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882B1 -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882B1
KR102662882B1 KR1020230090971A KR20230090971A KR102662882B1 KR 102662882 B1 KR102662882 B1 KR 102662882B1 KR 1020230090971 A KR1020230090971 A KR 1020230090971A KR 20230090971 A KR20230090971 A KR 20230090971A KR 102662882 B1 KR102662882 B1 KR 10266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hole
flow guide
main body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리
윤순관
석영숙
Original Assignee
(주)우리스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리스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우리스틸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90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이나 탄성을 갖는 부재로 석재가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다양한 각도의 사선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지진 발생에 의한 측방향 진동이나 기타 외력에 석재가 저항하는 것을 방지하고, 석재를 지지하는 조장판에 마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석재 및 석재가 시공되는 벽체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는, 시공물이 시공되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유동된 후, 자동으로 원위치 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유동유도부; 상기 유동유도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유동유도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유동될 수 있는 유동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를 공동으로 관통하여 일체화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각각 관통하며, 상기 유동유도부와, 상기 유동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허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허용홀은 상기 연결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Description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FLEXIBLE SEISMIC CONSTRUCTION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발생시 전달되는 진동방향에 대응되게 석재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석재에 전달되는 충격과 저항력을 감소할 수 있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이나 대형 건물 등의 각종 건축물의 벽면에는 건물의 외관 장식미, 외벽면 콘크리트층의 보호, 실내 벽면의 화려한 장식 등을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외벽 장식용 석재패널을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건물 벽체의 장식패널로서 적용되는 석재패널은 뒷면에 통상 보강재와 단열재가 일체 구조화되어 다양한 결속장치 및 부착방법을 통해 건물 벽면에 결합 고정되는데, 종래의 가장 보편적인 부착방법으로는 석재패널의 상,하측에 고정핀을 끼움 결합시키고 고정핀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시킨 고정부재에 조정판을 결합시켜 석재패널을 시공하였다.
건물의 외벽에 안정적으로 석재패널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하는 석재패널 장착용 앵커볼트 어셈블리는, 구멍에 삽입 장착되며 몸체와 나사봉 사이에 제어판이 구비된 앵커볼트와, 앵커볼트의 나사봉에 삽입시켜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직의 장공을 구비한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에 직각으로 연장 형성되며 근각볼트를 이용 하여 조정판을 연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수평부를 가진 ㄴ형 앵글부재, 앵글부재의 수평부에 근각볼트 의해 연결 장착되며 선단에 핀구멍을 가진 조정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벽면에 구멍을 뚫은 후 전술한 어셈블라를 통해 석재패널을 벽면에 시공하게 된다.
상기한 석재패널 장착용 앵커볼트 어셈블리로 건물의 벽면에 석재패널을 설치 시공하고자 할 때는, 먼저 건물의 외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 직경 소정 깊이의 구멍을 천공한 뒤, 구멍에 앵커볼트의 선단 관체를 삽입 고정시킨다.
이어서, 나사봉에 ㄴ형 앵글부재의 수직부에 형성된 장공을 끼운 상태에서 와셔붙이 너트, 또는 와셔와 너트를 체결한다.
이어서, 상기 ㄴ형 앵글부재의 수평부에 근각볼트를 이용하여 조정판을 고정시킨 뒤, 조정판 선단 핀구멍에 핀을 꽂아 석재패널을 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석재패널 장착용 앵커볼트 어셈블리는 내진기능이 없기 때문에 지진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1148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축성이나 탄성을 갖는 부재로 석재가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다양한 각도의 사선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지진 발생에 의한 측방향 진동이나 기타 외력에 석재가 저항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석재의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석재를 지지하는 조장판에 마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석재 및 석재가 시공되는 벽체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진동, 기타 외력이 소멸되었을 때 유동되었던 석재가 신속히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는, 시공물이 시공되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유동된 후, 자동으로 원위치 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유동유도부; 상기 유동유도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유동유도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유동될 수 있는 유동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를 공동으로 관통하여 일체화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각각 관통하며, 상기 유동유도부와, 상기 유동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허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허용홀은 상기 연결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보강립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부에 안착되고, 시공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유도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시공물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유동시킨 후, 탄성력으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유도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그 상면에 상기 지지부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유동부의 상면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유동부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는 안착립 및 상기 안착립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부가 보강립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에는 대상물에 설치되는 앙카가 관통하는 높낮이 조절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유동유도부와, 유동부 및 지지부에는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며 고정수단이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위치조절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에는 각각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유동허용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허용홀은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의 결합홀과 각각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유도부에는 상기 유동부의 결합홀에 각각 수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유동유도부의 결합홀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삽입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유동허용홀과, 상기 유동유도부의 결합홀과, 상기 삽입구의 연결홀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상기 유동허용홀보다 작고, 상기 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며, 본체부의 저면에 접촉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단은 프레싱 공정에 의해 그 면적이 확장되면서 상기 유동부의 상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유도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탄성돌기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시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의 외면에 씌워지고 시공물의 내부에 삽입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수용되는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되되, 원형단면 형상에서 프레싱 공정에 의해 면적이 확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서로 다른 시공물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2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편의 상면과 제2 고정편의 저면이 상기 시공물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되게 가이드 하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제1 고정편 및 제2 고정편에 각각 씌워지되, 상기 제1 고정편 및 제2 고정편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는, 신축성이나 탄성을 갖는 부재로 석재가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다양한 각도의 사선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여 지진 발생에 의한 측방향 진동이나 기타 외력에 석재가 저항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석재의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석재를 지지하는 조장판에 마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석재 및 석재가 시공되는 벽체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 기타 외력이 소멸되었을 때 유동되었던 석재가 신속히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에 적용된 유동유도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에 적용된 본체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에 적용된 유동유도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에 적용된 본체부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1)는, 대상물에 시공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마감할 수 있고, 벽체(W) 상에 설치된 석재(70)가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석재(70)에 지진에 의한 외력이나 기타 다양한 형태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석재(70)가 외력에 저항하지 아니하고 능동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석재(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때, 시공물은 석재(70)와 같은 외장재나 마감재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1)에서 시공물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것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시공물은 건축물의 벽체(W)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1)에서 대상물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것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시공물이 석재(70)로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1)는, 석재(70) 시공되는 벽체(W)에 고정되는 본체부(10), 본체부(10) 상에서 석재(70)를 지지하는 지지부(20), 본체부(10)와 지지부(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지지부(20)와, 지지부(20)에 지지된 석재(70)를 다각도로 유동시킬 수 있는 유동유도부(31)와 유동부(32) 및 본체부(1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를 일체화 시키면서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본체부(10) 상에서 이탈 없이 유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연결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벽체(W)에 고정된 상태에서 석재(7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수직부(11), 수평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11)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다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11)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앙카볼트(80)와 너트(90)가 설치되는 높낮이 조절홀(11a)이 형성된다.
즉, 벽체(W)에 앙카볼트(8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20b)을 형성한 다음, 수직부(11)의 높낮이 조절홀(11a)이 앙카공과 수평을 이루도록 수직부(11)를 벽체(W)에 접촉시킨 후, 앙카볼트(80)가 높낮이 조절홀(11a)을 관통하여 앙카공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수직부(11)의 외부로 돌출된 앙카볼트(80)에 와셔(100) 및 너트(90)를 체결하면 수직부(11)를 벽체(W)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높낮이 조절홀(11a)은 수직부(11)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으로, 앙카볼트(80)에 체결된 너트(90)를 느슨하게 풀어 본체부(1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평부(12)는 수직부(11)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로 인해, 본체부(10)는 'ㄴ'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부(11)를 벽체(W)에 고정하면 수평부(12)가 벽체(W)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수평부(12)의 저면에는 보강립(12c)이 형성된다.
보강립(12c)은 수평부(12)의 저면으로 엠보 형태로 돌출되어, 수평부(12)를 보강한다. 이러한 보강립(12c)으로 인해 수평부(12)가 석재의 하중에 의해 휨/변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석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유동부(32)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석재(7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부(20)는 벽체(W)에 설치되는 높이나 위치에 따라 석재(70)의 상면 또는 전면을 지지한다.
지지부(20)는 유동부(32)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석재(70)와 벽체(W)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판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부(20)의 양측에는 부가 보강립(미도시)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부가 보강립은 지지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져 지지부(20)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부가 보강립은 대략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보강립은 프레스기로 지지부(20)의 저면을 프레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지지부(20)의 전측 대략 중앙부분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고정홀(20b)이 형성된다.
고정홀(20b)에는 지지부(20)의 상면과 저면에 서로 다른 석재(7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50)이 관통 설치된다.
고정핀(50)은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측이 프레싱 공정에 의해 석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가공된다.
구체적으로, 고정핀(50)은 지지부(20)의 고정홀(20b)이 수용되는 센터부(51)와, 센터부(5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지지부(20)의 상,하 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 고정편(52) 및 제2 고정편(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고정편(52) 및 제2 고정편(53)은 센터부(51)가 고정홀(20b)에 수용된 이후에 프레싱 공정에 의해 원형단면 형상에서 납작한 형상으로 면적이 확장되어 지지부(2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지지되어 고정핀(50)이 지지부(20)에서 이탈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제1 고정편(52)은 지지부(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석재(W)의 홈(70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 고정편(53)은 지지부(20)의 하측에 위치되는 다른 석재의 홈(70a)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석재(70)가 지지부(20) 상에서 단독적으로 벽체(W)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 고정편(52)과 제2 고정편(53)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캡(140)이 각각 씌위진다.
제1 고정편(52)에 장착되는 캡(140)은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1 고정편(52)이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제2 고정편(53)에 장착되는 캡(14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제2 고정편(53)이 수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캡(140)은 제1 고정편(52) 및 제2 고정편(53)과 함께 석재(70)의 홈(70a)에 삽입된다.
이때, 제1 고정편(52) 및 제2 고정편(53)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지만 석재(70)의 내면에 접촉되지 아니하고, 캡(140)만 석재(70)의 내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고정핀(50)을 석재(70)의 홈(70a)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석재(70)가 고정핀(50)과의 마찰에 의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140)은 마찰계수가 우수하기 때문에 석재(70)의 홈(70a)에 삽입된 후 쉽게 빠지지 아니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편(52)은 석재(70)의 홈(70a)에 최초로 삽입되는 상면이 곡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고정편(53)은 석재(70)의 홈(70a)에 최초로 삽입되는 저면이 곡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고정편(52) 및 제2 고정편(53)은 그 폭 길이가 홈(70a)의 폭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고정편(52) 및 제2 고정편(53)의 곡선부분 폭 길이는 홈(70a)의 폭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캡(140)도 제1 고정편(52) 및 제2 고정편(53)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캡(140)의 곡선부분 폭 길이는 홈(70a)의 폭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편(52)과, 제2 고정편(53) 및 캡(140)의 형상적 특징을 통해 제1 고정편(52) 및 제2 고정편(53)을 석재(70)의 홈(70a)에 각각 원활하게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는 지지부(20) 및 지지부(20)의 상면과 저면에 지지된 석재(70)가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또는, 사선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유동유도부(31)는 수평부(12)의 상면에 안착되며, 후술되는 연결부(40)에 의해 고정된다.
유동유도부(31)는 후술되는 유동부(32)를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사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유동시킬 수 있도록 신축성 또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동유도부(31)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에서 유동유도부(31)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유동유도부(31)는 신축성 또는 탄성 재질을 갖기 때문에 수평부(12)의 상면에서 외력에 의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다양한 각도의 사선 방향으로 밀림 가능하다.
또한, 유동유도부(31)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유동부(32)가 결합되는 함몰홈(31c)이 형성된다.
함몰홈(31c)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2개의 변에 1개씩 형성되며, 총 2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유동유도부(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동유도부(31)는 4개로 적용되어, 수평부(12)의 각 모서리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유도부(31)는 신축성 또는 탄성 재질을 갖기 때문에 수평부(12)의 상면에서 외력에 의해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다양한 각도의 사선 방향으로 밀림 가능하다.
유동부(32)는 유동유도부(31)의 상면에 안착된다.
유동부(32)의 가장자리에는 유동유도부(31)에 밀착방식으로 결합되는 밀착부재(321)가 함몰홈(31c)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밀착부재(321)는 유동부(32)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거의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유동부(32)의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따라서, 밀착부재(321)는 함몰홈(31c)에서 유동유도부(3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밀착부재(321)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동부(32)의 횡방향 길이와 종방향 길이는 각각 유동유도부(31)의 횡방향 길이와 종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밀착부재(321)가 함몰홈(31c)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유동유도부(31)의 상면에 유동부(32)를 안착한 다음, 유동부(32)를 유동유도부(31) 방향으로 가압하면 밀착부재(321)가 유동유도부(31)의 함몰홈(31c)이 형성된 부분을 압축시키면서 하강된다. 결국, 밀착부재(321)는 함몰홈(31c)에 위치되며, 유동유도부(3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착부재(321)가 유동유도부(31)에 밀착되어 유동부(32)가 유동유도부(31)에 결합된다.
이때, 밀착부재(321)는 그 하단이 수평부(12)의 상면과 이격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유동부(32)가 유동시 수평부(12)와 마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일 예로, 유동부(32)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지지부(20)가 안착되는 안착립(32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립(322)의 양측에는 부가 보강립(32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보강립(323)은 안착립(322)과 동일하게 유동부(32)의 상측으로 돌출형성 된다.
안착립(322)과 부가 보강립(323)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가 보강립(323)은 엠보 형태로 돌출형성되어 유동부(32)를 보강한다. 이러한 부가 보강립(323)으로 인해 유동부(32)가 석재의 하중에 의해 휨/변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석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동부(32)는 전술한 안착립(322)이 생략된 구조로써, 그 상면과 저면이 평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32)의 상면을 평평하게 형성하는 경우, 안착립(322)이 형성된 구조보다 지지부(20)의 유동에 저항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안착립은 지지부와 후술되는 연결부(40)을 상,하 이격시킴으로써, 지지부(20)가 벽체(W)에 대해 간격조절 되기 위해 전진 또는 후진될 경우, 연결부(40)의 헤드부재(4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안착립(322)에는 유동부(32)가 유동될 경우 헤드부재(43)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홈(32c)이 형성된다.
홈(32c)은 헤드부재(43)의 일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는 연결부(40)과 홈(32c)이 각각 4개씩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홈(32c)은 안착립(322)을 상 방향에서 하 방향으로 프레싱하여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홈(32c)에 의해 헤드부재(43)가 안착립(322)과 접촉되지 아니하므로, 유동부(32)가 헤드부재(43)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헤드부재(43)의 일부분이 홈(32c)에 수용되게 된다.
이러한 유동부(32)는 유동유도부(31)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종 외력, 진동에 의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각도로 소정거리 밀림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수평부(12)의 중앙부분과 유동유도부(31)의 중앙부분과 안착립(322) 및 지지부(20)의 중앙부분에는 서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위치 조절홀(12a,31a,32a,20a)이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위치 조절홀(12a,31a,32a,20a)에는 고정수단이 위치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수단은 볼트(110), 와셔(100) 및 너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110)는 헤드가 수평부(12)의 저면에 접촉되고, 나선이 형성된 몸체는 수평부(12)의 위치 조절홀(12a)과 유동유도부(31)의 위치 조절홀(31a)과 유동부(32)의 위치 조절홀(32a) 및 지지부(20)의 위치 조절홀(20a)을 관통한다.
즉, 볼트(110)의 몸체는 위치 조절홀(12a,31a,32a,20a)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상측 일부분이 지지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와셔(100)는 지지부(20)의 상부로 돌출된 몸체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지지부(20)의 상면에 안착된다.
너트(120)는 지지부(20)의 상측으로 돌출된 몸체의 외주연에 체결되면서 와셔(100)를 가압하여 지지부(20)의 상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지지부(20)를 수평부(12)에 고정시킨다.
이때, 수평부(12)의 위치 조절홀(12a)과 유동유도부(31)의 위치 조절홀(31a)과 유동부(32)의 안착립(322)의 위치 조절홀(32a) 및 지지부(20)의 위치 조절홀(20a)은 장방향으로 형성됨으로, 볼트(11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또는, 지지부(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석재(70)와 벽체(W)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평부(12)에는 위치 조절홀(12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복수개의 유동허용홀(12b)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유동유도부(31)에는 수평부(12)의 유동허용홀(12b)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결합홀(31b)이 형성되며, 유동부(32)에는 수평부(12)의 유동허용홀(12b) 및 유동유도부(31)의 결합홀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결합홀이 형성되어 유동유도부 및 유동부는 연결부(40)을 통해 수평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유동유도부(31)의 결합홀(31b) 및 유동부(32)의 결합홀(32b)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유동허용홀(12b)은 결합홀(31b,32b)들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유동허용홀(12b)은 후술되는 연결부(40)가 관통하며,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의 유동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유동허용홀(12b)은 연결부(4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연결부(40)는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된다.
유동허용홀(12b) 및 연결부(40)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전술한 위치 조절홀(12a,31a,32a,20a) 및 유동허용홀(12b)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는 각각 4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전술한 유동유도부(3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삽입구(311)가 형성된다.
삽입구(311)는 유동부(32)의 결합홀(32b)에 각각 수용된다.
이때, 삽입구(311)는 유동부(32)의 결합홀(32b)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동부(32)의 결합홀(32b)에 수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삽입구(311)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연결홀(311a)이 형성된다.
연결홀(311a)은 유동유도부(31)의 결합홀(31b)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홀(311a)에는 연결부(40)의 일정영역이 수용된다.
삽입구(311)는 유동유도부(31)와 동일하게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유동부(32)가 외력에 의해 어느 일방향으로 유동되었을 때, 유동부(32)의 유동방향으로 휘어지고, 외력이 소멸되면 자체 탄성력으로 유동부(32)를 원위치 시킨다. 아울러 삽입구(311)는 자체 탄성력을 통해 외력을 흡수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부가적으로, 수평부(12)의 상면에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수용홈(12d)이 형성되고, 유동유도부(31)의 저면에는 수용홈(12d)에 각각 수용되는 탄성돌기(312)가 형성된다.
탄성돌기(312)는 유동유도부(31)와 동일하게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탄성돌기(312)는 유동유도부(31)가 외력에 의해 어느 일방향으로 유동되었을 때 유동유도부(31)의 유동방향으로 휘어지고, 외력이 소멸되면 자체 탄성력으로 유동유도부(31)를 원위치 시킨다.
한편, 연결부(40)는 본체부(1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를 공동으로 관통하여 일체화 시키면서 수평부(12) 상에서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이탈되지 않고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유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연결부(40)는 제1 부재(41)와, 제2 부재(42) 및 헤드부재 (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41)는 본체부(10)의 유동허용홀(12b)과, 유동유도부(31)의 결합홀(31b) 및 삽입구(311)의 연결홀(311a)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유동허용홀(12b)보다 작고, 결합홀(31b,32b) 및 연결홀(311a)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 부재(42)는 제1 부재(4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유동허용홀(12b)과, 유동부유도부(31)의 결합홀(31b)과, 삽입구(311)의 연결홀(311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유동부(3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2 부재(42)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부재의 상단은 프레싱 공정에 의해 그 직경이 확장되어 유동부의 상면에 지지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예로 유동부(32)의 결합홀(32b)은 그 직경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접시머리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결합홀(32b)의 내주연에는 제2 부재(42)를 지지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홀(32b)을 접시머리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결합홀(32b)의 내주연에 단턱을 형성하는 경우, 제2 부재(42)를 은닉시킴으로써, 제2 부재가 유동부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부(20)의 저면과 접촉되어, 저항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부재(43)는 제1 부재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유동허용홀(12b)보다 큭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수평부(12)의 저면에 접촉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1)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석재(70)를 건축물의 벽체(W)에 설치하고 위해, 드릴 등의 천공장치로 벽체(W)에 앙카공을 형성한 다음, 수직부(11)의 높낮이 조절홀(11a)이 앙카공에 일치하도록 벽체(W)에 밀착시킨 후, 앙카볼트(80)를 앙카공에 삽입한다.
이후, 와셔(100)에 앙카볼트(80)가 관통하도록 하면서 와셔(100)를 수직부(11)에 접촉시킨 후, 앙카볼트(80)에 너트(9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은 경우, 너트(90)가 와셔(100)를 가압하여 수직부(11)에 와셔(100)를 밀착시키게 되어 본체부(10)를 벽체(W)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볼트(110), 너트(120), 와셔(130)를 통해 지지부(20)를 안착립(322)에 결합한다.
이후에, 지지부(20)의 상면에 석재(70)를 안착하되, 석재(70)의 하면에 형성된 홈(70a)에 제1 고정편(52)을 삽입함으로써, 석재(70)가 지지부(2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와 같이 지지부(20)의 상면에 고정된 석재(70)의 상측에 전술한 방식으로 새로운 내진용 건축 석재 고정장치(1)를 설치하여 석재(70)의 상측도 고정시킨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재(70)의 상측에 위치된 다른 지지부(20)의 저면이 석재(7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해당 지지부(20)에 고정된 제2 고정편(53)을 석재(70)의 상면에 형성된 홈(70a)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된다.
따라서, 하나의 석재(70)가 상,하부에 위치된 한 쌍의 내진용 건축 석재 고정장치(1)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건축물의 벽체(W)에 다수개의 내진용 건축 석재 고정장치(1)를 수직,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석재(70)를 다단으로 시공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1)로 석재(70)를 벽체(W)에 고정하면, 유동유도부(31)는 신축성과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동유도부(31)의 상면에 결합된 유동부(32)는 다양한 방향이나 각도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제1 부재(41)가 유동허용홀(12b)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공동으로 다양한 방향이나 각도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도 내지 360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전측 방향(180도 방향), 후측 방향(360도 방향), 좌측 방향(270도 방향), 우측 방향(90도) 방향, 좌측 전방 방향(225도 방향), 우측 전방 방향(135도 방향), 좌측 후방 방향(315도 방향), 우측 후방 방향(45도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지진 발생, 기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석재(70)에 진동이나 외력이 인가될 경우,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는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유동되고, 이로 인해 지지부(20) 및 이에 지지된 석재(70)도 함께 유동된다.
이때, 외력의 세기에 따라 유동부(32)만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유동되거나 또는,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함께 유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진 발생에 의한 진동이나 기타 외력이 180도 방향에서 석재(70)에 가해질 경우, 유동부(32)는 유동유도부(31)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360도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이로 인해 지지부(20) 및 지지부(20)에 고정된 석재(70)도 유동부(32)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때, 외력의 세기에 따라,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함께 유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동부(32)만 유동되는 경우, 삽입구는 유동부(32)의 유동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외력이 소멸될 경우 자체 탄성력을 통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유동부(32)를 자동으로 원위치 시키게 된다.
또한,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함께 유동되는 경우, 탄성돌기(312)가 휘어지면서 유동유도부(31)의 유동을 허용하게 되며, 외력이 소멸될 경우 탄성돌기가 자체 탄성력을 통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유동유도부(31)와, 유동부(32) 및 연결부(40)를 자동으로 원위치 시키게 된다.
물론, 90도 방향에서 석재(70)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유동부(32) 또는,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함께 270도 방향으로 유동되고, 135도 방향에서 석재(70)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유동부(32) 또는,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함께 315도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45도 방향에서 석재(70)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유동부(32) 또는 유동부(32) 또는, 연결부(40)와, 유동유도부(31) 및 유동부(32)가 함께 225도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1)는, 석재(70)를 다각도로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에서 석재(70)에 진동이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석재(70)가 진동이나 외력에 저항하지 아니하고 소정거리 이동하면서 진동이나 외력을 완화시키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석재(70)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고, 석재(70)가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석재(7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는, 지진으로부터 석재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진이 많이 발생되는 지역에 시공되는 건축물에 적용될 경우, 건축물의 품질을 보장해줄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 역시 도1 내지 도6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지만 유동허용홀의 위치가 상이하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도1 내지 도6의 실시예 대비 유동부(32)에 결합홀(32b) 대신 유동허용홀(32c)이 형성되고, 수평부(12)에 유동허용홀(12b) 대신 결합홀(12d)이 형성되며, 연결부(40)의 제1 부재(41)가 유동부(32)의 유동허용홀(32c)과, 삽입구(311)의 연결홀(311a)과, 유동유도부(31)의 결합홀(31c) 및 수평부(12)의 결합홀(12d)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헤드부재(43)가 유동부(32)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동허용홀(32c)은 제1 부재(4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삽입구(311)의 연결홀(311a)과, 유동유도부(31)의 결합홀(31c) 및 수평부(12)의 결합홀(12d)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유동허용홀(32c)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진 발생, 기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석재(70)에 진동이나 외력이 인가될 경우 유동부(32)는 해당 방향으로 유동되고, 이로 인해 지지부(20) 및 이에 지지된 석재(70)도 함께 유동됨으로, 석재(70)가 진동이나 외력에 저항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석재(70)에 가해지는 진동, 외력, 충격 등을 완화시킬 수 있고, 석재(7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석재(7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10 : 본체부
11 : 수직부 11a : 높낮이 조절홀
12 : 수평부 12a,20a,31a,32a : 위치 조절홀
12b,32c : 유동허용홀 12c : 보강립
12d : 수용홈 20 : 지지부
20b : 고정홀 31 : 유동유도부
311 : 삽입구 311a : 연결홀
312 : 탄성돌기 12d,31b,32b : 결합홀
31c : 함몰홈 32 : 유동부
321 : 밀착부재 322 : 안착립
323 : 부가 보강립 40 : 연결부
41 : 제1 부재 42 : 제2 부재
43 : 헤드부재 50 : 고정핀
51 : 센터부 52 : 제1 고정편
53 : 제2 고정편 70 : 석재
70a : 홈 80 : 앙카볼트
90,120 : 너트 100,130 : 와셔
110 : 볼트

Claims (11)

  1. 시공물이 시공되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유동된 후, 자동으로 원위치 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유동유도부;
    상기 유동유도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유동유도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유동될 수 있는 유동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를 공동으로 관통하여 일체화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각각 관통하며, 상기 유동유도부와, 상기 유동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허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유도부는 상기 유동부의 결합홀에 각각 수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유동유도부의 결합홀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삽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허용홀은 상기 연결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되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2. 시공물이 시공되는 대상물에 고정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서 외력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유동된 후, 자동으로 원위치 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유동유도부;
    상기 유동유도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유동유도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유동될 수 있는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와, 유동유도부 및 본체부를 공동으로 관통하여 일체화 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에는 상기 연결부가 각각 관통하며, 상기 유동부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허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유도부는 상기 유동부의 결합홀에 각각 수용되며, 그 내부에 상기 유동유도부의 결합홀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정영역이 수용되는 연결홀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삽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허용홀은 상기 연결부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유도부 상에서 유동될 수 있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는 보강립이 형성되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에 안착되고, 시공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유도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시공물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유동시킨 후, 탄성력으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부는 상기 유동유도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부재를 포함하며, 그 상면에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의 상면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유동부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지지부가 안착되는 안착립 및 상기 안착립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부가 보강립이 돌출 형성되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에는 각각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유동허용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동허용홀은 상기 유동유도부 및 상기 유동부의 결합홀과 각각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유동허용홀과, 상기 유동유도부의 결합홀과, 상기 삽입구의 연결홀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상기 유동허용홀보다 작고, 상기 결합홀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며, 본체부의 저면에 접촉되는 헤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의 상단은 프레싱 공정에 의해 그 면적이 확장되면서 상기 유동부의 상면에 지지되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유도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탄성돌기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상기 시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의 외면에 씌워지고 시공물의 내부에 삽입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수용되는 센터부; 및
    상기 센터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되되, 원형단면 형상에서 프레싱 공정에 의해 면적이 확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지지된 상태로 서로 다른 시공물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2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편의 상면과 제2 고정편의 저면이 상기 시공물의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되게 가이드 하도록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제1 고정편 및 제2 고정편에 각각 씌워지되, 상기 제1 고정편 및 제2 고정편과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KR1020230090971A 2023-07-13 2023-07-13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KR10266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971A KR102662882B1 (ko) 2023-07-13 2023-07-13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971A KR102662882B1 (ko) 2023-07-13 2023-07-13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2882B1 true KR102662882B1 (ko) 2024-05-03

Family

ID=9107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971A KR102662882B1 (ko) 2023-07-13 2023-07-13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28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1B1 (ko) 2012-03-21 2012-12-12 백승기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102038657B1 (ko) * 2019-04-29 2019-10-30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노출바형 커튼월
KR102230607B1 (ko) * 2020-09-10 2021-03-24 주식회사 두리파워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81B1 (ko) 2012-03-21 2012-12-12 백승기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102038657B1 (ko) * 2019-04-29 2019-10-30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지진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진 노출바형 커튼월
KR102230607B1 (ko) * 2020-09-10 2021-03-24 주식회사 두리파워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38972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CN114165014A (zh) 耐震型石材固定装置
KR20210093190A (ko) 면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붕구조물
KR102662882B1 (ko) 유동형 내진성 시공물 고정장치
KR102184096B1 (ko)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KR200399606Y1 (ko) 건축구조물의 층간 차음장치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20210041406A (ko) 방수 구조 시공 방법
KR20170118455A (ko) 데크 조립장치
KR101868944B1 (ko) 건물 외벽 마감용 마감패널 고정장치
KR200299579Y1 (ko) 악세스 플로어패널의 엣지 보강구조
KR20100128579A (ko) 건축마감재 설치용 고정장치
KR102576034B1 (ko) 외벽 패널 조립 구조
CN109736429B (zh) 一种建筑抗震防倒塌结构
KR200492672Y1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KR102614989B1 (ko)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JP5202904B2 (ja) 壁面構造
KR20190140714A (ko) 외장패널 고정구
KR20170004710A (ko) 목재 사이딩 고정 클립
KR102291868B1 (ko) 내진 외단열 앵커
KR20060059620A (ko) 경사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2666084B1 (ko) 내진용 외장패널 조립체
JP5026996B2 (ja) 床支持具、床構造、及び、床設置方法
CA2079607A1 (en) Floor panel and device for connecting floor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