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210B1 - 검체 채취 스틱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210B1
KR102447210B1 KR1020220011938A KR20220011938A KR102447210B1 KR 102447210 B1 KR102447210 B1 KR 102447210B1 KR 1020220011938 A KR1020220011938 A KR 1020220011938A KR 20220011938 A KR20220011938 A KR 20220011938A KR 102447210 B1 KR102447210 B1 KR 102447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specimen
collection unit
sample collection
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욱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22001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210B1/ko
Priority to PCT/KR2022/011818 priority patent/WO20231460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부 및 검체채취부를 포함하는 검체채취스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체채취부는,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 중심축 측에 상기 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서,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검체출입구가 검체채취부의 외면상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되, 다수개의 검체출입구는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열된 형태를 갖추고 있으므로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 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검체 채취 스틱{A Stick for Sampling a Specimen}
본 발명은 검채 채취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 내 타액 등의 검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의 타액 등을 긁어내어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검체 채취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학적 검사란, 검체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에 오염되어 있는지를 가려내는 검사이다. 즉, 병의 원인이 미생물이라고 생각될 때, 그 진단, 치료, 예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하는 검사이다. 미생물학적 검사는 피검사자가 대장균, 장티푸스균,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균 등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에 오염이 되어 있는지를 가려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학적 검사를 위하여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채취된 검체는 검사를 위한 시약 또는 용액에 섞여진 후에 병원균의 존재여부를 검사한다.
피검사자의 타액이나 체액 또는 신체조직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시 검체 채취용 스틱, 브러쉬 또는 스왑(swab)이라 불리는 기구가 사용된다. 즉, 검체채취용 스왑을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시켜서 스왑에 검체를 묻혀서 인출하는 형태로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기존의 검체 채취용 스왑의 경우 막대기 형상의 스왑의 끝단에 원형의 형태의 채취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스왑의 채취부에는 작은 크기의 미세섬유들이 부착되어 형성된 섬유층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스왑의 채취부에 형성된 섬유층에 검체가 스며들도록 하며, 피검사자로부터 스왑의 채취부를 인출함으로써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검체채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검체채취용 스왑은 섬유층에 타액 등이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이상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피검사자의 불편이 크다. 무엇보다도 검체채취용 스왑에 마련된 섬유층에서 일부 섬유층이 스왑의 채취부에서 분리 이탈되어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섬유층과 같은 이물질이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게되는 것은 의학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스왑을 이용하여 채취되는 채취량이 불충분하여 검사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61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체 채취시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종래 스왑의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부분이 스왑으로부터 분리되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검체 채취 스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은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채취부는,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 중심축 측에 상기 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검체출입구가 상기 검체채취부의 외면상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되, 다수개의 상기 검체출입구는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열된 형태를 갖춘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검체출입구는 제1열과 제2열로 구분되어 배열되되,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은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열의 검체출입구와 상기 제2열의 상기 검체출입구는,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상기 검체채취부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공간적으로 구분시켜주는 격벽이 하나 이상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출입구로부터 상기 검체채취부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진입을 할수록 상기 검체의 출입유로가 협소해지거나 확장되는 형태를 갖춘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검체채취부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의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플로킹(flocking)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스틱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채취스틱에 섬유층이 없으므로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 부분이 떨어져서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으므로 검사의 안전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주며, 아울러 종래의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에 검체가 스며드는데 소요되는 흡수시간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준다. 따라서,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변형된 형태의 검체채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의 검체채취부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10)은 지지부(200) 및 검체채취부(300)를 포함하며, 나아가 손잡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지부(200)는 로드(rod) 또는 바(bar)와 같은 형태로서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다. 지지부(200)의 전측에는 검체채취부(300)가 위치하고 있으며 검체채취부(300)을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전측과 검체채취부(300)가 고분자재질 또는 엘라스토머재질로서 단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또는, 지지부(200)와 검체채취부(300)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200)와 검체채취부(300)가 결합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200)의 전측에 검체채취부(300)를 융착 성형시킨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되어 검체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특정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지지부(20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거나 전달받는 힘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춘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검체용기(미도시)에 보관된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때 핀셋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꺼내는 경우, 사전에 핀셋을 세척하고,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지지부(200)를 핀셋으로 집어서 꺼낸 후 검사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가 놓여지면, 이용된 핀셋을 다시 세척하여야 한다.
이처럼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핀셋을 매번 세척하여야 하므로 검체 검사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핀셋을 이용하지 않고도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출 수도 있다.
즉, 지지부(200)의 외면에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검체 용기(미도시)의 커버 또는 뚜껑(미도시)의 내측에는, 검체 채취 스틱(10)의 지지부(200)가 검체 용기 커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 또는 끼움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검체용기의 커버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홈 또는 끼움턱에 지지부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와 맞물리거나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에 지지부(200)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핀셋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를 오픈시키면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와 함께 지지부(200)를 검체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이러한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링과 같은 형태를 갖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검체 용기의 커버에 지지부(200)가 결합될 수 있으면 이용상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위치하고 있다. 즉, 지지부(200)의 후측단이 손잡이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100)는 지지부(200)의 후측단에 연결되며,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0)는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된다. 검사자는 손잡이부(100)를 이용하여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시키는 컨트롤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0)를 이용한 검사자의 컨트롤에 의해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구강이나 비강 등을 통해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의 후측단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를 구별시켜줄 수 있는 분절마디와 같은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사용자인 검사자의 의도에 따라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채취부(300)가 인출되면 검체 용기에 검체채취부(300)와 지지부(200)를 수용시킨다.
여기서 손잡이부(100)를 검체 용기에 수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부(200)로부터 손잡이부(100)를 분리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검사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분절마디 또는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분절된 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가 검체용기의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검체채취부(300)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부(200)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 또는 진입되어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검체 채취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검체채취부(300)는 도 1과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 또는 채취한다.
검체채취부(3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 중심축(LX) 측에 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310)이 마련된 원통형으로서, 수용공간(310)과 연통되는 검체출입구(360R1, 360R2)가 검체채취부(300)의 외면상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되, 다수개의 검체출입구(360R1, 360R2)는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열된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검체채취부(300)는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310)이 내측에 마련된 원통형의 형태에서, 검체채취부(300)의 외측면에서 내측의 중심축(LX)을 향해 가로지르는 형태로 검체출입구(360R1, 360R2)가 다수 형성되면, 도 4 또는 도 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수용공간(310)과 연통되는 검체출입구(360R1, 360R2)가 검체채취부(300)의 외면상에 다수 형성된 형태가 된다.
여기서 검체출입구(360R1, 360R2)는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 중심축(LX)을 수직으로 곧게 관통하는 홀(hole)의 형태는 아니다. 검체출입구(360R1, 360R2)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출입구(360R1, 360R2)에서부터 시작되어 검체채취부의 중심축(LX) 측으로 가로질러 형성되는 빈 공간 즉, 검체의 출입유로의 끝이 막혀있는(360E) 홈의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의 검체출입구(360R1, 360R2)는 곧게 관통된 홀의 형태가 아니라 끝이 막혀 있는 홈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검체출입구(360R1, 360R2)로 유입되는 검체가 수용공간(310)으로 진입하여 반대측으로 그대로 통과되어 빠져나가지 않고 수용공간(3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검체채취부(300)의 외면상에 다수개의 검체출입구(360R1, 360R2)가 형성되어 있으되, 다수개의 검체출입구(360R1, 360R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열된 형태를 이룬다.
다수개의 검체출입구(360R1, 360R2)는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열된 형태를 이룬다는 것을 달리 표현하여 설명하자면, 지지부(200)의 전측단과 연결된 검체채취부(300)의 후측에서 길이방향 중심축(LX)을 따라 검체채취부(300)의 전측으로 다수의 검체출입구(360R1A, 360R1B, 360R1C)가 열을 지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다수의 검체출입구(360R1A, 360R1B, 360R1C)가 하나의 열 즉, 제1열을 지어 배열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아울러 다른 다수의 검체출입구(360R2A, 360R2B, 360R2C)가 다른 하나의 열을 지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수의 검체출입구(360R2A, 360R2B, 360R2C)가 다른 하나의 열 즉, 제2열을 지어 배열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 2 또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열에 속하는 다수의 검체출입구(360R1)가 개방된 방향은 제2열에 속하는 다수의 검체출입구(360R2)가 개방된 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인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수개의 검체출입구(360R1, 360R2)는 제1열과 제2열로 구분되어 배열되되, 제1열과 제2열은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 중심축(LX)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열에 속하는 검체출입구(360R1)와 제2열에 속하는 검체출입구(360R2)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열의 검체출입구(360R1)와 제2열의 검체출입구(360R2)가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수의 검체출입구(360R1, 360R2)가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 중심축(LX)를 수직으로 가로질러 관통된 형태로 형성된 홀이 아니라 검체출입구(360R1, 360R2)의 반대측이 막혀있는(360E) 홈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검체채취과정에서 검체출입구(360R1, 360R2)로 유입되어 수용공간(310) 측으로 진입되는 검체가 중심축(LX)를 가로질러 통과해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검체를 수용공간(310) 내에 수용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검체가 검체출입구(360R1, 360R2)로부터 검체채취부(300)의 길이방향 중심축(LX)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진입을 할수록 검체의 출입유로(360F)가 협소해지거나 확장되는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검체출입구(360R1, 360R2)로부터 내측으로 진입하여 들어갈수록 검체의 출입유로(360F)가 협소해지거나 확장되는 형태를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와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출입구(360R1A)로부터 중심축(LX)측으로 갈수록 검체출입유로(360F)의 높이(360h)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검체출입유로(360F) 협소해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검체출입구(360R1A)로부터 중심축(LX)측으로 갈수록 검체출입유로(360F)의 너비(360W)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검체출입유로(360F) 협소해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검체출입구(360R1, 360R2)로부터 내측으로 진입하여 들어갈수록 검체의 출입유로(360F)가 협소해지는 형태를 갖추면 검체출입구(360R1, 360R2)를 통해 유입되어 검체채취부(300) 내측의 수용공간(310)으로 진입되는 검체를 모아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검체의 출입유로(360F)로 유입되거나 수용공간(310) 내에 모여진 검체는 임의의 응집력이 있으므로 검체의 채집과정에서 검체채취부(300)의 외부로 이탈이 억제된다.
그리고, 검체채취부(300)를 고정용액에 담궜을 때 검체채취부(300)에 홀딩 또는 수용되어 있던 검체들이 고정용액으로 쉽게 분산되어 나올 수 있으므로 고정용액 중 검체량이 증대된다.
다시 말해서, 검체채취부(300)를 고정용액에 담그면 수용공간(310)에 고정용액이 유입된다. 따라서 수용공간(310)은 수용되어 있던 검체와 고정용액으로 채워진 상태가 되며 일부 검체들은 고정용액으로 분산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200)를 흔들어 줌으로써 검체채취부(300)를 흔들어주면 고정용액으로 분산되는 검체의 양이 증대되면서 아울러 고정용액에 분산된 검체가 수용공간(310) 내에서 검체채취부(300)의 외측으로 유출되어 나오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검체출입구(360R1, 360R2)로부터 내측으로 진입하여 들어갈수록 검체의 출입유로(360F)가 협소해지는 형태를 갖춘 경우에는, 역으로 수용공간(310) 내로부터 검체출입구(360R1, 360R2) 측 방향으로는 출입유로(360F)가 확대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수용공간(310) 내측에 수용되어 있던 검체가 고정용액에 분산되면서 검검체출입구(360R1, 360R2)를 통해 외부로 분산되어 나오는 양이 일정 양 이상으로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수용공간(310) 내에 수용된 검체가 일정 양 이상 고정용액에 분산되면서 검체채취부(300)의 외부로 나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검체채취부(300)의 수용공간(310)이 둘 이상의 구분되는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변형된 형태의 검체채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의 내측에는 수용공간(310)을 공간적으로 구분시켜주는 격벽(320)이 하나 이상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격벽(320)이 하나 마련된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이 마련된 하나의 격벽(320)에 의해 수용공간(310)이 두 개의 수용공간(310A, 310B)으로 구분되어 분리된다.
수용공간(310) 내에 격벽(320)이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으면 점성이 있는 검체가 격벽(320)에 묻으면서 주변의 검체가 함께 응집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격벽(320)과 서로 구분되어지는 수용공간(310A, 310B)을 이용하여 채집되는 검체를 일정 양 이상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이처럼 검체채취부(300)에 마련된 격벽(320)과 수용공간(310A, 310B)은 일정양 이상의 검체가 응집되면서 검체채취부(300) 내에 잔존될 수 있게 도움을 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격벽(320)이 하나 또는 다수 마련되거나 다수개의 수용공간으로 구분되어 분리되면, 체내에서 검체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검체채취부(300) 내의 수용공간(310)으로부터 검체가 이탈되는 양이 대폭 감축되므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증대된다. 아울러,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채취되는 검체가 검체채취부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검체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여 주므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욱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달리 섬유층이 없으므로, 검체채취부를 고정용액에 담궜을 때 검체채취부에 홀딩 또는 수용된 검체들이 고정용액으로 쉽게 분산되어 나올 수 있으므로 고정용액 중 검체량이 증대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의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플로킹(flocking)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스틱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채취스틱에 섬유층이 없으므로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 부분이 떨어져서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종래의 스왑에 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시켜줄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에 삽입되는 검체채취부가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 또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검체채취스틱
100 : 손잡이부
200 : 지지부
300 : 검체채취부
310 : 수용공간 320 : 격벽
360R1, 360R2 : 검체출입구

Claims (7)

  1.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채취부는,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 중심축 측에 상기 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으로서,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검체출입구가 상기 검체채취부의 외면상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되, 다수개의 상기 검체출입구는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열된 형태를 갖춘 것이고,
    다수개의 상기 검체출입구는 제1열과 제2열로 구분되어 배열되되, 상기 제1열과 상기 제2열은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것이며,
    상기 제1열의 검체출입구와 상기 제2열의 상기 검체출입구는,
    상기 검체채취부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스틱.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채취부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공간적으로 구분시켜주는 격벽이 하나 이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스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출입구로부터 상기 검체채취부의 중심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진입을 할수록 상기 검체의 출입유로가 협소해지거나 확장되는 형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스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채취부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KR1020220011938A 2022-01-27 2022-01-27 검체 채취 스틱 KR102447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938A KR102447210B1 (ko) 2022-01-27 2022-01-27 검체 채취 스틱
PCT/KR2022/011818 WO2023146046A1 (ko) 2022-01-27 2022-08-09 검체 채취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938A KR102447210B1 (ko) 2022-01-27 2022-01-27 검체 채취 스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210B1 true KR102447210B1 (ko) 2022-09-27

Family

ID=8345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938A KR102447210B1 (ko) 2022-01-27 2022-01-27 검체 채취 스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7210B1 (ko)
WO (1) WO202314604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187B1 (ko) 2000-10-24 2002-10-18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JP2011106926A (ja) * 2009-11-16 2011-06-02 Denka Seiken Co Ltd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該スワブの製造方法及び該スワブを用いたキット
JP2011234666A (ja) * 2010-05-10 2011-11-24 Sanyo:Kk 綿棒
KR20210055836A (ko) * 2019-11-07 2021-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구강액 채취 장치
KR102339992B1 (ko) * 2020-09-16 2021-12-16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채취스틱
KR102339993B1 (ko) * 2020-09-16 2021-12-16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채취스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452U (ko) *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187B1 (ko) 2000-10-24 2002-10-18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JP2011106926A (ja) * 2009-11-16 2011-06-02 Denka Seiken Co Ltd 生物学的検体の採取用スワブ、該スワブの製造方法及び該スワブを用いたキット
JP2011234666A (ja) * 2010-05-10 2011-11-24 Sanyo:Kk 綿棒
KR20210055836A (ko) * 2019-11-07 2021-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구강액 채취 장치
KR102339992B1 (ko) * 2020-09-16 2021-12-16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채취스틱
KR102339993B1 (ko) * 2020-09-16 2021-12-16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채취스틱
KR20220036883A (ko) * 2020-09-16 2022-03-23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KR20220036880A (ko) * 2020-09-16 2022-03-23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6046A1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6881A (ko) 검체 채취 스틱
KR102339992B1 (ko) 검체채취스틱
DE69032623T2 (de) Probentesteinheit
DE69610569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nahme von Fäkalien
DE69303483T2 (de) Mikrohergestellte Vorrichtungen zum Handhaben von Sperma
DE102006022827B4 (de) Endoskop
FI59201B (fi) Foerfarande foer uppsamling av blod fraon en kroppshaola foer analysaendamaol
KR102447210B1 (ko) 검체 채취 스틱
KR102527684B1 (ko) 검체 채취 스틱
JP2740489B2 (ja) 糞便採取容器
DE10306018A1 (de) Analyse- und Diagnostikinstrument
EP4282342A1 (en) Specimen collection kit
CN118591348A (en) Sample collection stick
JP7512551B2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JP2023543412A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JP7512553B2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DE19925210C2 (de) Fasersonde
KR102170081B1 (ko) 내시경 삽입기능을 갖는 체액진단키트
JP2023543699A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WO2021165235A1 (en) Micro-dialysis probe with reinforcing tube
WO2022096307A1 (de) Rohrpostbüchse für den transport von probenröhrchen
US20040102718A1 (en) Blood testing device
CA2442962A1 (en) Blood testing device
JPH04114640A (ja) 診断および/または治療用具
DE29618589U1 (de) Saug-Spülerweiterung für flexible Endoskope ohne Saug-Spülka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