 절감, 경량화 및 절삭칩/절삭유의 누출을 차단하고 효과적으로 취합하여 배출 할 수 있는 베드 구조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경량화되며 보수작업이 좋고 절삭칩 및 절삭유의 누출/누설을 차단할 수 있는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후측부에 형성되는 주축 조립체 장착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ATC 장착부가 배치되는 제1 사이드;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케이블베어 장착부가 배치되는 제2 사이드;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주축 조립체 장착부의 하측 내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제1,2 사이드 사이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센터라인;을 포함하되, 공작기계의 가공 중 발생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는 상기 센터라인으로 취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터라인은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작기계의 가공 중 발생되는 절삭칩과 절삭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센터라인과 상기 제1,2 사이드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배치되는 배리어블록;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바디는, 양측부에 상기 제1,2 사이드가 배치되는 제1 바디부; 및 상부에는 주축 조립체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제1 사이드의 하단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이드를 지지하는 제1 지지빔;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제2 사이드의 하단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사이드를 지지하는 제2 지지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사이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선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공작기계는 베드; 재료를 가공하기 위해, 상기 베드의 주축 조립체 장착부에 장착되는 주축 조립체; 상기 주축 조립체의 주축에 툴을 교환하기 위해, 상기 베드의 제1 사이드에 배치된 ATC 장착부에 장착되는 ATC; 및 상기 베드의 제1,2 사이드에 장착되는 보수창; 절삭칩 및 절삭유가 상기 베드의 센터라인으로 취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수창에서 상기 제1,2 사이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라인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판; 및 상기 경사판의 하부와 상기 제2 사이드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베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드의 중앙측에 절삭칩 및 절삭유의 배출 구조를 구성하고 보수창에 경사판을 만듦으로써, 가공 작업 중 발생되는 절삭칩 및 절삭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ATC, 케이블베어를 베드의 상부에 조립함에 따라 각종 배선 작업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종래 베드 구조와 같은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이것이 배치되는 관통홀 가공 구조가 아니라, 중앙측을 통해 배출되는 간단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전반적인 크기가 축소되어 제작단가가 감소하고 경량화에 유리하다.
도 1은 종래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상부 일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상부 타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하부 일측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하부 타측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전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
도 10은 본 발명인 베드의 구조를 나타낸 하면도.
도 11은 도 7에 표시된 A-A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베드에 보수창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인 베드에 보수창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인 베드에 보수창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베드에 보수창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전면도.
도 16은 본 발명인 베드에 보수창이 장착된 구조를 나타낸 후면도.
도 17은 도 14에 표시된 B-B 측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인 베드가 장착된 공작기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베드(100)는 메인바디(110), 주축 조립체 장착부(120), 제1 사이드(130), 제2 사이드(140), 개구부(170), 센터라인(160), 배리어블록(162), 제1 지지빔(132), 제2 지지빔(142) 및 배선공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10)는 공작기계(10)와 같은 지지대상물의 하단에 배치되어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금속프레임 조립체일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10)는 상기 제1,2 사이드(130,140)가 양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제1 바디부(111) 및 상부에는 상기 주축 조립체 장착부(120)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부(111)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130)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ATC 장착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ATC 장착부(131)은 상기 ATC 장착부(131)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엄밀하게는 상기 제1 사이드(130)는 상기 제1 바디부(111)의 일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빔(132)은 상기 제1 바디부(111)의 측면과 상기 제1 사이드(130)의 하단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이드(130)를 지지하는 삼각 형상의 금속판일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드(140)는 상기 메인바디(110)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케이블베어 장착부(141)가 배치될 수 있다. 엄밀하게는 상기 제2 사이드(140)는 상기 제1 바디부(11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빔(142)은 상기 제2 바디부(112)의 측면과 상기 제2 사이드(140)의 하단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사이드(140)를 지지하는 삼각 형상의 금속판일 수 있다.
상기 제1,2 사이드(130,140)의 상단면에는 복수개의 보수창 장착부(134,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수창(40)은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보수창 장착부(134,144)에 볼트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을 참고하면, 상기 개구부(170)는 상기 메인바디(110)에서 상기 주축 조립체 장착부(120)의 하측 내부를 관통하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라인(160)은 상기 메인바디(110)에서 상기 제1,2 사이드(130,140) 사이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터라인(160)에서 취합된 절삭칩 및 절삭유는 상기 개구부(170)를 따라 상기 베드(100)의 후미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센터라인(160)은 상기 메인바디(110)상에서 상기 개구부(170)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부(16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작기계(10)의 가공 중 발생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는 상기 센터라인(160)으로 취합되고, 상기 개구부(170)를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라인(160)은 상기 개구부(170)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센터라인(160)에서 상기 개구부(170)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흘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블록(162)은 공작기계(10)의 가공 중 발생되는 절삭칩과 절삭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센터라인(160)과 상기 제1,2 사이드(130,140)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베드(100)의 상부에는 보수창(4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보수창(40)의 내측에는 한 쌍의 경사판(41)이 상기 센터라인(16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주축 공구가 재료를 절삭 가공할 때 절삭칩과 절삭유가 날리면서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경사판(41)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베드(100)의 중앙측에 배치된 상기 센터라인(160)으로 취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터라인(160)의 양측부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형상의 상기 배리어블록(162)이 배치되어 있어서, 낙하하는 절삭칩이나 절삭유는 상기 제1,2 사이드(130,140)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배선공간부(150)는 상기 제2 사이드(14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엄밀하게는 상기 제1 바디부(111)의 측부와 상기 제2 사이드(140)의 하부 사이의 공간에 배선공간부(150)가 형성됨으로써, 배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차후 배선 유지/보수 작업시 편의성이 좋아지게 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베드(100)에 보수창(40)에 장착된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베드(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2 사이드(130,14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보수창 장착부(134,144;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수창(40)은 복수개의 상기 보수창 장착부(134,144)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수창(40)의 내측에는 한 쌍의 경사판(4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41)은 상기 센터라인(16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삭 가공 중에 발생하는 절삭칩 및 절삭유는 상기 경사판(41)을 따라 흘러 상기 센터라인(160)으로 취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센터라인(160)은 상기 베드(100)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절삭칩 및 절삭유를 상기 베드(100)의 중앙측으로만 모이도록 해 주면 간단하게 절삭칩 및 절삭유를 취합하여 배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종래 베드(1) 구조의 경우 한 쌍의 스파이럴 컨베이어가 베드(1)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절삭칩 및 절삭유의 취합이 집중되지 않고 흩어지게 되므로 취합이 간단하지 않다. 그리고 한 쌍의 스파이럴 컨베이어가 배치되는 관통부(3)를 형성해야 하므로 종래 베드(1)의 크기 자체가 커지게 되어 중량화되는 한계가 있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는 절삭칩 및 절삭유가 상기 베드(100)의 중앙측으로 모이도록 하여 상기 센터라인(160)에 취합되고, 상기 센터라인(160)의 경사부(161)를 따라 상기 개구부(170)로 흐르도록 한 후, 상기 베드(100)의 후미로 배출되는 구조로 이뤄진다.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센터라인(160)에 형성된 경사부(161)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센터라인(160)에 취합된 절삭칩 및 절삭유는 중력에 의해 상기 경사부(161)를 따라 상기 개구부(170)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개구부(170)를 통과하여 베드(100)의 하무를 통해 배출된다.
즉 절삭칩 및 절삭유의 취합 및 배출을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였고, 이에 따라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베드(100)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베드(100)가 적용된 공작기계(10)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는 베드(100), 주축 조립체(20), ATC 장착부(131) 및 보수창(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드(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바디(110), 주축 조립체 장착부(120), 제1 사이드(130), 제2 사이드(140), 개구부(170), 센터라인(160), 배리어블록(162), 제1 지지빔(132), 제2 지지빔(142) 및 배선공간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드(10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10)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받침대(1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축 조립체(20)는 재료를 가공하기 위해, 상기 베드(100)의 주축 조립체 장착부(120)에 볼트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주축에는 다양한 툴이 장착되어 재료를 가공할 수 있다.
상기 ATC 장착부(131)은 상기 주축 조립체(20)의 주축에 툴을 교환하기 위해, 상기 베드(100)의 제1 사이드(130)에 배치된 ATC 장착부(131)에 볼트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TC 장착부(131)은 툴 매거진 조립체일 수 있다.
상기 보수창(40)은 상기 베드(100)의 제1,2 사이드(130,140)에 형성된 보수창 장착부(134,144)에 볼트 체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8에서는 ATC 장착부(131)을 표현하기 위해 ATC 장착부(131) 방향측에 배치되는 보수창(40)은 생략하였다. ATC 장착부(131)을 표현하기 위해 ATC 장착부(131) 방향측에 배치되는 보수창(40)은 도 12을 참고하면 확인할 수 있다. 제1 사이드(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수창(40) 부분이다.
상기 보수창(40)의 내부에는 절삭칩 및 절삭유가 상기 베드(100)의 센터라인(160)으로 취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수창(40)에서 상기 제1,2 사이드(130,1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라인(160)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판(4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수창(40)의 경사판(41) 하부와 상기 제2 사이드(140)의 상부에 케이블베어(50)가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절삭 가공 중에 발생되는 절삭칩 및 절삭유는 상기 보수창(40)으로 날아가고 중력에 의해 상기 경사판(41)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41)의 경사방향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센터라인(160)으로 취합된다.
이때 상기 센터라인(160)의 양측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리어블록(162)이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경사판(41)에서 낙하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는 상기 제1,2 사이드(130,140)로는 누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에 따라 상기 베드(100)의 중앙측에 절삭칩 및 절삭유의 배출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보수창(40)에 상기 경사판(41)을 만듦으로써, 가공 작업 중 발생되는 절삭칩 및 절삭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TC 장착부(131) 및 상기 케이블베어(50)를 상기 베드(100)의 제1,2 사이드(130,140) 상부에 조립함에 따라 각종 배선 작업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종래 베드(100) 구조와 같은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이것이 배치되는 관통홀 가공 구조가 아니라, 중앙측을 통해 배출되는 간단한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베드(100)뿐만 아니라 공작기계(10)의 전반적인 크기가 축소되어 제작단가가 절감하고 경량화에 유리하다.
이상의 사항은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공작기계 20:주축 조립체
30:ATC(AUTO TOOL CHANGER) 40:보수창
41:경사판 50:케이블베어
100:베드 110:메인바디
111:제1 바디부 112:제2 바디부
114:받침부
120:주축 조립체 장착부 130:제1 사이드
131:ATC 장착부 132:제1 지지빔
140:제2 사이드 141:케이블베어 장착부
142:제2 지지빔 150:배선공간부
160:센터라인 161:경사부
162:배리어블록 170:개구부

Claims (7)

  1.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후측부에 형성되는 주축 조립체 장착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ATC 장착부가 배치되는 제1 사이드;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케이블베어 장착부가 배치되는 제2 사이드;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주축 조립체 장착부의 하측 내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제1,2 사이드 사이의 중앙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는 센터라인;을 포함하되,
    공작기계의 가공 중 발생되는 절삭칩과 절삭유는 상기 센터라인으로 취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라인은 상기 메인바디상에서 상기 개구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공작기계의 가공 중 발생되는 절삭칩과 절삭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센터라인과 상기 제1,2 사이드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배치되는 배리어블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양측부에 상기 제1,2 사이드가 배치되는 제1 바디부; 및
    상부에는 주축 조립체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디부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제2 바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제1 사이드의 하단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사이드를 지지하는 제1 지지빔;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측면과 상기 제2 사이드의 하단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사이드를 지지하는 제2 지지빔;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선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드.
  7. 제1항의 베드;
    재료를 가공하기 위해, 상기 베드의 주축 조립체 장착부에 장착되는 주축 조립체;
    상기 주축 조립체의 주축에 툴을 교환하기 위해, 상기 베드의 제1 사이드에 배치된 ATC 장착부에 장착되는 ATC; 및
    상기 베드의 제1,2 사이드에 장착되는 보수창;
    절삭칩 및 절삭유가 상기 베드의 센터라인으로 취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수창에서 상기 제1,2 사이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센터라인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판; 및
    상기 경사판의 하부와 상기 제2 사이드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베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KR1020200110464A 2020-08-31 2020-08-31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KR20220028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64A KR20220028867A (ko) 2020-08-31 2020-08-31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464A KR20220028867A (ko) 2020-08-31 2020-08-31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867A true KR20220028867A (ko) 2022-03-08

Family

ID=8081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464A KR20220028867A (ko) 2020-08-31 2020-08-31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288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989B1 (ko) * 2022-02-08 2022-10-17 김채봉 수평 유지력 및 위치고정 안정성을 갖춘 머시닝센터의 베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989B1 (ko) * 2022-02-08 2022-10-17 김채봉 수평 유지력 및 위치고정 안정성을 갖춘 머시닝센터의 베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2080B1 (en) Machine tool
JP4650923B2 (ja) 工作機械
EP1862253A1 (en) Machine tool
CZ62793A3 (en) Metal-cutting center composed of structural unit-built units
KR20170088777A (ko) 공작 기계, 특히 멀티-스핀들 밀링 머신
CN101663128A (zh) 机床
WO2018070416A1 (ja) 工作機械
WO2019065438A1 (ja) 加工装置
KR20220028867A (ko) 베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KR20110006582U (ko) 주조 또는 단조된 외륜을 가공하기 위한 기계 및 그 방법
KR100957607B1 (ko) 절삭칩 수거장치를 갖는 절삭기
KR20130050686A (ko) 자동공구교환장치의 매거진용 도어장치
CN202447979U (zh) 机床
KR102057727B1 (ko) 멀티 가공형 머시닝 센터
KR101868559B1 (ko) 좌우 대칭형 공작 모듈을 갖는 머시닝 센터
KR20200106667A (ko) 공작기계용 슬라이딩 커버
KR101892089B1 (ko) 밀폐형 로봇 주행용 이동 대차
KR102602660B1 (ko) 공작기계의 폐유회수장치
JP2000061755A (ja) 工作機械
JPH01146631A (ja) 立形工作機械におけるテーブルの装架構造
CN113976953B (zh) 一种带激光定位的链轨节点式数控分度镗孔机
US7237991B2 (en) Machine tool
JPH04294946A (ja) 工作機械の機体形態
CN208117344U (zh) 一种用于机械加工的刀具换装机器人
JP2022117739A (ja) 工作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