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988B1 -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4988B1
KR102664988B1 KR1020230161595A KR20230161595A KR102664988B1 KR 102664988 B1 KR102664988 B1 KR 102664988B1 KR 1020230161595 A KR1020230161595 A KR 1020230161595A KR 20230161595 A KR20230161595 A KR 20230161595A KR 102664988 B1 KR102664988 B1 KR 10266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osk
central server
screen
smartphone
activ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엠피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엠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엠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07F9/0235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the arrangements being full-front touchscreen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신원정보가 기록된 사용자 DB(40)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키오스크(200)의 시작신호로써 키오스크(200)의 첫화면이 활성화되는 활성화단계(S11); 중앙서버(10)가 키오스크(200)의 화면에 여행, 교육, 알림 및 게임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S12); 상기 여행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복수의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목록을 활성화하는 단계(S13); 상기 교육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스마트폰 배우기, 키오스크 배우기 및 키오스크 체험해보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4); 상기 스마트폰 배우기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스마트폰 이해하기, 스마트폰 기본상태 설정하기, 인터넷 연결방법, 인터넷 접속방법, 앱의 종류 및 설치방법, 앱 관리 및 삭제방법 및 스마트폰 장애 대처법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5); 상기 키오스크 배우기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키오스크 이해하기, ATM이용방법, 무인발급기 이용법,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법, 카페 키오스크 이용법, 기차표 예약 키오스크 이용법 및 고속버스 키오스크 이용법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6); 상기 키오스크 체험해보기가 선택되고 중앙서버(10)가 헬프 신호 및 사용자 신원정보의 스캔 정보를 받으면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화상카메라(333), 스피커(444) 및 마이크(555)를 켜고 사용자 DB에 저장된 보조자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보조자 단말(30)과 키오스크(200) 간에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S17); 중앙서버(10)가 보조자 단말(30)의 화면에 키오스크(200) 화면을 동기화시키고 보조자 단말(30) 및 키오스크 화면의 일측에 화상 대화창을 띄우는 단계(S18); 상기 알림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행사홍보 및 재난안전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9); 및, 상기 게임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같은 그림 맞추기, 두더지 잡기 및 우리 마을길 찾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20);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인들이 현장에 있는 키오스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신분증만 있다면 원격에 있는 가족이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 자연스럽게 친숙해지도록 함으로써 노인들에게 다양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Improving method for Kiosk utilization of Elderly people}
본 발명은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를 교육과 게임을 통해 개선하고, 각종 정보를 제공해주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현재 고령화 속도가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노인의 삶의 질은 OECD 국가 중 최악이다. 더욱이 디지털로 연결된 초연결사회에서 산업의 발전은 노인에겐 그림의 떡이 되어 버렸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 후 사회참여의 기회 확대와 문화향유의 증가와 같은 정보화 사회에서 현재의 노인층에게는 너무 빠른 시대변화로 체감되고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부족은 곧 도태를 의미하며 실제로 젊은 세대와의 정보 격차가 존재한다.
이렇게 고령화는 지속되고 정보화 시대는 급변하고 있지만, 디지털 기기 소외계층은 여전히 존재한다. 공공기관이나 서비스업은 나날이 자동화되어 무인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외계층에 대한 무인 단말기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시키고, 정보 공유 한계를 극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려면 노인에게 반복적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지만, 이는 교육기관에 직접 방문해야만 수강이 가능하고 교육 일정 및 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장기적, 반복적인 교육 수강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407214호 '노인치매 예방 및 인지건강 증진을 위한 키오스크형 노인상태관리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에서는, 노인들이 현장에 있는 키오스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신분증만 있다면 원격에 있는 가족이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 자연스럽게 친숙해지도록 하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작신호에 의해서만 키오스크를 켜되 노인들의 키오스크 시작신호는 돋보기 안경이나 다른 장치에 의하도록 하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노인들이 자발적으로 집중력을 발휘해서 키오스크 사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게임을 통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신원정보가 기록된 사용자 DB(40)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키오스크(200)의 시작신호로써 키오스크(200)의 첫화면이 활성화되는 활성화단계(S11); 중앙서버(10)가 키오스크(200)의 화면에 여행, 교육, 알림 및 게임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S12); 상기 여행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복수의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목록을 활성화하는 단계(S13); 상기 교육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스마트폰 배우기, 키오스크 배우기 및 키오스크 체험해보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4); 상기 스마트폰 배우기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스마트폰 이해하기, 스마트폰 기본상태 설정하기, 인터넷 연결방법, 인터넷 접속방법, 앱의 종류 및 설치방법, 앱 관리 및 삭제방법 및 스마트폰 장애 대처법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5); 상기 키오스크 배우기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키오스크 이해하기, ATM이용방법, 무인발급기 이용법,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법, 카페 키오스크 이용법, 기차표 예약 키오스크 이용법 및 고속버스 키오스크 이용법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6); 상기 키오스크 체험해보기가 선택되고 중앙서버(10)가 헬프 신호 및 사용자 신원정보의 스캔 정보를 받으면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화상카메라(333), 스피커(444) 및 마이크(555)를 켜고 사용자 DB에 저장된 보조자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보조자 단말(30)과 키오스크(200) 간에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S17); 중앙서버(10)가 보조자 단말(30)의 화면에 키오스크(200) 화면을 동기화시키고 보조자 단말(30) 및 키오스크 화면의 일측에 화상 대화창을 띄우는 단계(S18); 상기 알림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행사홍보 및 재난안전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9); 및, 상기 게임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같은 그림 맞추기, 두더지 잡기 및 우리 마을길 찾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20);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신원정보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함께 보조자의 연락처 및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활성화단계(S11)의 시작신호는,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돋보기 안경용 거치대(100)로부터 돋보기 안경(400)을 들어올리거나 거치대(100)를 위로 올림으로써 발생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100)는, 일단에 끼움홀(110)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홀(120)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전도성의 상부 무게추(130) 및 하부 무게추(140)가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관통홀(120)에는 키오스크(20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홈(210)의 마주보는 수직면을 잇는 중심핀(220)이 관통하고, 측면홈(210)의 천장에는 상부 전극쌍(211)이 형성되며 측면홈(210)의 바닥에는 하부 전극쌍(2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무게추(130) 또는 하부 무게추(140)가 돋보기 안경(400)의 착탈에 따라 키오스크(200)에 형성된 상호 이격된 상부 전극쌍(211) 또는 하부 전극쌍(213)을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인들이 현장에 있는 키오스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신분증만 있다면 원격에 있는 가족이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 자연스럽게 친숙해지도록 함으로써 노인들에게 다양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작신호에 의해서만 키오스크를 켜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족들이 실시간으로 노인들의 조작화면을 보면서 안내해 줌으로써, 노인들이 자발적으로 집중력을 발휘해서 키오스크 사용법을 숙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을 통하여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요소, 그리고 동일한 기능 및/또는 동일한 기술적 또는 물리적 효과를 갖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거나 동일한 명칭으로 식별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 또는 설명된 요소 및 그 기능의 설명은 서로 교환가능하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 및 돋보기 안경(40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투명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에 돋보기 안경이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투명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에 돋보기 안경(400)이 설치된 키오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여행, 교육, 알림 및 게임 버튼의 키오스크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영상재생목록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여행지 선택 메뉴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스마트폰 배우기, 키오스크 배우기 및 키오스크 체험해보기 메뉴를 나타낸 키오스크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키오스크 이해하기, ATM이용방법, 무인발급기 이용법,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법, 카페 키오스크 이용법, 기차표 예약 키오스크 이용법 및 고속버스 키오스크 이용법 메뉴를 나타내는 키오스크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은행 ATM, 패스트푸드점, 카페, 병원, 기차역 및 고속버스 터미널의 키오스크 체험 메뉴들을 활성화시킨 키오스크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키오스크 체험 중 은행 키오스크를 체험해보는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키오스크 체험 중 화상통화가 연결된 화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각각 행사홍보 및 재난안전 메뉴가 활성화된 화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같은 그림 맞추기, 두더지 잡기 및 우리 마을길 찾기 메뉴를 나타낸 키오스크 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진행중인 게임들을 나타낸 키오스크 화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을 수행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 신원정보가 기록된 사용자 DB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를 진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신원정보란 노인들의 주민등록번호를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사진 스캔 정보나 주소 등을 포함한다.
특히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함께 보조자의 연락처 및 주소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보조자란 보통 가족이나 친척관계일 수 있으며 현장 안내원일 수도 있다.
또한 보조자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화상통화가 가능한 보조자 단말(30)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좋다. 보조자 단말(30)은 내부 저장장치에 헬프 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이 좋다. 여기서 헬프 앱이란 키오스크(200)의 화면과 동기화되고 일측에 화상통화 화면이 활성화되도록 프로그래밍된 어플리케이션을 말한다.
사용자 DB는 중앙서버(1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DB)를 의미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주로 노인들이 될 것이며, 특정 노인과 관계된 보조자의 정보가 사용자 신원정보와 함께 사용자 DB에 기록된다.
따라서 노인들이 신분증을 가지고 있다면 신원정보를 이용하여 키오스크(200)가 있는 어디서나 보조자의 연락처로 연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인들은 신용카드는 분실 위험과 타인의 도용을 우려해서 소지하고 다니지 않는다. 대신에 신분증은 항상 소지하고 다니므로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스캔장비로 노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키오스크(200)의 시작신호로써 키오스크(200)의 첫화면이 활성화되는 활성화단계(S11)를 진행한다.
상기 활성화단계(S11)의 시작신호는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돋보기 안경용 거치대(100)로부터 돋보기 안경(400)을 들어올리거나 거치대(100)를 위로 올림으로써 발생함이 좋다.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미사용시에는 키오스크(200) 화면을 꺼두고, 시작신호에 의해서 화면이 켜지는 것이 좋다.
한편 노인들이 돋보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노안이기 때문에 키오스크(200) 화면상의 글씨 폰트를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대(100)는 일단에 끼움홀(110)이 형성되고 무게중심에 관통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20)에는 키오스크(20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홈(210)의 마주보는 면을 잇는 중심핀(220)이 관통한다.
한편 타단에는 전도성의 무게추가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의 무게추가 각각 키오스크(200)의 측면홈(210)의 천장 및 바닥에 형성된 상호 이격된 상부 전극쌍(211) 또는 하부 전극쌍(213)을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도통시킨다.
무게추는 탄력이 있는 전도체인 것이 좋다.
상부 전극쌍(211)은 상호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상부 무게추(130)의 접촉에 의하여 도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전극쌍(213)은 상호 전기적으로 이격되어 있다가 상부 무게추(130)의 접촉에 의하여 도통할 수 있다.
이처럼 키오스크(200) 또는 중앙서버(10)가 상부 전극쌍(211) 또는 하부 전극쌍(213)의 도통여부에 따라 어느 전극쌍이 도통되었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거치대(100)의 일측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손잡이를 형성함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 및 돋보기 안경(400)이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투명사시도이다.
도 4에서처럼 본 발명의 거치대(100)는 돋보기 안경(400)의 안경다리가 끼움홀(110)에 끼워진 경우에는 돋보기 안경(400)의 무게때문에 상부 무게추(130)가 상부 전극쌍(211)에 접촉하여 상부 전극쌍(211)을 도통시킨다. 따라서 도통된 폐회로에 의하여 돋보기 안경(400)이 거치되어 있다는 것을 키오스크(200) 또는 중앙서버(10)가 인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에 돋보기 안경(400)이 탈거된 모습을 나타낸 투명사시도이다.
도 5에서처럼, 돋보기 안경(400)이 없는 경우 무게추의 무게에 의하여 하부 무게추(140)가 하부 전극쌍(213)을 도통시킨다. 이에 따라 도통된 폐회로에 의하여 돋보기 안경(400)이 탈거되어 있다는 것을 키오스크(200) 또는 중앙서버(10)가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키오스크(200)에 아무런 조작행위가 없다면 하부 전극쌍(213)이 계속 통전되는 상태이므로 돋보기 안경(400)의 도난으로 판단해서 키오스크(200)가 알림경보를 외부로 하는 것이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의 시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거치대(100)에 돋보기 안경(400)이 설치된 키오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키오스크(200)의 상부에는 화상카메라(333)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스피커(444) 및 마이크(555)(microphone)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거치대(100)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키오스크(200)의 수평측이 아니라 수직 측면에서 돋보기 안경(400)이 거치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중앙서버(10)가 키오스크(200)의 화면에 여행, 교육, 알림 및 게임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S12)를 진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여행, 교육, 알림 및 게임 버튼의 키오스크 화면이다.
사용자 노인들은 첫 화면으로서 여행, 교육, 알림 및 게임 버튼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여행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복수의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목록을 활성화하는 단계(S13)를 진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영상재생목록을 나타낸 화면이다.
복수의 영상들을 영상재생목록에서 선택해서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함이 좋다. 또는 국내 또는 국외의 여행지를 선택하여 관련 영상을 재생하는 것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여행지 선택 메뉴를 나타낸 화면이다. 영상은 단순한 동영상일 수 있고, 가상현실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만약 상기 교육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스마트폰 배우기, 키오스크 배우기 및 키오스크 체험해보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4)를 진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스마트폰 배우기, 키오스크 배우기 및 키오스크 체험해보기 메뉴를 나타낸 키오스크 화면이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 배우기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스마트폰 이해하기, 스마트폰 기본상태 설정하기, 인터넷 연결방법, 인터넷 접속방법, 앱의 종류 및 설치방법, 앱 관리 및 삭제방법 및 스마트폰 장애 대처법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5)를 진행한다.
상기 스마트폰 이해하기, 스마트폰 기본상태 설정하기, 인터넷 연결방법, 인터넷 접속방법, 앱의 종류 및 설치방법, 앱 관리 및 삭제방법 또는 스마트폰 장애 대처법 메뉴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는 이에 관한 동영상을 키오스크(200)를 통해서 재생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키오스크 배우기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키오스크 이해하기, ATM이용방법, 무인발급기 이용법,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법, 카페 키오스크 이용법, 기차표 예약 키오스크 이용법 및 고속버스 키오스크 이용법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6)를 진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키오스크 이해하기, ATM이용방법, 무인발급기 이용법,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법, 카페 키오스크 이용법, 기차표 예약 키오스크 이용법 및 고속버스 키오스크 이용법 메뉴를 나타내는 키오스크 화면이다.
도 11에서 보듯이, 키오스크 이해하기, ATM이용방법, 무인발급기 이용법,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법, 카페 키오스크 이용법, 기차표 예약 키오스크 이용법 또는 고속버스 키오스크 이용법 메뉴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는 이에 관한 동영상을 키오스크(200)를 통해서 재생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키오스크 체험해보기가 선택되고 중앙서버(10)가 헬프 신호 및 사용자 신원정보의 스캔 정보를 받으면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화상카메라(333), 스피커(444) 및 마이크(555)를 켜고 사용자 DB에 저장된 보조자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보조자 단말(30)과 키오스크(200) 간에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S17)를 진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은행 ATM, 패스트푸드점, 카페, 병원, 기차역 및 고속버스 터미널의 키오스크 체험 메뉴들을 활성화시킨 키오스크 화면이다.
상기 키오스크 체험 메뉴들 중 하나라도 선택되면 실제 그 장소에서 설치된 키오스크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키오스크 화면 중앙에 활성화되고, 측면에서는 각종 버튼의 기능들과 안내 문구들을 표시하고, 다른 장소의 키오스크 화면으로 이동하는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좋다.
도 13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키오스크 체험 중 은행 키오스크(200)를 체험해보는 화면이다.
도 13에서, 특히 '헬프'를 터치하면 키오스크(200)가 헬프 신호를 중앙서버(10)에 보내고 키오스크(200)의 스캔 장비로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하도록 한다. 스캔된 정보를 이용하여 중앙서버(10)는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화상카메라(333), 스피커(444) 및 마이크(555)를 켜고 사용자 DB에 저장된 보조자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보조자 단말(30)과 키오스크(200) 간에 화상 통화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중앙서버(10)는 보조자 단말(30)의 화면에 키오스크(200) 화면을 동기화시키고 보조자 단말(30) 및 키오스크(200) 화면의 일측에 화상 대화창을 띄우는 단계(S18)를 진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키오스크 체험 중 화상통화가 연결된 화면이다.
보조자는 일반적으로 가족일 수 있으며, 노인들은 가족의 안내를 받으면서 한층 집중력을 발휘해서 키오스크 사용법을 배울 수 있다. 노인들은 자식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더욱 집중해서 배우기를 시도할 것이므로 학습효과가 최대가 된다. 비단 보조자가 가족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현장에서 안내하는 직원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알림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행사홍보 및 재난안전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9)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각각 행사홍보 및 재난안전 메뉴가 활성화된 화면들이다.
행사홍보나 재난안전 내용은 수시로 업데이됨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게임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같은 그림 맞추기, 두더지 잡기 및 우리 마을길 찾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20)를 진행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활성화된 같은 그림 맞추기, 두더지 잡기 및 우리 마을길 찾기 메뉴를 나타낸 키오스크 화면이다.
도 16에서처럼 게임을 통해서 노인들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같은 그림 맞추기는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고, 두더지 잡기는 인지능력과 화면 터치 능력을 향상시키며, 우리 마을 길 찾기는 기억력을 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에 있어서, 진행중인 게임들을 나타낸 키오스크 화면이다.
각 게임들은 시간을 정해서 게임을 수행하도록 함이 순발력을 기르는데 좋다.
도 18은 본 발명의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을 수행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키오스크(200)는 중앙서버(10)와 유무선 연결되어 있고, 중앙서버(10)는 자체적으로 사용자 DB(40)를 구축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자 단말(30)이 중앙서버(1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키오스크(200), 중앙서버(10), 사용자 DB(40) 및 보조자 단말(30)의 기능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이러한 프로세서는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이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상술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휴대용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저장 매체의 임의의 형태 내에 존재한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결합되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 및 저장매체는 ASIC에 위치한다. ASIC은 사용자 단말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형태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어 "예시적인"은 예, 일례, 또는 설명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여기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 특히 필수적인 특성들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변형 및 수정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 및 설명한 사항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예시적인 것이고,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그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10: 중앙서버
30: 보조자 단말
40: 사용자 DB
100: 거치대
110: 끼움홀
120: 관통홀
130: 상부 무게추
140: 하부 무게추
200: 키오스크
210: 측면홈
211: 상부 전극쌍
213: 하부 전극쌍
220: 중심핀
400: 돋보기 안경

Claims (2)

  1. 사용자 신원정보가 기록된 사용자 DB(40)를 준비하는 준비단계(S10);
    키오스크(200)의 시작신호로써 키오스크(200)의 첫화면이 활성화되는 활성화단계(S11);
    중앙서버(10)가 키오스크(200)의 화면에 여행, 교육, 알림 및 게임 버튼을 활성화하는 단계(S12);
    상기 여행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복수의 영상을 재생하는 영상재생목록을 활성화하는 단계(S13);
    상기 교육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스마트폰 배우기, 키오스크 배우기 및 키오스크 체험해보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4);
    상기 스마트폰 배우기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스마트폰 이해하기, 스마트폰 기본상태 설정하기, 인터넷 연결방법, 인터넷 접속방법, 앱의 종류 및 설치방법, 앱 관리 및 삭제방법 및 스마트폰 장애 대처법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5);
    상기 키오스크 배우기가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키오스크 이해하기, ATM이용방법, 무인발급기 이용법,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이용법, 카페 키오스크 이용법, 기차표 예약 키오스크 이용법 및 고속버스 키오스크 이용법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6);
    상기 키오스크 체험해보기가 선택되고 중앙서버(10)가 헬프 신호 및 사용자 신원정보의 스캔 정보를 받으면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화상카메라(333), 스피커(444) 및 마이크(555)를 켜고 사용자 DB에 저장된 보조자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보조자 단말(30)과 키오스크(200) 간에 화상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S17);
    중앙서버(10)가 보조자 단말(30)의 화면에 키오스크(200) 화면을 동기화시키고 보조자 단말(30) 및 키오스크 화면의 일측에 화상 대화창을 띄우는 단계(S18);
    상기 알림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행사홍보 및 재난안전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19); 및,
    상기 게임이 선택되면 중앙서버(10)가 같은 그림 맞추기, 두더지 잡기 및 우리 마을길 찾기 메뉴를 활성화하는 단계(S20);를 진행하되,
    상기 사용자 신원정보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함께 보조자의 연락처 및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화단계(S11)의 시작신호는, 키오스크(200)에 구비된 돋보기 안경용 거치대(100)로부터 돋보기 안경(400)을 들어올리거나 거치대(100)를 위로 올림으로써 발생하고,
    상기 거치대(100)는,
    일단에 끼움홀(110)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홀(120)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전도성의 상부 무게추(130) 및 하부 무게추(140)가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관통홀(120)에는 키오스크(200)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홈(210)의 마주보는 수직면을 잇는 중심핀(220)이 관통하고, 측면홈(210)의 천장에는 상부 전극쌍(211)이 형성되며 측면홈(210)의 바닥에는 하부 전극쌍(21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무게추(130) 또는 하부 무게추(140)가 돋보기 안경(400)의 착탈에 따라 키오스크(200)에 형성된 상호 이격된 상부 전극쌍(211) 또는 하부 전극쌍(213)을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
  2. 삭제
KR1020230161595A 2023-11-20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 KR102664988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988B1 true KR102664988B1 (ko) 2024-05-10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45B1 (ko) * 2020-02-17 2020-08-07 (주)지아이에듀테크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200677B1 (ko) 2019-09-06 2021-01-12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키오스크 단말 기반의 무인 자동화 장치
KR102389329B1 (ko) * 2021-04-09 2022-04-22 이우현 가변형 공간 플랫폼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677B1 (ko) 2019-09-06 2021-01-12 주식회사 디투리소스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키오스크 단말 기반의 무인 자동화 장치
KR102142645B1 (ko) * 2020-02-17 2020-08-07 (주)지아이에듀테크 교육용 키오스크 시스템
KR102389329B1 (ko) * 2021-04-09 2022-04-22 이우현 가변형 공간 플랫폼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3726B2 (ja) 情報処理装置、イベント管理サーバー、イベント参加方法、およびイベント参加管理方法
JP6205767B2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学習支援プログラム、学習支援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6347769B2 (ja) イベント管理サーバー、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イベント参加管理方法
CN103065110A (zh) 面向无线射频移动终端的在线问答方法及系统
CN108038805A (zh) 应用于校园的智慧教学管理方法
WO2015178070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記憶媒体及び情報処理方法
CN112698895A (zh) 电子设备的显示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2664988B1 (ko) 노인의 키오스크 활용도 개선 방법
CN109804407A (zh) 关心维持系统以及服务器
US8855996B1 (en) Communication network enabl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send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WO2013163672A1 (en) A communication system
Andritsou et al. MoMaP-an interactive gamified app for the Museum of Mineralogy
EP3866479A1 (en) Television playback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control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2831449B (zh) 一种应用于场馆内的手镯纽扣系统
JP5950803B2 (ja) 予約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予約管理装置の制御方法、予約管理装置、及び、入場処理システム
JP7423031B2 (ja) 武道イベントマッチング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武道イベントマッチ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9554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244254A (ja) 入退室管理装置、入退室管理方法、及び入退室管理プログラム
JP639437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6234617A (zh) 面向顾客的游戏信息管理系统和方法
JP2022131133A (ja) 情報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90473B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694027B2 (ja) 認証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ickramasinghe COVID-19: An enabler for digital acceleration
JP4724913B2 (ja) クロスワードパズル回答システム、及びサー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