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200B1 -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200B1
KR102663200B1 KR1020200177832A KR20200177832A KR102663200B1 KR 102663200 B1 KR102663200 B1 KR 102663200B1 KR 1020200177832 A KR1020200177832 A KR 1020200177832A KR 20200177832 A KR20200177832 A KR 20200177832A KR 102663200 B1 KR102663200 B1 KR 102663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specific
information
memory
memory c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651A (ko
Inventor
이민재
Original Assignee
이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재 filed Critical 이민재
Publication of KR2021014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가 생산되었고,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에 식별 이미지를 포함시키는 후공정 처리가 수행되었으며, 상기 식별 이미지가 포함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 각각이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제1 메모리 카드라고 하고, 상기 후공정 처리된 메모리 카드를 제2 메모리 카드라고 할 때, 특정 차량에 탑재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추적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포함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와 대응하는 불량가능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복수의 소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중 소정 개수 이상이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의 판매를 중지하거나 출하를 중지하는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METHOD FOR TRACKING FLASH MEMORY CARD WITH IDENTIFICATION IMAGE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가 생산되었고,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에 식별 이미지를 포함시키는 후공정 처리가 수행되었으며, 상기 식별 이미지가 포함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 각각이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제1 메모리 카드라고 하고, 상기 후공정 처리된 메모리 카드를 제2 메모리 카드라고 할 때, 특정 차량에 탑재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추적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포함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와 대응하는 불량가능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복수의 소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중 소정 개수 이상이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의 판매를 중지하거나 출하를 중지하는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차량내 탑재되는 블랙박스는 자동차의 부품이라기 보다는 애프터 마켓에서의 소비자의 선택사항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앞으로의 블랙박스는 차량의 부품으로서 탑재(임베디드)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제품 보증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블랙박스는 운행시 영상을 지속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영상을 기록(writing)하고, 메모리 카드 공간 확보를 위해 지우고(erasing), 기록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읽는(reading) 등의 단계를 거치므로, 단순히 reading 작업만 수행하는 다른 메모리 카드(ex 네비게이션 등)보다도 에러 발생률이 높게 나타나는 편이었고, 보다 높은 수준의 대책이 필요하였다.
이전에는 차량 내 탑재된 메모리 카드(블랙박스 등의 메모리 카드)가 불량이라고 판정되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조사의 MES 추적성 관리를 통해 불량 제품(단품)의 생산 정보 및 원자재에 대한 정보를 찾아서 발생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는 수준이었다.
참고로, MES 추적성 관리는 입고 또는 생산되는 모든 자재에 고유성을 갖는 번호(LOT NO 또는 바코드 NO)를 부여하고, 생산 후 제품에 문제가 있거나 불량이 발견되었을 경우, 원인이 되는 자재에 대하여 LOT NO를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확인하고 해당 LOT NO을 사용하여 생산된 제품을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메모리 카드 제조사의 MES 추적성 관리 방식은 제조사 입장에서 불량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불량 범위를 도출할 수 있을 뿐, 고객사(자동차 회사 등) 입장에서는 상기 불량 제품과 동일 시기 내지 동일 제조처에서 생산된 다른 불량 제품을 확인할 수 없었다. 즉, 고객사 입장에서는 다른 불량 제품이 탑재된 차량의 수/지역 등 배포 현황을 확인할 길이 없어 잠재적인 클레임에 대한 사전 조치가 어려웠다. 물론, 메모리 카드 제조사 입장에서도 불량 제품이 어느 차량에 탑재되었는지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불량 제품이 탑재된 차량에 대한 추적 방식이 요구되었고, 이에 본 발명자는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 탑재된 메모리 카드가 불량 발생시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해당 불량 제품과 동일한 제품이 탑재된 차량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잠재적인 불량 제품에 대하여 선조치를 함으로써,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 및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즉, 차량 등에 결함이 있을 경우 교환해주는 레몬법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가 생산되었고,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에 식별 이미지를 포함시키는 후공정 처리가 수행되었으며, 상기 식별 이미지가 포함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 각각이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제1 메모리 카드라고 하고, 상기 후공정 처리된 메모리 카드를 제2 메모리 카드라고 할 때, 특정 차량에 탑재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추적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포함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와 대응하는 불량가능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복수의 소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중 소정 개수 이상이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의 판매를 중지하는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가 생산되었고,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에 식별 이미지를 포함시키는 후공정 처리가 수행되었으며, 상기 식별 이미지가 포함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 각각이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제1 메모리 카드라고 하고, 상기 후공정 처리된 메모리 카드를 제2 메모리 카드라고 할 때, 통신 모듈; 데이터베이스; 및 특정 차량에 탑재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포함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고,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와 대응하는 불량가능 범위를 획득하며,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복수의 소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중 기준 수치 이상이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의 판매를 중지하는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내 탑재된 메모리 카드가 불량 발생시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해당 불량 제품과 동일한 제품이 탑재된 차량을 빠르게 파악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재적인 불량 제품에 대하여 선조치를 함으로써,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 및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즉, 차량 등에 결함이 있을 경우 교환해주는 레몬법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 메모리 카드를 차량과 매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부착된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불량 메모리 카드가 탑재된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와 차량이 매칭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수명을 예측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적 시스템(100)은 통신모듈(110), 제어모듈(120),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1과는 달리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추적 시스템(100)은 식별 이미지 리더기, 정보 추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추적 시스템(100)의 통신모듈(110)은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5G,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데이터베이스(130)는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ex 제조 시기, 제조 공장 등), 메모리 카드와 차량의 매칭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 및 매칭 정보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130)가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각각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가 포함할 수도 있다.
추적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120)이 컨트롤하는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 메모리 카드를 차량과 매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복수 개의 (초기) 메모리 카드가 생산되었음을 가정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나타내며, SD 카드, MICRO SD 카드, UFS(Universal Flash Storage), SSD(Solid State Drive), eMMC(Embedded MultiMediaCard), Mini SD, NM(Nano Memory) 카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스토리지도 본 발명의 추적 프로세스의 대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우에 따라서 DDR, DRAM 등이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으로는, 비메모리 반도체 또는 퀄컴 Chips 등도 본 발명의 추적 프로세스의 대상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적 시스템(100)에 포함된 정보 추출 모듈에서는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 각각의 제조 시기, 제조 공장, 제품 ID, 용량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 중 일부를 정렬된 상태(ex n x m 사각형 형태 등)로 고정시킨 뒤, 추적 시스템(100)의 정보 추출 모듈이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정렬된 상태의 메모리 카드들의 아랫면을 스캔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들에 포함된 식별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다.
대량의 메모리 카드들이 정렬되어 고정(n x m 형태)된 상태에서, 추적 시스템(100)은 정보 추출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짧은 시간에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된 식별 정보는 컨트롤러의 F/W 정보, FLASH ID 정보(낸드 정보), CID(Card Identification) 정보, 용량, FAT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CID 정보는 제조공장 번호(MID, Manufacturer ID), OEM/Application ID, 제품 이름(PNM, Product name), 제품 수정버전(PRV, Product revision), 제품 시리어 번호(PSN, Product serial number), 제품 제조일자(MDT, Manufacturing date) 등이 포함되어, 제조 시기, 제조 공장, 제품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품 시리어 번호(PSN)는 초기 메모리 카드마다 서로 다른 고유의 번호에 해당할 것이다.
상기 CID 정보 등 명칭은 이용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종류(ex SD 카드, UFS 등) 별로 다를 수 있으며, 식별 정보(ex 제조 시기, 제조 공장, 제품 ID 등)를 획득가능한 것은 어느 종류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라도 동일할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메모리 카드 제조사의 MES System이 상기 추적 시스템(100)에 포함되거나 연동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메모리 카드가 '어느 라인에서 생산되었는지' '어떤 조에서 생산하였는지' '어떤 자재를 사용하였는지' '해당 자재를 언제 구매하였는지' '어떤 공정으로 제조되었는지'등 관련 추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카드 자체로부터 획득하는 것은 아니지만, 추적 시스템(100)은 연동되어 있거나 포함하고 있는 MES 시스템(카드 제조사)으로부터 추가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위 획득된 식별 정보들은 상기 메모리 카드들과 각각 매칭된 상태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추적 시스템(100)은 추후 불량가능 범위를 확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0)는 후술할 매칭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0)와 동일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도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각각의 특징에 따라 그룹핑되어 상기 추적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추후의 추적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동일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메모리 카드 정보가 우선적으로 그룹핑될 수 있고, 동일 시기에 생산된 메모리 카드 정보가 우선적으로 그룹핑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 제조사의 MES 시스템이 추적 시스템(100)에 포함되거나 연동된 경우, 그룹핑된 어느 하나의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메모리 카드들을 동일 라인, 동일 작업 조 등으로 세부적으로 상기 식별 정보들을 그룹핑할 수 있다.
결국, 추적 시스템(100)은 정보 추출 모듈을 통해 복수 개의 (초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복수 개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추적 시스템(100)이 정보 추출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로부터 복수 개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때 세가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첫째는, 상기 메모리 카드를 제조하는 컨트롤사(제조사)가 제공하는 보드(프로그램)를 통해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카드를 제조하는 컨트롤사의 지원이 있을 때,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대개 이 경우에는 획득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F/W 정보, FLASH ID 정보(낸드 정보), CID(Card Identification) 정보, 용량, FAT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둘째는, 리눅스를 이용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카드를 제조하는 컨트롤사의 지원 없이도 상기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대개 이 경우에는 획득할 수 있는 식별 정보로 CID(Card Identification) 정보, 용량, FAT 정보, 카드 health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카드 health 정보는 해당 메모리 카드의 사용 정도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해당 메모리 카드가 이전에 이용된 적 없는 새로운 메모리 카드인지, 재활용된 메모리 카드인지 여부를 카드 health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셋째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기재된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 도 3과 함께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부착된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참고로, 도 3(a)와 도 3(b)는 서로 다른 정보가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부착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서 볼 수 있듯이, 위에서부터 해당 메모리 카드의 생산 LOT No(L071489), 제품 번호(ID)(00517-V30-64GBSL A), 제조 시기(30190 -> 19년도 30주차), 제조국(MADE IN TAIWAN -> 대만 제조) 등의 정보가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프린팅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 볼 수 있듯이, 위에서부터 해당 메모리 카드의 제품 번호(ID)(MTSD064AHC6MS-1WT-BE21), 생산 LOT No(ME200203-06 -> 20년 2월3일), 제조 시기(05200 -> 20년 5주차), 제조국(MADE IN TAIWAN -> 대만 제조) 등의 정보가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프린팅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에 부착되는 정보는 고객사(ex 자동차 회사 등)의 요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컨트롤러의 F/W 정보, FLASH ID 정보(낸드 정보), CID(Card Identification) 정보, 용량, FAT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부착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CID 정보는 제조공장 번호(MID, Manufacturer ID), OEM/Application ID, 제품 이름(PNM, Product name), 제품 수정버전(PRV, Product revision), 제품 시리어 번호(PSN, Product serial number), 제품 제조일자(MDT, Manufacturing date) 등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도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일부 정보만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정보 중 일부가 상기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OCR(optical character reader) 등의 판독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부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OCR 이외의 다른 기기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에서 메모리 카드로부터 복수 개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는 방식 3가지에 대해서 각각 살펴보았다. 상기 방식 중 어느 한가지를 이용하여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지만, 조합을 통해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객사 등의 요청으로 인하여 제조사가 메모리 카드의 외부(주로, 후면에 프린팅 내지 각인)에 제품 제조일자, 제품 시리어 번호, 생산 LOT No 등을 기록할 수 있다(상기 제품 제조일자, 제품 시리어 번호 및 생산 LOT No 등은 메모리 카드의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도 기록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추적 시스템(100)은 판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 제조일자, 제품 시리어 번호 및 생산 LOT No 등을 인식할 수 있고, 컨트롤사의 지원을 받아 보드(프로그램) 등을 통해 나머지 식별 정보(F/W 정보, 나머지 CID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첫번째 방식 및 세번째 방식을 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시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다른 조합 방식(첫번째 방식 및 두번째 방식, 두번째 방식 및 세번째 방식, 첫번째 내지 세번째 방식)도 경우에 따라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적 시스템(100)의 제어 모듈(120)은 상기 획득한 복수 개의 식별 정보 각각을 복수 개의 식별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 이미지는 복수 개의 식별 정보가 변환된 무늬 또는 도형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제네시스'라는 단어를 도형 A 또는 무늬 A로 변환할 수 있고, '18년15주차'라는 단어를 도형 B 또는 무늬 B로 변환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식별 이미지는 2D 코드 또는 바코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2D 코드로는 QR 코드, 데이터 매트릭스, 맥시코드, PDF-417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추적 시스템(100)의 구현 모듈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식별 이미지 각각을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초기 메모리 카드 외부에 각인 또는 (스티커)부착하는 후공정 처리(식별 이미지를 포함시킴)를 수행하여 상기 식별 이미지가 포함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식별 이미지가 포함된 초기 메모리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아래에서는 초기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제1 메모리 카드라고 하고, 후공정 처리된 메모리 카드를 제2 메모리 카드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즉, 동일한 구조/성능을 가지는 메모리 카드에 대해, 식별 이미지의 유무에 따라 제1 메모리 카드 및 제2 메모리 카드로 구분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는 제1 메모리 카드 또는 제2 메모리 카드 모두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식별 이미지는 제1 메모리 카드(초기 메모리 카드)의 외부 자체에 각인되거나 또는 식별 이미지 스티커가 제1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레이져 각인기 또는 레이져 프린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제1 메모리 카드에 대해 짧은 시간에 대응하는 식별 이미지를 각각 각인 또는 부착시킬 수 있다.
다만, 스티커를 부착시키기 보다는 레이저 각인기 등을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각인 처리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는 정보의 왜곡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스티커를 부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가 발생할 수 있고, 승인 없이 스티커를 제거할 수도 있으며, 스티커가 지워질 수도 있고, 일일이 스티커로 부착하기에는 대량생산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식별 이미지는 대응하는 제1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각인 또는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식별 이미지는 식별 이미지 리더기를 통해 스캔될 수 있고 이후, 추적 시스템(100)이 상기 식별 이미지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식별 이미지 리더기는 식별 이미지(ex QR 코드 등)를 인식할 수 있는 단말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추적 프로세스는 단말 등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7과 함께 뒤에서 살펴보겠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이미지를 제1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각인 처리 또는 스티커 부착시켜 제2 메모리 카드를 획득하고자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카드에 불량이 발생하면 인식불량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만약 별도의 식별표시(각인 처리 또는 스티커 부착)를 가지고 고객사의 정보와 매칭시키는 행위가 없다면, 고객사 입장에서는 불량 메모리 카드에 대한 추적이 전혀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 코드 등의 식별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 카드의 외부에 나타내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추적 시스템(100)에 포함된 정보 추출 모듈에서 제1 메모리 카드로부터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하고, 추적 시스템(100)에 포함된 구현 모듈에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식별 이미지를 제1 메모리 카드 외부에 각인 또는 부착하였다. 즉, 통합시스템에 해당하는 추적 시스템(100)이 자체적으로 제1 메모리 카드로부터 후공정 처리를 통해 제2 메모리 카드(식별 이미지가 부착)를 획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위와 달리, 외부 시스템(ex 제조사의 시스템, 다른 외부 시스템 등)에서 제1 메모리 카드로부터 제2 메모리 카드(식별 이미지 포함)를 획득하고,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제2 메모리 카드 및 식별 정보들에 대한 기록 정보만을 전달받을 수 있다. 그 후,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제2 메모리 카드를 후술하는 차량과 매칭 작업을 수행하여 매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할 수도 있다. 즉, 추적 시스템(100)이 외부 시스템에서 후공정 처리된 제2 메모리 카드(식별 이미지가 부착) 및 관련 DB를 전달받고 이를 이용하여 추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메모리 카드(식별 이미지 포함) 각각은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제2 메모리 카드와 상기 차량은 서로 매칭되며, 매칭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제2 메모리 카드 각각의 식별 이미지와 복수 개의 차량 각각의 식별 코드가 서로 매칭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메모리 카드는 각각 매칭된 차량에 탑재되며, 복수 개의 매칭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차량의 식별 코드는 차량의 VIN 코드(차대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메모리 카드 A는 aa라는 VIN 코드를 가지는 차량과 매칭되고, 제2 메모리 카드 B는 bb라는 VIN 코드를 가지는 차량과 매칭되어, 서로 다른 제2 메모리 카드, 서로 다른 차량이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될 수 있다. 대개 매칭 작업은 상기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 및 상기 차량의 VIN 코드를 각각 스캔하고 매칭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OCR 등의 문자 인식을 통해 차량의 VIN 코드가 획득될 수도 있고, 상기 차량의 VIN 코드가 작업자의 단말에 직접 입력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와 차량의 식별 코드가 직접적으로만 매칭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와 전자 제품(ex AVN, 블랙박스 등) 또는 차량 부품의 식별 코드가 매칭되어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제품 및 상기 부품은 모두 이미 차량 내에 탑재되어 있거나, 어느 차량에 탑재될 지 결정된 상태에 해당할 것이다. 상기 전자 제품 및 부품은 특정 차량에 탑재(전자 제품과 차량의 매칭 정보, 부품과 차량의 매칭 정보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됨)되어 있으므로 결국 제2 메모리 카드와 차량이 매칭되는 결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국내에 판매될 때는 출고장(ex 용산) 또는 영업 사무소에서 식별 이미지 및 차량 VIN 코드의 매칭 작업이 작업자(출고장, 영업 사무소) 단말에 의해 이루어지고, 차량이 해외에 판매될 때는 PDI 장착장에서 식별 이미지 및 차량 VIN 코드의 매칭 작업이 작업자의 단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매칭 작업이 종료된 후, 추적 시스템(100)은 매칭 정보 등을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를 통해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위에서는 추적 시스템(100)이라는 통합 시스템을 통해서 상기 매칭 정보들을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물류 회사 등이 가지고 있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매칭 정보들이 기록될 수도 있다. 즉, 다른 물류 회사의 물류 시스템에서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 및 차량의 식별 코드 매칭 작업을 수행하고,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뒤에서 서술하는 트래킹 프로세스를 수행하면서 상기 물류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정보(ex 식별 이미지와 차량의 매칭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추적 시스템(100)은 '제1 메모리 카드로부터 제2 메모리 카드 제조 작업' '식별 이미지와 차량의 매칭 작업' '트래킹 프로세스' 모두를 수행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트래킹 프로세스'등 일부 만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매칭 작업이 이루어진 뒤 제2 메모리 카드 및 탑재된 차량의 트래킹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추적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트래킹 프로세스에 대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불량 메모리 카드가 탑재된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특정 차량에 탑재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부착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S21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적 시스템(100)과 연동된 단말에 의해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부착된 특정 식별 이미지가 스캔되고,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를 불량이라고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단말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이용될 수 있으며, 도 7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일반적으로, 불량이라고 신고된 메모리 카드가 실제로 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당히 긴 시간이 요구되는 작업으로서, 정밀한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추적 시스템(100)은 불량이라고 접수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대한 상기 정밀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조상의 에러에 해당하는지 또는 사용 상의 에러에 해당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기능 상의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때, 제조 상의 에러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불량 메모리 카드의 추적을 위해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부착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단순 사용 도중 사용자의 과실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른 메모리 카드의 불량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추적 시스템(100)은 동일 시기 또는 동일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제1 메모리 카드 중에서 소정 개수(ex 5개)(기준 개수) 이상이 제조 상의 에러라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불량 메모리 카드의 추적을 위해 특정 메모리 카드에 부착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고 추적을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추적 시스템(100)은 불량 메모리 카드라고 접수된 건들에 대해 제조 상의 에러인지를 먼저 판단하고, 제조상의 에러라고 판단된 메모리 카드들을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적 시스템(100)은 식별 이미지를 통해 제조 상의 에러가 존재하는 불량 메모리 카드들을 제조 시기별로 그룹핑할 수 있다. 특정 시기(ex 19년18주차)에 7개의 메모리 카드가 제조상 에러라고 판단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특정 시기에 생산된 메모리 카드들을 트래킹할 수 있을 것이다. 트래킹을 수행한 결과, 특정 시기에 생산된 메모리 카드 35000개 중 20000개는 물류 창고에 존재하고, 15000개는 차량에 탑재된 것으로 확인되어 상기 추적 시스템(100)이 각각의 차량을 추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물류 창고에 존재하는 20000개의 메모리 카드에 대해서는 출하 정지 명령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차량에 탑재되기 전에 판매를 위해 준비된 메모리 카드에 대해서는 판매 중지 명령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판매되어 차량에 탑재된 메모리 카드에 대해서는 리콜 명령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동일 시기 및 동일 제조 공장이라고 하더라도 단일 제품만이 불량이라고 판별될 수도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이 소정 개수 이상이 불량이라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해당 제품에 대해 트래킹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는 동일 제조 시기 또는 동일 제조 공장에 대해서만 서술하였지만, 설정에 따라서는 동일 라인, 동일 조(인원)가 생산한 메모리 카드 중에서 소정 개수 이상이 제조상의 불량이라고 판단되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정 메모리 카드가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 특정 메모리 카드와 동일 제조 시기 및 동일 제조 공장에 해당하는 불량가능 범위(ex 1만개)를 획득하고, 불량가능 범위 전체가 아닌 임의의 일부 그룹(ex 2000개)에 포함된 메모리 카드들에 대해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대개, 상기 임의의 일부 그룹은 아직 차량에 탑재되지 않고 창고 등에 보관된 메모리 카드에 해당할 것이다. 상기 임의의 일부 그룹에 포함된 메모리 카드들 중 소정 개수(ex 10개) 이상이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에 한하여,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불량가능 범위 전체에 포함된 소정 메모리 카드들을 트래킹하고, 이들에 대한 판매를 중지하거나 출하를 중지하여 이와 관련 명령 메시지를 단말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할 경우, 특정 메모리 카드가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이를 불량 제품이라고 데이터베이스 상에 기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특정 메모리 카드와 동일 제조 시기 및 동일 제조 공장에 해당하는 불량가능 범위 내 불량이라고 판별된 메모리 카드(상기 특정 메모리 카드 포함)의 숫자가 상기 소정 개수 이상인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불량가능 범위 전체에 포함된 소정 메모리 카드들을 트래킹하고, 이들에 대한 판매를 중지하거나 출하를 중지하여 이에 대한 명령 메시지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특정 메모리 카드가 불량이라고 하더라도, 동일 제조 시기 및 동일 제조 공장에서 제조된 다른 메모리 카드 대부분(불량 메모리 카드가 10개 미만)이 정상이라면 해당 범위를 불량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불량가능 범위일 뿐 불량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추적 시스템(100)은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가 포함하는 관련 정보는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CID 정보, Flash ID 정보, 컨트롤러의 F/W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결국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는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에서 식별 이미지만 추가된 것이므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은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과 동일할 것이다.
상기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 등의 정보를 획득한 후, 추적 시스템(100)은 이들을 기초로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와 대응하는 불량가능 범위를 도출(S220)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카드와 상기 제2 메모리 카드는 실질적으로 동일(식별 이미지 유무 차이)하므로, 상기 불량가능 범위는 제1 메모리 카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2 메모리 카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경우 모두 동일할 것이다.
참고로, 불량가능 범위 도출과 관련해서는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적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기저장된 복수의 제1 메모리 카드들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불량가능 범위를 도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적 시스템(100)은 정보 추출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메모리 카드들에 포함된 식별 정보(ex 제조 시기, 제조 공장 등)들을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한 상태이다. 이때, 불량 메모리 카드가 19년 20주차에 A 공장에서 생성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19년 20주차에 A 공장에서 생성된 메모리 카드 전체(불량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달리, 정보 추출 모듈이 아닌 외부 시스템에서 제1 메모리 카드로부터 제2 메모리 카드를 획득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불량가능 범위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적 시스템(100)이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 관련 정보만을 전달하면, 메모리 카드의 제조사 시스템으로부터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에 기초한 상기 불량가능 범위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제로, 고객사(자동차 회사)가 필요로 하면, 제조사에 대한 공정 감사를 통해 불량가능 범위를 확인할 수 있고, 제조사는 자체적으로 고객사 등의 추적성(불량가능 범위)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MES 추적성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추적 시스템(100)은 제조사의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불량가능 범위 도출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추적 시스템(100)에서 불량 메모리 카드가 19년 20주차에 A 공장에서 생성된 것을 확인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조사 시스템에 전달하고, 제조사로부터 19년 20주차에 A 공장에서 생성된 메모리 카드 전체(불량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조사의 MES 시스템이 추적 시스템(100)에 포함된 상태인 경우, 추적 시스템(100) 내부에서 불량가능 범위를 도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불량가능 범위는 경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제조 시기 측면에서는 월, 주, 일, 시로 구분할 수 있고, 제조 장소 측면에서는 제조 공장, 제조 라인, 제조 작업 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0년 9월 A공장의 a라인에서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불량가능 범위로 도출하거나, 2017년 10월 B공장의 b라인의 bb 작업 조에서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불량가능 범위로 도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제조 라인, 제조 작업 조 등의 추가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카드 제조사의 MES 시스템이 추적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연동된 상태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복수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S230)할 수 있다.
즉, 어느 단일 제품에 대해 불량이라고 판정된 경우, 불량가능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여 어느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메모리 카드와 차량이 매칭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전에도 말했지만, 매칭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100)는 상기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와 차량의 차대 번호의 매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와 차량의 차대 번호가 직접적으로 매칭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와 같이 메모리 카드와 차량 사이에 AVN, 블랙박스, 차량 부품 등을 추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가 AVN 내지 블랙박스 등과 매칭될 수 있다. AVN 및 블랙박스 역시 시리어 넘버 등 별도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므로, 해당 식별 코드와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를 매칭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AVN 및 블랙박스의 식별 코드와 상기 장치들이 탑재된 차량의 VIN 코드를 매칭할 수 있고, 추적 시스템(100)은 관련 매칭 정보들을 모두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결국,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와 차량의 VIN 코드가 서로 매칭될 수 있다.
추적 시스템(100)은 불량이라고 판정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의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특정 제조 시기 및 특정 제조 공장을 획득하고, 상기 특정 시기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특정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복수의 소정 제1 메모리 카드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할 수 있다.
특정 식별 이미지를 식별 이미지 리더기(단말 등)를 통해 스캔하면,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또는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의 CID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는데, 이에 특정 제조 시기 및 특정 제조 공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추적 시스템(100)은 특정 제조 시기 및 특정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소정 제1 메모리 카드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에 대해 트래킹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가 트래킹된 후, 추적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된 매칭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복수의 소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에 이미 기록되어 있으므로, 추적 시스템(100)에서는 불량 범위에 해당하는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확인한 후, 이와 매칭하는 차량들을 트래킹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추적 시스템(100)은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특정 제1 메모리 카드가 제조된 시기인 특정 주차 관련 정보(ex 20년10주차), 특정 메모리 카드가 제조된 특정 제조 공장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주차 동안 특정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복수의 소정 제1 메모리 카드의 개수(ex 1만개)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물론, 추적 시스템(100)이 제조사의 MES 시스템에 접근가능한 경우, 특정 생산라인, 특정 생산 조 등에서 생산된 복수의 소정 제1 메모리 카드의 개수도 획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해당 차량들을 확인한 후, 추적 시스템(100)은 해당 차량들에 탑재된 제2 메모리 카드에 대해 리콜 명령(판매 중지 명령, 출하 중지 명령 포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추적 프로세스를 통해 오토모티브 회사(고객사) 측면에서는 특정 메모리 카드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식별 이미지를 통해 즉각적으로 불량 범위 및 차량 추적이 가능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카드의 제조사 측면에서는 공급한 제품의 위치를 빠르게 파악 가능하고, 제품 개선에 대한 선제적인 대처가 가능하여 불필요한 손해배상 비용 청구를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카드의 수명을 예측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메모리 카드들은 수명이 무한한 것은 아니다. 낸드 플래시 특성상 읽고 쓰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수명도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저장 매체(메모리 카드)의 수명이 줄어들 때, 데이터가 손실될 위험성도 존재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의 해당 메모리 카드의 수명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추적 시스템(100)은 수명확인 모듈을 통해 각각의 메모리 카드의 수명을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읽고 쓰는 횟수(P/E Cycles, Program-Erase cycle)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 카드의 수명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전자기기(ex 블랙박스) 등에 포함된 메모리 카드의 수명을 확인하고자 하는 입력이 전달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수명확인 모듈을 통해 해당 메모리 카드의 예측된 수명을 확인해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전자기기(ex 블랙박스) 등에 포함된 메모리 카드의 수명이 임박한 것으로 차량 내 시스템이 확인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차량 내 통신 모듈로부터 이를 전달받을 수 있고 해당 메모리 카드의 예측된 수명을 확인해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추적 시스템(100)은 메모리 카드들의 수명 정보를 획득(외부 시스템으로부터 획득 또는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할 수 있고, 수명이 임박한 메모리 카드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소정 메모리 카드의 수명이 임박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소정 메모리 카드에 부착된 소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소정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소정 메모리 카드와 동일 시기 및 동일 공장에서 생산된 메모리 카드들에 해당하는 범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메모리 카드 각각을 트래킹하고, 매칭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차량의 사용자에게 메모리 카드의 수명 확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수명이 다하기 전에 메모리 카드의 수명을 미리 확인하고, 추적 시스템(100)이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냄으로써, 전자기기(ex 블랙박스 등)의 사용자는 데이터를 백업하는 등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메모리 카드는 기능상의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상의 에러는 대개 하드웨어(ex 블랙박스 등)와의 호환성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메모리 카드의 F/W 버전이 하드웨어와 매칭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의 경우, writing, erasing, reading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잦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F/W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하드웨어와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능상(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추적 시스템(100)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차종 A의 하드웨어에 대해서 메모리 카드의 F/W가 1.1 버전이 매칭되는 것을 확인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메모리 카드의 식별 정보(F/W 정보 등)와 차량 식별 코드의 매칭 정보를 통해 차종 A 중에서 F/W가 1.1버전이 아닌 것을 트래킹할 수 있다. 추적 시스템(100)은 F/W가 1.1 버전이 아닌 차종 A의 운전자들에게 업데이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추적 프로세스는 단말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과 함께 어플리케이션에 디스플레이되는 추적 프로세스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어플리케이션내 차량 매칭 과정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어플리케이션내 불량 제품을 확인한 경우 진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c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스캔하여 인식한 메모리 카드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제조사에서 이용하는 단말, 고객사에서 이용하는 단말, 출고장에서 이용하는 단말 등 프로세서 및 통신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기기(ex 휴대폰, 태블릿, PC 등)에서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7a의 경우, 차량 매칭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출고장(또는 영업 사무소) 직원은 단말을 이용하여 우선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단말에서 차량 매칭 버튼이 클릭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출고장(또는 영업 사무소) 직원으로 하여금 특정 차량의 차대번호(VIN 코드)를 스캔(또는 직접 입력, OCR 이용 등)하도록 하여 상기 제2 메모리 카드와 특정 차량을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매칭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출고일, 출고지, 보증기간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증기간은 출고일을 기반으로 자동적으로 계산되어 산출될 수 있다. 출고일이 2020년 10월 20일인 경우, 보증기간은 3년뒤인 2023년 10월 19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특정 차량과의 매칭 과정은 제2 메모리 카드의 출고에 해당하므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재고 물량 정보에서는 한 개가 줄어들고, 판매된 출고 물량 정보에서는 한 개가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도 7b에서 볼 수 있듯이, 불량이라고 판정된 제2 메모리 카드가 입고된 경우, 제조사 또는 고객 등은 단말을 이용하여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적 시스템(100)은 이미 제2 메모리 카드에 대한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 상태일 것이다.
단말에서 고품(불량제품) 입고 버튼이 클릭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불량이라고 판정된 제2 메모리 카드에 대한 사용 정보(ex 출고일, 접수처, 입고일, 보증기간 초과 여부, 접수증상, 차대번호(VIN 코드), 출고지 등) 및 식별 정보(ex 주차 정보, LOT 정보)를 단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추적 시스템(100)은 해당 제2 메모리 카드와 동일 주차정보(ex 18년 24주차) 및 동일 LOT 정보(ex 동일 생산 라인 등)에 해당하는 복수의 제2 메모리 카드(불량가능 범위에 해당) 중 불량 메모리 카드가 몇 개(도 7b에서는 6개)인지, 판매 중지 기준 값이 몇 개(도 7b에서는 5개)인지를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도 7b와 같이, 기준 값보다 누적된 불량 메모리 카드의 개수가 많은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해당하는 제2 메모리 카드들에 대한 판매를 중지하거나 출하를 중지할 수 있다.
도 7c에서는 단말에서 식별 이미지를 스캔하고, 상품 정보 버튼이 클릭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이미지가 스캔된 경우,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제2 메모리 카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단말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메모리 카드의 출고일, 출고지, 보증기간, 잔여 보증기간, 매칭된 차량 등에 대한 정보가 단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추적 시스템(100)은 상기 제2 메모리 카드의 식별 정보인 주차 정보, LOT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메모리 카드와 동일 주차 및 동일 LOT를 가지는 복수의 제2 메모리 카드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기 복수의 제2 메모리 카드들의 물량 정보(ex 10000개), 차량 등과 매칭되어 판매된 출고 물량 정보(ex 6000개), 창고 등에 보관되어 있는 재고 물량 정보(ex 4000개) 등이 단말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추적 시스템(100)은 제2 메모리 카드 관련 보증기간 내 교체 횟수, 복수의 제2 메모리 카드들에 대한 보증기간 초과 물량 통계 등을 단말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추적 시스템
110: 통신모듈
120: 제어모듈
130: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가 생산되었고,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에 식별 이미지를 포함시키는 후공정 처리가 수행되었으며, 상기 식별 이미지가 포함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 각각이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제1 메모리 카드라고 하고, 상기 후공정 처리된 메모리 카드를 제2 메모리 카드라고 할 때,
    (a) 특정 차량에 탑재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추적 시스템이,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포함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추적 시스템이,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와 대응하는 불량가능 범위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복수의 소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d)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중 소정 개수 이상이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추적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의 판매를 중지하거나 출하를 중지하는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특정 차량의 하드웨어와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의 F/W 버전이 매칭되지 않아 기능상의 에러가 발생하며, 상기 기능상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메모리 카드 각각의 식별 이미지와 복수 개의 차량 각각의 식별 코드가 서로 매칭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메모리 카드는 각각 매칭된 차량에 탑재되며, 상기 복수 개의 매칭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상태에서,
    상기 추적 시스템은,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특정 제조 시기 및 특정 제조 공장을 획득하고, 상기 특정 제조 시기에 해당하는 기간 동안 상기 특정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복수의 소정 제1 메모리 카드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매칭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상기 복수의 소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 시스템은,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가 제조된 시기인 특정 주차 관련 정보,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가 제조된 상기 특정 제조 공장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주차 동안 상기 특정 제조 공장에서 생산된 상기 복수의 소정 제1 메모리 카드의 개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모리 카드가 생산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모리 카드 각각의 제조 시기, 제조 공장, 제품 ID, 용량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식별 정보가 인식되고, 상기 인식된 복수 개의 식별 정보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식별 이미지로 변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식별 이미지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메모리 카드 외부에 하나씩 각인 또는 부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2 메모리 카드가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식별 이미지는 상기 복수 개의 식별 정보가 변환된 무늬 또는 도형을 포함하는 이미지에 해당하고, 상기 변환된 무늬 또는 도형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상기 단말을 통해 인식되는 경우 해당하는 식별 정보를 획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추적 시스템은, 불량이라고 접수된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제조 상의 에러에 해당하는지 또는 사용 상의 에러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제조 상의 에러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포함된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는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FLASH ID 정보, CID(Card Identification) 정보 및 컨트롤러의 F/W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가 생산되었고, 상기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에 식별 이미지를 포함시키는 후공정 처리가 수행되었으며, 상기 식별 이미지가 포함된 복수 개의 메모리 카드 각각이 서로 다른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생산된 메모리 카드를 제1 메모리 카드라고 하고, 상기 후공정 처리된 메모리 카드를 제2 메모리 카드라고 할 때,
    통신 모듈;
    데이터베이스; 및
    특정 차량에 탑재된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단말을 통해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에 포함된 특정 식별 이미지를 인식하고, 특정 제1 메모리 카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식별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의 제조 시기 및 제조 공장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특정 제1 메모리 카드와 대응하는 불량가능 범위를 획득하며,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고,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각각과 매칭하는 복수의 소정 차량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불량가능 범위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 중 기준 수치 이상이 불량이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복수의 소정 제2 메모리 카드의 판매를 중지하거나 출하를 중지하는 명령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특정 차량의 하드웨어와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의 F/W 버전이 매칭되지 않아 기능상의 에러가 발생하며, 상기 기능상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특정 제2 메모리 카드가 불량인 것으로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200177832A 2020-05-25 2020-12-17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KR102663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232 2020-05-25
KR20200062232 2020-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651A KR20210145651A (ko) 2021-12-02
KR102663200B1 true KR102663200B1 (ko) 2024-05-03

Family

ID=7886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832A KR102663200B1 (ko) 2020-05-25 2020-12-17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2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927B1 (ko) * 2017-11-13 2018-07-11 (주)아르텍 제품의 식별 추적이 용이한 공장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927B1 (ko) * 2017-11-13 2018-07-11 (주)아르텍 제품의 식별 추적이 용이한 공장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651A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71334A1 (en) Prognostics-Based Estimator
US80949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tory work logging
US20070164862A1 (en) Electroni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ainers and products
US8421600B2 (en) Utilizing an RFID tag in manufacturing for enhanced lifecycle management
US20070156543A1 (en) Spare parts inventory management
KR20040007706A (ko) 품질 관리 시스템, 품질 관리 방법, 및 품질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Langer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RFID on return center logistics
US7766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cking and communicating data storage device information using RF tags: operating condition, configuration and location
Bottani Reengineering, simulation and data analysis of an RFID system
JP2002334134A (ja) 自動車部品の管理システム
KR102663200B1 (ko) 식별 이미지가 부착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WO2014061455A1 (ja) 自動車生産ライン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CN101472468A (zh) 供应方拆卸及分析报告系统
CN111985943B (zh) 针对耗材的溯源防窜货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582530B1 (ko) 자동차 재사용부품 통합관리방법
JP2006338694A (ja) 受託充填生産における製造工程と物流工程との統合トレーサビリティシステム
KR102409761B1 (ko) 식별 이미지를 이용하여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트래킹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시스템
US20110106666A1 (en) Remanufactured part core return process and system
KR100862348B1 (ko) 무선 식별을 이용한 자동차 관리 방법과 이를 실현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1121651A1 (ja) 生産管理システム、かんばん発行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338512A (ja) 機械設備の保守システム
JP3886488B2 (ja) 適正修理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6323655A (ja) 誤欠品検査装置および誤欠品検査方法
JP2005339481A (ja) 受託充填生産における製造工程と物流工程との統合トレーサビリティシステム
JP2008265433A (ja) 組み付け部品登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