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365U - 신발 살균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살균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365U
KR20110011365U KR2020110010484U KR20110010484U KR20110011365U KR 20110011365 U KR20110011365 U KR 20110011365U KR 2020110010484 U KR2020110010484 U KR 2020110010484U KR 20110010484 U KR20110010484 U KR 20110010484U KR 20110011365 U KR20110011365 U KR 201100113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erilizer
shoe
heater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철
Original Assignee
홍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철 filed Critical 홍성철
Priority to KR2020110010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365U/ko
Publication of KR201100113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을 살균하고 신발을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의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면 상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신발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와, 분사부와, 분사부와 연결되는 히터와, 히터와 연결되어 히터에서 가열된 바람을 분사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건조유닛;과, 신발을 살균하는 살균기와, 본체의 내면에 탈착되도록 살균기의 끝단에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복수의 살균유닛; 및 히터, 송풍기 및 살균기와 연결되어 히터, 송풍기 및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수 또는 신발의 위치에 따라서, 살균유닛을 설정위치로 이동하거나 신발에 살균유닛을 직접 삽입하여 신발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건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이용자가 살균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도록 살균기를 탈부착시키거나 살균기를 신발에 직접 삽입하여 여러 종류의 신발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으며, 바람을 일정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순환 및 배출시켜서 신발을 신속하게 건조시 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살균 건조 장치{Disinfection and drying device for shoes}
본 고안은 신발을 살균 및 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람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하여 신발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고, 살균기를 원하는 위치에 탈부착시키거나 신발에 직접 삽입시킴으로써, 신발의 구조에 상관없이 다양한 신발을 살균할 수 있는 신발 살균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신발은, 발(Foot)이 외부와 접촉하지 않게 발을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통기성이 열악하여 발에서 발산되는 체열(體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서, 발에서 땀을 유발한다. 이러한 땀(습기)으로 인해 신발 내에서는 피부사상균증(곰팡이, 무좀) 등과 같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번식과, 심한 악취(발냄새)를 풍기게 된다. 즉, 착용한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 하는 거실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는 풍겨난 발냄새(악취)로 인해 주변 사람들에게 심한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무좀균(피부사상균증)을 전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신발 살균기들이 시판되고 있지만, 살균기가 고정 설치되어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의 종류에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생긴다. 즉, 부츠와 같은 긴 신발의 경우에는 살균기를 부츠 내부에 삽입시킬 수 없기 때문에 부츠의 내부는 살균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여러 켤레의 신발을 살균하는 경우에는 중간 중간에 신발의 배치를 바꿔줘야 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예를 들면, 살균기에서 방출되는 오존 또는 자외선은 신발을 부식 및 탈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발의 한 부분을 오랫동안 살균하게 되면 신발이 탈색되거나, 특히 신발이 부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신발이 손상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용자가 살균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도록 살균기를 탈부착시키거나 살균기를 신발에 직접 삽입하여 여러 종류의 신발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으며, 바람을 일정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순환 및 배출시켜서 신발을 신속하게 건조시 킬 수 있는 신발 살균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의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면 상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신발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와, 분사부와, 분사부와 연결되는 히터와, 히터와 연결되어 히터에서 가열된 바람을 분사부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건조유닛;과, 신발을 살균하는 살균기와, 본체의 내면에 탈착되도록 살균기의 끝단에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복수의 살균유닛; 및 히터, 송풍기 및 살균기와 연결되어 히터, 송풍기 및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수 또는 신발의 위치에 대응하여, 살균유닛을 설정위치로 이동하거나 신발에 살균유닛을 직접 삽입하여 신발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건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분사부는 본체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면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되,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을 신속히 건조하기 위해서 분사부로부터 분사되는 바람이 순환하여 배출되도록, 분사부에서 바람이 하부로 분사되고, 하부로 분사된 바람이 안내부의 상면에 부딪혀 후방으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이동한 바람이 배출공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서, 히터의 온도 및 작동시간, 송풍기의 풍량 및 작동시간, 살균기의 살균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이용자가 입력하도록, 제어부와 연결되어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건조상태를 확인하여 히터 및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부와 연결되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습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뜨거운 바람에 의해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제어부와 연결되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는, 다양한 구조의 신발이더라도 살균기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살균기를 신발에 직접 삽입시킬 수 있어서, 신발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살균할 수 있으며, 바람을 일정한 방향으로 신속하게 순환 및 배출시켜서 신발을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의 종류에 따라서 온도, 살균시간 및 건조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살균기에서 발생하는 오존 또는 자외선에 의해서 신발이 탈색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에서 보호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의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면 상부에 배출공(112)이 형성되고 신발을 수용하는 케이스(11)와,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14)를 포함하는 본체(10);와, 분사부(21)와, 분사부(21)와 연결되는 히터(22)와, 히터(22)와 연결되어 히터(22)에서 가열된 바람을 분사부(2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23)를 포함하여 본체(10)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건조유닛(20);과, 신발을 살균하는 살균기(31)와, 본체(10)의 내면에 탈착되도록 살균기(31)의 끝단에 설치되는 마그넷(32)을 포함하는 복수의 살균유닛(30); 및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와 연결되어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되, 본체(10)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수 또는 신발의 위치에 대응하여, 살균유닛(30)을 설정위치로 이동하거나 신발에 살균유닛(30)을 직접 삽입하여 신발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건조 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분사부(21)는 본체(1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면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본체(1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안내부(50);를 더 포함하되, 본체(10)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을 신속히 건조하기 위해서 분사부(21)로부터 분사되는 바람이 순환하여 배출되도록, 분사부(21)에서 바람이 하부로 분사되고, 하부로 분사된 바람이 안내부(50)의 상면에 부딪혀 후방으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이동한 바람이 배출공(112)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서, 히터(22)의 온도 및 작동시간, 송풍기(23)의 풍량 및 작동시간, 살균기(31)의 살균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이용자가 입력하도록, 제어부(40)와 연결되어 본체(10)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입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건조상태를 확인하여 히터(22) 및 송풍기(23)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부(40)와 연결되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습도센서(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부(21)에서 분사되는 뜨거운 바람에 의해 본체(10)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히터(22)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제어부(40)와 연결되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1)에서 보호커버(13)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1)의 측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1)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1)는, 본체(10), 건조유닛(20), 살균유닛(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케이스(11) 및 도어(14)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대략 직육면체로 상단 및 전면이 개방되고, 건조유닛(20) 및 제어부(40)를 설치하기 위해서 케이스(11)의 내부에 수평한 격막(12)이 설치되며, 격막(12)에 설치되는 건조유닛(20), 살균유닛(30) 및 제어부(40)를 보호하도록 케이스(11)의 상단에 보호커버(13)가 설치된다. 그리고, 격막(12)을 기준으로 격막(12)의 상부에 바람을 흡입하는 복수의 흡입공(111)이 케이스(11)의 후면에 형성되고, 격막(12)의 하부에 바람을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공(112)이 케이스(11)의 후면에 형성되며, 흡입공(111)에서 흡입된 바람을 건조유닛(20)의 분사부(21)를 통해서 케이스(11)의 내부 즉, 격막(12) 아래로 분사하도록, 격막(12)의 앞쪽에 건조유닛(20)의 분사부(21)가 격막(12)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직사각형의 장공(121)이 형성된다.
도어(14)는, 케이스(11)에서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여 신발을 넣거나 빼도록 케이스(11)와 도어(14)가 힌지 축(141)으로 결합 되며, 케이스(11)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도어(14)의 일 영역에 아크릴 또는 유리 등으로 형성된 투명창(142)이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스(11)의 전면 상부에 본 고안의 신발 살균 건조 장치(1)의 작동시간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가 설치되며, 건조유닛(20) 및 살균유닛(30)을 작동시키는 시작버튼(16)이 설치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본체(10)는 자석이 붙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도 후술한다.
건조유닛(20)은, 분사부(21), 히터(22) 및 송풍기(23)를 포함한다.
분사부(21)는, 평면에서 본 모양이 대략 "ㅗ"형의 사각 관으로, 전방 저면이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저면에 복수의 분사구(211)가 형성되며, 후단은 송풍기(23)와 연결되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분사부(21)는, 돌출된 부분이 격막(12)의 장공(121)에 삽입되어 격막(12)의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히터(22)는, 분사부(21)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어 송풍기(23)에서 공급하는 바람을 가열한다.
송풍기(23)는, 분사부(21)의 후단과 연결되어 격막(12)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송풍기(23)가 외부 바람을 흡입하고, 흡입된 바람은 히터(22)를 거친 후 분사부(21)를 통해서 케이스(11)의 내부로 분사된다.
살균유닛(30)은, 대략 원기둥 형상의 살균기(31) 및 마그넷(32)으로 구성되는데, 살균기(31)의 끝단에 마그넷(32)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케이스(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살균유닛(30)에 설치된 마그넷(32)을 이용하여 케이스(11)의 내면 및 격막(12)의 저면에 탈착시킬 수 있다. 즉, 본체(10)가 금속이기 때문에 이용자는 살균유닛(30)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며, 케이스(11)의 내면에 부착된 살균유닛(30)을 분리시켜서 신발에 직접 삽입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살균기(31)는 세균을 살균하기 위해서 오존 또는 자외선 등이 방출되는 오존램프 또는 자외선램프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40)는, 격막(12)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술한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본 고안의 신발 살균 건조 장치(1)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케이스(11)의 전면에 설치된 시작버튼(16)을 누르면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가 설정시간 동안 작동되는데, 히터(22) 및 살균기(31)의 장시간 가동으로 인하여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의 작동시간을 10~15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케이스(11)의 내부에 신발이 놓인 상태에서 살균기(31)가 장시간 작동하면, 살균기(31)에서 방출되는 오존 또는 자외선에 의해서 신발이 탈색될 수 있고, 또한, 장시간 작동하는 히터(22)에 의해서 신발이 오그라들거나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는,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의 작동시간이 10~15분이 되면,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를 정지시킨다.
예컨데,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의 작동시간이 10~15분을 초과하면 제어부(40)가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를 강제로 정지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때에 따라서는 히터(22), 송풍기(23) 및 살균기(31)가 작동하는 동안에 시작버튼(16)을 눌러서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는, 신발의 습기가 적은 경우에는 짧은 시간 동안 본 고안을 작동시켜서 신발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이를 계속해서 본 고안을 작동시키는 것은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이므로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본 고안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신발이 탈색되거나 부식이 잘되는 경우에도 이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를 보면서 원하는 시간 동안만 본 고안을 작동시키고, 시작버튼(16)을 눌러서 본 고안을 정지시킴으로써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살균유닛(30)과 제어부(40)는 연결선(33)으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선(33)은 살균유닛(30)이 이동할 때, 연결선(33)이 늘어지거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전화기(미도시)에 사용되는 코일 형태의 연결선(33)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확인하도록 케이스(11)의 내부에 제어부(40)와 연결되는 온도센서(41) 및 습도센서(42)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41)는 케이스(11)의 평균적인 내부온도를 알 수 있도록 격막(12)의 저면 중앙에 설치하고, 습도센서(42)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습기가 남아있는지 확인하도록 배출구 근처에 설치된다.
가령, 히터(22)의 온도가 일정온도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히터(22)가 고장이 나서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케이스(11)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이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케이스(11)의 내부에 온도센서(41)를 설치하고, 제어부(40)와 연결된 온도센서(41)에서 읽어들인 값을 가지고 케이스(11)의 내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아지면 제어부(40)는 히터(22)의 작동을 정지시켜서 케이스(11)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화재에 대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습도센서(42)에서 읽어들인 값을 가지고 제어부(40)는 케이스(11)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에 습기가 남아있는지 확인하여 케이스(11)의 내부 습도가 설정습도 이하인 경우에는 송풍기(23)를 정지시킨다. 이는, 신발에 습기가 남아있지 않음에도 송풍기(23)를 계속해서 가동하는 것은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케이스(11)의 내부에 습도센서(4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종류와 재질에 따라서 히터(22)의 온도 및 작동시간과, 송풍기(23)의 회전수 및 작동시간과, 살균기(31)의 살균시간을 입력하도록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부(60)가 케이스(11)의 전면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신발이 슬리퍼, 샌들, 부츠, 운동화 및 구두 등의 종류를 구분하고, 가죽, 합성피혁, 직물 및 고무 등의 재질을 구분한 후, 입력부(60)로 히터(22)의 온도를 설정하고, 작동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살균기(31)의 살균시간을 설정한 후 송풍기(23)의 회전수 및 작동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온도는 1℃ 단위로 설정할 수 있고, 시간은 1분 단위로 설정할 수 있으며, 회전수는 1~5단계로 구분되고 각 단계에 따른 회전수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서, 이용자는 원하는 단계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살균 및 건조해야 할 신발이 많은 경우에는 신발들을 케이스(11)의 내부에 잘 배치하고, 살균유닛(30)을 적절한 곳에 배치한다. 이때, 살균유닛(30)을 오존 또는 자외선이 케이스(11)의 내부로 골고루 퍼지도록, 케이스(11) 내부의 양측 또는 후방에 부착한다. 이는, 살균유닛(30)을 케이스(11)의 천장에 부착하면 오존 또는 자외선이 방출되는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세우는 것보다는 가로로 눕혀서 배치하는 것이 살균기(31)에서 방출되는 오존 또는 자외선이 신속하면서 골고루 퍼지기 때문이다. 물론, 부츠의 경우에는 살균유닛(30)을 세워서 부착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이용자는 신발의 종류를 먼저 선별한 후 살균유닛(30)을 적절한 위치에 부착한다. 특히, 한 켤레의 신발을 건조 및 살균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살균하기 위해서, 살균유닛(30)을 신발에 각각 삽입하여 신발속에 서식하는 세균을 신속하게 살균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살균유닛(30)과 마그넷(32)을 결합시켜 탈착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살균유닛(30)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어서 어떤 종류의 신발이더라도 신속하게 살균하는 것이 가능하다.
살균유닛(30)의 설치가 끝나면 도어(14)를 닫고 입력부(60)를 이용하여 신발의 종류 및 재질에 따라서 히터(22)의 온도 및 작동시간과, 송풍기(23)의 풍량 및 작동시간과, 살균기(31)의 살균시간을 설정한 후 시작버튼(16)을 눌러서 본 고안을 작동시킨다.
본 고안이 작동하면, 살균기(31) 및 히터(22)는 바로 작동하고, 송풍기(23)는 흡입공(111)으로 유입되는 바람을 흡입하여 히터(22)로 보낸 후 히터(22)에서 가열된 바람을 분사부(21)를 통해서 케이스(11)의 내부로 분사한다.
케이스(11)로 분사된 가열된 바람의 일부는, 신발에 직접 부딪혀 신발을 건조하고, 가열된 바람의 나머지 일부는 안내부(50)의 경사면(51)에 부딪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신발을 건조한다. 그리고, 후방으로 이동한 가열된 바람은 상부로 이동하여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는, 안내부(50)의 경사면(51)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갖고, 이와 동시에 분사부(21)가 전방에 배치되어 분사부(21)에서 분사되는 바람이 안내부(50)의 전방에서 아래로 분사되므로 분사부(21)에서 분사된 가열된 바람이 경사면(51)을 타고 자연스럽게 케이스(11) 내부공간을 회전하여 케이스(11) 내부를 순환함으로써, 습기가 케이스(11) 내부에 머무르지않고 빠르게 배출되어 신발을 빠르게 건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출공(112)이 케이스(11)의 후면 상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바로 빠져나가지 않고 후면을 타고 상승하여 바람의 순환이 잘 이루어짐으로써, 부츠와 같은 신발의 상부까지도 신속하게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만약, 배출공(112)이 케이스(11)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면, 바람이 회전하지 않고 바로 배출되어 부츠와 같이 발목 부분이 긴 신발의 상부는 잘 건조되지 않아서 건조하는 시간이 지연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신발을 신속하게 살균 및 건조할 수 있으며, 특히 살균 시간 및 건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고안과 균등한 영역의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신발 살균 건조 장치 10; 본체
11; 케이스 111; 흡입공
112; 배출공 12; 격막
121; 장공 13; 보호커버
14; 도어 141; 힌지 축
142; 투명창 15; 디스플레이부
16; 시작버튼 20; 건조유닛
21; 분사부 211; 분사구
22; 히터 23; 송풍기
30; 살균유닛 31; 살균기
32; 마그넷 40; 제어부
41; 온도센서 42; 습도센서
50; 안내부 51; 경사면
60; 입력부

Claims (3)

  1. 내부의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후면 상부에 배출공이 형성되고 신발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본체;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와 연결되어 상기 히터에서 가열된 바람을 상기 분사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건조유닛;
    상기 신발을 살균하는 살균기와, 상기 본체의 내면에 탈착되도록 상기 살균기의 끝단에 설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복수의 살균유닛; 및
    상기 히터, 상기 송풍기 및 상기 살균기와 연결되어 상기 히터, 상기 송풍기 및 상기 살균기 중 하나 이상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수 또는 신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살균유닛을 설정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신발에 상기 살균유닛을 직접 삽입하여 상기 신발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상면이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을 신속히 건조하기 위해서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되는 바람이 순환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분사부에서 바람이 하부로 분사되고, 하부로 분사된 바람이 상기 안내부의 상면에 부딪혀 후방으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이동한 바람이 상기 배출공을 통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놓이는 신발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작동시간, 상기 송풍기의 풍량 및 작동시간, 상기 살균기의 살균 시간 중 하나 이상을 이용자가 입력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2020110010484U 2011-11-25 2011-11-25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201100113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84U KR20110011365U (ko) 2011-11-25 2011-11-25 신발 살균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484U KR20110011365U (ko) 2011-11-25 2011-11-25 신발 살균 건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152U Division KR200460472Y1 (ko) 2010-05-17 2010-05-17 신발 살균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65U true KR20110011365U (ko) 2011-12-08

Family

ID=5368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484U KR20110011365U (ko) 2011-11-25 2011-11-25 신발 살균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3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32A1 (en) * 2020-01-17 2021-07-22 Lg Electronics Inc. Shoe management device
US11931471B2 (en) 2020-01-17 2024-03-19 Lg Electronics Inc. Shoe managemen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32A1 (en) * 2020-01-17 2021-07-22 Lg Electronics Inc. Shoe management device
US11931471B2 (en) 2020-01-17 2024-03-19 Lg Electronics Inc. Shoe managemen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KR200460472Y1 (ko)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101132397B1 (ko) 신발 살균소독기
KR101596917B1 (ko) 살균기능을 갖는 발 건조기
CN104997454B (zh) 一种干脚机及干鞋和干脚联合装置
KR101265064B1 (ko) 신발 살균 건조기
KR100511691B1 (ko) 원적외선 신발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신발장
KR102297550B1 (ko) 능동적 탈취 및 건조 살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보관 시스템
KR101500909B1 (ko) 소형 신발 건조살균탈취기
JP2000201752A (ja) 殺菌乾燥ボックス
CN201167692Y (zh) 智能鞋柜
KR20070053051A (ko) 자외선 살균 옷장식 건조기
KR200381792Y1 (ko) 신발 건조장치
KR20120012107A (ko) 신발건조기의 신발걸이장치
KR20190014780A (ko) 분리형으로 휴대가 가능한 신발 및 다용도 살균 탈취 건조기
KR20110011365U (ko) 신발 살균 건조 장치
KR100996307B1 (ko) 신발 살균 및 건조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용 기체유도장치
KR20210030806A (ko) 신발 수납위치 확인 기능을 구비한 신발장
KR200397164Y1 (ko)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신발건조기
KR20200068111A (ko) 탈취제 주입 및 건조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신발 관리 시스템
KR102209633B1 (ko) 1인용 클린 게이트 시스템
KR101620974B1 (ko) 신발 건조장치
KR20010085054A (ko) 신발 건조기
KR20100022322A (ko) 고무장갑 건조기
KR20130130332A (ko) 신발 소독 겸용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