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4698A -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4698A
KR20220044698A KR1020220038204A KR20220038204A KR20220044698A KR 20220044698 A KR20220044698 A KR 20220044698A KR 1020220038204 A KR1020220038204 A KR 1020220038204A KR 20220038204 A KR20220038204 A KR 20220038204A KR 20220044698 A KR20220044698 A KR 20220044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member
hollow part
light emitting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학
신상철
이성민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4698A/ko
Publication of KR20220044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4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V LED 등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세제주입구를 살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된 중공부(20)가 형성된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에 입출하는 세제투입부(12); 개방된 상기 중공부의 일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부재(10); 및 상기 중공부(20)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UV LED(40);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제투입부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의 작동이 완료되었을 때 또는 사용자가 작동 지시를 내렸을 때 상기 세제투입부의 살균 작동이 시작되며, 상기 살균 작동은,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이 확인된 후, 커버부재(10)가 닫혀 있을 때에만 UV LED(40)에 전원이 공급되어 UV LED가 점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제투입부 살균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A Detergent Pourer Sterilizer and a Steriliz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UV LED 등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세제주입구를 살균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에는 세제투입부가 구비되어 있다. 세제투입부는 분말 세제나 액체 세제를 잘 녹여 투입하기 위해 물이 분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세제투입부는 세탁 후 잘 건조시키지 않으면 젖어 있는 상태로 상당 기간 유지된다.
이렇게 폐쇄된 공간 내에 오랜 기간 습기가 머무를 때에는, 세균이나 곰팡이가 쉽게 번식하게 된다. 또한 물때가 많이 끼어서 더욱 지저분해지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청소해주어야 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한다.
또한 세제투입부가 오염되면, 세균이나 곰팡이가 세제와 함께 물에 휩쓸려 세탁조 내로 흘러 들어가게 되고, 이는 세탁조 오염의 또 다른 원인이 된다.
따라서 세탁기 사용자들은 통상 세탁기를 사용한 후 세제투입부를 열어 두어 이를 건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 역시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는 정도를 조금 더디게 할 뿐 세균이나 곰팡이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게다가 이를 지속적으로 열어두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먼지가 세제투입부에 쌓이게 되어, 또 다른 종류의 오염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세제투입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제투입부 내부에 UV LED를 설치하여 살균을 실시하고, 고압 살수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며, 공기 주입을 통해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일측면이 개방된 중공부(20)가 형성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입출하는 세제투입부(12)와; 개방된 상기 중공부의 일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부재(10);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제투입부 살균장치로서, 상기 살균장치는, 상기 중공부(20) 내에 위치하는 세제투입부(12)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하나 이상의 UV LED(40);를 포함하는 세제투입부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UV LED(40)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투입부(12)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UV LED(40)는 상기 커버부재(10)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투입부(12)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한다.
상기 UV LED(40)에 제공되는 전원은 하우징 쪽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10)가 상기 중공부(20)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10)가 상기 중공부(2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커버부재(10)와 하우징(30)에 각각 전기적 접점을 설치하고, 커버부재(10)의 접점은 상기 UV LED(40)와 연결되고, 하우징(30)의 접점은 상기 전원에 연결되어서,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커버부재와 하우징의 접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UV LED(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UV LED(40)는 상기 하우징(30)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투입부(12)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된 UV LED는 상기 커버부재(10)에 설치된 UV LED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0)가 상기 중공부(20)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10)가 상기 중공부(2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는 부분에 스위치(60)를 설치하여,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만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UV LED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세제투입부를 향해 고압 살수를 하는 노즐(50)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공부(20)를 향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공(32)과, 공기를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공(34)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물 배출공(36)이 상기 공기 배출공(34)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제투입부(12)는 자외선이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제투입부 또는 하우징의 내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자외선과 광촉매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TiO2가 코팅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반사판이 설치된다.
상기 UV LED에 전원을 공급할 때 커버부재(10)가 열린 상태가 되면 이를 알리는 알람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이 개방된 중공부(20)가 형성된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에 입출하는 세제투입부(12), 개방된 상기 중공부의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부재(10) 및 상기 중공부(20)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UV LED(40)를 구비하는 세제투입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제투입부 살균 방법으로서, 상기 세제투입부의 살균 작동은 세탁기의 작동이 완료되었을 때, 또는 사용자가 작동 지시를 내렸을 때 시작되며, 상기 살균 작동은,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이 확인된 후, 커버부재(10)가 닫혀 있을 때에만 UV LED(40)에 전원이 공급되어 UV LED가 점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제투입부 살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세제투입부를 향해 고압 살수를 하는 노즐(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살균 작동은, 상기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이 확인된 후, 커버부재(10)가 닫혀 있을 때에만 고압으로 살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살수 단계는 UV LED가 점등되는 단계 이전에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공부(20)를 향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공(32)과, 공기를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공(34)이 더 구비되고, 상기 살균 작동은, 상기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이 확인된 후, 커버부재(10)가 닫혀 있을 때에만 공기가 주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공기 주입 단계는 UV LED가 점등되는 단계 이전에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중공부(20)를 향해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공(32)과, 공기를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공(34)이 더 구비되고, 상기 살균 작동은, 상기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이 확인된 후, 커버부재(10)가 닫혀 있을 때에만 공기가 주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공기 주입 단계는 상기 살수 단계 이후, 그리고 상기 UV LED가 점등되는 단계 이전에 이루어진다.
상기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이 확인된 후, 커버부재(10)가 열리면 살균 작동을 중지한다.
상기 살균 작동이 중지되는 경우 알람이 작동한다.
가장 최근에 있었던 살균 작동 후 세탁기가 사용된 누적 횟수가 복수 회 이상인 경우에만 살균 작동이 자동으로 시작된다.
상기 살균 작동 중에 살균 작동 중임을 알리고, 살균 작동이 완료되면 완료가 되었음을 알린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세제투입부를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세탁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세제투입부를 청소하거나 열어놓아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제투입부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 기술할 실시예들 중 어느 한 실시예의 구조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실시예의 구조나 구성에 적용하거나 치환할 수도 있으며, 구성을 삭제하거나, 다른 구성을 부가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제투입부와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스위치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세제투입장치의 구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에는, 세탁조가 설치된 하우징(30)의 상부 일정 영역에,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부에는 세제투입부(12)가 위치한다. 세제투입부(12)는 사용자가 세제를 집어 넣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세제투입부(12)에 세제를 집어 넣으면, 세제투입부(12) 상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세제투입부(12)는 커버부재(10)와 일체로 제작되어, 함께 거동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커버부재(10)를 잡아당겨 세제투입부(12)를 외부로 인출하고, 여기에 세제를 넣은 후 다시 커버부재(10)를 밀어 세제투입부(12)를 중공부(20)에 집어넣고 세탁을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세제투입부(12)와 커버부재(10)가 반드시 일체로 제작되어야 할 필요는 없다. 커버부재(10)가 일정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여닫이문 방식으로 개폐되고, 세제투입부(12)는 이러한 커버부재(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세제투입부(12)가 커버부재와 별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커버부재(10)와는 별도로 거동할 수도 있다. 아울러 세제투입부(12)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중공부가 측면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세제투입부가 이 측면을 통해 전후진하는 구조이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될 필요가 없음은 자명하다.
[UV LED의 설치 구조]
본 발명에서 UV LED(40)는 하우징(30)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UV LED는 중공부(20)를 향해, 더 엄밀하게는 세제투입부(12)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UV LED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상면, 측면, 하면에 적절히 복수 개 설치되어 세제투입부(12)의 모든 면에 자외선이 잘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UV LED는 커버부재(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 역시 중공부(20)를 향해, 더 엄밀하게는 세제투입부(12)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UV LED에 공급되는 전원은 하우징 쪽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부재(10)에 설치된 UV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서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커버부재(10)와 하우징(30)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 구조가 필요하다. 한편 UV LED에서 조사하는 자외선은 인체에 해로우므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할 때에는 커버부재에 있는 UV LED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를 개방할 때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하우징과 맞닿지 않고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하우징과 맞닿는 커버부재(10)와 하우징(30) 부분에서, 커버부재(10)와 하우징(30)에 각각 전기적 접점(15)을 설치함으로써,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커버부재와 하우징의 접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커버부재(10)의 접점은 커버부재(10)에 설치된 UV LED(40)와 연결되고, 하우징(30)의 접점은 전원에 연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를 폐쇄하고 있는 위치에서만 UV LED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10)와 하우징(30)에 설치된 UV LED가 모두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면, 커버부재(10)가 중공부(20)를 폐쇄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모든 UV LED가 전원과 전기적으로 단절되어 점등될 수 없다.
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방식을 고수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플렉시블 PCB 등을 이용하여 항상 커버부재(10)와 하우징(30) 사이에서 커버부재(10)의 UV LED에 공급되는 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별도의 수단으로 커버부재(10)의 개폐에 따라 UV LED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20)에 스위치(60)를 설치하여 커버부재(60)가 중공부를 폐쇄할 때 하우징(30)에 설치된 스위치(60)가 눌리도록 구성하고, 스위치(60)가 눌려야만 UV LED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방법 역시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스위치 방식과 상술한 접점 방식을 병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자외선 조사 및 이에 따른 살균을 위한 구조]
상기 UV LED에는 자외선의 확산각을 조절하기 위한 옵틱이 설치되는 것 역시 가능하고, 자외선의 면광원화를 위해 샌드 블라스트 공정 등으로 조면(roughened) 처리된 커버가 설치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세제투입부(12)가 자외선이 통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세제투입부(12)의 모든 면에 음영없이 자외선이 도달할 수 있으며, 세제투입구에 조사된 자외선이 반대편에 있는 하우징 내면에까지 도달하여 하우징 내면도 살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재질로는 단량체 비율이 상당히 높은 PMMA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질은 자외선 투과율이 상당히 높을 뿐만 아니라, 황변도 잘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세제투입부에 TiO2 코팅을 하여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살균의 효과가 있는 275nm 부근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의해 TiO2가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면, 탈취, 항균이 더욱 잘 되어 곰팡이를 억제하고 세균이 번식을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세제투입부뿐만 아니라 하우징의 내면에도 TiO2 코팅을 하여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세제투입부가 자외선을 통과하는 재질로 구성할 때 더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의 내면에 반사판을 설치하는 경우, 자외선에 따른 살균 효율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밀폐된 공간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을 할 때에는 밀폐된 공간 내면에 반사판을 설치한 것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살균 효율이 훨씬 좋다.
[살수용 노즐]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으로 살균을 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다른 구조가 병행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상부에 노즐(50)이 설치되어 세제투입부(12)를 향해 고압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은 세제를 녹이고 세탁조에 투입하기 위해 세제투입부(12)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과 별개로 구성하여도 되고, 하나의 노즐을 서로 다른 압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세제투입부(12)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내면을 세척할 때에는 세제를 투입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제투입부 등의 표면에 달라붙은 찌꺼기를 세척해낸다. 그리고 이렇게 세척되어 씻겨나간 찌꺼기는 물 배출공(36)을 통해 배출된다.
노즐은 상수도관에 직결되어, 상수도 수압으로 물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공기 통풍 구조]
다음으로 본 발명은, 중공부에 통풍이 되도록 하여 내부의 물이나 습기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30)의 상부에는 공기 주입공(32)과 공기 배출공(34)이 각각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내부로 주입된 공기가 난류를 일으키며 표면의 물을 빨리 증발시키거나 물 배출공(36) 쪽으로 밀어내도록 하였다.
도 1에는 공기 배출공(34)이 물 배출공(36)과는 별개로 마련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별도의 공기 배출공 없이 물 배출공이 공기 배출공의 기능을 함께 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공기가 세탁조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조의 건조에도 유리할 것이다.
[살균 작동]
본 발명에 따른 세제투입부 살균장치의 살균 작동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필요할 때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두 가지 방식이 모두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살균장치가 자동으로 작동할 때에는 세탁이 끝날 때마다 매번 살균 작동이 되도록 할 수도 있고, 가령 세탁 3회마다 살균 한번씩 등과 같이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살균 작동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장 최근에 있었던 살균 작동 후 세탁기가 사용된 누적 횟수가 복수 회, 가령 3회 이상인 경우에만 살균 작동이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제투입부의 살균 작동은 세탁기의 작동이 완료되었을 때 또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버튼 등을 눌러 작동 지시를 내렸을 때 시작된다.
일단 살균 작동이 시작되면, 커버부재(10)가 닫혀있는 상태인 것을 항상 확인하게 되며, 커버부재가 열리면 즉시 진행되고 있던 살균 작동을 중지한다. 커버부재가 닫혀있는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가령 스위치(60)가 눌려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살균 작동이 중지되는 경우에는 알람이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살균 작동이 중지되었음을 알린다. 알람은 소리나 디스플레이 등으로 가능하다.
살균 작동이 시작되는 단계에서는 먼저 세탁조 내부에 세탁물이 비워졌는지 확인한다. 세탁물을 비웠는지 확인하는 방식은 세탁조의 무게 등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세탁을 마친 후 세탁조의 도어를 열고 닫은 횟수, 시간 등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이 비워졌음을 확인한 후에는 노즐(50)을 통해 일정시간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세제투입부나 하우징 내면에 붙어 있는 찌꺼기 등을 말끔히 제거한다. 이러한 물은 물 배출공(36)을 통해 빠져나간다.
다음으로, 공기주입공(32)을 통해 공기를 고압으로 불어넣어 세제투입부나 하우징에 남아 있는 물이 공기 배출공(34) 또는 물 배출공(36)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고, 건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UV LED(40)에 전원을 공급하여 UV LED를 일정 시간 이상 점등한다. 그러면 자외선이 골고루 하우징 내면과 세제투입부를 비추어 살균 등의 작용을 하게 된다.
이렇게 물로 세척하고, 에어로 건조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면 살균 작동은 마무리된다.
한편 살균이 진행 중인지 표시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무심코 커버부재를 열거나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살균 작동 중에 살균 작동 중임을 알리고, 살균 작동이 완료되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커버부재
12: 세제투입부
15: 접점
20: 중공부
30: 하우징
32: 공기 주입공
34: 공기 배출공
36: 물 배출공
40: UV LED
50: 노즐
60: 스위치

Claims (10)

  1. 세탁조가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분사된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공;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에 살균광(sterilization light)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UV LED);
    상기 중공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하우징 쪽에 설치되어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정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은 상수도관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중공부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는 부분에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각각 전기적 접점을 설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접점은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접점은 상기 전원에 연결되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만 상기 커버부재의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접점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물을 고압 분사할 때와 다른 압력으로 물을 추가적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 설치되어, 자외선의 확산각을 조절하는 옵틱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외선의 면광원화를 위해 조면 처리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자외선과 광촉매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TiO2가 코팅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반사판이 설치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중공부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지 않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는 부분의 상기 커버부재에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만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작동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9.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측면 및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모든 면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된 제2 전기적 접점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세탁기용 살균 모듈.
KR1020220038204A 2014-09-30 2022-03-28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KR20220044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8204A KR20220044698A (ko) 2014-09-30 2022-03-28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1980A KR102381406B1 (ko) 2014-09-30 2014-09-30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KR1020220038204A KR20220044698A (ko) 2014-09-30 2022-03-28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980A Division KR102381406B1 (ko) 2014-09-30 2014-09-30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4698A true KR20220044698A (ko) 2022-04-11

Family

ID=555833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980A KR102381406B1 (ko) 2014-09-30 2014-09-30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KR1020220038204A KR20220044698A (ko) 2014-09-30 2022-03-28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1980A KR102381406B1 (ko) 2014-09-30 2014-09-30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010635B2 (ko)
KR (2) KR102381406B1 (ko)
CN (2) CN1098982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0248B2 (en) 2015-09-02 2019-01-15 ProPhotonix Limited LED lamp with sensing capabilities
KR102625268B1 (ko) * 2017-02-10 2024-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18184803A1 (en) * 2017-04-07 2018-10-11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 comprising a light source
TR201712732A2 (tr) 2017-08-25 2019-03-21 Arcelik As Bi̇r deterjan kutusu i̇çeren bi̇r çamaşir maki̇nesi̇
KR20190112372A (ko) * 2018-03-26 2019-10-0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물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냉각기
CN112323389B (zh) * 2019-07-18 2024-02-27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储液盒清洁方法、装置、洗衣机及介质
CN110670294B (zh) * 2019-11-12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洗衣方法
US11007292B1 (en) 2020-05-01 2021-05-18 Uv Innovators, Llc Automatic power compensation in ultraviolet (UV) light emission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particularly suited for decontam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877A (en) * 1992-02-01 1996-01-30 Choi; Min K. Restroom organizer and sterilizing apparatus
MX9302480A (es) * 1992-07-01 1994-05-31 Min Ki Choi Organizador y aparato de esterilizacion para cepillos de dientes.
JPH07124400A (ja) * 1993-11-08 1995-05-16 Shibaura Eng Works Co Ltd 洗濯物自動取次機
DE19649039C1 (de) * 1996-11-27 1998-04-30 Bauknecht Hausgeraete Trommelwaschmaschine mit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DE10122514A1 (de) * 2000-05-10 2002-03-14 Aeg Hausgeraete Gmbh Einspülvorrichtung für Wasch- oder Geschirrspülmaschinen
KR20030045446A (ko) 2001-12-04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살균장치
KR101114327B1 (ko) * 2004-06-01 2012-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2006263202A (ja) * 2005-03-24 2006-10-05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US20070295916A1 (en) * 2006-06-23 2007-12-27 David Isidore Reuben Toothbrush Head Sanitizing Cap with Built-In Ultraviolet LED.
US20100200026A1 (en) * 2006-10-30 2010-08-12 Onur Boztas Laundry or a dish washing machine
EP2089568B1 (en) * 2006-11-27 2015-04-29 Arç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CN101427891A (zh) * 2007-11-09 2009-05-13 宋大伟 洗菜、洗碗、消毒一体机
KR20090097499A (ko) * 2008-03-11 2009-09-16 이경용 엘이디를 사용한 살균용 세탁기
DE102008054820B4 (de) * 2008-12-17 2014-05-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haltsgerät mit einer Einspüleinrichtung mit einer Warm- und/oder Trockenlufteinheit
CN101608387B (zh) * 2009-07-24 2011-01-12 合肥荣事达洗衣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可紫外杀菌洗涤的全自动洗衣机及其洗涤方法
KR101099326B1 (ko) * 2009-10-13 2011-12-26 박정열 자외선 살균 세탁기
TR201010959A1 (tr) * 2010-12-27 2012-07-23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çekmece içeren çamaşır makinası.
WO2013032224A2 (en) * 2011-09-02 2013-03-07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8809807B2 (en) * 2012-12-14 2014-08-19 Laura Seegobin NELSON Dental device having an integrated sanitation chamber
KR101324485B1 (ko) * 2013-07-19 2013-11-01 럭스피아(주) Uv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071A (ko) 2016-04-08
CN105463763A (zh) 2016-04-06
US20160089460A1 (en) 2016-03-31
US20170284011A1 (en) 2017-10-05
KR102381406B1 (ko) 2022-04-04
US10010635B2 (en) 2018-07-03
CN109898269B (zh) 2021-07-06
CN109898269A (zh) 2019-06-18
CN105463763B (zh)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44698A (ko)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US818165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UV generator
KR102114048B1 (ko) 콤팩트형 자동 컵 세척기
EP1915086B1 (en) Dish washer with uv sterilization device therein
US8377223B2 (en) Method for eliminating odors in a dishwasher machine
KR101151558B1 (ko) 식기 세척기
KR100701820B1 (ko) 골프 클럽 자동 세척 장치
KR101788769B1 (ko) 비데장치
KR102316395B1 (ko) 신발 세척장치
KR101324485B1 (ko) Uv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
KR20200065557A (ko)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기
KR20090024452A (ko) 살균램프가 구비된 손소독기
WO2018078190A1 (es) Lavazapatillas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KR20070081019A (ko) 식기세척기
KR101277632B1 (ko) 샤워기
KR200359796Y1 (ko) 노즐커버유닛을 갖는 비데
KR20110132928A (ko) 양변기 시트의 살균시스템
KR200363483Y1 (ko) 컵 세척장치
KR200487973Y1 (ko) 안구세척기가 구비된 이동형 샤워기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KR100881159B1 (ko) 핸드 살균 건조장치
KR20080022278A (ko) 자외선방출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0343507Y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100841304B1 (ko) 탈취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