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427B1 - 검체 채취 스틱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427B1
KR102663427B1 KR1020210122435A KR20210122435A KR102663427B1 KR 102663427 B1 KR102663427 B1 KR 102663427B1 KR 1020210122435 A KR1020210122435 A KR 1020210122435A KR 20210122435 A KR20210122435 A KR 20210122435A KR 102663427 B1 KR102663427 B1 KR 102663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blade
harvesting
sample collection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882A (ko
Inventor
고창욱
정중환
김봉윤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JP202351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43413A/ja
Priority to US18/245,586 priority patent/US20230363745A1/en
Priority to PCT/KR2021/012565 priority patent/WO2022060074A1/ko
Priority to EP21869696.1A priority patent/EP4215121A1/en
Priority to CN202180063621.2A priority patent/CN116261589A/zh
Publication of KR2022003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12M1/28Inoculator or sampler being part of container
    • C12M1/30Sampler being a swa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2001/028Sampling from a surface, swabbing, vapor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채취스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는, 지지부의 전측에 결합되는 허브; 및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축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허브의 외면에 배치된 다수의 채취블레이드;를 포함하며, 플레이트 형태의 채취블레이드는 종방향길이의 중간 지점에서의 횡방향너비가 종방향길이에 비하여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두께가 횡방향너비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므로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으로부터 고정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검체 채취 스틱{A Stick for Sampling a Specimen}
본 발명은 검채 채취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 내 타액 등의 검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의 타액 등을 긁어내어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검체 채취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학적 검사란, 검체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에 오염되어 있는지를 가려내는 검사이다. 즉, 병의 원인이 미생물이라고 생각될 때, 그 진단, 치료, 예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하는 검사이다. 미생물학적 검사는 피검사자가 대장균, 장티푸스균,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균 등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에 오염이 되어 있는지를 가려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학적 검사를 위하여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채취된 검체는 검사를 위한 시약 또는 용액에 섞여진 후에 병원균의 존재여부를 검사한다.
피검사자의 타액이나 체액 또는 신체조직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시 검체 채취용 스틱, 브러쉬 또는 스왑(swab)이라 불리는 기구가 사용된다. 즉, 검체채취용 스왑을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시켜서 스왑에 검체를 묻혀서 인출하는 형태로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기존의 검체 채취용 스왑의 경우 막대기 형상의 스왑의 끝단에 원형의 형태의 채취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스왑의 채취부에는 작은 크기의 미세섬유들이 부착되어 형성된 섬유층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스왑의 채취부에 형성된 섬유층에 검체가 스며들도록 하며, 피검사자로부터 스왑의 채취부를 인출함으로써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검체채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검체채취용 스왑은 섬유층에 타액 등이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이상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피검사자의 불편이 크다. 무엇보다도 검체채취용 스왑에 마련된 섬유층에서 일부 섬유층이 스왑의 채취부에서 분리 이탈되어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섬유층과 같은 이물질이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게되는 것은 의학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스왑을 이용하여 채취되는 채취량이 불충분하여 검사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61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체 채취시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종래 스왑의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부분이 스왑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검체 채취 스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은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채취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대칭 또는 축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 각각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것으로서, 상기 허브의 외면에 접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종방향길이에 비하여 상기 종방향길이의 중간 지점에서의 횡방향너비가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두께가 상기 횡방향너비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채취블레이드 또는 상기 허브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서 동일한 원주상에 배열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하나의 블레이드그룹(blade group)를 이루고, 서로에 대하여 이웃하는 다수개의 상기 블레이드그룹 각각은, 이웃하는 다른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대하여 임의의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취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된 형태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취블레이드에 비하여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된 배치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채취블레이드의 수평면 또는 상기 채취블레이드의 너비에 평행인 상기 채취블레이드의 수평방향 중심축이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종방향길이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횡방향너비가 감소되거나 상기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배열된 배치형태를 이루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채취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대칭 또는 축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 각각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것으로서, 상기 허브의 외면에 접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종방향길이는 상기 종방향길이의 중간 지점에서의 횡방향너비에 비하여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두께가 상기 종방향길이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채취블레이드 또는 상기 허브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의 외측에서 동일한 원주상에 배열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하나의 블레이드그룹(blade group)를 이루고, 서로에 대하여 이웃하는 다수개의 상기 블레이드그룹 각각은, 이웃하는 다른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대하여 임의의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취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된 형태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취블레이드에 비하여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된 배치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채취블레이드의 수평면 또는 상기 채취블레이드의 너비에 평행인 상기 채취블레이드의 수평방향 중심축이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종방향길이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횡방향너비가 감소되거나 상기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배열된 배치형태를 이루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의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플로킹(flocking)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스틱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채취스틱에 섬유층이 없으므로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 부분이 떨어져서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으므로 검사의 안전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주며, 아울러 종래의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에 검체가 스며드는데 소요되는 흡수시간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준다. 따라서,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 및 채취블레이드 하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 및 채취블레이드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 및 채취블레이드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일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채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를 가상의 평면의 형태로 펼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지지부(200), 검체채취부(300)를 포함하며, 나아가 손잡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지부(200)는 로드(rod) 또는 바(bar)와 같은 형태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다. 지지부(200)의 전측단에는 검체채취부(300)가 결합되어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를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되어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지지부(200)는 전달받는 힘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춘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 편, 검체용기(미도시)에 보관된 검체채취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때 핀셋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꺼내는 경우, 사전에 핀셋을 세척하고,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지지부(200)를 핀셋으로 집어서 꺼낸 후 검사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검체채취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가 놓여지면, 이용된 핀셋을 다시 세척하여야 한다.
이처럼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스틱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핀셋을 매번 세척하여야하므로 검체에 대한 검사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핀셋을 이용하지 않고도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출 수도 있다.
즉, 지지부(200)의 외면에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된 형태가 가능하다.
검체 용기(미도시)의 커버 또는 뚜껑(미도시)의 내측에는, 검체 채취 스틱의 지지부(200)가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 또는 끼움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홈 또는 끼움턱에 지지부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와 맞물리거나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지지부(200)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핀셋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검체 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을 오픈시키면 검체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와 함께 지지부(200)를 검체용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이러한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링과 같은 형태를 갖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후측에 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검체 용기의 커버에 지지부(200)가 결합될 수 있으면 이용상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위치하고 있다. 즉, 지지부(200)의 후측단이 손잡이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100)는 지지부(200)의 후측단에 연결되며,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0)는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된다. 검사자는 손잡이부(100)를 이용하여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시키는 컨트롤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0)를 이용한 검사자의 컨트롤에 의해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구강이나 비강 등을 통해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의 후측단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를 구별시켜줄 수 있는 분절마디와 같은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부(100) 및 지지부(200)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사용자인 검사자의 의도에 따라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채취부(300)가 인출되면 검체용기에 검체채취부(300)와 지지부(200)를 수용시킨다.
여기서 굳이 손잡이부(100)를 검체 용기에 수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부(200)로부터 손잡이부(100)를 분리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검사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분절마디 또는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분절된 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가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결합될 수 있다.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체채취부(300)는 지지부(200)의 전측단에 위치하며,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 또는 진입되어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검체 채취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검체채취부(300)에 대한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더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면, 검체채취부(300)는 지지부(200)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 또는 채취한다. 이러한 검체채취부(300)는 허브(310) 및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을 포함한다.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에 결합된다.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지지부(2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일치가 되도록 허브(310)와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분이 허브(310)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지지부(200)와 결합 또는 형성된다. 그리고 허브(310)의 외측에 배치된 채취블레이드(320)를 지지한다.
채취블레이드(320)는 허브(310)의 지지를 받으며,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대칭 또는 축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허브(310)의 외주면 상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다.
즉, 검체채취부(300)는 접촉되는 검체가 묻거나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블레이드(320)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의 일부분인 일측단이 허브(310)에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는 허브(310)의 지지를 받는다. 즉, 채취블레이드(320)는 일측단이 허브(310)의 외면상에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허브(310)의 지지를 받는다.
허브(310)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소재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채취블레이드(320)를 지지하는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 부분과 결합된다. 그리고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지지를 받는다.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은 지지부(20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일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31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형태인 봉의 형태를 갖출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채취블레이드(320)는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허브(310) 또는 지지부(200)의 중심축으로부터 외측방향 즉, 원심방향으로 임의의 크기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여 채취블레이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 및 채취블레이드 하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 및 채취블레이드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5와 도 6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허브의 일부분에 결합된 하나의 채취블레이드만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 각각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도 5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 각각은 허브(310)의 외면에 접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종방향길이(L0)에 비하여 종방향길이(L0)의 중간 지점(CP)에서의 횡방향너비(WC)가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두께(T0)가 횡방향너비(WC)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다.
즉, 채취블레이드(320)는 종방향길이(L0)에 비하여 횡방향너비(WC)가 같거나 작다. 그리고 횡방향너비(WC)에 비하여 두께(T0)가 작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채취블레이드(320)의 종방향길이(L0)은 횡방향너비(WC)의 1 내지 3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 도면부호 LC는 종방향길이(L0)의 중간 지점(CP)에서 타측단까지의 종방향길이구간을 나타낸 것으로서, 종방향길이(L0)의 절반 길이에 해당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CL은 채취블레이드(320)의 종방향의 중심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횡방향너비(WD, WE)가 감소된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면부호 WD는 채취블레이드(320)에서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횡방향너비가 감소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의 횡방향너비(WD)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WE는 체취블레이드(320)의 타측단에서의 횡방향너비(WE)를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채취블레이드(320)의 횡방향너비가 WD > WC > WE 으로 감소되는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블레이드(320)의 두께는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의 일측단에서 타측단 까지의 두께가 일정한 것도 바람직하며,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일부 부분에서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를 갖춘 것도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 및 채취블레이드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도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허브(310)의 일부분에 결합된 하나의 채취블레이드(320)만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에서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2)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T0, TE)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면부호 T0는 채취블레이드(320)에서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2)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의 두께(T0)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TE는 체취블레이드(320)의 타측단에서의 두께(TE)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2)에서 두께가 T0에서 TE로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는 것으로, 달리 표현하자면 두께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는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횡방향너비(WD)가 감소되거나 두께(T0, TE)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블레이드(320)의 두께는 0.1 mm 내지 1 mm 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0.8 mm 의 범위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도 5에서 참조되는 채취블레이드의 형태도 바람직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춘 채취블레이드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채취블레이드는, 허브의 외면에 접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종방향길이가 상기 종방향길이의 중간 지점에서의 횡방향너비에 비하여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두께가 상기 종방향길이에 비하여 작게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 또한 바람직하다.
즉, 채취블레이드(320)의 종방향길이(L0)가 횡방향너비(WC)에 비하여 같거나 작고 종방향길이에 비하여 두께(T0)가 작게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채취블레이드(320)의 횡방향너비는 종방향길이의 1 내지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블레이드(320)는 적어도 일측면이 곡면 또는 평면으로 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즉, 채취블레이드(32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부분이 곡면 또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 형태를 갖춘 채취블레이드의 외측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곡선 또는 곡면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도 바람직하다.
플레이트 형태를 갖춘 채취블레이드(320)의 외측 모서리부분이 둥글게 곡선 또는 곡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 채취과정에서 체내에 상처가 발생될 가능성을 억제시켜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 또는 허브(310)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채취블레이드(320) 또는 허브(310)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소재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허브(310)의 외주면에서 하나의 동일한 원주상에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가 배치 또는 배열된다. 도 2와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동일한 원주상에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가 배치된 형태를 예로서 도시하였으며 채취블레이드(32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허브(310)의 외주면에서 하나의 동일한 원주상에 배치 또는 배열되는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는 하나의 블레이드조(crew) 또는 블레이드그룹(blade group)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원주의 중심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 상에 원주의 중심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블레이드그룹은 도 2 또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허브(310)의 중심축 길이방향에 따라 임의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다수개가 배치된다.
다수개의 블레이드그룹은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서로에 대하여 이웃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그룹 각각은 이웃하는 다른 블레이드그룹에 대하여 임의의 간격을 두고 허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허브(31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 블레이드그룹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블레이드그룹은 이격되어 있다. 이격된 블레이드그룹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 또는 진입되는 검체가 채취블레이드(320) 또는 허브(310)의 표면에 접촉 또는 묻게 된다. 따라서, 검체 주변의 채취블레이드(320)와 허브(310)의 표면에 의해 홀딩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도 8 내지 도 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응용된 실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블레이드그룹에서 채취블레이드(320)가 배치된 위치는, 하나의 블레이드그룹과 이웃하는 블레이드그룹에서 채취블레이드(320)가 배치된 위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그룹의 채취블레이드(320)와 이웃하는 블레이드그룹의 채취블레이드(320)는 하나의 열을 이룬다고 할 수 있도록 정렬되어 있으나,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채취블레이드(320)가 정렬되지 않고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된 배치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그룹 마다 채취블레이드(320)가 형성된 위치가 다르게 마련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도면부호 a가 지시하는 블레이드그룹의 채취블레이드(320)와 도면부호 b가 지시하는 블레이드그룹의 채취블레이드(320)는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서로에 대하여 정렬되는 축대칭 또는 회전대칭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면부호 a가 지시하는 블레이드그룹과 도면부호 b가 지시하는 블레이드그룹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서로 교번하여 나타나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가 허브(310)에 결합된 방향이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블레이드그룹이 허브(320)의 축방향을 따라 교번하여 나타나는 형태로 마련된 것도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결합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일부 부분 즉, 허브(310)에 채취블레이드(320)가 결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1 내지 도 15 에서는 허브(310)에 결합된 채취블레이드(320)를 하나만 나타내었음을 밝혀둔다.
도 1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채취블레이드(320)의 수평방향 중심축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된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수평방향 중심축은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횡방향너비(WC)의 방향과 같거나 평행하다.
또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의 수평방향 중심축이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도 1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의 수평방향 중심축이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θ) 만큼 우상향된 형태로 채취블레이드(320)가 허브(310)의 표면에 형성된 형태도 바람직하며, 도 1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의 수평방향 중심축이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θ) 만큼 우하향된 형태로 채취블레이드(320)가 허브(310)의 표면에 형성된 형태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의 수평축 또는 수평면이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가 결합된 형태도 바람직하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채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를 가상의 평면의 형태로 펼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행(row)에 채취블레이드(320) 6개가 배치되어 하나의 블레이드그룹을 이루고, 이러한 블레이드그룹이 4개가 배치된 예시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종단면이 원형의 형태인 허브(310)의 외측 표면을 평면적으로 펼쳤을 경우 보여지게 될 평면적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14 및 도 15의 도면부호 A 는 허브(310)의 표면상의 임의의 한 점을 나타낸 것으로서, 좌측의 A점과 우측의 A점이 맞닿도록 구부리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허브의 형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먼저 도 1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행(row1)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는 하나의 블레이드그룹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2행(row2), 제3행(row3) 및 제4행(row4)도 각기 6개의 채취블레이드가 하나의 블레이드그룹을 구성한다.
제1행(row1)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와 제3행(row3)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는 앞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허브(310)의 중심축에 대하여 각 채취블레이드(320)가 임의의 각도로 우상향하는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제2행(row2)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와 제4행(row4)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는 앞서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허브(310)의 중심축에 대하여 각 채취블레이드(320)가 임의의 각도로 우하향하는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이처럼 도 14 또는 도 1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가 기울어지게 결합된 방향과, 이웃하는 다른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가 기울어지게 결합된 방향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각각의 채취블레이드(320)를 허브(310)의 표면상에 배치시킨 형태가 가능하며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의 기울기각이 이웃하는 다른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의 기울기각과는 다른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각 채취블레이드(320)는 하나의 열에 모두 공통적으로 속하고 있다. 즉, 채취블레이드(320)가 허브(310)의 중심축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4에서 응용된 형태로서 도 1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행(row1)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와 제3행(row3)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는 앞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허브(310)의 중심축에 대하여 각 채취블레이드(320)가 임의의 각도로 우상향하는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Col1`가 지시하는 열에서와 같이 제1행(row1)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와 제3행(row3)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가 하나의 열에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제2행(row2)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와 제4행(row4)에 속하는 6개의 채취블레이드(320)는 앞서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허브(310)의 중심축에 대하여 각 채취블레이드(320)가 임의의 각도로 우하향하는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Col2`가 지시하는 열에서와 같이 제2행(row2)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와 제4행(row4)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가 하나의 열에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제1행(row1)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와 제2행(row2)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320)는 정렬되지 않은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가 배열되는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허브(310)와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가 있으므로 종래의 스왑에 비하여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의 표면적이 증대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 각각은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 각각은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신체조직에 접하게 된다. 검사자가 손잡이부(100)를 통해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휘젖거나 긁어내는 움직임을 실시함으로써 채취블레이드(320)는 검체가 있는 신체조직 부분에 접하여 긁어내듯이 쓸어내게 되며 그 결과 검체가 채취블레이드(320)의 표면에 묻거나 서로 이웃하는 채취블레이드(320)의 사이의 간격에 홀딩된다.
즉,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채취블레이드(320)의 표면과 이에 이웃하는 채취블레이드(320)와의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검체가 묻거나 홀딩됨으로써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때 검체가 검체채취부(300)에 잔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채취블레이드(320)사이의 간격을 채취공간 또는 채취간격 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채취블레이드(320)의 크기는, 비강, 구강, 항문 또는 자궁경부와 같이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될 부위에 따라 설정된 크기로 성형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채취블레이드(320)와 허브(310)를 포함하는 검체채취부(300)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이나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채취부(300)에 포함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0)에 의해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
따라서,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고정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
참고로, 도 16 및 도 1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응용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정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채취블레이드가 허브에 또 다른 형태로 배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1)는, 허브(310)의 외주면 상에서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AX)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배열된 배치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1)에서, 서로 이웃하는 채취블레이드(321)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검체가 묻어서 홀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321)가 허브(310)의 외주면상에 나선형으로 배열된 배치형태도 바람직하다.
도 16 및 도 17 에서의 채취블레이드(321)는 횡방향너비가 종방향길이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방향길이가 횡방향너비보다 작게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채취부에 포함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와, 서로 이웃하는 채취블레이드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의해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의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플로킹(flocking)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스틱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채취스틱에 섬유층이 없으므로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 부분이 떨어져서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종래의 스왑에 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 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고정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시켜줄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에 삽입되는 검체채취부가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 또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손잡이부
200 : 지지부
300 : 검체채취부
310 : 허브
320 : 채취블레이드

Claims (16)

  1.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채취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원형형태인 봉의 형태를 갖춘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 각각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것으로서, 상기 허브의 외면에 접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종방향길이에 비하여 상기 종방향길이의 중간 지점에서의 횡방향너비가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두께가 상기 횡방향너비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며,
    상기 허브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채취블레이드의 수평방향 중심축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거나 임의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채취블레이드 또는 상기 허브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서 동일한 원주상에 배열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하나의 블레이드그룹(blade group)를 이루고,
    서로에 대하여 이웃하는 다수개의 상기 블레이드그룹 각각은, 이웃하는 다른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대하여 임의의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3.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4.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취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된 형태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취블레이드에 비하여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된 배치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종방향길이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횡방향너비가 감소되거나 상기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7.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배열된 배치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9.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채취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결합되며, 단면이 원형형태인 봉의 형태를 갖춘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된 다수개의 채취블레이드; 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 각각은,
    플레이트의 형태를 갖춘 것으로서,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접하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까지의 종방향길이는 상기 종방향길이의 중간 지점에서의 횡방향너비에 비하여 같거나 작게 형성되고, 두께가 상기 종방향길이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며,
    상기 허브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채취블레이드의 수평방향 중심축이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결합되거나 임의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채취블레이드 또는 상기 허브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측에서 동일한 원주상에 배열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하나의 블레이드그룹(blade group)를 이루고,
    서로에 대하여 이웃하는 다수개의 상기 블레이드그룹 각각은, 이웃하는 다른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대하여 임의의 간격을 두고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11. 제 10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와,
    이웃하는 다른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채취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12. 제 10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블레이드그룹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취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배치된 형태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그룹에 속하는 상기 채취블레이드에 비하여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된 배치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13. 삭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종방향길이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횡방향너비가 감소되거나 상기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15. 제 9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채취블레이드는,
    상기 허브의 외주면 상에서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배열된 배치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KR1020210122435A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663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17231A JP2023543413A (ja) 2020-09-16 2021-09-15 検体採取スティック
US18/245,586 US20230363745A1 (en) 2020-09-16 2021-09-15 Sample collection stick
PCT/KR2021/012565 WO2022060074A1 (ko) 2020-09-16 2021-09-15 검체 채취 스틱
EP21869696.1A EP4215121A1 (en) 2020-09-16 2021-09-15 Sample collection stick
CN202180063621.2A CN116261589A (zh) 2020-09-16 2021-09-15 样本采集棒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14 2020-09-16
KR20200119514 2020-09-16
KR20210017056 2021-02-05
KR20210017061 2021-02-05
KR1020210017061 2021-02-05
KR1020210017056 2021-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82A KR20220036882A (ko) 2022-03-23
KR102663427B1 true KR102663427B1 (ko) 2024-05-03

Family

ID=79033143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681A KR102339993B1 (ko) 2020-09-16 2021-05-04 검체채취스틱
KR1020210122448A KR102663428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15A KR102663425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13A KR102663424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35A KR102663427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23A KR102663426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57A KR102663429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681A KR102339993B1 (ko) 2020-09-16 2021-05-04 검체채취스틱
KR1020210122448A KR102663428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15A KR102663425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13A KR102663424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23A KR102663426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57A KR102663429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63744A1 (ko)
EP (1) EP4215119A1 (ko)
JP (1) JP2023543411A (ko)
KR (7) KR102339993B1 (ko)
CN (1) CN116157506A (ko)
WO (1) WO2022060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038B1 (ko) * 2021-12-31 2022-12-21 (주)페블아이 검체 채취 기구
KR102447210B1 (ko) * 2022-01-27 2022-09-27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KR102527684B1 (ko) * 2022-01-27 2023-05-02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539A (ja) * 2002-12-17 2004-07-15 Sato Kasei Kogyosho:Kk 検体用容器
US20070093727A1 (en) * 2005-10-25 2007-04-26 Femspec Llc Cervical tissue biopsy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110179887A1 (en) * 2008-02-15 2011-07-28 Cobian Paul J Sample acquisition device
US20170065261A1 (en) * 2014-05-05 2017-03-09 Eve Medical Inc. Specimen coll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100246A (nl) * 1991-02-13 1992-09-01 Rovers B V Inrichting voor het vergaren van cellen uit een lichaamsholte.
KR100356187B1 (ko) 2000-10-24 2002-10-18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CN204049697U (zh) * 2014-09-24 2014-12-31 杨艳英 一种妇科阴道检查用取样器
KR101691471B1 (ko) * 2014-11-26 2016-12-30 (주) 메디포유 자궁경부 시료 채취기
KR101623118B1 (ko) * 2015-09-03 2016-05-23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다성분사출성형공법을 이용한 검체 채취 스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539A (ja) * 2002-12-17 2004-07-15 Sato Kasei Kogyosho:Kk 検体用容器
US20070093727A1 (en) * 2005-10-25 2007-04-26 Femspec Llc Cervical tissue biopsy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110179887A1 (en) * 2008-02-15 2011-07-28 Cobian Paul J Sample acquisition device
US20170065261A1 (en) * 2014-05-05 2017-03-09 Eve Medical Inc. Specimen coll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81A (ko) 2022-03-23
KR102339993B1 (ko) 2021-12-16
JP2023543411A (ja) 2023-10-16
KR20220036883A (ko) 2022-03-23
CN116157506A (zh) 2023-05-23
KR102663429B1 (ko) 2024-05-03
EP4215119A1 (en) 2023-07-26
KR20220036882A (ko) 2022-03-23
US20230363744A1 (en) 2023-11-16
KR102663425B1 (ko) 2024-05-03
WO2022060069A1 (ko) 2022-03-24
KR20220036879A (ko) 2022-03-23
KR20220036880A (ko) 2022-03-23
KR102663428B1 (ko) 2024-05-03
KR102663426B1 (ko) 2024-05-03
KR102663424B1 (ko) 2024-05-03
KR20220036884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427B1 (ko) 검체 채취 스틱
US8968213B2 (en) Cytology brush apparatus with improvements
KR102339992B1 (ko) 검체채취스틱
US5462063A (en) Cell collecting device
JPH012634A (ja) 子宮頚細胞学装置
WO1996020645A1 (en) Tissue removing device
JP4933564B2 (ja) 生体組織を清掃又は試料採取用ブラシ
JP2023543413A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WO2021236010A1 (en) A swab
CN116157505A (zh) 样本采集棒
EP4215123A2 (en) Sample collection stick
EP4215122A2 (en) Sample collection stick
KR102447210B1 (ko) 검체 채취 스틱
KR102527684B1 (ko) 검체 채취 스틱
KR20220040157A (ko)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한 검체 채취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9864A (ko) 비인두 및 구인두의 가검물 샘플 채취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