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992B1 - 검체채취스틱 - Google Patents

검체채취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992B1
KR102339992B1 KR1020210057674A KR20210057674A KR102339992B1 KR 102339992 B1 KR102339992 B1 KR 102339992B1 KR 1020210057674 A KR1020210057674 A KR 1020210057674A KR 20210057674 A KR20210057674 A KR 20210057674A KR 102339992 B1 KR102339992 B1 KR 102339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llection
sample collection
specimen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욱
정중환
김봉윤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채취스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길이를 갖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며, 상기 검체가 개재되는 검체채취홀이 형성된 채취블록을 포함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므로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 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검체채취스틱{A Stick for Sampling a Specimen}
본 발명은 검채 채취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 내 타액 등의 검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의 타액 등을 긁어내어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검체 채취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학적 검사란, 검체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에 오염되어 있는지를 가려내는 검사이다. 즉, 병의 원인이 미생물이라고 생각될 때, 그 진단, 치료, 예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하는 검사이다. 미생물학적 검사는 피검사자가 대장균, 장티푸스균,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균 등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에 오염이 되어 있는지를 가려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학적 검사를 위하여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채취된 검체는 검사를 위한 시약 또는 용액에 섞여진 후에 병원균의 존재여부를 검사한다.
피검사자의 타액이나 체액 또는 신체조직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시 검체 채취용 스틱, 브러쉬 또는 스왑(swab)이라 불리는 기구가 사용된다. 즉, 검체채취용 스왑을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시켜서 스왑에 검체를 묻혀서 인출하는 형태로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기존의 검체 채취용 스왑의 경우 막대기 형상의 스왑의 끝단에 원형의 형태의 채취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스왑의 채취부에는 작은 크기의 미세섬유들이 부착되어 형성된 섬유층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스왑의 채취부에 형성된 섬유층에 검체가 스며들도록 하며, 피검사자로부터 스왑의 채취부를 인출함으로써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검체채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검체채취용 스왑은 섬유층에 타액 등이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이상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피검사자의 불편이 크다. 또한 종래의 스왑을 이용하여 채취되는 채취량이 불충분하여 검사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61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체 채취시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검체 채취 스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은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임의의 크기를 갖추고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며, 상기 검체가 점착되어 개재되는 검체채취홀이 형성된 채취블록을 포함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채취블록은, 고리형태의 채취링 또는 구(sphere)의 형태로서 상기 검체채취홀이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채취볼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채취블록에는, 상기 검체채취홀이 다수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채취블록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상기 검체가 흡수 또는 흡착되는 섬유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후측단에 연결되며,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절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지지부의 축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갖춘 채취구(採取具)를 다수 포함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채취부에서 다수개의 상기 채취구는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연결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연결된 다수개의 상기 채취구는.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 사이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연결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채취구는, 일측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채취구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 사이에 오목한 곡면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채취구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 사이에 볼록한 곡면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채취구 각각의 볼록한 곡면과 오목한 곡면이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따라 교번하여 나타나는 형태로 배열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채취구의 외면에는 상기 검체가 흡수 또는 흡착될 수 있는 섬유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후측단에 연결되며,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절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주며, 아울러 종래의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에 검체가 흡수 또는 흡착드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변형된 형태의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지지부(200) 및 검체채취부(300)를 포함하며, 나아가 손잡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지부(200)는 로드(rod) 또는 바(bar)와 같은 형태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다. 지지부(200)의 전측단에는 검체채취부(300)가 결합되어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를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되어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지지부(200)는 전달받는 힘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춘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 편, 검체용기(미도시)에 보관된 검체채취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때 핀셋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꺼내는 경우, 사전에 핀셋을 세척하고,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지지부(200)를 핀셋으로 집어서 꺼낸 후 검사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검체채취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가 놓여지면, 이용된 핀셋을 다시 세척하여야 한다.
이처럼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스틱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핀셋을 매번 세척하여야하므로 검체에 대한 검사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핀셋을 이용하지 않고도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출 수도 있다.
즉, 지지부(200)의 외면에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된 형태가 가능하다.
검체 용기(미도시)의 커버 또는 뚜껑(미도시)의 내측에는, 검체 채취 스틱의 지지부(200)가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 또는 끼움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홈 또는 끼움턱에 지지부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와 맞물리거나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지지부(200)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핀셋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검체 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을 오픈시키면 검체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와 함께 지지부(200)를 검체용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이러한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링과 같은 형태를 갖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후측에 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검체 용기의 커버에 지지부(200)가 결합될 수 있으면 이용상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위치하고 있다. 즉, 지지부(200)의 후측단이 손잡이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100)는 지지부(200)의 후측단에 연결되며,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0)는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된다. 검사자는 손잡이부(100)를 이용하여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시키는 컨트롤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0)를 이용한 검사자의 컨트롤에 의해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구강이나 비강 등을 통해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의 후측단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를 구별시켜줄 수 있는 분절마디와 같은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부(100) 및 지지부(200)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사용자인 검사자의 의도에 따라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채취부(300)가 인출되면 검체용기에 검체채취부(300)와 지지부(200)를 수용시킨다.
여기서 굳이 손잡이부(100)를 검체 용기에 수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부(200)로부터 손잡이부(100)를 분리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검사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분절마디 또는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분절된 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가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결합될 수 있다.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 또는 진입되어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검체 채취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검체채취부(300)는 지지부(200)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 또는 채취한다. 이러한 검체채취부(300)는 검체가 점착되어 개재되는 검체채취홀(312)이 형성된 채취블록(3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채취블록(310)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고리형태의 채취링(310)을 들을 수 있다. 또는 구(sphere)의 형태로서 검체채취홀이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채취볼도 채취블록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충분히 가능하다.
본 제1 실시 예에서는 검체채취부(300)의 채취블록으로서 채취링(310)을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나타내고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검체채취부(300)에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채취홀(312)이 형성된 다수개의 채취링(310) 또는 다수개의 채취볼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링(310)에 형성된 검체채취홀(312) 내측으로 채집되는 검체가 점착되므로 채집될 수 있는 검채의 양이 증대된다.
검체채취부(300)에서 다수개의 채취링(310)은 지지부(200) 또는 검체채취부(1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일렬로 배열된 형태를 갖춤으로써 외부에서 피검사자의 체내로 검체채취부(300)의 진입시 진입의 수월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채취블록 즉 채취링(310) 또는 채취볼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검체가 흡수 또는 흡착되는 섬유층(314, 31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링(310)의 외측 표면에 섬유층(316)이 형성되고 검체채취홀(312)이 있는 채취링(310)의 내측에도 섬유층(314)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층(314, 316)은 미세섬유를 채취블록(310)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채취블록(310)에 접착되는 검체가 섬유층(316, 314)에 흡수 또는 흡착되므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가 채취될 수 있다. 참고로 섬유층(314, 316)의 형성에 이용되는 미세섬유의 크기 등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채취링(310) 중 적어도 일부의 채취링(310)에서, 서로 이웃하는 채취링(310)의 직경 또는 장반경이 서로 다른 것 또한 바람직하다. 물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취링(310) 모두 동일한 크기의 직경 또는 장반경을 갖춘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채취링(310) 또는 채취볼의 직경이나 크기는, 비강, 구강, 항문 또는 자궁경부와 같이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될 부위에 따라 설정된 크기로 성형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다수개의 채취링 또는 채취볼을 포함하는 검체채취부(300)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이나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채취링(310)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시 피검사자의 신체에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억제된다.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되어 신체조직에 접하게 된다. 검사자가 손잡이부(100)를 통해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휘젖거나 긁어내는 움직임을 실시함으로써 검체채취부(300)의 채취링(310) 또는 채취볼은 검체가 있는 신체조직 부분에 접하여 긁어내듯이 쓸어내게 된다. 그 결과 검체가 채취링(310) 또는 채취볼의 표면에 점착되어 묻거나 검체채취홀(312)에 개재되어 홀딩된다.
물론 채취링(310)의 표면에 섬유층(314, 316)이 형성되어 있으면 채취되는 검체가 섬유층(314,316)에 점착되면서 흡수되므로 채취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채취되는 검체의 양 또한 일정수준 이상 확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채취홀(312)이 형성된 다수개의 채취링(310) 또는 다수개의 채취볼에 의해 검체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증가되고 검체채취홀(312)에 검체가 개재되므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된다.
아울러 다수개의 채취링(310) 또는 다수개의 채취볼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검체가 점착되어 채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된다.
이와 같이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므로 검사의 정확성을 증진 또는 확보하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변형된 형태의 검체채취스틱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지지부(200) 및 검체채취부(300)를 포함하며, 나아가 손잡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검체채취스틱과 동일하다. 따라서, 지지부(200)와 손잡이(100)에 관한 설명은 앞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며, 검체채취부(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300)는 임의의 크기를 갖추고 지지부(200)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며, 검체가 개재되는 검체채취홀(322)이 형성된 채취블록(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채취블록(320)에는 검체채취홀(322)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블록(320)은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원기둥과 같은 형태에 슬릿처럼 길이에 비해 너비가 상대적으로 좁은 슬릿 형태의 검체채취홀(322)이 형성되어 있다. 검체채취홀(322)의 내측으로 검체가 개재되어 채취될 수 있다. 검체채취홀(312) 내측으로 채집되는 검체가 점착되므로 채집될 수 있는 검채의 양이 증대된다.
그리고 채취블록(320)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면 외부에서 피검사자의 체내로 검체채취부(300)의 진입시 진입의 수월성이 확보될 수 있다.
채취블록(320)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검체가 흡수 또는 흡착되는 섬유층(324, 32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체채취홀(322)이 있는 채취블록(320)의 내측에도 섬유층(324, 32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블록(320)의 외측 표면에 섬유층(326)이 형성되고 검체채취홀(322)이 있는 채취블록(320)의 내측에도 섬유층(324, 32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층(324, 326)은 미세섬유를 채취블록(320)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채취블록(320)에 접착되는 검체가 섬유층(326, 324)에 흡수 또는 흡착되므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가 채취될 수 있다. 참고로 섬유층(324, 326)의 형성에 이용되는 미세섬유의 크기 등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채취블록(320)에 접착되는 검체가 섬유층(324, 326)에 흡수 또는 흡착되므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가 채취될 수 있다.
그리고 채취블록(320)의 전측단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취볼(330)이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채취볼(330)은 앞서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 언급한 채취볼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채취볼(330) 또한 검체채취부(300)에 포함된다. 채취볼(330)은 전측단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로 진입시 상처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완만한 진입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러한 채취볼(330)에도 검체채취홀이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채취볼(330)의 외면에도 섬유층(32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볼(330)의 외면에 형성된 섬유층(326)에 점착되는 검체가 흡수될 수 있으며 검체 채집의 안정성 확보와 채집되는 검채의 양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채취블록(320)에서 다수개의 검체채취홀(322) 각각의 너비, 길이 또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물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검체채취홀(322)이 동일한 크기를 갖춘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며 이 또한 바람직하다.
채취블록(320)의 폭이나 크기는, 비강, 구강, 항문 또는 자궁경부와 같이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될 부위에 따라 설정된 크기로 성형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채취블록(320)을 포함하는 검체채취부(300)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이나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채취블록(320)의 외측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시 피검사자의 신체에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억제된다.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신체조직에 접하게 된다. 검사자가 손잡이부(100)를 통해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휘젖거나 긁어내는 움직임을 실시함으로써 채취블록(320)은 검체가 있는 신체조직 부분에 접하여 긁어내듯이 쓸어내게 되며 그 결과 검체가 채취블록(320)의 표면에 점착되어 묻거나 검체채취홀에 개재되어 홀딩된다.
물론 채취블록(320)의 표면에 섬유층(324, 326)이 형성되어 있으면 채취되는 검체가 섬유층(324, 326)에 점착되면서 흡수되므로 검체채취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채취되는 검체의 양 또한 일정수준 이상 확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다수개의 검체채취홀(322)이 형성된 채취블록(320)에 의해 검체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증가되고 검체채취홀(322)에 검체가 개재되므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된다.
아울러 다수개의 채취링(310) 또는 다수개의 채취볼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검체가 점착되어 채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된다.
이와 같이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므로 검사의 정확성을 증진 또는 확보하는데 기여한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10)은 지지부(200) 및 검체채취부(300)를 포함하며, 손잡이부(1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지지부(200)는 로드(rod) 또는 바(bar)와 같은 형태로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다. 지지부(200)의 전측에는 검체채취부(300)가 위치하고 있으며,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를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전측과 검체채취부(300)가 고분자재질 또는 엘라스토머재질로서 단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또는, 지지부(200)와 검체채취부(300)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200)와 검체채취부(300)가 결합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지지부(200)의 전측에 검체채취부(300)를 융착 성형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되어 검체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특정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지지부(200)는 전달받는 힘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춘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 편, 검체용기(미도시)에 보관된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때 핀셋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꺼내는 경우, 사전에 핀셋을 세척하고,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지지부(200)를 핀셋으로 집어서 꺼낸 후 검사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가 놓여지면, 이용된 핀셋을 다시 세척하여야 한다.
이처럼 검체용기로부터 검체채취스틱(10)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핀셋을 매번 세척하여야 하므로 검체 검사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핀셋을 이용하지 않고도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출 수도 있다.
즉, 지지부(200)의 외면에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검체 용기(미도시)의 커버 또는 뚜껑(미도시)의 내측에는, 검체 채취 스틱의 지지부(200)가 검체 용기 커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 또는 끼움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검체용기의 커버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홈 또는 끼움턱에 지지부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와 맞물리거나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에 지지부(200)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핀셋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를 오픈시키면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와 함께 지지부(200)를 검체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이러한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링과 같은 형태를 갖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를 도시하였다.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검체 용기의 커버에 지지부(200)가 결합될 수 있으면 이용상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위치하고 있다. 즉, 지지부(200)의 후측단이 손잡이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100)는 지지부(200)의 후측단에 연결되며,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0)는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된다. 검사자는 손잡이부(100)를 이용하여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시키는 컨트롤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0)를 이용한 검사자의 컨트롤에 의해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구강이나 비강 등을 통해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의 후측단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를 구별시켜줄 수 있는 분절마디와 같은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부(100) 및 지지부(200)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사용자인 검사자의 의도에 따라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채취부(300)가 인출되면 검체 용기에 검체채취부(300)와 지지부(200)를 수용시킨다.
여기서 손잡이부(100)를 검체 용기에 수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부(200)로부터 손잡이부(100)를 분리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검사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분절마디 또는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분절된 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가 검체용기의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검체채취부(300)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또는 도 9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 또는 진입되어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검체 채취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검체채취부(300)는 지지부(200)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한다. 검체채취부(300)는 적어도 일부분이 볼록한 곡면을 갖춘 채취구(採取具)(340)를 다수 포함한다. 이러한 채취구(採取具)(340)는 외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구(sphere)의 형태를 갖춘 것도 바람직하다.
채취구(340)가 둥글게 곡선 또는 곡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 채취과정에서 체내에 상처가 발생될 가능성을 억제시켜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처럼 검체채취부(300)는 접촉되는 검체가 묻거나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구(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에서 다수개의 채취구(340)는 지지부(200) 또는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수개의 채취구(340)는 서로 맞닿아 연결된 형태도 바람직하지만, 도 8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340) 사이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연결된 형태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에 다수개의 채취구(340)이 마련됨으로써 검체채취부(300)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접촉될 수 있는 검체의 양이 증대된다. 따라서 채집되는 검체의 양이 증대된다.
아울러 채취구(34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 또는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형태를 갖춤으로써 외부에서 피검사자의 체내로 검체채취부(300)의 진입시 진입의 수월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검체채취부(300)의 채취구(340)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검체가 흡수 또는 흡착되는 섬유층(34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층(346)은 미세섬유를 채취구(340)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채취구(340)에 접착되는 검체가 섬유층(346)에 흡수 또는 흡착되므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가 채취될 수 있다. 참고로 섬유층(346)의 형성에 이용되는 미세섬유의 크기 등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채취구(340) 중 적어도 일부의 채취구(340)에서,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340)의 직경 또는 장반경이 서로 다른 것 또한 바람직하다. 물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취구(340) 모두 동일한 크기의 직경 또는 장반경을 갖춘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채취구(340)의 직경이나 크기는, 비강, 구강, 항문 또는 자궁경부와 같이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될 부위에 따라 설정된 크기로 성형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취구(340)를 포함하는 검체채취부(300)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소재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채취구(340)의 외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시 피검사자의 신체에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억제된다.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되어 신체조직에 접하게 된다. 검사자가 손잡이부(100)를 통해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휘젖거나 긁어내는 움직임을 실시함으로써 검체채취부(300)의 채취구(340)는 검체가 있는 신체조직 부분에 접하여 긁어내듯이 쓸어내게 된다. 그 결과 검체가 채취구(340)의 표면에 점착 또는 묻게되어 홀딩된다.
아울러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채취구(340)와 이에 이웃하는 채취구(340)와의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검체가 묻거나 홀딩됨으로써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때 검체가 검체채취부(300)에 잔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340)의 간격을 채취공간 또는 채취간격 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물론 채취구(340)의 표면에 섬유층(346)이 형성되어 있으면 채취되는 검체가 섬유층(346)에 점착되면서 흡수되므로 채취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채취되는 검체의 양 또한 일정수준 이상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채취구(340)는 지지부(200)의 중심축 방향에 대한 종단면의 형태가 원형일 수 있다. 물론 사각형 또는 다각형인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검체채취부(300)의 전측단에는 채취볼(330)이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채취볼(330) 또한 검체채취부(300)에 포함된다. 채취볼(330)은 전측단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로 진입시 상처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완만한 진입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채취볼(330)의 외면에도 앞서 설명한 섬유층(346)이 형성되어 있다. 채취볼(330)의 외면에 형성된 섬유층(326)에 점착되는 검체가 흡수될 수 있으며 검체 채집의 안정성 확보와 채집되는 검채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채취부(300)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채취구(340)에 의해 검체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된다.
아울러 다수개의 채취구(340)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검체가 점착되어 채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된다.
이와 같이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므로 검사의 정확성을 증진 또는 확보하는데 기여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검체채취부 부분이 응용된 실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며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변형된 형태의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10)은 지지부(200) 및 검체채취부(300)를 포함하며, 손잡이부(1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 및 손잡이부(100)는 앞서 설명한 제3 실시 예에서의 지지부(200) 및 손잡이부(1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제3 실시 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검체채취부(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또는 도 9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 또는 진입되어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검체 채취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검체채취부(300)는 지지부(200)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한다. 검체채취부(300)는 적어도 일부분이 볼록한 곡면을 갖춘 채취구(採取具)(350, 360)를 다수 포함한다. 이러한 채취구(採取具)(350, 360)는 일측이 볼록한 곡면(352)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오목한 곡면(354)으로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취구(350, 36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포트(pot)와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채취구(350, 360)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 사이에 오목한 곡면(354)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취구(350, 360)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350, 360) 사이에 볼록한 곡면(352)이 서로 대향하고 있는 형태도 역시 바람직하다. 또는 다수개의 채취구(350, 360)각각의 볼록한 곡면(352)과 오목한 곡면(354)이 지지부(200)의 길이방향에 따라 교번하여 나타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채취구(350, 360)가 둥글게 곡선 또는 곡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 채취과정에서 체내에 상처가 발생될 가능성을 억제시켜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처럼 검체채취부(300)는 접촉되는 검체가 묻거나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구(350, 3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에서 다수개의 채취구(340)는 지지부(200) 또는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수개의 채취구(350, 360)는 서로 맞닿아 연결된 형태도 바람직하지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350, 360) 사이에 임의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연결된 형태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에 다수개의 채취구(340)이 마련됨으로써 검체채취부(300)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접촉될 수 있는 검체의 양이 증대된다. 특히 채취구(340)의 오목한 부분(354)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채취구(340, 350) 사이로 유입되는 검체가 채집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채집되는 검체의 양이 증대된다.
아울러 채취구(350, 36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 또는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형태를 갖춤으로써 외부에서 피검사자의 체내로 검체채취부(300)의 진입시 진입의 수월성이 확보될 수 있다.
그리고 검체채취부(300)의 채취구(350, 360)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검체가 흡수 또는 흡착되는 섬유층(35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섬유층(356)은 미세섬유를 채취구(350, 360)의 표면에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채취구(350, 360)에 접착되는 검체가 섬유층(356)에 흡수 또는 흡착되므로 피검사자로부터 검체가 채취될 수 있다. 참고로 섬유층(356)의 형성에 이용되는 미세섬유의 크기 등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다수개의 채취구(350, 360) 중 적어도 일부의 채취구(350, 360)에서,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350, 360)의 직경 또는 장반경이 서로 다른 것 또한 바람직하다. 물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채취구(350, 360) 모두 동일한 크기의 직경 또는 장반경을 갖춘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채취구(350, 360)의 직경이나 크기는, 비강, 구강, 항문 또는 자궁경부와 같이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될 부위에 따라 설정된 크기로 성형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취구(350, 360)를 포함하는 검체채취부(300)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소재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채취구(350, 360)의 외면이 곡면(352)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시 피검사자의 신체에 손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억제된다.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되어 신체조직에 접하게 된다. 검사자가 손잡이부(100)를 통해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휘젖거나 긁어내는 움직임을 실시함으로써 검체채취부(300)의 채취구(350, 360)는 검체가 있는 신체조직 부분에 접하여 긁어내듯이 쓸어내게 된다. 그 결과 검체가 채취구(350, 360)의 표면에 점착 또는 묻게되어 홀딩된다.
아울러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채취구(350, 360)와 이에 이웃하는 채취구(350, 360)와의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검체가 묻거나 홀딩됨으로써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때 검체가 검체채취부(300)에 잔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채취구(350, 360)의 간격을 채취공간 또는 채취간격 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물론 채취구(350, 360)의 표면에 섬유층(346)이 형성되어 있으면 채취되는 검체가 섬유층(346)에 점착되면서 흡수되므로 채취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채취되는 검체의 양 또한 일정수준 이상 확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채취부(300)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채취구(350, 360)에 의해 검체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된다.
아울러 다수개의 채취구(350, 360) 사이에 이격된 간격에 검체가 점착되어 채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증가된다. 이와 같이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므로 검사의 정확성을 증진 또는 확보하는데 기여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종래의 스왑에 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 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시켜줄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에 삽입되는 검체채취부가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 또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손잡이부
200 : 지지부
300 : 검체채취부
310, 320 : 채취블록
312 : 검체채취홀
340, 350, 360 : 채취구(採取具)

Claims (18)

  1.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임의의 크기를 갖추고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며, 상기 검체가 개재되는 검체채취홀이 형성된 채취블록을 포함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취블록은,
    구(sphere)의 형태로서 상기 검체채취홀이 중심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채취볼이고, 다수개의 상기 채취볼은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2. 제 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상기 채취볼을 포함하는 상기 검체채취부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이나 엘라스토머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춘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블록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상기 검체가 흡수 또는 흡착되는 섬유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5. 제 1항에 있어서,
    여기서, 상기 지지부의 후측단에 연결되며,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춘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지지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절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210057674A 2020-09-16 2021-05-04 검체채취스틱 KR102339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13 2020-09-16
KR20200119513 2020-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992B1 true KR102339992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674A KR102339992B1 (ko) 2020-09-16 2021-05-04 검체채취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9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7210B1 (ko) * 2022-01-27 2022-09-27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KR102480038B1 (ko) * 2021-12-31 2022-12-21 (주)페블아이 검체 채취 기구
KR102527684B1 (ko) * 2022-01-27 2023-05-02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257A (ja) * 2000-11-10 2002-05-22 Eiken Kizai Kk 採便容器
KR100356187B1 (ko) 2000-10-24 2002-10-18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JP2004194539A (ja) * 2002-12-17 2004-07-15 Sato Kasei Kogyosho:Kk 検体用容器
KR20110006452U (ko) *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US20150018714A1 (en) * 2013-07-12 2015-01-15 Hong-Ming Chen Step-shaped endometrial curett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187B1 (ko) 2000-10-24 2002-10-18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JP2002148257A (ja) * 2000-11-10 2002-05-22 Eiken Kizai Kk 採便容器
JP2004194539A (ja) * 2002-12-17 2004-07-15 Sato Kasei Kogyosho:Kk 検体用容器
KR20110006452U (ko) *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US20150018714A1 (en) * 2013-07-12 2015-01-15 Hong-Ming Chen Step-shaped endometrial curett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038B1 (ko) * 2021-12-31 2022-12-21 (주)페블아이 검체 채취 기구
KR102447210B1 (ko) * 2022-01-27 2022-09-27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KR102527684B1 (ko) * 2022-01-27 2023-05-02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WO2023146050A1 (ko) * 2022-01-27 2023-08-03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WO2023146046A1 (ko) * 2022-01-27 2023-08-03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992B1 (ko) 검체채취스틱
KR20220036884A (ko) 검체 채취 스틱
EP0283272B1 (en) Cervical cytology device
US4227537A (en) Endometrial brush with slidable protective sleeve
US20020068881A1 (en) Cervical cytology instrument
US11364020B2 (en) Brush biopsy device, kit and method
JP6382855B2 (ja) 医療機器の清浄度試験装置と方法
KR102447210B1 (ko) 검체 채취 스틱
JP2023543412A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KR102527684B1 (ko) 검체 채취 스틱
EP4215123A2 (en) Sample collection stick
US20230363745A1 (en) Sample collection stick
EP4215122A2 (en) Sample collection stick
KR20200142323A (ko) 위점액 채취장치
RU2189176C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взятия биологических проб универсальный
KR20220019864A (ko) 비인두 및 구인두의 가검물 샘플 채취 기기
KR20220040157A (ko) 마이크로 니들을 구비한 검체 채취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EA041375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зятия образцов тка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