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1758A -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1758A
KR20200041758A KR1020180152884A KR20180152884A KR20200041758A KR 20200041758 A KR20200041758 A KR 20200041758A KR 1020180152884 A KR1020180152884 A KR 1020180152884A KR 20180152884 A KR20180152884 A KR 20180152884A KR 20200041758 A KR20200041758 A KR 20200041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door
container
manag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선
김성경
김주겸
전재흥
김명선
은유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590,05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82310B2/en
Priority to CN201921694724.5U priority patent/CN211268110U/zh
Publication of KR20200041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펙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펫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하며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펫이 상기 컨테이너에 출입할 수 있는 도어,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구동하는 도어구동장치, 상기 토출구에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펫에서 분리된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펫 관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Pet Car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펫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펫에 묻어있는 털, 먼지 등과 같은 오염물을 제거하고 제거된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기능을 가지는 펫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애완동물(이하 '펫')이 증가하고 있다. 펫은 주로 가정에서 생활하지만 가정의 외부로 나가 공공장소 등에 출입하는 경우도 있다. 공공장소의 위생을 위하여, 공공장소에 펫이 들어갈 때 펫에 묻은 털, 먼지, 세군 등(이하 편의상 '오염물')을 제거하고 공공장소에 출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공공장소가 밀폐된 공간인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그런데 현재는 이에 적합한 장치가 없어서, 펫이 공공장소에 출입시에 그대로 출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펫이 외출 후에 집안으로 들어올 때도 펫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펫을 청결히 하기 위하여 펫을 목욕시킨 후에 펫의 털을 건조하여야 한다. 현재는 사람용 드라이어로 펫을 건조시킨다.
따라서 펫의 털, 먼지, 세균 등을 제거하고 제거된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펫의 털, 먼지, 세균 등을 제거하는 기능, 제거된 털, 먼지를 필터링하는 기능, 제거된 세균을 살균하는 기능, 펫을 건조시키는 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 편의상 '펫 관리기(Pet Carer, Pet Machine)'라 함)
본 발명의 목적은 펫에 묻어있는 털, 먼지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펫에서 제거된 먼저, 털 등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펫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펫에서 세균 등을 제거하고, 제거된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펫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펫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펫 관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펫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하며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펫이 상기 컨테이너에 출입할 수 있는 도어;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구동하는 도어구동장치; 상기 토출구에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펫에서 분리된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펫 관리기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테이너는 한 쌍의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사이에 상기 도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 및 상기 도어는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의 상부 및 상기 도어의 상부는 내측으로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어구동장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내접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도어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도어의 원주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상부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슬리브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단차 및 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외측은 상기 슬릿을 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단차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는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내측은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필터유닛 및 상기 흡입팬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의 전면에는 개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에서 나온 공기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컴프레서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격벽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격벽에는 상기 펫에서 분리된 세균을 살균하는 UV 램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의 외부에는 상기 펫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격벽의 내부에는 상기 펫의 유무 및 크기를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격벽의 내부공간에는 히터, 상기 도어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펫을 소정공간에 수용하는 제1단계와; 상기 펫에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펫에서 분리된 오염물를 필터링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펫 관리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압축공기를 토출하기 전에 상기 소정공간의 공기를 외부를 배출하는 공기유동을 먼저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펫에서 분리된 세균을 살균하는 제4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장소 또는 집안으로 펫이 들어오기 전에, 펫의 털,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털,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펫에 묻어있는 세균을 제거하고, 제거된 세균을 살균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펫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를 구동하는 도어구동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의 실시예의 제어적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의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지만 이 또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될 실시예 또는 도면에 그려진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펫 관리기(1)는 베이스(9) 및 상기 베이스(9)의 상부에는 구비되는 컨테이너(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는 펫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하며, 상기 컨테이너(2)에서 펫에 묻은 먼지, 털, 세균 등이 제거된다.
상기 컨테이너(2)는 일부가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도어(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테이너(2)는 대략 수직의 한 쌍의 격벽(2a, 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격벽(2a, 2b) 사이의 개방된 부분에 프런트 도어(3a) 및 리어 도어(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의 내측에는 압축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discharge hole)(5)가 구비된다. 상기 토출구(5)에는 외부공기를 압축시켜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컴프레서(8)(도 2참조)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9)에는 상기 도어(3)를 회전시키는 도어구동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펫에서 분리된 먼지, 털 등과 같은 오염물을 포함하는 공기(이하 '오염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유닛(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9)에는 상기 필터유닛(4)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7)(도 2 참조)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유닛(4) 및 상기 흡입팬(7)은 상기 컨테이너(2)와 상기 베이스(9)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펫 관리기(1)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프런트 도어(3a)가 열리면 펫이 상기 컨테이너(2) 내부로 들어온다. 상기 프런트 도어(3b)가 닫히면, 상기 토출구(5)에서 상기 컨테이너(2)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토출 공기에 의하여 펫에서 털, 먼지, 세균 등이 제거된다.(이하 편의상 '펫 샤워') 그리고 오염공기는 상기 컨테이너(2)의 하부의 필터유닛(4)을 통하여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공기는 배출부(outlet)(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펫 관리기(1)에 펫이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6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센서(62)에 의하여 펫을 감지하여 상기 프런트 도어(3a)를 자동으로 오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2)의 내부에 펫이 있는지 없는지를 감지하고 또한 펫의 크기를 감지하는 제2센서(6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센서(64)에서 펫의 크기를 감지하여, 작동될 토출구의 결정, 토출공기의 세기(압력), 토출구의 토출방향(경사), 토출공기의 온도 중의 최소한 한 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2)의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센서(62) 및 상기 제2센서(64)는 상기 격벽(2b)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센서(66)는 상기 격벽(2b)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기 제1센서(62) 및 제2센서(64)는 근접센서, 광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64)는 펫의 크기를 감지하기 위하여는 상하로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디스플레이(67)가 구비되어, 상기 펫 관리기(1)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67)는 펫 샤워 중에 남은 시간, 토출되는 공기 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67)는 프런트 도어(3a) 또는 리어 도어(3b)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테이너(2)를 설명한다.
상기 컨테이너(2)는 펫이 수용되어, 상기 펫의 털, 먼지, 세균 등이 제거되는 공간이다. 상기 컨테이너(2)의 형상은 한정되지는 않지만,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컨테이너(2)가 원통형이면, 상기 토출구(5)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컨테이너(2)의 중앙 부근으로 집중시켜, 펫에 묻은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컨테이너(2)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에 도어(3)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30를 통하여 펫이 출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상기 컨테이너(2)는 좌우측의 한쌍의 격벽(2a, 2b)으로 구성되며, 상기 격벽(2a, 2b) 사이에는 프런트 도어(3a) 및 리어 도어(3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런트 도어(3a) 및 상기 리어 도어(3b)를 도시 및 설명하지만, 1개의 도어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격벽(2a, 2b)과 상기 도어(3a, 3b)는 소정곡율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2)의 상부 및 하부는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2)의 하부의 개방된 부분에 상기 베이스(9)가 삽입되어, 상기 켄테이너(2)와 상기 베이스(9)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2)의 상부는 밀폐되어도 되지만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펫은 밀폐 공포증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펫의 목에 줄이 연결된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2)의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줄을 상기 컨테이너(2)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컨테이너(2)의 상부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방된 부분(27)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2) 내부의 오염공기가 상부로 부유하여 상기 컨테이너(2)의 외부로 배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오염공기가 상기 컨테이너(2)의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격벽(2a, 2b)의 상부는 상기 컨테이너(2)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진 부분(경사부)(26)에도 토출구(5e)가 구비되어, 상기 토출구(5e)에서 아래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일종의 에어 커튼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2)의 하부에는 필터유닛(4)을 통과한 공기가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2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2a, 2b)과 상기 배출부(24)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컨테이너(2) 내부에서 펫의 예상치 못한 움직임이나 측면 충격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2)가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의 상기 격벽(2a, 2b)의 내측에는 다수의 토출구(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구(5)는 하부에서 상부로 설치위치가 다른 다수의 열(5a, 5b, 5c, 5d, 5e)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펫의 크기에 따라서 공기를 토출할 토출구(5)의 열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펫의 크기에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의 세기(압력)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구(64)는 상하로 토출 방향이 조정 가능하게 구비되어, 펫의 크기에 따라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테이너(2)의 격벽(2a, 2b)의 내부 공간에는 콤프레서(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컴프레서(8)의 출구와 상기 토출구(5)의 사이에는 공기의 유로 역할을 하는 튜브(82)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콤프레서(8)는 격벽(2a, 2b)의 하부(저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튜브(84)를 통하여 토출구(5)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물론 튜브(84)없이 컴프레서(8)의 압축공기를 토출구(5)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5)는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의 열로 구성되며, 각각의 열로 분기되는 부분에 밸브(8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펫의 크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들 들어, 펫의 크기가 작으면, 1열 및 2열의 토출구(5a, 5b)가 개방시키고, 펫의 크기가 크면 모든 열의 토출구를 개방시킬수 있다.
한편, 펫 관리기(1)에는 히터(8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88)는 상기 컴프레서(8)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히터(88)는 상기 컴프레서(8)의 출구 또는 튜브(82)를 가열할 수도 있다. 상기 히터(88)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2) 내부의 온도를 펫이 좋아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88)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펫의 목욕 후에 펫을 건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펫 관리기(1)는 펫에서 분리된 세균 등을 살균하는 살균기(68)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살균기(68)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UV 램프가 바람직하며 UV LED가 더욱 바람직하다. UV 램프는 격벽(2a, 2b)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프런트 도어(3a) 및 리어 도어(3b)를 설명한다.
프런트 도어(3a) 및 리어 도어(3b)는 한 쌍의 격벽(2a, 2b)의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펫의 폐쇄 공포증을 일정 부분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3a, 3b)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3a, 3b)는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프런트 도어(3a) 및 후방 도어(3b)는 각각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도어의 개폐구조는 후술함.)
다음으로, 필터유닛(4)을 설명한다.
필터유닛(4)은 펫에서 분리된 털, 먼지 등을 필터링하는 부분이다. 필터유닛(4)은 컨테이너(2)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유닛(4)은 다수의 구멍(42a)을 가지는 판(42), 필터(44) 및 광촉매(4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42), 필터(44) 및 광촉매(46)의 형상은 컨테이너(2)의 내부에 대응하는 형상 예들 들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42)은 펫의 발이 접촉하는 부분이며, 공기 유동을 위한 다수의 구멍(42a)이 구비된다. 상기 판(42)은 금속재질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판(4)의 재질의 금속판이면, UV 램프(68)의 빛을 난반사시켜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필터(44)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등을 포함하는 다중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촉매(46)는 탈취용 광촉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촉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광원 바람직하게는 LED(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공기 유동을 위한 흡입팬(Suction Fan)(7)을 설명한다.
상기 흡입팬(7)은 상기 컨테이너(2)의 오염공기를 상기 필터유닛(4)으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흡입팬(7)은 필터유닛(4)과 베이스(9)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유닛(4)의 하부 전체에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팬(7)은 대략 상기 필터유닛(4)과 같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팬(7)이 작동하여, 상기 컨테이너(2)의 오염공기를 필터유닛(4) 방향으로 흡입하고, 상기 필터유닛(4)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베이스(9)에 구비된 개방부(9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필터유닛(4)의 상부의 오염공기를 수직 방향으로 흡입하여 상기 베이스(9)의 측면(대략 원주방향)으로 필터링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베이스(9)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9)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팬(7) 및 상기 필터유닛(4)이 위치한다. 상기 필터유닛(4), 상기 흡입팬(7) 및 상기 베이스(9)는 상기 컨테이너(2)의 내부로 삽입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9)의 형상은 상기 컨테이너(2)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9)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도어(3)를 구동하기 위한 도어구동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도어(3)를 구동하는 도어구동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도어(3)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는 구동기어(12) 및 상기 구동기어(12)와 연결되는 종동기어(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어(12)의 하부에는 모터(미도시)가 연결되며, 상기 종동기어(12)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3)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12)가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12)가 회전하면 상기 종동기어(10)가 회전하고, 상기 종동기어(10)와 함께 상기 도어(3)도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12)는 원형의 기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기어(10)는 상기 구동기어(12)에 내접하며, 원형의 기어의 일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기어(10)의 원주방향 크기는 컨테이어(2)의 개방부 또는 도어(3)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상기 종동기어(10)의 원주방향 크기는 상기 컨테이어(2)의 개방부의 원주방향의 크기 또는 도어(3)의 원주방향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9)의 내부에는 상기 종동기어(10)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베이스(9)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베이스(9)는 슬리브(92)와, 상기 슬리브(92)의 상부의 커버(9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92) 원형이며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94)는 상기 슬리브(9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92)의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부(9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94)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그루브(94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루브(944)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9)의 중앙에는 가이드(9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96)는 대략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에 단차(96a)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96a)에 종동기어(10)의 내측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종동기어의 지지구조는 후술함)
상기 슬리브(92)의 전면의 일부는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부분(98)은 상기 컨테이너(2)의 배출부(24)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필터유닛(4)에서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베이스(9)의 그루브(944), 상기 베이스(9)와 상기 가이드 (96) 사이의 틈새(946) 및 상기 가이드(96)의 중앙부분(948)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9)의 개방부(98)로 유동한다. 상기 베이스(9)의 개방부(98)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컨테이너(2)의 배출부(24)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종동기어(10)에는 상기 도어(3)가 결합되므로, 소정 하중을 받으며 또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슬리브(92)과 상기 커버(94)는 단차(92a)를 가지고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단차(92a)를 따라서 슬릿(924)이 구비된다. 상기 슬릿(924)을 통하여 종동기어(10)의 외측이 상기 베이스(9)의 밖으로 노출되며, 상기 종동기어(10)의 외측은 상기 단차(92a)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10)의 외측 노출부분에 상기 도어(3)가 상부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종동기어(10)의 내측은 상기 가이드(96)의 외측의 단차(96a)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기어(10)는 상기 가이드(96)의 단차(96a)와 상기 베이스(9)의 단차(92a) 부분 사이에서 지지된다.
상기 종동기어(10)가 회전하면, 상기 종동기어(10)는 상기 가이드(96)의 단차(96a)와 상기 베이스(9)의 단차(92a)에 지지되면서 슬라이딩한다. 물론, 상기 가이드(96)의 단차(96a) 및 상기 베이스(9)의 단차(92a) 부분에는 마찰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어 구성을 설명한다.
소정의 알고리즘을 가지는 콘트롤러(20)에는 각종 입력부 및 출력부가 연결된다. 상기 입력부는 제1센서(62), 제2센서(64), 온도센서(6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에는 리모콘(R)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2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디스플레이(67), 모터(M), 컴프레서(8), 밸브(84), 흡입팬(7), UV 램프(68), 광촉매 활성용 LED(69), 히터(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20)는 상기 입력부의 신호를 받아서 소정 알고리즘으로 판단 과정을 거쳐서 출력부에 적절한 구동신호 등을 출력한다.
여기서, 입력부, 콘트롤러(20), 출력부는 설명의 편의상 기능적 측면에서 편의상 분류한 것이며,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으로 반드시 분리되는 개념은 아니며,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다수의 모듈형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1)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펫 관리기의 대기상태에서는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가 닫힌 상태이다.(S1) 또한 컴프레서 등의 출력부도 일반적으로 오프(OFF)된 상태이다.
펫 관리기로 펫이 접근하는 지를 제1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다.(S3) 펫이 감지되고 상기 펫이 펫 관리기로 진입하려고 한다고 판단되면 프런트 도어를 오픈한다.(S5)
펫이 컨테이너의 내부로 진입하면, 제2센서가 펫을 감지한다.(S7) 펫이 컨테이너의 내부에 완전히 진입하였다고 판단되면, 프런트 도어를 클로우즈한다.(S9)
다음으로, 펫의 종류, 크기를 감지하여(S11), 개방될 토출구, 토출구 경사, 토출공기의 세기(압력), 토출공기 온도 및 토출시간 중의 최소한 한 개를 결정한다.(S13) 이러한 인자들은 적절한 실험 등을 통하여 테이블화해서 미리 저장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된 값에 맞추어 펫을 샤워시킨다. 펫의 샤워는 컨테이너 내부로 공기 토출,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의 필터링, 필터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의 적절한 조합을 통하여 구형될 수 있다. 한편 펫의 진입완료 감지, 펫의 종류, 펫의 크기 감지는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컨테이너의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컴프레서 작동 전에 흡입팬이 먼저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5) 왜냐하면, 펫 관리기의 대기상태에서는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는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흡입팬을 먼저 동작시키면, 정체된 공기를 컨테이너의 하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가 상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컴프레서의 동작 전에 흡입팬을 강하게 작동시켜, 상기 컨테이너 내부의 공기의 방향을 처음부터 컨테이너의 하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팬의 동작후 소정시간 경과 후에 컴프레서를 동작시킨다.(S17) 즉 토출구를 통하여 컨테이너의 내부로 공기를 토출한다. 필요하다면, 히터를 동작시킨다. 애견견의 경우에는 42도 정도의 온도가 적당하다.
컴프레서의 동작에 의하여, 토출구로 공기가 토출되며, 이 공기에 의하여 펫에 묻어 있는 털, 공기, 세균 등이 분리된다. 오염공기는 필터유닛으로 흡입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팻의 에어 샤워가 완료되면(S19), 컴프레서, 히터 등을 정지시키고, 리어 도어를 오픈한다.(S21) 이때 오염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팬은 계속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펫이 컨테이너의 외부로 진출했는지를 제2센서에 의하여 감지하다. 펫이 컨테이너의 외부로 진출한 것으로 판단되면,(S23) 리어 도어를 클로우즈한다.(S25)
이 상태에서 UV 램프를 구동하여, 소정 시간동안 살균한다.(S27) 펫의 에어샤워 도중에 UV 램프를 작동시킬 수도 있지만, 펫이 놀랄 수 있으므로 UV 램프는 펫의 진출 완료후에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살균 시간이 경과하면, UV 램프, 흡입팬의 작동을 정지시키고,(S29) 대기상태가 된다.(S1)
한편, 디스플레이는 펫 관리기의 전 과정에서 작동하여, 펙 관리기의 작동상태 예들 들어 펫샤워 잔여상태, 공기온도 등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수동으로 예를 들어 리모콘을 사용하여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를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를 애완동물 카페, 공공장소에서 펫이 들어올 때 펫에 묻어 있는 먼지제거, 살균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는 일종의 펫 클린 게이트(Pet Clean Gate)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펫을 청결하게 하고 또한 공공장소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를 가정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펫 관리기는 일종의 펫 클린 룸(Pet Clean Room) 또는 펫 드라잉 룸(Pet Drying Room)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펫을 청결하게 하고 또한 가정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펫의 목욕후에 간단히 펫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체적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을 가지는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의 본 발명의 범주이다.
1 : 펫 관리기 2 : 컨테이너
3 : 도어 4 : 필터유닛
5 : 토출구 7 : 흡입팬

Claims (1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며, 펫을 수용하는 공간을 정의하며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컨테이너;
    상기 펫이 상기 컨테이너에 출입할 수 있는 도어;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를 구동하는 도어구동장치;
    상기 토출구에 상기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펫에서 분리된 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유닛; 및
    상기 필터유닛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펫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한 쌍의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의 사이에 상기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및 상기 도어는 소정 곡률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상부 및 상기 도어의 상부는 내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장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내접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도어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상기 종동기어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도어의 원주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펫 관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상부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단차 및 슬릿이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외측은 상기 슬릿을 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단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는 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의 내측은 상기 가이드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 및 상기 흡입팬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슬리브의 전면에는 개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팬에서 나온 공기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서는 상기 컨테이너의 상기 격벽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펫에서 분리된 세균을 살균하는 UV 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외부에는 상기 펫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센서, 상기 격벽의 내부에는 상기 펫의 유무 및 크기를 감지하는 제2센서, 상기 격벽의 내부공간에는 히터, 상기 도어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
  13. 펫을 소정공간에 수용하는 제1단계와;
    상기 펫에 압축공기를 토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펫에서 분리된 오염물를 필터링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펫 관리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압축공기를 토출하기 전에 상기 소정공간의 공기를 외부를 배출하는 공기유동을 먼저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의 제어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펫에서 분리된 세균을 살균하는 제4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펫 관리기의 제어방법.
KR1020180152884A 2018-10-12 2018-11-30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41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90,054 US11382310B2 (en) 2018-10-12 2019-10-01 Pet car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921694724.5U CN211268110U (zh) 2018-10-12 2019-10-10 宠物护理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4767P 2018-10-12 2018-10-12
US62/744,767 2018-10-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758A true KR20200041758A (ko) 2020-04-22

Family

ID=7047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884A KR20200041758A (ko) 2018-10-12 2018-11-30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41758A (ko)
CN (1) CN21126811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21A (ko) * 2020-02-07 2021-08-1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의 털정리 장치 동작방법
KR20220151364A (ko) * 2021-05-06 2022-11-15 이명한 자동으로 운영되는 펫 드라이기
CN115399254A (zh) * 2022-08-25 2022-11-29 苏州市稳石智能科技有限公司 宠物护理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21A (ko) * 2020-02-07 2021-08-1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의 털정리 장치 동작방법
KR20220151364A (ko) * 2021-05-06 2022-11-15 이명한 자동으로 운영되는 펫 드라이기
CN115399254A (zh) * 2022-08-25 2022-11-29 苏州市稳石智能科技有限公司 宠物护理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268110U (zh)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2310B2 (en) Pet car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00041758A (ko) 펫 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37572B1 (ko) 반려동물용 토탈케어 시스템
KR20200144248A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장치
KR20130076159A (ko) 에어 샤워 장치
KR20180072890A (ko) 오픈형 신발 살균기
KR101939793B1 (ko) 유아용품 살균 소독장치
KR101565953B1 (ko) 자외선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의류 소독장치
KR20180005365A (ko) 욕실관리기
KR200434403Y1 (ko) 전기 식기 소독고
KR102356153B1 (ko) 에어샤워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시스템
US10591211B2 (en) Washstand furniture
KR101890917B1 (ko)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102283005B1 (ko) 공기 순환 기능을 구비한 자외선 살균 장치
KR20160142213A (ko)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US20230321292A1 (en) Shoe care apparatus
KR102061319B1 (ko) 손 건조 장치
KR102521846B1 (ko) 욕실관리기 및 욕실관리기의 제어방법
KR102066273B1 (ko)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KR200252089Y1 (ko) 고무장갑의 살균건조기
KR20140005500U (ko) 젖병 소독건조기
KR102562096B1 (ko) 내부 살균기능을 갖는 핸드 드라이어
KR200372919Y1 (ko) 자외선살균램프가 구성된 화장실용 공기청정기
KR20180047840A (ko) 싱크대 살균기
KR200334441Y1 (ko) 다목적 블로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