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989B1 -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989B1
KR102614989B1 KR1020230121398A KR20230121398A KR102614989B1 KR 102614989 B1 KR102614989 B1 KR 102614989B1 KR 1020230121398 A KR1020230121398 A KR 1020230121398A KR 20230121398 A KR20230121398 A KR 20230121398A KR 102614989 B1 KR102614989 B1 KR 10261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upport
main body
fix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객
Priority to KR1020230121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47F5/0838Rails or bars; Article supports therefor, e.g. brackets being slidably attached on the outsid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벽면형 전시구조물은 결합본체부, 상단결합마감부, 하단결합부 및 결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결합지지본체부, 결합지지안착부 및 결합지지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지지본체부는 결합지지수직부 및 결합지지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안착부는 상기 결합지지수직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 및 상기 결합지지이동부에 의해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1결합지지안착부,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에 의해 상기 제1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2결합지지안착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에 의해 상기 제2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3결합지지안착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에 의해 상기 제3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4결합지지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크기의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으며, 전시물이 전시될 때 전시물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Wall type exhibition structur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본 발명은 프로파일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편리성 및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수의 상품 판매 매장, 기업의 홍보공간, 기업의 휴식공간 및 전시장 등에서 디스플레이 월(Display Wall)이라고 불리는 벽면형 전시구조물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벽면형 전시구조물은 인쇄물, 그래픽 및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시물이 전시될 수 있다. 또한, 벽면형 전시구몰의 경우 전체적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벽면과 전시물의 전체적인 조화를 통해 보는 사람에게 훌륭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벽면형 전시구조물은 인쇄물, 그래픽 및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시물의 크기(면적)가 일정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만 전시가 가능해 전시물의 크기를 구조물에 맞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인쇄물, 그래픽 및 디스플레이 등 전시물의 종류에 따라 전시물의 두께가 달라지나 전시물이 안착되는 부분의 공간이 제작 당시 결정되어 전시물의 두께에 따라 전시구조물를 새롭게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기존의 벽면형 전시구조물은 여러 명의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등 작업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설치되는 전시물의 종류나 크기(면적), 두께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는 벽면형 전시구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적은 작업자만으로도 설치가 용이하고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벽면형 전시구조물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306772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시물의 다양한 크기(면적)에 맞추어 설치될 수 있는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시물의 다양한 두께에 맞추어 설치될 수 있는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수의 작업자를 통해 설치가 가능한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벽면형 전시구조물은 결합지지부가 결합본체부를 따라 결합위치가 가변되어 다양한 크기의 전시물을 전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벽면에 결합되는 결합본체부, 상기 결합본체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상단결합마감부, 상기 결합본체부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하단결합마감부 및 상기 상단결합마감부와 상기 하단결합마감부 사이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되며, 상기 결합본체부와 결합위치가 가변되는 결합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결합본체부를 마주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지지본체부,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시물이 안착되는 결합지지안착부 및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합지지안착부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결합지지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지지본체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지지수직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와 직교하여 배치되며, 상기 결합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지지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지지안착부는 상기 결합지지수직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 및 상기 결합지지이동부에 의해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1결합지지안착부,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에 의해 상기 제1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2결합지지안착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에 의해 상기 제2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3결합지지안착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에 의해 상기 제3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4결합지지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결합마감부는 상기 결합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상단마감본체부, 상기 상단마감본체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상단마감안착부 및 상기 상단마감본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단마감안착부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상단마감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마감본체부는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상단마감수평부 및 상기 상단마감수평부의 중앙에서 상기 하단결합마감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단마감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결합마감부는 상기 결합본체부의 하단부와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하단마감본체부, 상기 하단마감본체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하단마감안착부 및 상기 하단마감본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단마감안착부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하단마감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마감본체부는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하단마감수평부 및 상기 하단마감수평부의 중앙에서 상기 상단결합마감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단마감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와 상기 결합본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지지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지지고정부는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를 마주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결합고정본체부, 상기 결합고정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가 삽입되는 결합고정수용부 및 상기 결합고정본체부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본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결합본체부에 삽입되는 결합고정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고정부는 상기 결합고정돌출부가 상기 결합고정수용부에 삽입 가능하여, 개수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안착부의 전후방 배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본체부와 상기 결합지지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본체부와 상기 결합지지고정부를 고정하는 결합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결부는 상기 결합고정돌출부의 상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상부결합체결부 및 상기 상부결합체결부와 이격되며, 상기 결합고정돌출부의 하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하부결합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결합체결부는 상기 결합고정돌출부의 상부 및 상기 결합본체부와 함께 체결부재로 고정되며, 상기 하부결합체결부는 상기 결합고정돌출부의 하부 및 상기 결합본체부와 함께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지지이동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와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지지이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지지본체부는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결합위치고정부가 삽입고정되는 결합수평수용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결합위치고정부가 삽입고정되는 결합수직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위치고정부는 상기 결합지지수직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에 안착되는 결합위치본체부, 상기 결합위치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평수용부에 삽입되는 결합수평삽입부, 상기 결합위치본체부의 타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직수용부에 삽입되는 결합수직삽입부, 상기 결합위치본체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결합위치탄성부 및 상기 결합위치탄성부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지지이동부를 마주하는 결합위치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위치고정부는 상기 결합위치접촉부의 전면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위치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위치접촉부와 상기 결합위치돌기부는 상기 결합위치본체부 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평수용부와 상기 결합수직수용부는 소정길이로 확보되며,
상기 결합위치고정부는 상기 결합수평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수평삽입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평위치보조부 및 상기 결합수직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수직삽입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직위치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위치보조부와 상기 수직위치보조부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벽면형 전시구조물의 설치방법은 상기 결합본체부를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단계, 상기 결합본체부의 상단부 및 상기 벽면에 상기 상단결합마감부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단계, 상기 결합본체부의 하단부 및 상기 벽면에 상기 하단결합마감부를 고정시키는 제3고정단계, 상기 결합본체부의 내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지지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및 위치가 설정된 상기 결합지지부를 고정하는 제4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시물의 다양한 크기(면적)에 맞추어 설치될 수 있는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시물의 다양한 두께에 맞추어 설치될 수 있는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수의 작업자를 통해 설치가 가능한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이 제거된 벽면형 전시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본체부, 결합지지부 및 결합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결합마감부 및 하단결합마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지지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마감고정부 및 하단마감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위치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전시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물이 제거된 벽면형 전시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전시구조물(S)은 결합본체부(1), 상단결합마감부(2), 하단결합마감부(3) 및 결합지지부(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본체부(1)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본체부(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벽면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 될 수 있다.
결합본체부(1)는 벽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단결합마감부(2), 하단결합마감부(3) 및 결합지지부(4)가 결합되어 상단결합마감부(2), 하단결합마감부(3) 및 결합지지부(4)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단결합마감부(2), 하단결합마감부(3) 및 결합지지부(4)에 안착되는 전시물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단결합마감부(2)는 결합본체부(1)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단결합마감부(2)는 결합본체부(1)의 상단부와 벽면의 함몰면과 외측 벽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하단결합마감부(3)는 결합본체부(1)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단결합마감부(3)는 결합본체부(1)의 하단부와 벽면의 함몰면과 외측 벽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함께 결합되어 고정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상단결합마감부(2)와 하단결합마감부(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복수 개의 결합본체부(1) 각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결합지지부(4)는 상단결합마감부(2)와 하단결합마감부(3) 사이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되며, 결합본체부(1)와 결합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즉, 결합본체부(1)는 결합지지부(4)를 마주하는 일면이 내측으로 만입되어 결합지지부(4)의 후단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지지부(4)는 결합본체부(1)를 따라 이동가능하여 전시물의 크기에 따라 결합위치가 가변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본체부, 결합지지부 및 결합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결합본체부와 결합지지부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결합지지본체부와 결합지지고정부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결합체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지지부(4)는 결합지지본체부(41), 결합지지안착부(43) 및 결합지지이동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지지본체부(41)는 결합본체부(1)를 마주하며 결합본체부(1)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결합지지본체부(41)는 결합지지부(4)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후단부가 직접 결합본체부(1)에 결합되거나 후술할 결합지지고정부(47)에 결합된 상태로 결합본체부(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지지안착부(43)는 결합지지본체부(41)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다. 즉, 결합지지안착부(43)는 복수 개의 결합지지부(4)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지지구조로 전시물을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결합지지안착부(43)는 결합지지본체부(41)와 결합지지이동부(45)의 결합에 의해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결합지지이동부(45)는 결합지지본체부(41)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결합지지안착부(43)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전시물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결합지지이동부(45)는 전시물의 두께에 따라 결합지지본체부(41)를 따라 이동 가능하여 효과적으로 전시물을 지지하면서, 사용편리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결합지지본체부(41)는 결합지지수직부(413) 및 결합지지수평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지지수직부(41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본체부(1)에 결합될 수 있고, 결합지지수평부(411)는 결합지지수직부(413)와 직교하여 배치되며, 결합본체부(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지지수직부(413)와 결합지지수평부(411)는 결합본체부(1)에 직접 결합되거나 후술할 결합지지고정부(47)에 고정되어 결합본체부(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지지수직부(413)와 결합지지수평부(411)는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한 해석되거나 제외하고 권리범위를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결합지지안착부(43)는 제1결합지지안착부(431), 제2결합지지안착부(433), 제3결합지지안착부(435) 및 제4결합지지안착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지지안착부(431)는 결합지지수직부(413), 결합지지수평부(411) 및 결합지지이동부(45)에 의해 결합지지본체부(4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지지안착부(433)는 결합지지수직부(413)에 의해 제1결합지지안착부(431)와 구분되며,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고, 제3결합지지안착부(435)는 결합지지수평부(411)에 의해 제2결합지지안착부(433)와 구분되며,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4결합지지안착부(437)는 결합지지수직부(413)에 의해 제3결합지지안착부(435)와 구분되며,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다.
제1결합지지안착부(431), 제2결합지지안착부(433), 제3결합지지안착부(435) 및 제4결합지지안착부(437)는 결합지지수직부(413)와 결합지지수평부(411)가 직교하고, 결합지지이동부(45)가 후방을 차폐함에 따라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고, 결합지지수직부(413), 결합지지수평부(411)의 너비와 결합지지이동부(45)의 결합 위치에 따라 부피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결합마감부 및 하단결합마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는 상단결합마감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는 하단결합마감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결합마감부(2)는 상단마감본체부(21), 상단마감안착부(23) 및 상단마감이동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마감본체부(21)는 결합본체부(1)의 상단부와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단마감본체부(21)는 결합본체부(1)의 상단부와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단마감본체부(21)는 결합본체부(1)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벽면에는 결합부재 또는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단마감안착부(23)는 상단마감본체부(21)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다. 즉, 상단마감안착부(23)는 상단마감본체부(21)와 상단마감이동부(25)의 결합에 의해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단마감이동부(25)는 상단마감본체부(21)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단마감안착부(23)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전시물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단마감안착부(23)는 전시물의 두께에 따라 상단마감본체부(21)를 따라 이동 가능하여 효과적으로 전시물을 지지하면서, 사용편리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상단마감본체부(21)는 상단마감수평부(211) 및 상단마감수직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마감수평부(211)는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단마감수평부(211)는 상면이 벽면과 나란히 연장되어 접촉면적을 극대화하며 결합될 수 있다.
상단마감수직부(213)는 상단마감수평부(211)의 중앙에서 하단결합마감부(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상단마감수직부(213)는 상단마감수평부(211)가 벽면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상단마감수평부(211)에서 하측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단마감이동부(25)는 상단이동본체부(251) 및 상단이동돌출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이동본체부(251)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단마감수평부(211) 및 상단마감수직부(2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단마감수평부(211) 및 상단마감수직부(21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단이동본체부(251)는 벽면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상단마감수평부(211)의 상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단이동돌출부(253)는 상단이동본체부(251)의 상단마감수평부(211)를 마주하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단마감수평부(211)의 하면에 함몰 형성된 상단수평결합홀(21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단이동돌출부(253)는 상단마감수평부(211)의 상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단수평결합홀(215)과 연결되는 상단수평주입홀(217)을 통해 주입되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단수평주입홀(217)을 통해 주입되는 접착제는 상단수평결합홀(215)을 따라 상단마감이동부(25)와 상단마감본체부(21)의 전체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수평주입홀(217)의 직경은 상단수평결합홀(215)의 직경의 1.05 내지 1.1로 구비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접착제를 주입되며, 상단수평결합홀(215)로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단수평주입홀(217)의 직경은 상단수평결합홀(215)의 직경의 1.07 내지 1.08로 구비될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접착제를 주입되며, 상단수평결합홀(215)로 더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단수평주입홀(217)과 상단수평결합홀(215)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배치될 수 있고, 상단마감이동부(25)의 위치가 효과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단결합마감부(3)는 하단마감본체부(31), 하단마감안착부(33) 및 하단마감이동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마감본체부(31)는 결합본체부(1)의 하단부와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단마감본체부(31)는 결합본체부(1)의 하단부와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단마감본체부(31)는 결합본체부(1)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고, 벽면에는 결합부재 또는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하단마감안착부(33)는 하단마감본체부(31)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다. 즉, 하단마감안착부(33)는 하단마감본체부(31)와 하단마감이동부(35)의 결합에 의해 전시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하단마감이동부(35)는 하단마감본체부(31)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하단마감안착부(33)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전시물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하단마감안착부(33)는 전시물의 두께에 따라 하단마감본체부(31)를 따라 이동 가능하여 효과적으로 전시물을 지지하면서, 사용편리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하단마감본체부(31)는 하단마감수평부(311) 및 하단마감수직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마감수평부(311)는 벽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단마감수평부(311)는 하면이 벽면과 나란히 연장되어 접촉면적을 극대화하며 결합될 수 있다.
하단마감수직부(313)는 하단마감수평부(311)의 중앙에서 상단결합마감부(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하단마감수직부(313)는 하단마감수평부(311)가 벽면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단마감수평부(311)에서 상측으로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하단마감이동부(35)는 하단이동본체부(351) 및 하단이동돌출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이동본체부(351)는 외관을 형성하며, 하단마감수평부(311) 및 하단마감수직부(3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하단마감수평부(311) 및 하단마감수직부(31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단이동본체부(351)는 벽면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하단마감수평부(311)의 하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단이동돌출부(353)는 하단이동본체부(351)의 하단마감수평부(311)를 마주하는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하단마감수평부(311)의 상면에 함몰 형성된 하단수평결합홀(315)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하단이동돌출부(353)는 하단마감수평부(311)의 하면에 함몰 형성되고 하단수평결합홀(315)과 연결되는 하단수평주입홀(317)을 통해 주입되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하단수평주입홀(317)을 통해 주입되는 접착제는 하단수평결합홀(315)을 따라 하단마감이동부(35)와 하단마감본체부(31)의 전체적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수평주입홀(317)의 직경은 하단수평결합홀(315)의 직경의 1.05 내지 1.1로 구비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접착제를 주입되며, 하단수평결합홀(315)로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단수평주입홀(317)의 직경은 하단수평결합홀(315)의 직경의 1.07 내지 1.08로 구비될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접착제를 주입되며, 하단수평결합홀(315)로 더 접착제가 효과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단수평주입홀(317)과 하단수평결합홀(315)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배치될 수 있고, 하단마감이동부(35)의 위치가 효과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지지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결합지지고정부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결합지지고정부의 상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지지부(4)는 결합지지고정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지지고정부(47)는 결합지지본체부(41)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결합지지본체부(41)와 결합본체부(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결합지지고정부(47)는 결합지지본체부(41)와 결합될 때 결합지지본체부(41)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며, 벽면의 함몰 깊이가 깊을 경우 추가되어 전시물이 벽면과 균형있게 전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벽면의 함몰 깊이가 결합지지본체부(41)와 적합한 경우 결합본체부(1)와 결합지지본체부(41)가 직접 결합되며, 벽면의 함몰 깊이가 결합지지본체부(41)의 길이보다 더 깊게 형성된 경우 결합지지고정부(47)가 추가되어 결합지지안착부(43)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지지고정부(47)는 결합고정본체부(471), 결합고정수용부(473) 및 결합고정돌출부(47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고정본체부(471)는 결합지지수직부(413)와 결합지지수평부(411)를 마주하며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결합고정수용부(473)는 결합고정본체부(47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결합지지수직부(413)와 결합지지수평부(411)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결합고정수용부(473)는 결합지지수직부(413) 및 결합지지수평부(411)와 대응되는 형상인 십자가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결합지지수직부(413) 및 결합지지수평부(41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고정수용부(473)는 결합지지수직부(413) 및 결합지지수평부(411)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결합고정돌출부(475)는 결합고정본체부(471)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결합본체부(1)를 향하여 돌출되어 결합본체부(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결합고정돌출부(475)는 결합지지수직부(413) 및 결합지지수평부(411)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결합본체부(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지지고정부(47)는 결합고정돌출부(475)가 결합고정수용부(473)에 삽입 가능하여, 개수에 따라 결합지지안착부(43)의 전후방 배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벽면의 함몰깊이와 결합지지본체부(41)의 길이에 따라 결합지지고정부(47)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연달아 결합되어 결합지지본체부(41)를 결합본체부(1)에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고정본체부(471)의 길이가 다양하게 구비되어 결합지지고정부(47)의 길이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어 벽면의 함몰깊이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용이하게 길이에 맞게 결합지지본체부(41)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마감고정부 및 하단마감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상단마감고정부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하단마감고정부의 사시도이다.
결합지지고정부(47)에 대응하여 상단결합마감부(2)는 상단마감고정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단마감고정부(27)는 상단마감본체부(21)와 결합될 때 상단마감본체부(21)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며, 벽면의 함몰 깊이가 깊을 경우 추가되어 전시물이 벽면과 균형있게 전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벽면의 함몰 깊이가 상단마감본체부(21)와 적합한 경우 결합본체부(1)와 상단마감본체부(21)가 직접 결합되며, 벽면의 함몰 깊이가 상단마감본체부(21)의 길이보다 더 깊게 형성된 경우 상단마감고정부(27)가 추가되어 상단마감안착부(23)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마감고정부(27)는 상단고정본체부(271), 상단고정수용부(273) 및 상단고정돌출부(2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고정본체부(271)는 상단마감수직부(213)와 상단마감수평부(211)를 마주하며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단고정수용부(273)는 상단고정본체부(27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단마감수직부(213)와 상단마감수평부(211)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단고정수용부(273)는 상단마감수직부(213) 및 상단마감수평부(2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단마감수직부(213) 및 상단마감수평부(21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단고정수용부(273)는 상단마감수직부(213) 및 상단마감수평부(211)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상단고정돌출부(275)는 상단고정본체부(271)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결합본체부(1)를 향하여 돌출되어 결합본체부(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단고정돌출부(275)는 상단마감수직부(213) 및 상단마감수평부(211)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결합본체부(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단마감고정부(27)는 상단고정돌출부(275)가 상단고정수용부(273)에 삽입 가능하여, 개수에 따라 상단마감안착부(23)의 전후방 배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벽면의 함몰깊이와 상단마감본체부(21)의 길이에 따라 상단마감고정부(27)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연달아 결합되어 상단마감본체부(21)를 결합본체부(1)에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단고정본체부(271)의 길이가 다양하게 구비되어 상단마감고정부(27)의 길이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어 벽면의 함몰깊이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용이하게 길이에 맞게 상단마감본체부(21)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지지고정부(47)에 대응하여 하단결합마감부(3)는 하단마감고정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단마감고정부(37)는 하단마감본체부(31)와 결합될 때 하단마감본체부(31)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며, 벽면의 함몰 깊이가 깊을 경우 추가되어 전시물이 벽면과 균형있게 전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벽면의 함몰 깊이가 하단마감본체부(31)와 적합한 경우 결합본체부(1)와 하단마감본체부(31)가 직접 결합되며, 벽면의 함몰 깊이가 하단마감본체부(31)의 길이보다 더 깊게 형성된 경우 하단마감고정부(37)가 추가되어 하단마감안착부(33)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마감고정부(37)는 하단고정본체부(371), 하단고정수용부(373) 및 하단고정돌출부(37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고정본체부(371)는 하단마감수직부(313)와 하단마감수평부(311)를 마주하며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단고정수용부(373)는 하단고정본체부(371)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하단마감수직부(313)와 하단마감수평부(311)가 삽입될 수 있다. 즉, 하단고정수용부(373)는 하단마감수직부(313) 및 하단마감수평부(3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어 하단마감수직부(313) 및 하단마감수평부(31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단고정수용부(373)는 하단마감수직부(313) 및 하단마감수평부(311)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체결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하단고정돌출부(375)는 하단고정본체부(371)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결합본체부(1)를 향하여 돌출되어 결합본체부(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하단고정돌출부(375)는 하단마감수직부(313) 및 하단마감수평부(311)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결합본체부(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단마감고정부(37)는 하단고정돌출부(375)가 하단고정수용부(373)에 삽입 가능하여, 개수에 따라 하단마감안착부(33)의 전후방 배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벽면의 함몰깊이와 하단마감본체부(31)의 길이에 따라 하단마감고정부(37)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연달아 결합되어 하단마감본체부(31)를 결합본체부(1)에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하단고정본체부(371)의 길이가 다양하게 구비되어 하단마감고정부(37)의 길이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어 벽면의 함몰깊이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용이하게 길이에 맞게 하단마감본체부(31)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전시구조물(S)은 결합체결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체결부(5)는 결합본체부(1)와 결합지지고정부(47)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본체부(1)와 결합지지고정부(47)를 고정할 수 있다.
다만, 결합체결부(5)는 결합지지고정부(47)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결합지지본체부(41)와 결합본체부(1)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본체부(1)와 결합지지본체부(41)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내용은 결합체결부(5)와 결합지지본체부(41)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체결부(5)는 상부결합체결부(51) 및 하부결합체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결합체결부(51)는 결합고정돌출부(475)의 상측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고, 하부결합체결부(53)는 상부결합체결부(51)와 이격되며, 결합고정돌출부(475)의 하측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결합고정돌출부(475)가 상부결합체결부(51), 하부결합체결부(53) 및 결합본체부(1)에 둘러싸일 수 있어 결합고정돌출부(475)의 고정력 및 지지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상부결합체결부(51)는 결합고정돌출부(475)의 상부 및 결합본체부(1)와 함께 체결부재로 고정되며, 하부결합체결부(53)는 결합고정돌출부(475)의 하부 및 결합본체부(1)와 함께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체결부(5)는 상부결합체결부(51)의 단부와 하부결합체결부(53)의 단부에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결합고정돌출부(475)와 직접 접촉되어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결합고정돌출부(47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본체부(1)는 상부결합마찰부(55) 및 하부결합마찰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결합마찰부(55)는 상부결합체결부(51)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결합시 결합본체부(1)와 접촉될 수 있고, 마찰을 통해 상부결합체결부(51)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결합마찰부(55)는 상부결합체결부(51)보다 마찰계수가 큰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결합마찰부(57)는 하부결합체결부(53)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결합시 결합본체부(1)와 접촉될 수 있고, 마찰을 통해 하부결합체결부(53)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결합마찰부(57)는 하부결합체결부(53)보다 마찰계수가 큰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결합체결부(51)는 하단마감고정부(37) 또는 하단마감본체부(31)와 결합가능하고, 하부결합체결부(53)는 상단마감고정부(27) 또는 상단마감본체부(21)와 결합가능하여 별도의 제작없이 함께 사용하여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위치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결합위치고정부가 결합된 것을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결합위치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전시구조물(S)은 결합위치고정부(6)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위치고정부(6)는 결합지지이동부(45)의 후방에 배치되며, 결합지지수평부(411)와 결합지지수직부(413)에 결합되어 결합지지이동부(45)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결합지지본체부(41)는 결합수평수용부(417) 및 결합수직수용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수평수용부(417)는 결합지지수평부(411)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결합위치고정부(6)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결합수평수용부(417)는 결합위치고정부(6)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결합위치고정부(6)가 결합지지이동부(45)를 지지하여 전시물이 결합지지이동부(45)에 안정적으로 전시될 수 있다.
또한, 결합수평수용부(417)는 관통 형성되어 결합지지수평부(411)를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되는 결합위치고정부(6)의 삽입되는 부분들끼리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결합위치고정부(6)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수직수용부(415)는 결합지지수직부(413)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결합위치고정부(6)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결합수직수용부(415)는 결합위치고정부(6)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결합위치고정부(6)가 결합지지이동부(45)를 지지하여 전시물이 결합지지이동부(45)에 안정적으로 전시될 수 있다.
또한, 결합수직수용부(415)는 관통 형성되어 결합지지수직부(413)를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되는 결합위치고정부(6)의 삽입되는 부분들끼리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결합위치고정부(6)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위치고정부(6)는 결합위치본체부(61), 결합수평삽입부(63), 결합수직삽입부(62), 결합위치탄성부(64) 및 결합위치접촉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위치본체부(61)는 결합지지수직부(413) 및 결합지지수평부(411)에 안착될 수 있다.
즉, 결합위치본체부(61)는 결합지지수직부(413) 및 결합지지수평부(411)에 모두 접촉되어 결합지지이동부(45)의 위치를 더 효과적으로 고정하며, 지지력을 최대한 제공할 수 있다.
결합수평삽입부(63)는 결합위치본체부(61)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결합수평수용부(417)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결합수평삽입부(63)는 결합위치본체부(61)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수평삽입부(63)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며, 결합위치본체부(61)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수평수용부(417)의 길이와 관계없이 결합수평수용부(417)에 삽입되어 효과적으로 결합위치본체부(6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평삽입부(63)는 후술할 수평위치보조부(68)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결합수직삽입부(62)는 결합위치본체부(61)의 타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결합수직수용부(415)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결합수직삽입부(62)는 결합위치본체부(61)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전체적인 구조적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수직삽입부(62)는 탄성재질로 구비되며, 결합위치본체부(61)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수직수용부(415)의 길이와 관계없이 결합수직수용부(415)에 삽입되어 효과적으로 결합위치본체부(6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직삽입부(62)는 후술할 수직위치보조부(67)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도 6(b)에는 결합수평삽입부(63)와 결합수직삽입부(62)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것이고, 결합위치본체부(61)의 위치에 따라 결합수평수용부(417)와 결합수직수용부(415)에 삽입되도록 돌출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결합위치탄성부(64)는 결합위치본체부(61)의 전방에 연결될 수 있고, 결합위치접촉부(65)는 결합위치탄성부(64)의 전방에 결합되어 결합지지이동부(45)를 마주할 수 있다.
즉, 결합위치접촉부(65)는 결합지지이동부(45)와 접촉되며, 결합위치탄성부(64)는 결합위치접촉부(65)와 결합위치본체부(61)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효과적으로 전시물이 전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위치고정부(6)는 결합위치돌기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위치돌기부(66)는 결합위치접촉부(65)의 전면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위치돌기부(66)는 결합지지이동부(45)와 접촉되어 전시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결합지지이동부(45)로부터 전달받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결합위치접촉부(65)와 결합위치돌기부(66)는 결합위치본체부(61)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결합위치접촉부(65)와 결합위치돌기부(66)는 결합지지이동부(45)를 지지하면서 결합위치탄성부(64)와 함께 충격을 더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결합수평수용부(417)와 결합수직수용부(415)는 소정길이로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지지이동부(45)의 전후방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결합위치고정부(6)가 효과적으로 삽입되어 결합지지이동부(45)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위치고정부(6)는 수평위치보조부(68) 및 수직위치보조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위치보조부(68)는 결합수평삽입부(63)의 후방에 배치되어 결합수평삽입부(6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수직위치보조부(67)는 결합수직삽입부(62)의 후방에 배치되어 결합수직삽입부(6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평위치보조부(68)와 수직위치보조부(67)는 동일하게 구비되어 별도로 제작 없이 하나를 생산하여 활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수평위치보조부(68)와 수직위치보조부(67)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위치보조부(68)는 복수 개의 본체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어 결합수평삽입부(63)가 삽입되고 남은 결합수평수용부(417)의 길이와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수평위치보조부(68)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결합수평삽입부(63)가 삽입되고 남은 결합수평수용부(417)의 길이와 관계없이 삽입 된후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위치보조부(67)는 수평위치보조부(68)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형 전시구조물(S)은 결합밴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밴드는 결합지지고정부(47)와 결합지지본체부(41) 결합 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밴드는 상단마감본체부(21)와 상단마감고정부(27) 사이, 하단마감본체부(31)와 하단마감고정부(37) 사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지지고정부(47) 사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단마감고정부(27) 사이 및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단마감고정부(37)사이에도 구비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벽면형 전시구조물(S)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결합본체부(1)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단계, 결합본체부(1)의 상단부 및 벽면에 상단결합마감부(2)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단계, 결합본체부(1)의 하단부 및 벽면에 상기 하단결합마감부(3)를 고정시키는 제3고정단계, 결합본체부(1)의 내측에서 복수 개의 결합지지부(4)의 위치를 조정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및 위치가 설정된 결합지지부(4)를 고정하는 제4고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 벽면형 전시구조물 1: 결합본체부
2: 상단결합마감부 3: 하단결합마감부
4: 결합지지부 5: 결합체결부
6: 결합위치고정부

Claims (11)

  1.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되며, 내측으로 함몰된 벽면에 결합되는 결합본체부;
    상기 결합본체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상단결합마감부;
    상기 결합본체부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하단결합마감부; 및
    상기 상단결합마감부와 상기 하단결합마감부 사이에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이격 배치되며, 상기 결합본체부와 결합위치가 가변되는 결합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결합본체부를 마주하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결합지지본체부;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전시물이 안착되는 결합지지안착부; 및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결합지지안착부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결합지지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본체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지지수직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와 직교하여 배치되며, 상기 결합본체부에 결합되는 결합지지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지지안착부는
    상기 결합지지수직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 및 상기 결합지지이동부에 의해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1결합지지안착부;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에 의해 상기 제1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2결합지지안착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에 의해 상기 제2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3결합지지안착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에 의해 상기 제3결합지지안착부와 구분되며,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제4결합지지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결합마감부는
    상기 결합본체부의 상단부와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상단마감본체부;
    상기 상단마감본체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상단마감안착부; 및
    상기 상단마감본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단마감안착부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상단마감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마감본체부는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상단마감수평부; 및
    상기 상단마감수평부의 중앙에서 상기 하단결합마감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단마감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결합마감부는
    상기 결합본체부의 하단부와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하단마감본체부;
    상기 하단마감본체부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시물이 안착되는 하단마감안착부; 및
    상기 하단마감본체부에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하단마감안착부의 전후방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전시물을 지지하는 하단마감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마감본체부는
    상기 벽면에 결합되는 하단마감수평부; 및
    상기 하단마감수평부의 중앙에서 상기 상단결합마감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하단마감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부는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지지본체부와 상기 결합본체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지지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지지고정부는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를 마주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결합고정본체부;
    상기 결합고정본체부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와 상기 결합지지수평부가 삽입되는 결합고정수용부; 및
    상기 결합고정본체부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본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결합본체부에 삽입되는 결합고정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고정부는
    상기 결합고정돌출부가 상기 결합고정수용부에 삽입 가능하여, 개수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안착부의 전후방 배치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본체부와 상기 결합지지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본체부와 상기 결합지지고정부를 고정하는 결합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결부는
    상기 결합고정돌출부의 상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상부결합체결부; 및
    상기 상부결합체결부와 이격되며, 상기 결합고정돌출부의 하측을 덮도록 구비되는 하부결합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결합체결부는 상기 결합고정돌출부의 상부 및 상기 결합본체부와 함께 체결부재로 고정되며,
    상기 하부결합체결부는 상기 결합고정돌출부의 하부 및 상기 결합본체부와 함께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이동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와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지지이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결합위치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지지본체부는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결합위치고정부가 삽입고정되는 결합수평수용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직부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결합위치고정부가 삽입고정되는 결합수직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위치고정부는
    상기 결합지지수직부 및 상기 결합지지수평부에 안착되는 결합위치본체부;
    상기 결합위치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평수용부에 삽입되는 결합수평삽입부;
    상기 결합위치본체부의 타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수직수용부에 삽입되는 결합수직삽입부;
    상기 결합위치본체부의 전방에 연결되는 결합위치탄성부; 및
    상기 결합위치탄성부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지지이동부를 마주하는 결합위치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위치고정부는
    상기 결합위치접촉부의 전면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위치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위치접촉부와 상기 결합위치돌기부는 상기 결합위치본체부 보다 탄성계수가 낮은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평수용부와 상기 결합수직수용부는 소정길이로 확보되며,
    상기 결합위치고정부는
    상기 결합수평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수평삽입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평위치보조부; 및
    상기 결합수직삽입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수직삽입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수직위치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위치보조부와 상기 수직위치보조부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
  11. 제1항의 벽면형 전시구조물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합본체부를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단계;
    상기 결합본체부의 상단부 및 상기 벽면에 상기 상단결합마감부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단계;
    상기 결합본체부의 하단부 및 상기 벽면에 상기 하단결합마감부를 고정시키는 제3고정단계;
    상기 결합본체부의 내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결합지지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설정단계; 및
    위치가 설정된 상기 결합지지부를 고정하는 제4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형 전시구조물의 설치방법.
KR1020230121398A 2023-09-12 2023-09-12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KR10261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398A KR102614989B1 (ko) 2023-09-12 2023-09-12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1398A KR102614989B1 (ko) 2023-09-12 2023-09-12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989B1 true KR102614989B1 (ko) 2023-12-19

Family

ID=8938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398A KR102614989B1 (ko) 2023-09-12 2023-09-12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98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120A (en) * 1993-08-18 1995-04-25 Hamilton Fixture Company Slot wall display support system
JPH07222658A (ja) * 1994-02-08 1995-08-22 Itoki Co Ltd 陳列壁面用の支持部材
JP2005261741A (ja) * 2004-03-19 2005-09-29 Kajima Corp 建物における家具の取り付け方法
US20080179267A1 (en) * 2007-01-31 2008-07-31 Johnson Allen E Product display grid system and grid wall hanging bracket used therewith
KR20090009911U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101267731B1 (ko) * 2012-12-04 2013-05-27 폴성 킴 상품 진열용 벽면 조립체
KR20140147274A (ko) * 2013-06-19 2014-12-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형 전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851811A (zh) * 2018-09-06 2018-11-23 中山市恒辉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释放冷气的展示墙
KR102306772B1 (ko) 2019-04-25 2021-09-28 배헌직 상품 전시용 벽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120A (en) * 1993-08-18 1995-04-25 Hamilton Fixture Company Slot wall display support system
JPH07222658A (ja) * 1994-02-08 1995-08-22 Itoki Co Ltd 陳列壁面用の支持部材
JP2005261741A (ja) * 2004-03-19 2005-09-29 Kajima Corp 建物における家具の取り付け方法
US20080179267A1 (en) * 2007-01-31 2008-07-31 Johnson Allen E Product display grid system and grid wall hanging bracket used therewith
KR20090009911U (ko) * 2008-03-27 2009-10-0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붙박이장용 프레임의 커버부재 결합구조
KR101267731B1 (ko) * 2012-12-04 2013-05-27 폴성 킴 상품 진열용 벽면 조립체
KR20140147274A (ko) * 2013-06-19 2014-12-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형 전시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851811A (zh) * 2018-09-06 2018-11-23 中山市恒辉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可释放冷气的展示墙
KR102306772B1 (ko) 2019-04-25 2021-09-28 배헌직 상품 전시용 벽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66407A1 (en) Panel Installation Set and Method of Installing Panel Using the Same
JP2011526499A (ja) 壁要素
KR102614989B1 (ko) 벽면형 전시구조물 및 이에 대한 설치방법
KR200490593Y1 (ko) 엘리베이터 보호 패널
KR102221604B1 (ko) 커튼월 및 이의 생산 방법
JP5235386B2 (ja)
KR200484198Y1 (ko) 조립식 선반
KR102559389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2415981B1 (ko) 조립식 가구의 측판 조립용 지지대 및 이를 구비한 조립식 가구
KR102270225B1 (ko) 전시 부스용 프레임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전시 부스의 시공방법
KR200299579Y1 (ko) 악세스 플로어패널의 엣지 보강구조
JP7220054B2 (ja) 什器
KR20200000682U (ko) 건물 외장용 어셈블리
KR102376453B1 (ko) 선반의 천장 고정구조
KR102576034B1 (ko) 외벽 패널 조립 구조
CN111669992A (zh) 抽屉侧壁
KR101387577B1 (ko) 방음벽
JP7222630B2 (ja) 表示装置の緩衝材及び緩衝材の使用方法並びにスタンド部材の組立方法
JP5515186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899349B1 (ko) 모서리가 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212933Y1 (ko) 천정 시공용 타일판 마감몰딩
CN201024551Y (zh) 轻质墙板滑动构件
KR20230158998A (ko) 내진용 벽면 마감부재 시공장치
JP417378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3212980U (ja) 組合式パネルモジュール、組合式パネルモジュールの固定座、及び組合式パネルモジュールの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