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897B1 -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897B1
KR102662897B1 KR1020210150335A KR20210150335A KR102662897B1 KR 102662897 B1 KR102662897 B1 KR 102662897B1 KR 1020210150335 A KR1020210150335 A KR 1020210150335A KR 20210150335 A KR20210150335 A KR 20210150335A KR 102662897 B1 KR102662897 B1 KR 10266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cps
safety level
procedur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4818A (ko
Inventor
강성곤
정연섭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0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08Man-machine interface, e.g. control room layo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G21D3/04Safety arrangements
    • G21D3/06Safety arrangements responsive to faults within the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안전등급 CPS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 및 상기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는 안전등급 QIAS-N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는, 상기 안전등급 QIAS-N(Qualified Indication and Alarm System-Non-safety) 네트워크와 비안전등급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비안전등급 CPS 서버로부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는, 상기 QIAS-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SAFETY-GRADE COMPUTERIZED PROCEDURE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에는 운전원들을 위한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CPS, Computerized Procedure System)이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CPS는 비안전등급으로서 분산제어시스템(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에 연계하여 필요한 운전정보를 절차내용과 함께 제공한다. 특히, APR1400 원자력발전소는 디지털 기반의 DCS를 적용하므로 DCS의 전체 고장을 대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DCS 및 CPS가 고장나는 경우 비안전등급 CPS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운전원들은 종이절차서를 사용하여 운전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물론, CPS 대신 종이절차서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인간공학 확인 및 검증 절차를 거치면서 운전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으나, 운전원들은 CPS를 이용하여 시스템상에서 체계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이 고장나는 경우 수행절차 내용을 잃어버릴 뿐만 아니라 원자력발전소의 복잡한 환경에서 종이절차서를 사용함에 따른 많은 정보를 기억해야 하는 부담이 가중된다.
특히, 비상운전절차서에는 계속수행단계(CAS, Continuous Applied Step)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운전원들은 CAS 절차를 기억한 후 비상운전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또한, CPS 고장을 대비하여 종이절차서를 별도로 관리해야 하므로 CPS 절차서 변경 시 종이절차서도 동일하게 변경해야 하는 등의 부담이 따른다.
APR1400 원자력발전소 이전의 원자력발전소에서는 CPS가 없었으므로 운전원들은 종이절차서만을 사용하여 다양한 운전을 수행하였으나 직무부하가 가중됨에 따라 인적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최신의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모두 CPS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비안전등급 CPS가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안전등급 CPS를 제공하여 안전성과 운전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8321호(2012.08.08.)
본 발명의 목적은 비안전등급 CPS 고장 시 운전원들이 비안전등급 CPS에서 수행하던 절차를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등급 CPS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CPS, Computerized Procedure System)은 안전등급 CPS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 및 상기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는 안전등급 QIAS-N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는, 상기 안전등급 QIAS-N(Qualified Indication and Alarm System-Non-safety) 네트워크와 비안전등급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비안전등급 CPS 서버로부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는, 상기 QIAS-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는 DCS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의 고장 신호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가 정상화된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 절차 수행 정보를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윈도우, 절차서 내의 모든 단계를 표시하는 제2 윈도우, 상기 모든 단계 중 계속수행단계 및 미완료단계를 표시하는 제3 윈도우, 상기 모든 단계 중 선택된 단계에 포함된 지시문을 표시하는 제4 윈도우, 및 상기 선택된 단계의 완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표시하는 제5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의 제2 서브세트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기술지원실에 위치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CPS에 따르면, 비안전등급 CPS 고장 시 운전원들이 비안전등급 CPS에서 수행하던 절차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단계들을 운전원들의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누락이나 불확실한 수행과 같은 인적 오류 없이 수행할 수 있으며, 운전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이절차서의 관리문제(절차 내용 변경 시 전산화절차서와 종이절차서를 각각 변경해서 유지, 관리해야 하는 부담)가 해소될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에서 절차서 수행 시 운전원들이 기억에 의존해야 하는 직무부하를 줄여 인적 실수(절차 수행 누락 및 불확실한 수행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운전원들은 SS(발전부장)가 진행하는 절차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으므로 SS의 지시에 따른 안전제어반에서의 기기 조작 및 상황 감시를 명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의사 소통의 오류 등 인적 오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비안전등급 CPS의 건전성을 감시하여 비안전등급 CPS 사용 불가 시 안전등급 CPS를 사용할 수 있어 운전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의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의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제어실의 가운데는 5명의 운전원(RO(Reactor Operator, 원자로운전원), TO(Turbine Operator, 터빈운전원), EO(Electrical Operator, 전력설비운전원), SS(Shift Supervisor, 발전부장), STA(Shift Technical Advisor, 안전차장))을 위한 운전원 콘솔이 있으며, 각 운전원은 4대의 DCS 기반의 Information FPD(Flat Panel Display)와 1 대의 사무용 컴퓨터를 사용한다. DCS 기반의 Information FPD가 모두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여 RO, TO 및 EO를 위한 안전제어반과 SS와 STA의 운전원 콘솔에는 2대의 QIAS-N(Qualified Indication and Alarm System-Non-safety) FPD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CPS, Computerized Procedure System)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는 SS와 STA의 운전원 콘솔의 맨 좌측과 3명의 운전원(RO, TO, EO)을 위하여 안전제어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평상시 5명의 운전원들이 비안전등급 CPS를 사용하여 운전을 수행하고 있으나 운전원 콘솔 내 DCS 기반의 컴퓨터(Information FPD)가 고장난 상황에서는 사용 불가하므로 이러한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한 QIAS-N 컴퓨터들과 안전제어반과 함께 5명의 운전원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각 운전원 콘솔과 안전제어반에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를 배치할 때 절차 내용을 보면서 운전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맨 좌측에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의 표시부(240)를 배치하고, 바로 우측에 QIAS-N 화면을 보면서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다. 안전에어반에서는 3명의 운전원(RO, TO, EO)이 서 있는 상태에서 절차를 수행하므로 안전제어반 좌측부터 순서대로 RO용, TO용, EO용으로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를 배치할 수 있다. 비상운전절차서(EOP, Emergency Operation Procedure) 수행 시에는 SS가 절차를 조작하므로 각 운전원은 절차 수행 단계를 확인하면서 필요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의 네트워크 연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안전등급 CPS 서버(100) 및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는 안전등급 QIAS-N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등급 QIAS-N 네트워크에는, 추가적으로, QIAS-N FPD(70a, 70b, 70c) 및 보호계통(60)이 연결될 수 있다. 안전등급 QIAS-N 네트워크는 게이트웨이(50)를 통해 비안전등급 DCS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으며, 비안전등급 DCS 네트워크에는 비안전등급 CPS(비안전등급 CPS 서버(11) 및 비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12)), Information FPD(20a, 20b, 20c), DCS(30) 및 경보 서버(4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 점선 박스로 표시된 비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12), Information FPD(20a, 20b, 20c)는 하나의 운전원 콘솔을 구성하며, 도 2에서는 하나의 운전원 콘솔만을 표시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운전원 콘솔이 있을 수 있다.
평상시 운전원들이 비안전등급 CPS를 사용하여 절차를 수행하게 되면 절차 수행 정보(예: 수행한 절차서 종류, 절차서 내의 단계 완료 여부 등)를 주기적으로 게이트웨이(50)를 통해 안전등급 CPS로 제공한다. DCS 서버는 비안전등급 CPS의 고장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가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비안전등급 CPS의 고장 신호 및 절차 수행 정보를 게이트웨이(50)를 통해 안전등급 CPS 서버(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운전원은 안전등급 CPS의 디렉토리 화면을 통해 비안전등급 CPS에서 수행되던 절차를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디렉토리 화면에는 여러 절차서들을 표시할 수 있으며, 수행 중이던 절차서는 별도의 표시를 통해 운전원이 바로 인지하여 해당 절차서를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의 표시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비안전등급 CPS(11, 12) 및 DCS 기반의 Information FPD(20a, 20b, 20c)가 다시 정상화되는 경우, 안전등급 CPS 서버(100)는 수행 중이던 절차 수행 정보를 게이트웨이(50)를 통해 비안전등급 CPS 서버(11)로 전송하여 수행 중이던 절차를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a)는 5명의 운전원을 위해 주제어실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b)는 기술지원실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는 안전등급 CPS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등급 CPS 서버(100) 및 상기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는 안전등급 QIAS-N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100)는 안전등급 QIAS-N 네트워크와 비안전등급 DCS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50)를 통해, 비안전등급 CPS 서버(11)로부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120)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S401).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는 비안전등급 CPS에서 수행되던 절차의 수행 정보로서, 예를 들어, 수행한 절차서 종류, 절차서 내의 단계 완료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QIAS-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120)로부터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부(220)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240)를 포함한다(S405).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11)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부(120)는 DCS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50)를 통해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11)의 고장 신호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403).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가 정상화된 경우, 상기 제1 통신부(120)는 상기 게이트웨이(50)를 통해 제2 절차 수행 정보를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11)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407). 상기 제2 절차 수행 정보는 안전등급 CPS에서 수행되던 절차의 수행 정보로서, 예를 들어, 수행한 절차서 종류, 절차서 내의 단계 완료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200)의 제2 서브세트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기술지원실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240)는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윈도우(510), 절차서 내의 모든 단계를 표시하는 제2 윈도우(520), 상기 모든 단계 중 계속수행단계 및 미완료단계를 표시하는 제3 윈도우(530), 상기 모든 단계 중 선택된 단계에 포함된 지시문을 표시하는 제4 윈도우(540), 및 상기 선택된 단계의 완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표시하는 제5 윈도우(550)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윈도우(510)는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의 상태를 "정상" 또는 "비정상"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윈도우(520)는 모든 단계를 표시하되 현재 수행 중인 단계를 다른 단계들과 상이한 색깔로 표시할 수 있으며, 스크롤 바를 통해 필요한 단계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윈도우(530)는 계속 수행 단계 또는 미완료단계를 모아서 표시하며, 이를 통해 운전원들은 계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단계들을 운전원들의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누락이나 불확실한 수행과 같은 인적 오류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윈도우(540)는 현재 수행 중인 지시문을 다른 지시문들과 상이한 색깔로 표시할 수 있으며, 트리 형태로 지시문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윈도우(550)는 "완료", "병행" 또는 "재수행"과 같은 버튼을 표시하여 운전원이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등급 CPS와 종래의 비안전등급 CPS를 비교하면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전등급 CPS 서버
120: 제1 통신부
140: 메모리
200: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
220: 제2 통신부
240: 표시부

Claims (5)

  1.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CPS, Computerized Procedure System)에 있어서,
    안전등급 CPS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 및 상기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는 안전등급 QIAS-N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는
    상기 안전등급 QIAS-N(Qualified Indication and Alarm System-Non-safety) 네트워크와 비안전등급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비안전등급 CPS 서버로부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소정의 주기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는,
    상기 QIAS-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부로부터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는 DCS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의 고장 신호 및 상기 제1 절차 수행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안전등급 CPS 서버가 정상화된 경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 절차 수행 정보를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안전등급 CPS 서버의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윈도우,
    절차서 내의 모든 단계를 표시하는 제2 윈도우,
    상기 모든 단계 중 계속수행단계 및 미완료단계를 표시하는 제3 윈도우,
    상기 모든 단계 중 선택된 단계에 포함된 지시문을 표시하는 제4 윈도우, 및
    상기 선택된 단계의 완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을 표시하는 제5 윈도우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의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주제어실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전등급 CPS 클라이언트의 제2 서브세트는 상기 원자력발전소의 기술지원실에 위치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KR1020210150335A 2021-11-04 2021-11-04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KR10266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35A KR102662897B1 (ko) 2021-11-04 2021-11-04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335A KR102662897B1 (ko) 2021-11-04 2021-11-04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18A KR20230064818A (ko) 2023-05-11
KR102662897B1 true KR102662897B1 (ko) 2024-05-03

Family

ID=8637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335A KR102662897B1 (ko) 2021-11-04 2021-11-04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8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965B1 (ko) 2011-01-31 2012-09-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절차서 전산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18A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7053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dicating device failover
CN1899774A (zh) 机器人系统以及机器人控制装置
JP5631098B2 (ja) 原子力プラントの運転監視装置
JP6139341B2 (ja) 安全系表示システム
KR102662897B1 (ko)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등급 전산화 절차서 시스템
US66649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ervising a processor within a distributed platform switch through graphical representations
EP3882924A1 (en) Failure downgrade running method and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control room
CN114255895A (zh) 核电站仪控系统
JPH0537980A (ja) プラント監視装置
CN209821633U (zh) 油田控制系统的CCR-FARs结构
JPH06250886A (ja) 計算機システムの遠隔監視方法及び遠隔計算機管理システム
CN109760814A (zh) 一种紧凑型布置的核动力主控室的操作方法
GB2531679A (en) Auxiliary control method for nuclear power plant operation,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CN211207987U (zh) 一种核电站主控系统
JP2002333917A (ja) 制御装置の状態表示方法
CN113299419B (zh) 核电厂操纵员控制盘台的切换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2016194738A (ja) 監視制御装置及び監視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2005114516A (ja) 原子力プラントの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KR101665535B1 (ko) 발전소 제어기기 조작화면 공유 시스템
JP2020187699A (ja) 監視支援装置および監視支援方法
JPH08106367A (ja) データ表示装置
JPH06127886A (ja) クレーン群の故障診断方法
JPS63167595A (ja) 二重化コミニユケ−タ
JPS62288904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H0727056B2 (ja) 原子力発電所用計装制御系保守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