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644B1 - 신발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644B1
KR102663644B1 KR1020190095494A KR20190095494A KR102663644B1 KR 102663644 B1 KR102663644 B1 KR 102663644B1 KR 1020190095494 A KR1020190095494 A KR 1020190095494A KR 20190095494 A KR20190095494 A KR 20190095494A KR 102663644 B1 KR102663644 B1 KR 10266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are device
housing
ai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974A (ko
Inventor
김희재
강석규
김자연
양희수
최사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6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8Receptacles for shoe-clean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신발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신발 관리 장치는, 하우징 및 인서트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은 내부에 신발을 수용한다. 인서트암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인서트암은 신발의 내부에 진입하여 신발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한다.

Description

신발 관리 장치{SHOE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신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먼지와 습기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온다습한 여름철에는 신발에 쉽게 땀이 차기 때문에 악취를 풍길 수 있다. 그리고 비나 눈을 맞아 젖은 신발은 잘 말려야 냄새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가죽이나 코르크 소재 신발은 물에 취약하기 때문에 빠른 습기 제거가 요구된다. 신발 관리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세균이 빠르게 번식하면서 시큼한 냄새를 유발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3681호(이하 '선행기술 1')에는 신발 건조 및 청결 유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은 상부 커버부, 송풍기 및 수직 자바라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커버부에는 아래쪽으로 바람을 송풍시키는 송풍기와, 아래쪽으로 신축이 가능한 수직 자바라관이 결합된다. 수직 자바라관은 신발의 목부에 관통되어 신발의 내부에 삽입된다. 송풍기의 바람은 수직 자바라관의 끝단이나 중간에서 나와서 신발 내부를 건조시킨다. 수직 자바라관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된다. 그리고 수직 자바라관 내측에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살균시키는 자외선램프가 장착된다.
선행기술 1은 외측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로 목부위가 짧은 신발에 삽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기술 1은 목이 긴 부츠에 사용시에는 수직 자바라관을 길게 늘여 신발 내부로 깊숙이 절곡시키며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목 부위가 짧은 신발의 경우 바람과 자외선이 안창의 신발의 목 부위나 뒷꿈치 부분에만 집중된다. 따라서 신발의 목 부위나 뒷꿈치 부분의 습기 제거와 살균 작용은 원활하지만, 신발 앞꿈치 부분의 습기 제거와 살균을 하려면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1은, 목이 긴 부츠에 사용시에는 수직 자바라관이 절곡되어 신발의 내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밀착된 부위에서 신발 내면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 자바라관이 닿은 부분은 바람의 이동이 어려워서 습기 제거가 더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1은, 사용자가 장치의 사용종료시점을 파악해야 한다. 즉, 사용자는 장치에서 신발을 꺼내 만져보거나 냄새를 맡아보기 전까지 신발의 건조상태 및 살균상태를 확인할 수 없다.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장치에서 신발을 꺼내 만져보거나 냄새를 맡아보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선행기술 1은, 신발이 과도하게 건조 및 살균될 위험성이 크다. 신발의 과도한 건조 및 살균은 신발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29483호(이하 '선행기술 2')에는 신발 살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2는 원통형 살균부와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 프레임은 체결부를 통해 신발장에 결합된다.원통형 살균부는 거치 프레임을 통해 체결부에 연결된다. 원통형 살균부에는 UV LED가 구비된다.
선행기술 2는, 신발을 원통형 살균부에 매단 상태에서 살균한다. 원통형 살균부와 신발은 마찰력을 형성하여 신발의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선행기술 2 역시, 마찰 부위에서 신발 내면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가죽 재질은 습기에 노출되었을 때 변형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신발을 원통형 살균부에 매단 상태에서 신발의 설포(tongue) 부분에 신발의 하중이 집중된다. 따라서, 선행기술 2는, 가죽 재질의 신발을 변형시킬 수 있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2는, 신발을 원통형 살균부에 매달면, UV LED가 신발의 앞꿈치 부분에 근접해진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신발이 매달린 형태에 따라 UV LED의 조사방향이 정해진다. 신발이 매달린 형태는 신발의 하중분포에 따라 달라진다. 뒤쪽이 무거운 신발은 UV LED가 안창에 접촉할 수 있다. 앞쪽이 무거운 신발은 UV LED가 안창과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 2는, 신발 앞꿈치 부분의 살균을 할 수는 있으나, 자외선을 신발 앞꿈치 부분의 구석까지 정확하게 도달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3681호 (공개일: 2018.10.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29483호 (공개일: 2016.11.09)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 내면과 마찰하여 신발 내면을 손상시키거나, 신발 내부에 공기의 이동이 느린 영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 내부 뒷꿈치 부분뿐만 아니라 앞꿈치 부분의 습기도 신속히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 앞꿈치의 가장 구석진 부분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신발의 과도한 건조 및 살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장치는, 인서트암이 신발의 내부에 진입하여 신발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신발 관리 장치는, 하우징, 케이스, 상기 인서트암, 압축기, 공급관, 브러시 및 먼지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신발을 수용한다.
상기 인서트암은,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인서트암은, 암바디 및 분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암바디는 상기 하우징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암바디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바디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암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분사부재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한다. 상기 압축기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 또는 상기 압축기의 출구에는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는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압축기의 공기를 상기 암바디 내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공급관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암바디의 상하이동시 신축할 수 있다.
상기 분사홀들은 제1 분사홀 및 제2 분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홀은 상기 신발의 앞쪽을 향해 내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홀은 상기 신발의 뒤쪽을 향해 내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홀들이 상기 제2 분사홀들보다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바디와 상기 분사부재는 구획벽에 의해 서로 기체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은 상기 암바디 내부를 지나 상기 구획벽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을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암바디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분사홀을 통해 상기 신발의 내부로 분사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신발의 밑창과 마찰하여 상기 신발 밑창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의 아래에는 먼지받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먼지받이로 먼지가 낙하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에 의해 제거된 상기 신발 밑창의 먼지는 상기 먼지받이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암은, 상기 브러시가 상기 밑창과 마찰할 때 상기 신발의 내부에서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르면서 탄성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홀들은 상기 분사부재의 탄성 압축에 의해 부분 폐색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암은, 상기 신발 내부로 먼지 유입이 차단되도록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른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분사홀들의 부분 폐색에 의한 공압 증가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르는 힘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암에는 거리센서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는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신발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는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신발 안창까지 거리뿐만 아니라 상기 신발 앞코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서트암을 상기 신발의 내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서트암을 하강시켜 상기 신발을 아래로 누를 수 있다.
상기 신발 내부 건조시 상기 인서트암이 상기 신발의 내면과 이격되면, 상기 인서트암이 상기 신발 내면과 마찰하여 상기 신발 내면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신발 내부에 공기의 이동이 느린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신발 내부의 국부적 습기 잔존이 방지된다.
상기 신발 밑창 청소시 상기 인서트암이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르면, 상기 브러시와 상기 신발 밑창의 마찰력에 의한 상기 신발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인서트암에는 각도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각도센서는 상기 거리센서의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암에는 자외선램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는 제3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신발 내부의 앞꿈치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발 앞꿈치의 가장 구석진 부분의 세균을 집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먼지받이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하우징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는 먼지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먼지받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부의 먼지는 상기 먼지받이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발 바닥 청소시 바닥의 먼지가 주위로 날리거나 상기 신발의 갑피 및 내부를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하우징 내부의 먼지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잔존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거리센서가 신발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제어부는 신발 내부 건조시 인서트암을 신발의 내면과 이격시킴으로써, 열이나 마찰에 의해 손상되지 쉬운 신발 내피의 어느 한 부분에 열에너지 및 마찰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신발의 내부에 삽입된 인서트암이 신발의 안창과 이격된 상태에서 신발의 앞꿈치 쪽으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신발 내부의 공기 흐름이 일부분에 집중되거나 약한 부분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거리센서가 신발 앞코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면, 각도센서가 거리센서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고, 자외선램프는 제3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여 신발 내부의 앞꿈치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세균의 번식이 활발한 신발의 앞꿈치 부분의 세균을 집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냄새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압축기 또는 히터의 작동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신발의 현재 상태가 반영된 적정한 건조 및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신발 관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인서트암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인서트암의 부분확대도.
도 7은 공급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8은 도 3의 신발 관리 장치의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신발 관리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3의 신발 관리 장치의 작동상태별 인서트암의 상하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도 1의 신발 관리 장치의 자외선램프의 조사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장치(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신발 관리 장치(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장치(10)는, 신발(1)의 먼지와 습기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며, 하우징(100), 케이스(200), 케어유닛(300), 감지유닛(400), 카메라(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신발(1)을 수용하는 구성으로서, 전면이 개구된 박스형태를 형성한다. 하우징(100) 내부는 케이스(200)에 장착된 도어(21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하우징(100) 내부를 '청소공간'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장착부(110)가 형성된다. 장착부(110)의 내면은 상하방향의 통로를 형성한다. 후술할 인서트암(330)은 장착부(11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인서트암(330)은 통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장착부(110)의 내면에는 먼지의 이동을 막는 브러쉬(brush)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전면은 하우징(100)에 신발(1)이 투입되는 면을 의미한다. 상술한 전면은 도 3을 기준으로 왼쪽 면을 의미한다. 하우징(100)의 밑면에는 복수의 구멍(101)이 형성된다. 청소공간의 공기 및 먼지는 구멍(101)들을 통해 하우징(100)의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하우징(100) 아래의 공간을 '하부공간'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케이스(200)는 신발 관리 장치(10)의 뼈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한다. 케이스(200)는 내부에 하우징(100), 케어유닛(300), 감지유닛(400), 제어부(600) 및 먼지받이(350)를 수용한다. 케이스(200)의 상면은 사용자가 앉는 좌석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200)의 상단부에는 쿠션(22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에는 도어(210)가 장착된다. 도어(210)를 열면, 하우징(100) 내부가 개방된다. 도어(210)를 닫으면, 하우징(100) 내부가 폐쇄된다.
도 2는 풀-다운(pull-down) 방식의 도어(210)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21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다. 또는, 도어(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도 있다.
도어(210)는 프레임(211) 및 투명창(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211)은 케이스(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프레임(211)에는 남은시간, 케어유닛(3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창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창(212)을 통해 청소공간을 관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어유닛(300)은 하우징(100)에 수용된 신발(1)의 습도 및 오염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압축기(310), 분사노즐(320), 인서트암(330) 및 브러시(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기(310)는 공기를 압축하는 구성으로서,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로 구비된다. 압축기(310)는 케이스(200) 내부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310)는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출구를 통해 배출한다. 케이스(200)에는 압축기(310)의 입구로 공기가 유입되는 홀(202)이 형성된다.
공급관(311,312) 또는 압축기(310)의 출구에는 히터(313)가 설치된다. 히터(313)는 압축기(310)가 압축한 공기를 가열한다. 히터(313)는 압축기(31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13)는 저항선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320)은 신발(1)의 외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분사노즐(320)은 복수로 구비되어, 왼쪽 신발(1)과 오른쪽 신발(1)의 외면에 각각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압축기(310)의 출구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1 공급관(311)을 통해 복수의 분사노즐(320)로 이동하게 된다. 제1 공급관(311)에는 개폐밸브(V)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인서트암(33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인서트암(330)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암(330)은 신발(1)의 내부에 진입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암바디(331) 및 분사부재(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암바디(331)는 장착부(11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암바디(331)는 상하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암바디(331)는 제1 액추에이터(331A)에 의해 상하이동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바디(331)의 상부에는 인서트암(330)의 상하이동시 제2 공급관(312)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331A)는 모터, 피니언 및 래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크는 암바디(331)의 외면에 형성된다. 모터가 피니언을 회전시키면, 암바디(33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 액추에이터(331A)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분사부재(332)는 공기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암바디(331)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분사부재(332)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형태를 형성한다. 분사부재(332)는 고무, 실리콘 등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재(332)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332H)이 형성된다. 제2 공급관(312)에서 분사부재(332) 내부(이하 '팽창공간')로 이동한 공기는 분사홀들(332H)을 통해 배출된다.
분사부재(332)는 암바디(331)와의 사이에 팽창공간을 형성한다. 분사부재(332)는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홀들(332H)이 일부 폐색되어 팽창공간의 압력이 높아지면, 분사부재(332)는 분사홀들(332H)에서 공기가 나오는 방향으로 팽창할 수 있다.
분사홀(332H)들은 제1 분사홀(332H1) 및 제2 분사홀(332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홀들(332H1)은 신발의 앞쪽을 향해 내리막을 형성한다. 제2 분사홀들(332H2)은 신발의 뒤쪽을 향해 내리막을 형성한다.
제1 분사홀들(332H1)에서 배출된 공기는 신발 내부에서 앞꿈치 쪽을 향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분사홀들(332H2)에서 배출된 공기는 신발 내부에서 뒤꿈치 쪽을 향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분사홀들(332H1)은 제2 분사홀들(332H2)보다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재에서 배출된 공기는 주로 신발 내부에서 앞꿈치 쪽을 향하는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압축기(310)의 출구에서 배출된 공기는 제2 공급관(312)을 통해 암바디(331)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2 공급관(312)에는 개폐밸브(V)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V)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급관(312)은 암바디의 상하이동시 신축할 수 있다. 제2 공급관(312)은 고정공급관(312A) 및 이동공급관(31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공급관(312A)은 압축기(310)의 출구에 결합된다. 고정공급관(312A)은 암바디(331)가 이동하더라도 이동하지 않는다. 이동공급관(312B)은 고정공급관(312A)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공급관(312B)은 고정공급관(312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동공급관(312B)은 후술할 구획벽(331B)에 결합되어, 암바디(331)와 함께 상하이동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바디(331)와 분사부재(332)는 구획벽(331B)에 의해 서로 기체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동공급관(312B)은 암바디(331) 내부를 지나 구획벽(331B)을 통과할 수 있다. 이동공급관(312B)은 구획벽(331B)에 결합될 수 있다.
암바디(331)와 분사부재(332)는 구획벽(331B)에 의해 서로 기체이동이 차단된다. 따라서, 압축기(310)에서 제2 공급관(312)에 유입된 공기는 암바디(331)와 접촉하지 않는다. 압축기(310)에서 제2 공급관(312)에 유입된 공기는 분사부재(332)의 분사홀(332H)들을 통해 분사된다.
따라서, 제2 공급관(312)에 유입된 공기의 열에너지는 암바디(331)를 데우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제2 공급관(312)에 유입된 공기의 열에너지는 대부분 신발(1)의 내부를 건조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은 제2 공급관(31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급관(312)은 고정공급관(312A) 및 변형공급관(312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공급관(312A)은 압축기(310)의 출구에 결합된다. 고정공급관(312A)은 암바디(331)가 이동하더라도 이동하지 않는다. 변형공급관(312C)은 고무, 실리콘 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변형공급관(312C)의 상단부는 고정공급관(312A)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변형공급관(312C)의 하단부는 구획벽(331B)에 결합된다. 변형공급관(312C)은 인서트암(330)의 상하이동시 상하방향으로 신축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바디(331)의 하단부에는 측정실(333)이 형성된다. 측정실(333)에는 거리센서(331C), 각도센서(331D), 자외선램프(331E), 온도센서(410B), 습도센서(420) 및 냄새센서(430)가 구비된다. 도 6의 W는 전선을 의미한다.
거리센서(331C)는 신발(1)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핀 등에 의해 측정실(3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거리센서(331C)는 제2 액추에이터(331F)에 의해 회전하며 신발(1)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제2 액추에이터(331F)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거리센서(331C)의 외면에는 제2 액추에이터(331F)와 맞물리는 기어 이가 형성될 수 있다.
각도센서(331D)는 거리센서(331C)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정전용량식 각도 센서(electrostatic angle sensor) 등 공지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자외선 램프(331E)는 신발(1)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핀 등에 의해 측정실(3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어부(600)는 각도센서(331D)의 측정값을 통해 거리센서(331C)의 각도(이하 '측정각도')를 연산한다.
자외선램프(331E)는 제3 액추에이터(331G)에 의해 회전하여 신발(1) 내부에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제3 액추에이터(331G)는 모터(M)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로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331E)의 외면에는 제3 액추에이터(331G)와 맞물리는 기어 이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자외선램프(331E)가 측정각도로 조사하도록 자외선램프(331E)를 회전시킨다. 자외선램프(331E)는 제3 액추에이터(331G)에 의해 회전하여 신발(1) 내부의 앞꿈치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도 8은 도 3의 신발 관리 장치(10)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센서(331C), 제2 액추에이터(331F), 각도센서(331D), 자외선램프(331E) 및 제3 액추에이터(331G)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340)는 신발(1)의 밑창과 마찰하는 구성으로서, 회전축 둘레에 솔(brush)이 달린 형태로 제작된다. 브러시(340)의 회전축은 하우징(1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러시(340)는 복수로 구비되어 하우징(100) 밑면의 구멍(101)들 안쪽마다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브러시(340)들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신발(1) 밑창을 청소하게 된다.
브러시(340)의 아래 하부공간에는 먼지받이(350)가 구비된다. 먼지받이(350)는 청소공간에서 낙하한 먼지 및 이물질을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서랍 형태를 형성한다. 케이스(200)에는 먼지받이(350)가 출입하는 홀(203)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먼지받이(350)의 손잡이(351)를 잡고 케이스(200)에서 먼지받이(350)를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먼지받이(350)에 모인 먼지 및 이물질을 버리고 다시 청소공간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에는 하우징(10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01)가 형성된다. 배출구(201)는 하우징(100)과 먼지받이(350) 사이에서 케이스(200)에 형성된다.
청소공간 내부에서 공기가 분사되면, 청소공간의 압력은 하부공간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와 먼지는 구멍(101)을 지나 먼지받이(35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는 배출구(2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201)에는 먼지를 거르는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먼지는 먼지받이(350)에 모이게 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유닛(400)은 온도, 습도 및 냄새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온도센서(410A,410B), 습도센서(420) 및 냄새센서(430) 중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감지유닛(400)은 하우징(100) 및 케이유닛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410A,410B)는 신발(1)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0) 및 측정실(333)에 각각 설치된다. 하우징(100)에 설치된 온도센서(410A)는 신발(1) 외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실(333)에 설치된 온도센서(410B)는 신발(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어부(600)는 온도센서(410A,410B)의 측정값에 따라 압축기(310) 또는 히터(313)의 작동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습도센서(420)는 신발(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측정실(333)에 설치된다. 냄새센서(430)는 신발(1) 내부의 냄새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측정실(333)에 설치된다. 제어부(600)는 습도센서(420) 및 냄새센서(430)의 측정값에 따라 압축기(310) 또는 히터(313)의 작동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카메라(500)는 하우징(100)에 수용된 신발(1)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신발(1)의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500)의 옆에는 조명이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500)는 조명이 켜진 상태에서 신발(1)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카메라(500)가 신발(1)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신발(1)의 소재 및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신발(1)의 소재에 따라 압축기(310) 및 히터(313)의 작동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장치(10)의 사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신발 관리 장치(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도어(210)를 열고 하우징(100) 내부에 신발(1)을 안착시킨다. 사용자가 도어(210)를 닫으면, 신발 관리 장치(10)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창의 '시작' 표시를 누르면, 신발 관리 장치(10)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액추에이터(331A)를 작동시켜 암바디(331)를 하강시키게 된다. 암바디(331) 하강시 거리센서(331C)는 신발(1)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센서(331C)는 인서트암(330)의 바로 아래에 있는 신발(1) 내면까지의 거리(이하 '이격거리')를 측정한다. 인서트암(330)은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한다. 일 예로, 미리 설정된 값은 2cm일 수 있다.
도 11은 인서트암(330)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암(330)의 하부는 신발(1)의 내부에 삽입된다. 인서트암(3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장착부(110)에 설치된 습도센서(420) 및 냄새센서(430)가 신발(1) 내부의 습도 및 냄새를 측정한다.
제어부(600)는 습도센서(420) 및 냄새센서(430)의 측정값에 따라 압축기(310) 및 히터(313)의 작동시간을 판단하게 된다. 습도 및 냄새 측정값이 높으면, 제3 작동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신발 관리 장치(10)는 분사노즐(320)의 공기분사(이하 '제1 작동')를 통해 신발(1) 외면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신발 관리 장치(10)는 브러시(340)의 작동(이하 '제2 작동')을 통해 신발(1) 밑창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신발 관리 장치(10)는 인서트암(330) 및 분사노즐(320)의 열풍분사(이하 '제3 작동')를 통해 신발(1)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신발 관리 장치(10)는 자외선램프(331E)의 자외선 조사(이하 '제4 작동')를 통해 신발(1)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신발(1) 내부의 습도 및 냄새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600)는 신발 관리 장치(10)의 작동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습도 측정값이 낮으면, 제어부(600)는 제1 작동, 제2 작동, 제3 작동, 제4 작동 순서로 신발 관리 장치(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습도 측정값이 높으면, 제어부(600)는 제3 작동, 제1 작동, 제2 작동, 제4 작동 순서로 신발 관리 장치(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젖은 신발(1)은 건조한 후에 먼지를 터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제1 작동, 제2 작동, 제3 작동, 제4 작동 순서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작동
제어부(600)는 제1 공급관(311)의 개폐밸브(V)는 열고 제2 공급관(312)의 개폐밸브(V)는 닫는다. 제어부(600)는 압축기(31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600)는 히터(3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분사노즐(320)은 신발(1)의 외면에 압축된 공기를 분사한다. 신발(1) 외면에서 이탈된 먼지는 구멍(101)을 통해 하부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320)은 신발(1)의 외면에 압축된 공기를 분사할 때, 신발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발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 작동
도 12는 브러시(340)들이 신발(1) 밑창을 청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어부(600)는 브러시(340)를 회전시키기 전에 제1 액추에이터(331A)를 작동시켜서 인서트암(330)을 하강시킨다. 제어부(600)는 인서트암(330)을 이격거리보다 더 하강시킬 수 있다. 분사부재(332)는 고무, 실리콘 등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분사부재(332)는 신발(1)을 브러시(340) 쪽으로 누르면서 탄성 압축된다. 인서트암(330)은 신발(1)을 브러시(340) 쪽으로 눌러서 브러시(340)의 마찰력에 의한 신발(1)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브러시(340)를 회전시킨다. 브러시(340)들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신발(1) 밑창을 청소하게 된다. 밑창의 먼지는 구멍(101)을 지나 먼지받이(350) 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브러시(340)들이 신발(1) 밑창을 청소하는 동안, 인서트암(330)은 신발(1)을 브러시(340) 쪽으로 누른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1 공급관(311)의 개폐밸브(V)는 닫고 제2 공급관(312)의 개폐밸브(V)는 연다. 제어부(600)는 압축기(310)를 작동시킨다. 제어부(600)는 히터(313)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분사부재(332)는 신발(1)의 내부에 압축된 공기를 분사한다.
제2 작동 과정에서 신발(1) 밑창의 먼지가 부유하여 신발(1)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다. 분사부재(332)가 신발(1) 내부에서 공기를 분사하면, 신발(1) 내부의 압력이 청소공간의 압력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신발(1) 밑창 청소시 부유한 먼지는 신발(1) 내부로 진입하지 못한다.
인서트암(330)이 신발(1)을 브러시(340) 쪽으로 누르면, 분사홀들(332H)은 분사부재(332)의 탄성 압축에 의해 부분 폐색된다. 인서트암(330)이 신발(1)을 브러시(340) 쪽으로 누르면, 분사홀들(332H) 중 일부는 신발(1)의 안창에 의해 폐색된다. 분사홀들(332H) 중 일부는 분사부재(332)의 탄성 압축에 의해 통로가 좁아진다.
분사부재(332)는 암바디(331)와의 사이에 팽창공간을 형성한다. 분사부재(332)는 탄력적으로 변형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분사홀들(332H)이 일부 폐색되어 팽창공간의 압력이 높아지면, 분사부재(332)는 분사홀들(332H)에서 공기가 나오는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분사부재(332)가 신발(1)을 브러시(340) 쪽으로 누르는 힘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브러시(340)의 마찰력에 의한 신발(1)이 유동이 견고하게 차단된다.
제3 작동
도 13은 분사부재(332) 및 분사노즐(320)이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인서트암(330) 및 분사노즐(320)이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기 전에 제1 액추에이터(331A)를 작동시켜서 인서트암(330)을 다시 상승시킨다. 인서트암(330)은 이격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한다. 일 예로, 미리 설정된 값은 2cm일 수 있다. 인서트암(330)은 다시 신발(1)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인서트암(330)은 신발(1)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분사노즐(320)은 신발(1)의 외면에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신발(1)은 내부와 외부가 동시에 건조된다.
제어부(600)는 제1 공급관(311) 및 제2 공급관(312)의 개폐밸브(V)를 모두 개방시킨다. 제어부(600)는 히터(313)를 작동시킨다. 제어부(600)는 압축기(310)를 작동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홀(332H)들은 제1 분사홀(332H1) 및 제2 분사홀(332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홀들(332H1)은 신발의 앞쪽을 향해 내리막을 형성한다. 제2 분사홀들(332H2)은 신발의 뒤쪽을 향해 내리막을 형성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사홀들(332H1)에서 배출된 공기는 신발 내부에서 앞꿈치 쪽을 향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분사홀들(332H2)에서 배출된 공기는 신발(1) 내부에서 뒤꿈치 쪽을 향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분사홀들(332H1)은 제2 분사홀들(332H2)보다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부재(332)에서 배출된 공기는 주로 신발(1) 내부에서 앞꿈치 쪽을 향하는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분사부재(332)에서 분사된 가열된 공기는 신발(1)의 앞꿈치 부분으로 이동한 후 상승하여 신발(1)의 바깥으로 배출된다. 분사부재(332)에서 분사된 가열된 공기는 신발(1) 내부에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따라서, 신발(1) 내부가 신속하게 건조된다.
분사부재(332) 및 분사노즐(320)이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온도센서(410A,410B)는 신발(1) 외부와 신발(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410A,410B)의 측정값이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제어부(600)는 압축기(310) 및/또는 히터(313)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온도센서(410A,410B)의 측정값이 기준온도보다 높으면, 제어부(600)는 압축기(310)의 압축속도를 낮추거나, 히터(313)의 공급되는 전류를 낮출 수 있다. 기준온도는 신발(1)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기준온도는 신발(1)의 소재별로 다양할 수 있다.
분사부재(332) 및 분사노즐(320)이 가열된 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습도센서(420)는 신발(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센서(420)의 측정값이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제어부(600)는 압축기(310) 및/또는 히터(313)의 작동시간을 늘릴 수 있다. 습도센서(420)의 측정값이 기준습도보다 낮으면, 제어부(600)는 압축기(310) 및/또는 히터(313)의 작동시간을 줄일 수 있다. 기준습도는 신발(1)이 충분히 건조된 상태의 습도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제3 작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습도센서(420)는 신발(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센서(420)의 측정값이 기준습도보다 높으면,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이를 알릴 수 있다.
신발 관리 장치(10)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전용 어플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용 어플을 통해 신발 관리 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4 작동
도 14는 자외선램프(331E)의 조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센서(331C)는 제2 액추에이터(331F)에 의해 회전하며 신발(1) 내면까지의 최장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최장거리는 신발(1) 내부의 앞꿈치 부분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각도센서(331D)는 거리센서(331C)가 최장거리를 측정했을 때 거리센서(331C)의 회전각도를 측정한다.
자외선램프(331E)는 제3 액추에이터(331G)에 의해 신발(1) 내부의 앞꿈치 부분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자외선램프(331E)는 신발(1) 내부의 앞꿈치 부분의 가장 구석까지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관리 장치
300 : 케어유닛 100 : 하우징
310 : 압축기 101 : 구멍
311 : 제1 공급관 110 : 장착부
312 : 제2 공급관 200 : 케이스
312A : 고정공급관 201 : 배출구
312B : 이동공급관 210 : 도어
312C : 변형공급관 211 : 프레임
313 : 히터 212 : 투명창
320 : 분사노즐 220 : 쿠션
330 : 인서트암 400 : 감지유닛
331 : 암바디 410 : 온도센서
331A : 제1 액추에이터 420 : 습도센서
331B : 구획벽 430 : 냄새센서
331C : 거리센서 500 : 카메라
331D : 각도센서 600 : 제어부
331E : 자외선램프 1 : 신발
331F : 제2 액추에이터
331G : 제3 액추에이터
W : 와이어
332 : 분사부재
332H : 분사홀
332H1 : 제1 분사홀
332H2 : 제2 분사홀
333 : 측정실
340 : 브러시
350 : 먼지받이
351 : 손잡이

Claims (16)

  1. 내부에 신발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기를 분사하는 인서트암을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암은, 상기 신발의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신발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인서트암은,
    상기 하우징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하이동하는 암바디; 및
    상기 암바디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분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홀들은,
    상기 신발의 앞쪽을 향해 내리막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1 분사홀; 및
    상기 신발의 뒤쪽을 향해 내리막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 분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분사홀들이 상기 제2 분사홀들보다 다수인,
    신발 관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의 공기를 상기 암바디 내부로 이동시키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 또는 상기 압축기의 출구에는 히터가 설치되는,
    신발 관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상기 암바디의 상하이동시 신축하는,
    신발 관리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바디와 상기 분사부재는 구획벽에 의해 서로 기체이동이 차단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암바디 내부를 지나 상기 구획벽을 통과하는,
    신발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밑창과 마찰하는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암은, 상기 브러시가 상기 밑창과 마찰할 때 상기 신발의 내부에서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르는,
    신발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르면서 탄성 압축되는,
    신발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들은 상기 분사부재의 탄성 압축에 의해 부분 폐색되고,
    상기 인서트암은, 상기 신발 내부로 먼지 유입이 차단되도록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른 상태에서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분사홀들의 부분 폐색에 의한 공압 증가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신발을 상기 브러시 쪽으로 누르는 힘이 증가하는,
    신발 관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암에는 거리센서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거리센서는 제2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신발 내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신발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암에는 각도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각도센서는 상기 거리센서의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신발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암에는 자외선램프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자외선램프는 제3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신발 내부의 앞꿈치 부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신발 관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의 아래에는 먼지받이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먼지받이로 먼지가 낙하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먼지받이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하우징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먼지가 상기 먼지받이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먼지받이 사이에 형성되는,
    신발 관리 장치.
  16.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
    내부에 신발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축기의 공기를 분사하는 인서트암;
    상기 인서트암을 이동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
    상기 인서트암에 장착되고, 상기 신발 내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 및
    상기 신발 내부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1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암은, 상기 신발의 내부에 진입하여 상기 신발의 내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신발 내부에 공기를 분사하는,
    신발 관리 장치.
KR1020190095494A 2019-08-06 2019-08-06 신발 관리 장치 KR10266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494A KR102663644B1 (ko) 2019-08-06 2019-08-06 신발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494A KR102663644B1 (ko) 2019-08-06 2019-08-06 신발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974A KR20210016974A (ko) 2021-02-17
KR102663644B1 true KR102663644B1 (ko) 2024-05-03

Family

ID=74731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494A KR102663644B1 (ko) 2019-08-06 2019-08-06 신발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715A (ko)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신발 관리 장치
KR20240042780A (ko)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서랍형 신발 트레이를 가지는 신발 관리기
USD1029424S1 (en) * 2023-02-06 2024-05-28 Leon Kay Lion Shoe crease remo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450Y1 (ko) * 1999-07-23 2000-02-15 권명하 위생 신발장
KR200291502Y1 (ko) * 2002-07-11 2002-10-09 권명하 위생 신발장
JP2010119609A (ja) * 2008-11-19 2010-06-03 Nec Electronics Corp クリーンシューズロッカー
KR101531015B1 (ko) * 2015-04-07 2015-06-29 윤도근 위생 신발장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811B1 (ko) * 2010-04-20 2012-05-16 주식회사 연무기술 신발 털이 장치
KR20160129483A (ko) 2015-04-30 2016-11-09 김재빈 신발 살균장치
KR20180113681A (ko) 2017-04-07 2018-10-17 한나연 신발 건조 및 청결 유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450Y1 (ko) * 1999-07-23 2000-02-15 권명하 위생 신발장
KR200291502Y1 (ko) * 2002-07-11 2002-10-09 권명하 위생 신발장
JP2010119609A (ja) * 2008-11-19 2010-06-03 Nec Electronics Corp クリーンシューズロッカー
KR101531015B1 (ko) * 2015-04-07 2015-06-29 윤도근 위생 신발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974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644B1 (ko) 신발 관리 장치
KR20210016968A (ko) 신발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관리 방법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US20090193676A1 (en) Shoe Drying Apparatus
CN101305858B (zh) 用于剃毛装置的干燥器
KR101265064B1 (ko) 신발 살균 건조기
US20220034023A1 (en) Clothes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94864B1 (ko) 신발소독기
KR20180072890A (ko) 오픈형 신발 살균기
KR20200068114A (ko)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KR101866138B1 (ko) 발건조기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KR200460472Y1 (ko)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200465911Y1 (ko)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KR100996307B1 (ko)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200377330Y1 (ko) 의류 건조기
KR102653613B1 (ko) 신발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관리 방법
KR101013495B1 (ko) 고무장갑 건조기
KR101318056B1 (ko) 신발 건조기
KR20200068111A (ko) 탈취제 주입 및 건조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관리 시스템
KR200283178Y1 (ko) 신발 관리기
KR20110011365U (ko)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102639181B1 (ko) 신발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