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424B1 - 검체 채취 스틱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424B1
KR102663424B1 KR1020210122413A KR20210122413A KR102663424B1 KR 102663424 B1 KR102663424 B1 KR 102663424B1 KR 1020210122413 A KR1020210122413 A KR 1020210122413A KR 20210122413 A KR20210122413 A KR 20210122413A KR 102663424 B1 KR102663424 B1 KR 10266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sample collection
sample
screw bla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879A (ko
Inventor
고창욱
정중환
김봉윤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Priority to PCT/KR2021/01255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060070A1/ko
Publication of KR2022003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 C12M1/28Inoculator or sampler being part of container
    • C12M1/30Sampler being a swa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2001/028Sampling from a surface, swabbing, vapor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체채취스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 및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검체채취부는 나선형의 스크류블레이드 및 허브를 포함하며, 허브에서,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 측에 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빈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 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검체 채취 스틱{A Stick for Sampling a Specimen}
본 발명은 검채 채취 스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 내 타액 등의 검체를 채취하기 위하여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의 타액 등을 긁어내어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검체 채취용 스틱에 관한 것이다.
미생물학적 검사란, 검체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에 오염되어 있는지를 가려내는 검사이다. 즉, 병의 원인이 미생물이라고 생각될 때, 그 진단, 치료, 예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하는 검사이다. 미생물학적 검사는 피검사자가 대장균, 장티푸스균, 포도상구균, 슈도모나스균 등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균에 오염이 되어 있는지를 가려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생물학적 검사를 위하여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채취된 검체는 검사를 위한 시약 또는 용액에 섞여진 후에 병원균의 존재여부를 검사한다.
피검사자의 타액이나 체액 또는 신체조직으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시 검체 채취용 스틱, 브러쉬 또는 스왑(swab)이라 불리는 기구가 사용된다. 즉, 검체채취용 스왑을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시켜서 스왑에 검체를 묻혀서 인출하는 형태로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기존의 검체 채취용 스왑의 경우 막대기 형상의 스왑의 끝단에 원형의 형태의 채취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스왑의 채취부에는 작은 크기의 미세섬유들이 부착되어 형성된 섬유층이 마련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스왑의 채취부에 형성된 섬유층에 검체가 스며들도록 하며, 피검사자로부터 스왑의 채취부를 인출함으로써 검체를 채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검체채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검체채취용 스왑은 섬유층에 타액 등이 스며들게 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이상 피검사자의 구강 및 비강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피검사자의 불편이 크다. 무엇보다도 검체채취용 스왑에 마련된 섬유층에서 일부 섬유층이 스왑의 채취부에서 분리 이탈되어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섬유층과 같은 이물질이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게되는 것은 의학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스왑을 이용하여 채취되는 채취량이 불충분하여 검사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61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체 채취시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종래 스왑의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부분이 스왑으로부터 분리되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검체 채취 스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은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채취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에서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 측에 상기 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빈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 일부분과 결합되는 리어허브프레임; 상기 리어허브프레임에 대하여 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프런트허브프레임; 및 전측단이 상기 프런트허브프레임에 연결되고, 후측단이 상기 리어허브프레임에 연결된 다수개의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허브프레임의 중심에 홀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개의 상기 필러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필러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프런트허브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허브프레임의 외측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채취홈이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프런트허브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허브프레임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채취홈 중 적어도 일부의 채취홈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허브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블레이드의 외측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이 임의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채취홈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상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스크류블레이드 또는 상기 허브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의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플로킹(flocking)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스틱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채취스틱에 섬유층이 없으므로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 부분이 떨어져서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으므로 검사의 안전성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주며, 아울러 종래의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에 검체가 스며드는데 소요되는 흡수시간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준다. 따라서,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필러 및 스크류블레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여 설명하고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지지부(200) 및 검체채취부(300)를 포함하며, 나아가 손잡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지부(200)는 로드(rod) 또는 바(bar)와 같은 형태로서 임의의 길이를 갖추고 있다. 지지부(200)의 전측에는 검체채취부(300)가 위치하고 있으며 검체채취부(300)을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부(200)의 전측과 검체채취부(300)가 고분자재질 또는 엘라스토머재질로서 단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다. 또는, 지지부(200)와 검체채취부(300)가 다른 소재로 이루어지고, 지지부(200)와 검체채취부(300)가 결합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지지부(200)의 전측에 검체채취부(300)를 융착 성형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지지부(200)는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되어 검체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특정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지지부(200)는 전달받는 힘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으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연성과 탄력성을 갖춘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 편, 검체용기(미도시)에 보관된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때 핀셋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꺼내는 경우, 사전에 핀셋을 세척하고,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지지부(200)를 핀셋으로 집어서 꺼낸 후 검사자가 의도하는 위치에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가 놓여지면, 이용된 핀셋을 다시 세척하여야 한다.
이처럼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핀셋을 매번 세척하여야 하므로 검체 검사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핀셋을 이용하지 않고도 검체용기로부터 검체 채취 스틱(10)의 검체채취부(300) 및 지지부(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출 수도 있다.
즉, 지지부(200)의 외면에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면에서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검체 용기(미도시)의 커버 또는 뚜껑(미도시)의 내측에는, 검체 채취 스틱(10)의 지지부(200)가 검체 용기 커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 또는 끼움턱(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검체용기의 커버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홈 또는 끼움턱에 지지부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와 맞물리거나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에 지지부(200)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핀셋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지 않아도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를 오픈시키면 검체 용기의 뚜껑 또는 커버와 함께 지지부(200)를 검체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이러한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의 예시적인 형태로서,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링과 같은 형태를 갖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지지부(200)의 외측면 상에 마련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검체 용기의 커버에 지지부(200)가 결합될 수 있으면 이용상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의 후측에는 손잡이부(100)가 위치하고 있다. 즉, 지지부(200)의 후측단이 손잡이부(100)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100)는 지지부(200)의 후측단에 연결되며,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00)는 검사자의 손 또는 손가락에 의해 파지된다. 검사자는 손잡이부(100)를 이용하여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시키는 컨트롤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0)를 이용한 검사자의 컨트롤에 의해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구강이나 비강 등을 통해 체내로 진입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의 후측단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를 구별시켜줄 수 있는 분절마디와 같은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손잡이부(100)와 지지부(2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사용자인 검사자의 의도에 따라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검체채취부(300)가 인출되면 검체 용기에 검체채취부(300)와 지지부(200)를 수용시킨다.
여기서 손잡이부(100)를 검체 용기에 수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지지부(200)로부터 손잡이부(100)를 분리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검사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 사이에 분절마디 또는 분절홈(1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200)와 손잡이부(100)가 분절된 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가 검체용기의 커버에 결합될 수 있다.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커버 또는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210)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체채취부(300)는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 또는 진입되어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검체 채취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검체채취부(300)는 지지부(200)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 또는 채취한다.
이러한 검체채취부(300)는 허브(310)와 스크류블레이드(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4를 더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즉, 도 4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검체채취부에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제외하고 허브(3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에 결합된다.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지지부(2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일치가 되도록 허브(310)와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분이 허브(310)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지지부(200)와 결합 또는 형성된다. 그리고 허브(310)의 외측에 배치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지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허브(310)의 필러(3130)에 스크류블레이드(3130)가 배치된다.
그리고, 스크류블레이드(320)는 허브(310)의 외측에 배치되어 허브(310)의 지지를 받으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처럼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320)는 접촉되는 검체가 묻거나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도록 허브(310)의 외측 즉, 허브(310)의 필러(3130)에 배치되는 것이다.
먼저, 검체채취부(300)의 허브(310)에 대해서 좀 더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검채채취부(300)의 허브(310)는 리어허브프레임(3120), 프런트허브프레임(3110) 및 다수개의 필러(3130)를 포함한다.
프런트허브프레임(3110)은 허브(310)의 전측 부분에 해당되며, 리어허브프레임(3120) 및 필러(3130)과 함께 허브(310)를 구성하는 일부분이다.
프런트허브프레임(3110)은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분과 결합되는 리어허브프레임(3120)에 대하여 전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프런트허브프레임(3110)의 중심에는 홀(3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프런트허브프레임(3110)의 중심에 형성된 홀(3115)은 후술할 수용공간(3150)과 연통된다.
리어허브프레임(3120)은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분과 결합된다. 리어허브프레임(3120)은 허브(310)의 후측 부분에 해당되며, 프런트허브프레임(3110) 및 필러(3130)과 함께 허브(310)를 구성하는 일부분이다. 리어허브프레임(3120)은 프런트허브프레임(3110)에 대하여 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리어허브프레임(3120)도 프런트허브프레임(3120)처럼 중심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허브프레임(3120)의 가운데 중심에 형성된 홀의 내측에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분이 삽입되는 형태로 리어허브프레임(3120)이 지지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허브프레임(3120)이 지지부(200)와 결합되므로, 허브(310)가 지지부(200)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필러(3130)는 전측단이 프런트허브프레임(3110)에 연결되고, 후측단이 리어허브프레임(3120)에 연결된다. 이러한 필러(3130)는 프런트허브프레임(3110)과 리어허브프레임(3120) 사이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필러(3130) 각각은 서로 이웃하는 필러(313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필러(3130)는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대칭 또는 축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프런트허브프레임(3110)과 리어허브프레임(3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허브(310)에서 프런트허브프레임(3110)의 중심과 리어허브프레임(3120)의 중심을 잇는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 측에 빈 수용공간(3150)이 마련되어 있다.
허브(310)의 내측에 마련되는 빈 수용공간(3150)에 채취되는 검체가 수용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필러(3130) 사이에 간격이 있으므로 허브(310) 외측으로부터 검체가 허브(310)의 내측에 마련된 수용공간(3150)으로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10)은 허브(310)의 수용공간(3150)이 없는 종래의 검체채취스틱보다 더 많은 양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프런트허브프레임(3110) 또는 리어허브프레임(3120)의 외측 테두리에는, 검체를 수용하여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는 다수개의 채취홈(3113, 3114, 3123, 3124)이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 또한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채취홈(3113, 3114, 3123, 3124)이 프런트허브프레임(3110) 또는 리어허브프레임(31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경우, 프런트허브프레임(3110) 또는 리어허브프레임(31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채취홈(3113, 3114, 3123, 3124) 중 적어도 일부의 채취홈(3113, 3114, 3123, 3124)은, 허브(310) 또는 지지부(20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자면, 프런트허브프레임(3110) 또는 리어허브프레임(31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채취홈(3113, 3114, 3123, 3124)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상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런트허브프레임(3110) 또는 리어허브프레임(31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채취홈(3113, 3114, 3123, 3124)은, 임의의 가상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배치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런트허브프레임(3110) 또는 리어허브프레임(31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채취홈(3113, 3114, 3123, 3124)은 임의의 깊이 또는 임의의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채취홈(3113, 3114, 3123, 3124)의 깊이 또는 너비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채취홈(3113, 3114, 3123, 3124)의 깊이 또는 너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허브(310)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소재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는 지지부(200) 또는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나사산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포함한다.
즉 검체채취부(300)는 접촉되는 검체가 묻거나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스크류블레이드(320)는 허브(310)의 외측에 결합 또는 형성되어 허브(310)의 지지를 받는다. 즉, 허브(310)의 필러(3130)는, 허브(310)의 필러(3130)에 결합되어 배치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더 참조하여 스크류블레이드(3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검체채취부(300)는 지지부(200) 또는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포함한다.
즉 검체채취부(300)는 접촉되는 검체가 묻거나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도록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허브(310)를 중심으로 하여 허브(310)의 외측에 스크류블레이드(320)이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허브(310)의 필러(3130)에 스크류블레이드(320)가 결합되고 스크류블레이드(320)가 필러(3130)의 지지를 받는다.
스크류블레이드(320)를 지지하는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 부분과 결합된다. 따라서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지지를 받으면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스크류블레이드(320)가 검체채취부(300)에 마련되면 검체채취부(300)에서 검체와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증가된다.
나선형의 형태를 갖춘 스크류블레이드(320)에서 외측 테두리를 피치라고 할 수 있다.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임의의 피치부분을 첫 번째 피치라고 하고, 이 첫 번째 피치에서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360도 만큼 1회전을 했을 때 다음의 피치를 두 번째 피치라고 하면 첫 번째 피치와 두 번째 피치의 사이의 부분으로서 허브(310)의 필러(3130)이 외부에 노출된 부분인 갭(gap)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갭부분에서도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갭부분에 검체가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다.
간단하 말하자면, 스크류블레이드와 허브의 필러(3130) 사이의 부분에 검체가 묻어서 홀딩될 수 있으며,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크류블레이드(320) 각각은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스크류블레이드(320) 각각은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신체조직에 접하게 된다. 검사자가 손잡이부(100)를 통해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휘젖거나 긁어내는 움직임을 실시함으로써 스크류블레이드(320)는 검체가 있는 신체조직 부분에 접하여 긁어내듯이 쓸어내게 되며 그 결과 검체가 스크류블레이드(320)의 표면에 묻거나 서로 이웃하는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양 피치 사이의 간격에 홀딩된다.
즉,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블레이드(320)의 표면에 검체가 묻거나 스크류블레이드(320)에서 서로 이웃하는 양 피치 사이의 간격에 검체가 홀딩됨으로써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때 검체가 검체채취부(300)에 잔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의 서로 이웃하는 양 피치 사이의 간격인 갭부분을 채취공간 또는 채취간격 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체채취부(300)에서 스크류블레이드(320) 또는 허브(310)에 접촉되는 검체는 스크류블레이드(320)에 의해 홀딩된 상태 또는 검체가 묻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에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323, 324)이 임의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채취홈(323, 324)은,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상 평면(IP)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323) 중 적어도 일부의 채취홈(323)은 허브(310) 또는 지지부(20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323)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채취홈(323, 324)이 일정한 오차범위 내에서 나란한 방향 즉 서로 평행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로 이웃하여 형성된 채취홈(323, 324)의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참고로 도 5에서, 도면부호 321은 스크류블레이드(320)에서 채취홈(323, 32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채취홈 (323, 324) 사이의 부분을 지시한 것이다.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상 평면(IP)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채취홈(323, 324) 중에서, 채취홈(323)의 깊이방향 또는 채취홈(323)의 중심선이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지나는 채취홈(323)을 제1 채취홈(323)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채취홈(323)에 이웃하는 채취홈(324) 또는 채취홈(324)의 깊이방향 또는 채취홈(324)의 중심선이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교차하지 않는 채취홈(324)을 제2 채취홈(324)이라고 할 수 있다.
제1 채취홈(323)의 깊이와 제 2 채취홈(324)의 깊이는 임의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채취홈(323)의 깊이와 제 2 채취홈(324)의 깊이는 동일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제1 채취홈(323)의 깊이와 제 2 채취홈(324)의 깊이는 필요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채취홈(323)의 너비(GW1)와 제2 채취홈(324)의 너비(GW2)도 임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채취홈(323)의 너비(GW1)와 제2 채취홈(324)의 너비(GW2)는 서로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크기일 수도 있다. 이는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너비(GW1, GW2)의 크기를 설정하여 채취홈(323, 324)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323, 324) 내에 검체가 수용되어 홀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323, 324)이 스크류블레이드(320)에 형성된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준다. 이러한 제1 채취홈(323) 또는 제2 채취홈(324)이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323, 324)이 스크류블레이드(320)에 형성된 형태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 또한 바람직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채취부(300)에 포함된 스크류블레이드(320)에 의해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
따라서,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채취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
스크류블레이드(320)의 두께는 허브(310)의 필러(3130)에 연결된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일측단에서부터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인 타측단까지의 두께가 일정한 것도 바람직하며, 도 6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일부 부분에서 두께가 감소되는 형태를 갖춘 것도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 채취 스틱에서, 검체채취부의 허브 및 스크류블레이드 일부분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즉,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 상의 한 지점과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측단면으로서 나타낸 개념도인 것이다.
도 6에서, 스크류블레이드(320)는 일측이 허브(310)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는 스크류블레이드(320)의 타측단이 된다. 스크류블레이드(320)에서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2)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T0, TE)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면부호 T0는 스크류블레이드(320)에서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2)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의 두께(T0)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TE는 스크류블레이드(320)의 타측단에서의 두께(TE)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2)에서 두께가 T0에서 TE로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는 것으로, 달리 표현하자면 두께가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류블레이드(320)는 종방향길이(L0)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LD)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횡방향너비(WD)가 감소되거나 두께(T0, TE)가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블레이드(320)의 두께는 0.1 mm 내지 1 mm 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0.8 mm 의 범위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스크류블레이드(320)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이나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블레이드(320)가 외측 테두리 즉, 타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면,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이 유연하게 휘었다가 원래 형태로 돌아오면서 접촉된 검체를 홀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허브(310)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의 스크류블레이드(320)는 접촉 또는 묻어지는 검체가 누락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스크류블레이드(320) 사이에서 홀딩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으므로 검체의 채취량이 종래에 비하여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에 형성된 채취홈(323, 324) 또한 접촉 또는 묻어지는 검체가 누락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채취홈(323,324) 내에 홀딩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으므로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된다.
스크류블레이드(320)의 크기는, 비강, 구강, 항문 또는 자궁경부와 같이 피검사자의 체내로 삽입될 부위에 따라 설정된 크기로 성형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크류블레이드(320)와 허브(310)를 포함하는 검체채취부(300)는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이나 엘라스토머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다음과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에서 검체채취부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형태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지지부(200) 및 검체채취부(300)를 포함하며, 나아가 손잡이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0) 및 손잡이부(100)에 대한 부분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로 대신할 수 있다.
검체채취부(300)는 허브(310)와 스크류블레이드(320)를 포함한다.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에 결합된다.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지지부(2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일치가 되도록 허브(310)와 지지부(2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분이 허브(310)의 내측에 삽입된 형태로 지지부(200)와 결합 또는 형성된다. 그리고 허브(310)의 외측으로서 외주면에 배치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지지한다.
그리고, 스크류블레이드(320)는 허브(310)의 외측으로서 외주면에 배치되어 허브(310)의 지지를 받으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처럼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320)는 접촉되는 검체가 묻거나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도록 허브(310)의 외측 즉 허브(31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허브(310)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소재 또는 엘라스토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허브(31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형태인 봉의 형태를 갖출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허브(310)를 중심으로 하여 허브(310)의 외주면 상에 스크류블레이드(320)이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320)는 허브(310)의 지지를 받는다.
스크류블레이드(320)를 지지하는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전측 일부 부분과 결합된다. 따라서 허브(310)는 지지부(200)의 지지를 받으면서 스크류블레이드(32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스크류블레이드(320)가 검체채취부(300)에 마련되면 검체채취부(300)에서 검체와의 접촉되는 표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증가된다.
나선형의 형태를 갖춘 스크류블레이드(320)에서 외측 테두리를 피치라고 할 수 있다.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임의의 피치부분을 첫 번째 피치라고 하고, 이 첫 번째 피치에서 허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360도 만큼 1회전을 했을 때 다음의 피치를 두 번째 피치라고 하면 첫 번째 피치와 두 번째 피치의 사이의 부분으로서 허브(310)의 외주면이 외부에 노출된 부분인 갭(gap)부분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갭부분에서도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검체와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갭부분에 검체가 홀딩되어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다.
간단하 말하자면, 스크류블레이드와 허브의 외주면 사이의 부분에 검체가 묻어서 홀딩될 수 있으며,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크류블레이드(320) 각각은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스크류블레이드(320) 각각은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신체조직에 접하게 된다. 검사자가 손잡이부(100)를 통해 검체채취부(300)를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휘젖거나 긁어내는 움직임을 실시함으로써 스크류블레이드(320)는 검체가 있는 신체조직 부분에 접하여 긁어내듯이 쓸어내게 되며 그 결과 검체가 스크류블레이드(320)의 표면에 묻거나 서로 이웃하는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양 피치 사이의 간격에 홀딩된다.
즉,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블레이드(320)의 표면에 검체가 묻거나 스크류블레이드(320)에서 서로 이웃하는 양 피치 사이의 간격에 검체가 홀딩됨으로써 검체채취부(300)가 피검사자의 체외로 인출될 때 검체가 검체채취부(300)에 잔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채취블레이드(320)의 서로 이웃하는 양 피치 사이의 간격인 갭부분을 채취공간 또는 채취간격 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체채취부(300)에서 스크류블레이드(320) 또는 허브(310)에 접촉되는 검체는 스크류블레이드(320)에 의해 홀딩된 상태 또는 검체가 묻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류블레이드(320)의 외측 테두리에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323, 324)이 임의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채취홈(323, 324)은,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상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채취홈(323, 324)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앞서 설명한 바로 대신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블레이드(320)의 두께 대한 설명도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바와 동일하므로 이 역시 앞서 설명한 바로 대신할 수 있다.
한 편, 참고로,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의 외측 테두리에는 채취홈에 해당되는 요(凹)와 철(凸)이 교번하여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현을 달리하자면 스크류블레이드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채취홈이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철의 형태 또는 채취홈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특정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스크류블레이드에 다수개의 채취홈 또는 요철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면 스크류블레이드의 외측 테두리 부분의 표면적이 증대되므로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스크류블레이드의 요철부분에서, 오목하게 형성된 요(凹)인 채취홈에 검체가 홀딩될 수 있다. 여기서, 검체의 점성과 유연성이 있는 스크류블레이드의 탄력성 그리고 검체와 스크류블레이드가 접촉되는 표면적의 증가에 의해 검체의 홀딩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채취홈에 해당되는 요(凹)와 철(凸)이 교번하여 다수 형성된 구체적인 예로서, 사각파와 같은 형태가 스크류블레이드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스크류블레이드의 외측 테두리 부분 즉, 외측 가장자리 부분이 곡선의 형태로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이 교대로 나타나는 사인파(sin wave)의 형태로 형성된 것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채취되는 검체가 검체채취부의 허브에 마련된 수용공간 내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채취되는 검체의 양이 종래의 검체채취용 스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증가된다.
또한, 나선형의 스크류블레이드는 접촉 또는 묻어지는 검체가 누락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스크류블레이드 사이에서 홀딩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으므로 검체의 채취량이 종래에 비하여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스크류블레이드의 외측에 형성된 채취홈 또한 접촉 또는 묻어지는 검체가 누락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채취홈 내에 홀딩된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으므로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된다.
그리고 섬유층이 없으므로, 검체채취부를 고정용액에 담궜을 때 검체채취부에 홀딩 또는 수용된 검체들이 고정용액으로 쉽게 분산되어 나올 수 있으므로 고정용액 중 검체량이 증대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의 제조과정에서 요구되는 플로킹(flocking)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검체채취스틱의 제조비용을 절감시켜줄 수 있으며, 검체채취스틱에 섬유층이 없으므로 기존의 검체채취용 스왑에서와 같이 섬유층 부분이 떨어져서 피검사자의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종래의 스왑에 비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채취되는 검체의 채취량을 증대시켜줄 수 있으며, 채취된 검체가 검체 채취 스틱으로부터 시약 또는 용액으로 용해 또는 분산되는 양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검체의 채취량이 증대됨에 따라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검체채취스틱은 검체 채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시켜줄 수 있고, 검체 채취시 피검사자의 불편함을 경감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피검사자의 구강 또는 비강에 삽입되는 검체채취부가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고분자재질 또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손잡이부
200 : 지지부
300 : 검체채취부
310 : 허브
320 : 스크류블레이드

Claims (7)

  1. 임의의 길이를 갖춘 로드 또는 바 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전측단에 위치하여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접촉되는 검체를 채집하는 검체채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체채취부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결합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허브의 지지를 받으며,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된 스크류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는,
    상기 지지부의 전측 일부분과 결합되는 리어허브프레임;
    상기 리어허브프레임에 대하여 전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프런트허브프레임; 및
    전측단이 상기 프런트허브프레임에 연결되고, 후측단이 상기 리어허브프레임에 연결된 다수개의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에서,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 측에 상기 검체를 수용할 수 있는 빈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 스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허브프레임의 중심에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허브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허브프레임의 외측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채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허브프레임 또는 상기 리어허브프레임의 외측 테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채취홈 중 적어도 일부의 채취홈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블레이드의 외측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취홈이 임의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채취홈은,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가상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스크류블레이드 또는 상기 허브는 유연성 또는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채취부를 내측에 수용하게 되는 검체용기의 뚜껑에 고정되는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형태의 결합턱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거나 뚜껑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채취스틱.
KR1020210122413A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663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12559 WO2022060070A1 (ko) 2020-09-16 2021-09-15 검체 채취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514 2020-09-16
KR20200119514 2020-09-16
KR20210017056 2021-02-05
KR20210017061 2021-02-05
KR1020210017061 2021-02-05
KR1020210017056 2021-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79A KR20220036879A (ko) 2022-03-23
KR102663424B1 true KR102663424B1 (ko) 2024-05-03

Family

ID=79033143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681A KR102339993B1 (ko) 2020-09-16 2021-05-04 검체채취스틱
KR1020210122448A KR102663428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15A KR102663425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13A KR102663424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35A KR102663427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23A KR102663426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57A KR102663429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681A KR102339993B1 (ko) 2020-09-16 2021-05-04 검체채취스틱
KR1020210122448A KR102663428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15A KR102663425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35A KR102663427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23A KR102663426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KR1020210122457A KR102663429B1 (ko) 2020-09-16 2021-09-14 검체 채취 스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63744A1 (ko)
EP (1) EP4215119A1 (ko)
JP (1) JP2023543411A (ko)
KR (7) KR102339993B1 (ko)
CN (1) CN116157506A (ko)
WO (1) WO2022060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038B1 (ko) * 2021-12-31 2022-12-21 (주)페블아이 검체 채취 기구
KR102447210B1 (ko) * 2022-01-27 2022-09-27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KR102527684B1 (ko) * 2022-01-27 2023-05-02 (주)바이온라이프사이언스 검체 채취 스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539A (ja) * 2002-12-17 2004-07-15 Sato Kasei Kogyosho:Kk 検体用容器
US20070093727A1 (en) 2005-10-25 2007-04-26 Femspec Llc Cervical tissue biopsy system and methods of use
CN204049697U (zh) * 2014-09-24 2014-12-31 杨艳英 一种妇科阴道检查用取样器
US20170065261A1 (en) * 2014-05-05 2017-03-09 Eve Medical Inc. Specimen colle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100246A (nl) * 1991-02-13 1992-09-01 Rovers B V Inrichting voor het vergaren van cellen uit een lichaamsholte.
KR100356187B1 (ko) 2000-10-24 2002-10-18 주식회사 코젠바이오텍 검체 채취 및 보관용 키트
BRPI0905942A2 (pt) 2008-02-15 2015-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ositivo de captura de amostra"
KR101691471B1 (ko) * 2014-11-26 2016-12-30 (주) 메디포유 자궁경부 시료 채취기
KR101623118B1 (ko) * 2015-09-03 2016-05-23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다성분사출성형공법을 이용한 검체 채취 스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539A (ja) * 2002-12-17 2004-07-15 Sato Kasei Kogyosho:Kk 検体用容器
US20070093727A1 (en) 2005-10-25 2007-04-26 Femspec Llc Cervical tissue biopsy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170065261A1 (en) * 2014-05-05 2017-03-09 Eve Medical Inc. Specimen collection device
CN204049697U (zh) * 2014-09-24 2014-12-31 杨艳英 一种妇科阴道检查用取样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881A (ko) 2022-03-23
KR102663427B1 (ko) 2024-05-03
KR102339993B1 (ko) 2021-12-16
JP2023543411A (ja) 2023-10-16
KR20220036883A (ko) 2022-03-23
CN116157506A (zh) 2023-05-23
KR102663429B1 (ko) 2024-05-03
EP4215119A1 (en) 2023-07-26
KR20220036882A (ko) 2022-03-23
US20230363744A1 (en) 2023-11-16
KR102663425B1 (ko) 2024-05-03
WO2022060069A1 (ko) 2022-03-24
KR20220036879A (ko) 2022-03-23
KR20220036880A (ko) 2022-03-23
KR102663428B1 (ko) 2024-05-03
KR102663426B1 (ko) 2024-05-03
KR20220036884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3424B1 (ko) 검체 채취 스틱
KR102339992B1 (ko) 검체채취스틱
US5477863A (en) Collection kit with a sample collector
JP6382855B2 (ja) 医療機器の清浄度試験装置と方法
JP2023543412A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EP4215123A2 (en) Sample collection stick
JP2023543699A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JP2023543413A (ja) 検体採取スティック
WO2021236010A1 (en) A swab
NL9100246A (nl) Inrichting voor het vergaren van cellen uit een lichaamsholte.
KR102447210B1 (ko) 검체 채취 스틱
KR102527684B1 (ko) 검체 채취 스틱
KR20220019864A (ko) 비인두 및 구인두의 가검물 샘플 채취 기기
CN116898491A (zh) 一种子宫仿形内膜真空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