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2770B1 -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2770B1
KR102662770B1 KR1020220081589A KR20220081589A KR102662770B1 KR 102662770 B1 KR102662770 B1 KR 102662770B1 KR 1020220081589 A KR1020220081589 A KR 1020220081589A KR 20220081589 A KR20220081589 A KR 20220081589A KR 102662770 B1 KR102662770 B1 KR 102662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ropulsion
axis
gear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3828A (ko
Inventor
전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피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피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피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20081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2770B1/ko
Priority to PCT/KR2023/007056 priority patent/WO2024010216A1/ko
Publication of KR2024000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characterised by use of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0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 B63H23/1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more than one propulsion power unit
    • B63H23/12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with mechanical gearing for transmitting drive from more than one propulsion power unit allowing combined use of the propulsion powe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22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13/38Friction clutches with axially-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clutching surfaces, e.g. discs
    • F16D13/52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Clutches in which three or more axially moveable members are fixed alternately to the shafts to be coupled and are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63H2021/2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 B63H2021/205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of hybrid electric type the second power unit being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ype, or the like, e.g. a Diesel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에서 상기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상기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단속하기 위한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엔진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축;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추진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일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축으로 전달된 상기 연료엔진의 추진력을 상기 제2축으로 전달하는 제1a연동기어와 제1b연동기어;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타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축으로 전달된 상기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상기 제1축으로 전달하는 제2a연동기어와 제2b연동기어; 상기 제1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1a연동기어가 상기 제1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클러치; 및 상기 제1축의 타측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2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2a연동기어가 상기 제1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Clutch apparatus for marine hybrid propul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에 설치되는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선박에도 환경을 보호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해 고속으로 추진할 경우 연료엔진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을 이용하고 저속으로 추진할 경우 추진모터에서 발생하는 추진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은 연료를 사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연료엔진과,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키거나 연료엔진의 추진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추진모터와, 추진모터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팩과, 연료엔진의 출력단과 추진모터의 출력단을 각각 프로펠러가 연결된 추진축에 연결하는 감속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저속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추진력으로 선박을 추진함에 따라 추진모터의 추진력이 감속기를 통해 추진축에 전달되도록 추진모터를 구동시키는 전기추진 모드로 선박을 운항할 수 있다.
그리고 고속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추진력으로 선박을 추진함에 따라 연료엔진의 추진력이 감속기를 통해 추진축에 전달되도록 연료엔진을 구동시키는 연료추진 모드로 선박을 운항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추진력으로 선박을 추진함에 따라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추진모터의 추진력이 동시에 감속기를 통해 추진축에 전달되도록 연료엔진과 추진모터를 구동시키는 부스터 모드로 선박을 운항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속기는 연료엔진 또는 추진모터로부터 입력되는 추진력을 감속 및 증속시켜 추진축에 전달하는 변속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전기추진모드에서 연료엔진의 출력단과 추진모터의 출력단을 감속기의 입력단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즉, 감속기를 단독으로 제어하여 연료엔진의 출력단과 추진모터의 출력단을 감속기의 입력단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거나 연료엔진 또는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감속 및 증속시켜 추진축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감속기의 내부 구조를 매우 복잡하게 구성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구조도 매우 복잡하게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감속기의 기능과 구조 및 제어를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감속기와 추진모터의 사이에서 연료엔진의 추진력이 추진모터로 입력되도록 하거나 추진모터의 추진력이 추진축으로 입력되도록 하는 전용의 클러치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6254호, 2017.12.07.자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4973호, 2021.10.21.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감속기의 기능과 구조 및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감속기와 추진모터의 사이에서 추진모터로 전달되는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추진축으로 전달되는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단속할 수 있고 추진모터로 전달되는 연료엔진의 추진력의 비율과 추진축으로 전달되는 추진모터의 추진력의 비율을 서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는 연료엔진과 추진모터가 일체로 구비되어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추진모터의 추진력 중의 적어도 하나로 프로펠러가 연결된 추진축을 구동시키는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에서 상기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상기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엔진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축;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추진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일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축으로 전달된 상기 연료엔진의 추진력을 상기 제2축으로 전달하는 제1a연동기어와 제1b연동기어;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타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축으로 전달된 상기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상기 제1축으로 전달하는 제2a연동기어와 제2b연동기어; 상기 제1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1a연동기어가 상기 제1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클러치; 및 상기 제1축의 타측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2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2a연동기어가 상기 제1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클러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는 하기와 같이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먼저, 감속기와 추진모터의 사이에서 제1축과 제2축, 제1축과 제2축의 일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1연동기어, 제1축과 제2축의 타측에 설치된 한 쌍의 제2연동기, 제1축의 일측에서 작동에 따라 제1연동기어 하나를 제1축에 일체로 고정하는 제1클러치 및 제1축의 타측에서 작동에 따라 제2연동기어 하나를 제1축에 일체로 고정하는 제2클러치를 이용하여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각각 용이하게 단속함으로써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를 연료엔진의 추진력이 추진모터로 공급되게 하는 PTO 모드와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감속기로 공급하는 PTI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연동기어와 제2연동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추진모터로 전달되는 연료엔진의 추진력의 비율과 추진축으로 전달되는 추진모터의 추진력의 비율이 서로 다르게 결정 가능함으로써 PTO 모드에서의 증속 비율과 PTI 모드에서의 감속 비율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축에 연동회전방시수단이 설치되어 제1축의 공회전시 제2축이 따라 회전하는 폐단을 방지함으로써 연료손실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제1축과 제2축이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감속기의 입력축과 추진모터의 출력축을 서로 어긋나게 하는 오프셋 기능을 발휘함으로써 추진모터의 설치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가 적용된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의 연동회전방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에 설치되는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는 감속기와 추진모터의 사이에서 추진모터로 전달되는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추진축으로 전달되는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단속하고 추진모터로 전달되는 연료엔진의 추진력의 비율과 추진축으로 전달되는 추진모터의 추진력의 비율을 서로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감속기의 기능과 구조 및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제1축; 제2축; 제1축과 제2축을 연동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1a, 1b연동기어; 제1축과 제2축을 연동 회전시키고 제1a, 1b연동기어와는 기어비가 다른 한 쌍의 제2a, 2b연동기어; 제1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에 따라 제1a연동기어가 제1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클러치; 및 제1축의 타측에 설치되어 작동에 따라 제2a연동기어가 제2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클러치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100)는 연료엔진(E)과 추진모터(M)가 일체로 구비되어 연료엔진(E)의 추진력과 추진모터(M)의 추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감속기(G)의 출력축(GO)과 연결되고 단부에 프로펠러(P)가 장착된 추진축(S)으로 전달하여 선박을 추진시키는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H)에서 연료엔진(E)의 추진력과 추진모터(M)의 추진력을 단속하기 위해 감속기(G)의 입력축(GI)과 추진모터(M)의 출력축(MO)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제1축(20a), 제2축(20b), 제1a연동기어(30a), 제1b연동기어(30b), 제2a연동기어(40a), 제2b연동기어(40b), 제1클러치(50a), 제2클러치(60b), 제1기어펌프(70a), 제2기어펌프(70b) 및 연동회전방지수단(8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내부 일측과 타측에 제1축(20a)과 제2축(20b)을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의 내부 일단과 타단에는 제1축(20a)과 제2축(20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베어링(13)과 제2베어링(14)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축(20a)과 제2축(20b)은 하우징(10)의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제1베어링(13)과 제2베어링(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축(20a)의 단부는 제1커플링(21a)을 매개로 하여 연료엔진(E)의 출력축(EO)과 연결되는 감속기(G)의 입력축(GI)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축(20b)의 단부는 제2커플링(21b)을 매개로 하여 추진모터(M)의 출력축(MO)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축(20a)과 제2축(20b)은 일정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면서 감속기(G)의 입력축(GI)과 추진모터(M)의 출력축(MO)을 서로 어긋나게 하는 오프셋 기능을 발휘함에 따라 추진모터(M)의 설치시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a연동기어(30a)와 제1b연동기어(30b)는 제1축(20a)과 제2축(20b)의 일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게 설치되어 제1축(20a)의 회전시 서로 치합되면서 제2축(20b)이 제1축(20a)과 연동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즉, 제1a연동기어(30a)와 제1b연동기어(30b)는 연료엔진(E)의 출력축에서 출력되어 감속기(G)를 통해 제1축(20a)으로 전달된 연료엔진(E)의 추진력 일부를 제1축(20a)에서 제2축(20b)으로 전달함으로써 연료엔진(E)의 추진력 일부를 추진모터(M)의 출력축(MO)에 입력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추진 모드로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H)가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1a연동기어(30a)와 제1b연동기어(30b)는 서로 간의 기어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추진모터(M)의 발전에 필요한 회전수에 대응되게 연료엔진(E)의 추진력 일부를 기설정된 제1비율로 증속하여 추진모터(M)의 출력축(MO)에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a연동기어(40a)와 제2b연동기어(40b)는 제1축(20a)과 제2축(20b)의 타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게 설치되어 제2축(20b)의 회전시 서로 치합되면서 제1축(20a)이 제2축(20b)과 연동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즉, 제2a연동기어(40a)와 제2b연동기어(40b)는 추진모터(M)의 출력축(MO)에서 출력되는 추진모터(M)의 추진력을 제2축(20b)에서 제1축(20a)으로 전달함으로써 추진모터(M)의 추진력을 감속기(G)의 입력축(GI)에 입력하여 전기에너지로 추진축(S)을 회전시키는 전기추진 모드 또는 부스터 모드로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H)가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2a연동기어(40a)와 제2b연동기어(40b)는 서로 간의 기어비에 따라 미리 정해진 추진축(S)의 회전속도에 대응되게 추진모터(M)의 추진력을 기설정된 제2비율로 감속하여 감속기(G)의 입력축(GI)에 입력할 수 있다.
단, 제1a연동기어(30a)와 제1b연동기어(30b)의 기어비와 제2a연동기어(40a)와 제2b연동기어(40b)의 기어비에 의해 각각 결정되는 제1비율과 제2비율은 미리 정해진 추진모터(M)의 발전에 필요한 회전수와 미리 정해진 추진축(S)의 회전속도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클러치(50a)는 제1축(20a)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면서 제1a연동기어(30a)가 제1축(20a)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제1a연동기어(30a)를 제1축(20a)에 고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클러치(50a)는 복수 개의 제1디스크 사이사이에 제1스틸플레이트가 각각 삽입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제1디스크와 제1스틸플레이트가 서로 마찰되면서 제1a연동기어(30a)가 제1축(20a)과 일체로 회전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클러치(60b)는 제1축(20a)의 타측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2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면서 제2a연동기어(40a)가 제1축(20a)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제2a연동기어(40a)를 제1축(20a)에 고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
즉, 제2클러치(60b)는 복수 개의 제2디스크 사이사이에 제2스틸플레이트가 각각 삽입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2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제2디스크와 제2스틸플레이트가 서로 마찰되면서 제2a연동기어(40a)가 제2축(20b)과 일체로 회전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기어펌프(70a)는 하우징(1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제2축(20b)이 회전할 때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제1작동유를 가압하여 제1클러치(50a)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기어펌프(70a)는 연료추진 모드에서 제2축(20b)이 회전할 때 그 동력으로 작동하면서 제1작동유를 가압하여 제1a유압라인을 통해 제1클러치(50a)로 공급함으로써 제1클러치(50a)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어펌프(70a)는 연료추진 모드가 아닌 전기추진 모드 또는 부스터 모드에서도 작동하여 윤활 기능을 위해 제1작동유를 가압하여 제1b유압라인을 통해 제1축(20a)과 제2축(20b)과 제1베어링(13) 및 제2베어링(14)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기어펌프(70b)는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제1축(20a)이 회전할 때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제2작동유를 가압하여 제2클러치(60b)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제2기어펌프(70b)는 전기추진 모드 또는 부스터 모드에서 제2축(20b)이 회전할 때 그 동력으로 작동하면서 제2작동유를 가압하여 제2a유압라인을 통해 제2클러치(60b)로 공급함으로써 제2클러치(60b)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기어펌프(70b)는 전기추진 모드 또는 부스터 모드가 아닌 연료추진 모드에서 작동하여 윤활 기능을 위해 제2작동유를 가압하여 제2b유압라인을 통해 제1축(20a)과 제2축(20b)과 제1베어링(13) 및 제2베어링(14)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1기어펌프(70a)와 제2기어펌프(70b)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에 별치식으로 설치한 기어펌프로 대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동회전방지수단(80)은 제2축(20b)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축(20a)이 공회전할 때 제2축(20b)이 제1축(20a)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제1축(20a)을 유압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a연동기어(30a)의 일측 내주면은 제1클러치(50a)와 함께 제1작동유를 사이에 두고 제1축(20a)에 외삽된 상태이므로 제1클러치(50a)가 작동하지 않더라도 제1축(20a)의 회전시 제1a연동기어(30a)가 제1작동유의 점성에 의해 제1축(20a)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1b연동기어(30b)와 치합되어 제2축(20b)이 제1축(20a)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동회전방수단(80)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동회전방지수단(8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래킷(81)과 유압실린더(82)와 가압블록(83)과 제2브래킷(84) 및 가이드레일(8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래킷(81)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82)는 제1브래킷(81)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압블록(83)은 유압실린더(82)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내측면에 가압홈(8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래킷(84)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브래킷(81)의 일측에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85)은 제2브래킷(84)에 각각 단부가 고정되고 내측면에 가압블록(83)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가이드홈(85a)이 형성되어 가압블록(83)의 수평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연동회전방지수단(80)은 유압실린더(82)가 작동하여 가압블록(83)이 가이드레일(85)을 따라 제2축(20b)을 향하여 수평 이동하면서 가압홈(83a)을 통해 제2축(20b)의 외주면을 회전하지 않도록 가압함으로써 제2축(20b)이 제1축(20a)과 함께 회전되는 폐단을 방지하여 연료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유압실린더(82)는 제2기어펌프(70b)의 작동에 따라 가압되는 제2작동유를 제3유라인을 통해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11: 제1수용공간
12: 제2수용공간
13: 제1베어링
14: 제2베어링
20a: 제1축
21a: 제1커플링
20b: 제2축
21b: 제2커플링
30a: 제1a연동기어
30b: 제1b연동기어
40a: 제2a연동기어
40b: 제2b연동기어
50a: 제1클러치
50b: 제2클러치
70a: 제1기어펌프
70b: 제2기어펌프
80: 연동회전방지수단
81: 제1브래킷
82: 유압실린더
83: 가압블록
83a: 가압홈
84: 제2브래킷
85: 가이드레일
85a: 가이드홈
100: 클러치 장치
H: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
E: 연료엔진
EO: 출력축
M: 추진모터
MO: 출력축
G: 감속기
GI: 입력축
GO: 출력축
S: 추진축
P: 프로펠러

Claims (5)

  1. 연료엔진과 추진모터가 일체로 구비되어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추진모터의 추진력 중의 적어도 하나로 프로펠러가 연결된 추진축을 구동시키는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에서 상기 연료엔진의 추진력과 상기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엔진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감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되는 제1축;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추진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제2축;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일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축으로 전달된 상기 연료엔진의 추진력을 상기 제2축으로 전달하는 제1a연동기어와 제1b연동기어;
    상기 제1축과 상기 제2축의 타측에 각각 서로 치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축으로 전달된 상기 추진모터의 추진력을 상기 제1축으로 전달하는 제2a연동기어와 제2b연동기어;
    상기 제1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1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1a연동기어가 상기 제1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클러치;
    상기 제1축의 타측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제2작동유의 압력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2a연동기어가 상기 제1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클러치;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축이 회전할 때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제1작동유를 가압하여 상기 제1클러치로 공급하는 제1기어펌프;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축이 회전할 때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면서 상기 제2작동유를 가압하여 상기 제2클러치로 공급하는 제2기어펌프;로 구성되고,
    상기 연료엔진의 추진력이 상기 제2축을 통해 상기 추진모터로 전달되는 발전 모드에서는
    상기 제1a연동기어와 상기 제1b연동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상기 제1축에서 상기 제2축으로 전달되는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추진모터의 발전에 필요한 회전수에 대응되게 증속되고,
    상기 추진모터의 추진력이 상기 제1축을 통해 상기 추진축으로 전달되는 전기추진 모드에서는
    상기 제2a연동기어와 상기 제2b연동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상기 제2축에서 상기 제1축으로 전달되는 회전수가 미리 정해진 상기 추진축의 회전속도에 대응되게 감속되며,
    상기 제2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이 공회전할 때 상기 제2축이 상기 제1축과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연동회전방지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연동회전방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브래킷와, 상기 제1브래킷에 고정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내측면에 가압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2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제2축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블록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브래킷과, 상기 제2브래킷에 단부가 고정되고 내측면에 상기 가압블록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블록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81589A 2022-07-04 2022-07-04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KR10266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589A KR102662770B1 (ko) 2022-07-04 2022-07-04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PCT/KR2023/007056 WO2024010216A1 (ko) 2022-07-04 2023-05-24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589A KR102662770B1 (ko) 2022-07-04 2022-07-04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828A KR20240003828A (ko) 2024-01-11
KR102662770B1 true KR102662770B1 (ko) 2024-05-09

Family

ID=8945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589A KR102662770B1 (ko) 2022-07-04 2022-07-04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2770B1 (ko)
WO (1) WO202401021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0611A (ja) * 2018-09-13 2020-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船舶推進用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KR102415813B1 (ko) * 2022-02-28 2022-07-01 주식회사 그람 선박용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1910A1 (de) * 2001-03-13 2002-09-19 Man B&W Diesel A/S, Copenhagen Sv Hybride dieselmechanische und -elektrische Antriebsanlage für einen sicheren und anpassungsfähigen Schiffsbetrieb
NO332138B2 (no) 2009-11-09 2016-04-11 Rolls Royce Marine As Power Electric Systems Bergen Hybrid fremdriftssystem for et fartøy
US9096295B2 (en) * 2012-12-31 2015-08-04 General Electric Company Hybrid power and propulsion system
KR20160015869A (ko) * 2014-08-01 2016-0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 및 방법
KR102314973B1 (ko) 2015-06-08 2021-10-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축계발전기와 축전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추진선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40611A (ja) * 2018-09-13 2020-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船舶推進用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KR102415813B1 (ko) * 2022-02-28 2022-07-01 주식회사 그람 선박용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828A (ko) 2024-01-11
WO2024010216A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0597B (fi) Lisävoimanlähde merialuksia varten
CN101909987B (zh) 双反转螺旋桨式船用推进装置
CN102858676B (zh) 驱动装置
CN102448812B (zh) 船舶动力分流变速箱
CN101909986A (zh) 双反转螺旋桨式船用推进装置
EP2460941A1 (en) Swing drive device
US4189021A (en) High-speed mobile working machine
US20220234708A1 (en) Marine drive unit and marine vessel
US20070099750A1 (en) Power system
KR20190059845A (ko) 구동 장치
CN110131390B (zh) 一种油电混合动力输入船用齿轮箱
KR102662770B1 (ko)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클러치 장치
CN112512915A (zh) 舷外马达
JP2002114194A (ja) 油圧モータ並列駆動型船尾推進装置、及びこれを制御するための油圧システム
CN212360676U (zh) 具有较短动力传递路线的齿轮箱
JPH05139381A (ja) 舶用推進装置
CN111059263A (zh) 一种新能源油电双动力输入齿轮箱
CN210623520U (zh) 油电混合动力输入船用齿轮箱
CN110065614A (zh) 一种两自由度并联式水下矢量推进器
CN213479115U (zh) 新能源油电双动力输入齿轮箱
CN210686875U (zh) 多输出船用齿轮箱
JP2019069686A (ja) ハイブリッド推進装置
RU197629U1 (ru) Амфибий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211685566U (zh) 油电混合电机外挂式动力输入船用齿轮箱
WO2005021373A1 (en) Contra rotat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