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181B1 - 신발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181B1
KR102639181B1 KR1020210154660A KR20210154660A KR102639181B1 KR 102639181 B1 KR102639181 B1 KR 102639181B1 KR 1020210154660 A KR1020210154660 A KR 1020210154660A KR 20210154660 A KR20210154660 A KR 20210154660A KR 102639181 B1 KR102639181 B1 KR 10263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unit
housing
shoes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8651A (ko
Inventor
오승준
박한영
김서영
최영선
Original Assignee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1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18Devices for holding footwear during cleaning or shining; Holding devices with stretch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이 세팅되는 세팅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세팅공간으로 신발이 세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계폐하는 계폐부와, 상기 계폐부에 설치되며, 상기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하며, 살균유닛이 하우징의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함으로써 이물질을 살균할 수 있으며, 신발회전유닛이 신발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신발의 접촉면을 변경함으로써 신발의 접촉면을 확대할 수 있는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세척장치{sho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이물질을 살균하거나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신발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가 오랜시간 신발을 착용하거나 우천시 신발의 내부에 빗물이 유입되면 착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땀과 유입되는 빗물로 인해 신발 내부에서 습기와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신발의 외부면은 진흙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됨으로써 미관상 오염된 신발로 인해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상술한 이유로 신발은 주기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는데, 신발 표면은 뭍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솔이나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들을 제거하고, 신발 내부는 구겨진 종이를 넣어 습기를 제거한다. 또한 신발 내외부는 이물질의 살균을 위해 햇빛에 자연건조시키거나, 화기 인근에 위치시킴으로서 건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신발 세척법은 자연건조를 통해 살균하기 때문에 살균시간이 오랜시간 필요하고, 세척솔을 사용하여 신발에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면 신발의 표면이 상할 우려가 있으며, 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경우는 일부 이물질이 신발에 강하게 부착되어 제거하기에 단점이 있다.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선행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은 신발 세척 및 살균건조기(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99110호)와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구비한 신발건조기(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2725)로서 세척솔을 이용하여 신발을 세척하거나 압축공기를 신발에 분사하여 신발을 세척하는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압축공기를 신발에 분사하기 위한 고압세척부의 압축공기 분사 위치에 대한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구체적인 구성과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도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99110호: 신발 세척 및 살균건조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02725호: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구비한 건조기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우징의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이물질을 살균하는 신발 세척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발에 고압의 공기가 접촉되는 접촉면을 변경하는 신발 세척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신발과 인접한 위치에서 고압에 공기를 분사하거나, 신발과 멀어지는 위치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신발 세척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는 신발이 세팅되는 세팅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세팅공간으로 신발이 세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계폐하는 계폐부와, 상기 계폐부에 설치되며, 상기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신발을 인식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조사부와, 상기 살균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신발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1 공기분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기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세팅공간으로 로드가 인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왕복운동하는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신발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1 공기분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신발의 접촉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신발을 회전시키는 신발회전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신발회전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세팅공간으로 인입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개폐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마련되는 웜과, 상기 윔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회전축에 마련되는 웜휠과, 일단이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신발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발의 하부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압의 공기를 상기 신발의 하부면으로 분사하는 제2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기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제3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3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신발의 하부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2 공기분사부재와, 상기 제2 공기분사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신발의 하부면을 센싱하는 센싱부재와, 상기 센싱부재에서 센싱된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의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3 엑츄에이터를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살균유닛이 하우징의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함으로써 이물질을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신발회전유닛이 신발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신발의 접촉면을 변경하여 신발의 접촉면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제1 및 제2 공기분사부가 제1 내지 제3 액츄에이터에 의해 신발에 인접한 위치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신발에 강하게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공기분사부가 제1 내지 제3 액츄에이터에 의해 신발과 멀어진 위치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고압의 공기가 접촉되는 신발의 접촉면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회전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공기분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는 하우징(100), 개폐부(200), 살균유닛(300) 및 제1 공기분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신발이 세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세팅공간이 마련되며,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사용자가 상기 세팅공간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하부에 신발이 세팅되는 세팅부(110)가 마련된다. 상기 세팅부(110)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외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에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유입된 외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신발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20)은 상기 하우징(100)의 흡입구를 통해 세팅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외기를 상기 세팅공간으로 강제 송풍시킬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세팅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온습도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제공부는 온습도측정부재, 표시부 및 음향부를 포함한다. 상기 온습도측정부재는 상기 하우징(100)의 세팅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를 측정하며,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온습도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는 종래의 LCD가 적용된다. 상기 음향부는 온습도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200)는 상기 세팅공간으로 신발이 세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상면을 계폐한다. 상기 개폐부(200)는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면적이 상면과 동일하거나 상면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유닛(300)은 상기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것으로서, 초음파센서(310), 살균광조사부(32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센서(310)는 신발을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음파를 신발에 송신한 후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발을 인식한다. 상기 초음파센서(310)는 상기 개폐부(200)에 설치되며, 종래의 일반적인 초음파센서(310)를 말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살균광조사부(320)는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이물질을 살균하는 것으로 상기 개폐부(200)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살균광은 UV(Ultraviolet Ray)광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센서(310)가 신발을 인식한 후 살균광조사부(320)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개폐부(200)에 설치된다.
상기 제1 공기분사부(400)는 신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신발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폐부(200)에 설치된다. 상기 제1 공기분사부(400)는 제1 액츄에이터(410)와 제1 공기분사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액츄에이터(410)는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왕복운동하며, 상기 하우징(100)의 세팅공간으로 로드가 인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공기분사부재(420)는 상기 신발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액츄에이터(4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는 상기 살균유닛(300)이 하우징(100)의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함으로써 이물질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는 상기 제1 공기분사부(400)의 제1 액츄에이터(410)에 의해 상기 제1 공기분사부재(420)가 신발에 인접한 위치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신발에 강하게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신발과 멀어진 위치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고압의 공기가 접촉되는 신발의 접촉면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신발 세척장치(10)는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신발의 접촉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신발을 회전시키는 신발회전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신발회전유닛(500)은 제1 회전축(510), 제2 회전축(520), 웜(530), 웜휠(540), 제2 액츄에이터(550) 및 파지부(5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축(510)은 사용자가 조작하여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회전축(510)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상기 세팅공간으로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회전축(5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축(510)과 교차되도록 일단이 상기 개폐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웜(530)은 상기 제1 회전축(510)에 마련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웜휠(540)은 상기 웜(53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1 회전축(510)에 마련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액츄에이터(550)는 상기 파지부(56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승강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제2 회전축(520)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파지부(560)는 신발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액츄에이터(55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신발회전유닛(500)은 상기 제1 공기분사부재(420)가 신발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때 신발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신발의 접촉면을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신발회전유닛(500)은 상기 제2 액츄에이터(550)에 의해 상기 파지부(56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신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세척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신발 세척장치(10)는 신발의 하부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압의 공기를 상기 신발의 하부면으로 분사하는 제2 공기분사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공기분사부(600)는 제3 액츄에이터(610), 제2 공기분사부재(620), 센싱부재(630) 및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액츄에이터(610)는 상기 제2 공기분사부재(620)를 신발의 하부면과 인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 공기분사부재(620)는 신발의 하부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제3 액츄에이터(61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센싱부재(630)는 상기 신발의 하부면을 센싱하며, 상기 제2 공기분사부재(620)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센싱부재(630)에서 센싱된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의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3 액츄에이터(610)를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제2 공기분사부(600)는 상기 센싱부재(630)에서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3 액츄에이터(610)를 상승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공기분사부재(620)가 신발에 인접한 위치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신발의 하부면에 강하게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제2 공기분사부(600)가 상기 센싱부재(630)에서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범위이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제3 액츄에이터(610)를 하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신발의 하부면과 멀어진 위치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고압의 공기가 접촉되는 신발의 하부면의 접촉면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신발 세척장치
100: 하우징
110: 세팅부
120: 송풍팬
200: 개폐부
300: 살균유닛
310: 초음파센서
320: 살균광조사부
400: 제1 공기분사부
410: 제1 액츄에이터
420: 제1 공기분사부재
500: 신발회전유닛
510: 제1 회전축
520: 제2 회전축
530: 웜
540: 웜휠
550: 제2 액츄에이터
560: 파지부
600: 제2 공기분사부
610: 제3 액츄에이터
620: 제2 공기분사부재
630: 센싱부재

Claims (5)

  1. 신발이 세팅되는 세팅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세팅공간으로 신발이 세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계폐하는 계폐부와;
    상기 계폐부에 설치되며, 상기 세팅공간에 세팅된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신발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1 공기분사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신발의 접촉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신발을 회전시키는 신발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신발 세척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닛은
    상기 신발을 인식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신발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조사부와;
    상기 살균광조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세팅공간으로 로드가 인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왕복운동하는 제1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1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신발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1 공기분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회전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세팅공간으로 인입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작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개폐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에 마련되는 웜과;
    상기 윔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회전축에 마련되는 웜휠과;
    일단이 상기 제2 회전축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신발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의 하부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압의 공기를 상기 신발의 하부면으로 분사하는 제2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공기분사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제3 액츄에이터와;
    상기 제3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신발의 하부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제2 공기분사부재와;
    상기 제2 공기분사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신발의 하부면을 센싱하는 센싱부재와;
    상기 센싱부재에서 센싱된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범위의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제3 엑츄에이터를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세척장치.

KR1020210154660A 2021-11-11 2021-11-11 신발 세척장치 KR10263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660A KR102639181B1 (ko) 2021-11-11 2021-11-11 신발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660A KR102639181B1 (ko) 2021-11-11 2021-11-11 신발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651A KR20230068651A (ko) 2023-05-18
KR102639181B1 true KR102639181B1 (ko) 2024-02-20

Family

ID=8654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660A KR102639181B1 (ko) 2021-11-11 2021-11-11 신발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1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333B1 (ko) * 2015-07-14 2018-08-01 주식회사 정원랜드 신발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80072890A (ko) * 2016-12-21 2018-07-02 (주)성일이노텍 오픈형 신발 살균기
KR101999110B1 (ko) 2018-11-06 2019-07-11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신발 세척 및 살균건조기
KR20200002725A (ko) 2019-12-13 2020-01-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구비한 신발건조기
KR102316395B1 (ko) * 2020-02-25 2021-10-2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651A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58836A (ja) ランプ、及び、uv放射線を生成するための装置
KR101265064B1 (ko) 신발 살균 건조기
CN105557542B (zh) 一种宠物洗脚装置和宠物脚部清洗方法
KR20220044698A (ko)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CN107321689A (zh) 一种治疗高血脂高血压的中药决明子洗涤装置
US20160051111A1 (en)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ving moisture utilizing exhaust heat
KR102316395B1 (ko) 신발 세척장치
KR102639181B1 (ko) 신발 세척장치
US202104012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hoes
KR101788769B1 (ko) 비데장치
KR20090039568A (ko) 책 먼지 제거 및 살균 장치
KR102101243B1 (ko) 의류 건조 및 의류처리 장치
CN106216295A (zh) 大颗粒中药材清洁箱
KR20080101413A (ko) 자동 내시경 세척기
CN109717779A (zh) 一种智能出风烘手器
KR102061319B1 (ko) 손 건조 장치
KR200460472Y1 (ko)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20200041758A (ko)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22498Y1 (ko) 터널형 소독장치
KR102209633B1 (ko) 1인용 클린 게이트 시스템
KR20210016974A (ko) 신발 관리 장치
KR102066416B1 (ko) 비데시트 살균 기능을 갖는 비데
US202104020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hoes
KR102300196B1 (ko) 약액수조를 갖는 시스템 에어컨 세척장치
KR20160001539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