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8056B1 - 신발 건조기 - Google Patents

신발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8056B1
KR101318056B1 KR1020120125601A KR20120125601A KR101318056B1 KR 101318056 B1 KR101318056 B1 KR 101318056B1 KR 1020120125601 A KR1020120125601 A KR 1020120125601A KR 20120125601 A KR20120125601 A KR 20120125601A KR 101318056 B1 KR101318056 B1 KR 10131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rying room
air
sho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102012012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8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건조의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구조의 건조룸과, 중심부가 공기통로를 구성하도록 건조룸 중심부에 부설되는 회전원통체와, 공기통로를 통하여 공급된 가열공기(heated air)를 건조룸으로 분출 가능하도록 회전원통체에 돌설 형성되는 복수의 열풍노즐과, 회전원통체에 가열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열풍기 및 열풍에 의해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열풍노즐에 씌운 신발 내에 가열공기를 분출해 신발을 건조하도록 된 신발건조기에 있어서, 열풍노즐은 회전원통체의 내부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회전원통체에 고정 형성되는 직선형 열풍파이프와, 상기 열풍파이프의 단부에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부착되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한 발등 형상의 굽판으로 이루어져 회전원통체로 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굽판이 신발의 내측 발등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신발 건조기{FOOTWEAR DRIER}
본 발명은 신발의 세탁공정에서 열풍을 사용하여 운동화나 부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효과적으로 건조하는 신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보행시 외부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충격을 완화 흡수할 목적으로 발에 착용하여 외부환경에 직접 노출된 상태로 접촉 사용하기 때문에 쉽게 더러워지고, 더러워진 신발은 주기적인 세탁 과정을 통하여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세탁 전문점과 같은 다수의 다양한 신발을 세탁하는 전문분야에서 신발 세탁은, 신발에 묻어 있는 기초적인 이물질제거 단계와, 세제를 푼 온수에 담가 일정 시간 불리는 불림단계와, 브러시나 솔 또는 고압수로 갑피를 포함한 외피와 내피를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행구는 행굼단계와, 탈수기 등을 사용하여 탈수하는 탈수단계와, 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 및 건조 완료 후 비닐 포장하는 포장단계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의한 신발건조기는 상기한 신발세탁 공정 중 세척 후 헹굼과 탈수 단계를 거친 신발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에 적용되는 장치이다.
통상의 신발은 발등과 발목을 감싸 보호하기 위한 갑피와 갑피 바닥의 개구부에 부착되는 중창 및 중창 하부에 부착된 밑창으로 이루어진다. 갑피는 피혁이나섬유로 이루어지고, 중창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로 된 중창과 고무로 된 밑창이 결합된 형태이며, 발과 접촉하는 부위에는 부드러운 천을 덧댄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신발은 밑창을 갑피로 감싸고 부위별로 다른 소재를 접착 또는 재봉에 의해 부착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신발 세탁 공정에서 세척한 신발의 건조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세탁공정에서 건조 소요 시간의 단축은 신발세탁의 효율과 경제성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 다양한 형태의 신발 건조장치들이 제시되고 있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본국 특허공개 평5-228094는 내부를 공기 통로로 하는 원통형체의 외주면에 그 공기 통로를 통해 가열 공기(heated air)를 분출 가능한 열풍 노즐을 복수개 돌설 해 그 열풍 노즐에 씌운 신발 내에 가열 공기(heated air)를 분출해 신발을 건조하도록 된 장치이며, 원통형체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열풍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는 내부 가열 공기(heated air)를 배기수단을 갖춘 구조로서, 노즐에 신발을 끼워 장착한 상태에서 열풍공급수단(19)에 의해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가열하여 공급한 열풍으로 신발을 건조하고 가습공기는 배기수단(26)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에 의해 신발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신발건조기는 젖은 스키화나 작업화의 건조를 목적으로 세정제 살수 수단(32) 및 탈취를 위한 수단(25)(28)이 더 구비된 것이기는 하나 대한민국 특허 공개 2003-0064929에 의해 제안된 바와 같이 세척한 신발의 건조에 그대로 적용가능한 기술이며, 특히 원통 외측면에 돌출 형성한 노즐은 신발을 끼워 장착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건조에 시간이 걸리는 신발의 내측에 직접 열풍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신발 건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많은 신발을 일시에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신발건조기는 열풍공급과 건조에 이용된 열풍의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상당한 열이 폐열로 버려지고 계속적인 열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에너지 소비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고, 노즐에 장착된 신발에 가해지는 신발 내 외부의 온도차(건조룸 내부와 노즐 분사부에서 상당한 온도차가 발생함)에 의해 건조되면서 주름과 수축이 발생하여 신발코가 내려 앉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신발 건조기는 상층부에서 열풍이 가해지고 소비되면서 하부로 내려가며, 배기수단의 구성에 의해 하부에서 상층으로 배기의 흐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신발의 내부와 외부 뿐아니라 룸 내 상 하부 온도차가 5 ~ 6℃ 이상 발생한다.
상 하부에서 온도 차이는 동일한 건조기 내에 투입한 신발의 건조시간이 다른 결과로 이어지며, 신발의 품질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부 건조시간에 맞추면 하부는 미 건조된 상태로 배출되고, 하부 건조시간에 맞추면 상부는 열에 과도하게 노출된다.
통상의 신발은 피혁이나 섬유로 이루어진 갑피와,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발포체로 된 중창 및 고무로 된 밑창이 접착에 의해 부착되며, 갑피를 구성하는 합성피혁이나 가죽 및 소재의 접착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열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열에 장시간 노출될 수록 훼손되기 쉽다.
반복적인 실험에 의하면 60℃ 이상의 열풍에 2시간 이상 노출시키면 신발의 종류에 따라 갑피 부분에서 수축과 변형이 수반되고, 접착부의 내구성이 손상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열풍 건조시 6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간을 2시간 내외로 유지하여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건조기의 경우 상 하부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건조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의 열풍을 제공할 수 밖에 없어 열에 의한 신발의 훼손이 불가피하고, 상 하부 온도 차에 의해 고른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고급 부츠 등과 같이 발목이 긴 신발의 경우에는 상기 노즐 형상이 일자형으로 이루어져 장착이 용이하지 않으면서 신발 자체의 불균일 건조 뿐만 아니라 수축이나 변형에 의한 건조 품질의 저하가 발생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87039호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끝에 노즐부(222)를 형성한 열풍공급파이프(221)을 제시하고 있으며, 노즐부(222)는 볼록한 원판형을 이루면서 그 상, 하 면에 다수의 노즐구멍(223)들을 형성한 구조를 제시한다.
상기한 열풍파이프의 노즐부는 신발 내부에 열풍을 고르게 분산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신발 장착시 원판형의 노즐부가 신발코에 밀착 접촉하여 기존 건조장치에서 신발코가 수축 변형하는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나 신발코를 포함하여 주변 갑피 부분의 변형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없고, 공급된 열풍이 제한된 노즐구멍(223)을 통하여 방출됨으로써 열풍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공급된 열풍은 신발의 국부적인 변형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이 일자형태로 이루어져 부츠등 발목이 긴 신발류의 건조가 용이하지 않았다.
JP 19950228094 A KR 20030064929 A KR 20040087039 A
본 발명은, 건조과정에서 열변형에 의한 훼손을 방지하며, 고급 부츠와 같이 발목이 긴 신발도 수축과 변형 없이 균일한 건조가 가능한 신발건조기를 제시하고, 노즐구조를 개선하여 건조과정에서 신발 코 주변의 수축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츠를 포함하여 다양한 신발의 종류에 적용할 수 있는 신발건조기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에 의한 폐열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은 신발건조기를 제시하고, 노즐구조를 개선하여 건조과정에서 신발 코 주변의 수축과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츠를 포함하여 다양한 신발의 종류에 적용할 수 있는 신발건조기를 제시할 목적을 갖는다.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시된 본 발명은, 단열구조의 건조룸과, 중심부가 공기통로를 구성하도록 건조룸 중심부에 부설되는 회전원통체와, 공기통로를 통하여 공급된 가열공기(heated air)를 건조룸으로 분출 가능하도록 회전원통체에 돌설 형성되는 복수의 열풍노즐과, 회전원통체에 가열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열풍기 및 열풍에 의해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열풍노즐에 씌운 신발 내에 가열공기를 분출해 신발을 건조하도록 된 신발건조기에 있어서, 일단이 열풍기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원통체 하단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원통체 중심부에 부설되는 열풍공급관과, 일단은 건조룸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열풍기의 흡기구에 연결되도록 건조룸 내벽에 부설되는 열풍회수관이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가열공기를 회전원통체의 하부로 공급하여 각각의 열풍노즐을 통하여 건조룸 내부로 분출되도록 하고, 분출된 가열공기는 건조룸 하부로 모아지고 열풍회수관으로 흡입되어 열풍기에 재 공급하는 순환에 의해 건조룸 내부로 가열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가열공기순환공급수단과; 배기장치로서, 건조룸 상부에 형성한 내부공기흡입구에 배기팬을 접속하고, 상기 배기팬의 구동과 연동되어 셔터가 개방되도록 건조룸 하부에 외부공기 흡입구를 설치하여, 건조룸 내부 증기압이 상승되면 가열공기순환공급수단을 정지하고 작동하여 건조룸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열풍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회전원통체의 내부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회전원통체에 고정 형성되는 직선형 열풍파이프와, 상기 열풍파이프의 단부에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부착되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한 발등 형상의 굽판으로 이루어져 회전원통체로 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굽판이 신발의 내측 발등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열풍에 의한 신발건조기로서, 그 단부가 회전원통체의 하단에 근접하도록 회전원통체 중심부에 설치된 열풍공급관과 흡입구가 건조룸 하부에 위치하도록 건조룸 내벽에 부설되는 열풍회수관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회전원통체의 하부부터 공급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 열풍노즐을 통하여 소비되고, 열풍노즐을 통하여 신발의 안쪽 건조에 이용된 후 회전원통체 외부로 배출되는 열은 건조룸 하부로 다시 모아져 적정온도로 가열 된 후 재 공급되는 가열공기의 순환 흐름에 의하여 증기배출수단이 정지한 상태에서 밀폐된 건조룸 내부에 신발의 건조에 필요한 열풍이 생성되어 반복 순환되고, 건조룸 내부는 상 하부 온도 편차가 거의 없이 균일한 상태를 유지하며, 신발 내 외부의 온도차 또한 최소로 유지되어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진다.
또한, 증기배출수단에 의해 일정시간 또는 증기압이 일정 이상이 되면 주기적으로 증기를 방출함으로서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고, 신발의 열변형이 방지되는 저온 건조가 가능하며, 증기배출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 배기에 의한 방출열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직선형의 열풍파이프와 그 단부에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부착되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한 발등 형상의 굽판으로 이루어진 열풍노즐은 신발을 회전원통체로부터 어느 정도 이격시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회전원통체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신발 접착부위등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굽판이 신발의 내측 발등부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열풍을 고르게 분산 배급하여 건조과정에서 신발코 주변이 수축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풍파이프와 굽판이 인체의 발 형상을 유지하여 고급 부츠나 발목이 긴 신발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a 는 기존 신발 건조기의 구성도
도 1b는 기존 신발건조기에 적용된 열풍노즐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건조기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신발 건조기의 실시 예도
도 4는 열풍노즐의 동작원리도
도 5a는 열풍순환 수단에 의한 열풍 흐름도
도 5b는 증기배출수단에 의한 증기배출시 증기와 공기의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열풍노즐의 실시예 및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 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단열구조의 건조룸(10)과, 중심부가 공기통로(A)를 구성하도록 건조룸 중심부에 부설되는 회전원통체(20)와, 공기통로를 통하여 공급된 가열공기(heated air)를 건조룸으로 분출 가능하도록 회전원통체에 돌설 형성되는 복수의 열풍노즐(30)과, 회전원통체에 가열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열풍기(40)와, 열풍에 의해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장치(5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열풍노즐에 씌운 신발 내에 가열공기를 분출해 신발을 건조하도록 된 신발건조기에 적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일단이 열풍기(40)의 배기구(41)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원통체(20) 하단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원통체 중심부에 부설되는 열풍공급관(60)과, 일단은 건조룸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열풍기(40)의 흡기구(42)에 연결되도록 건조룸 내벽에 부설되는 열풍회수관(70)이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가열공기를 회전원통체의 하부로 공급하여 각각의 열풍노즐을 통하여 건조룸 내부로 분출되도록 하고, 분출된 가열공기는 건조룸 하부로 모아지고 열풍회수관으로 흡입되어 열풍기에 재 공급하는 순환에 의해 건조룸 내부로 가열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가열공기순환공급수단과; 배기장치(50)로서, 건조룸 상부에 형성한 내부공기흡입구(51)에 배기팬(52)을 접속하고, 상기 배기팬의 구동과 연동되어 셔터(53)가 개방되도록 건조룸 하부에 외부공기흡입구(54)를 설치하여, 건조룸 내부 증기압이 상승되면 가열공기순환공급수단을 정지하고 작동하여 건조룸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건조룸(10)은 부식 방지 처리된 내벽과 단열처리가 된 외벽 및 출입을 위한 도어(11)를 구비한 것으로, 원통 또는 박스형상으로 구성되며, 도어(11)은 신발의 건조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신발건조기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건조룸을 사각 박스형상으로 구성하고, 상부에 전장부(12)를 설치하여 필요 구성 요소들을 집약 설치할 수 있게 하고, 제어패널(13)을 전면에 노출 설치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한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회전원통체(20)는 신발의 장착과 탈착의 편의를 위하여 원통체를 상기 건조룸의 중심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설한 것으로서, 원통 하단에 회전축(21)을 설치하여 건조룸에 형성한 축받이(22)에 결합하고, 상부는 내측에 롤러(23)를 결합하여 건조룸에 고정 설치한 원통 레일(24)에 지지한 구조를 갖는다.
열풍노즐(30)은 신발을 장착하고, 효과적인 건조를 위한 것으로, 기존 열풍노즐은 회전원통체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는 목이 짧은 신발의 장착은 가능하지만 부츠와 같이 목이 긴 신발은 목과 갑피 부분의 각도 때문에 장착이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한 열풍노즐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원통체의 내부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회전원통체에 고정 형성되는 직선형 열풍파이프(31)와, 상기 열풍파이프의 단부에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부착되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321)을 형성한 발등 형상의 굽판(32)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직선형 열풍파이프(31)는 회전원통체에 대하여 대략 90°로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원통체와 연통되는 공기통로를 갖는다. 굽판(32)은 상기 직선형 열풍파이프(31)의 단 상부에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321)을 가진다.
따라서, 열풍노즐은 직선형 열풍파이프(31)와 굽판(32)이 대략 사람의 다리 형상을 가지며, 단화 뿐만 아니라 목이 긴 부츠와 같은 신발의 장착 건조도 용이하고, 직선형 열풍파이프(31)는 상대적으로 고온을 유지하는 회전원통체로부터 신발을 이격시켜 접착제나 고무 부분이 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발등 형태의 굽판(32)은 신발 발등을 밀착 지지하여 건조과정에서 신발코 수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통기공(321)은 갑피로 향하는 열풍을 분산 공급하고 제한하여 신발 안쪽으로 더 많은 열풍이 가해지도록 작용함으로써 건조가 빠른 갑피와 건조가 느린 중창부의 건조 속도를 일치시켜 신발 전체가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작용한다.
열풍기(40)는 신발 건조에 필요한 가열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장치와 가열장치가 각기 분리 또는 결합된 형태이며, 본 발명에 적용된 열풍기는 전체적으로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건조룸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43)에 의한 계측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단계별로 가열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여 줌으로써 설정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설정온도 이하에서 가열장치에 고전압을 출력하여 건조룸 내부 온도를 신속하게 끌어 올리고, 설정온도 대역에서는 저전압을 출력하여 급격한 온도변화를 억제하고 건조온도의 균일성을 향상한다. 예를 들어, 신발의 바람직한 건조온도인 45~60℃ 범위에서 가열장치의 출력전압을 낮추어 미세온도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가열이 필요한 45℃ 이하 온도에서는 출력전압을 높여 신속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제어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열풍기에 의해 생성된 열로 효율적인 신발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가열공기순환공급수단이 적용된다.
이를 위해 일단이 열풍기(40)의 배기구(41)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원통체(20) 하단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원통체 중심부에 부설되는 열풍공급관(60)과, 일단은 건조룸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열풍기(40)의 흡기구(42)에 연결되도록 건조룸 내벽에 부설되는 열풍회수관(70)이 열풍기에 결합되고, 일단은 건조룸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열풍기(40)의 흡기구(42)에 연결되도록 건조룸 내벽에 부설되는 열풍회수관(70)이 결합된다.
상기 구조는 회전원통체 상부에서 공급한 열풍이 원통 상부의 열풍노즐부터 공급되어 하부로 공급되고, 동시에 상부의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되는 기존 신발건조기 구조에서 발생하는 건조룸 상하부에서 온도차와 신발 안쪽과 바깥쪽에서의 온도차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풍회수관→열풍기→열풍공급관→원통회전체→열풍노즐(신발건조)→건조룸→열풍회수관으로 연속되는 가열공기순환이 이루어지고, 건조룸 내부의 가열공기 순환 형태는 원통체 하부→ 원통체 상부→ 열풍노즐 → 건조룸 상부 → 건조룸 하부로 연속되는 상하 순환 형태로 이루어져 상 하간의 온도차가 없고, 신발의 안쪽과 바깥쪽의 온도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건조룸 내부에서 온도 균일성이 유지되고, 가열공기 흐름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따라서, 투입된 신발의 건조속도가 상하 구분없이 일정하고, 온도 불균형에 의한 신발의 국부적 변형이나 수축 등의 문제가 해소된다.
배기장치(50)는 건조룸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건조에 필요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배기장치를 증기배출수단으로 적용하며, 건조룸 상부에 형성한 내부공기흡입구(51)에 배기팬(52)을 접속하고, 상기 배기팬의 구동과 연동되어 셔터(53)가 개방되도록 건조룸 하부에 외부공기흡입구(54)를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배기장치는 습도센서(55)에 의해 계측되는 건조룸 내부의 증기압 조건 또는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따라 열풍기와 연동제어되어 건조룸 내부 증기압이 상승하거나 타이머에 설정한 주기 조건에 따라 열풍기를 정지하고 작동하여 건조룸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5b는 증기배출수단에 의해 건조룸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건조룸 내의 상대습도가 포화상태에 이르면 더이상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건조룸 내부에 설치한 습도센서(55)의 계측값이 일정 이상이 되거나 타이머에 의해 설정한 가동주기에 이르면 열풍기를 정지하고 배기팬을 가동하는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주기적으로 건조룸 내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한 증기배출은 배기팬이 가동되면서 건조룸 하부의 외부공기흡입구(54)가 개방됨으로써 건조룸 하부→ 건조룸 상부로 이어지는 흐름에 의해 증기배출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흡기와 배기의 간섭 없이 건조룸 내부 습기의 신속한 배출이 이루어지고, 열풍정지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증기배출수단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짐으로서 건조룸 내부 열에너지 방출이 최소화되고, 가열공기의 연속적 순환 활용이 가능해져 에너지 소비효율이 개선되고, 열풍의 순환 사용과 건조룸 내부 습도 조절에 의해 낮은 건조온도로 신발 건조가 가능하여 신발의 품질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을 적용한 건조기의 실 사용예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 원통체를 돌려가면서 돌설된 열풍노즐에 신발을 장착한 후 도어를 닫고 건조기를 동작시키면, 가열공기순환공급수단과 증기배출수단이 제어알고리즘에 의해 동작을 반복하면서 설정 시간 동안 신발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신발의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균일 건조에 의한 신발 건조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10: 건조룸
11: 도어 12: 전장부 13: 제어패널
20: 회전원통체
21: 회전축 22: 축받이 23: 롤러 24: 원통 레일
30: 열풍노즐
31: 직선형 열풍파이프
32: 굽판 321: 통기공
40: 열풍기
41: 배기구
42: 흡기구 43: 온도센서
50: 배기장치
51: 내부공기흡입구 52: 배기팬
53: 셔터 54: 셔터 55: 습도센서
60: 열풍공급관
70: 열풍회수관

Claims (3)

  1. 단열구조의 건조룸과, 중심부가 공기통로를 구성하도록 건조룸 중심부에 부설되는 회전원통체와, 공기통로를 통하여 공급된 가열공기(heated air)를 건조룸으로 분출 가능하도록 회전원통체에 돌설 형성되는 복수의 열풍노즐과, 회전원통체에 가열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열풍기 및 열풍에 의해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열풍노즐에 씌운 신발 내에 가열공기를 분출해 신발을 건조하도록 된 신발건조기에 있어서, 일단이 열풍기의 배기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원통체 하단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원통체 중심부에 부설되는 열풍공급관과, 일단은 건조룸 하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열풍기의 흡기구에 연결되도록 건조룸 내벽에 부설되는 열풍회수관이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가열공기를 회전원통체의 하부로 공급하여 각각의 열풍노즐을 통하여 건조룸 내부로 분출되도록 하고, 분출된 가열공기는 건조룸 하부로 모아지고 열풍회수관으로 흡입되어 열풍기에 재 공급하는 순환에 의해 건조룸 내부로 가열공기를 순환 공급하는 가열공기순환공급수단과; 배기장치로서, 건조룸 상부에 형성한 내부공기흡입구에 배기팬을 접속하고, 상기 배기팬의 구동과 연동되어 셔터가 개방되도록 건조룸 하부에 외부공기 흡입구를 설치하여, 건조룸 내부 증기압이 상승되면 가열공기순환공급수단을 정지하고 작동하여 건조룸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열풍노즐은 회전원통체의 내부 공기통로와 연통되도록 회전원통체에 고정 형성되는 직선형 열풍파이프와, 상기 열풍파이프의 단부에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부착되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한 발등 형상의 굽판으로 이루어져 회전원통체로 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굽판이 신발의 내측 발등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기.
  2. 삭제
  3. 삭제
KR1020120125601A 2012-11-07 2012-11-07 신발 건조기 KR10131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601A KR101318056B1 (ko) 2012-11-07 2012-11-07 신발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601A KR101318056B1 (ko) 2012-11-07 2012-11-07 신발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056B1 true KR101318056B1 (ko) 2013-10-14

Family

ID=4963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601A KR101318056B1 (ko) 2012-11-07 2012-11-07 신발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298B1 (ko) * 2013-11-06 2015-05-04 강윤수 신발용 건조기
CN107233065A (zh) * 2017-07-27 2017-10-10 周子靖 一种用于除臭的干鞋器
WO2023156766A1 (en) 2022-02-21 2023-08-24 FootDry Designs Limited Apparatus for drying foot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408A (ko) * 1996-11-26 1998-08-05 최동욱 공기순환에 의한 신발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68688U (ko) * 1998-09-04 1998-12-05 구용공 신발제조원단 합포장치의 열풍건조기
KR200273929Y1 (ko) * 2002-01-29 2002-04-27 조선미 운동화 건조장치
KR20120012107A (ko) * 2010-07-30 2012-02-09 김윤상 신발건조기의 신발걸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8408A (ko) * 1996-11-26 1998-08-05 최동욱 공기순환에 의한 신발의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68688U (ko) * 1998-09-04 1998-12-05 구용공 신발제조원단 합포장치의 열풍건조기
KR200273929Y1 (ko) * 2002-01-29 2002-04-27 조선미 운동화 건조장치
KR20120012107A (ko) * 2010-07-30 2012-02-09 김윤상 신발건조기의 신발걸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298B1 (ko) * 2013-11-06 2015-05-04 강윤수 신발용 건조기
CN107233065A (zh) * 2017-07-27 2017-10-10 周子靖 一种用于除臭的干鞋器
WO2023156766A1 (en) 2022-02-21 2023-08-24 FootDry Designs Limited Apparatus for drying footw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8487B2 (en) Heating circulation typ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US73253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wrinkles in clothes
KR101108043B1 (ko) 옷장형 건조기
US20060101588A1 (en)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KR101199360B1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CN102656315B (zh) 用于根据目标相对湿度控制衣物处理设备的方法
KR2009010512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318056B1 (ko) 신발 건조기
KR20090066992A (ko) 잘 말리는 기계
KR101119120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100163B1 (ko) 신발 건조 겸용 의류 건조기
KR20140127986A (ko) 신발 건조기
KR102662308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19662B1 (ko) 신발 살균 및 건조장치
KR20070052733A (ko) 의류의 구김제거방법
KR100659309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200800B1 (ko) 신발 건조기
JP6207919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100067751A (ko) 다양한 목적 건조기
CN206822603U (zh) 鞋子的消毒干燥器
KR20080110038A (ko) 다목적 건조기
US20240011691A1 (en) Shoe ca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11575821U (zh) 一种鞋加工用烘干装置
KR20200031889A (ko) 원형배열 거치식 신발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