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526B1 -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526B1
KR102663526B1 KR1020240007779A KR20240007779A KR102663526B1 KR 102663526 B1 KR102663526 B1 KR 102663526B1 KR 1020240007779 A KR1020240007779 A KR 1020240007779A KR 20240007779 A KR20240007779 A KR 20240007779A KR 102663526 B1 KR102663526 B1 KR 102663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rame
main frame
washbas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윤
백상식
Original Assignee
백승윤
백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윤, 백상식 filed Critical 백승윤
Priority to KR102024000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12Wash-basins attachable to sinks; Collapsible washing stands attachable to s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면대가 설치될 벽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다 간편하게 세면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세면대에 관한 기술로서, 상면이 개구된 채 사각 박스형상을 이루게 되는 메인프레임; 물이 모일 수 있는 오목한 저수홈을 갖추되, 상기 저수홈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편에 지지되는 걸림플랜지가 형성되는 세면볼프레임; 하단측이 개구되며, 정면판 좌우 가장자리에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시키기 위한 제1체결공이 형성되며, 배면판 좌우 가장자리에는 벽면과 연결되게 하기 위한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판 상단 부근에는 물배출구 및 조절레버 설치를 위한 설치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이격거리에 해당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팅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물배출구와 조절레버의 장착을 위해 고정 설치되는 연결뭉치; 상기 연결뭉치의 물유입구에 연결되는 물유입관;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a prefabricated washbasin}
본 발명은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면대가 설치될 벽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다 간편하게 세면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에 관한 기술이다.
지금껏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는 도자기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천편일률적인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제품을 구매하여 단순히 고정 설치되는 것을 이용하였다.
도자기재의 세면대는 충격에 취약하여 보관 및 운반이 어려울 뿐아니라 시공중에도 손상되기도 하고, 시공 후에도 가벼운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부분적 파손 또는 금이 가는 등의 내구성이 취약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기존의 세면대는 거의 동일한 디자인의 대량 생산되는 도자기재를 사용함에 따라 개성을 중시하거나 독특한 인테리어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세면대는 가정용도 있지만 공중시설과 같이 많이 사람들이 사용하는 세면대의 경우 그 길이를 필요에 맞게 길게 형성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기존의 도자기재 세면대로는 이처럼 다양한 소비자들의 취향이나 장소적 특성으로 인한 필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보통 건물을 짓게되는 경우 벽체 속으로 거의 모든 배관들이 매립되게 하여 최종 사용처에 배관의 끝단이 노출되게 하여 물배출구와 조절레버를 연결하도록 한다.
한편, 미리 배치된 배관 때문에 새로운 세면대를 설치하거나 다른 장소에 세면대를 설치하고자 할 때 많은 불편함과 제약사항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5913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벽체에 미리 배설된 배관이 없는 곳에 세면대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벽체를 헐지 않고도 비교적 간단하게 세면대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는, 상면이 개구된 채 사각 박스형상을 이루게 되는 메인프레임; 물이 모일 수 있는 오목한 저수홈을 갖추되, 상기 저수홈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편에 지지되는 걸림플랜지가 형성되는 세면볼프레임; 하단측이 개구되며, 정면판 좌우 가장자리에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시키기 위한 제1체결공이 형성되며, 배면판 좌우 가장자리에는 벽면과 연결되게 하기 위한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판 상단 부근에는 물배출구 및 조절레버 설치를 위한 설치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이격거리에 해당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팅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물배출구와 조절레버의 장착을 위해 고정 설치되는 연결뭉치; 상기 연결뭉치의 물유입구에 연결되는 물유입관;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면판은 상단, 좌단, 우단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플랜지로 이루어져 중심부위는 개구되게 하여 상기 연결뭉치, 물유입관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측에는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커넥팅프레임을 볼팅하여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제2체결공은 상기 제1체결공보다 안쪽에 형성되어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면판의 일측에 물품 수납을 위한 수납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홀 내부에 수납함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면볼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저수홈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을 중심으로 H 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함몰되는 물배출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에 올려져 상기 배수홀과 상기 물배출유도홈이 가려지도록 하는 ㄷ 자 형상의 가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림부재의 좌우 양단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재의 전후 중심부에는 소정 길이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물이 상기 배수홀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는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이나 구조 변경시 등에 세면대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경우 물 공급을 위한 배관의 설치를 위해 벽체를 헐지 않고 커넥팅프레임을 벽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세면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해 시공비를 줄일 수 있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곳에 세면대를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조립식 세면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커넥팅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커넥팅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연결뭉치와 물유입관의 배치 예시도.
도 5는 물배출유도홈의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방향에서 본 물배출유도홈의 단면도.
도 7은 가림부재의 저면측 사시도.
도 8은 메인프레임의 일측으로 확장프레임이 결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측에 수납용프레임이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커넥팅프레임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의한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제1실시예의 조립식 세면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커넥팅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커넥팅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연결뭉치와 물유입관의 배치 예시도이며, 도 5는 물배출유도홈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또 다른 방향에서 본 물배출유도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가림부재의 저면측 사시도이며, 도 8은 메인프레임의 일측으로 확장프레임이 결합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9는 메인프레임의 하부측에 수납용프레임이 배치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10은 커넥팅프레임에 수납함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는 메인프레임(100)과 세면볼프레임(200), 커넥팅프레임(300), 연결뭉치(400) 및 물유입관(50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0)은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을 이루게 되며, 메인프레임(100)은 금속재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도록 하며, 금속성의 각파이프나 알루미늄 프로파일 등을 이용하여 용접이나 볼팅의 방식으로 연결하여 박스 형상으로 메인프레임(100)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프레임(100)을 사각 박스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보여주며,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100)은 좌우전후측 상부수평부재(110), 좌우전후측 하부수평부재(120), 전방측 수직부재(130), 후방측 수직부재(1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부가적인 보조수직부재(150)들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의 각 면은 개구되어 있도록 할 수 있고, 특히 메인프레임(100)의 상면은 개구되어 세면볼프레임(200)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한다.
세면볼프레임(200)은 물이 모일 수 있는 오목한 저수홈(210)을 갖는 형상을 이루며, 저수홈(210)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220)이 형성되게 한다. 세면볼프레임(200)을 이루는 저수홈(2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도면을 통해 제시되는 저수홈(210)은 하나의 실시예이다.
메인프레임(100)의 상면을 통해 끼워지는 세면볼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지지되어 고정 결합되게 하며, 이를 위해 저수홈(21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걸림플랜지(230)가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편(160)에 의해 걸림플랜지(230)가 걸쳐지면서 상하방향 결합위치가 결정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걸림플랜지(230)는 메인프레임(100)의 상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도록 걸림편(160)의 깊이와 걸림플랜지(230)의 두께를 동일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100)에 마련되는 걸림편(160)은 메인프레임(100)의 좌우,전후 상부수평부재(110)의 내면측에 걸림플랜지(230)의 두께에 상당하도록 좌우전후상부수평부재(11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게 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00)의 좌우측 상부수평부재(110)에는 걸림플랜지(230)와 맞닿아 구속되게 하는 스크류를 위한 다수의 스크류홀(180)이 형성되게 한다.
메인프레임(100)의 상면을 통해 끼워지는 세면볼프레임(200)은 걸림편(160)에 걸림플랜지(230)가 지지되어 상하 위치가 결정되나, 스크류홀(180)에 스크류를 꽂아 걸림플랜지(230)가 스크류에 의해 구속되게 함으로써 세면볼프레임(200)이 흔들리거나 쉽게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의 후방측 수직부재(140)에는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될 커넥팅프레임(300)과의 연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커넥팅프레임(300)은 세면대가 설치될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요소이면서, 커넥팅프레임(300)의 전면에 메인프레임(100)의 후방측이 결합되게 하여 메인프레임(100)이 간접적으로 벽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커넥팅프레임(300)은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상을 이루되, 하단측은 개구되도록 하는 바, 정면판(310), 배면판(320), 좌측판(330), 우측판(340), 상면판(350)을 갖추게 되고, 좌측판(330)과 우측판(340)의 가로길이에 의해 커넥팅프레임(300)의 두께가 결정된다. 커넥팅프레임(300)의 상하 높이는 메인프레임(100)의 상하높이 보다는 길게 형성시키도록 한다.
정면판(310)의 좌우 가장자리에 메인프레임(100)과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체결공(311)이 형성되도록 하며, 배면판(320)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벽면과 연결되게 하기 위한 제2체결공(321)이 형성되도록 한다.
정면판(310)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311)에 대응하여 메인프레임(100)의 후방측 수직부재(140)에는 연결공(141)을 형성시키도록 하며, 제1체결공(311)과 연결공(141)을 통해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볼팅함으로써 메인프레임(100)을 커넥팅프레임(300)에 연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정면판(310)의 상단 부근에는 물배출구(10) 및 조절레버(20) 설치를 위한 설치홀(312)들이 형성되고, 정면판(310)과 배면판(320)은 좌측판(330) 및 우측판(340)의 가로길이에 상응하는 이격거리를 두게 됨으로써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배면판(320)은 부분적으로 개구된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데, 배면판(320)의 상단, 좌단, 우단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플랜지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중심부위는 개구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면판(320)은 좌측 플랜지(322), 우측 플랜지(323), 상단 플랜지(324)가 ㄷ 자 형상을 이루면서 연결되는 구조를 갖게 되고, 벽면과 고정 설치되게 하기 위한 제2체결공(321)은 좌측 플랜지(322)와 우측 플랜지(323)에 복수개가 형성되게 하여 앵커볼트를 벽면에 박아 제2체결공(321)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커넥팅프레임(300)을 고정 설치하도록 한다.
배면판(320)의 중심부위를 개구되게 하는 것은 커넥팅프레임(300) 내부로 설치될 연결뭉치(400), 물유입관(500) 등의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2체결공(321)들은 제1체결공(311)보다 안쪽에 형성되게 하여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커넥팅프레임(300)의 내부공간에는 연결뭉치(400)와 물유입관(500)이 배치되는데, 연결뭉치(400)의 정면측에 물배출구 장착구(410)와 조절레버 연결부(420)가 형성된다. 커넥팅프레임(300)의 정면판(310) 상단 부근에는 물배출구(10) 및 조절레버(20) 설치를 위한 설치홀(312)들이 형성되며, 설치홀(312)에 연결뭉치(400)의 물배출구 장착구(410)와 조절레버 연결부(420)를 맞춰 끼워서 볼팅을 통해 연결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뭉치(400)의 일측인 조절레버 연결부(420)의 하부측에 물유입구(430)가 형성되게 하여 물유입관(500)을 물유입구(430)에 연결하여 물이 연결뭉치(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는 물을 공급해줄 수 있는 배관이 없는 곳에 세면대를 설치하고자 할 때나 기존 건물의 새로운 장소에 세면대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 등에 유용하다.
통상 건물을 건축할 때에는 물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 화장실, 주방 등의 장소에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미리 배관을 배치하여 벽체 내부로 배관이 내장되게 한 후 타일로 벽면을 마감한 다음 세면대를 벽면에 부착 후 수전을 연결하면 된다.
하지만 예정되지 않은 장소에 세면대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세면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면을 부분적으로 헐은 다음에 배관을 매설하고 다시 미장을 한 다음 타일을 붙이는 등의 복잡한 작업이 필요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벽면을 훼손시키지 않고 벽면의 소정 위치에 커넥팅프레임(300)을 고정 설치되게 한 다음에 커넥팅프레임(300)의 정면측에 메인프레임(100)을 연결되게 하면 된다.
벽체를 헐지 않고 세면대로 연결되는 물유입관(500)이 커넥팅프레임(30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게 하여 연결뭉치(400)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깔끔하게 세면대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원에서 커넥팅프레임(300)은 새로운 벽체 역할을 하게 되며, 원하는 어느 곳에라도 세면대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프레임(300)은 메인프레임(10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메인프레임(100)의 상단 보다 높게 돌출되는 정면판(310)의 일측에는 물품 수납을 수납홀(313)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커넥팅프레임(300)의 활용도를 높이며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이다.
정면판(310)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수납홀(313)에 소정의 수납함(314)이 끼워져 설치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수납함(314)은 비누, 삼푸, 치솔, 면도기 등의 세면도구들을 보관하는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원하는 장소의 벽면에 커넥팅프레임(300)을 연결되게 하고 커넥팅프레임(300)의 정면판(310)에 메인프레임(100)을 결합되게 한 후, 메인프레임(100) 내부에 세면볼 프레임(200)을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세면볼프레임(200)에 형성되는 배수홀(220)이 저수홈(210)의 중앙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배수홀(220)을 중심으로 H 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함몰되는 물배출유도홈(240)이 형성되도록 한다. 저수홈(210)은 전체적으로 편평한 평면을 이루되, 배수홀(220)을 중심으로 하여 낮게 형성되는 물배출유도홈(240)은 저수홈(210)의 타부위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자연스럽게 물의 배수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수홈(210)에는 가림부재(2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가림부재(250)는 대략 ㄷ 자 형상을 이루게 되고 배수홀(220)과 물배출유도홈(240) 위에 올려져 이들이 가려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가림부재(250)의 좌우 양단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파지홈(251)이 형성되게 하여, 저수홈(210)에 삽입된 가림부재(250)를 청소 등의 이유로 이탈되게 할 때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림부재(250)의 전후 중심부에는 소정길이의 개구부(252)가 형성되어 개구부(252)를 통해 물이 배수홀(220)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저수홈(210)에 설치될 수 있는 가림부재(250)를 통해 보다 깔끔하고 미려한 세면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노출되는 커넥팅프레임(300), 메인프레임(100), 세면볼 프레임(200) 등에 타일을 부착시켜서 세면대를 완성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세면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세면대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고려하여 메인프레임(100)의 좌우측으로 확장프레임(600)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측으로는 소정 이격거리를 두면서 수납용프레임(700)이 배치되게 할 수도 있다.
확장프레임(600)은 메인프레임(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볼트너트를 이용하여 메인프레임(100)과 확장프레임(600)을 체결하여 일체화되게 할 수 있고, 확장프레임(600)은 필요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100)의 하부측으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면서 수납용프레임(700)이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수납용프레임(700)의 상면은 중량감소 및 소재절감을 위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세면대는 메인프레임(100), 세면볼프레임(200), 커넥팅프레임(300), 연결뭉치(400), 물유입관(500)을 기본적인 요소로 하여 구성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확장프레임(600) 및 수납용프레임(700)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100 : 메인프레임
110 : 좌우전후측 상부수평부재 120 : 좌우전후측 하부수평부재
130 : 전방측 수직부재 140 : 후방측 수직부재
150 : 보조수직부재 160 : 걸림편
141 : 연결공 180 : 스크류홀
200 : 세면볼프레임
210 : 저수홈 220 : 배수홀
230 : 걸림플랜지
300 : 커넥팅프레임
310 : 정면판 311 : 제1체결공
312 : 설치홀 313 : 수납홀
314 : 수납함 320 : 배면판
321 : 제2체결공 322 : 좌측플랜지
323 : 우측플랜지 324 : 상단플랜지
330 : 좌측판 340 : 우측판
350 : 상면판
400 : 연결뭉치 410 : 물배출구 장착구
420 : 조절레버 연결부 430 : 물유입구
500 : 물유입관 600 : 확장프레임
700 : 수납용프레임
10 : 물배출구
20 : 조절레버

Claims (5)

  1. 상면이 개구된 채 사각 박스형상을 이루게 되는 메인프레임;
    물이 모일 수 있는 오목한 저수홈을 갖추되, 상기 저수홈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편에 지지되는 걸림플랜지가 형성되는 세면볼프레임;
    하단측이 개구되며, 정면판 좌우 가장자리에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시키기 위한 제1체결공이 형성되며, 배면판 좌우 가장자리에는 벽면과 연결되게 하기 위한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판 상단 부근에는 물배출구 및 조절레버 설치를 위한 설치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정면판과 상기 배면판의 이격거리에 해당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팅프레임;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기 물배출구와 조절레버의 장착을 위해 고정 설치되는 연결뭉치;
    상기 연결뭉치의 물유입구에 연결되는 물유입관;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배면판은 상단, 좌단, 우단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길이만큼 돌출된 플랜지로 이루어져 중심부위는 개구되게 하여 상기 연결뭉치, 물유입관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면측에는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하는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커넥팅프레임을 볼팅하여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제2체결공은 상기 제1체결공보다 안쪽에 형성되어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의 일측에 물품 수납을 위한 수납홀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홀 내부에 수납함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볼프레임에 형성되는 상기 배수홀은,
    상기 저수홈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을 중심으로 H 자 형상으로 하방으로 함몰되는 물배출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에 올려져 상기 배수홀과 상기 물배출유도홈이 가려지도록 하는 ㄷ 자 형상의 가림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림부재의 좌우 양단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림부재의 전후 중심부에는 소정 길이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물이 상기 배수홀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KR1020240007779A 2024-01-18 2024-01-18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KR102663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7779A KR102663526B1 (ko) 2024-01-18 2024-01-18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7779A KR102663526B1 (ko) 2024-01-18 2024-01-18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526B1 true KR102663526B1 (ko) 2024-05-03

Family

ID=9107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7779A KR102663526B1 (ko) 2024-01-18 2024-01-18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5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68U (ko) * 1998-11-10 1999-02-25 유웅주 세면대
KR20130114410A (ko) * 2012-04-09 2013-10-18 최용문 유아용 세면대
JP2016179151A (ja) * 2015-03-25 2016-10-13 Toto株式会社 洗面化粧台
KR102155913B1 (ko) 2019-07-26 2020-09-14 심재용 후면 연장 세면대 및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68U (ko) * 1998-11-10 1999-02-25 유웅주 세면대
KR20130114410A (ko) * 2012-04-09 2013-10-18 최용문 유아용 세면대
JP2016179151A (ja) * 2015-03-25 2016-10-13 Toto株式会社 洗面化粧台
KR102155913B1 (ko) 2019-07-26 2020-09-14 심재용 후면 연장 세면대 및 욕실선반 모듈을 이용한 욕실선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526B1 (ko)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세면대
KR200430527Y1 (ko) 선반을 갖는 욕실용 조립식 벽체
KR101588085B1 (ko) 친환경 욕실용 선반유닛 및 그 시공방법
US11607085B2 (en) Shower pans and related linear drain configurations
JP3346685B2 (ja) 浴室ユニット
JPH0540794Y2 (ko)
JP2775143B2 (ja) 浴室ユニット用防水パ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JP2601368Y2 (ja) 浴室における汚れ物の洗い場
JPH066781Y2 (ja) 取付用洗面器
JP4730003B2 (ja) 浴室ユニットの壁構造
JPH07109753A (ja) 洗面台等の排水トラップ構造
JPH052151Y2 (ko)
AU785196B2 (en) Shower base
JP3476748B2 (ja) 間仕切壁の構築方法
JPH0519407Y2 (ko)
JPH0519027Y2 (ko)
JPH0324668Y2 (ko)
JP3000138B2 (ja) 防水パンの構造
JPH0743468U (ja) トイレユニット及びトイレの施工構造
JPH0716848Y2 (ja) 水回りユニット連結体
JP3503322B2 (ja) 配管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H0519408Y2 (ko)
JPH066782Y2 (ja) 取付用洗面器
KR960000405Y1 (ko) 조립식 다용도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